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704A -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 Google Patents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704A
KR20080074704A KR1020070119708A KR20070119708A KR20080074704A KR 20080074704 A KR20080074704 A KR 20080074704A KR 1020070119708 A KR1020070119708 A KR 1020070119708A KR 20070119708 A KR20070119708 A KR 20070119708A KR 20080074704 A KR20080074704 A KR 20080074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lock
coupling
central buffer
block componen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9610B1 (ko
Inventor
켐퍼 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7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61G7/10Mounting of the couplings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61G7/08Adjustable coupl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61D15/06Buffer cars; Arrangements or construction of railway vehicles for protecting them in case of colli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링 헤드(100)와, 커플링 로드(90)와, 변형가능 관(41) 형태의 파괴가능하게 형성된 힘 흡수 부재를 포함한 완충기(40)를 구비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1)에 관한 것이다. 커플링 로드(90)의 전개 기능 및 후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버퍼 커플링(1)은 커플링 로드(90)를 고정판(5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절가능한 선형 구동 장치(30)를 포함하며, 베어링 블록(60, 70)은, 변형가능 관(41)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에 인접하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과, 커플링 로드(90)의 차량측 단부(91)가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을 포함하며,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은 선형 구동 장치(30)에 의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커플링 로드, 베어링 블록

Description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AUTOMATIC CENTRAL BUFFER COUPLING}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철도 차량용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으로서, 커플링 헤드와, 커플링 헤드에 연결되는 커플링 로드와, 커플링 로드의 차량측 단부가 수평으로 선회될 수 있게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과, 중앙 버퍼 커플링을 차량에 고정시킬 수 있게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언더프레임(underframe)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판과, 변형가능 관 형태의 파괴가능하게 형성된 힘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커플링 헤드측 단부는 베어링 블록에 인접하며 차량측 단부는 고정판에 인접하는 완충기를 포함하며, 완충기는 베어링 블록, 변형가능 관 및 고정판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볼트 연결부를 포함하며, 볼트 연결부는 과도한 충격시에, 즉 중앙 버퍼 커플링의 소정의 작동 하중이 초과될 때에 베어링 블록이 고정판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중앙 버퍼 커플링은 실제로 종래 기술, 특히 철도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제1 차량의 중앙 버퍼 커플링이 제2 차량의 중앙 버퍼 커플링에 결합될 때, 제1 차량의 차체에 충격을 가하는 인장력 및 압축력을 그 제1 차량 의 차체로부터 이웃한 제2 차량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정상 차량 작동 중에 발생하는 인장력 및 압축력과, 일례로 다수의 차체로 구성된 차량의 경우에 정상 차량 작동 중 중앙 버퍼 커플링에 의해 각각의 차체 사이에서 전달되는 인장력 및 압축력을 확실하게 완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재생가능하게 형성된 드로우기어(drawgear)가 일반적으로 커플링 로드 및/또는 커플링 로드를 베어링 블록에 관절식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설치된 베어링에 구비된다. 이러한 드로우기어는 일반적으로 인장력 및 압축력을 소정의 크기까지 수용하여 그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임의의 힘을 차량의 언더프레임으로 전달할 수 있게 형성된다.
따라서, 정상 차량 작동 중에 발생하는 인장력 및 압축력은 드로우기어에 의해 완충되지만, 일례로 차량과 장애물의 충돌시나 차량의 급감속시에 드로우기어의 작동 하중이 초과되면, 통상적으로 재생가능하게 형성된 드로우기어와, 각각의 차체 사이의 커플링 링크와, 각각의 차체 사이의 접속부가 파괴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어느 경우든, 드로우기어는 인가된 힘 전체를 흡수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드로우기어는 차량의 힘 흡수 부재로서 완전히 기능하지 못하여, 인가된 충격력은 직접 차량의 언더프레임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차량의 언더프레임에 극한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차량의 언더프레임은 손상되거나 심지어는 파괴될 수 있다. 다수의 차체를 구비한 철도 차량의 경우에는, 차체가 탈선될 우려가 있다.
강한 후단부의 충격으로부터 차량 언더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 례로 변형가능 관 형태의 파괴가능하게 형성된 힘 흡수 부재를 포함하는 완충기가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완충기의 힘 흡수 부재는 드로우기어의 작동 흡수 작용이 소진될 때 작동될 수 있게 형성되어, 힘 흐름에서 힘 흡수 부재를 통해 전달된 힘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소산시킨다. 변형가능 관 형태의 파괴가능하게 형성된 힘 흡수 부재를 포함하는 완충기의 경우에, 변형가능 관은 인가된 충격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 에너지와 열로 변환될 수 있도록 지정된 방식으로 파괴가능하게 소성 변형된다.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된 기초가 되는 문제점을 보면, 상술한 유형의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즉 파괴가능하게 형성된 힘 흡수 부재를 구비한 완충기를 포함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이 흔히 제1 전개 위치, 즉 중앙 버퍼 커플링의 커플링 헤드가 차량의 결합면에 위치하여 결합될 준비가 되는 위치와, 제2 후퇴 위치, 즉 커플링 헤드가 차량에 근접하게 결합면 후방에 소재하는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 즉 차량의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추가 기능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추가 기능은 일례로 중앙 버퍼 커플링이 고속 열차에 사용되는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열차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그 열차의 말단부 차량이 차량 동력학적 측면에서 최적화된 공기 역학적 특성에 따라 제작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차량의 노우즈 원추체(nose cone)와 말단부 차량 각각은 일반적으로 측풍 감도(cross-wind sensitivity), 두부파(bow wave) 및 이른바 음속 폭음(sonic boom)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공기 역학적 사양에 따라 제작된다.
