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102A - 적층필름과 그 제조방법, 적층필름을 사용한 광학시트, 및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적층필름과 그 제조방법, 적층필름을 사용한 광학시트, 및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102A
KR20080074102A KR1020087009312A KR20087009312A KR20080074102A KR 20080074102 A KR20080074102 A KR 20080074102A KR 1020087009312 A KR1020087009312 A KR 1020087009312A KR 20087009312 A KR20087009312 A KR 20087009312A KR 20080074102 A KR20080074102 A KR 20080074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ed film
mass
suppor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하타케야마
타카시 코바야시
카츠요시 스즈키
타츠야 노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549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5288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262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03635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지지체(11)를 2축 연신한다. 2축 연신된 지지체(11) 상에 도포층(12)을 형성함으로써 적층필름(10)을 작성한다. 도포층(12)은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 바인더 및 카르복디이미드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0.3㎛ 이상 12㎛ 이하인 범위에 있다.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에 의해 미립자를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어, 제조공정이나 다음 가공공정에서의 미립자의 박락이 억제된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을 0.3㎛~12㎛로 하고, 적층시트(10)의 헤이즈를 3% 이하로 한다.
적층필름, 광학시트, 표시장치

Description

적층필름과 그 제조방법, 적층필름을 사용한 광학시트, 및 표시장치{MULTILAYER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OPTICAL SHEET USING MULTILAYER FILM, AND DISPLAY}
본 발명은 접착성을 갖는 적층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적층필름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광학시트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시트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우수한 투명성, 치수안정성, 내약품성, 저흡습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 반사방지 시트, 광확산 시트, 하드코트 시트(hard coat sheet) 등의 베이스 필름,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IR 흡수 시트, 전자파실드 시트, 조색 시트, 반사방지 시트, 방현 시트, 하드코트 시트 등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베이스 필름에는 우수한 투명성이 요구되는 동시에, 그 위에 적층되는 프리즘층을 비롯한 층(이하, 상층이라고 함)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접착 용이성)이 필요로 된다. 그러나, 베이스 필름과 상층은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등의 이유때문에, 서로를 직접적으로 충분한 강도로 접착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지지체(폴리에스테르 지지체라고 칭함) 상에 접착 용이층이라고 불리는 도포층을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필름(적층필름)을 작성한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접착 용이층을 형성함으로써,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리즘 렌즈나 하드코트와의 접착성 향상을 도모하기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지지체 상에 폴리에스테르와 우레탄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접착 용이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우레탄은 상층에 대해서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다.
또한, 적층필름에서는 표면의 미소한 상처도 광학적인 결점이 되기 때문에, 상처가 극히 적은 것이 소망되고, 또한 표면에 상처가 생기기 어려운 것도 요구된다. 이 상처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접착 용이층에 매트제로서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를 첨가하여 미끄럼성을 양호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3에는 실리카 미립자를 접착 용이층에 첨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6-34004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0-22939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00-296595호 공보
그런데, 적층필름에서는 투명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미끄럼성 개선을 위한 미립자의 첨가량을 너무 많게 할 수 없다. 그래서, 도포층에 첨가하는 미립자의 사이즈를 크게 하고 첨가량에 대해서는 적게 함으로써 투명성을 유지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어느 정도 큰 미립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공정이나 다음의 가공 공정에서 미립자가 박락(剝落)한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박락한 미립자는 반송롤러의 표면이나 필름 표면에 부착되어서 상처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어, 큰 문제가 된다.
더욱이, 종래의 방법에서는 광학시트의 상층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나, 광학시트를 탑재한 표시장치가 장시간 고온이나 다습한 분위기 하에 둘 경우에는 지지체와 도포층의 계면이나 도포층과 상층의 계면에서의 접착성이 저하해버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베이스 필름과 상층이 박리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층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나 장시간 고온이나 다습에 노출될 경우에, 접착성이 저하하지 않는 적층필름의 제안이 소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 미끄럼성을 양립하면서 미립자의 박락를 방지하도록 한 적층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층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나 고온다습 하에 두어도, 지지체와 상층 쌍방에 대해서 충분한 접착 용이성을 나타내는 접착 용이층을 갖는 적층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별도의 목적은 이 적층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광학시트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 바인더 및 분자내에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층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는 2축 연신에 의해 형성되고,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포층의 바인더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복수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복수개 갖는 화합물의 질량이 상기 바인더의 질량에 대해서 1~2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0.3㎛ 이상 12㎛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적층필름으로서의 헤이즈가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적층필름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지지체와, 지지체의 적어도 한 쪽 면에 직접 적층되는 제 1 층, 및 제 1 층에 직접 적층되고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과 가교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 2 층을 구비한다.
또한, 가교된 화합물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또는 에폭시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층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층 및 제 2 층은 모두 지지체를 2축 연신한 후에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층의 두께는 30nm 이상 15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적층필름 상에, 프리즘층, 반사 방지층, 광확산층, 방현층 중 적어도 1층을 형성함으로써, 광학시트가 구성된다. 또한, 이 광학시트를 사용하여 표시장치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의 제조방법은 폴리머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2축 연신하는 공정과,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 쪽 면에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 바인더 및 분자내에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교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적층필름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2축 연신하는 공정, 지지체의 적어도 한 쪽 면에 제 1 층이 되는 제 1 도포액을 도포하는 공정,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제 2 층이 되는 제 2 도포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에 의해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가 확실하게 포착되어서 박락하는 일이 없어, 박락한 미립자에 의한 적층필름면의 상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에 의해서 미립자의 포착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0.3㎛ 이상 12㎛ 이하와 평균 입경이 비교적 큰 미립자를 이용하여도 박락하는 일이 없게 되어, 미끄럼성을 확보하면서 투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처의 발생이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광학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층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나, 장시간 고온이나 다습한 분위기 하에 두어도, 지지체와 상층 쌍방에 대한 접착 용이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는 적층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필름을 프리즘층이나 반사 방지층 등의 층과 조합시킴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광학시트나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필름을 나타내는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적층필름을 나타내는 요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O: 적층필름 11: 지지체
12: 도포층 20: 적층필름
21: 지지체 22: 제 1 층
23: 제 2 층 24: 도포층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적용예를 기재하고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필름(10)은 폴리머제의 투명한 지지체(11)의 적어도 한 쪽 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도포층(12)을 갖고 있다. 도포층(12)은 매트제로서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 바인더, 및 분자내에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교제를 함유하고 있다.
