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420A - 음성인식을 활용한 전자 악보 - Google Patents

음성인식을 활용한 전자 악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420A
KR20210014420A KR1020190092478A KR20190092478A KR20210014420A KR 20210014420 A KR20210014420 A KR 20210014420A KR 1020190092478 A KR1020190092478 A KR 1020190092478A KR 20190092478 A KR20190092478 A KR 20190092478A KR 20210014420 A KR20210014420 A KR 20210014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sheet music
score
voice recognition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이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재 filed Critical 이상재
Priority to KR1020190092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4420A/ko
Publication of KR2021001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3/00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 G10G3/04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통해 연주를 인식하는 전자 악보에 관한 것으로, 음성 인식을 통해 연주자의 연주를 인식해 연주 시 악보가 자동적으로 넘어가며, 연주할 부분의 선명도의 차이를 통해 연주할 때 혼란을 줄여주며 인식된 연주를 분석하여 연주 중 틀린 부분을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 전자 악보다.

Description

음성인식을 활용한 전자 악보{ELECTRONIC SHEET MUSIC USING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통해 악보를 넘겨주고, 연주의 틀린 부분을 찾아주는 전자 악보에 관한 발명이다.
오케스트라 연주, 오페라 연주에서 모든 악기들을 연주 할 땐 지휘자 및 연주자들이 종이로 된 악보를 직접 손으로 넘기면서 지휘 및 연주를 하거나, 연주 보조자가 악보를 넘겨주는 방법으로 음악 연주 공연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악보 넘기기 방식은 연주자들이 연주를 하는 동안 연주에 오롯이 집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악보를 잘못 넘기거나 악보를 넘기다 떨어뜨리는 실수를 범할 시 연주 자체를 망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내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를 통해 악보를 출력/제공하고, 악보를 적절한 타이밍에 넘길 수 있도록 제어가능한 전자악보 시스템(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5435호)이 등장하고 있다. 페달을 밟거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2668호)전자 악보를 터치하여 악보를 넘기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지만 이 역시 연주 중에 발을 움직이거나 손을 움직여야해 연주에 방해가 되는 점은 극복하지 못했다고 판단했다. 더불어 악보에 많은 줄로 인해 연주 중 자주 혼란을 겪는다는 연주자들의 고충을 바탕으로 노래방의 기계처럼 연주하는 마디를 진하게 표시하고 악보와 연주 후에 연주한 음정과 악보 상 음정의 일치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9488호) 전자 악보를 구상하였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5435호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그 장치 및 그 방법, 이엠디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2668호 ("기능성 전자악보 넘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악보 시스템", 정대진, 길준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9488호 ("음정인식에 의한 점수 계산방법",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이경호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페달을 밟거나 터치를 하여 페이지를 넘겨야하는 불편함을 개선하여 음성인식을 통해 연주에 맞게 알아서 페이지가 넘어가는 있는 전자 악보 시스템을 만들고, 연주가 끝난 뒤 어느 부분의 연주를 실수했는지 알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면서 터치펜을 활용하여 악보에 메모가 가능하여 연주자가 보다 보기 쉬운 악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패드 본체(100), 터치펜(200), 음성 인식 마이크(300)를 포함한 전자 악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 인식을 통해 연주의 진행 상황을 인지하고 페이지를 넘기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주하는 마디는 진하게 표시하고, 연주 중 틀린 부분을 분석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펜을 활용하여 전자 악보에 메모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통해 악보를 넘겨주는 전자악보를 사용한다면 연주자는 연주 시에 악보를 넘기기 위해 여하한 노력을 할 필요가 없으며 온전히 연주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연주중인 줄은 진하게, 연주하지 않는 부분은 연하게 출력되어 연주 중 혼란을 줄여줄 수도 있다. 연주를 분석하여 연주 중에 실수가 발생하는 부분을 연주 후에 혼자서도 피드백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터치펜을 활용하여 악보에 메모하는 기능을 활용하여 종이 악보를 사용할 때처럼 연주 중 필요한 사항을 메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음성인식을 통해 어떻게 악보가 넘어가고, 연주하는 부분을 보여주는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다.
도 3은 인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틀린 부분을 분석하고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악보는 도 1과 같은 외관으로 형성되어있다.
도 1에 따르면, 전자악보는 패드 본체(100), 터치펜(200) 및 음성인식 마이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음성 인식을 통해 어떻게 연주하는 부분을 강조하고 악보가 넘어가는지 설명한 플로우차트이다.
저장부1(11)에 저장된 악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곡 선택을 누르면 저장부2(12)로 넘어가 선곡 할 수 있게 된다. 선곡 작업을 완료하면 출력부1(13)을 통해 악보로 출력된다. 연주를 시작하면 입력부1(14)을 통해 연주의 음을 인식하고 비교부1(15)로 인식된 데이터를 입력한다. 저장부2(12)에 저장된 악보의 데이터를 입력부2(16)에 입력하고 비교부2(17)로 입력하여 출력부2(18)를 통해 연주하는 부분을 출력하고 페이지를 넘긴다. 이러한 과정은 모두 저장부3(19)을 통해 데이터화 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도 3은 인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틀린 부분을 분석하고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부3(31)을 통해 비교부3(32)에 입력한다. 입력된 데이터는 비교부2(17)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한다. 음이 높은 경우에는 출력부3(33)을 통해 해당 음을 적색으로 출력하고 음이 낮은 경우에는 출력부4(34)를 통해 해당 음을 청색으로 출력하며 음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출력부5(35)를 통해 해당 음을 검정색으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연주한 음의 실수한 부분을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된다.
100 : 패드 본체
200 : 터치펜
300 : 음성 인식 마이크
11 : 저장부1
12 : 저장부2
13 : 출력부1
14 : 입력부1
15 : 비교부1
16 : 입력부2
17 : 비교부2
18 : 출력부2
19 : 저장부3
31 : 입력부3
32 : 비교부3
33 : 출력부3
34 : 출력부4
35 : 출력부5

