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918A - 미디어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918A
KR20080074918A KR1020087012992A KR20087012992A KR20080074918A KR 20080074918 A KR20080074918 A KR 20080074918A KR 1020087012992 A KR1020087012992 A KR 1020087012992A KR 20087012992 A KR20087012992 A KR 20087012992A KR 20080074918 A KR20080074918 A KR 20080074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device
signal
docking
interface
dock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9942B1 (ko
Inventor
신 후이 체아
펑쉬옌 조우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8007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00)에서 사용되는 미디어 디바이스(140) 및 도킹 디바이스(120)가 개시된다. 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00)은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도킹 디바이스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허용하고,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도킹 디바이스(120)에 연결되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가 도킹 디바이스(120)로부터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신호를 전달하고,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도킹 디바이스(12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도킹 디바이스(120)를 통해 또 다른 미디어 디바이스(110, 130)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도킹 디바이스에게 허용하는 수개 모드로 동작하는 도킹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미디어, 도킹, 충전, 스토리지, 가전

Description

미디어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EDIA DEVICE}
본 출원은 U.S.C.§119조35항하에서 2005년 12월 1일자로 미국에서 출원된 가출원 제60/741,391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대한 충전 스테이션 및 연결 인터페이스 양쪽 둘 다로서 미디어 디바이스와의 사용을 위한 도킹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독자에게 다양한 분야의 측면을 소개하기 위해 의도된 것으로, 이는 이하에 기술 및/또는 청구된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우수한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배경 정보를 독자에게 제공함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이들 설명은 이점에서 읽어져야 하고, 종래 기술의 인정으로서 읽혀져야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만 한다.
가전 디바이스는 성능 및 휴대성 둘 다 모두에서 팽창을 계속하고 있다. 음 악 및/또는 정지 화상의 완전한 자료(library)를 저장할 수 있는 미디어 디바이스는 이제 거의 도처에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패키지로 쉽게 이용가능하다. 덧붙여, 더 새로운 미디어 디바이스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대용량 스토리지 소자, 및 소형 비디오 품질의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새로운 디바이스는 이제 비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하고 수시간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더 고정적인 미디어 디바이스 특성의 많은 부분을 모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 많은 휴대용 디바이스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함께 쉽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사진은 휴대용 디바이스와 연관된 소형 디스플레이 대신에 고 해상도 비디오 모니터상에 보여질 수 있다.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 휴대용 디바이스 사용과 관련한 문제는 고정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를 연결 및 연결해제하는 불편함을 수반한다. 추가적으로, 이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대부분이 보통 도킹 디바이스 또는 스테이션으로 알려진, 제 2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이용한다. 이 도킹 스테이션은 이 디바이스를 위한 재충전 스테이션으로서 이용된다.
종종 한 가지 방식으로 DVD 플레이어 또는 셋톱 박스와 같은 신호 소스 디바이스에, 다른 한 가지 방식으로는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거나 또는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를 위한 입력 및 출력 커넥터는 반복된 연결과 연결해제를 위해 불편하게 위치될 수 있으 며, 또는 디바이스가 여분의 커넥터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의 연결 및 연결해제는 추가적으로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 다른 디바이스의 연결해제 및 재연결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의 휴대성을 여전히 유지하면서도,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 편리하게 인터페이스되는 것을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에 허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개된 실시예는 추가 미디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 도킹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와 같은 전자 미디어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미디어 디바이스가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미디어 디바이스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을 통하여 또 다른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 도킹 디바이스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상기 도킹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제 1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충전하고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및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허용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를 연결하는 제 2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허용하는, 제 2 인터페이스와, 제 2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도킹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제 3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제 3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미디어 디바이스에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허용하는, 제 3 인터페이스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3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스위칭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스위칭가능하게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일동작 모드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동작 모드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전기적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예를 목적으로 주어지는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 특정 실시예가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간략한 설명을 제공하려는 노력으로서, 실제 구현에 대한 모든 특징이 명세서에 기술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엔지니어링 또는 디자인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임의의 이러한 실제 구현예의 전개에서, 수많은 구현예를 특정하는 결정이 시스템-관련 및 비지니스-관련 제약에의 순응과 같은, 개발자들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만들어져야 하며, 이는 구현예마다 변동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전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이지만,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이익을 가지는 당업자를 위한 디자인, 제조 및 조립의 일상적인 일이 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다음은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해 사용된 시스템 및 회로를 기술한다. 실시예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콤포넌트 사이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기술한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사용되는 다른 시스템 및 회로는 매우 유사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여기에 기술된 회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잠재적인 실시예임을 이해할 것이다. 위와 같이, 교체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의 콤포넌트는 재배열되거나 생략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 콤포넌트가 시스템의 특정 속성에 기초하여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요하지 않은 수정의 경우, 기술된 회 로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신호 표준에 따르는 것과 같은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블럭도가 도시된다.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00)은 미디어 디바이스(110), 도킹 스테이션(120),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로서 사용된 제 2 미디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 디바이스에 신호를 제공한다.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내에 있는 콤포넌트일 수 있다.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대안적으로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메인 콤포넌트로서 이용이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홈 A/V 제어기 또는 수신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개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같은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를 재생 및 레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또한 셋톱 박스 또는 홈 컴퓨터 디바이스일 수 있다.
