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346B1 -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346B1
KR102634346B1 KR1020230075563A KR20230075563A KR102634346B1 KR 102634346 B1 KR102634346 B1 KR 102634346B1 KR 1020230075563 A KR1020230075563 A KR 1020230075563A KR 20230075563 A KR20230075563 A KR 20230075563A KR 102634346 B1 KR102634346 B1 KR 102634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information
music
use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8667A (ko
Inventor
한우재
박시훈
Original Assignee
(주)디지털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털팜 filed Critical (주)디지털팜
Priority to KR1020230075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346B1/ko
Publication of KR2023008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는 사용자에게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훈련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훈련 유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훈련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훈련 수행 정보를 센싱 또는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훈련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를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Apparatus for training and testing to cognitive function that changes training difficulty according to training performance accuracy}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간의 의사소통 수단 중 대화는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요소이다. 대화란 타인의 의사가 담긴 말(단어나 문장)을 듣고 자신의 의사를 담은 말(단어나 문장)을 소리를 통해 주고 받는 과정을 의미하며, 그 중 듣기는 귀를 통해 그 울림이 뇌에 전달된 후 뇌에서 말의 의미를 인지하는 프로세스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대화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듣기 능력, 즉 말소리 지각과 말 지각이 정상이어야 한다.
여기서, 말소리 지각이란 말소리가 귀를 통해 뇌에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여부를 의미하며, 말지각이란 정상적인 말소리 지각을 통해 말의 의미가 뇌에서 정상적으로 인지되었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결국 말소리 지각이 비정상인 경우 통상적으로 청각능력에 장애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말지각의 즉, 인지 기능은 청각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선 현재 대상자의 인지 기능을 단계별로 정확히 파악하여 차츰 훈련의 난이도를 향상시켜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에는 인지 기능과 청각 기능을 결합하여 인지 기능을 대상자의 기능 단계에 따라 단계별로 훈련시키지 못하여 훈련에 따른 인지 기능의 향상이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23869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지 기능에 대응하여 인지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단계별 훈련을 제공하고, 훈련 이후 인지 기능을 검사하여 부족한 훈련의 재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는 사용자에게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훈련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훈련 유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훈련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훈련 수행 정보를 센싱 또는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훈련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를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의 상기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훈련 중 다른 훈련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훈련은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 악기연주 훈련 및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고, 최근 수행된 훈련의 상기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훈련 단계 정보를 상향시켜 설정하고, 상향 설정된 상기 훈련 단계 정보에 대응되는 훈련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부는 상기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상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상기 음악 및 상기 음악에 대응되는 악보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음악 및 손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부는 상기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상기 사용자의 손 및 상기 사용자의 발 중 하나 이상의 수족 움직임 정보를 센싱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손의 형상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상기 악보 정보 또는 상기 손 이미지 정보와 상기 수족 움직임 정보 또는 상기 훈련 수행 정보 간의 대응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부는 상기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상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상기 음악, 상기 음악에 대응되는 악보 정보 및 악기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부는 상기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가상으로 연주되는 가상 악기의 악기 움직임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상기 악보 정보 및 상기 악기 이미지 정보와 상기 악기 움직임 정보 간의 대응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부는 상기 훈련이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이면 상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상기 음악, 도형 선택 유도 음성 및 보기 도형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부는 상기 훈련이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이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도형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훈련 수행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이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이면 상기 도형 선택 유도 음성 및 상기 보기 도형 이미지와 상기 도형 선택 정보 간의 대응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의 상기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면 최근 수행된 훈련과 다른 훈련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재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지 기능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인지 기능의 개선 훈련을 단계별로 제공하고, 훈련 이후 인지 기능을 검사함으로써 훈련 성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1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2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3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4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악기연주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가창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악기 변별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음악속 따라 말하기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5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6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7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훈련 중에서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8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MCU),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AP)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출력부(110), 입력부(120), 프로세서(130), 통신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구성 요소 중에서 사용자의 청력 기능과 인지 기능을 훈련시키고, 청력 기능과 인지 기능을 검사하며, 훈련 결과 및 검사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과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 및 조작되며 일정 장소에 거치되거나 휴대가 가능할 수 있고, 음원을 재생하거나 또는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며, 훈련과 검사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 