KR20210028948A -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948A
KR20210028948A KR1020190110134A KR20190110134A KR20210028948A KR 20210028948 A KR20210028948 A KR 20210028948A KR 1020190110134 A KR1020190110134 A KR 1020190110134A KR 20190110134 A KR20190110134 A KR 20190110134A KR 20210028948 A KR20210028948 A KR 20210028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display
sheet music
electron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741B1 (ko
Inventor
이계연
김재곤
김보곤
Original Assignee
이계연
김보곤
김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연, 김보곤, 김재곤 filed Critical 이계연
Priority to KR102019011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7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3/00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 G10G3/04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using electr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를 인지하여 연주 속도에 따라 악보를 출력하는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선정버튼을 조작하여 악보를 선정하는 선정단계와 악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출하는 제 1출력단계와 악보의 연주를 마이크에서 인지하는 인지단계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며, 악보에 추가정보를 표출하는 제 2출력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Method for Displaying Musical Note}
본 발명은 연주를 인지하여 연주 속도에 따라 악보를 출력하는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외부로부터 악보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한 악보 이미지로부터 이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진화된 악보 및 배경 영역을 검출하고, 이진화된 악보 이미지로부터 오선을 인식하고, 라벨링을 통하여 음 기호 및 음표를 인식하고, 음표의 위치를 파악하여 전자 악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전자 악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된 전자악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전자 악보 제공 장치와 전자 악보 제공 장치와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 가능하고, 전자 악보 제공 장치로부터 전자 악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본 발명은 종이 악보 대신에, 이와 유사하게 볼 수 있는 전자 악보 장치를 제안한다. 악보 장치에 USB 단자가 있어서, 그림 파일로 된 악보를 USB 메모리를 통해서 전자 악보 장치에 저장한다. 전원을 켜게 되면 그림 파일로 된 악보가 전자 악보 장치의 TFT-LCD 화면에 나타나며, 손으로 버튼을 클릭하거나, 발로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악보가 바뀌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파일을 찾기 위한 검색 버튼과; 상기 검색된 파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표시부와; 상기 화면 표시부에 이전 악보를 표시하기 위해 선택하는 제1 선택버튼과; 상기 화면 표시부에 다음 악보를 표시하기 위해 선택하는 제2 선택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디지털 음악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악기의 연주방법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전자악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관점에 따른 음악파일을 이용한 전자악보 제공장치는 연주음악에 대응되는 악기별 연주정보를 포함하는 MIDI파일을 생성하는 MIDI생성수단과, 상기 MIDI 생성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MIDI파일의 음표에 대응되는 연주음 온/오프정보를 생성하는 연주시간생성수단 및, 상기 MIDI생성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MIDI파일과 상기 연주시간생성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연주음 온/오프정보를 근거로 해당 연주음에 대응되는 노트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악보정보를 생성하는 전자악보생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악보를 선택하는 선택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선택 이벤트에 대응하는 전자 악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입력되는 소리 데이터를 음향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소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보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 입력된 소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 전자 악보 데이터의 마지막 마디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 악보 데이터의 페이지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535435 B1 (2015년07월03일) KR 10-2011-0096257 A (2011년08월30일) KR 10-2013-0057293 A (2013년05월31일) KR 10-2016-0073862 A (2016년06월27일)
