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580A - 벽 구조 - Google Patents

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580A
KR20080068580A KR1020080005476A KR20080005476A KR20080068580A KR 20080068580 A KR20080068580 A KR 20080068580A KR 1020080005476 A KR1020080005476 A KR 1020080005476A KR 20080005476 A KR20080005476 A KR 20080005476A KR 20080068580 A KR20080068580 A KR 20080068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longitudinal
frames
wal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끼 쯔기하시
아끼오 스기모또
교오꼬 마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8006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박판 경량형 강조 주택의 중량 바닥 충격음 저감 대책으로서, 낮은 비용으로 또한 충격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벽 구조(100)에 있어서는, 복수의 종프레임(10)에 석고 보드(20, 21)가 부착되어 벽 구조(100)가 형성된다. 상기 벽 구조(100)의 진동시에 진폭이 큰 부분(배 부분)에 대해 연결 부재(30)를 종프레임(10) 사이에 설치하고, 평면 부재(20, 21)를 종프레임(10) 및 연결 부재(30)에 고정시킨다.
석고 보드, 나사, 연결 부재, 종프레임, 벽 구조

Description

벽 구조{WALL STRUCTURE}
본 발명은 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음 성능이 우수한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 2층 건물 등의 건축물에 있어서, 윗층에서의 보행이나 뜀, 물건의 낙하 등에 의해 아랫층에서 발생하는 충격음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충격음은 바닥 충격음이라 불리며,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이 JIS 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바닥 충격음에는, (1) 아이들의 뜀 등 중량물의 낙하에 기인하는 중량 바닥 충격음이라 불리는 것과, (2) 스푼 등 경량물의 낙하에 기인하는 경량 바닥 충격음이라 불리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1)은 63 ㎐ 밴드(1/1 옥타브 밴드) 등 저주파수 영역의 소리가 주성분이고, 후자 (2)는 250 ㎐ 밴드 및 500 ㎐ 밴드(1/1 옥타브 밴드)의 중주파수 영역 내지 고주파수 영역의 소리가 주성분이고, 이들 대역의 성분이 L등급(JIS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 등급의 호칭)을 결정한다.
바닥 구조의 개발의 관점에서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키는 것은 큰 과제로 되어 있다. 바닥 충격음은, (a) 윗층 바닥에 가해진 충격력에 의해 윗층 바닥이 진 동하고, (b) 그 바닥 진동이 아랫층의 천장, 벽에 전반되어, (c) 그 천장, 벽의 진동으로부터 아랫층 실내에 소리가 방사된다는 메카니즘으로 발생하고 있다.
경량 바닥 충격음은, 바닥 처리재의 고안 등으로 용이하게 바닥 진동 (a)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대책은 비교적 간단하다. 한편, 중량 바닥 충격음은 바닥, 천장 및 벽 중 어느 하나 또는 종합적인 구조 변경 등 대규모의 대책을 필요로 하여 큰 기술 과제로 되어 있다.
한편, 중량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키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바닥빔 사이에 고차음 패널을 설치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구조는 복잡한 구조로 시공성의 악화나 비용 상승이 예측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03708호 공보
일반적으로, 바닥 구조는, 원래(대책 전부터), 천장 구조, 벽 구조에 비해 고강성이고 무겁기(= 진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바닥에 대책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구조의 중량이나 비용이 대폭으로 증가하는 등, 폐해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중량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 벽 구조의 강성을 높임으로써 벽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하게 복수 배치된 종프레임과 그것의 표리 양면에 설치된 평면 부재로 이루어지는 벽 구조에 있어서, 종프레임에 직행하도록 가로살(빔 형상 부재)을 설치하여, 프레임 부재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 경우, 평면 부재와 가로살(빔 형상 부재)과의 접촉에 의한 소음 발생이나 시공 공정수의 증가를 회피하기 위해, 가로살은 평면 부재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방법에서는, 최종적인 중량 바닥 충격음의 발생원인 벽의 평면 부재에의 보강 작용은 작기 때문에, 바닥 충격음 저감 효과는 한정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판 경량형 강조(鋼造) 주택의 중량 바닥 충격음 저감 대책으로서, 낮은 비용으로 또한 충격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벽 구조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종프레임 과, 복수의 종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복수의 종프레임의 적어도 한쪽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연결 부재에 접합된 평면 부재를 포함하고, 연결 부재는 복수의 종프레임 및 평면 부재로 형성되는 벽 구조의 벽 상단부로부터 벽 하단부까지의 전체 길이에 대해, 벽 상단부 및 벽 하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전체 길이의 대략 1/4 길이의 위치에 존재하는 진폭이 큰 배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벽 구조에 있어서는, 복수의 종프레임에 평면 부재가 부착되어 벽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벽 구조의 진동시에 벽 상단부 및 벽 하단부로부터 전체 길이의 대략 1/4 길이의 위치에 존재하는 진폭이 큰 배 부분에 연결 부재를 설치하여 평면 부재가 연결 부재에 고정된다.
