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588A - 컨테이너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커플링 요소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커플링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588A
KR20080070588A KR1020080008047A KR20080008047A KR20080070588A KR 20080070588 A KR20080070588 A KR 20080070588A KR 1020080008047 A KR1020080008047 A KR 1020080008047A KR 20080008047 A KR20080008047 A KR 20080008047A KR 20080070588 A KR20080070588 A KR 20080070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ing element
bolt
bolts
housing ha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네스 빌렌베르크
Original Assignee
맥그리거 (디이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그리거 (디이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맥그리거 (디이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7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5/00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 B61D5/08Covers or access opening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13Twist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컨테이너 특히, 선박 상의 컨테이너 연결을 위한 커플링 요소는 두 개의 하우징 반체(18, 19)를 포함하는 하우징(10)을 가진다. 공지된 커플링 요소의 경우, 두 개의 하우징 반체(18, 19)는 나사로 함께 조여지게 된다. 종래의 커플링 요소의 경우, 특히 스크류가 부식되는 경우 수리 목적으로 하우징(10)을 분해하는 것이 어렵거나 많은 경우 심지어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요소는 나사산이 없는 볼트(21)에 의해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된 하우징 반체(18, 19), 및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 볼트(11)의 길이방향 중심축(17)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볼트(21)를 포함한다. 이는 하우징 반체(18, 19)를 결합상태로 고정하는 볼트(21)가 단지 전단응력만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볼트(21)는 오직 볼트(21)가 연결하는 하우징 반체(18, 19)내의 축 상의 변위에 대해서만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는 모든 상황에서 쉽게 분리되는 간단한 고정 수단을 사용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Figure P1020080008047
커플링 요소, 컨테이너, 선박, 분리연결, 트위스트로크, 하우징

Description

컨테이너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커플링 요소{COUPLING COMPONENT FOR THE RELEASABLE CONNECTION OF CONTAINERS}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커플링 요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박에서 상하로 스택된 컨테이너들의 연결에 이용된다.
서론 부분에서 언급된 형태의 커플링 요소는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통상 "트위스트 로크(twistlock)"로 지칭되고 있다. 이 커플링 요소는 주로 선박에 선적되어 수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컨테이너를 다른 컨테이너와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는 선박의 운송 중에 컨테이너를 서로 연결함으로서 컨테이너들의 배열을 유지하게 함이 목적이다. 또한 커플링 요소는 지상교통수단(화물자동차, 철도) 상에서 또는 항공기 내에서 컨테이너간 또는 다른 물품간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동으로 잠금 및 잠금해제를 하는 커플링 요소는 알려져 있다. 커플링 요소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수동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으로 잠기고 수동으로 잠금해제를 하는 소위 반자동 커플링 요소를 사용하거나, 완전자동 커플링 요 소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수동, 반자동, 완전자동 커플링 요소와 같은 모든 종류의 커플링 요소를 고려한다.
여기 언급된 모든 종류의 커플링 요소는 대개 두 파트의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잠금 볼트는 하우징의 중앙을 통해 작동되며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에 마운트되어 있다. 하우징의 절반 부분 양쪽은 대략 하우징의 중앙을 통해 작동하고 잠금 볼트의 세로 중앙축을 따라 위치하는 경계면을 따라 조립되어 있다. 필수적으로 이 경계면은 엄격하게 기하학적 의미에 의한 이차원적인 표면일 필요는 없으며, 또한 경계면은 어느 정도까지는 오프셋일 수 있고 이 경우 경계면은 마찬가지로 삼차원적일 수 있다.