본 발명은 연주를 인지하여 연주 속도에 따라 악보를 출력하는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선정버튼(200)을 조작하여 악보(10)를 선정하는 선정단계(S1100);, 상기 악보(10)를 디스플레이(100)에 표출하는 제 1출력단계(S1200);, 상기 악보(10)의 연주를 마이크(300)에서 인지하는 인지단계(S1300);, 상기 디스플레이(100)에 표출되며, 상기 악보(10)에 추가정보를 표출하는 제 2출력단계(S1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선정단계(S1100);, 제 1출력단계(S1200);, 인지단계(S1300);, 제 2출력단계(S1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선정단계(S1100)에 형성되며, 상기 악보(10)를 선정하기 위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S1120); 상기 선정버튼(200)을 조작하여 외부 및 내부에 저장된 상기 악보(10)를 선정하는 악보선정단계(S11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선정단계(S1100);, 제 1출력단계(S1200);, 인지단계(S1300);, 제 2출력단계(S1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인지단계(S1300)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300)에서 인지한 사운드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1310); 상기 저장단계(S1310)에 형성되며, 상기 악보(10)와 사운드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13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선정단계(S1100);, 제 1출력단계(S1200);, 인지단계(S1300);, 제 2출력단계(S1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2출력단계(S1400)에 형성되며, 상기 인지단계(S1300)에서 인지한 연주를 표출하는 표출단계(S1410); 지휘자(20)의 추가정보를 표출하는 추가표출단계(S14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선정단계(S1100);, 제 1출력단계(S1200);, 인지단계(S1300);, 제 2출력단계(S1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악보(10)를 표출하는 모니터, 헤드업 디스플레이(HUD)(100), 빔 프로젝트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악보를 연주하는 사운드를 인지하여 악보의 페이지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악보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키며, 악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주 중 지휘자의 의견을 악보에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악보의 저작권 승인을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악보와 연주를 비교하여 연주자의 숙달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상전력이 구비되며, 연주 중 정전, 충격 등에 대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피아노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탠드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악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의 악보 출력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선정버튼(200)을 조작하여 악보(10)를 선정하는 선정단계(S1100);, 상기 악보(10)를 디스플레이(100)에 표출하는 제 1출력단계(S1200);, 상기 악보(10)의 연주를 마이크(300)에서 인지하는 인지단계(S1300);, 상기 디스플레이(100)에 표출되며, 상기 악보(10)에 추가정보를 표출하는 제 2출력단계(S1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선정단계(S1100)는 연주를 진행하기 위한 악보(10)를 수정하는 수정단계(S1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오케스트라 등과 같이 연주를 진행할 때 악보(10)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오케스트라와 같이 다양한 악기로 합주를 진행할 때 동일한 악보(10)를 공급하거나 지휘자(20)의 성향에 따라 편곡된 악보(10)가 동시에 제공되며, 악보(10)는 곡에 따라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때, 악보(10)는 디스플레이(100) 장치에 의하여 표출되며, 다수의 연주자(30)에게 동일한 정보가 제공된다. 그리고 악보(10)는 연주자(30)에게 연주 속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주를 인지하는 마이크(300)가 형성되며, 마이크(300)는 전자악보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레슨과 같이 연주가 미숙한 연주자(30)에게 악보(10)를 제공함과 동시에 체크 사항을 표출하고, 연주 속도 및 페이지를 넘기는 등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마이크(300)를 통해 인지된 연주에 의하여 연주자(30)가 실수한 위치를 악보(10)에 표출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악보는 내부에 저장된 악보(10)를 표출하며, 표출된 화면을 연주 중에 넘기므로 악보(10)책의 휴대성은 향상시키나 연주를 위한 편의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악보(10)를 선정하는 선정단계(S1100)에서 선정버튼(200)을 조작하여 악보(10)를 선정한다. 