및 입력받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휴대가 가능하다고 함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를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니기에 불편함이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 휴대폰(mobile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MPEG Audio layer-3 Player), CD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edia Player) 등이 있고,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거나,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센싱 및 입력받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사용자가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에 대한 선별 검사를 우선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선별 검사는 순음청력검사(pure-tone audiometry),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기능 평가(Korean-Montreal-Cognitive-Assessment, K-MoCA),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 version of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K)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선별 검사 결과와 개인정보는 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이후에 수행되는 검사의 비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훈련의 제1 내지 제4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각 훈련의 단계에서의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훈련의 단계를 다음 단계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훈련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제1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훈련과 제2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훈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훈련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훈련 각각은 제1 내지 제4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훈련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훈련 각각은 제5 내지 제8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제1 및 제2 훈련 카테고리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훈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에 대해 사용자가 각 단계를 완료할 때마다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인지 확인하고,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인 경우에 단계를 상향시켜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제1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훈련 중 어느 하나의 훈련의 모든 단계를 사용자가 수행한 경우, 제1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훈련 중에서 수행되지 않은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제2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훈련 중 어느 하나의 훈련의 모든 단계를 사용자가 수행한 경우, 제2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훈련 중에서 수행되지 않은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훈련은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 악기연주 훈련,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 가창 훈련, 악기 변별 훈련 및 음악 속 말하기 훈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 및 음악에 대응되는 악보 정보를 출력하거나 음악 및 손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출력부(110)는 음향 출력 모듈 및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입력부(12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 및 사용자의 발 중 하나 이상의 수족 움직임 정보를 센싱하거나 사용자의 손의 형상 정보를 센싱하여 훈련 수행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손 및 발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 모듈, 모션 압력 센서 모듈, 사용자의 손 및 발의 형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악보 정보 또는 손 이미지 정보와 수족 움직임 정보 또는 훈련 수행 정보 간의 대응 정도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1 단계인 탭핑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과 함께 악보 정보를 표시하고, 음악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을 탭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탭핑할 때마다 훈련 수행 정보로써 손가락 움직임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손가락 움직임 정보를 통해 탭핑의 시점과 음표의 박자 시점 간에 시간차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실시간으로 음표의 박자 시점에 대응되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색상 정보 또는 숫자 정보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이 종료되면 음악이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1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4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2 단계인 박수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과 함께 악보 정보를 표시하고, 음악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박수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박수를 칠때마다 훈련 수행 정보로써 박수 여부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박수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박수의 시점과 음표의 박자 시점 간에 시간차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실시간으로 음표의 박자 시점에 대응되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색상 정보 또는 숫자 정보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이 종료되면 음악이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2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4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3 단계인 박수 및 발구르기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과 함께 악보 정보를 표시하고, 음악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박수치거나 발을 구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박수를 치거나 발을 구를때마다 훈련 수행 정보로써 박수 여부 정보 또는 발구르기 여부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박수 여부 정보 또는 발구르기 여부 정보를 통해 박수 또는 발구르기의 시점과 음표의 박자 시점 간에 시간차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실시간으로 음표의 박자 시점에 대응되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색상 정보 또는 숫자 정보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이 종료되면 음악이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3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4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4 단계인 손가락 마주치기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과 함께 손가락 중 어느 두 손가락이 접한 손 이미지 정보를 접한 손가락을 변경하여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손 이미지 정보의 손 형상과 유사하게 손가락을 마주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손 이미지 정보가 변경될 때 마다 훈련 수행 정보로써 사용자의 손의 형상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출력된 손 이미지 정보와 센싱된 사용자의 손의 형상 정보 간이 형상 차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손 이미지 정보가 변경될 때 마다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문자 정보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이 종료되면 음악이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4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4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출력부(110)는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 음악에 대응되는 악보 정보 및 악기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입력부(120)는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사용자에 의해 가상으로 연주되는 가상 악기의 악기 움직임 정보를 센싱하여 훈련 