적층필름(10)의 도포층(12) 상에,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의 프리즘층, 반사 방지층, 광확산층, 방현층 중 적어도 1층을 적층함으로써, 광학시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광학시트를 이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적층필름(10)은 액정 디스플레이 이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 등의 다른 표시장치에도 사용된다. 또한, 적층필름(10)은 하드코트층(hard coat layer),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IR 흡수 시트, 전자파 실드 시트, 조색 시트 등에 사용되어도 좋다.
[지지체]
본 발명의 투명 지지체(11)로는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비용이나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신을 행한 것이 바람직하고, 2축 연신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1.5~7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배 정도이다. 특히 종횡방향에 각각 2~5배 정도 연신한 2축 연신품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1.5배 보다도 작으면 충분한 기계적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반대로 7배를 초과하면 균일한 두께를 얻는 것이 어렵게 된다.
지지체(11)의 두께는 30㎛ 이상 4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350㎛ 이하이다. 두께가 30㎛ 미만이면 탄력이 없어져서 취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반대로 400㎛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두꺼운 것은 표시장치의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비용적으로도 불리하게 된다.
[매트제]
도포층(12)에 함유되는 매트제로서의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수지, 벤조구아나 민 수지 등의 폴리머 미립자나 실리카,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등의 무기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카는 미끄럼성 개량 효과,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매트제의 평균 입경은 0.3㎛ 이상 12㎛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9㎛ 이하의 범위이다. 평균 입경이 0.3㎛ 미만으로 되면 미끄럼성의 개량 효과가 불충분지고, 12㎛를 초과하면 표시장치의 표시품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매트제의 양은 평균 입경을 크게 함에 따라서 적게 하고, 평균 입경을 작게 함에 따라서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0.1mg/㎡ 이상 3Omg/㎡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O.5mg/㎡ 이상 20mg/㎡ 이하의 범위이다. 첨가량이 0.1mg/㎡ 미만에서는 미끄럼성 개량 효과가 불충분해질 경우가 있고, 3Omg/㎡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하여 표시장치의 표시품위의 저하를 초래할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입경」이란 미립자를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촬상하여 형성된 미립자상과 동일 면적의 원의 직경을 말한다. 또한, 「평균 입경」이란 임의의 50개의 미립자에 대해서 구한 「입경」의 평균치를 말한다.
[바인더]
도포층(12)의 바인더에도 특별한 제한은 없고,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분자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의 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지지체(11)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하여 바람 직하다.
바인더로서 사용하는 폴리머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예컨대,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계 폴리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폴리머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로서 사용하는 폴리머의 분자량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보통 바인더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은 사용가능하다.
[가교제]
「분자내에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하, 적당하게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라고 칭함)」을 형성하는 가교제로는 분자내에 카르보디이미드기를 갖는 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분자내에 갖는 카르보디이미드기는 복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는 보통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축합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여기에서, 분자내에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의 합성에 사용되는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유기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방향족계, 지방족계 중 어느 하나 또는 그것들의 혼합계도 사용가능하지만, 반응성의 관점에서 지방족계가 특히 바람직하다. 합성 원료로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유기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된다.
유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그것들의 혼합물이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메틸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되고, 또한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로는 이소포론이소시아네이트, 페닐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부틸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는, 예컨대 CARBODILITE V-02-L2(상품명: Nisshinbo Industries, Inc. 제품) 등의 시판품으로서도 입수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는 바인더에 대해서 1~2OO질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0질량%의 범위이다. 첨가량이 1질량% 보다 적으면 미립자 박락의 방지가 불충분해질 경우가 있고, 200 질량%를 초과하면 도포면 형상이 악화될 경우가 있다.
[도포층]
본 발명의 도포층(12)에는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 바인더, 분자내에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을 형성하는 가교제, 및/또는 이 반응생성물이 필수성분으로서 함유되지만,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 활제, 대전방지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계면활성제로는 공지의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이온계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에 대해서는, 예컨대 「계면활성제 편람(니시 이치로, 이마이 이치로, 카사리 마사타카 편저, Sangyo-Tosho Publishing Co., Ltd., 1960년 발 행)에 기재되어 있다.
활제로는, 예컨대 왁스,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실리콘, CnH2n+1SO3Na(n=5~15의 자연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로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등의 전자 전도계의 폴리머, 분자쇄 중에 카르복실기나 술폰산기를 갖는 이온전도계 폴리머, 도전성 미립자 등이 있다. 이들 중, 특히 일본 특허공개 소61-20033호 공보에 기재된 도전성 산화주석 미립자는 도전성과 투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포층(12)의 두께는 0.02㎛ 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2㎛이다. 도포층(12)의 막두께가 0.02㎛ 미만이면, 도포층(12) 상에 형성한 층과의 접착성이 불충분해지고, 5㎛를 초과하면 헤이즈가 악화할 경우가 있다. 도포층(12)은 1층이어도 좋고, 2층 이상 적층해도 좋다. 2층 이상 적층하는 경우에는 전체 층의 두께의 합계가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5㎛,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2㎛ 이하이다.
본 발명의 도포층의 도포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도포방법으로는 바코터 도포, 슬라이드코터 도포 등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 용매도 물, 톨루엔, 메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에틸케톤 등, 및 이들의 혼합계 등의 수계, 유기용제계의 도포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도포는 지지체(11)를 1축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행해도 좋고, 2축 연신한 후에 행해도 좋다. 그러나, 횡연신 후의 지지체(11)의 단부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2축 연신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11)에 대해서 도포면(12)은 한 쪽 면 뿐만 아니라, 다른 쪽의 면에도 형성해도 좋다.
[헤이즈]
본 발명의 적층필름(10)의 헤이즈는 3% 이하인 것이 필요하지만, 2%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헤이즈는 적층필름의 이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헤이즈 미터로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헤이즈의 치가 3%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하고, 적층필름(10)을 조립한 표시장치의 표시품위가 저하한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과 첨가량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헤이즈를 이 값으로 억제할 수 있다.