이 경우, 연결 부재에 의해 벽 구조의 진동시에 특히 진폭이 큰 평면 부재에 있어서의 배 부분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벽 구조의 본래 진폭이 큰 부분이 진동하지 않기 때문에, 중량 바닥 충격음에 대해 충격음 차단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낮은 비용으로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연결 부재는, 복수의 종프레임 중 하나의 종프레임의 벽 상단부 및 벽 하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전체 길이의 1/4 길이의 위치와, 하나의 종프레임에 인접하는 종프레임의 벽 상단부 및 벽 하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전체 길이의 1/4 길이의 위치를 수평하게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 연결 부재에 의해 진폭이 큰 종프레임 사이의 평면 부재의 부분에 대해 진동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종프레임 사이의 평면 부재의 부분이 상하 방향의 1차 모드로 진동한 경우, 상하 방향의 중앙부가 최대 진폭(배 부분)이 되 고, 벽 상하 단부가 최소 진폭(마디)이 되지만, 벽 상단부 및 벽 하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의 길이가 1/4인 평면 부재의 부분을 수평하게 고정함으로써 중앙부의 최대 진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종프레임 사이의 평면 부재의 부분이 상하 방향의 2차 모드로 진동한 경우, 벽 상단부 및 벽 하단부로부터의 길이가 1/4인 평면 부재의 부분이 상하 방향의 최대 진폭이 되고, 벽 상하 단부와 중앙부가 마디가 되므로, 상기 부분을 수평하게 고정함으로써 최대 진폭을 유효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종프레임 사이의 평면 부재의 부분이 상하 방향의 3차 모드로 진동한 경우, 벽 상단부로부터의 거리가, 벽 상단부로부터 벽 하단부까지의 길이의 1/6, 3/6(1/2), 5/6인 평면 부재의 부분이 상하 방향의 최대 진폭이 되고, 벽 상하 단부, 벽 상단부로부터 벽 하단부까지의 길이의 2/6, 4/6인 평면 부재의 부분이 마디가 되므로, 벽 상단부 및 벽 하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의 길이가 1/4인 평면 부재의 부분을 수평하게 고정함으로써 1/6, 3/6(1/2), 5/6인 평면 부재의 부분의 최대 진폭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박판 경량 구조의 주택에서는, 도4의 중량 바닥 충격 가진시의 벽 진동의 속도 분포 측정 결과에 따르면, 2차 모드가 주체이므로, 벽 상단부 및 벽 하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의 길이가 1/4인 평면 부재의 부분이 최대 진폭이 되므로, 길이가 1/4인 평면 부재의 부분을 수평하게 고정함으로써 중량 바닥 충격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벽 보강 구조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와 평면 부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구조를 이용하고 있었으므로, 평면 부재의 진동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 1/4의 평면 부재의 부분은, 연결 부재의 사이즈, 평면 부재의 사이 즈, 시공성 등으로부터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길이 1/4의 위치이지만, 길이 1/6 이상 1/3 이하의 범위 내, 및 길이 2/3 이상 5/6 이하의 범위 내에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3) 연결 부재는, 복수의 종프레임 중 하나의 종프레임의 중앙 부분과, 하나의 종프레임에 인접하는 종프레임의 양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접속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인접하는 종프레임간 평면 부재의 진동의 배(1/4 위치)를, 벽 중에서도 특히 진폭이 작은 종프레임의 중앙과 단부에 접합된 연결 부재에 의해 고정할 수 있으므로, 진폭을 유효하게 저감시킬 수 있어, 중량 바닥 충격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4) 복수의 종프레임의 상단부를 현가하는 상부 프레임 부재 및 복수의 종프레임의 하단부를 현가하는 하부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더 포함하고, 연결 부재는 복수의 종프레임 중 하나의 종프레임의 중앙부로부터 하나의 종프레임에 인접하는 종프레임의 상단 근방의 상부 프레임 부재 및 복수의 종프레임 중 하나의 종프레임의 중앙부로부터 하나의 종프레임에 인접하는 종프레임의 하단부 근방의 하부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종프레임 중 하나의 종프레임의 중앙부로부터 하나의 종프레임에 인접하는 종프레임의 상단부 근방의 상부 프레임 부재 및 복수의 종프레임 중 하나의 종프레임의 중앙부로부터 하나의 종프레임에 인접하는 종프레임의 하단부 근방의 하부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연결 부재가 설치된 다. 