수행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모션 센서 모듈과 가속도 센서 모듈이 포함된 가상 악기를 구비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악보 정보 및 악기 이미지 정보와 악기 움직임 정보 간의 대응 정도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악기 종류에 대응되는 음악(악기소리)과 함께 악보 정보를 표시하고, 음악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가상 악기를 연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10)는 악기연주 훈련의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출력되는 음악의 bpm을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10)는 악기연주 훈련의 제1 단계에서는 음악의 bpm을 70으로 설정하고, 한단계가 상향될때마다 bpm을 10씩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가상 악기를 연주 즉, 악기를 움직일 때마다 훈련 수행 정보로써 악기 움직임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악기 움직임 정보를 통해 가상 악기의 움직임 시점과 음표의 박자 시점 간에 시간차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실시간으로 음표의 박자 시점에 대응되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색상 정보 또는 숫자 정보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이 종료되면 음악이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악기연주 훈련의 현재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4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이면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 도형 선택 유도 음성 및 보기 도형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입력부(120)는 훈련이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이면 사용자로부터 도형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훈련 수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모션 센서 모듈과 가속도 센서 모듈이 포함된 가상 악기를 구비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훈련이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이면 도형 선택 유도 음성 및 보기 도형 이미지와 도형 선택 정보 간의 대응 정도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 도형 선택 유도 음성 및 보기 도형 이미지를 표시하고, 음악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도형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10)는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의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출력되는 도형 선택 유도 음성이 나타내는 도형 선택의 정답 난이도를 상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10)는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의 제1 단계에서는 1개 도형색상, 제2 단계에서는 3개 도형색상, 제3 단계에서는 1개 도형색상과 1개 도형종류, 제4 단계에서는 3개 도형색상과 3개 도형종류를 각각 선택하도록 도형 선택 유도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도형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도형 선택 유도 음성이 나타내는 도형 선택의 정답과 도형 선택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이 종료되면 음악이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의 현재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4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가창 훈련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노래의 반주), 가사 정보 및 음정 정보를 표시하고, 음악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가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10)는 가창 훈련의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가창 난이도가 상향되도록 출력되는 음악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10)는 가창 훈련의 제1 단계에서는 장조의 동요, 제2 단계에서는 단조의 동요, 제3 단계에서는 장조의 성인가요, 제4 단계에서는 단조의 성인가요를 각각 가창하도록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가창되는 노래의 음향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음성 인식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노래의 음정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가창되는 노래의 음정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이 종료되면 음악이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가창 훈련의 현재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4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악기변별 훈련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악기 소리를 출력하고, 악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악기 소리에 따라 악기 종류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10)는 악기변별 훈련의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악기 선택 난이도가 상향되도록 출력되는 악기 소리의 종류와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10)는 악기변별 훈련의 제1 단계에서는 1개의 악기 소리, 제2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악기류의 2개의 악기 소리, 제3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악기류의 3개의 악기 소리, 제4 단계에서는 같은 악기류이지만 서로 다른 2개의 악기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악기류는 악기의 분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관악기, 타악기, 현악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세부 악기류는 하나의 악기류에서 악기의 종류를 세분화한 분류로써, 예를 들어, 악기류 관악기는 세부 악기류로 목관악기 및 금관악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악기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출력된 악기 소리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악기 선택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악기변별 훈련의 현재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4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을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 속 따라 말하기 훈련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 사용자가 따라서 말할 아나운서 음성과 아나운서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문자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아나운서 음성을 따라서 말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10)는 음악 속 따라 말하기 훈련의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말하기의 난이도가 상향되도록 출력되는 음악의 크기 대비 아나운서 음성의 크기의 비율(SNR)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10)는 음악 속 따라 말하기 훈련의 제1 단계에서는 23dB SNR, 제2 단계에서는 20dB SNR, 제3 단계에서는 16dB SNR, 제4 단계에서는 13dB SNR이 되도록 음악과 아나운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음성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출력된 아나운서 음성과 사용자 음성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 동안 또는 미리 정해진 아나운서 음성 출력 회수(10회) 동안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음악 속 따라 말하기 훈련의 현재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4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제1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 악기연주 훈련,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 가창 훈련, 악기변별 훈련 및 음악속 따라 말하기 훈련 각각의 제1 내지 제4 단계를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제1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훈련 각각의 단계 중에서 복수의 훈련 별로 2개의 단계씩을 사용자의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써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사용자의 검사 수행에 따른 검사 수행 정확도 정보의 평균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평균 정확도 정보가 기준 검사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제2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평균 정확도 정보가 기준 검사 정확도 정보 미만이면 해당 훈련을 사용자가 재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가 제2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를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5 단계인 손가락 