미디어 디바이스(110)로부터 또는 이 디바이스(110)에 제공된 신호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포맷에서 스테레오 또는 모노 오디오 콘텐츠 및 비디오 콘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또한 외부 신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부 신호 입력은 홈 외부에서 기원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신호는 케이블 또는 위성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연결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복조 및 신호 포맷 변환을 포함하는 외부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오디오/비디오) A/V 입력 및 하나 이상의 A/V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A/V 입력(들) 및 A/V 출력(들)은 신호 커넥터를 통해, 비디오 및 좌우 오디오 신호를 연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각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입력과 출력을 위한 개별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제어 회로, 유저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신호를 스위칭 및 라우팅하는 스위칭 회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스위칭 및 라우팅은 외부 신호 입력으로부터 처리된 신호와 함께, A/V 입력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가 미디어 디바이스(110)에 있는 스위치와 회로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A/V 출력으로 라우팅되도록 한다.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또한 통합 또는 착탈식 구성소자로서 콘텐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 매체는 착탈식 마그네틱 테이프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계적 테이프 덱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일 수 있다. 이 제어 회로는 또한 저장 매체에 및 이 저장 매체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콘텐츠를 나타내는 신호의 라우팅을 제어할 수 있다.
A/V 디바이스(110)로부터의 A/V 출력 중 하나는 전기 케이블을 통하여 도킹 디바이스(120)의 A/V 입력에 연결된다. 도킹 디바이스(120)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외부 오디오 및 비디오 콤포넌트에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이 도킹 디바이스(120)는 또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를 충전 및 이 디바이스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전기적 연결을 통하여 충전 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도킹 디바이스(120)내로 놓이거나 도킹된다. 이 도킹 디바이스(120) 및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종종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의 개별 동작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유닛으로 함께 연결된다.
이 도킹 스테이션(120)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또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도킹 스테이션(120)에 놓이게 되는 경우,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와 도킹 스테이션(120) 사이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와 같은 신호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도킹 스테이션(120) 및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의 동작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이 도킹 스테이션(120)으로부터의 A/V 출력은 전기 케이블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와 같은 제 2 미디어 디바이스의 A/V 입력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는 비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시각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는 또한 사용자에게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피커와 같은 사운드 생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기능에 덧붙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는 A/V 입력 및 A/V 출력의 하 나 이상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는 A/V 입력과 A/V 출력 사이에서 A/V 신호의 수많은 서로 다른 모드의 스위칭 및 라우팅을 할 수 있다. 바 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는 A/V 입력 및 A/V 출력의 세트 사이에서 직통 연결(through connection)만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로부터의 A/V 출력 중 하나는 전기 케이블을 통하여 미디어 디바이스(110)상의 A/V 입력 중 하나에 연결된다.
미디어 디바이스(110), 도킹 디바이스(12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 사이의 상호연결은 루프 또는 링 연결을 제공한다. 루프 또는 링 연결 구성은 A/V 연결의 최소 사용, 및 최소 신호 라우팅과 스위칭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 및, 연결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 미디어 디바이스(110), 도킹 디바이스(120) 사이에서 신호 라우팅을 허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엔터테인먼트(200)의 또 다른 예시적인 블럭도는 도킹 스테이션(120)에 연결된 단일 미디어 디바이스(110), 및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를 보여준다. 미디어 디바이스(110), 도킹 디바이스(120) 및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도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며, 필요한 경우만을 제외하고 여기에서 추가로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수개의 추가 미디어 디바이스의 연결을 허용하는 A/V 입력 커넥터 및 A/V 출력 커넥터의 세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디어 디바이스(110)는 DVD 플레이어, 셋톱박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보조 디바이스를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과,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을 갖는다.
미디어 디바이스(110)로부터의 A/V 출력 커넥터 중 하나는 도킹 디바이스(120)상의 A/V 입력 커넥터에 연결된다. 이 연결은 미디어 디바이스(110)로부터 도킹 디바이스(220)에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제공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은 예를 들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가 도킹에 놓이는 경우,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킹 디바이스(120)로부터 A/V 출력 커넥터는 미디어 디바이스(110)의 A/V 입력 커넥터 중 하나에 연결된다. 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또한 예를 들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도킹 디바이스(120)에 연결되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120)를 통하여 미디어 디바이스(110)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킹 스테이션(310) 및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를 예시하는 블럭도가 도시되며, 300으로 총체적으로 식별된다. 도킹 스테이션(310)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는 도 1의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와 도킹 디바이스(120)에 유사한 특징을 포함한다. 이 도킹 스테이션(310)은 A/V 인(in) 커넥터(312)를 포함한다. A/V 인 커넥터(312)는 도 1에 도시된 A/V 디바이스(110)와 같은 외부 신호 소스로부터 도킹 스테이션에 제공된 좌/우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킹 스테이션(310)은 또한 A/V 아웃 커넥터(314)를 포함한다. A/V 아웃 커넥터(314)는 도 1에 기술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공된 좌/우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커넥터(320)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에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양 쪽 둘 다의 연결을 제공한다. 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에 대한 A/V 신호를 위한 신호 연결은 320a로 표기된다. 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 스 커넥터(320)는 또한 320c로 표시된 도킹 스테이션 제어를 위한 연결을 포함한다.
