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541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541A
KR20080069541A KR1020080006954A KR20080006954A KR20080069541A KR 20080069541 A KR20080069541 A KR 20080069541A KR 1020080006954 A KR1020080006954 A KR 1020080006954A KR 20080006954 A KR20080006954 A KR 20080006954A KR 20080069541 A KR20080069541 A KR 20080069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lding member
movable contact
fixed contac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097B1 (ko
Inventor
히로시 오하라
노리마사 오카니시
모토나리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9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01H15/102Operating parts comprising cam devices

Landscapes

  • Slide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가동 접점이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이 접촉하는 고정 접점 사이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해결 수단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에, 가동 접점 (5) 을 유지하는 조작체 (6) 와, 이 조작체 (6) 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 스프링 (4) 을 구비함과 함께, 조작체 (6) 가, 가동 접점 (5) 을 유지하고,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를 슬라이딩 가능한 유지 부재 (7) 와, 이 유지 부재 (7) 에 맞닿고, 이 유지 부재 (7) 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부개 (8) 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을 조작체 (6) 의 조작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이 변환 수단은 예를 들어, 구동 부재 (8) 에 형성된 경사면 (8c) 과, 이 경사면 (8c) 에 맞닿고, 유지 부재 (7) 에 형성된 경사면 (7b) 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의 키 잠금 (key locking) 등에 활용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종래 기술로서, 특허 문헌 1 에 나타나는 것이 있다. 이 특허 문헌 1 에는 고정 접점이 형성된 수납부를 가짐과 함께, 상방으로 개구부를 갖고,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를 덮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케이스의 수납부 내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고정 접점에 접촉 가능한 탄성 가동 접편 즉 탄성을 갖는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이 유지되고,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체 즉 조작체가 구비되어 있다. 또, 케이스의 수납부 내에 배치되고,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 스프링, 즉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조작체를 슬라이드 조작시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자동 복귀식 슬라이드 스위치, 즉 스위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초기 위치에서는 예를 들어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되고, 조작체를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가동 접점이 소정의 고정 접점의 조합에 접촉하여 스위치가 온으로 작동된다. 조작체에 부여된 조작력을 제거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접점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된다. 이러한 스위치 장치는, 휴대 전화의 키 잠금 등에 활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26217호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의 자체 보유하는 탄성력에 의해 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의 바람직한 접점압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나타나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가동 접점을 작게 형성시켜야 하지만, 이와 같이 가동 접점을 작게 하면 자기의 보유하는 탄성력이 작아져 상기 서술하는 바람직한 접점압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원하는 접점압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교적 큰 가동 접점을 형성해야 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 기술에 나타나는 스위치 장치가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케이스의 수납부 내에 조작체, 가동 접점 및 탄성 부재를 수납한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장치가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땜납에 의해 회로 기판의 회로와 케이스의 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고정 접점이, 접속 단자를 개재하여,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 납땜할 때에 실시되는 조립체에 대한 가열에 의해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탄성을 갖는 가동 접점에 열에 의한 달라붙음을 일으켜, 그 가동 접점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바람직한 접점압의 확보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 가동 접점의 탄성력이 고정 접점을 개재하여, 케이스에 부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서술한 조립체에 가열됨으로써, 케이스에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스위치 장치를 납땜에 의해 회로 기판에 장착 되었을 때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실상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동 접점이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이 접촉하는 고정 접점 사이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고정 접점이 형성된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이간 가능한 가동 접점과,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 내에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 내에 배치되고, 조작된 상기 조작체에 이 조작체를 복귀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조작체를 조작시켜,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조작체의 조작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수반하여 슬라이딩하는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변환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상기 고정 접점측에 눌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작체가 초기 위치에 유지되고, 예를 들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떨어져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조작체를 조작시키면, 변환 수단에 의해 조작체의 조작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따라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측으로 눌러지고, 이 상태에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스위치가 온으로 작동된다. 또한, 조작체를 초기 위치 방향으로 돌리면,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작체의 조작에 의해 가동 접점을 슬라이딩시켜, 이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킬 수 있지만, 가동 접점이 슬라이딩되는 동안에, 이 가동 접점은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고정 접점측에 압압되면서 슬라이딩한다. 또, 조작체의 조작에 의해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상응하여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강하게 압하되어 접촉한다. 따라서, 가동 접점이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원하는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이 슬라이딩 조작되는 동안, 이 가동 접점은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고정 접점측에 눌러지면서 슬라이딩하므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면의 클리닝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체를 조작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되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약해지고,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고, 또, 가동 접점을 개재하여, 케이스체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고, 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회로 기판에 대한 납땜시에, 열에 의한 가동 접점이 달라붙거나, 케이스체의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가동 접점을 유지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내를 슬라이딩 가능한 유지 부재와, 상기 케이스체로부터 노출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유지 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변환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작체가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이 유지 부재는 별체의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작체의 조작시에, 이 조작체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에 휨 등의 원하지 않는 힘이 부여되어도, 그러한 원하지 않는 힘이 유지 부재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를, 서로 대향하는 맞닿음부를 개재하여, 맞닿게 하고, 상기 구동 부재의 맞닿음부가, 상기 조작체의 조작시에, 상기 유지 부재의 맞닿음부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이루고, 상기 유지 부재의 맞닿음부가, 상기 조작체의 조작시에,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압부를 이루고, 상기 구동 부재의 압압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피압압부에 의해 상기 변환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구동 부재의 압압부로부터 유지 부재의 피압압부로 전달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누를 수 있어, 원하는 접점압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측에 서서히 압하되도록 하는 변환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작체의 조작시에,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구동 부재의 압압부, 및 유지 부재의 피압압부 중 적어도 일방을 이루는 변환면을 개재하여, 유지 부재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변환면을 개재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따른 힘을, 서서히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누르는 힘으로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환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사면을, 상기 맞닿음부를 이루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의 각각에 형성하고, 이들 경사면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변환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동 부재의 압압부와 유지 부재의 피압압부의 쌍방이 경사면에 형성되므로, 조작체의 조작시에, 구동 부재와 유지 부재를 경사면끼리의 면접촉에 의해 맞닿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이들 경사면의 절삭을 억제하여 이러한 절삭에 의한 절삭분(切削粉) 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상기 고정 접점이 형성되고, 개구부를 갖는 상기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부재에 상기 고정 접점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조작체의 조작시에 이 조작체가 맞닿는 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 체와 상기 돌부가 상기 변환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변환 수단이 조작체와 덮개부재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변환 수단과 