즉, 상부 프레임 부재 및 하부 프레임 부재 중 어느 한쪽과, 종프레임의 중앙부(전체의 약 1/2 거리의 위치)가 연결 부재에 의해 접속된다. 그 결과, 종프레임의 사이의 상단부로부터 1/4의 거리의 위치 또는 종프레임의 사이의 하단부로부터 1/4의 거리의 위치를 연결 부재가 지나가므로, 진폭을 저감시킬 수 있고, 중량 바닥 충격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종프레임과, 복수의 종프레임의 양면에 설치된 평면 부재와, 복수의 종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종프레임은 한 쌍의 세트로서 상기 복수의 평면 부재에 끼움 지지된 내부에 있어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세트의 종프레임에 대해 연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세트의 종프레임과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하나의 평면 부재를 접합하고, 다른 한 쌍의 세트의 종프레임과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다른 평면 부재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라도 좋다.
또한, 평면 부재를 복수로 적층해도 좋고, 상기 종프레임의 양면에 설치된 평면 부재 중 한쪽이 면한 공간의 소리를 다른 쪽이 면한 공간으로 투과시키지 않는 성능(차음 성능)을 유지한 상태에서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 구조의 진동시에 특히 진폭이 큰 부분에 연결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중량 바닥 충격음에 대해 충격음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벽 구조(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 구조(100)는 종프레임(10), 석고 보드(20, 21) 및 연결 부재(30)를 포함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종프레임(10)이 소정 간격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종프레임(10)의 한 면에 석고 보드(20)가 나사(도5 참조)로 고정 설치되고, 복수의 종프레임(10)의 다른 면에 석고 보드(21)가 나사(도5 참조)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종프레임(1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H라 하면, 종프레임(10)의 상단부로부터 1/4 × H의 거리에 연결 부재(30)가 설치되고, 종프레임(10)의 하단부로부터 1/4 × H의 거리에 연결 부재(30)가 설치된다.
또한, 종프레임(10)은, C형강 또는 사각형강 등의 박강판제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석고 보드(20, 21) 대신에 나무, 합판, 파티클 보드, 목편 시멘트판, 목모 시멘트판 등의 다른 임의의 목질계 재료라도 좋다.
여기서, 중량 바닥 충격음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1/1 옥타브 밴드마다의 중량 바닥 충격음 레벨(10 dB/눈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은 1/3 옥타브 밴드마다의 중량 바닥 충격음 레벨(10 dB/눈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및 도3의 종축은, 중량 바닥 충격음 레벨(10 dB/눈금)을 나타내고, 횡축은 중심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1 옥타브 밴드마다의 중량 바닥 충격음으로부터, 63 ㎐ 밴드에 의해 L등급이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1 옥타브 밴드에 있어서의 63 ㎐ 밴드는, 1/3 옥타브 밴드에 있어서의 50 ㎐, 63 ㎐, 80 ㎐ 밴드의 합이며, 그 중에서도 50 ㎐ 밴드에 있어서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L등급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50 ㎐ 밴드의 진동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도4는 중량 충격 가진시의 벽 진동 속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3 옥타브 밴드에 있어서의 50 ㎐ 밴드에 대해 조사를 행하였다.