이러한 공기 역학적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 강화 노우즈 원추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노우즈 원추체는 일례로 공압식으로 개방가능한 전방 해치(hatch)를 포함하며, 이러한 노우즈 원추체에는 완충기를 구비한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전방 해치용 작동 기구, 일례로 신호등 및 공조용 공기 덕트와 같은 추가 부품들이 배치된다. 일례로 강화 유리 섬유로 제조된 노우즈 원추체의 셸(shell)은 일반적으로 차체 구조체에 볼트로 체결된 지지 구조체로 지지된다. 또한, 이러한 지지 구조체는 일례로 전방 해치의 공압 작동식 작동 기구나 전방 배장기(lifeguard pilot)(구비되는 경우)용 고정 기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역학적 개념에 따라 형성된 2개의 말단부 차량이 최대한 신속하게 결합/분리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노우즈 원추체의 프로파일 형성에 결합 개념이 요구되며, 이때 전개가능한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과 일례로 공압 작동식 전방 해치에 대한 특정 축방향 간격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은 일반적으로 노우즈 원추체의 설계에 따라서 대략 100mm 내지 400mm의 범위이다.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에 추가의 축방향 전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일례로 선형 구동 장치(linear drive)가 필요하며, 이러한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해서 각각 중앙 버퍼 커플링과 중앙 버퍼 커플링의 커플링 암이 차량 언더프레임에 대하여 혹은 중앙 버퍼 커플링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판에 대하여 커플링 헤드와 함께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에 대한 차량 노우즈 원추체의 설치 공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중앙 버퍼 커플링의 소망하는 추가 축방향 전개 기능 및 후퇴 기능을 달성시키기 위해서 중앙 버퍼 커플링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게 구비된 선형 구동 장치는 최대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소형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 버퍼 커플링의 설치에 필요한 차량 노우즈 원추체의 공간을 증대시킬 필요없이 추가의 축방향 전개 기능 및 후퇴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중앙 버퍼 커플링은 커플링 암을 고정판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절가능한 선형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베어링 블록은 변형가능 관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에 인접하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과 커플링 로드의 차량측 단부가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을 포함하며,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은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소 방안의 특징은, 커플링 로드의 전개 및 후퇴시 완충기를 포함한 중앙 버퍼 커플링 전체를 고정판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시킬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그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플링 로드의 차량측 단부가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제2 베어링 블록 부품만이 고정판에 대해 이동된다. 변형가능 관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에 인접하고 변형가능 관 및 고정판과 함께 볼트 연결부에 의해 완충기를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은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과 커플링 암의 축방향 변위시에 고정판에 대해 고정된다.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커플링 로드의 축방향 변위시에 고정되어 유지되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과,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커플링 로드의 축방향 변위시에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으로 베어링 블록을 분할시키면, 추가의 커플링 로드 전개 기능 및 후퇴 기능을 갖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에 대해 차량 노우즈 원추체에 추가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이 커플링 로드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추가 기능을 갖더라도,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을 각각 노우즈 원추체와 차량(말단부 차량)의 전단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공간(시스템에 따라 정해지는 공간)은 변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은 특히 노우즈 원추체의 공기 역학적 요건들을 고려하여 차체 구조나 노우즈 원추체의 재설계를 요하지 않고서 최적의 충돌 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중앙 버퍼 커플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특허청구범위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커플링 암을 고정판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게 구비된 선형 구동 장치(조절가능한 선형 구동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형 구동 장치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에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선형 구동 장치의 작동시에 선형 구동 장치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의 연쇄 동작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선형 구동 장치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서로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하면,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에 대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이 축방향으로 변위되면, 2개의 베어링 블록 부품 모두가 텔레스코픽 방식의 연쇄 동작으로 이동되어,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한 축방향 변위시에 고정된 제1 베어링 블록 부품 내에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이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2개의 베어링 블록 부품이 서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변위되면서, 커플링 로드의 축방향 전개 및 후퇴에 필요한 변위 경로가 형성된다.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이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해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구성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은 개구를 구비한 베어링 판을 포함하며, 이러한 개구를 통해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가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의 축방향 변위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의 베어링 판에 구비된 개구는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한 축방향 변위시에 그 개구를 통해 안내되는 제2 베어링 블록 부품 영역의 최대 단면 프로파일보다 큰 직경 및/또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에 대해 강조되어야 할 점을 보면, 베어링 블록은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해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제1 베어링 블록 부품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을 포함하며, 일례로 과도한 충격시 중앙 버퍼 커플링의 작동 하중이 초과될 때에 제1 베어링 블록 부품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으로 구성된 전체 베어링 블록은 완충기의 볼트 연결부로 인해 가능한 바와 같이 고정판 쪽으로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차량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이 베어링 판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 판은 그 베어링 판을 구비한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을 통해 베어링 블록을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완충기의 볼트 연결부를 통해 변형가능 관 및 고정판을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이 베어링 판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바람직한 일 태양에 따르면, 중앙 버퍼 커플링은 중앙 리셋(reset) 기구 및/또는 커플링 로드용 수직 지지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해제가능한 지지판을 베어링 판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면에서 추가로 포함한다. 물론, 커플링 로드 작동에 필요한 다른 부품들도 지지판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중앙 리셋 기구, 수직 지지체 등)이 지지판을 통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의 베어링 판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품들은 커플링 로드의 차량측 단부가 관절식으로 연결된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의 축방향 변위(선형 구동 장치에 의한 변위)시에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 대해 고정 유지되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커플링 로드가 이러한 부품들에 대해서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서 이동된다.