관련되는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의 돌부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을 압하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상기 고정 접점이 형성되고, 개구부를 갖는 상기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했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변환면을 개재하여, 들뜨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규제부에 의해 변환면을 개재한 구동 부재와 유지 부재의 들뜸이 규제되므로, 케이스의 수납부에 유지 부재 및 탄성 부재와, 구동 부재를 조합할 때에, 구동 부재와 유지 부재가 케이스의 수납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의 수납부에 대한 유지 부재 및 탄성 부재와 구동 부재의 조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 또는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 또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했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피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피걸어맞춤부를,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서로 이간되도록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규제부를, 구동 부재와 유지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 규제부를 형성하기 위한 특별한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덮개부재를 케이스에 장착했을 때에는, 즉 조작체의 비조작 위치 및 조작 위치에 있어서는, 구동 부재 또는 유지 부재의 걸어맞춤부와, 유지 부재 또는 구동 부재의 피걸어맞춤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므로, 이 스위치 장치의 조립 후의 조작체의 조작을 문제없이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이, 강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이 접점부가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의 접점부가 강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이 가동 접점의 접점부를 고정 접점에 확실히 압하할 수 있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사이에 양호한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도전성을 갖고, 상기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접점이 적어도 제 1 고정 접점과 제 2 고정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을,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제 1 고정 접점을 도통시키도록 배치하고,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제 2 고정 접점에 접촉 이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을 스위치 조작에 있어서의 도전 경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선의 회선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접점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고정 접점을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맞닿는 면을 노출시켜 상기 수납부의 측면에 매설하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2 고정 접점은, 상기 가동 접점의 상기 접촉부가 접촉하는 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의 내저면에 매설하고,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의 권회부에 삽입되는 돌부를 구비하고, 이 돌부 및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가동 접점의 상기 접점부는 동일한 금속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돌부와 상기 접점부를 노출시켜 상기 유지 부재에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케이스체의 수납부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고정 접점의 노출면에 지지되고, 코일 스프링의 타단이 가동 접점의 스프링 수용부에 지지됨과 함께, 코일 스프링의 권회부가 가동 접점의 돌부에 유지되므로, 조작체가 조작되는 동안, 이 코일 스프링을 케이스체의 수납부 내에 압축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확실히 도전 경로로서 활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에, 이 조작체를 복귀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함과 함께, 이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작체의 조작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조작체의 조작에 수반하여 슬라이딩하는 상기 가동 접점이,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변환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고정 접점측에 눌러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조작체의 조작에 의해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강해지고, 이것에 상응하여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눌러진 상태에서 접촉한다. 즉, 가동 접점이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원하는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점을 접점압을 확보하기 위한 탄성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작은 형상 치수로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수반하여 종래 곤란했던 이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이 슬라이딩 조작되는 동안, 이 가동 접점은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고정 접점측에 눌러지면서 슬라이딩하므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면의 클리닝을 실현할 수 있고, 우수한 스위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체를 조작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되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약해지고,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며, 또, 가동 접점을 개재하여, 케이스체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이 스위치 장치의 회로 기판에 대한 납땜시에, 열에 의한 가동 접점이 달라붙거나, 케이스체의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이 스위치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체가 초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도,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조작체가 스위치 작동 위치까지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은 도 5 의 B-B 단면도,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1, 3,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셀프 리턴형 슬라이드 스위치로서, 복수의 고정 접점, 예를 들어 제 1 고정 접점 (2a) 과 제 2 고정 접점 (2b) 이 형성된 수납부 (1a) 를 갖고,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1) 와 이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부 (1a1) 를 덮는 덮개부재 (9) 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서술한 2 개의 고정 접점 (2a, 2b) 중 제 2 고정 접점 (2b) 에 접촉 이간 가능한 가동 접점 (5)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에 수납되고, 가동 접점 (5) 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 (6) 와, 이 조작체 (6) 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 예를 들어 가동 접점 (5) 과 제 1 고정 접 점 (2a) 을 도통시키는 도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 (4) 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실시형태는,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을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하여 슬라이딩하는 가동 접점 (5) 이,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변환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제 2 고정 접점 (2b) 에 눌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조작체 (6) 는, 가동 접점 (5) 을 유지하고,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유지 부재 (7) 와, 케이스체로부터 노출하는 조작부, 예를 들어 케이스 (1) 로부터 돌출하는 조작 돌기 (8b) 를 갖고, 유지 부재 (7) 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부재 (8) 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부재 (7) 와 구동 부재 (8)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맞닿음부 (7a, 8a) 를 개재하여, 맞닿아 있다. 구동 부재 (8) 의 맞닿음부 (8a) 는,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유지 부재 (7) 의 맞닿음부 (7a) 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이루고, 유지 부재 (7) 의 맞닿음부 (7a) 는,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구동 부재 (8) 의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압부를 이루고 있다. 이들 구동 부재 (8) 의 맞닿음부 (8a) 로 이루어지는 압압부와, 유지 부재 (7) 의 맞닿음부 (7a) 로 이루어지는 피압압부에 의해,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을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 (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 으로 변환하는 상기 서술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8) 의 압압부와 유지 부재 (7) 의 피압압부 중 적어도 일방, 예를 들어 쌍방을,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하여 가동 접점 (5) 이 제 2 고정 접점 (2b) 측에 서서히 압하되도록 하는 변환면으로 되어 있다. 이 변환면은, 예를 들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맞닿음부 (8a) 를 이루는 구동 부재 (8) 의 압압부에 경사면 (8c) 을 형성하고, 맞닿음부 (7a) 를 이루는 유지 부재 (7) 의 피압압부에 경사면 (7b) 을 형성하고, 이들 경사면 (8c, 7b) 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서술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과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의 각각은 제 2 고정 접점 (2b) 이 배치된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를 형성하는 면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 (1a) 의 내저면 (1g) 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4) 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케이스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측벽에 절결부 (1b) 를 갖고, 이 절결부 (1b) 에 구동 부재 (8) 의 조작 돌기 (8b) 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 (1) 에는, 도 4,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부재 (8) 의 걸어맞춤부 (8d) 가 걸리는 걸림부 (1c) 외에, 외벽에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 (1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 (1) 에는, 제 1 고정 접점 (2a), 제 2 고정 접점 (2b) 의 각각 해당하는 것에 도통하는 접속 단자 (3a, 3b) 도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케이스 (1) 에는, 도 1,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 (6) 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 (8) 에 형성된 제 1 피가이드부 (8e) 를 안내하는 상기 서술하는 걸림부 (1c) 외에, 구동 부재 (8) 에 형성된 제 2 피가이드부 (8f1) 를 안내하는 내벽 (1f1) 과, 구동 부재 (8) 에 형성된 제 3 피가이드부 (8f2) 를 안내하는 내벽 (1f2) 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1) 의 걸림부 (1c) 및 내벽 (1f1, 1f2) 은,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부재 (8) 에 형성되고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 (8g) 은 덮개부재 (9) 에 형성된 벽 (안내부) 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 구동 부재 (8) 에 맞닿는 유지 부재 (7) 의 제 1 피가이드부 (7c1) 는, 케이스 (1) 의 가이드벽 (1e) 에 의해 안내되고, 유지 부재 (7) 의 제 2 피가이드부 (7c2) 는, 케이스 (1) 의 내벽 (1f2) 에 의해 안내되게 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 (2a) 은,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고정 접점 (2a) 은 코일 스프링 (4) 의 일단 (4a) 이 맞닿는 면 (2a1) 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측면에 매설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점 (2b) 도,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2 고정 접점 (2b) 은,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가 접촉하는 면 (2b1) 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1) 의 내저면 (1g) 에 매설되어 있다. 