이때, 선정단계(S1100)는 악보(10)를 선정하지 않고 지휘자(20) 및 작곡가가 곡을 작곡하기 위한 수정단계(S1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작곡한 악보(10) 및 기존의 악보(10)를 선정하면 제 1출력단계(S1200)와 제 2출력단계(S1400)에서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악보(10)를 표출한다. 그리고 인지단계(S1300)에서 마이크(300)를 통해 현재 진행되는 연주를 인지함에 따라 악보(10)의 페이지를 넘기거나 연주 속도를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연주자(30)에게 악보(10)를 제공하며, 연주를 인지하여 악보(10)와 비교하여 연주자(30)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선정단계(S1100)에 형성되며, 상기 악보(10)를 선정하기 위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S1120); 상기 선정버튼(200)을 조작하여 외부 및 내부에 저장된 상기 악보(10)를 선정하는 악보선정단계(S1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S1120)는 상기 악보(10)를 연주하는 연주자(30) 및 지휘자(20)의 공통정보를 입력하는 제 1추가정보 입력단계(S1121);, 복수의 연주자(30) 및 지휘자(20)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제 2추가정보 입력단계(S1122);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S112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추가정보 입력단계(S1121)와 상기 제 2추가정보 입력단계(S1122)에서 입력한 정보를 저작권협회로 송신하는 송신단계(S1123); 상기 악보(10)에 대한 저작권을 승인하는 승인단계(S11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선정단계(S1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저작권에 의하여 보호되는 악보(10)를 선정하기 위하여 저작권협회와 송신하며, 선정버튼(200)을 활용하여 악보(10)를 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정단계(S1100)는 악보(10)를 선정하기 위하여 저작권협회에서 승인을 받아야 하며, 그에 따라 저작권협회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입력단계(S1120)는 악보(10)를 연주하는 연주자(30) 및 지휘자(20)의 공통정보를 입력하는 제 1추가정보 입력단계(S1121)가 형성되며, 제 1추가정보 입력단계(S1121)는 저작권 승인을 받기 위한 지휘자(20) 및 기관 등의 공통 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공통 정보는 음악단의 명칭 및 지휘자(20)의 성명 등으로 형성되어 송신단계(S1123)에서 송신되며, 승인단계(S1124)에서 공통 정보를 입력할 때 악보(10)의 저작권을 영구사용 및 일시사용으로 승인받을 것인지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레슨과 같이 악보(10)를 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저작권협회에서 저작권 승인을 영구사용으로 승인을 받거나 단기 연주와 같이 일시적으로 저작권을 사용하기 위하여 저작권협회에서 저작권 승인을 일시사용으로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때, 영구사용과 일시사용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작권 승인을 위한 결제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제 1추가정보 입력단계(S1121)에서는 악보(10)를 관장하는 복수의 저작권 협회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공통정보, 결재, 인증 등을 송신한다. 제 1추가정보 입력단계(S1121)에서 공통정보가 입력되면 제 2추가정보 입력단계(S1122)에서 악보(10)를 연주하기 위한 연주자(30) 및 지휘자(20)의 개인정보가 입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정단계(S1100)는 악보(10)의 저작권을 승인받아 선정하기 위하여 공통정보 및 개인정보를 저작권협회로 송신하여 승인받는 것으로 복잡한 저작권 승인 과정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선정버튼(200)은 상기 디스플레이(100)에 형성되며, 상기 승인단계(S1124)에서 승인되어 내부에 저장된 상기 악보(10)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악보선정단계(S1130)에 대한 것이며, 입력단계(S1120)에서 저작권을 승인받은 악보(10) 및 내부에 저장되어 저작권에 접촉되지 않는 악보(10) 중 선택된 하나를 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악보선정단계(S1130)는 선정버튼(200)이 형성되며, 선정버튼(200)은 디스플레이(100)에 표출되거나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선정버튼(200)을 조작하여 입력단계(S1120)에서 저작권을 승인받는다. 그리고 선정버튼(200)은 디스플레이(100) 내부에 형성되며,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의 악보(10) 중 하나를 선정한다. 