공지의 커플링 요소의 하우징 반체는 경계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스크류 연결에 의해 연결된다. 특히 선박에 사용되는 커플링 요소는 염분이 포함된 공기와 바닷물 등의 거친 환경 조건에 노출된다. 그러므로 스크류 연결은 부식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커플링 요소를 수리해야 할 경우, 스크류 연결을 분해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는 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손상된 부분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라도, 공지의 커플링 요소를 실질적으로 수리할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입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한 후에도 하우징 반체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종류의 커플링 요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을 갖는 커플링 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하우징 반체는 경계면 및/또는 잠금 볼트의 세로중앙축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연장 수단에 의해 연결되므로, 스크류 연결은 불필요하게 된다. 연장 수단은 폼피팅(form-fitting) 형태로 하우징 반체를 연결하고, 또한 연장 수단은 횡축 방향의 전단응력 만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연장 수단은 하우징 반체 내의 수용 보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단한 고정 수단에 의해서도 충분히 고정된다. 또한 고정 수단은 커플링 요소의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한 후에도 간단히 분리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하우징 반체를 연결하는 연장 수단은 어느 때라도 하우징을 열기 위한 목적으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커플링 요소의 바람직한 전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반체는 경계면에 대하여 돌출되고, 최소 다른 하우징 반체의 함몰부(depression)에 상응하여 작동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이는 경계면 근처에 있는 하우징 반체끼리 톱니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연장 수단은 이러한 톱니 형태를 통해 연장되며, 하우징 반체 간의 폼피팅 연결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하우징 반체 간의 폼피팅 연결은 연장 수단이 길이방향이 아닌 횡방향 전단응력만을 받도록 한다. 그 결과로 상대적 으로 오랜 기간이 지난 후 분리하기 어려운 스크류 연결이 필요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 반체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연장 수단은 두 개의 하우징 반체를 통과하여 연장되며, 바람직하게 한 쪽 하우징 반체의 홀더를 통해 나머지 하우징 반체의 돌출부로 통과하여 연장되게 된다. 그러므로 연장 수단을 위한 홀더는 연장 수단에 의해 두 개의 하우징 반체가 효과적으로 폼피팅 연결되기 위해서 교대로 다른 하우징 반체 상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라, 하우징 반체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연장 수단은 핀 형상의 볼트로 설계된다. 상기 볼트는 하우징 반체 간의 연결을 위해서 하우징 반체에 있는 홀더를 통과하여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 반체의 연결을 위한 목적에 있어서, 매끈한 외부 표면을 가지는 핀 형상의 볼트는 부식될 수 있고, 또한 이로 인해 하우징 반체의 분리를 어렵게 만드는(분리가 불가능하지 않은 경우) 어떠한 나사부(thread)도 불필요하다. 핀 형상의 볼트는 폼피팅 방식에 의해서 하우징 반체끼리 고정시키며, 하우징 반체의 홀더(바람직하게는 보어) 내의 변위에 대해 오직 축 방향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상기 고정 수단은 커플링 요소가 부식된 경우에도 분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라, 모든 볼트의 길이방향의 축은 경계면과 평행하게 이어진다. 볼트의 길이방향의 축은 하우징 반체의 전체에 걸쳐 경계면으로부터 적절하게 간격이 벌어져 있으며, 경계면과 평행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하우징 반체의 돌출부와 함몰부 상의 볼트를 위한 홀더가 경계면과 나란히 위치하게 되 어, 경계면 외부에서 하우징 반체의 톱니 모양으로 된 폼피팅 연결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 반체 상의 홀더(바람직하게는 보어로 설계된 것) 내의 볼트를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작용은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경우로서, 각각의 볼트의 한쪽 끝단을 위한 보어가 폼피팅 고정 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각각의 볼트의 반대쪽 끝단을 구비하는 보어가 막혀있거나 조여지게 된다. 가장 단순한 경우로서, 볼트의 삽입 후, 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은 대응되는 보어의 해당 영역은 틈이 막히게 되고, 그러므로 볼트는 폼피팅 방식에 따라 보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고정하는 방식에 의해서 위와 같은 폼피팅 고정 수단이 만들어 질 수 있다. 볼트가 보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다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고정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고정 수단은 볼트를 에워싸는 기능을 하는 탄성 슬리브로 설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슬리브는 클램핑 슬리브이다. 이러한 고정 슬리브 또는 클램핑 슬리브는 폼피팅 방식으로 한쪽 하우징 반체에 구비되며, 볼트는 이 슬리브를 통해 작동된다. 또한 과정 중에 볼트는 이 슬리브를 탄성력 있게 넓히며, 그 결과로 마찰식 피팅 또는 압착식 피팅 연결이 볼트와, 고정 슬리브 또는 클램프 슬리브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 볼트가 하우징 내에서 폼피팅과 마찰식 피팅 및/또는 압착식 피팅의 양 방법 모두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클램핑 슬리브도 마찬가지로 폼피팅 방법(단, 분리가능함)에 의해서 볼트에 연결된다는 것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종속항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요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요소에 의해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한 후에도 하우징 반체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종류의 커플링 요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요소의 바람직한 대표적 실시예는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면에 도시된 커플링 요소는 소위 반자동 트위스트 로크로 설계된다. 커플링 요소는 상하로 스택된 컨테이너(미도시) 간의 반자동 연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가지 대표 실시예 모두에 따른 커플링 요소는 하우징(10), 잠금 볼트(11) 및 작동 장치(12)를 필수 요소로 구성된다. 도시된 대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커플링 요소는 또한 두 개의 작동 장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커플링 요소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있다(미도시).