이들 제 1 고정 접점 (2a) 및 제 2 고정 접점 (2b) 은, 케이스 (1)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5) 은, 강성을 갖고, 반원구면 형상의 곡면 형상을 한 접점부 (5a) 를 갖고 있다.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의 반대측 부분은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7) 의 받이부 (7c)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이 가동 접점 (5)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4) 의 타단 (4b) 을 지지하는 스프링 수용부 (5b) 와, 코일 스프링 (4) 의 권회부 (4c) 에 삽입되는 돌부 (5c) 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수용부 (5b) 는 예를 들어, 돌부 (5c) 의 양측에 배치된 1 쌍의 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수용부 (5b), 돌부 (5c) 및 상기 서술하는 접점부 (5a) 는, 동일한 금속체로 이루어져 있다. 즉, 가동 접점 (5) 의 전체는, 도전성 금속체, 예를 들어 제 1, 제 2 고정 접점 (2a, 2b) 을 구성하는 금속판보다도 판두께가 두꺼운 1 장의 도전성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가동 접점 (5) 은 스프링 수용부 (5b) 와 돌부 (5c) 와 접점부 (5a) 를 노출시키도록 유지 부재 (7)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 (4) 은, 도 3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 (4a) 이 제 1 고정 접점 (2a) 의 면 (2a1) 에 상시 탄성 접촉되고, 타단 (4b) 이 가동 접점 (5) 의 스프링 수용부 (5b) 에 지지되고, 권회부 (4c) 가 가동 접점 (5) 의 돌부 (5c) 에 유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를 구성하는 상기 서술하는 덮개부재 (9) 에는, 케이스 (1) 의 걸어맞춤 돌기 (1d) 의 각각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구멍 (9a)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유지 부재 (7) 및 이 유지 부재 (7) 에 유지되는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는, 케이스 (1) 의 내저면 (1g) 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동작]
도 2 ∼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 (6) 가 초기 위치에, 즉 비조작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4) 의 일단 (4a) 이 제 1 고정 접점 (2a) 의 면 (2a1) 에 탄성 접촉되고, 코일 스프링 (4) 의 권회부 (4c) 가 가동 접점 (5) 의 돌부 (5c) 에 유지되고, 코일 스프링 (4) 의 타단 (4b) 이 가동 접점 (5) 의 스프링 수용부 (5b) 에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 (5) 이 코일 스프링 (4) 을 개재하여, 제 1 고정 접점 (2a) 에 도통하고 있으나, 유지 부재 (7) 에 대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의 부여에 의해, 이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는,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유지되고, 제 2 고정 접점 (2b) 과 제 1 고정 접점 (2a) 사이가 차단되어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되어 있다. 이 때,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은, 조작체 (6) 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에 접합되고, 구동 부재 (8) 는, 예를 들어 가동 접점 (5) 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면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일방의 내측면 (1h) 에 맞닿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코일 스프링 (4) 은 원래 길이에 가까운 길이로 약간 압축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 (4) 에 의한 구동 부재 (8) 에 대한 탄성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 부재 (7) 및 구동 부재 (8) 를 포함하는 조작체 (6) 가,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상기 서술한 내측면 (1h) 에 눌러지는 힘 및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유지 부재 (7) 및 가동 접점 (5) 이,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 (1g) 에 눌러지는 힘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구동 부재 (8) 의 조작 돌기 (8b) 를 도 2 의 화살표 (10)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 구동 부재 (8) 의 홈 (8g) 이 덮개부재 (9) 에 형성된 벽에 안내됨과 함께, 구동 부재 (8) 의 제 1 피가이드부 (8e), 제 2 피가이드부 (8f1), 제 3 피가이드부 (8f2) 의 각각이, 케이스 (1) 의 걸림부 (1c), 내벽 (1f1, 1f2) 의 해당하는 것에 의해 안내되어 구동 부재 (8) 이 슬라이딩되지만, 이 때에 구동 부재 (8) 에 가해져 있는 조작력이, 이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과, 이 경사면 (8c) 에 맞닿아 있는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을 개재하여, 유지 부재 (7) 의 슬라이딩력으로서 전달되고, 유지 부재 (7) 가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저항되고, 또, 그 제 1 피가이드부 (7c1), 제 2 피가이드부 (7c2) 가 케이스 (1) 의 가이드벽 (1e), 내벽 (1f2) 의 해당하는 것에 안내됨으로써 동 도 2 의 화살표 (10)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또, 이 유지 부재 (7) 와 일체적으로 가동 접점 (5) 이 동 도 2 의 화살표 (10)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도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5) 이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 (1g) 에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에 접촉됨으로써 스위치가 온으로 작동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는, 조작체 (6) 를 형성하는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과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을 개재하여, 가동 접점 (5) 을 슬라이딩시켜, 이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를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에 접촉시킬 수 있지만,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으로부터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에 조작력이 전달될 때에, 그 만큼의 힘 즉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유지 부재 (7) 가 조작체 (6) 의 조작 방향과는 상이한 직교 방향이 되는 제 2 고정 접점 (2b) 측에, 즉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 (1g) 방향으로 압압되면서 슬라이딩된다. 또, 유지 부재 (7) 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즉 조작체 (6) 의 조작에 의해,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을 강하게 할 수 있어, 이것에 상응하여 조작력이 강해진다. 즉, 유지 부재 (7) 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상기 서술하는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강하게 됨으로써, 유지 부재 (7) 에 유지된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가,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과의 접촉시, 이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에 강하게 압하되어, 이것에 의해 원하는 접점압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가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에 접촉하면, 이 제 2 고정 접점 (2b) 과 제 1 고정 접점 (2a) 이 도전성을 갖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 (4) 및 가동 접점 (5) 을 개재하여, 도통되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가 온으로 작동된다.
또한, 구동 부재 (8) 에 가해진 조작력을 제거하면, 압축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접점 (5)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7) 및 구동 부재 (8) 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가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으로부터 떨어지고, 다시 제 2 고정 접점 (2b) 과 제 1 고정 접점 (2a) 사이가 차단되어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가동 접점 (5) 을 슬라이딩시켜, 이 가동 접점 (5) 을 제 2 고정 접점 (2b) 에 접촉시킬 수 있지만, 가동 접점 (5) 이 슬라이딩되는 동안에, 이 가동 접점 (5) 은,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과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에 의해 형성되는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제 2 고정 접점 (2b) 이 형성되는 케이스 (1) 의 내저면 (1g) 방향으로 압압되면서 슬라이딩된다. 또, 조작체 (6) 의 조작에 의해 압축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상응하여 가동 접점 (5) 이 제 2 고정 접점 (2b) 에 강하게 압하되어 접촉한다. 따라서, 가동 접점 (5) 이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원하는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 (5) 을 접점압을 확보하기 위한 탄성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작은 형상 치수로 할 수 있게 되어, 이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 가동 접점 (5) 이 슬라이딩 조작되는 동안, 이 가동 접점 (5) 은 경사면 (7b, 8c) 으로 이루어지는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상응하는 힘에 의해 제 2 고정 접점 (2b) 측에 눌러지면서 슬라이딩하므로, 가동 접점 (5) 과 제 2 고정 접점 (2b) 의 접촉면의 클리닝을 실현할 수 있어, 우수한 스위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작체 (6) 를 슬라이드 조작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경사면 (7b, 8c) 으로 이루어지는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되는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약해지고,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 (5) 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고, 또 한, 가동 접점 (5) 을 개재하여, 케이스체를 구성하는 케이스 (1) 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이 스위치 장치의 회로 기판에 대한 납땜시에, 열에 의한 가동 접점 (5) 이 달라붙거나, 케이스 (1) 의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이 스위치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를 회로 기판에 납땜하는 경우, 리플로우 땜납에 의해 납땜하도록 해도 되고, 또, 회로 기판에 형성된 구멍에, 이 제 1 실시형태의 단자 (3a, 3b) 를 삽입시켜, 딥 땜납에 의해 납땜하도록 해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가동 접점 (5) 이 달라붙음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제 1 실시형태는, 조작체 (6) 가, 가동 접점 (5)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7) 와, 이 유지 부재 (7) 와는 별체의 구동 부재 (8) 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이 조작체 (6) 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 (8) 에 휨 등의 원하지 않는 힘이 부여되어도, 그러한 원하지 않는 힘이 유지 부재 (7) 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하지 