도4에 나타내는 측정 결과는, 종래의 벽 구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즉, 도1의 벽 구조(100)로부터 연결 부재(30)를 제거한 것이다. 이 경우, 종축이 진동 속도 레벨(10 dB/눈금)을 나타내고, 횡축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친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4의 그래프(흑색 삼각)가 종프레임(10)의 위치에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도4의 그래프(흑색 원)가 인접하는 종프레임(10)의 위치에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도4의 그래프(흑색 사각)가 종프레임(10) 및 인접하는 종프레임(10)과의 중간 위치(이하, 종프레임간 중앙 위치라 부름)에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종프레임(10) 및 인접하는 종프레임과의 차이는 거의 볼 수 없고,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가 각각 마디가 되고, 상단부와 중앙부 사이, 중앙부와 하단부 사이가 배(腹)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종프레임간 중앙 위치에 있어서도,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가 각각 마디가 되고, 상단부와 중앙부 사이, 중앙부와 하단부 사이가 배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이들의 종프레임(10), 종프레임간 중앙 위치, 인접하는 종프레임에 있어서는, 2차 모드로 진동하고 있다. 또한, 종프레임간 중앙 위치에 있어서의 진폭은, 종프레임(10) 및 인접하는 종프레임보다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을 기초로 하여 본원 발명자는, 벽 구조의 저감 방법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단부와 중앙부 사이라 함은, 이하, 명세서에서 상단부로부터의 길이 1/4(H)이며, 중앙부와 하단부 사이라 함은, 하단부로부터의 길이 1/4(H)에 상당한다.
계속해서, 도5는 도1에 도시한 벽 구조(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종프레임(10)에 대해 연결 부재(30)가 설치된다. 이 연결 부재(30)는 종프레임(10)에 나사(4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종프레임(10)에는, 석고 보드(20, 21)가 나사(40)에 의해 고정되고, 연결 부재(30)에는 석고 보드(20, 21)가 나사(40)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도4에 도시한 상단부로부터의 길이 1/4(H)의 위치 및 하단부로부터의 길이 1/4(H)의 위치에서, 또한 종프레임간 중앙 위치에 있어서 발생하는 최대 진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른 예)
다음에 도6은, 도1 및 도5에 도시한 벽 구조(10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6에 있어서의 벽 구조(100a)가 도1 및 도5에 도시한 벽 구조(100)와 다른 것은 이하의 점이다.
도6에 도시하는 벽 구조(100a)는, 양측에 석고 보드(20, 21)를 설치한 것은 아니며, 한쪽의 석고 보드(21)만을 설치한 벽 구조이다. 또한, 연결 부재(30) 대신에 연결 부재(31)를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연결 부재(31)는, 석고 보드(21)를 고정할 수 있으면 되고, 도1 및 도5의 석고 보드(20)의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 형상이다. 또, 본 다른 예에 있어서도 도5의 연결 부재(30)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계속해서, 도7은 벽 구조(100, 100a)에 있어서의 종프레임(10)과 연결 부재(30, 31)의 연결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연결 부재(30) 및 연결 부재(31) 중 어느 한쪽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연결 부재(30, 31)로 표현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프레임(10) 및 연결 부재(30, 31) 사이에 L자 접속 부재(50)가 설치된다. 이 L자 접속 부재(50)의 한쪽은 종프레임(10)에 나사(40)에 의해 고정되고, L자 접속 부재(50)의 다른 쪽은 연결 부재(30, 31)에 나사(40)에 의해 고정된다.
또, 도7에 있어서 종프레임(10)이 C형강 또는 사각형강 등의 박강판제 형강으로 이루어지고, L자 접속 부재(50)가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형강 또는 목재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 에 있어서는, L자 접속 부재(50)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 형상 접속 부재, 다른 임의의 접속 부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계속해서, 도8은 벽 구조(100, 100a)에 있어서의 종프레임(10) 및 연결 부재(30, 31)의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 사시도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 31)의 단부는 C형강의 한 쌍의 면을 연장시킨 후, 상기 면 부분을 내측으로 굴곡시킨 것[이하, 연결 부재(30a)라 부름]이다. 그 굴곡시킨 면 부분을 종프레임(10)에 나사(40)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연결 부재(30a)를 종프레임(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 도8에 있어서 종프레임(10)이 C형강 또는 사각형강 등의 박강판제 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부재(30a)가 C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형강 또는 목재라도 좋다.