잠금 볼트(11)는 원통형 중앙부(13)와 두 개의 가로대(14, 15)를 필수 요소로 구성된다. 잠금 볼트(11)는 일체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 가로대(14, 15)가 원통형 중앙부(13)의 서로 반대쪽 말단에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원통형 중앙부(13)에 의해서, 잠금 볼트(11)는 잠금 볼트의 길이방향 중심축(17)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적합하게 된 하우징(10) 내의 중앙 관통부(16)에 설치된다. 길이방향 중심 축(17)은 커플링 요소의 사용위치에 수직하게 뻗어있으며, 이 위치는 도1 내지 도3에 설명되어 있다. 두 개의 가로대(14, 15)는 하우징(10)의 각기 반대쪽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로대(14, 15)는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확히는 하우징의 맨 위쪽과 아래쪽에 위치한다(커플링 요소의 사용위치에서 바라본 경우).
가로대(14, 15)는 공지된 방식 그 자체로 구성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반자동 커플링 요소의 경우, 하부 가로대(15)는 가로대의 아래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며, 나선형의 형상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스택 상의 위쪽 컨테이너의 아래쪽에 매달린 커플링 요소가 위쪽 컨테이너를 지나서 스택 상의 아래쪽 컨테이너로 내려올 때, 하부 가로대(15)는 잠금 볼트(11)가 자동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커플링 요소가 아래쪽 컨테이너의 상부 모서리 피팅에 체결될 수록,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 스프링 압축 응력(spring prestressing)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 압축 응력은 커플링 요소를 구비한 위쪽 컨테이너가 아래쪽 컨테이너로 내려질 경우, 잠금 볼트(11)가 반대로 회전하게 되어 커플링 요소가 아래쪽 컨테이너의 모서리 피팅에 자동으로 잠기게 한다. 반대쪽의 자유 말단인 상부 가로대(14)는 평평한 모양을 갖는다. 이 가로대는 수동으로 작동 장치(12)로서 상부 컨테이너의 하부 모서리 피팅 아래로 프리로크(pre-locked)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도시된 모든 커플링 요소의 하우징(10)은 두 부분으로 설계된다. 하우징은 두 개의 하우징 반체(18, 19)를 포함한다. 하우징 반체(18, 19)가 조립된 경우, 대부분의 경우 수직 경계면(20)은 하우징(1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뻗어 있다. 도시된 커플링 요소의 경계면(20)은 오프셋 및/또는 측면도로 도시되었기 때문에, 엄격한 기하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경계면은 평면 즉 2차원의 표면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오히려 3차원의 입체를 이룬다. 도시된 커플링 요소의 경계면(20)은 하우징(10) 내의 관통부(16)를 관통하여 중앙부로 뻗어있으며, 따라서 이 관통부의 절반은 각각의 하우징 반체(18, 19)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므로 잠금 볼트(11)의 원통형 중심부(13)의 길이방향 중심축(17)은 경계면(20)을 따라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두 개의 하우징 반체(18, 19)는 잠금 볼트(11)의 경계면(20) 및/또는 길이방향 중심축(17)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연장 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게 된다. 위와 같은 경우 종래의 커플링 요소와는 다르게, 하우징 반체는 경계면(20)에 대해 횡방향 및/또는 잠금 볼트(11)의 길이방향 중심축(17)으로 뻗어있는 스크류 연결에 의해서 연결되며, 이러한 경우 하우징 반체(18, 19)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장 수단은 길이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 결과로, 하우징 반체는 단지 전단응력 만을 받게되고 인장응력은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하우징 반체(18, 19)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장 수단은 스크류 연결(스크류와 너트)에 의해 구성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다음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에 따라, 연장 수단은 나사산이 없는(threadless) 연장 수단으로 설계되며, 도시된 대표 실시예의 경우는 연장 원통형 볼트(21)로 설계된다. 도시된 커플링 요소의 대표 실시예는 하우징 반체(18, 19)를 서로 연결하여 하우징(10)을 구성하기 위한 두 개의 평행한 볼트(21)를 구비하며, 두 개의 볼트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 나 두 개 이상의 볼트(21)를 구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분리가능한 방법에 의해 하우징 반체(18, 19)를 연결할 경우 하나의 볼트(21)로 또한 충분하다.