커플링 로드와 커플링 로드 작동에 필요한 부품 간의 상대 운동이 최대한 마찰없이 내마모성을 가지고서 행해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커플링 로드가 관통되어 연장되도록 하는 안내 슬리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중앙 리셋 기구나 수직 지지체와 같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 대해 고정된 부품이 이러한 안내 슬리브와 체결된다.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이 개구를 구비한 베어링 판을 포함하며, 이러한 개구 를 통해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가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의 축방향 변위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 버퍼 커플링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은, 베어링 판의 차량측 단부면에 인접하고 베어링 판에 고정 연결되며 차량측 단부가 변형가능 관과 접하는 정지 부재와, 변형가능 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정지 부재에 고정 연결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선형 구동 장치의 제1 부재는 지지 부재에 고정 연결되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 고정 연결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들도 실시가능하다.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에 대한 커플링 로드 차량측 단부의 링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은 그 커플링 헤드측 단부에서 조인트 포크(joint fork)를 포함하며, 이러한 조인트 포크는 커플링 로드의 차량측 단부에 형성된 조인트 아이(joint eye)를 수용하며 조인트 핀에 의해 수평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조인트 포크와 조인트 아이 간의 연결은 구형 지지 베어링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재생가능 드로우기어로서 형성된 구형 지지 베어링은 중앙 버퍼 커플링의 힘 흡수에 기여하여 특히 정상 차량 작동 중에 발생하는 인장력 및 압축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로드와 제2 베어링 블록 부품 사이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구형 지지 베어링에 추가로 혹은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베어링은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에 대한 커플링 로드의 카다닉 운동(cardanic motion)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상응하게, 일례로 커플링 로드의 차량측 단부의 조인트 아이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에 대한 커플링 로드의 링크 장치에 구비된 드로우기어에 추가로 혹은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중앙 버퍼 커플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재생가능하게 형성된 드로우기어가 커플링 로드에 구비된다. 이러한 드로우기어는 바람직하게는 인장력 및 압축력을 소정의 크기까지 흡수하여 그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임의의 힘을 베어링 블록으로 전달할 수 있게 형성된다. 베어링 블록 하류에 위치되고 변형가능 관 형태의 파괴가능하게 형성된 힘 흡수 부재를 포함하며 커플링 헤드측 단부는 베어링 블록에 인접하고 차량측 단부는 고정판에 인접하는 완충기는 특히 보다 큰 후단부 충돌 속도시(과도한 충격시) 차량 완충기의 역할을 한다. 드로우기어(완충 유닛)와 파괴가능하게 형성된 힘 흡수 부재의 조합체는, 정상 차량 작동 중에 발생하고 일반적으로 재생가능하게 형성된 드로우기어에 의해 흡수되는 인장력 및 압축력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완충기의 변형가능 관은 일례로 차량과 장애물의 충돌시 혹은 차량의 급감속시 각각 드로우기어의 작동 하중과 중앙 버퍼 커플링의 작동 하중이 초과될 때에 발생하는 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여 소산시킨다.
완충기의 파괴가능하게 형성된 힘 흡수 부재(변형가능 관)에 대해서, 이러한 변형가능 관은 중앙 버퍼 커플링의 소정의 작동 하중이 초과될 때에 충격력이 변형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노즐판의 구멍을 통해 직경이 감소된 상태로 각각 베어링 블록과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 의해 압입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가능 관의 압입과 동시에 제1 베어링 블록 부품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을 구비한 베어 링 블록은 고정판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때 고정판은 바람직하게는 구멍이 중앙에 배치된 노즐판으로서 형성되며, 중앙 버퍼 커플링의 작동 하중이 초과될 때에 이러한 구멍을 통해서 변형가능 관이 압입된다.
또한, 완충기는 변형가능 관과 접하는 원추형 링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변형가능 관은 중앙 버퍼 커플링의 소정의 작동 하중이 초과될 때에 직경이 증가되는 상태로 충격 에너지를 변형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게 형성되며, 이와 동시에 제1 베어링 블록 부품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을 구비한 베어링 블록은 고정판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완충기의 작동시 소성 변형된 변형가능 관이 완충기로부터 방출되지 않고, 그 대신에 베어링 판과 고정판 사이의 간극에서 유지되는 이점이 생긴다. 특히, 충돌시 소성 변형된 변형가능 관이 압입될 수 있게 하는 공간이 완충기 후방에 구비될 필요가 없다.