스위치(325)는 A/V 아웃 커넥터(314)와 A/V 인 커넥터(312) 둘 다에 연결된다. 스위치(325)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는 임의의 많은 다른 타입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위치(325)는 2개의 스위치 상태를 갖는 쌍 단자 타입 스위치(double throw type switch)이다. 스위치(325)의 공통 연결은 A/V 아웃 커넥터(314)에 연결된다. 스위치(325)의 한 단자(one throw) 또는 위치가 A/V 인 커넥터(312)에 연결된다. 스위치(325)의 두 번째 단자(second throw) 또는 위치는 커넥터(320b)에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으로부터 A/V 출력에 연결된다. 이 A/V 인 커넥터(312)는 추가적으로 커넥터(320a)에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를 위한 A/V 입력에 연결된다.
비록 스위치(325)가 A/V 아웃 커넥터(314)에 연결된 공통 연결을 구비하는 특정 구성에서 도시되었을 지라도, 2개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다른 스위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치(325)의 공통 연결이 A/V 인 커넥터(312)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325)의 한 단자(one throw)는 A/V 아웃 커넥터(314)에 연결된다. 스위치(325)의 다른 단자는 커넥터(320a)에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를 위한 A/V 입력에 연결될 것이다. 덧붙여, 두 번째 스위치는 기술된 스위치 구성의 둘 다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325)상의 제어 입력은 커넥터(320c)에서 도킹 스테이션 제어에 연결된다. 스위치(325)상의 제어 입력은 스위치(325)의 어떤 스위치 상태가 현재 활성 화이고 선택되었는지를 제어한다.
도킹 스테이션(310)은 또한 DC 입력 커넥터(352)를 포함한다. DC 입력 커넥터(352)는 5V와 같은, DC 전압의 형태로 전원입력을 위해 사용된다. 도킹 스테이션에 대한 DC 전원은 벽 콘센트에 연결된 외부 전원 변압기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DC 전원은 도킹 스테이션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가 도킹 스테이션에 플러그가 끼워진 경우, 파워 서플라이(350)를 통하여 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를 위한 재충전을 제공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의 동작 또는 충전을 위한 전원은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커넥터(320) 상의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된다.
도킹 스테이션(310)은 또한, IR 커넥터(332)를 통하여, 텔레비전 또는 셋톱 박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의 IR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적외선(IR) 인터페이스 회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 IR 제어를 위한 신호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커넥터(320)를 통하여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으로부터 제공된다. 도킹 스테이션(310)은 또한 컴퓨터 또는 컴퓨터 주변 기기와 같은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 사이에서 디지털 신호의 양방향 통신을 돕도록 하기 위해 USB 인터페이스 커넥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커넥터(320)와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390)를 포함한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커넥터(320)로부터 제공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A/V 입력 회로(362)에 제공된다. A/V 입력 회로(362)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조절한다(condition).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조절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이득 제어, 신호 콤포넌트 분리, 또는 주파수 등화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 포맷으로 결정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포맷 및 디지털 신호 포맷 둘 다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380)에 제공된다. 프로세서(380)는 또한 아날로그 포맷으로부터 디지털 포맷으로, 또는 디지털 포맷으로부터 아날로그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80)는 디지털 오디오를 특정 MP3 오디오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MPEG(Motion Picture Entertainment Group) 표준 타입 MP3 오디오 인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80)는 또한 디지털 비디오를 특정 MPEG-4 디지털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MPEG 표준 타입 MPEG-4 비디오 인코더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80)는 또한 A/V 출력 회로(364)에 처리된 신호를 제공한다. A/V 출력 회로(364)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폼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스 커넥터(390)에 제공한다. 프로세서(380)는 또한 신호를 처리하고 디스플레이, 헤드폰 커넥터,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의 다른 회로(미도시)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380)는 신호를 처리하고 도킹 스테이션(310) 상의 USB 회로(340)와 USB 커넥터(342)를 통하여 외부 디지털 신호 디바이스에 전달한다.