하우징 반체(18, 19)는 경계면(20)을 통해 연장되는 돌출부(22) 및 돌출부(22)에 대응하는 함몰부(23)를 가진다. 돌출부(22)와 함몰부(23)는 각각 하우징 반체(18, 19)의 수직한 내부 표면(24, 25)으로부터 연장된다. 하우징 반체(18, 19)가 조립될 때 즉, 내부 표면(24, 25) 및/또는 하우징 반체(18, 19)의 내부 표면(24, 25) 사이로 뻗어있는 경계면(20)이 하우징(10)의 경계면(20)과 일치할 때, 이러한 내부 표면(24, 25)은 서로 충돌하게 된다. 도시된 커플링 요소의 경우, 돌출부(22)는 한쪽 하우징 반체(18) 상에 위치하는 반면, 함몰부(23)는 다른 하우징 반체(19)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각각의 하우징 반체(18, 19)가 양쪽 모두 돌출부(22)와 함몰부(23)를 갖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우징(10)을 구성하는 하우징 반체(18, 19)의 연결부(26, 27) 각각의 영역은 동일한 두 개의 이격된 돌출부(22)를 구비하며, 돌출부는 마찬가지로 이격된 두 개의 함몰부(23)를 구비한다. 따라서, 한쪽 하우징 반체(19)의 함몰부(23)는 함몰부를 향해 돌출된 다른쪽 하우징 반체(18)의 돌출부(22)를 가지게 된다. 각각의 연결부(26, 27)에 연결된 두 개의 돌출부(22)는 공통의 수직 연결선(28, 29) 상에 위치하게 된다. 각각의 연결부(26, 27)의 연결선(28, 29)은 잠금 볼트(11)의 길이방향 중심축(27)과 평행하게 뻗어있으며, 또한 경계면(20)과 평행하게 나란히 이격되어 있다. 도시된 모든 대표 실시예의 겨우, 두 연결부(26, 27)의 연결선(28, 29)은 경계면(20)과 나란히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하며, 경계면(20)으로부터의 연결 선(28, 29)의 간격은 서로 다르다(도4). 수직 보어(30, 31)는 각각의 돌출부(22)에 위치한다. 보어는 각각의 볼트(21)의 직경과 일치한다. 더욱이 각각의 연결부(26, 27)의 돌출부(22) 상의 보어(30, 31)는 각각 공통 연결선(28, 29) 상에 위치한다.
