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385A -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385A
KR20130058385A KR1020110124369A KR20110124369A KR20130058385A KR 20130058385 A KR20130058385 A KR 20130058385A KR 1020110124369 A KR1020110124369 A KR 1020110124369A KR 20110124369 A KR20110124369 A KR 20110124369A KR 20130058385 A KR20130058385 A KR 2013005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tar
playing
performance
information
ch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철 권
김현웅
강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Priority to KR1020110124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8385A/ko
Publication of KR2013005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1Details of pick-up assembl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면서 자신의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기타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은 휴대 가능한 형상의 기타연주장치와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통신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타연주장치는 기타 현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코드정보와 기타 현의 전체나 일부를 스트로크함으로써 생성되는 화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미니 형태의 연주기타와, 이 연주기타로부터 인가되는 연주감지정보를 MIDI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단말로 제공하는 연주신호생성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신단말에 구비되는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은 기타연주노트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기타연주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타 연주음과 반주음을 음향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Portable keyboard playing system}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면서 자신의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기타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타는 현악기의 하나로서, 앞뒤가 평평한 표주박 모양의 공명통에 자루를 달고 일반적으로 여섯 개의 현을 매어, 왼손 손가락으로 현을 눌러 음정을 고르고 오른손 손가락으로 현을 튕겨 연주하는 것이다.
오늘날 사회 소득의 증가와 자신의 음악적 성취 또는 유희 문화에 대한 관심 이 증가하면서 악기를 배우고자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기타는 오늘날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대표적인 유도 발현 악기로서, 남녀노소 불문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친근한 악기로 인식되어 있는 바, 이에 기타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요에 부응하여 기타 연주를 가르쳐주는 학원이나 개인 레슨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학원이나 개인 레슨을 통해 기타연주를 배우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비용의 부담이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관련 서적이나 자료들을 구입하여 독학으로 기타 연주를 배우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이는 기타를 연주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가 배우는 것에 흥미를 잃게 됨으로 인해 기타 연주를 포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타를 미니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에 의해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고, 자신의 통신단말에 기타연주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용이하게 기타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은 휴대 가능한 형상의 기타연주장치와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통신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타연주장치는 기타 현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코드정보와 기타 현의 전체나 일부를 스트로크함으로써 생성되는 화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미니 형태의 연주기타와, 이 연주기타로부터 인가되는 연주감지정보를 MIDI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단말로 제공하는 연주신호생성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신단말에 구비되는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은 기타연주노트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기타연주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타 연주음과 반주음을 음향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타연주장치는 몸체와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연주기타가 배치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연주신호생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연주신호생성수단과 상기 통신단말을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포트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주기타는 서로 다른 생각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코드입력부와 다수의 현으로 구성되는 화음입력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의 내측에는 상기 통신단말을 거치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타연주장치의 몸체 일측에는 피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은 연주곡에 대응되는 MIDI파일과 이 MIDI파일을 근거로 생성된 연주음 온/오프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기타연주노트정보를 통신단말을 통해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선택된 연주곡의 반주음과 상기 기타연주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통신단말을 통해 음향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주음 온/오프정보는 이전 연주음과의 온/오프 시간차이값을 근거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주음 온/오프정보는 연주시작시간을 기준으로 산출된 절대시간을 근거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주곡에 대응되는 MIDI파일은 난이도별 기타연주정보를 서로 다른 트랙으로 설정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기타연주노트정보는 현재 입력할 연주코드가 표시되는 현재연주코드항목과, 다음 입력할 연주코드가 표시되는 다음연주코드항목 및, 현재 기타연주에 대응되는 연주코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음악연주코드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드연주블럭과, 기타연주에 대응되는 화음에 대응되는 스트로크 방향정보가 일정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연주화음항목과, 스트로크 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화음연주포인트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음연주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재연주코드항목과 다음연주코드항목은 연주코드와, 해당 연주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연주기타에 구비된 현에 대응되는 버튼정보가 표시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로크 방향정보는 화살표 형태로 표시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은 기타연주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연주신호를 근거로 사용자의 기타연주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단말을 통해 표시출력되는 연주곡의 악보에 대응되는 기타연주노트정보를 