Claims (4)

  1. 악보를 보여주기 위한 패드;
    메모를 위한 터치펜;
    상기 패드 및 상기 터치펜을 결합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음성 인식 마이크를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2. 제 1항에 있어서,
    음성 인식을 통해 연주를 인식하여 연주할 부분은 진하게 강조하고 연주하지 않는 부분은 연하게 표시하여 연주 시 혼란을 줄여주며 악보를 넘길 때 연주 인식을 통해 자동적으로 페이지를 넘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3. 제 1항에 있어서,
    연주 후에 연주 중 실수가 발생한 부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음성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연주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실수가 발생한 부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4. 제 1항에 있어서,
    터치펜을 활용하여 악보에 메모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KR1020190092478A 2019-07-30 2019-07-30 음성인식을 활용한 전자 악보 KR20210014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478A KR20210014420A (ko) 2019-07-30 2019-07-30 음성인식을 활용한 전자 악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478A KR20210014420A (ko) 2019-07-30 2019-07-30 음성인식을 활용한 전자 악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420A true KR20210014420A (ko) 2021-02-09

Family

ID=7455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478A KR20210014420A (ko) 2019-07-30 2019-07-30 음성인식을 활용한 전자 악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442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488B1 (ko) 2004-10-28 2006-12-20 주식회사 엔터기술 음정인식에 의한 점수 계산방법
KR101535435B1 (ko) 2014-06-30 2015-07-10 이엠디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그 장치 및 그 방법
KR101672668B1 (ko) 2016-01-08 2016-11-03 정대진 기능성 전자악보 넘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악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488B1 (ko) 2004-10-28 2006-12-20 주식회사 엔터기술 음정인식에 의한 점수 계산방법
KR101535435B1 (ko) 2014-06-30 2015-07-10 이엠디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그 장치 및 그 방법
KR101672668B1 (ko) 2016-01-08 2016-11-03 정대진 기능성 전자악보 넘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악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68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ique in mobile terminal
CN108028040B (zh) 音乐演奏辅助装置和方法
US20090173213A1 (en) Music Score Recognizer and Its Applications
JP2004530205A (ja) 編集中における音声カーソルとテキストカーソルの位置合わせ
CN109961800B (zh) 一种乐谱翻页处理方法及装置
CN110689866A (zh) 基于增强现实的小提琴辅助教学方法及系统
WO2017125006A1 (zh) 一种电声乐器节奏可控的方法及其对卡拉ok的改进
JP2016224462A (ja) 楽譜表示装置、楽譜表示方法、および当該楽譜表示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210014420A (ko) 음성인식을 활용한 전자 악보
JP6589356B2 (ja) 表示制御装置、電子楽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6268674B2 (ja) 楽音発生装置、電子楽器、楽音発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299049B (zh) 一种电子乐谱的智能展现方法
JP6950180B2 (ja) 楽音データ処理方法及び楽音データ処理装置
KR20110121049A (ko) 이미지를 이용한 음원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5324193B2 (ja) 楽譜表示装置、楽譜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07227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음원 생성 시스템 및 방법
TWM575598U (zh) Electronic music
KR101790998B1 (ko) 악보전환방법 및 악보전환장치
CN105654930A (zh) 一种翻页装置
JP6803294B2 (ja) カラオケ装置
KR102266741B1 (ko)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JP6372082B2 (ja) 楽音発生指示装置及び楽音発生指示方法
KR20000072127A (ko) 전자악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악보추적방법
JP2014066937A (ja) ピアノロール型譜表示装置、ピアノロール型譜表示プログラム、及びピアノロール型譜表示方法
KR102634346B1 (ko)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