반대편 하우징 반체(18)의 돌출부(22)가 체결될 수 있는 함몰부(23)만을 구비한 하우징 반체(19)는 대표 실시예에서 도시된 대로, 관통구(32) 사이에 있는 하우징 반체(19) 내의 오목부(33)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관통구(32)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관통구(32)는 하우징 반체(19) 내의 텅(tongue)(34) 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텅은 한편으로는 함몰부(23)에 의해 결합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오목부(33)에 의해 결합된다. 관통구(32)는 각각의 볼트(21)의 직경과 일치하며, 특히 돌출부(22) 상의 보어(30, 31)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하우징 반체(18, 19)가 조립될 경우, 각각의 볼트(21)는, 한쪽 하우징 반체(18) 상의 돌출부(22)에 위치하며 동일한 연결선(28, 29) 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보어(30, 31), 및 다른쪽 하우징 반체(19) 상의 텅(34)에 위치하며 마찬가지로 동일한 연결선(28, 29) 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관통구(32)를 통해서 조여지게 된다(도1 내지 도3). 연결부(26, 27)의 두 개의 볼트(21)는 양쪽 하우징 반체(18, 19)의 사이를 톱니 형식으로 연결하는 폼피팅을 구성한다. 연결부(26, 27)는 볼트(21)를 보어(30, 31) 및 관통구(32)로부터 축방향으로 밀어냄으로서 손쉽게 다시 분리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는 연결선(28, 29)를 따라 밀어내어 분리한다.
도1과 도3은 폼피팅 방식에 의해 하우징 반체(18, 19)를 연결하기 위한 볼 트(21)를 고정하는 수단 만이 차이가 있는 커플링 요소의 다양한 대표 실시예를 나타낸다. 폼피팅 방식에 의해 하우징 반체(18, 19)를 연결하기 위한 볼트(21)가 잠금 볼트(11) 및/또는 경계면(20)의 길이방향 중심축(17)과 평행하게 뻗어있기 때문에, 축방향을 제외하고 볼트(21)는 돌출부(22)와 텅(34) 사이에서 전단응력을 받는다. 따라서 하우징(10) 내의 볼트를 고정하는 수단은, 볼트가 보어(30, 31)와 관통구(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만 설계될 필요가 있다. 즉, 다시 말하면 볼트(21)는 하우징(10) 내에서 오직 축방향으로만 고정된다. 이 고정 작업은 볼트(21)가 축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유격(degree of play)을 가지도록 일어날 수도 있다. 즉, 다시 말하면 하우징(10) 내에서 다소의 변위가 가능하다. 고정 수단은 오직 볼트(21)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용도로만 필요하다.
도1의 커플링 요소의 경우, 각각의 볼트(21)는 동일한 고정 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이 목적을 위해 하나의 돌출부(22)(도1 상에서 하단의 돌출부(22)) 상의 보어(31)는 블라인드 보어로 설계된다. 그러므로 보어(31)는 하부 말단에 있는 수축부(38)에 의해서 막히거나 또는 좁혀진다(대표 실시예에 도시된 대로). 이 결과 각각의 볼트(21)는 하부 돌출부(22) 상의 수축된 보어(31), 또는 블라인드 보어의 하부 말단을 통해 슬라이드 되어 이탈하지 못한다. 도시된 대표 실시예에서, 보어(31)의 하부 말단에 있는 수축부는, 보어(31)를 통해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것으로부터 볼트(21)의 하부 말단을 고정한다. 상부 돌출부(22)의 반대편 보어(30)는 관통구로 설계된다. 이 경우, 보어(31)의 하부 말단 상의 수축부(38)에 대해, 각각의 볼트(21)는 보어(30) 및 텅(34) 상의 관통구(32)를 통과해 위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그 후에, 각각의 볼트(21)의 상부 말단은 전체적으로 상부 돌출부(22) 상의 관통구로 설계된 보어(30) 내부에 위치한다. 볼트(21)가 상부 돌출부(22) 상의 보어(30)를 통해 위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이탈할 수 없게 하기 위해, 볼트(21)의 상부 말단에 의해 자유로운 상태가 된 상부 돌출부(22) 상의 보어(30)의 말단부는 막혀있다. 도시된 대표 실시예 상에서, 하우징 반체(18)의 재료 변형으로 인해 보어(30)의 상부 말단이 두 개의 서로 반대편의 노우즈(35)에 의해 조여지게 하기 위해, 위와 같이 막는 기능이 구성된다. 그러나 막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노우즈(35), 또는 둘러싸는 수축부 만을 이용하는 것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분리되는 하우징 반체(18, 19) 사이에 있는 연결부(26, 27)에 의해 하우징(10)이 분해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볼트(21)를 위쪽방향으로 보어(30, 31) 및 관통구(32)로부터 뽑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막는 작용의 일부를 구성하며, 하우징(10) 내에서 축방향으로 비변위(non-displaceable manner) 방식에 의해 볼트(21)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노우즈(35)는 재생된 재료 변형에 의해 역전된다.