이때,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의 악보(10)는 저작권을 승인받은 악보(10)와 저작권에 접촉되지 않는 다수의 악보(10)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오케스트라와 같이 특정 악보(10)를 연주하기 위하여 저작권을 승인 받은 악보(10)가 디스플레이(100)에 표출되지만 레슨과 같이 다양한 악보(10)를 연주할 때는 복수의 악보(10)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선정버튼(200)에 의하여 선정되어 표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악보선정단계(S1130)는 방대한 양의 악보(10)들이 디스플레이(100)에 저장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보관이 용이한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인지단계(S1300)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300)에서 인지한 사운드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1310); 상기 저장단계(S1310)에 형성되며, 상기 악보(10)와 사운드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1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S1310)는 상기 마이크(300)에 인지된 노이즈를 필터링 하는 필터링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지단계(S1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악보(10)에 의하여 연주되는 사운드를 마이크(300)에서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지단계(S1300)는 디스플레이(100) 외측에 형성되는 마이크(300)에서 악보(10)를 연주하는 사운드가 인지되며, 인지된 사운드는 저장단계(S1310)에서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저장단계(S1310)는 인지되는 순서에 따라 사운드가 저장됨에 따라 비교단계(S1320)에서 연주의 순서가 악보(10)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이러한 저장단계(S1310)는 레슨과 같이 숙달되지 않은 연주자(30)의 연습을 위하여 스텝별로 악보(10)들이 저장되며, 비교단계(S1320)에서 연주를 인지한 후 연주자(30)의 숙달도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AI기능이 형성되어 악보(10)와 연주의 차이를 분석하여 레슨을 받는 연주자(30)의 실력을 체크할 수 있다. 비교단계(S1320)는 저장단계(S1310)에 저장된 연주와 악보(10)를 동기화하여 일치시킬 수 있으며, 제 2출력단계(S1400)에서 디스플레이(100)로 연주의 진행속도가 악보(10)에 표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연주자(30)의 연주 속도에 따라 악보(10)의 색이 변하는 등의 연주 속도를 표출하여 현재 진행되는 악보(10) 위치를 표출한다. 또한, 비교단계(S1320)는 연주자(30)의 연주가 틀릴 경우 틀린 부분을 자동으로 찾아가 화면에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지단계(S1300)는 악보(10)를 연주하는 사운드를 인지하여 악보(10)와 비교 분석함에 따라 연주자(30)에게 연주속도 및 틀린 위치를 표출하는 특징으로 가진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S1320)는 상기 악보(10)를 전자코드로 변환하는 제 1변환단계(S1321);, 상기 마이크(300)에서 인지한 사운드를 전자코드로 변환하는 제 2변환단계(S1322); 상기 악보(10)와 상기 사운드의 전자코드를 매칭하는 매칭단계(S13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교단계(S1320)에 대한 것이며, 비교단계(S1320)는 악보(10)와 사운드를 전자코드로 변환하여 비교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교단계(S1320)는 저장단계(S1310)에서 인지한 사운드를 전자코드로 변환하여 전자코드로 변환한 악보(10)와 매칭시켜 비교한다. 제 1변환단계(S1321)에서는 마이크(300)에서 악보(10)를 연주하고 있는 사운드가 저장매체에 저장되면 전자코드로 변환한다. 사운드는 저장매체에 저장됨과 동시에 전자코드로 변환되며, 전자코드는 그래프, 숫자코드 등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제 2변환단계(S1322)는 연주를 진행할 악보(10)를 전자코드로 변환하며, 악보(10)는 제 1변환단계(S1321)와 동일하게 그래프, 숫자코드 등으로 표현된다. 이와 같이 사운드와 악보(10)가 전자코드로 변환된 후, 매칭단계(S1323)에서 사운드와 악보(10)를 서로 매칭시킨다. 매칭단계(S1323)에서 매칭된 사운드와 악보(10)의 전자코드는 사전에 설정된 오차범위에 해당되면 디스플레이(100)에서 표출하는 표출단계를 포함한다.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교단계(S1320)는 악보(10)와 사운드를 전자코드로 변환하여 매칭함에 따라 정확하게 비교 분석하는 분석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 2출력단계(S1400)에 형성되며, 상기 인지단계(S1300)에서 인지한 연주를 표출하는 표출단계(S1410); 지휘자(20)의 추가정보를 표출하는 추가표출단계(S1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표출단계(S1410)는 연주되는 상기 악보(10)의 페이지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표출단계(S1410)는 상기 악보(10)를 롤 형식으로 표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 2출력단계(S1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제 1출력단계(S1200)에서 표출한 악보(10)를 인지단계(S1300)에서 인지한 사운드와 비교하여 자동으로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지휘자(20)의 추가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출력단계(S1400)는 제 1출력단계(S1200)에서 오선지로 형성되는 악보(10)가 인지단계(S1300)에서 인지된 사운드에 의하여 연주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페이지가 전환된다. 