[표시장치]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이들 표시장치에 대해서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첨단기술(타니 치즈카저, Kyoritsu Publication Inc., 1998년 출판)」, 「EL, PDP, LCD 디스플레이(Toray Research Center, Inc., 2001년 발행)」,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코바야시 순스케저, Sangyo-Tosho Publishing Co., Ltd., 1990년 출판) 등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필름과, 프리즘층, 반사 방지층, 광확산층, 방현층, 하드코트층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광학시트는 우수한 광학특성을 나타낸다. 이것들의 구체적 예시로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 반사방지 시트, 광확산 시트, 하드코트 시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IR 흡수 시트, 전자 파 실드 시트, 조색 시트 등이 열거되고, 예컨대 상기 문헌 이외에, 일렉트릭 저널지 2002년 8월호의 74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공통인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적층필름(20)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지지체(21)와, 지지체(21)로부터 가까운 측으로부터 제 1 층(22)과 제 2 층(23)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도포층(24)을 갖는다. 또한, 도포층(24)은 지지체(21)의 적어도 한 쪽 면에 형성되면 좋고, 그 면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지지체(21)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로는 제 1 실시형태의 지지체(11)와 동일하다. 또한, 지지체(21)의 두께에 대해서도 지지체(11)와 동일하다.
제 1 층(22)은 지지체(21) 상에 직접적으로 적층되는 층이다. 제 1 층(22)은 바인더를 함유하는 것이 필수이고, 또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형성하는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층(22)에 사용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그 첨가량은 제 1 층(22)의 바인더(제 1 바인더) 질량의 1%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 5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다. 첨가량이 1% 미만인 경우에는, 제 1 층(22)에 미립자가 함유되어 있을 경우 그 미립자의 박락을 방지하는 것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으로, 첨가량이 100%를 초과하면, 제 1 층(12)의 도포면 형상이 악화될 경우가 있다.
제 1 바인더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a) 아크릴 수지, (b) 폴리 우레탄 수지, (c) 폴리에스테르 수지, (d) 고무계 수지 등의 폴리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a) 아크릴 수지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것들의 유도체를 성분으로 하는 폴리머이다. 구체적 예시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히드록실아크릴레이트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들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예컨대, 스티렌, 디비닐벤젠 등)를 공중합한 폴리머가 열거된다.
(b) 폴리우레탄 수지란 주쇄에 우레탄 결합을 갖는 폴리머의 총칭이고, 보통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고, 폴리올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헥산트리올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진 폴리우레탄 폴리머에 쇄연장 처리를 하여 분자량을 증대시킨 폴리머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 상술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쇄연장 처리에 대해서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수지 핸드북」(이와타 케이지 편, Nikkan Kogyo Shimbun Ltd., 1987년 발행)에 기재되어 있다.
(c)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주쇄에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폴리머의 총칭이고, 보통 폴리카르복실산과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폴리카르복실산으로는, 예컨대 푸마르산, 이타콘산, 아디프산, 세박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이 있고, 폴리올로는 예컨대 상술한 것이 열거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원료에 대해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핸드북」(타키야마 에이치로저, Nikkan Kogyo Shimbun Ltd., 1988년 발행)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d) 고무계 수지란 합성 고무 중 디엔계 합성 고무를 말한다. 구체예로는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디비닐벤젠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프렌 등이 있다. 고무계 수지에 대해서는, 예컨대 「합성 고무 핸드북」(칸바라 슈 외 편집, Asakura Publishing Co., Ltd., 1967년 발행)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지지체(21)에 대한 접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제 1 바인더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바인더로는 상기 폴리머를 유기용제에 용해한 것이어도 좋고, 수분산물이어도 좋다. 단, 환경 부하가 작기 때문에 수분산물인 바인더를 수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산물로는 시판 폴리머를 사용하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는, 예컨대 Superflex 830, 460, 870, 420, 420NS(상품명: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품, 폴리우레탄), VONDIC 1370NS, 1320NS, HYDRAN APX-101H, AP-40(F)(상품명: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제품, 폴리우레탄), JURYMER ET325, ET410, SEK301(상품명: Nihon Junyaku Co., Ltd. 제품, 아크릴), VONCOAT AN117, AN226(상 품명: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제품, 아크릴), RACKSTAR DS616, DS807(상품명: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제품,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NIPOL LX110, LX206, LX426, LX433(상품명: Zeon Corporation 제품,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NIPOL LX513, LX1551, LX550, LX1571(상품명: Zeon Corporation 제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FINETEX ES650, ES2200(상품명: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제품, 폴리에스테르), VYLONAL MD 1400, MD 1480(상품명: Toyobo Co., Ltd. 제품, 폴리에스테르)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제 1 바인더로서 사용하는 폴리머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제 1 바인더로서 사용하는 폴리머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통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3000~1000000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미만인 폴리머는 제 1 층(22)의 강도가 불충분해질 경우가 있고, 한편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을 초과하는 폴리머는 도포액의 점도를 높게 하여 제 1 층(22)에 라인 형상의 결함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또한, 제 1 층(22)에는 굴절률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산화주석,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탄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산화주석으로는 SnO2의 조성을 갖는 산화주석(IV)이 바람직하다. 이 산화주석에 안티몬 등을 도프한 미립자는 도전성을 갖기 때문에, 적층필름의 표면 저항율을 저하시켜서 먼지 등의 불순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 가 얻어져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티몬을 도프한 산화주석의 구체적 예시로는 시판되어 있는 FS-10D, SN-38F, SN-88F, SN-100F, TDL-S, TDL-1(모두 Ishihara Sangyo Kaisha, Ltd. 제품) 등이 열거되고, 본 발명에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지르코늄은 ZrO2의 조성을 갖고, 예컨대 NZS-20A, NZS-30A(모두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가 열거되고, 이것들도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산화티탄으로는 TiO2의 조성을 갖는 산화티탄(IV)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탄은 결정구조의 차이에 의해 루틸형(정방정 고온형)이나 아나타제형(정방정 저온형) 등이 존재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면처리가 실시된 산화티탄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산화티탄으로는, 예컨대 IT-S, IT-O, IT-W(모두 Idemitsu Kosan Co., Ltd. 