도2는 두 개의 볼트(21)가 하우징(10) 내에서 동일한 수단, 정확히는 개개의 클램핑 슬리브(36)에 의해 축방향에 따른 비변위 방식으로 체결된 커플링 요소의 대표 실시예를 나타낸다. 클램핑 슬리브는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슬릿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복원력 있는 탄성 방법에 의해 넓어질 수 있다. 클램핑 슬리브(36)의 내부 직경은 개개의 볼트(21)의 외부 직경보다 작다. 클램핑 슬리브(36)에 볼 트(21)를 삽입하는 것은 클램핑 슬리브(36)를 복원가능한 방식으로 넓히게 되며, 이로 인해서 클램핑 슬리브(36)와, 볼트(21)의 매끈한 외부의 원주사이의 마찰식 피팅 및/또는 압착식 피팅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클램핑 슬리브(36)의 길이는 관통구(32)를 포함하는 텅(34) 사이의 오목부(33) 길이보다 다소 짧다. 달리 말하면, 오목부(33)가 개개의 연결선(28, 29) 상에 위치하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클램핑 슬리브(36)를 구비할 수 있도록, 오목부(33)의 치수를 맞추게 된다. 따라서 개개의 클램핑 슬리브(36)는 축방향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비변위 방식이며, 결국 하우징 반체(19)의 복수개의 텅(3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하우징 반체(19) 내의 텅(34) 사이로 클램핑 슬리브(36)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비변위 방식으로 배치한 결과, 볼트(21)가 보어(30, 31)와 관통구(32) 및 개개의 볼트(21)의 중앙 부분의 외곽 원주를 에워싸며 클램핑 작용을 하는 클램핑 슬리브(36)에 삽입되면, 각각의 볼트(21)는 축 방향의 변위에 대해 마찰식 피팅 및/또는 압착식 피팅 연결에 의해 고정된다. 하우징 반체(18, 19) 사이의 연결부는 볼트(21)를 보어(30, 31), 관통구(32) 및 클램핑 슬리브(36)로부터 뽑아냄으로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하우징(10) 내에서 축 방향의 의도하지 않은 변위를 막기 위해 볼트를 클램핑 슬리브(36)를 이용해 고정하는 경우, 돌출부(22) 상의 보어(30, 31)는 관통부로 설계될 수 있고, 볼트(21)에 의해 자유로운 상태가 된 보어(30, 31)의 말단 영역의 빈 공간을 메울 필요가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마지막으로 도3은 본 발명의 세번째 대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요소를 나타내며 이는 대체로 도2의 대표 실시예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볼트(21)는 클램핑 슬리브(37)에 의해 축방향으로 동일하게 고정된다. 이 대표 실시예의 경우, 클램핑 슬리브(37)는 볼트(21) 상에서 폼피팅 방식에 의해서 계속 유지된다. 이 목적을 위해, 각각의 볼트(21)은 하우징 반체(19)의 텅(34) 사이 오목부(33) 영역을 에워싸는(encircling) 수축부(39)를 갖는다. 볼트(21)는 수축부(39) 영역의 직경 만큼 다소 감소할 수 있다. 압력을 받지 않는 상태인 후퇴 상태(retraced state) 상에서, 클램핑 슬리브(37)의 내부 직경이 대략적으로 수축부(39) 영역 상에 있는 각각의 볼트(21)의 작은 직경에 일치하도록, 클램핑 슬리브(37)가 설계된다. 수축부(39)보다 다소 큰 클램핑 슬리브의 직경을 지나 클램핑 슬리브(37)를 통해 힘을 받는 볼트(21)로 인해, 클램핑 슬리브(37)는 각각의 볼트(31)의 수축부(39) 상에 고정되며, 이 경우 클램핑 슬리브(37)는 탄력적으로 넓어진다. 각각의 볼트(21)가 하우징(10) 내의 정해진 장소에 위치하자마자(도3), 클램핑 슬리브(37)는 수축부(39) 영역의 볼트(21)를 에워싸게 된다. 이로 인해 볼트(21)와 클램핑 슬리브(37) 간의 폼피팅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클램핑 슬리브(37)는 동일하게 폼피팅 방식으로, 텅(34) 사이의 오목부(33)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각각의 볼트(21)는 완전히 폼피팅 방식에 의해 축 방향으로 하우징(10) 내의 삽입된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도3). 그 다음, 양쪽 하우징 반체(18, 19)는 두 개의 볼트(21)를 이용한 폼 피팅을 통해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합체되며, 더 나아가서 볼트(21)는 클램핑 슬리브(37)를 지나 폼피팅 방식에 의해 하우징(10) 내에서 비변위 방식에 의해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도1은 하우징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커플링 요소의 첫번째 대표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2는 도1과 유사한 커플링 요소의 두번째 대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은 도1과 유사한 커플링 요소의 세번째 대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4는 도3의 커플링 요소를 관통하는 단면을 나타낸다.