않는 힘에 대해 유지 부재 (7) 에 유지되는 가동 접점 (5) 과, 이 가동 접점 (5) 이 접촉 이간되는 제 2 고정 접점 (2b) 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구동 부재 (8) 의 맞닿음부 (8a) 를 형성하는 압압부로부터 유지 부재 (7) 의 맞닿음부 (7a) 를 형성하는 피압압부로 전달되고, 이것에 의해 유지 부재 (7) 에 유지되는 가동 접점 (5) 을 제 2 고정 접점 (2b) 에 눌러질 수 있고, 원하는 접점압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어 우수한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구동 부재 (8) 의 압압부, 및 유지 부재 (7) 의 피압압부의 쌍방에 형성되는 경사면 (8c, 7b) 으로 이루어지는 변환면을 개재하여, 유지 부재 (7) 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변환면을 개재하여,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따른 힘을, 서서히 가동 접점 (5) 을 제 2 고정 접점 (2b) 에 누르는 힘으로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구동 부재 (8) 와 유지 부재 (7) 를 경사면 (8c, 7b) 끼리의 면접촉에 의해 맞닿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이들 경사면 (8c, 7b) 의 절삭을 억제하여, 절삭분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러한 절삭분에 의한 가동 접점 (5) 과 제 2 고정 접점 (2b) 의 접촉 불량을 잘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가 강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경사면 (8c, 7b) 으로 이루어지는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이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를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에 확실히 압하할 수 있고,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와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사이에 양호한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도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도전성을 갖고, 조작체 (6) 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 스프링 (4) 과, 제 1 고정 접점 (2a) 및 제 2 고정 접점 (2b) 을 구비하고, 코일 스프링 (4) 을, 가동 접점 (5) 과 제 1 고정 접점 (2a) 을 도통시키도록 배치한 점에서, 코일 스프링 (4) 을 스위치 조작에 있어서의 도전 경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선의 회선을 간략화시킬 수 있고, 이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스위치 장치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코일 스프링 (4) 의 일단 (4a) 이 케이스체를 형성하는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고정 접점 (2a) 의 노출면 (2a1) 에 지지되고, 코일 스프링 (4) 의 타단 (4b) 이 가동 접점 (5) 의 스프링 수용부 (5b) 에 지지됨과 함께, 코일 스프링 (4) 의 권회부 (4c) 가 가동 접점 (5) 의 돌부 (5c) 에 유지되므로, 조작체 (6) 가 슬라이드 조작되는 동안, 이 코일 스프링 (4) 을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에 압축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 (4) 을 압축한 상태에서 안정적인 도전 경로로서 활용시킬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도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구성]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11 은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구동 부재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지 부재 및 가동 접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3 의 (a) 는 측면도, 도 13 의 (b) 는 이면도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형태의 측단면도, 도 15 는 제 2 실시형태의 케이스 내의 유지 부재, 코일 스프링, 및 구동 부재의 조립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이 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10 에 있어서는, 케이스에 매설되는 고정 접점도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8, 9, 10, 1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도 예를 들어 셀프 리턴형 슬라이드 스위치로서, 기본 구성은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즉, 복수의 고정 접점, 예를 들어 제 1 고정 접점 (12a) 과 제 2 고정 접점 (12b) 이 형성된 수납부 (11a) 를 갖고,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11) 와, 이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부 (11a1) 를 덮는 덮개부재 (19) 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서술한 2 개의 고정 접점 (12a, 12b) 중 제 2 고정 접점 (12b) 에 접촉 이간 가능한 가동 접점 (15)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수납되어 가동 접점 (15) 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 (16) 와, 이 조작체 (16) 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 예를 들어 가동 접점 (15) 과 제 1 고정 접점 (12a) 을 도통시키는 도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 (14)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을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하여 슬라이딩하는 가동 접점 (15) 이,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변환된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제 2 고정 접점 (12b) 에 눌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조작체 (16) 는, 도 10, 12, 13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15) 을 유지하고,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유지 부재 (17) 와, 케이스체로부터 노출하는 조작부, 예를 들어 케이스 (11) 로부터 돌출하는 조작 돌기 (18b) 를 갖고, 유지 부재 (17) 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부재 (18) 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부재 (17) 와 구동 부재 (18)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맞닿음부 (17a, 18a) 를 개재하여, 맞닿아 있다. 구동 부재 (18) 의 맞닿음부 (18a) 는,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유지 부재 (17) 의 맞닿음부 (17a) 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이루고, 유지 부재 (17) 의 맞닿음부 (17a) 는,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구동 부재 (18) 의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압부를 이루고 있다. 이들 구동 부재 (18) 의 압압부와 유지 부재 (17) 의 피압압부에 의해,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을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 (예를 들어 직교 방향) 으로 변환하는 상기 서술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18) 의 맞닿음부 (18a) 로 이루어지는 압압부와, 유지 부재 (17) 의 맞닿음부 (17a) 로 이루어지는 피압압부 중 적어도 일방, 예를 들어 쌍방을,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하여 가동 접점 (15) 이 제 2 고정 접점 (12b) 측에 서서히 압하되도록 하는 변환면으로 되어 있다. 이 변환면은, 예를 들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 (18a) 를 이루는 구동 부재 (18) 의 압압부에 경사면 (18c) 을 형성 하여 도 1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 (17a) 를 이루는 유지 부재 (17) 의 피압압부에 경사면 (17b) 을 형성하고, 이들 경사면 (18c, 17b) 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서술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구동 부재 (18) 의 경사면 (18c) 과 유지 부재 (17) 의 경사면 (17b) 의 각각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 접점 (12b) 이 배치된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를 형성하는 면부, 예를 들어 수납부 (11a) 의 내저면 (11g) 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14) 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케이스 (11) 는, 도 8, 9,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측벽에 절결부 (11b) 를 갖고, 이 절결부 (11b) 에 구동 부재 (18) 의 조작 돌기 (18b) 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 (11) 에는 조작체 (16) 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제 1 피가이드부 (18e) 를 안내하는 가이드벽 (11e) 과,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제 2 피가이드부 (18f1) 를 안내하는 내벽 (11f1) 과,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제 3 피가이드부 (18f2) 를 안내하는 내벽 (11f2) 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11) 의 가이드벽 (11e) 및 내벽 (11f1, 11f2f) 은,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부재 (18) 에 맞닿는 유지 부재 (17) 의 제 1 피가이드부 (17c1) 는, 케이스 (11) 의 가이드벽 (11e) 에 의해 안내되고, 유지 부재 (17) 의 제 2 피가이드부 (17c2) 는, 케이스 (11) 의 내벽 (11f2) 에 의해 안내되게 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 (12a) 은,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고정 접점 (12a) 을 코일 스프링 (14) 의 일단 (14a) 이 맞닿는 면 (12a1) 을 노출시켜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의 측면에 매설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점 (12b) 도,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2 고정 접점 (12b) 을 가동 접점 (15) 의 접점부 (15A) 가 접촉하는 면 (12b1) 을 노출시켜 케이스 (11) 의 내저면 (11g) 에 매설되어 있다. 이들 제 1 고정 접점 (12a) 및 제 2 고정 접점 (12b) 은 케이스 (11)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15) 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 접점 (12b) 에 접촉 이간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갖고, 반구 형상 등의 곡면 형상을 한 접점부 (15A) 를 갖고 있다. 가동 접점 (15) 의 접점부 (15A) 의 반대측 부분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유지 부재 (17) 의 받이부 (17c)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 이 가동 접점 (15) 은, 도 1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14) 의 타단 (14b) 를 지지하는 스프링 수용부 (15b) 와, 코일 스프링 (14) 의 권회부 (14c) 에 삽입되는 돌부 (15c) 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수용부 (15b) 는 예를 들어, 돌부 (15c) 의 양측에 배치된 1 쌍의 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수용부 (15b), 돌부 (15c) 및 상기 서술하는 접점부 (15A) 는 동일한 금속체로 이루어져 있다. 즉, 가동 접점 (15) 의 전체는, 도전성 금속체, 예를 들어 1 장의 도전성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가동 접점 (15) 은, 스프링 수용부 (15b) 와 돌부 (15c) 와,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접점부 (15A) 를 노출시키도록 유지 부재 (17)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 (14) 은, 도 9,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 (14a) 이 제 1 고정 접점 (12a) 의 면 (12a1) 에 상시 탄성 접촉되고, 타단 (14b) 이 가동 접점 (15) 의 스프링 수용부 (15b) 에 지지되고, 권회부 (14c) 가 가동 접점 (15) 의 돌부 (15c) 에 유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유지 부재 (17) 및 이 유지 부재 (17) 에 유지시킨 가동 접점 (15) 의 접점부 (15A) 는, 케이스 (11) 의 내저면 (11g) 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이상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하다.