제품) 등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15nm 이상 200nm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립자를 제 1 층(22)에 첨가함으로써, 제 1 층(22)의 굴절률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단,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200nm 보다도 클 경우에는 광이 미립자에 부딪치기 쉬워 장해물이 될 우려가 있고, 한편으로 평균 입경이 15nm 미만일 경우에는 미립자끼리가 응집하여 거대화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제 1 층(22)에는 용도에 따라, 상기 이외에 매트제나 계면활성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 층(22)에 사용할 수 있는 매트제로 는 제 1 실시형태의 도포층(12)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제 1 층(22)에 사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는 제 1 실시형태의 도포층(12)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양은 필름의 면적에 대해서 0.1mg/㎡ 이상 3Om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O.2mg/㎡ 이상 1Omg/㎡ 이하의 범위이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이 0.1mg/㎡ 미만이면 튐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한편으로 3Omg/㎡을 초과하면 제 1 층(22)의 면형상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제 1 층(22)에는 대전방지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대전방지제의 종류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도포층(12)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대전방지제의 첨가량은 25℃ 30%RH 분위기에서 측정한 제 1 층(12)의 표면 저항율이 1×1O5Ω 이상 1×1O13Ω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저항율이 1×1O5Ω 미만이 되면 대전방지제의 첨가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적층필름의 투명성이 저하할 염려가 있고, 1×1O13Ω를 초과하면 대전 방지효과가 불충분해지고, 한편으로 먼지가 부착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제 1 층(22)의 두께는 지지체(21)에 대한 접착 용이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30nm 이상 150nm 이하가 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층(22)의 두께를 65nm 이상 110nm 이하로 하는 것이다. 제 1 층(22)의 막두께가 30nm 미만인 경우에는 지지체(21)와 제 1 층(22)의 접착성이 불충분할 우려가 있다. 한편으로, 제 1 층(22)의 두께가 150nm를 초과하면, 제 1 층(22)의 면형상이 악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제 2 층(23)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2 층(23)은 제 1 층(22) 보다도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지지체(2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층이고, 적층필름(20)의 최외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층(23)은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인 제 2 바인더, 및 가교제에 의해 형성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필요에 따라 굴절률을 제어할 목적에서 제 1 층(22)의 부분에서 설명한 산화주석,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탄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립자나, 매트제, 활제,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제 2 바인더에 사용하는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로는 분자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는 제 1 층(2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수지의 상세한 설명은 제 1 층(22)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제 2 바인더로는 상기 폴리머를 유기용제에 용해한 것이어도 좋고, 수분산물 이어도 좋다. 단, 환경 부하가 작기 때문에, 수분산물의 바인더를 수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산물로는 상술한 시판 폴리머를 사용해도 좋다.
제 2 바인더로서 사용하는 폴리머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제 2 바인더로서 사용하는 폴리머의 분자량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보통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3000 내지 1000000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미만인 것은 도포층의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1000000을 초과하는 것은 도포액의 점도를 높여서 도포층에 라인형상의 결함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층(23)을 위해서 사용되는 가교제로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카르보디이미드계 또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로는 제 1 실시형태의 도포층(12)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분자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예컨대 Denacol(상품명: Nagase Chemicals Co. Ltd. 제품, EX614B, EX521, EX512, EX301, EX313, EX314, EX810, EX811) 등이 열거된다.
제 2 층(23)을 위한 가교제의 첨가량은 제 2 바인더의 질량의 1~1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의 범위이다. 첨가량이 1% 보다 적으면 제 2 층(23)과 상층의 접착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한편으로 첨가량이 100%를 초과하면 제 2 층(23)의 면형상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제 2 층(23)에는 필요에 따라 매트제나 활제,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활제도 매트제와 마찬가지로 미끄럼성을 부여하는 것이지만, 매트제는 도포표면의 미립자가 마찰 저감 효과를 발휘하는 것에 반하여, 활제는 도포막에 윤활성을 부여함으로써 마찰 저감 효과를 발휘한다. 제 2 층(23)에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첨가제의 종류와 양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 1 층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첨가제의 상세한 것은 제 1 층(22) 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층(23)에 첨가제로서 활제를 사용할 경우, 이 활제의 종류 등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활제로서, 예컨대 합성 또는 천연 왁스, 실리콘 화합물, R-O-SO3M(단, R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CnH2n+1-; n은 3~20의 정수), M은 1가의 금속원자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이 열거된다.
활제의 구체예로는 Cellosol 524, 428, 732-B, 920, B-495, Hydrin P-7, D-757, Z-7-30, E-366, F-115, D-336, D-337, Polylon A, 393, H-481, Hi-micron G-110F, 930, G-270(상품명: Chukyo Yushi Co., Ltd. 제품)이나, Chemipearl W100, W200, W300, W400, W500, W950(상품명: Mitsui Chemicals, Inc. 제품) 등의 왁스계나, KF-412, 413, 414, 393, 859, 8002, 6001, 6002, 857, 410, 910, 851, X-22-162A, X-22-161A, X-22-162C, X-22-160AS, X-22-164B, X-22-164C , X-22-170B, X-22-800, X-22-819, X-22-820, X-22-821(상품명: 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등의 실리콘계나, C16H33-O-SO3Na, C18H37-O-SO3Na 등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활제의 양은 필름의 면적에 대해서 0.1mg/㎡ 이상 50mg/㎡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1mg/㎡ 이상 20mg/㎡ 이하이다. 단, 첨가량이 0.1mg/㎡ 미만인 경우에는 제 2 층(23)의 미끄럼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한쪽으로 50mg/㎡을 초과하면 제 2 층(23)의 면형상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제 2 층(23)의 두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우수한 투명성을 확보하면서 접착 용이성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10nm 이상 50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nm 이상 1500nm 이하이다. 제 2 층(23)의 두께가 10nm 미만이면, 상층과의 접착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한편으로 두께가 5000nm를 초과하면 면형상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도포층(24)은 제 1 층(22) 및 제 2 층(23)을 각각 도포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바코터 도포, 슬라이드코터 도포등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층(22)과 제 2 층(23)을 형성할 때에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해도 좋고, 다른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제 1 층(22)과 제 2 층(23)을 동시에 도포·건조해도 좋고, 제 1 층(22)을 도포·건조한 후에 제 2 층(23)을 도포·건조해도 좋다.