이는 연주자(30)가 연주에 집중하도록 유도하며, 페이지를 전환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제 2출력단계(S1400)에서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하여 악보(10)는 롤 형식으로 표출되거나 각각의 페이지로 형성되며, 사운드에 따라 전환될 때 연주자(30)가 식별하기 편하도록 연주되는 이전, 현재, 다음 단계가 동시에 표출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악보(10)가 갑자기 전환되면 연주자(30)에게 혼돈을 줄 수 있으므로 직전에 연주한 악보(10)와 현재 연주하는 악보(10)와 다음 연주할 악보(10)가 동시에 표출되어 연주자(30)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진행되는 악보(10)는 악보(10)의 색상이 변하는 등으로 연주자(30)에게 연주된 악보(10)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출한다. 그리고 표출단계(S1410)는 악보(10)를 자동으로 편곡하여 반복되는 구간은 다시 표출하고, 마이크(300)에서 인지된 사운드가 음이나 박자가 맞지 않게 될 경우 음과 박자를 조절하도록 편곡되어 표출된다. 또한, 표출단계(S1410)는 연주자(30)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페이지가 전환된다. 예를 들어, 책을 넘기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는 그래픽 페이지 전환이나 화면 전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디지털 전환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표출단계(S1410)에서 수동으로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피아노의 페달 및 리모컨을 조작하거나 손으로 디스플레이(100)를 터치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오케스트라와 같이 복수의 연주자(30)의 악보(10)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관제센터에서 악보(10)를 제어할 수 있다. 추가표출단계(S1420)는 지휘자(20) 및 레슨을 진행하는 선생님의 추가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악보(10)에서 강조할 부분이나 반복학습이 필요한 부분을 악보(10)에 추가로 입력하면 악보(10)의 페이지 전환 중 해당 부분에서 표출한다. 이러한 추가표출단계(S1420)는 지휘자(20) 및 선생님이 사전에 입력하거나 진행 중에 리모컨 등이나 개인 디스플레이(100)에 추가하여 연주자(30)의 디스플레이(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출력단계(S1400)는 제 1출력단계(S1200)에서 표출된 악보(10)가 인지단계(S1300)에서 인지된 사운드에 의하여 연주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페이지가 전환되며, 지휘자(20) 및 선생님의 추가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추가표출단계(S1420)에 형성되며, 지휘자(20)가 상기 악보(10)를 제어하는 악보제어단계(S1421); 상기 악보제어단계(S1421)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입력단계(S1422);,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악보(10)를 표출하는 재출력단계(S14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표출단계(S14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지휘자(20)가 추가할 정보 및 악보(10)를 제어하기 위하여 악보(10)에 추가정보를 표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표출단계(S1420)는 지휘자(20)가 편곡하거나 강조할 부분을 악보(10)에 입력하면 악보(1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주자(30)에게 전달된다. 이때, 지휘자(20)는 디스플레이(100)에 터치펜, 마우스 등을 활용하여 편곡을 진행할 수 있으며, 악보(10)를 수정하거나 악보(10)에 추가 정보를 기입한다. 지휘자(20)가 입력한 추가정보는 악보제어단계(S1421)에서 입력되며, 악보제어단계(S1421)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는 제어신호입력단계(S1422)에서 악기의 종류에 따라 연주자(30)들에게 전달되거나 전체의 연주자(30)들에게 전달된다. 이와 같이 지휘자(20)가 전달한 제어신호에 따라 연주자(30)의 악보(10)는 변경되어 재출력단계(S1423)에서 표출된다. 구체적으로 지휘자(20)가 연주 중 실수가 발생하여 수정을 하여야 할 경우 지휘자(20)의 악보(10)에 추가정보를 입력하여 복수의 연주자(30)의 악보(10)를 수정한다. 이때, 지휘자(20)는 지휘봉, 페달, 리모컨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휘자(20)의 추가정보가 연주자(30)에게 전달되면 추가정보는 색상이 변하거나 반짝임이 발생하는 등 연주자(30)에게 추가정보를 식별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추가표출단계(S1420)는 지휘자(20)가 복수의 연주자(30)의 악보(10)에 추가정보를 표출하기 위하여 악보(10)를 제어하는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악보(10)를 표출하는 모니터, 헤드업 디스플레이(HUD)(100), 빔 프로젝트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00)에 형성되며, 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도센서; 충격에 의하여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센서;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00)에 형성되며, 전자파에 의하여 오류 발생을 줄이기 위한 전자파 방지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좌표를 인식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100)에 대한 것이며, 디스플레이(100)는 악보(10)를 출력하기 위하여 모니터, 헤드업 디스플레이(HUD)(100), 빔 프로젝트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100)는 연주자(30)의 악기 및 스탠드로 영상을 출력하며, 터치펜, 마우스, 리모컨, 페달 등으로 제어된다. 