근거로 미니형태의 연주기타를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연주기타(11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된 연주신호생성수단(12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AP)의 동작을 블럭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통신단말(200)을 통해 제공되는 기타 연주노트정보의 출력화면을 예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은 기타연주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타연주장치(100)와,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AP)이 구비된 통신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타연주장치(100)와 통신단말(200)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타연주장치(100)는 기타 현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코드정보와 기타 현의 전체나 일부를 스트로크함으로써 생성되는 화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주기타(110)와, 이 연주기타(110)로부터 인가되는 연주감지정보를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단말(200)로 제공하는 연주신호생성수단(12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2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보입력을 위한 정보입력수단과,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출력수단 및,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통신단말(100)은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200)을 통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AP)은 기타연주노트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기타연주음을 음향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AP)은 연주곡에 대응되는 MIDI파일과 이 MIDI파일을 근거로 생성된 연주음 온/오프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기타연주노트정보를 생성함과 더불어, 기타연주노트정보를 코드버튼정보와, 스트로크 방향정보 및 스트로크 타이밍 표시형태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AP)은 기타연주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과 해당 연주곡의 반주음을 합성하여 음향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AP)은 기타연주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기타연주정보에 대응되는 연주상태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통신단말(100)을 통해 선택된 연주곡의 기타연주노트정보와 사용자의 기타연주정보를 비교하여 이에 대응되는 연주점수를 산출한 후, 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AP)은 사용자에 의해 기타 연주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O/X 또는 색상 등의 이벤트 표시방식으로 현재 연주상태를 표시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연주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기타연주장치(100)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연주장치(100)는 몸체(101)의 상면에 미니 기타형상으로 코드정보와 화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연주기타(110)가 배치 구성됨과 더불어, 몸체(101)의 상면 일측에는 화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피크(113)가 수납되는 수납홈(102)이 형성되며, 몸체(101)의 상면에는 덮개(10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주기타(110)는 기타 현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버튼형태의 코드정보입력부(111)와 미니형태의 기타 현으로 구성되어 전체나 일부를 스트로크함으로써 생성되는 화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음정보입력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103)의 내측면에는 상기 통신단말(200)을 거치하기 위한 돌기(10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1)의 일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코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코드입력키패드(미도시)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포트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드입력키패드는 상기 코드정보입력부(111)와 같이 다수의 버튼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1)의 내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주신호생성수단(12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몸체(101)의 일측면에는 그 내측에 구비된 연주신호생성수단(120)과 통신단말(200)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포트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연주신호생성수단(1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기타(110)의 화음입력부(112)로부터 인가되는 화음감지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121)와, 상기 증폭부(121)로부터 인가되는 증폭신호를 각각 로그(LOG) 증폭하여 출력하는 로그증폭기(122), 로그 증폭된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아날로그신호를 각각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123) 및, 상기 A/D변환기(123)로부터 인가되는 화음감지신호와 상기 연주기타(110)의 코드입력부(111)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신호에 대응되는 연주음을 MIDI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단말(200)로 제공하는 MIDI신호 생성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MIDI신호 생성부(124)는 입력코드정보와 입력화음정보에 대응되는 연주음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입력되는 입력코드정보와 입력화음정보를 근거로 해당 연주음에 대응되는 MIDI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4는 도1에 도시된 통신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AP)을 블럭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단말(100)에 구비되는 기타연주관련 어플리케이션(AP)은 기타연주관련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기타연주설정블럭(210)과, 상기 기타연주장치(100) 및 외부 연주곡제공장치(미도시)와 MIDI정보를 송수신함과 더불어, 연주곡에 대한 연주노트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MIDI파일을 생성하는 MIDI신호처리블럭(220), 상기 MIDI신호처리블럭(220)으로부터 제공되는 MIDI파일을 근거로 연주노트정보를 생성하는 연주노트생성블럭(230), 연주노트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기타연주관련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기타연주표시블럭(240) 및, 연주곡에 대한 반주음 및 상기 기타연주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음향출력하는 음향출력블럭(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타연주설정블럭(210)은 사용자가 기타연주할 연주곡 선곡, 선곡된 연주곡의 기타연주난이도 선택, 선곡된 반주음의 음향출력레벨 등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MIDI신호처리블럭(220)은 MIDI규격을 기초로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더불어 각 연주곡에 대응되는 연주정보를 MIDI파일형태로 변경하여 제공한다. 이때, MIDI파일은 트랙번호와, 트랙네임, 채널번호 및 해당 트랙번호에 대한 연주내용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랙번호는 이지/노말/하드와 같이 연주 난이도별 기타악보정보와 원음 재생정보가 각각의 트랙으로 설정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지/노말/하드 연주 난이도별 기타악보정보는 원음 재생정보에서 연주음이 일정 수 제외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이는 전체적인 기타 연주곡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작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원음 재생정보는 연주기타에 대한 연주원음이다.