제 1 층(22) 및 제 2 층(23)을 함께 도포할 때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는 물, 톨루엔, 메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에틸케톤 등, 및 이것들의 혼합계 등의 수계, 유기 용제계의 도포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물을 도포용매로서 사용하는 방법은 비용, 제조의 간편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층(22) 및 제 2 층(23)에 사용하는 도포용매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제 1 층(22) 및 제 2 층(23)을 형성할 때에 행하는 도포는 지지체(21)을 1축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행해도 좋고, 2축 연신한 후에 행해도 좋다. 그러나, 횡연신 후의 베이스 단부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 1 층(22) 및 제 2 층(23)을 함께 2축 연신후에 도포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21)에 대해서 도포층(24)은 한 쪽 면 뿐만 아니라, 다른 쪽 면에도 형성해도 좋 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적층필름(20)은 제 1 실시형태의 적층필름(10)과 마찬가지로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적층필름(20)과, 프리즘층, 반사 방지층, 광확산층, 방현층, 하드코트층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광학시트는 우수한 광학특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부재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의 종류, 그것들의 비율, 처방 등은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하게 변경해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체]
Ge를 촉매로서 중축합한 고유점도 0.66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기재)를 함수율 50ppm 이하로 건조시키고, 히터 온도가 280~300℃인 설정 온도의 압출기내에서 용융시켰다. 용융시킨 PET를 다이부에서 정전인가시킨 냉각롤 상으로 압출하여 PET가 비결정인 지지체를 얻는다. 얻어진 지지체를 반송시키면서, 그 반송방향으로 3.1배로 연신후, 폭방향으로 3.9배로 연신하여, 두께 200㎛의 지지체(11)를 얻었다.
[접착 용이층]
상기 200㎛ 두께의 지지체(11)를 반송속도 70m/분으로 반송하고, 727J/㎡의 조건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행하고, 이 지지체(11) 상에 도포액을 바코트법에 의해 도포하였다. 도포량은 7.1㎤/㎡으로 하고, 180℃에서 1분 건조함으로써 적층필름(10)를 얻었다.
[헤이즈 측정]
헤이즈 미터(NDH-1001P, 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를 사용하여, JIS-K-6714-1977의 헤이즈가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미립자 박락성]
내마모성 시험기(Shinto Chemical Co., Ltd. 제품)를 사용하여, 적층필름(10)의 마모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포면에 대해서 흑지(Fuji Photo Film Co., Ltd. 제품, SKBT3 90BIG0)를 접촉시켜, 30mm×25mm 당 3kg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10cm의 거리를 100cm/분으로 러빙하는 러빙시험을 행하였다. 러빙시험 후에, 흑지에 부착되는 미립자가 박락하여 생긴 백분의 양을 목시로 아래와 같이 3단계로 평가하였다.
A: 백분 부착이 전무하거나 또는 미량 보여짐.
B: 백분 부착이 약간 보여짐.
C: 백분 부착이 현저하게 보여짐.
[실시예 1]
조성이 하기와 같은 도포액 A를 사용하였다.
도포액 A의 조성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44.9질량부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제품, FINETEX ES-650, 고형분 29%)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6.4질량부
(Nisshinbo Industries, Inc. 제품, Carbodilite V-02-L2, 고형분 40%, 카르보디이미드 당량 385)
·실리카 미립자 분산액 2.5질량부
(Nippon Shokubai Co., Ltd. 제품, SEAHOSTAR KE-W30, 고형분 20%, 평균 입경 0.3㎛)
·계면활성제 1.4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SANDET BL, 고형분 4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73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Naloacty HN-100, 비이온성)
·증류수 944.1질량부
[실시예 2]
조성이 하기와 같은 도포액 B를 사용하였다.
도포액 B의 조성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44.9질량부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제품, FINETEX ES-650, 고형분 29%)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6.4질량부
(Nisshinbo Industries, Inc.제품, Carbodilite V-02-L2, 고형분 40%, 카르보디이미드 당량 385)
·폴리스티렌 미립자 분산액 0.3질량부
(Zeon Corporation 제품, NIPOL UFN1008, 고형분 20%)
·계면활성제 1.4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SANDET BL, 고형분 4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73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Naloacty HN-100, 비이온성)
·증류수 946.3질량부
[실시예 3]
조성이 하기와 같은 도포액 C를 사용하였다.
도포액 C의 조성
·폴리아크릴 수지 바인더 43.4질량부
(Nihon Junyaku Co., Ltd. 제품, JURYMER ET-410, 고형분 30%)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6.4질량부
(Nisshinbo Industries, Inc.제품, Carbodilite V-02-L2, 고형분 40%, 카르보디이미드 당량 385)
·폴리스티렌 미립자 분산액 0.3질량부
(Zeon Corporation 제품, NIPOL UFN1008, 고형분 20%, 평균 입경 2.0㎛)
·계면활성제 1.4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SANDET BL, 고형분 4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73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Naloacty HN-100, 비이온성)
·증류수 947.8질량부
[실시예 4]
조성이 하기와 같은 도포액 D를 사용하였다.
도포액 D의 조성
·폴리우레탄 바인더 52.1질량부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품, Superflex 830, 고형분 25%)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6.4질량부
(Nisshinbo Industries, Inc.제품, Carbodilite V-02-L2, 고형분 40%, 카르보디이미드 당량 385)
·폴리스티렌 미립자 분산액 0.3질량부
(Zeon Corporation 제품, NIPOL UFN1008, 고형분 20%, 평균 입경 2.0㎛)
·계면활성제 1.4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SANDET BL, 고형분 4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73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Naloacty HN-100, 비이온성)
·증류수 939.1질량부
[실시예 5]
조성이 하기와 같은 도포액 E를 사용하였다.
도포액 E의 조성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31.4질량부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제품, FINETEX ES-650, 고형분 29%)
·폴리우레탄 바인더 15.6질량부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품, Superflex 830, 고형분 25%)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6.4질량부
(Nisshinbo Industries, Inc.제품, Carbodilite V-02-L2, 고형분 40%, 카르보디이미드 당량 385)
·폴리스티렌 미립자 분산액 0.3질량부
(Zeon Corporation 제품, NIPOL UFN1008, 고형분 20%, 평균 입경 2.0㎛)
·계면활성제 1.4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SANDET BL, 고형분 4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73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Naloacty HN-100, 비이온성)
·증류수 944.2질량부
[실시예 6]
실시예 1에 기재된 도포액 A를 제 1 층, 하기 도포액 F를 제 2 층으로서 지지체(11) 상에 도포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도포 조건은 제 1 층을 형성한 후에, 권취하지 않고 바코트법에 의해 제 2 층의 도포·건조를 행하였다. 도포량은 7.1㎤/㎡으로 하여 170℃에서 1분 건조하였다.