교체적인 실시예에서, A/V 입력 회로(362)는 입력 신호를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필수적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를 포함한다. 이 A/V 출력 회 로(364)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출력을 위해 디지털 신호 변환을 위한 필수적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를 포함한다. 교체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80)는 오로지 신호를 디지털 포맷으로 처리한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는 또한 제어기(370)를 포함한다. 제어기(37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제어에 인터페이싱을 위한 회로를 포함하고, 또한 프로세서(380)를 포함하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의 모든 블럭을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370)는 또한 인터페이스 커넥터(390)를 통하여 스위치(325)에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는 또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에 내부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372)를 포함한다. 배터리(372)는 인터페이스 커넥터(390)를 통하여 도킹 디바이스(310)에 만들어진 신호 연결을 통하여 충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킹 디바이스(310) 부분에 대한 예시가 도시된다. 이 예시는 단순화된 연결 구성은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스위치(325)와 A/V 커넥터(312 및 314)의 연결을 보여준다. 구성은 또한 커넥터(320)에 대한 오디오/비디오 신호 라우팅을 보여준다. 스위치(325)는 루프 모드를 나타내는 스위치 상태로 도시된다. 루프 모드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가 도킹 스테이션(310)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도킹 스테이션(310)에 놓이지 않은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루프 모드는 또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는 도킹 스테이션(310)에 놓이지만, 그러나 온(on)되지 않거나 또는 신호 처리를 위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는 도킹 스테이션(310)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에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도킹 스테이션(310)에 놓여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A/V 인 커넥터(312)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에 신호를 제공하거나 또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 없이, 도킹 스테이션(310)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루핑하는 A/V 아웃 커넥터(314)에 제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킹 디바이스(310) 부분의 또 다른 예시가 도시된다. 단순화된 연결 구성은 도 4에 기술된 동일한 콤포넌트를 도시한다. 그러나, 스위치(325)는 휴대용 디바이스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스위치 상태로 도시된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는 도킹 디바이스(310)에 연결되고 활성화된다. 예를 들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가 도킹 디바이스(310)에 연결되고 활성화되는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 동작 모드가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는 물리적으로 도킹 디바이스(310)에 놓이거나 도킹되고,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는 온된다. 휴대용 디바이스 동작 모드에서의 동작은 연결(320a)에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커넥터(320)에 A/V in 커넥터(312)를 연결한다. 휴대용 디바이스 동작 모드는 스위치(325)를 통하여 연결(320b)에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커넥터(320)에 추가로 A/V 아웃 커넥터(314)를 연결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A/V 인 커넥터(312)에서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메모리를 사용하여,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에서 재생을 허용하거나 또는 레코딩하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에 제공된다. 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360)는 A/V 아 웃 커넥터(314)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킹 스테이션(600)의 전기적 콤포넌트와 연결을 나타내는 전기적 도면이 도시된다. 도킹 스테이션(600)은 도 1의 도킹 디바이스(120)와 도 3의 도킹 스테이션(310)으로 식별된 것과 유사한 특징을 포함한다. 더욱이, 전기적 콤포넌트와 연결된 기능 및 블럭은 도 3의 도킹 스테이션(310)을 위해 기술된 것과 동일하여, 여기서는 더 이상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라인 인 커넥터(612) 및 라인 아웃 커넥터(614)는 좌/우측 오디오 및 비디오를 위한 신호연결을 제공한다. 라인 인 커넥터(612) 및 라인 아웃 커넥터(614) 둘 다 모두 상의 신호 경로 각각은 션트 커패시터(641a-c 및 643a-c)의 형태로 필터링 콤포넌트에 연결된다. 접지 연결 경로뿐만 아니라 신호 경로의 각각상의 추가 직렬 회로 필터링은 인덕턴스(640a-d 및 640a-d)에 의해 수행된다. 이 필터링 콤포넌트는 도킹 스테이션(600)을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 케이블로 유도될 수 있는 신호와 같은 원하지 않는 신호를 필터링한다. 인덕터(640a 및 640b)를 포함하는 좌우측 오디오 신호 경로는 저항(644 및 645) 각각에 연결된다. 저항(644 및 645)은 커넥터(620)상의 핀(16 및 20)을 통하여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에서의 오디오 입력 회로에 대한 연결을 위해, 공칭 소스 임피던스, 예를 들면 1000옴(ohm)을 제공한다. 저항(644 및 645)으로의 연결 앞의 포인트에서, 좌우측 오디오 신호 경로는 릴레이 스위치(626)의 핀(3 및 6)에 연결된다. 유사하게는, 필터링 인덕터(640a 및 640b)를 통과한 이후, 라인 아웃 커넥터(614)로부터의 좌우측 오디 오 신호는 릴레이 스위치(626)의 핀(2 및 7)에 연결된다. 릴레이 스위치(626)의 핀(4 및 5)은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의 좌우측 오디오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커넥터(620)의 핀(17 및 19)에 연결된다.
스위치 릴레이(626)는 각 스위치를 위한 2개의 별도 스위치 상태 또는 위치를 포함하고 일제히 동작하는 2개의 별도 스위치를 내부적으로 포함한다. 스위치 릴레이(626)는 공통적으로 DPDT(Doub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로서 명칭되고,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 테크닉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위치 릴레이(626)는 정상적으로 클로즈된(closed) 위치로부터 접점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코일에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동작되는 전자기 릴레이이다. 스위치 릴레이(626) 내부에 있는 이 정상적으로 클로즈된(closed) 단자는 핀(3 및 6) 각각에 연결된다. 이 정상적 개방(open) 단자는 핀(2 및 7)에 연결되고, 공통 단자는 도 3에 기술된 스위치 연결 구성을 형성하는 핀(4 및 5)에 연결된다.
라인 인 커넥터(612)로부터의 비디오 신호 경로는 인덕터(640c)를 통하여 연결되고, 더욱이 저항(646)을 통하여 휴대용 미디어 커넥터(620)의 핀(14)에 연결된다. 저항(646) 연결에 앞서, 비디오 신호 경로는 또한 스위치 릴레이(625)의 핀(6)에 제공된다. 덧붙여, 저항(646)을 통과후, 비디오 신호 경로는 제 2 저항(647)을 통해 연결되고, 스위치 릴레이(625)의 핀(4)에 제공된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의 비디오 신호 출력 연결은 휴대용 미디어 커넥터(620)의 핀(13)을 통하여 스위치 릴레이(625)의 핀(6)에 연결된다.