이때, 악보(10)를 표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00)가 헤드업 디스플레이(100) 및 빔 프로젝트로 형성될 경우 피아노와 같이 악보(10)를 악기 위에 설치할 때는 악보(10)를 악기에 투영하며, 바이올린과 같이 스탠드에 악보(10)를 설치할 때는 스탠드로 악보(10)를 투영한다. 그리고 오케스트라를 진행할 때 상부에서 연주자(30)의 스탠드 및 앞 연주자(30)의 의자에 악보(10)를 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0)는 피아노 건반에 영상을 표출하여 레슨을 받는 초보 연주자(30)가 건반을 누르는 순서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악보(10)는 연주하는 환경의 조도에서 연주자(30)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오선지, 배경, 음표의 조도를 각각 조절한다. 예를 들어, 오케스트라의 경우 어두운 환경에서 연주를 진행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100)의 조도센서에서 조도를 측정하여 오선지, 배경, 음표의 조도를 조절하여 연주자(30)의 식별력을 높인다. 그리고 외부에서 연주를 할 경우 조도가 높으면 식별력이 떨어지므로 오선지, 배경, 음표를 조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연주자(30)의 식별력을 높인다. 또한, 디스플레이(100)는 진동센서가 형성되어 바람, 충격 등에 의하여 악보(10)가 흔들려 연주자(30)의 식별력이 낮아지지 않도록 진동에 따라 악보(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연주자(30)의 식별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00)는 전자파 방지장치가 형성되며, 전자파 방지장치는 외부의 휴대폰, 무선통신 등에 의하여 악보(10)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악보(10)에 추가정보를 입력하거나 선정버튼(200)을 활용하여 악보(10)를 선정할 때 투영된 화면을 터치하면 좌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00)가 제어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00)는 비상충전장치가 구비됨에 따라 정전 등에 의하여 전력이 차단되어도 악보(10)가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00)는 플렉시블 필름으로 형성되어 두루마리 타입으로 형성되거나 악보(10) 책과 동일하게 폴딩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0)는 안경으로 형성되며, 안경에 악보(10)가 출력됨에 따라 연주자(30)의 시야에 악보(10)가 상시 표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레슨을 진행할 때 초보 연주자(30)에게 건반을 연주 순서 및 연주 방법을 표출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00)는 연주자(30)가 악보(10)를 명확히 식별하도록 조도 및 진동을 저감시켜 투영할 수 있으며, 외부 전자파에 의하여 악보(10)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악보 20: 지휘자
30: 연주자 100: 디스플레이
200: 선정버튼 300: 마이크
S1100: 선정단계 S1110: 수정단계
S1120: 입력단계 S1121: 제 1추가정보 입력단계
S1122: 제 2추가정보 입력단계 S1123: 송신단계
S1124: 승인단계 S1130: 악보선정단계
S1200: 제 1출력단계 S1300: 인지단계
S1310: 저장단계 S1320: 비교단계
S1321: 제 1변환단계 S1322: 제 2변환단계
S1323: 매칭단계 S1400: 제 2출력단계
S1410: 표출단계 S1420: 추가표출단계
S1421: 악보제어단계 S1422: 제어신호입력단계
S1423:재출력단계

Claims (5)

  1. 선정버튼(200)을 조작하여 악보(10)를 선정하는 선정단계(S1100);,
    상기 악보(10)를 디스플레이(100)에 표출하는 제 1출력단계(S1200);,
    상기 악보(10)의 연주를 마이크(300)에서 인지하는 인지단계(S1300);,
    상기 디스플레이(100)에 표출되며, 상기 악보(10)에 추가정보를 표출하는 제 2출력단계(S1400);를 포함하는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정단계(S1100)에 형성되며, 상기 악보(10)를 선정하기 위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S1120);
    상기 선정버튼(200)을 조작하여 외부 및 내부에 저장된 상기 악보(10)를 선정하는 악보선정단계(S1130);를 포함하는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지단계(S1300)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300)에서 인지한 사운드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1310);
    상기 저장단계(S1310)에 형성되며, 상기 악보(10)와 사운드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1320);를 포함하는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출력단계(S1400)에 형성되며, 상기 인지단계(S1300)에서 인지한 연주를 표출하는 표출단계(S1410);
    지휘자(20)의 추가정보를 표출하는 추가표출단계(S1420);를 포함하는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악보(10)를 표출하는 모니터, 헤드업 디스플레이(HUD)(100), 빔 프로젝트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90110134A 2019-09-05 2019-09-05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6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34A KR102266741B1 (ko) 2019-09-05 2019-09-05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34A KR102266741B1 (ko) 2019-09-05 2019-09-05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948A true KR20210028948A (ko) 2021-03-15