도포액 F의 조성
·폴리아크릴 수지 바인더 57.3질량부
(Nihon Junyaku Co., Ltd. 제품, JURYMER ET-410, 고형분 30%)
·에폭시계 가교제 1.2질량부
(Nagase ChemteX Corporation 제품, DENACOL EX-521)
·계면활성제 0.6질량부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SANDET BL, 고형분 44%, 음이온성)
·증류수 940.9질량부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사용한 도포액 A 중의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를 하기 멜라민계 가교제로 변경하고, 증류수의 양을 하기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한 조건에서 도포를 행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멜라민계 가교제 3.2질량부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제품, Bekkamin M-3, 고형분 80%)
·증류수 947.3질량부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사용한 도포액 A 중의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를 하기 에폭시계 가교제로 변경하고, 증류수의 첨가량을 하기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한 조건에서 도포를 행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에폭시계 가교제 2.6질량부
(Nagase ChemteX Corporation 제품, DENACOL EX-521)
·증류수 947.9질량부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사용한 도포액 A 중의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를 하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변경하고, 증류수 첨가량을 하기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한 조건에서 도포를 행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7.3질량부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품, ELASTRON BN-11, 고형분 35%)
·증류수 943.2질량부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각 실시예 1~6에서는 사용하는 미립자에 의해서 헤이즈는 다르지만 3% 이하이고, 또한 마모성의 평가는 모두 「A」이고, 백분 부착이 전무하거나 또는 미량이었다. 또한, 비교예 1~3에서는 헤이즈는 3% 이하이었지만, 마모성 평가가 비교예 1 및 2에서 「B」, 비교예 3에서 「C」이고, 백분 부착이 보여져 실용상 문제가 있는 것을 알았다.
Figure 112008027717196-PCT00001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의 종류, 각 재료의 비율, 처방 등은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하게 변경해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 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등이 동일한 경우에는 실시예 7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그외에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7]
이하의 순서에 의해, 적층필름의 지지체를 형성하였다. 우선, Ge를 촉매로하여 중축합한 고유점도 0.66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수율 50ppm 이하로 건조시키고, 히터 온도가 280~300℃ 설정 온도의 압출기내에서 용융시켰다. 용융시킨 PET를 다이부에서 정전인가시킨 냉각롤 상으로 압출하여, PET가 비결정인 지지체를 얻었다. 얻어진 지지체를 반송시키면서, 그 반송방향으로 3.3배로 연신한 후, 폭방향에 대해서 3.8배로 연신하여 두께 100㎛의 지지체를 얻었다.
상기에 의해 형성한 두께가 100㎛인 지지체의 양면을 반송속도 105m/분으로 반송하고, 730J/㎡의 조건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행한 후, 이 양면에 도포량이 4.4㎤/㎡이 되도록 제 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층 도포액을 바코트법에 의해 도포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180℃에서 1분 건조하여 제 1 층을 형성한 후, 계속해서 쌍방의 제 1 층의 표면에 도포량을 4.4㎤/㎡로 하여 제 2 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층 도포액을 바코트법에 의해 도포한 후, 170℃에서 1분 건조함으로써, 지지체의 양면에 제 1 층과 제 2 층으로 이루어진 도포층이 형성된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제 1 층 도포액]
상기 제 1 층 도포액은, 제 1 층 도포액으로는 제 1 바인더로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제품, FINETEX ES650, 고형분 29%)를 49.7질량부, 가교제로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Nisshinbo Industries, Inc. 제품, Carbodilite V-02-L2, 고형분 10%, 카르보디이미드 당량 385)를 28.2질량부, 계면활성제 A(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SANDET BL, 고형분 10%, 음이온성)를 11.4질량부, 계면활성제 B(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Naloacty HN-100, 고형분 5%, 비이온성)를 26.8질량부, 매트제 A로서 실리카 미립자 분산액(Nippon Aerosil Co., Ltd. 제품, OX-50의 수분산물, 고형분 10%)을 2.4질량부, 매트제 B로서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SnowTex-XL 고형분 10%)을 4.6질량부, 미립자로서 산화주석 분산액 A(Ishihara Sangyo Kaisha, Ltd. 제품,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SN-38F, 및 고형분 17%, 평균 입경 30nm)을 104.5질량부에 대해서, 전체가 1000질량부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해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제 2 층 도포액]
상기 제 2 층 도포액은 제 2 바인더로서 아크릴 수지 바인더(MMA59-St9-2EHA26-HEMA5-AA1의 라텍스, 고형분 농도 28%)를 62.7질량부, 상기 매트제 A를 2.7질량부, 매트제 B를 4.6질량부, 계면활성제 A를 9.6질량부, 계면활성제 B를 26.8질량부, 활제(Chukyo Yushi Co., Ltd. , 카르나우바 왁스 분산물 Cellosol 524, 고형분 3%)를 7.6질량부, 산화주석 분산액 A를 101.0질량부,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Nisshinbo Industries, Inc. 제품, Carbodilite V-02-L2, 고형분 10%, 카르보디이미드 당량 385)에 대해서, 전체가 1000질량부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의 양은 제 2 바인더의 질량에 대해서 6%로 하였다.
또한, 적층필름에서의 제 1 층의 막두께로서, 지지체의 표면에 제 1 층 도포액만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서 샘플로 하고, 이 샘플에서의 제 1 층의 막두께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JEM 2010(JEOL Ltd. 제품))으로 배율 200000배에서 측정하였다.