스위치 릴레이(625)는 릴레이 스위치(625)의 상태에 의존하면서 추가적으로 필요한 비디오 신호 조절(conditioning)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스위치 둘 다 모두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스위치 릴레이(626)를 위해 설명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스위치 릴레이(625)의 핀(7)은 조절 회로 및 라인 아웃 커넥터(614)에 비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스위치 릴레이(625)의 핀(3)은 조절 회로를 통하여 라인 아웃 커넥터(614)의 접지에 연결된다. 핀(2)은 조절 회로를 통하여 라인 인 커넥터(612)의 접지에 연결된다. 스위치 릴레이(625)는 특정 방식으로 비디오 신호 경로 및 접지 경로에 연결된다. 이 연결은 스위치 릴레이(625)의 스위치 상태 둘 다 모두에서 비디오 신호의 적절한 연결 및 종료를 유지하기 위해 기술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의 제어 신호 경로는 휴대용 미디어 커넥터(620)의 핀(10)을 통하여 연결된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스위치 릴레이(625)와 스위치 릴레이(626)상의 핀(1 및 3)으로서 표기된, 스위칭 코일에 에너지를 가하기 위해 구성된 트랜지스터(628)를 사용하여 제어 회로를 위한 제어로서 사용된다. 저항(629, 630, 632 및 634)과 함께, 트랜지스터(628), 다이오드(633) 및 커패시터(631)는 제어 신호에 연결된 개방 콜렉터 트랜지스터 회로 배열로 구성된다.
동작에서, 제어 신호는 0 볼트 DC에 가깝게 또는 로우 상태로 남게되며, 전압은 트랜지스터(628)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지 않는다. 만일 트랜지스터(628)의 베이스 이미터 접합이 순방향 바이어스되지 않는다면, 트랜지스터(628)의 콜렉터는 전류가 스위치 릴레이(525 및 526)의 상태를 인가 및 스위칭하는 것으로부터 코일 을 방해하는 스위칭 코일을 통해 DC 파워 서플라이 입력으로부터 흐르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제어 신호가 대략 3.3 볼트 DC 또는 하이 상태에 있는 경우, 저항(630, 632 및 634) 및 다이오드(633)에 의해 스케일링된 전압이 저항(629)을 통하여 트랜지스터(628)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628)의 베이스에 인가된 전압은 트랜지스터(628)의 콜렉터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허용하는 트랜지스터(628)의 베이스 이미터 접합을 순방향 바이어스한다. 결과적으로, 전류는 스위치 릴레이(625) 및 스위치 릴레이(626)의 핀(1)로부터 흐른다. 스위치 릴레이(625)와 스위치 릴레이(626)의 핀(1)은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파워 서플라이 입력(650)에 연결된다. 핀(1)을 통한 전류는 스위치로 하여금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스위치 릴레이(625) 및 스위치 릴레이(626)의 코일에 에너지를 가한다. 다이오드(627)는 스위칭 코일에 대한 오류 동작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 릴레이(625) 및 스위치 릴레이(626)의 핀(1 및 3)과 병렬로 연결된다.
도킹 스테이션(600)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를 위한 동작적 모드 뿐만 아니라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의 다른 상호 연결을 제공한다. 이 도킹 스테이션(600)은 도킹 스테이션(600)에서의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의 존재, 또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행위의 결과로서 변경하기 위해 다양한 디바이스들간 신호의 라우팅을 허용한다. 먼저, 만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도킹 스테이션(600)에 놓이지 않은 경우라면, 스위치 릴레이(625 및 626)는 에너지 제거(de-energized) 또는 정상 상태에 있게 될 것이다. 탈에너지화 스위치 상태에서, 라인 인 커넥터(612) 및 라인 아웃 커넥터(614)는 루프 직 통(loop through) 모드에서 함께 연결될 것이다. 루프 직통(loop through) 모드는 도킹 스테이션(600)에 전달된 신호가 도킹 스테이션(600)을 통해 계속되고 출력 연결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와 같은 또 다른 미디어 디바이스로 전달, 또는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10)에 다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에서의 배터리의 충전은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도킹 스테이션(600)에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도핑 스테이션(600) 그 자체는 기술된 루프 직행 조건이 동작하도록 파워 소스로부터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두 번째로, 만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도킹 스테이션에 놓이지만,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오프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고 활성화되지 않으면, 스위치 릴레이(625 및 626)는 에너지 제거 상태 또는 정상 상태에 남아 있게 될 것이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도킹 스테이션(600)에 전달된 신호가 도킹 스테이션(600)을 통하여 계속되고, 출력 연결을 통하여 다른 미디어 디바이스(130)에 전달, 또는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10)에 다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면서도, 스위치 릴레이(625 및 626)의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을 것이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도킹 스테이션(600)에 놓이고 연결될 수 있지만, 그러나 루프 직행 모드 연결의 동작은 영향을 받지 않지만, 반면에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의 배터리를 위한 충전 동작은 배터리가 충전을 필요로 하면, 개시할 것이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많은 충전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세 번째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도킹 스테이션에 놓여 온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고 활성화되었다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스위치 릴레이(625 및 626)에 에너지를 가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할 것이다. 도킹 스테이션의 라인 인 커넥터(614)에 제공된 신호는 라인 아웃 커넥터(614)로부터 연결 해제되고, 대신에 커넥터(620)를 통하여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제공된 신호가 연결해제된다. 추가적으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신호는 커넥터(620) 및 스위치 릴레이(625 및 626)를 통하여 라인 아웃 커넥터(614)에 제공된다. 라인 아웃 커넥터(614)에서의 신호는 미디어 디바이스(11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와 같은 다른 외부 미디어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미디어 디바이스(110)와 같은 소스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자체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의 배터리를 위한 충전 동작은 필요에 따라 또한 개시될 수 있다.