커플링 로드의 축방향 변위를 위해 구비된 선형 구동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형 구동 장치는 전기 선형 모터, 유압 선형 모터 또는 나사형 스핀들을 구비한 선형 구동 장치이다. 유압 선형 모터(유압 실린더로도 알려져 있음)의 특징은 그의 소형 구조에 있으며, 유압 선형 모터의 기능 원리는 유압 축압기나 유압 모터에 의해 공급된 유압 유체의 에너지를 간단하면서도 조절가능한 선형 작용력으로 변환시키는 데 기초하고 있다. 전기 선형 모터(일례로 회전 전류 모터와 대조)는 커플링 로드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직접 병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일례로 나사형 스핀들과 함께 회전 전류 모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나사형 스핀들은 커플링 로드를 축방향으로 변 위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회전 전류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형 구동 장치의 실시 형태와는 무관하게, 선형 구동 장치는, 일례로 결합 절차 준비를 위해 커플링 로드를 커플링 헤드와 함께 결합면으로 전개시키거나 분해 절차의 종료 후에 전개되어 있는 커플링 로드를 커플링 헤드와 함께 일례로 차량의 노우즈 원추체 내로 후퇴시킬 수 있게 외부에서 조절가능하다.
커플링 로드를 결합 준비 위치의 전개 상태에서 유지시키기 위해서, 특히 강한 충격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커플링 로드를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 대해 고정시켜 유지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버퍼 커플링은 바람직하게는 기계식 혹은 공압식으로 작동가능한 로킹부(locking)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러한 로킹부는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이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위된 후에 제1 베어링 블록 부품과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베어링 블록 부품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과 상호 작용한다.
로킹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부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 배치되는 로킹 기구와,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 배치된 로킹 기구에 의해 작동되는 정지 부재와, 이러한 제1 정지 부재와 상보형으로 형성되고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정지 부재를 포함한다. 2개의 정지 부재 모두는 커플링 로드가 전개 상태나 후퇴 상태에 있을 때 로킹 기구의 작동시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 물론, 여타 다른 로킹 기구의 실시예들도 실시가능하다.
기본 원리로서, 커플링 로드는 단지 완전 전개 위치와 완전 후퇴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플링 로드는 완전 전개 위치와 완전 후퇴 위치 사이의 임의의 소망하는 위치로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에 대해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완전 전개 위치와 완전 후퇴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해당 로킹 기구를 구비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완충기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완충기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일을 구비한 종방향 변위 안내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러한 안내 레일은 그 차량측 단부에서 고정판에 고정되며, 이러한 안내 레일은 중앙 버퍼 커플링의 소정의 작동 하중이 초과될 때에 제1 베어링 블록 부품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을 구비한 베어링 블록이 고정판 쪽으로 축방향으로 조절되면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종방향 변위 안내부는 힘의 흡수에 수반되는 일련의 현상을 예정할 수 있도록 충격시 변형가능 관이 소정의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종방향 변위 안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일은 중앙 버퍼 커플링을 차량의 설치 공간에 쉽게 조립(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중앙 버퍼 커플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버퍼 커플링의 설치에 필요한 차량 노우즈 원추체의 공간을 증대시킬 필요없이 추가의 축방향 전개 기능 및 후퇴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앙 버퍼 커플링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중앙 버퍼 커플링의 후부를 부분 단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버퍼 커플링 전체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블록과 완충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버퍼 커플링 전체의 평면도이다.
특히 철도 차량의 고속 차량에 적합한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1)은 커플링 헤드(100)를 포함하며, 이러한 커플링 헤드는 일례로 첨부 도면들 중 도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타입 10 샤르펜베르크 커플링 헤드(Type 10 Scharfenberg® coupling head)일 수 있다. 도6을 보면, 본 발명의 중앙 버퍼 커플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헤드(100)의 단부판(101)을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2와 도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 헤드(100)는 커플링 로드(90)에 연결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재생가능하게 형성된 드로우기어(drawgear)(93)가 유압 작동식 완충 유닛의 형태로 커플링 로드(90)와 결합된다. 이러한 드로우기어(93)는 정상 차량 작동 중에 전달되는 인장력과 압축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 로드(90)의 차량측 단부(91)에 조인트 아이(joint eye)(92)가 형성되며, 이러한 조인트 아이는 베어링 블록(60, 70)의 조인트 포크(joint fork)(72)에 의해 수용되어 조인트 핀(2)에 의해 수평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조인트 아이(92)는 바람직하게는 구형 지지 베어링(9)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구형 지지 베어링은 커플링 로드(90)의 드로우기어(93) 외에 추가로 정상 차량 작동시 발생하는 힘을 완충시킨다.
도4 및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로드(90)는 수평면에서 선회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정 수직 선회 범위로 선회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1)은 고정판(50)에 의해 각각 차량(미도시)의 언더프레임(underframe)과 차량의 단부면에 고정된다. 고정판(50)에는 적당한 볼트 등을 수용하는 해당 구멍(52)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 버퍼 커플링(1)이 가능한 한 최적의 충돌 성능 특성을나타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변형가능 관(41) 형태의 파괴가능하게 형성된 힘 흡수 부재를 구비한 완충기(40)가 베어링 블록(60, 70)과 고정판(50) 사이에 구비되며, 이때 완충기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는 베어링 블록(60, 70)에 인접하고 차량측 단부는 고정판(50)에 인접한다. 완충기(40)는 또한 베어링 블록(60, 70), 변형가능 관(41) 및 고정판(50)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볼트 연결부(42)를 포함하며, 이러한 볼트 연결부는 과도한 충격시에 베어링 블록(60, 70)이 고정판(5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한다.