도5는 커플링 요소의 세가지 대표 실시예 모두에 공통되는 하우징의 아직 결합되지 않은 양쪽 하우징 반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6은 도5의 아직 결합되지 않은 양쪽 하우징 반체를 관통하는 VI-V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7은 도5의 아직 조립되지 않은 양쪽 하우징 반체를 관통하는 VII-V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10 : 하우징 11 : 로킹볼트
12 : 작동 장치 13 : 중앙부
14 : 가로대 15 : 가로대
16 : 관통구 17 : 길이방향 중심축
18 : 하우징 반체 19 : 하우징 반체
20 : 경계면 21 : 볼트
22 : 돌출부 23 : 함몰부
24 : 내부 표면 25 : 내부 표면
26 : 연결부 27 : 연결부
28 : 연결선 29 : 연결선
30 : 보어 31 : 보어
32 : 관통구 33 : 오목부(recess)
34 : 텅(tongue) 35 : 노우즈(nose)
36 : 클램핑 슬리브 37 : 클램핑 슬리브
38 : 수축부 39 : 수축부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20)을 따라 조립되고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 반체(18, 19) 두 개로 구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된 잠금 볼트(11)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특히 선박 상에서 상하로 선적되어 있는 컨테이너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커플링 요소에 있어서, 하우징 반체(18, 19)는 경계면(20) 및/또는 잠금 볼트(11)의 길이방향 중심축(17)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연장 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반체(18, 19)는 경계면(20)에 대해 돌출되어 있고, 적어도 다른 하우징 반체(18, 19)의 대응되는 함몰부(23)에 바람직하게 맞물리는 돌출부(22)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반체(18, 19)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연장수단은 두 개의 하우징 반체(18, 19),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반체(18, 19)의 일부분,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쪽 하우징 반체(18)의 돌출부(22)의 홀더 및 나머지 다른 쪽 하우징 반체(19)의 대응되는 홀더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반체(18, 19)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연장수단은 핀 모양의 볼트(21)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21)의 길이방향 축은 경계면(20) 및/또는 잠금 볼트(11)의 길이방향 중심축(17)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으며, 경계면(20) 및/또는 하우징 반체(18, 19) 내에 있는 잠금 볼트(11)의 길이방향 중심축(17)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이격되어 있고, 길이방향 중심축(17)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21)는 볼트(21)를 수용하는 하우징 반체(19)의 관통구(32), 및 다른쪽 하우징 반체(18)의 돌출부(22)의 관통구(30, 31)를 통과하여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볼트(21)는 보어(30, 31) 및/또는 관통구(32) 내에서 유의적인 축 상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폼피팅 방식 또는 마찰식 피팅 방식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8.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볼트(21)용의 적 어도 하나의 보어(31)는 그 한쪽 말단이 막혀있거나, 또는 그 한쪽 말단에 수축부(38)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9. 제 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볼트(21)용의 보어(30)에 그 다른쪽 말단에 볼트(21)를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폼피팅 멈춤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10.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볼트(21)는 개개의 볼트(21)를 하우징(10) 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탄성 슬리브,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슬리브(36, 37)로서 설계되어 있고, 상기 고정 수단은 하우징(10) 내에서 특히, 한 쪽 하우징 반체(19) 내에 폼피팅에 의해 대체로 비변위 방식을 따라, 바람직하게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볼트(21)를 축방향으로 마찰 또는 힘에 의한 피팅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탄성 슬리브, 특히 클램핑 슬리브(36, 37)는 볼트(21)의 바람직하게 평활한 외부 원주 상에 확실하게 클램핑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13.