더욱이,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 신호가 그 자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상의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에 제공하면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루프 직통 특징을 내부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또한 신호를 통과시키는 것에 더하여, 일부 신호 처리를 허용할 수 있다. 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유저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의 메뉴 아이템, 또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상의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루프 직통 특징의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 스(140)는 입력 신호를 출력에 전달하고, 그 신호를 통과시키기 전에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이 입력 신호를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존하여 그 출력에서 다른 신호를 생성하고 전달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미디어 디바이스(11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와 같은 다른 미디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일 시스템에서 도킹 디바이스(120)와 관련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700)를 예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단계(710)에서, 오디오 콘텐츠만, 비디오 콘텐츠만, 또는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 둘 다 모두를 포함하는 신호가 생성된다. 이 신호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포맷으로 될 수 있다. 이 신호는, 예를 들면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미디어 디바이스(110)에서 복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 신호는 또한 비디오 카세트, 컴팩트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미디어 디바이스(110)의 스토리지 구성소자로부터 신호를 검색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신호는 케이블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외부 신호를 복조하고 좌우측 아날로그 신호 및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생성시킴으로써 미디어 디바이스(11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720)에서, 콘텐츠를 포함하는 신호는 이 신호를 생성한, 미디어 디바이스(110)와 같은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연결 케이블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에 전달된다. 이 신호는 동시에 2개 이상의 디바이스에 전달될 수 있다. 이 신호를 생성한, 미디어 디바이스(110)와 같은 디바이스는 또한 이 신호가 전달되어야하는 곳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신호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와 관련하여, 또는 연결하여, 사용된 도킹 스테이션(120)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단계(730)에서, 만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도킹 스테이션(120)에 연결되고 온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신호처리를 위해 활성화되면, 단계(740)에서, 도킹 스테이션(120)은 신호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전달한다. 단계(750)에서, 도킹 스테이션(120)에 의해 전달된 신호를 수신한 이후,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이 신호를 처리한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의한 신호의 처리는 이하에서 더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만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도킹 스테이션(120)에 연결되지 않고, 온도 안되어 있고, 도킹 스테이션(120)에 연결되어 있지만 충전만을 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고 신호 처리를 위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780)에서, 신호는 도킹 스테이션(120)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 또는 미디어 디바이스(110)와 같은 도킹 스테이션의 출력에 연결된 디바이스에 전달된다. 단계(780)는 이 모드에서, 도킹 스테이션(120)이 신호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제공할 필요없이, 도킹 스테이션(120)의 입력으로부터 스테이션의 출력에 이 신호를 제공하는 루프 직통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에 관련된 프로세스(800)을 더 예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프로세스(800)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처리 단계(750) 동안 수행될 수 있는 추가 단계를 예시한다. 단계(810)에서, 신호는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의해 수신된다. 이후, 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는 단계(820)에 서, 신호를 위해 필요한 추가 처리를 결정한다. 이 추가 처리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상의 메뉴 엔트리 세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무슨 추가 처리가 이 신호에 발생해야 하는 지를 디바이스에 명령하도록 직접 제어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된 각 결정 처리 경로는 전체적으로 독립적이지 못하며, 도시된 모든 프로세스를 이용할 수 없다. 더욱이, 2개 이상의 결정 처리 경로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들과 이들이 언제 발생하는가 사이에 직접적인 시간 관계가 없을 수 있다. 다른 결정 처리 경로가 또한 가능할 수 있으며, 유사한 입력 배열에 기초하여 유사한 단계를 따를 것이다.
만일 단계(820)에서 입력 요청으로부터의 결정이 이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리킨다면, 단계(830)에서, 신호는 그 입력 신호 포맷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신호는 복합 아날로그 디비오 신호가 될 수 있고, 비디오 디스플레이상에 비디오를 적합하게 만들어내기 위해 적색, 녹색, 청색 비디오 구동 신호로 알려진 신호의 세트를 생성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 입력 신호는 또한 디지털 오디오 포맷으로부터 좌측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우측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단계(832)에서, 변환된 신호는 비디오 디스플레이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이 디스플레이 단계(832)는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또는 헤드폰 커넥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단계(820)에서 입력 요청으로부터 결정이 신호 저장하기를 가리킨다면, 이 신호는 그 입력 신호 포맷으로부터 스토리지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신호는 복합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가 될 수 있고, MPEG-4 포맷의 압축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처리될 수도 있다. 이 입력 신호는 또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될 수 있고 MP-3 포맷의 압축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될 수도 있다. 단계(842)에서, 이 압축 신호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 메모리를 위한 저장 매체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전자 매체일 수 있으며,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더 큰 용량의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단 압축 신호가 단계(842)에서 저장되면, 추가 단계가 동시에 또는 나중에 발생할 수 있다. 이 압축 신호는 단계(843)에서 메모리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단계(844)에서, 검색된 신호는 압축 신호 포맷으로부터 다시 변환될 수 있다. 이 변환 단계(844)는 이 검색된 신호를 단계(832)에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앞서 기술된 것과 같은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단계(850)에서, 변환 단계(844)는 검색된 신호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출력 포맷은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제공된 오리지널 입력 신호와 유사할 수 있다.