이 제 2 실시형태는, 케이스체를 구성하는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수납했을 때에,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 부재 (17) 와 구동 부재 (18) 가 변환면을 개재하여, 즉 유지 부재 (17) 의 경사면 (17b) 및 구동 부재 (18) 의 경사면 (18c) 을 개재하여, 들뜨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유지 부재 (17) 와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하는 규제부는, 예를 들어 도 1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부재 (18) 의 맞닿음부 (18a) 로 이루어지는 압압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볼록 형상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맞닿음부 (17a) 로 이루어지는 피압압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케이스체의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수납부 (11a) 내에 수납시에,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서술하는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에 걸어맞추는 오목 형상의 피걸어맞춤부 (21) 를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부 (20) 와 피걸어맞춤부 (21) 는, 조작체 (16) 가 조작되지 않는 비조작 위치, 및 조작체 (16) 가 슬라이드 조작되는 조작 위치, 즉, 덮개부재 (19) 가 케이스 (11)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14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이간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체의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수납부 (11a) 내에 수납했을 때에,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에 걸어맞추는 지점이, 도 15 의 1 점 쇄선 (23)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14) 의 중심선 (22) 에서 거리 (S) 만큼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동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수납하고, 덮개부재 (19) 가 케이스 (11) 에 장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압축된 상태에서 수납된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 부재 (17) 가 압압되어 경사면 (17b, 18c) 을 개재하여, 구동 부재 (18) 는,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도 상방으로 돌출된 케이스 (11) 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 부재 (18) 에 동 도 15 의 화살표 (24) 로 나타내는 오른쪽 회전인 모멘트를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는 케이스 (11) 의 내저면 (11g) 을 향해 압하되는 경향이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상태로부터, 케이스 (11) 에 덮개부재 (19) 를 씌우면, 이 덮개부재 (19) 에 의해 구동 부재 (18) 가 하방으로 압압되고, 이 구동 부재 (18) 의 경사면 (18c) 과 유지 부재 (17) 의 경사면 (17b)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 동작을 개재하여, 유지 부재 (17) 가 코일 스프링 (14)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가 서로 떨어지고, 도 14 에 예시하는 상태, 즉, 걸어맞춤부 (20) 와 피걸어맞춤부 (21) 가, 조작체 (16) 가 조작되지 않는 비조작 위치, 및 조작체 (16) 가 슬라이드 조작되는 조작 위치에 있어서, 서로 이간되도록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을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즉 유지 부재 (17) 에 의해 유지된 가동 접점 (15) 의 접점부 (15A) 를, 제 2 고정 접점 (12b) 에 누르는 방향으로 변환하는 구동 부재 (18) 의 경사면 (18c) 과 유지 부재 (17) 의 경사면 (17b) 을 포함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케이스체의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수납부 (11a) 내에 수납하고, 덮개부재 (19) 가 씌워져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로 이루어지는 규제부에 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동 부재 (18) 에 도 15 의 화살표 (24) 로 나타내는 오른쪽 회전인 모멘 트가 발생하고,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는 케이스 (11) 의 내저면 (11g) 을 향해 압하되는 경향이 된다. 이것에 의해, 변환면 즉 경사면 (18c, 17b) 을 개재한 구동 부재 (18) 와 유지 부재 (17) 의 들뜸이 규제되고, 케이스체를 구성하는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에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조합시의, 구동 부재 (18) 와 유지 부재 (17) 의 케이스 (11) 로부터의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11) 에 대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의 조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이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조립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규제부가,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에 의해 구성되므로, 이 규제부를 형성하기 위한 특별한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덮개부재 (19) 를 케이스 (11) 에 조립했을 때에는, 즉 조작체 (16) 의 비조작 위치 및 조작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므로, 이 스위치 장치의 조립 후의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을 문제없이 실시할 수 있어 조작체 (16) 의 양호한 슬라이드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체를 구성하는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수납부 (11a) 내에 수납했을 때에,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 부재 (17) 와 구동 부재 (18) 가 들뜨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볼록 형상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에 형성되고,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에 걸어맞추는 오목 형상의 피걸어맞춤부 (21) 에 의해 구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규제부를 상기 서술한 것과는 반대로, 유지 부재 (17) 에 형성된 볼록 형상의 걸어맞춤부와,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되고, 유지 부재 (17) 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오목 형상의 피걸어맞춤부와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는 지점은, 코일 스프링의 중심선보다 상방에 미리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실시형태에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규제부를 구성하는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의 맞닿음면이,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상태로 설정되거나, 경사면 (18c, 17b) 의 맞닿음면과는 역방향인 경사면이 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수납하고, 덮개부재 (19) 가 씌워져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 부재 (18) 의 피걸어맞춤부와, 유지 부재 (17) 의 걸어맞춤부는 케이스 (11) 의 내저면 (11g) 를 향하여 압하되는 경향이 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부재 (18) 와 유지 부재 (17) 의 들뜸을 규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구성]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제 3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 돌기 (25a) 를 갖는 구동 부재 (25) 와, 가동 접점 (27)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26) 에 의해 조작체가 구성되어 있다. 또, 구동 부재 (25) 에 형성된 경사면 (25b) 과, 이 경사면 (25b) 에 접합하고, 유지 부재 (26) 에 형성된 경사면 (26a) 에 의해,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부재 (25) 와 유지 부재 (26) 로 이루어지는 조작체에 이 조작체를 복귀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로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 (4) 과는 상이하고, 도전성을 갖는 토션 스프링 (28)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토션 스프링 (28) 의 일단 (28a) 은, 가동 접점 (27) 의 스프링 수용부 (27a) 에 지지되고, 타단 (28b) 은 도시하지 않은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제 1 고정 접점에 상시 탄성 접촉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토션 스프링 (28) 의 탄성력을, 가동 접점 (27) 에 대한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측에 대한 압하력으로서 전달할 수 있고,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를,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 (4), 혹은 제 3 실시형태에 나타낸 토션 스프링 (28) 에 대신하여 회선이 스프링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의 구성]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4 실시형태는, 케이스 (29) 를 덮는 덮개부재 (30) 가 케이스 (29) 내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측에 돌출되고, 예를 들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돌부 (30a) 를 가짐과 함께, 가동 접점 (32) 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 (31) 가,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에 맞닿을 수 있는 경사면 (31a) 을 갖는 일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 조작체 (31) 의 경사면 (31a) 은 케이스 (29) 의 수납부 (29a) 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33) 에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32) 은 전체가 도전성 금속체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조작체 (31)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등한 케이스 (29) 에 매설된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접촉 이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29) 의 수납부 (29a) 내에는 탄성 부재로서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 (33) 을 배치하고 있고, 이 코일 스프링 (33) 의 일단 (33a) 은 케이스 (29) 에 매설된 도시하지 않은 제 1 고정 접점에 상시 탄성 접촉되고, 타단 (33b) 은 가동 접점 (32) 에 지지되어 있다.