커플링 로드(90)가 고정판(5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커플링 헤 드(100)의 전개 및 후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중앙 버퍼 커플링(1)은 또한 변형가능 관(41) 내에 배치되는 선형 구동 장치(30)를 포함한다. 또한 베어링 블록(60, 70)은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변형가능 관(41)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가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인접하며, 커플링 로드(90)의 차량측 단부(91)가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완충기(40) 내에 구비된 선형 구동 장치(30)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대해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형 구동 장치(30)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결합되는 제1 부재(31)와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에 결합되는 제2 부재(32)를 포함하며, 선형 구동 장치(30)의 작동시에 선형 구동 장치(30)의 제1 부재(31) 및 제2 부재(32)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의 연쇄 동작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이때 선형 구동 장치(30)의 제1 부재(31) 및 제2 부재(32)는 서로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선형 구동 장치(30)의 제2 부재(32)로부터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으로 전달된 병진 운동은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으로부터 커플링 로드(90)로 직접 전달되는데, 왜냐하면 커플링 로드(90)의 차량측 단부(91)에 구비된 조인트 아이(92)가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에 형성된 조인트 포크(72)와 결합되기 때문이다.
특히 도1 및 도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은 개구(62)를 구비한 베어링 판(61)을 포함하며, 이러한 개구를 통해서 제2 베어링 블 록 부품(70)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와 그에 관절식으로 결합된 커플링 로드(90)가 선형 구동 장치(30)에 의한 축방향 변위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된다. 또한, 베어링 판(61)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면에 지지판(67)이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지지판(67)은 중앙 리셋 기구(3)와 수직 지지체(4)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중앙 리셋 기구(3)와 수직 지지체(4)는 커플링 로드(90)와 직접 체결되지 않으며, 커플링 로드(90)가 관통되어 연장되도록 하는 안내 슬리브(94)와 체결된다. 커플링 로드(90)에서와 마찬가지로, 안내 슬리브(94)는 선형 구동 장치(30)의 작동시 지지판(67)에 대해 변위되어, 중앙 리셋 기구(3) 및 수직 지지체(4)에 대해 변위된다.
상술한 베어링 판(61) 이외에,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은 베어링 판(61)에 고정 연결된 정지 부재(63)를 포함하며, 이러한 정지 부재의 차량측 단부에 변형가능 관(41)이 접한다. 또한,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은 변형가능 관(41)의 내부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64)를 포함하며, 이러한 지지 부재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의 정지 부재(63)에 고정 연결된다. 이러한 지지 부재(64)는 선형 구동 장치(30)의 작동시 선형 구동 장치(30)의 고정된 제1 부재(31)를 고정판(50)에 대해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의 정지 부재(63) 및 지지 부재(64)는 가능한 한 최저의 제조 비용 및 조립 비용을 위해서 일체로 형성된다.
선형 구동 장치(30)의 작동시 제2 부재(32)에 의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은 차량 방향으 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안내부(71)를 포함하며, 이러한 선형 안내부는 선형 구동 장치(30)의 작동시 선형 구동 장치(30)의 제2 부재(32)가 선형 구동 장치(30)의 제1 부재(31)에 대해 축방향 연장 표면(65)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버퍼 커플링(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판(50)은 구멍(51)이 중앙에 배치된 노즐판으로서 형성되며, 완충기(40)는 또한 변형가능 관(41)의 노즐측 단부와 접하는 원추형 링(45)을 포함한다. 완충기(40)의 변형가능 관(41)은, 중앙 버퍼 커플링(1)의 소정의 작동 하중이 초과되면서 충격력이 변형 에너지로 변환될 때,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의 정지 부재(63)에 의해 노즐판(50)의 구멍(51)을 통해서 직경이 감소된 상태로 압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이러한 에너지가 소산되면서,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을 구비한 베어링 블록이 고정판(50) 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완충기(40)는 2개의 안내 레일(43)을 구비한 종방향 변위 안내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안내 레일은 그 차량측 단부에 의해 고정판(50)에 고정되며,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으로 구성된 전체 베어링 블록이 과도 충격시 축방향으로 조절되면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 레일(43)은 또한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을 차량의 설치 공간 내로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안내 레일(43)은 설치 공간의 해당 벽에 볼트(44)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중앙 버퍼 커플링은 로킹 기구(6)를 포함한 기계 작동식 혹은 공압 작동식 로킹부(locking)(5)를 구비하며, 이러한 로킹 기구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배치된 제1 로킹 부재(7)와 상호 작용한다. 제1 로킹 부재(7)와 상보형인 제2 로킹 부재(8)가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에 배치되며, 이러한 제2 로킹 부재는 제1 로킹 부재와 체결될 수 있어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을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에서의 제2 로킹 부재(8)의 위치에 따라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은 각기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5a 내지 도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중앙 버퍼 커플링(1)에 의해 제공되는 커플링 로드(90)의 전개 기능 및 후퇴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버퍼 커플링의 전개 상태, 즉 커플링 로드(90)와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이 선형 구동 장치(30)에 의해 전개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플링 헤드(100)는 결합면에 놓여 결합 준비 상태로 된다.