만일 단계(820)에서 입력 요청으로부터의 결정이 신호를 통과시키는 것을 가리킨다면, 단계(850)에서, 신호는 출력 커넥터를 사용하여,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로부터 다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140) 그 자체는 입력 신호를 출력에 직접 제공하는 루프 직통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장치 및 방법의 이점은 도킹 디바이스 또는 스테이션은 다른 미디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사이의 고정 인터페이스로서 이용되는 사실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미디어 디바이스와 사용되는 경우,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의 존재 또는 결여로,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어떤 연결 변경도 요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다양한 수정 및 대안적인 폼에 영향을 받기 쉬울 지라도, 특정 실시예는 도면에서의 예를 목적으로 도시되었고 여기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공개된 특정 폼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의력 측면의 범위 및 기술사상 내에 있는 모든 수정, 등가 및 대안을 포괄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더 상세하게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대한 충전 스테이션 및 연결 인터페이스 양쪽 둘 다로서 미디어 디바이스와의 사용을 위한 도킹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25)

  1. 복수 미디어 디바이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700)으로서,
    제 1 미디어 디바이스가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740); 및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을 통하여 제 2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780)
    를 포함하는, 복수 미디어 디바이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 미디어 디바이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고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 2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780)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 미디어 디바이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고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 2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이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을 통하여 상기 신호를 상기 제 2 미디어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 미디어 디바이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740)는,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 미디어 디바이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740)는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가 온(on)된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 미디어 디바이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740)는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에 응답하는, 복수 미디어 디바이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
  8. 도킹 디바이스(310)로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상기 도킹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제 1 인터페이스(320, 390)로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320, 390)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를 충전하고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에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360)로부터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허용하는, 제 1 인터페이스(320, 390);
    제 1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를 연결하는 제 2 인터페이스(312)로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312)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가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허용하는, 제 2 인터페이스(312);
    제 2 미디어 디바이스에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를 연결하는 제 3 인터페이스(314)로서, 상기 제 3 인터페이스(314)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가 상기 제 2 미디어 디바이스에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허용하는, 제 3 인터페이스(314); 및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3 인터페이스(314)에 상기 제 2 인터페이스(312)를 스위칭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에 연결 되는 경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312)에 상기 제 1 인터페이스(320, 390)를 스위칭가능하게 연결하는 스위치(325)
    를 포함하는, 도킹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도킹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312)는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를 위한 별도의 신호 경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도킹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인터페이스(314)는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를 위한 별도의 신호 경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도킹 디바이스.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25)는,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에 연결된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에 응답하는, 도킹 디바이스.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25)는,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가 온(on)된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320, 390)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312)에 스위칭가능하게 연결하는, 도킹 디바이스.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25)는,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가 온된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320,390)를 상기 제 3 인터페이스(314)에 스위칭가능하게 연결하는, 도킹 디바이스.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25)는,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가 오프(off)되는 경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312)를 상기 제 3 인터페이스(314)에 스위칭가능하게 연결하는, 도킹 디바이스.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를 충전하기 위한 것인, 도킹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25)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가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312)를 상기 제 3 인터페이스(314)에 스위칭가능하게 연결하는, 도킹 디바이스.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25)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310)가 온된 경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312)를 상기 제 3 인터페이스(314)에 스위칭가능하게 연결하는, 도킹 디바이스.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320, 290)는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325)에 통신하는, 도킹 디바이스.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360)는 비디오 및 오디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인, 도킹 디바이스.