분리하기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과 함께 악보 정보를 표시하고, 음악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분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분리할 때마다 훈련 수행 정보로써 손가락 분리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손가락 분리 정보를 통해 분리의 시점과 음표의 박자 시점 간에 시간차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실시간으로 음표의 박자 시점에 대응되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색상 정보 또는 숫자 정보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이 종료되면 음악이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5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8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를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6 단계인 가위바위보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상대방 손 이미지 정보와 함께 승패 정보를 표시하고, 음악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상대방 손 이미지 정보 및 승패 정보에 맞춰 가위바위보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상대방 손 이미지가 출력될 때마다 사용자의 훈련 수행 정보로써 사용자의 손의 형상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출력된 상대방 손 이미지 정보와 센싱된 사용자의 손의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가위바위보 승패를 판단하고 표시된 승패 정보와 판단된 승패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손 이미지 정보가 변경될 때 마다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문자 정보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이 종료되면 음악이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6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8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를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7 단계인 도형 그리기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과 함께 도형 그리기 유도선 정보를 표시하고, 음악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도형을 그리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도형 그리기 유도선 정보를 출력할 때마다 사용자의 손의 형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도형 그리기 유도선 정보가 나타내는 도형 그리기 유도선과 사용자 손의 위치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도형 그리기 유도선 정보가 변경될 때 마다 수행 정확도 정보를 색상 정보 또는 문자 정보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이 종료되면 음악이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7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8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를 더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8 단계인 복잡한 손동작 따라하기인 경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과 함께 손동작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음악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손동작 이미지와 유사하고 손동작을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손동작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때마다 사용자의 손의 형상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손동작 이미지 정보가 나타내는 손동작과 센싱된 형상 정보가 나타내는 손동작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손동작 이미지 정보가 변경될 때 마다 수행 정확도 정보를 색상 정보 또는 문자 정보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악의 출력이 종료되면 음악이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한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8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8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악기연주 훈련의 제5 내지 제8 단계를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10)는 악기연주 훈련의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출력되는 음악의 bpm을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10)는 악기연주 훈련의 제5 단계에서는 음악의 bpm을 80으로 설정하고, 한단계가 상향될때마다 bpm을 10씩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악기연주 훈련의 현재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8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의 제5 내지 제8 단계를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10)는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의 제5 단계에서는 특정 도형색상과 특정 도형종류를 제외한 5개의 도형색상 및 5개의 도형종류, 제6 단계에서는 특정 도형색상과 특정 도형종류를 제외한 5개의 도형색상 및 5개의 도형종류(3개의 도형색상과 3개의 도형종류를 연속하여 출력), 제7 단계에서는 5개의 카드색상, 5개의 도형종류, 5개의 도형색상, 제8 단계에서는 5개의 카드색상, 5개의 도형종류, 5개의 도형색상(3개의 도형색상과 3개의 도형종류를 연속하여 출력)를 각각 선택하도록 도형 선택 유도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악기연주 훈련의 현재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8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가창 훈련의 제5 내지 제8 단계를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10)는 가창 훈련의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가창 난이도가 상향되도록 출력되는 음악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10)는 가창 훈련의 제5 단계에서는 장조의 연도별 인기가요, 제6 단계에서는 단조의 연도별 인기가요, 제7 단계에서는 장조와 단조의 최신가요, 제8 단계에서는 장조, 단조 및 전조의 최신가요를 각각 가창하도록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악기연주 훈련의 현재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8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악기변별 훈련의 제5 내지 제8 단계를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10)는 악기변별 훈련의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악기 선택 난이도가 상향되도록 출력되는 악기 소리의 종류와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10)는 악기변별 훈련의 제5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악기류의 3개의 악기 소리, 제6 단계에서는 동일한 세부 악기류의 2개의 악기 소리, 제7 단계에서는 동일한 세부 악기류의 3개의 악기 소리, 제8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악기류의 4개의 악기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악기연주 훈련의 현재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8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음악 속 따라 말하기 훈련의 제5 내지 제8 단계를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10)는 음악 속 따라 말하기 훈련의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말하기의 난이도가 상향되도록 출력되는 음악의 크기 대비 아나운서 음성의 크기의 비율(SNR)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10)는 음악 속 따라 말하기 훈련의 제5 단계에서는 10dB SNR, 제6 단계에서는 6dB SNR, 제7 단계에서는 3dB SNR, 제8 단계에서는 0dB SNR이 되도록 음악과 아나운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예를 들어, 정확도 80%) 미만이면 악기연주 훈련의 현재 단계를 사용자가 재훈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다음 단계의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되, 최근 수행된 훈련의 단계가 제8 단계인 경우,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제2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 악기연주 훈련,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 가창 훈련, 악기변별 훈련 및 음악속 따라 말하기 훈련 각각의 제5 내지 제8 단계를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제2 훈련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훈련 각각의 단계 중에서 복수의 훈련 별로 2개의 단계씩을 사용자의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써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사용자의 검사 수행에 따른 검사 수행 정확도 정보의 평균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평균 정확도 정보가 기준 검사 정확도 정보 이상이면 훈련 및 검사를 종료한다.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평균 정확도 정보가 기준 검사 정확도 정보 미만이면 해당 훈련을 사용자가 재수행하도록 한다.