이 제 4 실시형태는, 코일 스프링 (33) 의 탄성력을 조작체 (31)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이,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와 조작체 (31) 에 형성된 경사면 (31a)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4 실시형태도 조작체 (31) 를 코일 스프링 (33) 을 압축하도록 화살표 (31b)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조작체 (31) 의 경사면 (31a) 이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에 맞닿고, 압축되어 강해진 코일 스프링 (30)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와 조작체 (31) 의 경 사면 (31a) 의 맞닿음을 개재하여, 조작체 (31) 에 유지된 가동 접점 (32) 이 케이스 (29) 의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측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변환 수단이 조작체 (31) 와 덮개부재 (30) 로 이루어지므로, 변환 수단과 관련되는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가동 접점 (32) 이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을 압하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고, 가동 접점 (32) 과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부품수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조작체 (31) 에 대신하여 조작체를,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에 맞닿는 경사면을 갖는 구동 부재와, 이 구동 부재는 별체로 형성되지만, 구동 부재와의 맞닿음부를 갖는 유지 부재, 즉 가동 접점 (32)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의 2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은,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이 조작체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에 휨 등의 원하지 않는 힘이 부여되어도, 그러한 원하지 않는 힘이 별도의 부재인 유지 부재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하지 않는 힘에 대해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가동 접점 (32) 과, 이 가동 접점 (32) 이 접촉 이간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을 보호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의 구성]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5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를 구동 부재 (34) 와, 가동 접점 (36)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35)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부재 (34)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압압부 (34a) 에, 곡면 (34b) 을 형성하고 있고, 유지 부재 (35)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피압압부 (35a) 에, 구동 부재 (34) 의 곡면 (34b) 에 접합하는 경사면 (35b) 을 형성하고 있다. 유지 부재 (35) 의 경사면 (35b) 은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34) 의 곡면 (34b) 과, 유지 부재 (35) 의 경사면 (35b) 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구동 부재 (34) 와 유지 부재 (35) 를 포함하는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면, 즉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5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구동 부재 (34) 의 곡면 (34b) 과 유지 부재 (35) 의 경사면 (35b) 의 슬라이딩 접촉을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가동 접점 (36)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35) 가 슬라이딩되고,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가동 접점 (36) 의 접점부 (36a) 가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제 5 실시형태는, 구동 부재 (34) 에 곡면 (34b) 을 형성하고, 유지 부재 (35) 에 구동 부재 (34) 의 곡면 (34b) 에 접합하는 경사면 (35b) 을 형성 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구동 부재 (34) 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유지 부재 (35) 에 구동 부재 (34) 의 경사면에 접합하는 곡면을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6 실시형태의 구성]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6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를 구동 부재 (37) 와, 가동 접점 (39)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38)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부재 (37)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압압부 (37a) 에, 곡면 (37b) 를 형성하고 있고, 유지 부재 (38)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피압압부 (38a) 에, 구동 부재 (37) 의 곡면 (37b) 에 접합하는 곡면 (38b)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37) 의 곡면 (37b) 과, 유지 부재 (38) 의 곡면 (38b) 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구동 부재 (37) 와 유지 부재 (38) 를 포함하는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면, 즉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6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구동 부재 (37) 의 곡면 (37b) 과 유지 부재 (38) 의 곡면 (38b) 의 슬라이딩 접촉을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가동 접점 (39)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38) 가 슬라이딩되고,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가동 접점 (39) 의 접점부 (39a) 가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의 구성]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7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를 구동 부재 (40) 와, 가동 접점 (42)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41)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구동 부재 (40)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압압부 (40a) 에 경사면 (40b) 을 형성하고 있고, 유지 부재 (41)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피압압부 (41a) 에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에 대향하는 경사면 (41b) 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유지 부재 (41) 의 경사면 (41b) 에 반구 형상 오목부 (41c) 를 형성하고 있고, 이 반구 형상 오목부 (41c) 내에,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에 접합하는 구 (43) 를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도록 수용하고 있다.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및 유지 부재 (41) 의 경사면 (41b) 의 각각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과, 유지 부재 (41) 의 반구 형상 오목부 (41c) 에 수용된 구 (43) 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구동 부재 (40) 와, 유지 부재 (41) 를 포함하는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7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유지 부재 (41) 에 유지된 구 (43) 의 전동을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가동 접점 (42)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41) 가 슬라이딩되고,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가동 접점 (42) 의 접점부 (42a) 가 도시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제 7 실시형태는, 유지 부재 (41) 에 반구 형상 오목부 (41c) 를 형성하고, 이 반구 형상 오목부 (41c) 에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에 접합하는 구 (43) 를 수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에 반구 형상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반구 형상 오목부에 유지 부재 (41) 의 경사면에 접합하는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는 구를 수용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8 실시형태의 구성]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8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를 구동 부재 (45) 와, 가동 접점 (47)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46)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제 7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동 부재 (45)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압압부 (45a) 에, 경사면 (45b) 을 형성하고 있고, 유지 부재 (46)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피압압부 (46a) 에, 구동 부재 (45) 의 경사면 (45b) 에 대향하는 경사면 (46b) 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유지 부재 (46) 의 경사면 (46b) 에 구동 부재 (45) 의 경사면 (45b) 에 접합하는 반구 형상 볼록부 (46c) 를 형성하고 있다. 구동 부재 (45) 의 경사면 (45b) 및 유지 부재 (46) 의 경사면 (46b) 의 각각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도시하지 않 은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45) 의 경사면 (45b) 과, 유지 부재 (46) 의 반구 형상 볼록부 (46c) 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구동 부재 (45) 와 유지 부재 (46) 를 포함하는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8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구동 부재 (45) 의 경사면 (45b) 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유지 부재 (46) 의 반구 형상 볼록부 (46c) 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가동 접점 (47)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46) 가 슬라이딩되고,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가동 접점 (47) 의 접점부 (47a) 가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제 8 실시형태는, 유지 부재 (46) 에 반구 형상 볼록부 (46c) 를 형성하고, 이 반구 형상 볼록부 (46c) 에 접합하는 경사면 (45b) 을 구동 부재 (45) 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구동 부재 (45) 에 반구 형상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반구 형상 볼록부에 접합하는 경사면을 유지 부재 (46) 에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9 실시형태의 구성]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9 실시형태는,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 (48a) 를 덮는 덮개부재 (49) 가,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접점측에 돌출하고, 예를 들어 곡면 형상의 돌부 (49a) 를 가짐과 함께, 가동 접점 (51) 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 (50) 가, 덮개부재 (49) 의 돌부 (49a) 에 맞닿을 수 있는 경사면 (50a) 을 갖는 일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 조작체 (50) 의 경사면 (50a) 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 (48a) 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53) 에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51) 은, 전체가 도전성 금속체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조작체 (50)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등한 케이스에 매설되지 않는 제 2 고정 접점에 접촉 이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의 수납부 (48a) 내에는, 탄성 부재로서 도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 (53) 을 배치하고 있고, 이 코일 스프링 (53) 의 일단 (53a) 은 케이스에 매설된 도시하지 않은 제 1 고정 접점에 상시 탄성 접촉되고, 타단 (53b) 은 가동 접점 (51) 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 (50) 의 조작에 수반하여 함께 이동되고,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로 클릭감을 발생시킴과 함께, 조작체 (50) 의 위치를 유지 가능한 클릭 기구 (52)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9 실시형태는, 셀프 리턴형이 아니고, 조작체 (50) 는 코일 스프링 (53) 에 의한 탄성력을 받지만, 클릭 기구 (52) 에 의해 초기 위치, 및 가동 접점 (51) 이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접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 9 실시형태도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코일 스프링 (53) 의 탄성력을 조작체 (5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이, 덮개부재 (49) 의 돌부 (49a) 와, 조작체 (50) 에 형성된 경사면 (50a)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9 실시형태도 조작체 (50) 가 코일 스프링 (53) 을 휘게 하도록 슬라이드 조작하면, 조작체 (50) 의 경사면 (50a) 이 덮개부재 (49) 의 돌부 (49a) 에 걸어맞추고, 압축되어 강해진 코일 스프링 (53)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덮개부재 (49) 의 돌부 (49a) 와 조작체 (50) 의 경사면 (50a) 의 맞닿음을 개재하여, 조작체 (50) 에 유지된 가동 접점 (51) 이 케이스의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측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작체 (50) 를 초기 위치로 돌리려면, 클릭 기구 (52) 에 의한 조작체 (50) 의 유지 상태를 해제하고, 조작체 (50) 를 초기 위치로 돌릴 수 있다.