계속해서, 도9는 벽 구조(100, 100a)에 있어서의 종프레임(10) 및 연결 부재(30, 31)의 연결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 사시도이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프레임(10a)은, 도7 또는 도8 등의 종프레임(10)의 연결 부재(30)와 결합하는 면의 일부를 역ㄷ자 형상으로 절결하고, 그 절결 부분의 내부면을 외측으로 굴곡시킨[이하, 종프레임(10a)이라 부름] 것이다. 그 굴곡 부분을 C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30)의 내부를 따라 넣어, 나사(40)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10은 벽 구조(100, 100a)에 있어서의 종프레임(10) 및 연결 부 재(30, 31)의 연결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 사시도이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의 단부는 C형강의 한 쌍의 면을 연장시킨 [이하, 연결 부재(30b)라 부름] 것이다. 그 연장시킨 면 부분을 종프레임(10)의 측부에 대해 나사(40)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석고 보드(20, 21)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부재를 전혀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큰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해, 금속, 점토, 돌, 석고 등의 괴상(塊狀), 또는 입상체, 분상체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7, 도8, 도9, 도10에 도시한 어느 하나의 접속 방법을 섞어서 이용해도 좋다. 또한, 나사(40)로 고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고정 방법, 예를 들어 접착, 못 등의 부재를 이용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도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벽 구조(100b)에 있어서의 종프레임(10) 및 연결 부재의 연결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며, 도12는 도11의 벽 구조(100b)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며, 도13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벽 구조(100b)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12의 벽 구조(100z)는, 종프레임(10, 11) 및 석고 보드(20, 21, 22, 23)를 포함한다. 또한, 도11에 도시하는 벽 구조(100b)는 종프레임(10, 11), 석고 보드(20, 21, 22, 23) 및 연결 부재(31a, 31b)를 포함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고 보드(20, 22)를 적층하여 배치되고, 석고 보드(21, 23)를 적층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석고 보드(20, 22) 및 석고 보드(21, 23)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복수의 종프레임(10, 11)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12에 도시하는 벽 구조(100z)에 있어서는, 개개의 종프레임(10, 11)이 교대로 소정의 간격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11에 도시하는 벽 구조(100b)에 있어서는, 한 쌍의 종프레임(10) 및 한 쌍의 종프레임(11)이 교대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종프레임(10) 사이에 연결 부재(31a)가 설치되고, 한 쌍의 종프레임(11) 사이에 연결 부재(3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프레임(10) 및 연결 부재(31a)에는 적층된 석고 보드(20, 22)가 나사(40)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종프레임(11) 및 연결 부재(31b)에는 적층된 석고 보드(21, 23)가 나사(40)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복수의 종프레임(10, 11) 및 석고 보드(20, 21, 22, 23)는 벽 구조(100b)의 천장 및 바닥에 있어서 별도의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비교예의 벽 구조(100z)(도12)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31a, 31b)를 설치할 수 없다. 만약 설치하였다 해도 석고 보드(21, 23)측에서 생긴 소리가 석고 보드(21, 23), 종프레임(11), 연결 부재, 종프레임(10) 및 석고 보드(20, 22)를 통해 석고 보드(20, 22)측에 투과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벽 구조(100b)(도11)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31a) 및 종프레임(10)에는 한쪽의 석고 보드(20, 22)만이 고정되고, 다른 쪽 석 고 보드(21, 23)는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소리 진동의 투과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차음 성능을 유지하면서, 중량 바닥 충격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석고 보드(20, 21, 22, 23)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부재를 전혀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큰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해, 금속, 점토, 돌, 석고 등의 괴상, 또는 입상체, 분상체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7, 도8, 도9, 도10에 도시한 어느 하나의 접속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나사(40)로 고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고정 방법, 예를 들어 접착, 못 등의 부재를 이용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도14는 제3 실시 형태에 벽 구조(100c)의 일례를 사시한 모식적 투시도이며, 도15는 도14의 벽 구조(100c)의 석고 보드(20, 21)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도이며, 도16은 도14의 벽 구조(100c)를 도시하는 모식적 상면 단면도이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 구조(100c)는 복수의 종프레임(10), 석고 보드(20, 21), 연결 부재(30c, 30d)를 포함한다.
도14에 도시하는 연결 부재(30c)의 일단부가 복수의 종프레임(10)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연결 부재(30c)의 타단부가 복수의 종프레임(10)의 중앙부(전체 높이를 H라 하면, 1/2 × H의 높이, 도15 참조)에 접속된다.