통신부(140)는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와 외부기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통신부(140)는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저장부(150)는 통상적인 저장매체로서 청력을 검사하는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저장부(150)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및 메모리카드(Memory Card)를 모두 포함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음악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훈련 유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10);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훈련 수행 정보를 센싱 또는 입력받는 입력부(120); 및 훈련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를 설정하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훈련 중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훈련은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 악기연주 훈련 및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고, 최근 수행된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훈련 단계 정보를 상향시켜 설정하고, 상향 설정된 훈련 단계 정보에 대응되는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 및 음악에 대응되는 악보 정보를 출력하거나 음악 및 손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사용자의 손 및 사용자의 발 중 하나 이상의 수족 움직임 정보를 센싱하거나 사용자의 손의 형상 정보를 센싱하여 훈련 수행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악보 정보 또는 손 이미지 정보와 수족 움직임 정보 또는 훈련 수행 정보 간의 대응 정도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출력부(110)는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 음악에 대응되는 악보 정보 및 악기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사용자에 의해 가상으로 연주되는 가상 악기의 악기 움직임 정보를 센싱하여 훈련 수행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악보 정보 및 악기 이미지 정보와 악기 움직임 정보 간의 대응 정도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출력부(110)는 훈련이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이면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 도형 선택 유도 음성 및 보기 도형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훈련이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이면 사용자로부터 도형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훈련 수행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이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이면 도형 선택 유도 음성 및 보기 도형 이미지와 도형 선택 정보 간의 대응 정도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면 최근 수행된 훈련과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방법은 출력부가 사용자에게 음악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훈련 유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입력부가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훈련 수행 정보를 센싱 또는 입력받는 단계; 및 프로세서가 훈련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개선을 위한 단계별 훈련 및 검사를 제공하는 방법은 프로세서가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훈련 중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출력부 및 입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음악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훈련 유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10);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훈련 수행 정보를 센싱 또는 입력받는 입력부(120); 및 훈련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를 설정하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훈련 중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이고, 최근 수행된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훈련 단계 정보를 상향시켜 설정하고, 상향 설정된 훈련 단계 정보에 대응되는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미만이면 최근 수행된 훈련을 사용자가 재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면 최근 수행된 훈련과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110)는 사용자의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검사 유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검사 유도 정보에 대응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검사 수행 정보를 센싱 또는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검사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검사 수행 정확도 정보 및 검사 수행 정확도 정보의 평균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평균 정확도 정보가 기준 검사 정확도 정보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훈련의 재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평균 정확도 정보가 기준 검사 정확도 정보 미만이면 평균 정확도 정보가 산출된 검사와 대응되는 훈련을 사용자가 재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방법은 출력부가 사용자에게 음악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훈련 유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입력부가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훈련 수행 정보를 센싱 또는 입력받는 단계; 및 프로세서가 훈련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개선을 위한 단계별 훈련 및 검사를 제공하는 방법은 프로세서가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훈련 중 다른 훈련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개선을 위한 단계별 훈련 및 검사를 제공하는 방법은 출력부가 사용자의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검사 유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입력부가 검사 유도 정보에 대응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검사 수행 정보를 센싱 또는 입력받는 단계; 및 프로세서가 검사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검사 