도5b는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이 선형 구동 장치(30)에 의해 고정판(50) 쪽으로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로드(90)의 조인트 핀(2), 조인트 포크(72), 조인트 아이(92) 및 차량측 단부(91)와 함께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의 커플링 헤드측 영역은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의 베어링 판(61)에 구비된 개구(62)를 통해 안내된다. 도5a에 도시한 위치와는 달리, 커플링 헤드(100)는 더 이상 결합면 내에 위치하지 않으며, 그 대신에 일례로 차량의 전방 해치(hatch)(미도시)가 폐쇄 노우즈 원추체를 형성시킬 수 있게 폐쇄될 수 있도록 후퇴면에 위치한다.
도5c는 완충기 작동 후의 도5b의 중앙 버퍼 커플링(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기의 작동시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으로 구성된 전체 베어링 블록이 고정판(50) 쪽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이동은 안내 레일(43)과 볼트 체결 연결부(42)에 의해 축방향으로 조절된다. 베어링 블록(60, 70)이 고정판(50) 쪽으로 이동될 때, 변형가능 관(41)은 고정판(50)에 구비된 구멍(51)을 통해 직경이 감소된 상태로 압입되며, 전달된 충격력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변형 에너지로 사용되면서 소산된다. 이때 한 가지 유의할 점은,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과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이 선형 구동 장치(30)와 함께 일체로 고정판(50) 쪽으로 이동된다는 점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버퍼 커플링 중에서 노즐판으로서 형성된 고정판(5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압 작동식 선형 모터 대신에 전기 선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 버퍼 커플링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차량측 영역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중앙 버퍼 커플링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중앙 버퍼 커플링에 사용되는 베어링 블록과 완충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중앙 버퍼 커플링 전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5a는 도4의 중앙 버퍼 커플링이 완전히 전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b는 도5a의 중앙 버퍼 커플링이 완전히 후퇴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c는 도5b의 중앙 버퍼 커플링의 완충 작용 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중앙 버퍼 커플링의 커플링 헤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7은 도1의 중앙 버퍼 커플링의 고정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중앙 리셋 기구 4: 수직 지지체
5: 로킹부 6: 로킹 기구
7: 제1 로킹 부재 8: 제2 로킹 부재
9: 구형 지지 베어링 30: 선형 구동 장치
31: 선형 구동 장치의 제1 부재 32: 선형 구동 장치의 제2 부재
40: 완충기 41: 변형가능 관
42: 완충기의 볼트 연결부 43: 안내 레일
44: 안내 레일 볼트 45: 원추형 링
50: 고정판 51: 변형가능 관의 구멍
52: 고정 구멍
60: 베어링 블록 / 제1 베어링 블록 부품
61: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의 베어링 판 62: 베어링 판 개구
63: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의 정지 부재
64: 제1 베어링 블록 부품의 지지 부재
65: 지지 부재의 축방향 연장 표면 67: 지지판
71: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의 선형 안내부 72: 조인트 포크
90: 커플링 로드 91: 커플링 로드의 차량측 단부
92: 조인트 아이 93: 커플링 로드의 드로우기어
94: 안내 슬리브 100: 커플링 헤드
101: 커플링 헤드의 단부판

Claims (14)

  1. 차량, 특히 철도 차량용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1)으로서,
    커플링 헤드(100)와;
    상기 커플링 헤드(100)에 연결되는 커플링 로드(90)와;
    상기 커플링 로드(90)의 차량측 단부(91)가 수평으로 선회될 수 있게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베어링 블록(60, 70)과;
    상기 중앙 버퍼 커플링(1)을 차량에 고정시킬 수 있게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언더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판(50)과;
    변형가능 관(41) 형태의 파괴가능하게 형성된 힘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커플링 헤드측 단부는 베어링 블록(60, 70)에 인접하며, 차량측 단부는 고정판(50)에 인접하는, 완충기(40)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기(40)는 베어링 블록(60, 70), 변형가능 관(41) 및 고정판(50)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볼트 연결부(42)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연결부는 과도한 충격시에 베어링 블록(60, 70)이 고정판(5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1)에 있어서,
    상기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1)은 커플링 로드(90)를 고정판(5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절가능한 선형 구동 장치(3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블록(60, 70)은, 변형가능 관(41)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에 인접하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과, 커플링 로드(90)의 차량측 단부(91)가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은 선형 구동 장치(30)에 의해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 장치(30)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결합되는 제1 부재(31)와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에 결합되는 제2 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구동 장치(30)의 작동시에 선형 구동 장치(30)의 제1 부재(31) 및 제2 부재(32)는 텔레스코픽 방식의 연쇄 동작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선형 구동 장치(30)의 제1 부재(31) 및 제2 부재(32)는 서로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은 개구(62)를 구비한 베어링 판(61)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를 통해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가 선형 구동 장치(30)에 의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의 축방향 변위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되며, 상기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은, 베어링 판(61)의 차량측 단부면에 인접하고 베어링 판(61)에 고정 연결되며 차량측 단부가 변형가능 관(41)과 접하는 정지 부재(63)와, 변형가능 관(4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정지 부재(63)에 고정 연결되는 지지 부재(64)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구동 장치(30)의 제 1 부재(31)는 지지 부재(64)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은 