또한, 상기 연주음 온/오프 시간정보는 연주시작시간으로부터 각 연주음에 대한 온/오프시간을 산출하는 절대시간 산출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이전 연주음에 대한 온/오프시간과의 차이시간을 근거로 각 연주음에 대한 온/오프시간을 산출하는 델타시간 산출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연주노트생성블럭(230)은 상기 연주곡별 MIDI파일과 연주음 온/오프 시간정보를 근거로 코드버튼정보, 스트로크 방향정보 및 스트로크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기타연주노트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연주노트표시블럭(240)은 기타악보에 대응되도록 연주노트정보를 통신단말(200)의 정보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출력하는 것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연주노트정보는 기본적으로 코드연주블럭(241)과, 화음연주블럭(24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코드연주블럭(241)은 현재 입력할 연주코드가 표시되는 현재연주코드항목(241a)과 다음 입력할 연주코드가 표시되는 다음연주코드항목(241b) 및, 현재 기타연주에 대응되는 연주코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음악연주코드항목(24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현재연주코드항목(241a)과 다음연주코드항목(241b)은 해당 연주코드에 대응되는 입력버튼정보가 표시출력되며, 입력할 코드버튼은 진한 색상으로 표시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A"코드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2,3,4 코드버튼의 색상이 진하게 표시출력되고, "G"코드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1,2,3 코드버튼의 색상이 진하게 표시출력된다. 또한, 상기 화음연주블럭(242)은 현재 기타연주를 위한 화음에 대응되는 현을 치는 방향정보 즉, 스트로크 방향정보가 화살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연주화음항목(242a)과, 화음연주를 할 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화음연주포인트항목(24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화음연주포인트항목(242b)은 연주화음항목(242a)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연주화음항목(242a)에서 화음방향정보가 이동되어 연주화음항목(242a)에 위치하는 시점이 화음연주, 즉 스트로크 타이밍이 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단말(200)에 기타연주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을 설치하고, 다수의 연주곡을 어플리케이션(AP)에 추가한다. 이때, 사용자는 MIDI파일형태의 연주곡을 임의 음악서버로 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AP)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연주곡에 대응되는 MIDI파일을 연주노트생성을 위한 MIDI파일로 변환함과 더불어, 이 MIDI파일을 근거로 연주음 온/오프 시간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통신단말(200)을 기타연주장치(100)의 덮개(103) 내측에 구비된 돌기(104)에 거치시키고, 통신단말(200)과 기타연주장치(100)의 결합포트(미도시)를 통해 몸체(101)내에 구비된 연주신호생성수단(120)과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이어, 사용자는 기타연주장치(100)의 몸체(101) 상면 일측에 수납된 피크(113)을 꺼내어 손에 들고 통신단말(200)을 통해 자신이 연주할 기타연주곡을 선택한다.
통신단말(200)의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AP)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타연주곡에 대응되는 MIDI파일과 연주음 온/오프 시간정보를 근거로 기타연주노트정보를 생성한 후 통신단말(200)을 통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해당 반주음을 음향출력한다.
사용자는 통신단말(200)을 통해 출력되는 반주음을 듣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출력되는 기타연주노트정보를 보면서 연주기타(110)의 코드입력부(111)의 코드버튼을 누름과 더불어 화음입력부(112)의 현(112a)을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스트로크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코드버튼정보와 화음입력부(112)의 현(112a)을 스트로크함으로 인해 생성되는 화음감지정보는 연주신호생성수단(120)을 통해 해당 연주음에 대응되는 MIDI신호형태로 변환되어 통신단말(200)로 제공된다. 이때, 연주신호생성수단(120)은 입력되는 코드버튼과 스트로크 감지레벨의 조합에 따른 연주음에 대응되는 MIDI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연주신호생성수단(120)은 1,2,3 코드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2 현(112a)에 대한 스트로크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시"음에 대응되는 MIDI신호를 출력한다.