KR102266741B1 KR102266741B1 (ko) 2021-06-18

Family

ID=7513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134A KR102266741B1 (ko) 2019-09-05 2019-09-05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74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3490A (ja) * 2005-11-08 2007-05-31 Canon Inc 配信システム
KR20080075298A (ko) * 2007-02-12 2008-08-18 (주)티원시스템즈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KR20110096257A (ko) 2010-02-22 2011-08-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악보 장치
KR20130057293A (ko) 2011-11-23 2013-05-31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디지털 음악파일을 이용한 전자악보제공장치 및 전자악보 제공방법
KR101508927B1 (ko) * 2014-01-08 2015-04-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용 악기연주 연습시스템
KR101535435B1 (ko) 2014-06-30 2015-07-10 이엠디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그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3862A (ko) 2014-12-17 2016-06-27 김좌한 전자 악보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3490A (ja) * 2005-11-08 2007-05-31 Canon Inc 配信システム
KR20080075298A (ko) * 2007-02-12 2008-08-18 (주)티원시스템즈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KR20110096257A (ko) 2010-02-22 2011-08-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악보 장치
KR20130057293A (ko) 2011-11-23 2013-05-31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디지털 음악파일을 이용한 전자악보제공장치 및 전자악보 제공방법
KR101508927B1 (ko) * 2014-01-08 2015-04-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용 악기연주 연습시스템
KR101535435B1 (ko) 2014-06-30 2015-07-10 이엠디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그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3862A (ko) 2014-12-17 2016-06-27 김좌한 전자 악보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741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4912B2 (en) Stringed instrument practice device and system
US7064261B2 (en) Electronic musical score device
US88668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ique in mobile terminal
US86979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mediated timed sight reading with assessment
US20230067175A1 (en) Automatic music document displaying on performing music
KR102012096B1 (ko) 음성인식과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KR20170141164A (ko) 음악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KR20120034486A (ko) 음악교습에 사용되는 건반장치
KR101111487B1 (ko) 영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102266741B1 (ko)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KR20220165939A (ko) Music xml 기반 편집용 전자악보 표시방법
KR20130058384A (ko) 휴대용 드럼연주시스템
KR20110121049A (ko) 이미지를 이용한 음원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007227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음원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6950180B2 (ja) 楽音データ処理方法及び楽音データ処理装置
KR102481267B1 (ko) 선택곡 보정 기능을 지원하는 청각 장애인 음악 교육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34345B1 (ko)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 가창 훈련 및 악기변별 훈련을 이용한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TWM484160U (zh) 虛擬3d樂器演奏播放教學工具系統
KR102258386B1 (ko)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30058385A (ko)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KR20210014420A (ko) 음성인식을 활용한 전자 악보
KR20220165455A (ko)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개선을 위한 단계별 훈련 및 검사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46312A (ko) 영어 능력 개선 장치 및 방법
JP2022181361A (ja) 学習支援システム
KR100597453B1 (ko) 음성 및 문자 인식을 이용한 강의자료 편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