제조한 적층필름에 대해서, 상층과 제 2 층 사이에서의 접착성을 흡습전(이하, 평가 1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흡습후(이하, 평가 2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의 2 조건에서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는 실시예 7 뿐만 아니라, 이후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평가 1. 상층과 제 2 층 사이에서의 접착성(흡습전)]
평가 1에서 사용하는 샘플 A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조한 적층필름의 제 2 층이 형성된 면(평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건조후의 막두께가 3㎛가 되도록 하기 도포액을 도포한 후, 100℃에서 3분간 건조하였다. 다음에, 초고압 수은등을 이용하여 2OOOmJ/c㎡의 노광량으로 노광하여, 상기 도포액을 경화시킴으로써 상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샘플 A로 하였다. 그리고, 샘플 A의 상층의 표면에 편날 면도기를 사용하여 종, 횡 각각 6개의 상처를 내어 25개의 격자 패턴을 형성하고, 그 위에 셀로판 테이프(NICHIBAN CO., LTD. 제품, 405번, 폭 24mm)을 부착한 후, 위에서 지우개로 문질러서 완전하게 부착시킨다. 그 후, 수평으로 배치한 샘플 A에 대해서 셀로판 테이프를 상방 90도 방향으로 박리했을 때, 셀로판 테이프에 부착되어 적층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상층의 격자 패턴의 수를 구함으로써, 하기 랭크를 부여하여 상층과 제 2 층 사이에서의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 상처의 폭은 종, 횡 모두 3mm로 하였다. 또한, 부분적으로 박리된 격자 패턴에 대해서는, 박리한 부분의 면적의 합계를 격자 패턴의 수로 환산하여 랭크에 포함시켰다.
A 랭크: 박리가 없는 경우
B 랭크: 박리된 격자 패턴의 수가 1 미만인 경우
C 랭크: 박리된 격자 패턴의 수가 1 이상 3 미만인 경우
D 랭크: 박리된 격자 패턴의 수가 3 이상 20 미만인 경우
E 랭크: 박리된 격자 패턴의 수가 20 이상인 경우
상기 도포액은 SEIKABEAM EXF01(B)(Dainichiseika Color & Chemical Mfg., Co., Ltd. 제품)을 225g, 메틸에틸케톤을 75g, 및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N,N-디에톡시카르보닐메틸)-3-브로모페닐]-s-트리아진을 6.8g 혼합해서 제조하였다.
[평가 2. 상층과 제 2 층 사이에서의 접착성(흡습후)]
우선, 평가 1과 동일하게 하여 샘플 A를 제조하였다. 다음에, 샘플 A를 80℃/90%RH의 분위기 하에 정치하여 16시간 유지한 후, 23℃/60%RH의 분위기 하에 정치하여 3시간 조습하여 샘플 B로 하였다. 그리고, 이 샘플 B의 상층과 제 2 층(23) 사이에서의 접착성을 평가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실시예 7에 있어서, 평가 1에서는 A 랭크이고, 평가 2에서는 B 랭크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서는 제 2 층 도포액의 가교제(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형성함)의 첨가량을 제 2 바인더의 질량에 대해서 12%로 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흡습 전후에서의 상층과 제 2 층(23)의 계면에서의 접착성을 평가한 바, 평가 1에서는 A 랭크이고 평가 2에서는 B 랭크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9에서는 제 2 층 도포액의 가교제의 첨가량을 제 2 바인더에 대해서 18질량%로 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흡습 전후에서의 상층과 제 2 층의 계면에서의 접착성을 평가한 바, 평가 1에서는 A 랭크이고 평가 2에서는 A 랭크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에서는 후술의 처방으로 제조한 제 2 층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흡습 전후에서의 상층과 제 2 층의 계면에서의 접착성을 평가한 바, 평가 1에서는 A 랭크이고 평가 2에서는 C 랭크이었다.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제 2 층 도포액의 처방은 제 2 바인더로서 우레탄 수지 바인더(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품, Superflex 860, 고형분 40%)를 43.9질량부, 계면활성제 A를 9.6질량부, 계면활성제 B를 26.8질량부, 매트제 A를 2.7질량부, 매트제 B를 4.6질량부, 활제(Chukyo Yushi Co., Ltd., 카르나우바 왁스 분산물 Cellosol 524, 고형분 3%)을 7.6질량부, 산화주석 분산액 A를 101.0질량부, 및 가교제로서 에폭시계 가교제(Nagase ChemteX Corporation 제품, Denacol EX-521, 고형분 100%, 에폭시 당량 183)에 대해서, 전체가 1000질량부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해서 제조하였다. 또한, 에폭시계 가교제의 첨가량은 제 2 바인더에 대해서 6질량%로 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에서는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제 2 층 도포액 중, 에폭시계 가교제의 첨가량을 제 2 바인더의 질량에 대해서 12%로 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흡습 전후에서의 상층과 제 2 층(23)의 계면에서의 접착성을 평가한 바, 평가 1에서는 A 랭크이고 평가 2에서는 B 랭크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에서는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제 2 층 도포액 중 에폭시계 가교제의 첨가량을 제 2 바인더에 대해서 18질량%로 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필름(20)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흡습 전후에서의 상층과 제 2 층(23)의 계면에서의 접착성을 평가한 바, 평가 1에서는 A 랭크이고 평가 2에서는 A 랭크이었다.
[비교예 4]
비교예 4에서는 실시예 7에서 나타낸 제 2 층 도포액 중에서 가교제를 제외한 처방으로 제조한 제 2 층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필름(20)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흡습 전후에서의 상층과 제 2 층(23)의 계면에서의 접착성을 평가한 바, 평가 1에서는 A 랭크이었지만 평가 2에서는 D 랭크이었다.
[비교예 5]
비교예 5에서는 실시예 10에서 나타낸 제 2 층 도포액 중에서 가교제를 제외한 처방으로 제조한 제 2 층 도포액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흡습 전후에서의 상층과 제 2 층의 계면에서의 접착성을 평가한 바, 평가 1에서는 A 랭크이었지만 평가 2에서는 D 랭크이었다.
실시예 7~12 및 비교예 4, 5에 있어서의 제 1 층의 막두께 및 각 평가결과 등을 표 2 및 표 3에 정리해서 나타낸다. 또한, 표 2, 3에서는 평가항목에 관해서, 상층과 제 2 층의 계면에서의 흡습전의 접착성을 평가 1로 하고, 그 흡습 후의 접착성을 평가 2로서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ES650은 폴리에스테르 바인더(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제품, FINETEX ES650, 고형분 29%)이고, 아크릴 1이란 아크릴 수지 바인더(MMA59-St9-2EHA26-HEMA5-AA1의 라텍스, 고형분 농도 28%)이고, SF860이란 우레탄 수지 바인더(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품, Superflex 860, 고형분 40%)이다.