[제 10 실시형태의 구성]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지 부재 및 가동 접점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4 는 도 23 에 나타내는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고정 접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제 10 실시형태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54) 에 유지된 도전성 금속체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 (55) 이,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2 개의 접점부, 즉 서로 도통하는 제 1 접점부 (55a) 와 제 2 접점부 (55b)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유지 부재 (54) 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유지 부재 (54) 와 함께 조작체를 구성하는 도시 하지 않은 구동 부재의 예를 들어 경사면과 맞닿는 경사면 (54a) 을 가짐과 함께, 그 이면에, 가동 접점 (55) 의 제 1 접점부 (55a) 및 제 2 접점부 (55b) 의 하단 위치와 거의 동일 위치가 되는 하단을 갖는 절연성의 돌부 (54b) 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의 경사면, 및 이 경사면과 맞닿는 유지 부재 (54) 의 경사면 (54a) 의 각각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의 내저면 (56) 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내저면 (56) 에는,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2 개의 고정 접점, 즉 가동 접점 (55) 의 제 1 접점부 (55a) 가 상시 접촉되는 길이가 긴 제 1 고정 접점 (57) 과 이 제 1 고정 접점 (57) 에 비해 짧게 형성되고, 가동 접점 (55) 의 제 2 접점부 (55b) 가 접촉 이간 가능한 제 2 고정 접점 (58) 을 병렬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 1 고정 접점 (57) 및 제 2 고정 접점 (58) 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에 인서트 성형되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부재 (54) 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로서,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 코일 스프링은 도전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또, 그 코일 스프링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에 수납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것과는 상이하고, 제 1 고정 접점 (57) 과는 접촉하지 않게 유지된다. 이들 제 1 접점부 (55a) 및 제 2 접점부 (55b) 를 갖는 가동 접점 (55) 와 케이스 의 내저면 (56) 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접점 (57) 및 제 2 고정 접점 (58) 을 제외한 구성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이 제 10 실시형태는, 조작체가 조작되지 않는 초기 위치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 (54) 에 유지된 가동 접점 (55) 의 제 1 접점부 (55a) 가 제 1 고정 접점 (57) 에 접촉하고 있으나, 가동 접점 (55) 의 제 2 접점부 (55b) 는 제 2 고정 접점 (58) 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고, 제 1 고정 접점 (57) 과 제 2 고정 접점 (58) 사이가 차단되어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체, 즉 조작체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를 도 24 의 화살표 (59)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시키면,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의 경사면과 유지 부재 (54) 의 경사면 (54a) 을 개재하여, 가동 접점 (55)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54) 가, 압축되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동일 화살표 (59)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때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유지 부재 (54) 는 케이스의 내저면 (56) 측에 눌러지면서 슬라이딩한다. 유지 부재 (54) 가 소정 위치까지 슬라이딩하면, 가동 접점 (55) 의 제 2 접점부 (55b) 가 제 2 고정 접점 (58) 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 (55) 의 제 1 접점부 (55a) 및 제 2 접점부 (55b) 를 개재하여, 제 1 고정 접점 (57) 과 제 2 고정 접점 (58) 이 도통되어, 스위치가 온으로 작동된다. 이 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가동 접점 (55) 의 제 1 접점부 (55a) 와 제 2 접점부 (55b) 의 쌍방이, 제 1 고정 접점 (57) 및 제 2 고정 접점 (58) 중 해 당하는 고정 접점에 각각 압하되어, 원하는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거의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제 10 실시형태는, 제 1 고정 접점 (57) 및 제 2 고정 접점 (58) 의 형상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유지 부재 (54) 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이 도전 경로를 형성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이 스위치 장치의 제작이 간단하다. 또한, 이 제 10 실시형태는, 탄성 부재가 도전성을 갖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탄성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에 대신하여 고무, 엘라스토머 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기타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고정 접점 (2b) 을 가동 접점 (5) 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르도록,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 (1g) 에 형성함과 함께,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및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의 형상을, 수납부 (1a) 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4) 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실시형태에 있어 고려했을 경우, 제 2 고정 접점 (2b) 을 가동 접점 (5) 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르도록,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내측면, 예를 들어 케이스 (1) 에 형성된 도 1 에 나타내는 절결부 (1b) 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형성함과 함께,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및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의 형상을, 수납부 (1a) 의 상기 서술한 내측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4) 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도,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는, 조작체가 슬라이드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조작체를 슬라이드 조작시키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조작체를 푸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고정 접점 및 제 2 고정 접점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인서트 성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제 1 고정 접점 및 제 2 고정 접점을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이들 제 1 고정 접점 및 제 2 고정 접점이 인쇄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체가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작체가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는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고, 조작체가 원호를 그리도록 슬라이드 조작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체가 초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조작체가 스위치 작동 위치까지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B-B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은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구동 부재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지 부재 및 가동 접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 의 (a) 는 측면도, 도 13 의 (b) 는 이면도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5 는 제 2 실시형태의 케이스내에의 유지 부재, 코일 스프링, 및 구동 부재의 조립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지 부재 및 가동 접점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 는 도 23 에 나타내는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고정 접점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1a 수납부
1a1 개구부
1e 가이드벽
1f1 내벽
1f2 내벽
1g 내저면
2a 제 1 고정 접점
2a1 면
2b 제 2 고정 접점
2b1 면
4 코일 스프링 (탄성 부재)
4a 일단
4b 타단
4c 권회부
5 가동 접점
5a 접점부
5b 스프링 수용부
5c 돌부
6 조작체
7 유지 부재
7a 맞닿음부
7b 경사면 (변환 수단)
7c1 제 1 피가이드부
7c2 제 2 피가이드부
8 구동 부재
8a 맞닿음부
8c 경사면 (변환 수단)
8e 제 1 피가이드부
8f1 제 2 피가이드부
8f2 제 3 피가이드부
8g 홈
9 덮개부재
11 케이스
11a 수납부
11a1 개구부
11e 가이드벽
11f1 내벽
11f2 내벽
11g 내저면
12a 제 1 고정 접점
12a1 면
12b 제 2 고정 접점
12b1 면
14 코일 스프링 (탄성 부재)
14a 일단
14b 타단
14c 권회부
15 가동 접점
15a 접점부
15b 스프링 수용부
15c 돌부
16 조작체
17 유지 부재
17a 맞닿음부
17b 경사면 (변환 수단)
17c1 제 1 피가이드부
17c2 제 2 피가이드부
18 구동 부재
18a 맞닿음부
18c 경사면 (변환 수단)
18e 제 1 피가이드부
18f1 제 2 피가이드부
18f2 제 3 피가이드부
19 덮개부재
20 걸어맞춤부 (규제부)
21 피걸어맞춤부 (규제부)
25 구동 부재
25b 경사면 (변환 수단)
26 유지 부재
26a 경사면 (변환 수단)
27 가동 접점
27a 스프링 수용부
28 토션 스프링 (탄성 부재)
28a 일단
28b 타단
29 케이스
29a 수납부
30 덮개부재
30a 돌부 (변환 수단)
31 조작체
31a 경사면 (변환 수단)
32 가동 접점
33 코일 스프링 (탄성 부재)
33a 일단
33b 타단
34 구동 부재
34a 압압부