수행 정확도 정보 및 검사 수행 정확도 정보의 평균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평균 정확도 정보가 기준 검사 정확도 정보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훈련의 재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사용자에게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훈련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훈련 유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훈련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훈련 수행 정보를 센싱 또는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훈련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가 기준 훈련 정확도 정보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의 훈련 단계 정보를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의 상기 훈련 단계 정보가 훈련 변경 단계를 나타내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훈련 중 다른 훈련을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훈련은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 악기연주 훈련, 음악 속 과제 수행 훈련, 가창 훈련 및 악기변별 훈련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상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상기 음악 및 상기 음악에 대응되는 악보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음악 및 손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상기 사용자의 손 및 상기 사용자의 발 중 하나 이상의 수족 움직임 정보를 센싱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손의 형상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이면 상기 악보 정보 또는 상기 손 이미지 정보와 상기 수족 움직임 정보 또는 상기 훈련 수행 정보 간의 대응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1 단계 내지 제8 단계 중에서 제6 단계인 경우, 상기 훈련 유도 정보로써 가위바위보 게임의 상대방 손 이미지 정보와 함께 승패 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 손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승패 정보에 맞춰 가위바위보 게임을 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1 단계 내지 제8 단계 중에서 제6 단계인 경우, 상기 상대방 손 이미지가 출력될 때마다 상기 사용자의 상기 훈련 수행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의 손의 형상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1 단계 내지 제8 단계 중에서 제6 단계인 경우, 출력된 상기 상대방 손 이미지 정보와 센싱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손의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가위바위보 게임의 승패를 판단하고, 표시된 상기 승패 정보와 판단된 상기 승패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훈련이 가창 훈련인 경우, 상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 가사 정보 및 음정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음악의 진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가창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훈련이 상기 가창 훈련인 경우, 상기 가창 훈련의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가창 난이도가 상향되도록 출력되는 상기 음악의 종류를 변경하되, 상기 가창 훈련의 제1 단계에서는 장조의 동요를, 상기 가창 훈련의 제2 단계에서는 단조의 동요를, 상기 가창 훈련의 제3 단계에서는 장조의 성인가요를, 상기 가창 훈련의 제4 단계에서는 단조의 성인가요를, 상기 가창 훈련의 제5 단계에서는 장조의 연도별 인기가요를, 상기 가창 훈련의 제6 단계에서는 단조의 연도별 인기가요를, 상기 가창 훈련의 제7 단계에서는 장조와 단조의 최신가요를, 상기 가창 훈련의 제8 단계에서는 장조, 단조 및 전보의 최신가요를, 상기 사용자가 가창하도록 상기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훈련이 상기 가창 훈련인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가창되는 노래의 음향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이 상기 가창 훈련인 경우, 출력된 상기 음악의 노래의 음정 정보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가창되는 노래의 음정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훈련이 악기변별 훈련인 경우, 상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악기 소리를 출력하고, 악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악기 소리에 따라 악기 종류를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훈련이 상기 악기변별 훈련인 경우, 상기 악기변별 훈련의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악기 선택 난이도가 상향되도록 출력되는 상기 악기 소리의 종류와 개수를 변경하되, 상기 악기변별 훈련의 제1 단계에서는 1개의 악기 소리를, 상기 악기변별 훈련의 제2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악기류의 2개의 악기 소리를, 상기 악기변별 훈련의 제3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악기 류의 3개의 악기 소리를, 상기 악기변별 훈련의 제4 단계에서는 같은 악기류이지만 서로 다른 2개의 악기 소리를, 상기 악기변별 훈련의 제5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악기류의 3 개의 악기 소리를, 상기 악기변별 훈련의 제6 단계에서는 동일한 세부 악기류의 2개의 악기 소리를, 상기 악기변별 훈련의 제7 단계에서는 세부 악기류의 3개의 악기 소리를, 상기 악기변별 훈련의 제8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악기류의 4개의 악기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악기류는
    악기의 분류이고,
    상기 세부 악기류는
    하나의 악기류에 포함된 악기의 종류를 세분화한 분류이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훈련이 상기 악기변별 훈련인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악기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이 상기 악기변별 훈련인 경우, 출력된 상기 악기 소리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악기 선택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상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상기 음악, 상기 음악에 대응되는 악보 정보 및 악기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가상으로 연주되는 가상 악기의 악기 움직임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이 악기연주 훈련이면 상기 악보 정보 및 상기 악기 이미지 정보와 상기 악기 움직임 정보 간의 대응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 수행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훈련이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의 