차량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안내부(71)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안내부는 선형 구동 장치(30)의 작동시 지지 부재(64)의 축방향 연장 표면(65)에서 활주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선형 안내부는 선형 구동 장치(30)의 제1 부재(31)에 대해 이동하는 제2 부재(32)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은 그 커플링 헤드측 단부에서 조인트 포크(72)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 포크는 커플링 로드(90)의 차량측 단부(91)에 형성된 조인트 아이(92)를 수용하며 조인트 핀(2)에 의해 수평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은 개구(62)를 구비한 베어링 판(61)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를 통해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가 선형 구동 장치(30)에 의한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의 축방향 변위시에 적어도 부분적 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50)은 바람직하게는 구멍(51)이 중앙에 배치된 노즐판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변형가능 관(41)은, 중앙 버퍼 커플링(1)의 소정의 작동 하중이 초과되면서 충격력이 변형 에너지로 변환될 때, 노즐판(50)의 구멍(51)을 통해 직경이 감소된 상태로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의해서 압입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을 구비한 베어링 블록(60, 70)은 동시에 고정판(5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40)는 변형가능 관(41)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와 접하는 원추형 링(45)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가능 관(41)은 중앙 버퍼 커플링(1)의 소정의 작동 하중이 초과될 때 직경이 증가되는 상태로 충격 에너지를 변형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어링 블록 부품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을 구비한 베어링 블록(60, 70)은 동시에 고정판(5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버퍼 커플링(1)은 중앙 리셋 기구(3) 및/또는 커플링 로드(90)용 수직 지지체(4)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베어링 판(61)의 커플링 헤드측 단부면에서 바람직하게는 해제가능한 지지판(67)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10.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 장치(30)는 전기 선형 모터, 유압 선형 모터 또는 나사형 스핀들을 구비한 선형 구동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11.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로드(90) 및/또는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으로의 커플링 로드(90)의 링크 장치에 바람직하게는 재생가능하게 형성된 드로우기어(9, 9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12.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버퍼 커플링(1)은 바람직하게는 기계식으로 작동가능한 로킹부(5)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는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이 선형 구동 장치(30)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위된 후에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과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5)는,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배치되는 로킹 기구(6)와, 상기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에 배치된 로킹 기구(6)에 의해 작동가능한 정지 부재(7)와, 상기 제1 정지 부재(7)와 상보형으로 형성되고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정지 부재(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1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40)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일(43)을 구비한 종방향 변위 안내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안내 레일은 그 차량측 단부에 의해 고정판(50)에 고정되며, 상기 안내 레일은, 중앙 버퍼 커플링(1)의 소정의 작동 하중이 초과될 때, 제1 베어링 블록 부품(60) 및 제2 베어링 블록 부품(70)을 구비한 베어링 블록(60, 70)이 고정판(50) 쪽으로 축방향으로 조절되면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KR1020070119708A 2007-02-08 2007-11-22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KR100979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02766.9 2007-02-08
EP07002766A EP1955918B1 (de) 2007-02-08 2007-02-08 Automatische Mittelpufferkupp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704A true KR20080074704A (ko) 2008-08-13
KR100979610B1 KR100979610B1 (ko) 2010-09-01

Family

ID=3817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708A KR100979610B1 (ko) 2007-02-08 2007-11-22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708157B2 (ko)
EP (1) EP1955918B1 (ko)
KR (1) KR100979610B1 (ko)
AT (1) ATE429368T1 (ko)
AU (1) AU2007242929B2 (ko)
DE (1) DE502007000644D1 (ko)
DK (1) DK1955918T3 (ko)
ES (1) ES2324686T3 (ko)
NO (1) NO333865B1 (ko)
PL (1) PL1955918T3 (ko)
PT (1) PT1955918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046B1 (ko) * 2006-09-05 2008-01-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SE534926C2 (sv) * 2010-06-23 2012-02-21 Ego Int Bv Energiupptagande koppelhuvud för en draginrättning
SE534923C2 (sv) * 2010-06-23 2012-02-21 Ego Int Bv Draginrättning med en genom ett koppelhuvud gående förstyvningsbalk
US8714377B2 (en) 2011-02-04 2014-05-06 Wabtec Holding Corp. Energy absorbing coupler
US8960464B2 (en) 2011-04-08 2015-02-24 Wabtec Holding Corp. Coupler support mechanism
CN102424057B (zh) * 2011-12-05 2015-04-15 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高速动车组用伸缩式钩缓装置伸缩机构
PL2617622T3 (pl) * 2012-01-17 2017-08-31 Voith Patent Gmbh Urządzenie do pionowego podpierania drążka sprzęgu
US9561807B2 (en) * 2012-03-15 2017-02-07 Patentes Talgo, S.L. Elastic coupling between rail vehicle wagons
CN102700563B (zh) * 2012-06-13 2014-11-26 南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钩缓用过载保护吸能装置
CN105026239B (zh) 2013-03-22 2018-09-21 韦伯太克控股公司 自动化连接器定位装置