Figure 112008027717196-PCT00002
Figure 112008027717196-PCT00003
표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7~12에서는 제 2 층에 포함되는 제 2 바인더 및 가교제의 첨가량이나 종류 등에 따라, 각 평가결과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제품으로서 사용하는데에는 문제가 없는 양호한 평가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으로, 표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4, 5에서는 각 평가결과에 있어서 우수한 것도 있었지만, 제품으로서 사용하는데에 문제가 되는 항목도 있었다.
또한, 각 실시예 7~12에서 제조한 적층필름 상에 일본 특허공개 2001-32460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실시예 1에 따라서, 광확산층을 형성하여 광확산 시트를 제조한 바, 적층필름과 광확산층 사이에서의 접착성은 실용상 문제가 없어서, 광학특성이 우수한 광확산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각 실시예 7~12에서 제조한 적층필름 상에 일본 특허공개 2001-11483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실시예 1에 따라서, 두께 25㎛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바코트법에 의해 도포한 후, 극미소 프리즘상 패턴 부착 원형(프리즘 각도 90도, 프리즘 피치 50㎛, Fuji Photo Film Co., Ltd. 제품)을 설치하고, 80℃의 오븐 중에 3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도포층측으로부터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광원으로 하여 조사강도 25OmW/c㎡의 UV 조사장치에 의해 1.OJ/c㎡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또한 극미소 프리즘상 패턴 부착 원형을 분리하여 프리즘 시트를 제조한 바, 적층필름과 프리즘층 사이에서의 접착성은 실용상 문제가 없어서, 광학특성이 우수한 프리즘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각 실시예 7~12에서 제조한 적층필름 상에 일본 특허공개 2001-32308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실시예에 따라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층(하드코트층) 도포액을 바코트법에 의해 건조 막두께가 8㎛가 되도록 도포한 후, 이것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함으로써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하드코트 시트를 제조한 바, 적층필름과 하드코트층 사이에서의 접착성은 양호하여, 광학특성이 우수한 하드코트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각 실시예 7~12에서 제조한 적층필름 상에 일본 특허공개 2002-09880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실시예 1에 따라서, 하드코트층, 은 콜로이드층, 반사방지층을 이 순서로 적층해서 반사방지 시트를 제조한 바, 적층필름과 하드코트층 사이에서의 접착성은 양호하고, 광학특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하드코트층의 도포 두께는 12㎛으로 하고, 은 콜로이드층의 도포량은 7Omg/㎡로 하고, 반사방지층의 도포 두께는 85nm이 되도록 각각 도포하였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프리즘 시트, 반사방지 시트, 광확산 시트, 방현 시트 및 하드코트 시트 등의 광학시트,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지지체의 적어도 한 쪽 면에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 바인더, 및 분자내에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2축 연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복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의 질량이 상기 바인더의 질량에 대해서 1~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0.3㎛ 이상 12㎛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헤이즈가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9.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 쪽 면에 직접 적층되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에 직접 적층되고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와 가교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 2 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화합물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또는 에폭시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상기 지지체를 2축 연신한 후에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두께는 30nm 이상 15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필름과, 프리즘층, 반사 방지층, 광확산층, 방현층, 하드코트층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폴리머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2축 연신하는 공정;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 쪽 면에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 바인더 및 분자내에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교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8.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2축 연신하는 공정;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 쪽 면에 제 1 층이 되는 제 1 도포액을 도포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층 상에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제 2 층이 되는 제 2 도포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87009312A 2005-12-08 2006-12-07 적층필름과 그 제조방법, 적층필름을 사용한 광학시트, 및표시장치 KR20080074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4907 2005-12-08
JP2005354907A JP2007152886A (ja) 2005-12-08 2005-12-08 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6-00026211 2006-02-02
JP2006026211A JP2007203635A (ja) 2006-02-02 2006-02-02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102A true KR20080074102A (ko) 2008-08-12

Family

ID=3812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312A KR20080074102A (ko) 2005-12-08 2006-12-07 적층필름과 그 제조방법, 적층필름을 사용한 광학시트, 및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74102A (ko)
WO (1) WO20070667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16B1 (ko) * 2008-11-06 2011-07-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고분자 기재
US9899553B2 (en) 2011-03-07 2018-02-20 Fujifilm Corporation Adhesive sheet and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6157B2 (ja) * 2012-12-20 2015-12-02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1670B2 (ja) * 2000-11-08 2008-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支持材、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及び感光性転写材料
KR100913717B1 (ko) * 2002-05-02 2009-08-24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적층필름
JP4197112B2 (ja) * 2002-08-27 2008-12-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層を有するフィルム、及びハードコート層を有するフィルムを適用した製品
JP2004107573A (ja) * 2002-09-20 2004-04-08 Nippon Carbide Ind Co Inc 親水性フイルム
JP2004233454A (ja) * 2003-01-28 2004-08-19 Nitto Denko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5134603A (ja) * 2003-10-30 2005-05-26 Fuji Photo Film Co Ltd 熱現像感光材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16B1 (ko) * 2008-11-06 2011-07-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고분자 기재
US9899553B2 (en) 2011-03-07 2018-02-20 Fujifilm Corporation Adhesive sheet and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66718A1 (ja)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167B1 (ko) 프리즘 시트용 다층 필름, 그 제조 방법, 프리즘 시트 및 표시 장치
EP1767567B1 (en) Multilayer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467752B2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7541087B2 (en) Multilayer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5752522B2 (ja) 光学機能部材支持用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プリズムシート
KR20090043441A (ko) 광학용 적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8183882A (ja) 光学用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5235316B2 (ja) 光学用積層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7203712A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JP2008018652A (ja) 積層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3197083A (ja) 光学機能部材支持用複層フィルム、プリズムシート、光源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5380896B2 (ja) 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3001735A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KR20080074102A (ko) 적층필름과 그 제조방법, 적층필름을 사용한 광학시트, 및표시장치
JP5380897B2 (ja) 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01321622A (zh) 多层膜及其生产方法、使用该多层膜的光学片和显示装置
JP5753750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9199002A (ja) 拡散シート用積層フィルム、拡散シート、及び表示装置
JP2008208310A (ja) 光学用易接着フィルム及び光学シート並びに表示装置
JP2009220316A (ja) 積層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JP2009199001A (ja) プリズムシート用積層フィルム、プリズムシート、及び表示装置
JP2013022831A (ja) 易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03635A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JP4389185B2 (ja) 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3099918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