한편, 연결 부재(30d)의 일단부가 복수의 종프레임(10)의 하단부에 접속되고, 연결 부재(30d)의 타단부가 복수의 종프레임(10)의 중앙부(전체 높이를 H라 하면, 1/2 × H의 높이, 도15 참조)에 접속된다. 그리고, 복수의 종프레임(10)의 한 면에 석고 보드(20)가 설치되고, 복수의 종프레임(10)의 다른 면에 석고 보드(21)가 설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종프레임(10)의 중간에 있어서의 상단부로부터 1/4의 위치 PA(도15 및 도16 참조) 및 하단부로부터 1/4의 위치 PA(도15 및 도16 참조)에 있어서 석고 보드(20, 21)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석고 보드(20, 21)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유효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17은 도14에 있어서의 벽 구조(100c)의 상단부에 부재(15)를 설치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프레임(10)의 상단부를 현가하도록 부재(15)가 설치된다. 이 부재(15)는 C형강 등의 박강판제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또, 종프레임(10)의 상단부에만 부재(15)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단부에만 설치해도 좋고, 상단부 및 하단부의 양방에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17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재(15)를 설치한 경우의 연결 부재(30c)에 대해, 비교예로서 경사 받침대라 불리는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사 받침대는, 한쪽의 기둥 및 그것의 상측 부재(기둥의 상단부와 기둥의 상단부의 단부를 접속하는 부재)의 교점과, 다른 쪽 기둥 및 그것의 하측 부재(기둥의 하단부와 기둥의 하단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부재)의 교점을 접속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경사 받침대는, 복수의 종프레임(10)을 걸쳐서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그 사용하는 것의 목적이 다르다. 또한, "경사 받침대"는 강도 부재로서의 본래의 목적을 위해, 전술한 교점을 접속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의 연결 부재(30c)는 "종프레임"의 상하 단부의 근방이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형태로부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벽 구조(100, 100a, 100b, 100c)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30, 31)에 의해 벽 구조(100, 100a, 100b, 100c)의 진동시에 진폭이 큰 배 부분, 즉 벽 상단부로부터 벽 하단부까지의 길이(H)에 대해, 벽 상단부 및 벽 하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길이 1/4(H)의 위치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박판 경량형 강조 주택의 중량 바닥 충격음 저감 대책으로서, 낮은 비용으로 또한 충격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4의 중량 바닥 충격 가진시의 벽 진동의 속도 분포 측정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 상단부 및 벽 하단부로부터의 길이가 1/4인 평면 부재의 부분이 최대 진폭이 되기 때문에, 길이가 1/4인 평면 부재의 부분을 고정함으로써 중량 바닥 충격에 대해 큰 충격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1/4의 평면 부재의 부분은, 연결 부재의 사이즈, 평면 부재의 사이즈, 시공성 등으로부터 결정되어, 바람직하게는 길이 1/4의 위치이지만, 길이 1/6 이상 1/3 이하의 범위 내, 및 길이 2/3 이상 5/6 이하의 범위 내에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종프레임(10, 10a, 11)이 복수의 종프레임에 상당하고, 석고 보드(20, 21, 22, 23)가 평면 부재에 상당하고, 연결 부재(30, 31, 31a, 31b, 31c, 31d)가 연결 부재에 상당하고, 벽 구조(100, 100a, 100b 및 100c)가 벽 구조에 상당하고, 점 PA가 진폭이 큰 부분 및 길이 1/4H에 상당하고, 부재(15)가 상부 프레임 부재 및/또는 하부 프레임 부재에 상당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그 밖에 이루어지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서술하고 있지만, 이들 작용 및 효과는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벽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
도2는 1/1 옥타브 밴드마다의 중량 바닥 충격음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1/3 옥타브 밴드마다의 중량 바닥 충격음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중량 충격 가진시의 벽 진동 속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한 벽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
도6은 도1 및 도5에 도시한 벽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
도7은 벽 구조에 있어서의 종프레임 및 연결 부재의 연결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 사시도.
도8은 벽 구조에 있어서의 종프레임 및 연결 부재의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 사시도.
도9는 벽 구조에 있어서의 종프레임 및 연결 부재의 연결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 사시도.
도10은 벽 구조에 있어서의 종프레임 및 연결 부재의 연결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 사시도.
도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벽 구조에 있어서의 종프레임 및 연결 부재의 연결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
도12는 도11의 벽 구조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
도13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벽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 면도.
도14는 제3 실시 형태에 벽 구조의 일례를 비스듬히 본 모식적 투시도.
도15는 도14의 벽 구조의 석고 보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적 정면도.
도16은 도14의 벽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적 상면 단면도.