RU2637833C2 (ru) 2013-09-27 2017-12-07 Сименс Акциенгезелльшафт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полностью погружаемым сцеп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CN106170423B (zh) 2014-03-10 2018-10-19 德尔纳库普勒斯股份公司 轴承架和联接杆或连接杆的系统、多车厢车辆以及用于控制联接杆或连接杆的运动的方法
US9701323B2 (en) 2015-04-06 2017-07-11 Bedloe Industries Llc Railcar coupler
CN105172824B (zh) * 2015-08-04 2018-06-22 深圳市乾行达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管-蜂窝芯一体式防爬器
CN105083318B (zh) 2015-09-28 2016-09-14 青岛思锐科技有限公司 车钩弹簧垂向支撑装置
JP6561207B2 (ja) * 2015-09-30 2019-08-14 中▲車▼青▲島▼四方▲機車車▼輌股▲分▼有限公司Crrc Qingdao Sifang Co., Ltd. エネルギ吸収装置及び当該エネルギ吸収装置を含む鉄道車両
CN105151075B (zh) * 2015-09-30 2018-03-20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吸能装置及具有该吸能装置的轨道车辆
CN105620505B (zh) * 2016-01-06 2018-01-16 中南大学 导向复合式专用吸能结构及其在列车上的应用
CN105599783B (zh) * 2016-01-18 2017-11-03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钩缓装置及钩高调节限位装置
CN106218662B (zh) * 2016-08-23 2018-07-10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伸缩式车钩缓冲装置
CN106379368B (zh) * 2016-10-21 2018-05-25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车钩组件及具有该车钩组件的轨道车辆
US10518789B2 (en) 2016-10-21 2019-12-31 Crrc Qingdao Sifang Co., Ltd. Coupling assembly and rail vehicle having same
CN106740966A (zh) * 2016-12-15 2017-05-31 中车山东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车辆用缓冲连接装置及其应用
DE102016125087A1 (de) * 2016-12-21 2018-06-21 Voith Patent Gmbh Kupplungs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Schienenfahrzeug
KR102006082B1 (ko) * 2017-12-19 2019-07-3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커플러 토크 작업용 지그
CN108839668B (zh) * 2018-06-27 2020-01-31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车钩伸缩装置及车钩
CN109094603A (zh) * 2018-08-30 2018-12-28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轨道车辆及其车钩箱
US11780477B2 (en) 2018-08-30 2023-10-10 Crrc Zhuzhou Locomotive Co., Ltd. Rail vehicle and coupling box thereof
EP3626573B1 (en) * 2018-09-21 2021-08-11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tructural link between two rail vehicle subassemblies and associated rail vehicle assembly
KR102218947B1 (ko) * 2019-09-06 2021-02-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센터링 디바이스
SE544403C2 (en) * 2020-09-30 2022-05-10 Rxd Res Exchange Development Ab Energy dissipation device
WO2022158620A1 (ko) * 2021-01-25 2022-07-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센터링 디바이스
US20220242461A1 (en) * 2021-01-29 2022-08-04 Amsted Rail Company, Inc. Crash energy management systems for car coupling systems of rail cars
WO2023018526A1 (en) * 2021-08-11 2023-02-16 Amsted Rail Company, Inc. Crash energy management systems for car coupling systems of rail cars
CN114215852B (zh) * 2021-12-09 2024-02-23 济南铸信机械有限公司 一种抗震式颚式破碎机轴承座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25Y2 (ja) * 1991-05-18 1995-07-0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鉄道車両の連結装置
DE4302444A1 (de) * 1993-01-29 1994-08-04 Dellner Couplers Ab Automatische Mittelpufferkupplung
DE19513386A1 (de) * 1995-04-08 1996-10-10 Scharfenbergkupplung Gmbh Längenverstellbare Kupplungsstange
DE19719646B4 (de) * 1997-05-09 2004-12-30 Sab Wabco Bsi Verkehrstechnik Products Gmbh Rückziehbare Mittelpufferkupplung
US6279765B1 (en) * 1998-01-20 2001-08-28 Asf-Keystone, Inc. Railcar cushioning device with internal spring
FR2850930B1 (fr) 2003-02-12 2014-03-07 Alstom Vehicule, notamment ferroviaire, comportant une extremite equipee d'un dispositif d'attelage
DE502005001381D1 (de) * 2005-05-06 2007-10-11 Voith Turbo Scharfenberg Gmbh Trennbare Mittenstellungs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24686T3 (es) 2009-08-12
US20080277366A1 (en) 2008-11-13
NO333865B1 (no) 2013-10-07
PT1955918E (pt) 2009-07-16
AU2007242929B2 (en) 2012-03-15
DK1955918T3 (da) 2009-08-17
US7708157B2 (en) 2010-05-04
NO20075971L (no) 2008-08-11
EP1955918A1 (de) 2008-08-13
ATE429368T1 (de) 2009-05-15
KR100979610B1 (ko) 2010-09-01
AU2007242929A1 (en) 2008-08-28
EP1955918B1 (de) 2009-04-22
PL1955918T3 (pl) 2009-09-30
DE502007000644D1 (de)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610B1 (ko)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KR101141476B1 (ko) 멀티 섹션 차량의 에너지 흡수 장치
RU2559870C2 (ru) Сцепной узел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KR101193658B1 (ko) 레일본 운송수단의 전면 또는 후면영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충격흡수장치
CN100503331C (zh) 用于轨道车辆的中央缓冲联结器
CA2695818C (en) Shock absorber
RU2670735C2 (ru) Ударно-тя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7913865B2 (en) Support device
RU138839U1 (ru) Сцеп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7490729B2 (en) Center buffer coupling for railroad cars
EP3992054A1 (en) Foldable vehicular coupler and vehicle
KR101220572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가지는 자동차
KR101220611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자동차 필러부품
CZ2006689A3 (cs) Trubkový nárazník
PL204337B1 (pl) Zderzak tulejow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