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특히, 상기 클램핑 슬리브(37)는 하우징(10) 내에서 특히, 한 쪽 하우징 반체(19) 내에 폼피팅에 의해 대체로 비변위 방식을 따라 바람직하게 축방향으로 유지되고, 또한 폼피팅에 의해 대체로 비변위 방식을 따라 각각 볼트(21)의 중앙 수축부(39) 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KR1020080008047A 2007-01-26 2008-01-25 컨테이너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커플링 요소 KR200800705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05038A DE102007005038A1 (de) 2007-01-26 2007-01-26 Kuppelstück zum lösbaren Verbinden von Containern
DE102007005038.2 2007-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588A true KR20080070588A (ko) 2008-07-30

Family

ID=39343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047A KR20080070588A (ko) 2007-01-26 2008-01-25 컨테이너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커플링 요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950152A3 (ko)
KR (1) KR20080070588A (ko)
CN (1) CN101229870A (ko)
DE (1) DE1020070050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7922B (zh) * 2013-09-29 2016-01-13 华电重工股份有限公司 集装箱连接锁摘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6509C2 (de) * 1979-11-17 1986-02-06 Conver Ingenieur-Technik Gmbh & Co Kg, 2800 Bremen Containerkupplung mit geteiltem Gehä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0152A2 (de) 2008-07-30
EP1950152A3 (de) 2009-07-01
CN101229870A (zh) 2008-07-30
DE102007005038A1 (de)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7078B2 (en) Robust adjustable panel insert
DE4002443A1 (de) Vorrichtung zum loesbaren festsetzen von schutzplatten
EP3785812A1 (en) Hammerless solution
US8122557B2 (en) Broom body
CN110418866A (zh) 用于将两个工件横向拧紧在一起的连接器
EP2323228A2 (de) Steckverbindergehaeuse mit gewinkeltem Zugentlastungselement
DE20202681U1 (de) Lösbare Einsatz-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Halte-Nut
DE202008007632U1 (de) Befestigungselement zum Befestigen an einem Bolzen
KR100901105B1 (ko) 인서트 풀림방지너트
KR20080070588A (ko) 컨테이너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커플링 요소
DE202017003358U1 (de) Flexibles Befestigungs-Element für Lochwandsysteme
EP2198170A2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anbauteiles an einem trägerteil
EP3449154B1 (de) Koppelsteinelement für einen kenterschäkel für ankerketten
DE102009005421A1 (de) Verbindungselement
US10196846B2 (en) Hinge pin
EP3323961B1 (de) Schalungselement für eine betonwandschalung, mit einer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schalungsankers
DE60302828T2 (de) Halter für ein Befestigungselement
EP3826116B1 (de) Steckverbindungssystem und verwendung einer steckverbindungssicherung in einem steckverbindungssystem
EP1760362A2 (en) Attachment device
EP4180588A1 (en) Rebar coupler with bias pusher
DE19845937C1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mindestens zwei Bauteilen mit einem dritten Bauteil, insbesondere von einem geteilten Halter mit einem Lagerbock
KR20100088048A (ko) 인서트 풀림방지너트
AU2017100567A4 (en) A Connecting Assembly
DE102006060469A1 (de) Vorrichtung zum Verzurren von Containern
DE8907863U1 (de) Kupplungsstecker mit Sicherungselement für Lichtwellenlei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