제1 단계 내지 제8 단계 중에서 제2 단계인 경우, 상기 훈련 유도 정보로써 음악의 출력과 함께 악보 정보를 표시하여 음악의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박수를 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KR1020230075563A 2021-06-08 2023-06-13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KR102634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563A KR102634346B1 (ko) 2021-06-08 2023-06-13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090A KR102545185B1 (ko) 2021-06-08 2021-06-08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30075563A KR102634346B1 (ko) 2021-06-08 2023-06-13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090A Division KR102545185B1 (ko) 2021-06-08 2021-06-08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667A KR20230088667A (ko) 2023-06-20
KR102634346B1 true KR102634346B1 (ko) 2024-02-06

Family

ID=8443966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090A KR102545185B1 (ko) 2021-06-08 2021-06-08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30075563A KR102634346B1 (ko) 2021-06-08 2023-06-13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KR1020230075562A KR102634345B1 (ko) 2021-06-08 2023-06-13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 가창 훈련 및 악기변별 훈련을 이용한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KR1020230075564A KR102634347B1 (ko) 2021-06-08 2023-06-13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이용한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090A KR102545185B1 (ko) 2021-06-08 2021-06-08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통해 인지 기능을 훈련 및 검사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562A KR102634345B1 (ko) 2021-06-08 2023-06-13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 가창 훈련 및 악기변별 훈련을 이용한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KR1020230075564A KR102634347B1 (ko) 2021-06-08 2023-06-13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이용한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5451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700B1 (ko) 2015-01-27 2015-04-07 박찬흠 손 동작 인식에 의한 컴퓨터 재활 치료 방법
KR102050917B1 (ko) 2019-06-03 2019-12-02 (주)인스파이어팩토리 가상현실을 활용한 치매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장치
KR102123869B1 (ko) 2019-02-12 2020-06-23 장성철 인지 반응 향상을 위한 훈련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430A (ko) * 2013-07-19 2015-01-28 (주)가바플러스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700B1 (ko) 2015-01-27 2015-04-07 박찬흠 손 동작 인식에 의한 컴퓨터 재활 치료 방법
KR102123869B1 (ko) 2019-02-12 2020-06-23 장성철 인지 반응 향상을 위한 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0917B1 (ko) 2019-06-03 2019-12-02 (주)인스파이어팩토리 가상현실을 활용한 치매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185B1 (ko) 2023-06-20
KR102634347B1 (ko) 2024-02-06
KR20230088667A (ko) 2023-06-20
KR102634345B1 (ko) 2024-02-06
KR20220165456A (ko) 2022-12-15
KR20230088882A (ko) 2023-06-20
KR20230092849A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4866B (zh) 一种乐器演奏评分的方法及装置
US201003137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music in a computer game
CN111052223A (zh) 播放控制方法、播放控制装置及程序
Baba et al. " VirtualPhilharmony": A Conducting System with Heuristics of Conducting an Orchestra.
US20130005470A1 (en) Method of obtaining a user selection
Pardue Violin augmentation techniques for learning assistance
JP2007264569A (ja) 検索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489209A (zh) 一种电声乐器节奏可控的方法及其对卡拉ok的改进
Paine et al. The thummer mapping project (ThuMP)
KR102634346B1 (ko)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KR102118189B1 (ko)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Chudy Discriminating music performers by timbre: On the relation between instrumental gesture, tone quality and perception in classical cello performance
KR102564399B1 (ko)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청각기능 개선 장치
JP2007304489A (ja) 楽曲練習支援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biani et al. Interactive sonification of expressive hand gestures on a handheld device
KR101131823B1 (ko) 중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
US2023024558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inging teaching and/or vocal training lesson
KR102429108B1 (ko) 노래 부르기를 기반으로 청능 훈련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436770B2 (ja) カラオケ装置
Soszynski et al. Music games as a tool supporting music education
Lazcano Sonifying Physical Gesture: Sensor Augmented Electric Guitar
Lui A Compact Spectrum-Assisted Human Beatboxing Reinforcement Learning Tool On Smartphone.
KR101321446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가사 표시 방법
JP5270053B1 (ja) 音制御装置、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420857Y1 (ko) 음치 교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