연주제어장치(200)는 연주기타(100)로부터 제공되는 MIDI신호형태의 사용자 기타연주정보를 근거로 해당 연주음을 생성하여 반주곡과 합성한 후 이를 음향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통신단말(2000)를 통해 표시 출력되는 가사정보를 보고 노래를 부르면서 기타연주를 보다 흥미롭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단말(200)의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AP)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연주곡이 종료되어 사용자의 기타연주가 종료되게 되면, 해당 연주곡의 기타연주노트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연주된 기타연주정보를 비교하여 연주점수를 산출한 후, 이를 통신단말(200)을 통해 표시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단말(200)를 통해 표시출력되는 기타연주노트정보를 근거로 휴대가능한 크기의 미니기타를 용이하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AP)에서 기타연주 서비스만을 제공하도록 실시하였으나, 통신단말(200)의 마이크(미도시)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노래음과 반주음 및 연주음을 합성하여 음향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기타연주장치, 110 : 연주기타,
120 : 연주신호생성수단, 101 : 몸체,
102 : 수납홈, 103 : 덮개,
104 : 돌기, 111 : 코드입력부,
112 : 화음입력부, 113 : 피크,
200 : 통신단말,
AP :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

Claims (13)

  1. 휴대 가능한 형상의 기타연주장치와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통신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타연주장치는 기타 현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코드정보와 기타 현의 전체나 일부를 스트로크함으로써 생성되는 화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미니 형태의 연주기타와, 이 연주기타로부터 인가되는 연주감지정보를 MIDI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단말로 제공하는 연주신호생성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신단말에 구비되는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은 기타연주노트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기타연주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타 연주음과 반주음을 음향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연주장치는 몸체와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연주기타가 배치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연주신호생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연주신호생성수단과 상기 통신단말을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포트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기타는 서로 다른 생각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코드입력부와 다수의 현으로 구성되는 화음입력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측에는 상기 통신단말을 거치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연주장치의 몸체 일측에는 피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은 연주곡에 대응되는 MIDI파일과 이 MIDI파일을 근거로 생성된 연주음 온/오프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기타연주노트정보를 통신단말을 통해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선택된 연주곡의 반주음과 상기 기타연주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통신단말을 통해 음향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음 온/오프정보는 이전 연주음과의 온/오프 시간차이값을 근거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음 온/오프정보는 연주시작시간을 기준으로 산출된 절대시간을 근거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곡에 대응되는 MIDI파일은 난이도별 기타연주정보를 서로 다른 트랙으로 설정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기타연주노트정보는 현재 입력할 연주코드가 표시되는 현재연주코드항목과, 다음 입력할 연주코드가 표시되는 다음연주코드항목 및, 현재 기타연주에 대응되는 연주코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음악연주코드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드연주블럭과,
    기타연주에 대응되는 화음에 대응되는 스트로크 방향정보가 일정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연주화음항목과, 스트로크 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화음연주포인트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음연주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연주코드항목과 다음연주코드항목은 연주코드와, 해당 연주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연주기타에 구비된 현에 대응되는 버튼정보가 표시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방향정보는 화살표 형태로 표시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연주 어플리케이션은 기타연주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연주신호를 근거로 사용자의 기타연주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KR1020110124369A 2011-11-25 2011-11-25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KR20130058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369A KR20130058385A (ko) 2011-11-25 2011-11-25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369A KR20130058385A (ko) 2011-11-25 2011-11-25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385A true KR20130058385A (ko) 2013-06-04

Family

ID=4885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369A KR20130058385A (ko) 2011-11-25 2011-11-25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83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281B1 (ko) * 2014-02-17 2015-07-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기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281B1 (ko) * 2014-02-17 2015-07-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4180B2 (ja) 撥弦楽器演奏評価装置
CN101313477A (zh) 音乐生成设备及其操作方法
KR101535814B1 (ko) 연주를 용이하게 하는 피아노
KR101931087B1 (ko) 사용자 허밍 멜로디 기반 멜로디 녹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052223A (zh) 播放控制方法、播放控制装置及程序
CN106205571A (zh) 一种歌声语音的处理方法和装置
US74795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usic on a computer device
CN103632657B (zh) 一种一指弹交响乐系统
KR102118189B1 (ko)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JP2016085309A (ja) 楽音評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58384A (ko) 휴대용 드럼연주시스템
KR20130058385A (ko) 휴대용 기타연주시스템
US113089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osing music with chord accompaniment
JP5969421B2 (ja) 楽器音出力装置及び楽器音出力プログラム
KR101020557B1 (ko) 사용자 창조형 음악 콘텐츠 제작을 위한 악보 생성 장치 및그 방법
JP6073618B2 (ja) カラオケ装置
JP5561263B2 (ja) 楽音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842282B1 (ko) 기타 연주시스템과 이를 위한 연주용 기타 및 기타 연주정보 표시방법
JP2005345555A (ja) 採点情報表示機能を有したカラオケシステム
CN208014363U (zh) 一种弹奏音高可调且唱名恒定的键盘视唱琴
KR100956028B1 (ko) 악기연주 연습장치
JP2015191087A (ja) 演奏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998708A (zh) 差分提示装置、差分提示方法及差分提示程序
JP2015069053A (ja) ストレッチチューニングを考慮して歌唱採点を行うカラオケ装置
KR102266741B1 (ko)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