34b 곡면 (변환 수단)
35 유지 부재
35a 피압압부
35b 경사면 (변환 수단)
36 가동 접점
36a 접점부
37 구동 부재
37a 압압부
37b 곡면 (변환 수단)
38 유지 부재
38a 피압압부
38b 곡면 (변환 수단)
39 가동 접점
39a 접점부
40 구동 부재
40a 압압부
40b 경사면 (변환 수단)
41 유지 부재
41a 피압압부
41b 경사면
41c 반구 형상 오목부
42 가동 접점
42a 접점부
43 구 (변환 수단)
45 구동 부재
45a 압압부
45b 경사면 (변환 수단)
46 유지 부재
46a 피압압부
46b 경사면
46c 반구 형상 볼록부 (변환 수단)
47 가동 접점
47a 접점부
48a 수납부
49 덮개부재
49a 돌부 (변환 수단)
50 조작체
50a 경사면 (변환 수단)
51 가동 접점
52 클릭 기구
53 코일 스프링 (탄성 부재)
53a 일단
53b 타단
54 유지 부재
54a 경사면 (변환 수단)
54b 돌부 (변환 수단)
55 가동 접점
55a 제 1 접점부
55b 제 2 접점부
56 내저면
57 제 1 고정 접점
58 제 2 고정 접점

Claims (11)

  1. 고정 접점이 형성된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이간 가능한 가동 접점과,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 내에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 내에 배치되어, 조작된 상기 조작체에 이 조작체를 복귀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조작체를 조작시켜,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조작체의 조작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수반하여 슬라이딩하는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변환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상기 고정 접점측에 눌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가동 접점을 유지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내를 슬라이딩 가능한 유지 부재와, 상기 케이스체로부터 노출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유지 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변환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를, 서로 대향하는 맞닿음부를 개재하여 맞닿게 하고,
    상기 구동 부재의 맞닿음부가, 상기 조작체의 조작시에, 상기 유지 부재의 맞닿음부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이루고,
    상기 유지 부재의 맞닿음부가, 상기 조작체의 조작시에,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압부를 이루고,
    상기 구동 부재의 압압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피압압부에 의해 상기 변환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측으로 서서히 눌러지도록 하는 변환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사면을, 상기 맞닿음부를 이루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의 각각에 형성하고, 이들 경사면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변환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상기 고정 접점이 형성되고, 개구부를 갖는 상기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부재에, 상기 고정 접점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조작체의 조작시에 이 조작체가 맞닿는 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체와 상기 돌부가 상기 변환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상기 고정 접점이 형성되고, 개구부를 갖는 상기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했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변환면을 개재하여 들뜨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에 형성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 또는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 또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했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피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피걸어맞춤부를,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서로 이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이, 강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이 접점부가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도전성을 갖고, 상기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접점이 적어도 제 1 고정 접점과 제 2 고정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을,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제 1 고정 접점을 도통시키도록 배치하고,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제 2 고정 접점에 접촉 이간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접점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고정 접점을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맞닿는 면을 노출시켜 상기 수납부의 측면에 매설하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2 고정 접점은, 상기 가동 접점의 상기 접점부가 접촉하는 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의 내저면에 매설하고,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의 권회부에 삽입되는 돌부를 구비하고, 이 돌부 및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가동 접점의 상기 접점부는 동일한 금속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돌부와 상기 접점부를 노출시켜 상기 유지 부재에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80006954A 2007-01-23 2008-01-23 스위치 장치 KR100968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12788 2007-01-23
JP2007012788 2007-01-23
JPJP-P-2007-00313799 2007-12-04
JP2007313799A JP4932690B2 (ja) 2007-01-23 2007-12-04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541A true KR20080069541A (ko) 2008-07-28
KR100968097B1 KR100968097B1 (ko) 2010-07-06

Family

ID=3978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954A KR100968097B1 (ko) 2007-01-23 2008-01-23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32690B2 (ko)
KR (1) KR100968097B1 (ko)
CN (1) CN101231914B (ko)
TW (1) TW2008429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8940B2 (ja) * 2020-02-06 2023-11-29 Idec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N114446690B (zh) * 2022-02-22 2024-06-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按键组件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3630A (en) * 1980-11-13 1982-05-25 Suzuki Motor Co Lt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841946A (ja) * 1981-09-07 1983-03-1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メツシユ編地の製法
JPS61162917A (ja) * 1985-01-14 1986-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調理器の蓋開閉装置
US4775952A (en) * 1986-05-29 1988-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Parallel processing system apparatus
JP2000311551A (ja) * 1999-04-27 2000-11-07 Alps Electric Co Ltd スライド操作型スイッチ
FR2803428B1 (fr) * 1999-12-30 2002-02-08 Itt Mfg Entpr 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actionnement lateral
JP3824132B2 (ja) * 2000-10-26 2006-09-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KR200270985Y1 (ko) 2002-01-15 2002-04-06 장선규 전원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097B1 (ko) 2010-07-06
TW200842920A (en) 2008-11-01
JP4932690B2 (ja) 2012-05-16
JP2008204941A (ja) 2008-09-04
TWI362048B (ko) 2012-04-11
CN101231914A (zh) 2008-07-30
CN101231914B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7849A (en) Shift lever construction
JP4385047B2 (ja) コンタクトとそれを備えるカードアダプ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
JP4469878B2 (ja) 押釦スイッチ
JP4061946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424856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968097B1 (ko) 스위치 장치
JP2016154077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9980023941A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EP1148524B1 (en) Seesaw-type power-supply switch device
JP4280761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3169859U (ja) スイッチ装置
JP200913495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JP4857183B2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4899644B2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機構
JP3882251B2 (ja) プッシュ機構付スライドスイッチ
JP4524247B2 (ja) スイッチ装置
US7208689B2 (en) Switch
KR100551920B1 (ko)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JP4649393B2 (ja) 横押し型2段動作スイッチ
JP3858303B2 (ja) 自動復帰式スライドスイッチ
JP4619196B2 (ja) 押圧スイッチ付き摺動式電子部品
JP4185942B2 (ja) スイッチ装置
JP4560499B2 (ja) 2段動作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0165526A (ja) スライドプッシュスイッチ
JP4932658B2 (ja) プッシュ機構付きスライド操作型電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