  21. 미디어 디바이스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100)로서,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도킹 스테이션(12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120)을 사용하여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전달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120)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120)을 통하여 제 2 미디어 디바이스(110, 130)에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미디어 디바이스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120)에 연결되고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120)을 통해 상기 신호를 상기 제 2 미디어 디바이스(110, 130)에 전달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미디어 디바이스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120)에 연결되고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120)을 통해 상기 신호를 상기 제 2 미디어 디바이스(110, 130)에 전달하는 수단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120)이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40)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120)을 통하여 상기 신호를 상기 제 2 미디어 디바이스(110, 130)에 전달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미디어 디바이스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40)가 온된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120)으로부터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미디어 디바이스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은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140)에 응답하는, 미디어 디바이스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
KR1020087012992A 2005-12-01 2006-11-21 미디어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09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139105P 2005-12-01 2005-12-01
US60/741,391 2005-12-01
PCT/US2006/045073 WO2007064536A1 (en) 2005-12-01 2006-11-21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edia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918A true KR20080074918A (ko) 2008-08-13
KR101409942B1 KR101409942B1 (ko) 2014-06-20

Family

ID=3781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992A KR101409942B1 (ko) 2005-12-01 2006-11-21 미디어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34434B2 (ko)
EP (1) EP1955330A1 (ko)
JP (2) JP2009517983A (ko)
KR (1) KR101409942B1 (ko)
CN (1) CN101322194B (ko)
WO (1) WO2007064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8171B (zh) * 2007-10-12 2013-06-01 Princeton Technology Corp 音源播放系統
WO2011056143A2 (en) * 2009-11-04 2011-05-12 Tcl Thomson Electronics Singapore Pte Ltd A digital audio-video arrangement of a device for determining connection of another device with the devic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connection of a device with another device
TW201145990A (en) * 2010-06-14 2011-12-16 Hon Hai Prec Ind Co Ltd Digital video recorder
JP5694694B2 (ja) * 2010-07-02 2015-04-01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建物用メディア再生システム
WO2012061121A2 (en) * 2010-10-25 2012-05-10 Openpeak Inc. Display system
TW201406156A (zh) * 2012-07-17 2014-02-01 Avermedia Tech Inc 錄影裝置
EP2741290A1 (en) 2012-12-06 2014-06-11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multimedia system and vehicle
US9723771B2 (en) * 2016-01-06 2017-08-08 Barry Bessette Leaf shove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1012A (ja) * 1993-06-08 1994-12-22 Casio Comput Co Ltd 画像機器
US5935226A (en) * 1997-03-20 1999-08-10 Micron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ssuing transaction requests to a target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connection between the portable computer and the target device
JP2001022705A (ja) * 1999-07-13 2001-01-26 Hitachi Ltd 携帯情報端末用クレードル
US7028128B2 (en) * 2002-01-30 2006-04-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 repl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that allows for a single network controller
US20040151327A1 (en) 2002-12-11 2004-08-05 Ira Marlow Audio device integration system
US7489786B2 (en) * 2002-12-11 2009-02-10 Ira Marlowe Audio device integration system
JP2004312722A (ja) * 2003-03-26 2004-11-04 Mobile Hoso Kk クレードル、受信端末及び受信方法
WO2005032115A2 (en) * 2003-09-24 2005-04-07 Videonline, Inc. Portable video storage and playback device
US7624218B2 (en) * 2003-10-20 2009-11-2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DVI native and docking support
JP4289175B2 (ja) * 2004-02-27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可搬機器
US8554045B2 (en) * 2004-11-12 2013-10-08 Ksc Industries Incorporated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ntertainment devices
JP2006174335A (ja) * 2004-12-20 2006-06-29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電子カメラ用クレードル
US7375673B2 (en) * 2005-01-13 2008-05-20 Netgear, Inc. System and method for universal remote control configuration
US20060277555A1 (en) * 2005-06-03 2006-12-07 Damian Howard Portable device interfacing
US20070101039A1 (en) * 2005-11-02 2007-05-03 Dei Headquarters, Inc. Versatile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13120A (ja) 2013-01-17
WO2007064536A1 (en) 2007-06-07
US8234434B2 (en) 2012-07-31
JP2009517983A (ja) 2009-04-30
CN101322194B (zh) 2013-03-27
US20100153607A1 (en) 2010-06-17
KR101409942B1 (ko) 2014-06-20
CN101322194A (zh) 2008-12-10
EP1955330A1 (en)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942B1 (ko) 미디어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554045B2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ntertainment devices
JP5934468B2 (ja) 積層可能な通信システム
US692830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ger system
CN100539678C (zh) 通信终端和通信终端的控制方法
US5255180A (en) Control apparatus for systematically operating audio and/or video sets
CN101621613B (zh) 通信设备和控制方法
KR910006374B1 (ko) 영상처리 시스템의 전원공급 및 입력신호 조절회로
CN100479507C (zh) 可选择音频输出配置
CN101675420A (zh) 使用外部连接设备的多媒体系统及其外部连接设备
CN101102404B (zh) 摄像设备和在所述摄像设备之间无线发送和/或接收数据的方法
KR20080039443A (ko) 퍼스널 컴퓨터용 어댑터 장치, 퍼스널 컴퓨터 신호 재생시스템, 퍼스널 컴퓨터 신호 재생 방법, 퍼스널 컴퓨터신호 재생 프로그램, 출력 장치 제어 프로그램, 퍼스널컴퓨터용 어댑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 퍼스널 컴퓨터 제어프로그램, 전력선 통신 커넥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크레들 장치, 그리고 전력선 통신 재생 시스템
US5142379A (en) Power feeding and input signal switching control system for video tape recorder combined with television receiver and camera in a body
CN101248584A (zh) 音频系统控制
KR20040034664A (ko) 휴대용 정보저장장치와 멀티미디어 운용장치
CN213638004U (zh) 一种多媒体智能会议机控制系统
US20070054509A1 (en) Apparatus containing multifunctional input and output jack and method using the same
CN209402659U (zh) 一种hdmi信号处理器
JP2008227640A (ja) 表示装置
KR200259745Y1 (ko) 휴대용 이미지 저장 및 재생장치
JPS61284889A (ja) ポ−タブル・ビデオテ−プレコ−ダ・システム
JPH04257170A (ja) ポータブル映像機器駆動システム
JPH0430655Y2 (ko)
CN112492258A (zh) 一种多媒体智能会议机控制系统
JP2001275260A (ja) 音源機器、携帯型音源機器及び音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