도17은 도14에 있어서의 벽 구조의 상단부에 부재를 설치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1 : 복수의 종프레임
15 : 부재
20, 21, 22, 23 : 석고 보드
30, 31, 31a, 31b, 31c, 31d : 연결 부재
100, 100a, 100b, 100c : 벽 구조
PA : 점[길이 1/4(H)]

Claims (4)

  1.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종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종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복수의 종프레임의 적어도 한쪽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연결 부재에 접합된 평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종프레임 및 상기 평면 부재로부터 형성되는 벽 구조의 벽 상단부로부터 벽 하단부까지의 전체 길이에 대해, 상기 벽 상단부 및 상기 벽 하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전체 길이의 대략 1/4 길이의 위치에 존재하는 진폭이 큰 배(腹) 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종프레임 중 하나의 종프레임의 상기 벽 상단부 및 상기 벽 하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전체 길이의 1/4 길이의 위치와, 상기 하나의 종프레임에 인접하는 종프레임의 상기 벽 상단부 및 상기 벽 하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전체 길이의 1/4 길이의 위치를 수평하게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종프레임 중 하나의 종프레임의 중앙 부분과, 상기 하나의 종프레임에 인접하는 종프레임의 양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프레임의 상단부를 현가하는 상부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종프레임의 하단부를 현가하는 하부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종프레임 중 하나의 종프레임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하나의 종프레임에 인접하는 종프레임의 상단부 근방의 상부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종프레임 중 하나의 종프레임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하나의 종프레임에 인접하는 종프레임의 하단부 근방의 하부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KR1020080005476A 2007-01-19 2008-01-18 벽 구조 KR20080068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0660A JP2008175003A (ja) 2007-01-19 2007-01-19 壁構造
JPJP-P-2007-00010660 2007-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580A true KR20080068580A (ko) 2008-07-23

Family

ID=3970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476A KR20080068580A (ko) 2007-01-19 2008-01-18 벽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175003A (ko)
KR (1) KR20080068580A (ko)
CN (1) CN1012557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505B1 (ko) * 2012-05-22 2014-04-30 최춘수 조립식 보강벽체
CN106149881A (zh) * 2016-07-20 2016-11-23 李涛 一种装配式轻钢住宅建筑体系
KR20210055522A (ko) * 2019-11-07 2021-05-17 삼성물산 주식회사 가로모듈형 적층식 프리패브 수장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4754B2 (ja) * 2008-10-23 2013-09-11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建物の壁構造
CN104314201A (zh) * 2014-11-17 2015-01-28 菏泽霸王机械有限公司 一种轻质钢结构复合保温墙体
JP6668786B2 (ja) * 2016-01-29 2020-03-18 日本製鉄株式会社 壁パネル構造及びパネル部材
CN111456264B (zh) * 2020-04-09 2021-06-22 中铁广州工程局集团市政环保工程有限公司 装配式建筑隔音墙体模块及其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505B1 (ko) * 2012-05-22 2014-04-30 최춘수 조립식 보강벽체
CN106149881A (zh) * 2016-07-20 2016-11-23 李涛 一种装配式轻钢住宅建筑体系
KR20210055522A (ko) * 2019-11-07 2021-05-17 삼성물산 주식회사 가로모듈형 적층식 프리패브 수장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55719A (zh) 2008-09-03
JP2008175003A (ja)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8580A (ko) 벽 구조
JP2016148192A (ja) 建築物の天井構造
JP4880087B2 (ja) パネル床構造及び建築構造物
JP2006265875A (ja) 既存床スラブの重量床衝撃音の低減方法
JP5799947B2 (ja) 防振天井パネル、これを備えた天井構成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建築物
KR100896099B1 (ko) 마루-천장 구조
JP2006077517A (ja) 天井構造
JP2007017759A (ja) 防音パネル
JP4623513B2 (ja) 面材の遮音下地構造
JP4164564B2 (ja) 天井遮音構造
JP2004218413A (ja) 床構造
JP2518961B2 (ja) 床構造体
JP2005163412A (ja) 建築物の天井における防音構造
JPH0369746A (ja) 床構造体
KR20080037706A (ko) 바닥-천장 구조
JP2012012819A (ja) 重量床衝撃音遮音壁構造
JP2022153175A (ja) 二重床構造
JP2021188415A (ja) 遮音構造
JP6309314B2 (ja) 天井構造
JPH09111908A (ja) 天井制振構造
JP4560733B2 (ja) 木質系住宅の床構造
JPH0464638A (ja) 床構造体
JP2022012526A (ja) 防音天井構造
JP2003003646A (ja) 制振床の構造、制振床パネル及び制振根太材
JP2000045445A (ja) 床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