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278A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278A
KR20080067278A KR1020070113561A KR20070113561A KR20080067278A KR 20080067278 A KR20080067278 A KR 20080067278A KR 1020070113561 A KR1020070113561 A KR 1020070113561A KR 20070113561 A KR20070113561 A KR 20070113561A KR 20080067278 A KR20080067278 A KR 20080067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display
cooking
input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3583B1 (ko
Inventor
히로카즈 키노시타
하루요 고토
유키오 카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5Constructive details concerning the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6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electric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과제
조리 가열 조건(화력이나 시간, 온도 등)을 가능한 한 공통의 화면에서 확인하고,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가열 조리기를 제공한다.
해태 수단
열조리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 수단(6R, 6L, 7)과, 이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조리 메뉴를 선택하고, 가열량을 포함하는 제어 조건을 키 입력하는 입력 수단(95 내지 99)과, 이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제어 조건을 표시하는 중앙표시·입력부(80)를 구비한다. 중앙표시·입력부(8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조리 조건을 동시에 표시하는 모드와,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조리 조건을 표시하는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가열 조건을 표시하는 모드에서는 그 가열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가열 조리기{A HEATING APPLIANCE FOR COOKING}
본 발명은, 전기 가열원이나 전자유도 가열원에 의해 조리를 행하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열 조리기에는, 하나의 본체(몸체)의 윗면부를, 복수의 전자유도 가열원으로 가열하는 전자 조리기나, 전자유도 가열원에 더하여 전기 히터 등의 복사형 가열원으로도 가열할 수 있다는 타입의 복합형 조리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내지 3 참조).
도 24 내지 도 26은, 대표적인 종래의 복합형 가열 조리기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24는 가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평면도, 도 26은 도 24의 가열 조리기의 화력과 원터치 키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4에서, 1은 조리기 본체이고, 금속판으로 형성된 상자형상의 본체 케이스(2)와, 이 본체 케이스(2)의 윗면 개구를 덮는 금속성 판으로 형성된 천판(3)으로 구성되어 있다. 4는 천판(3)의 윗면을 덮는 ㅁ자 형상의 테두리체이고, 비자성 스테인리스판 또는 알루미늄판 등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 마련된 큰 개구 부는 내열 강화 유리로서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의 톱 플레이트(5)에 의해 밀폐 상태로 덮이고, 톱 플레이트(5)의 윗면으로부터 물방울 등이 테두리체(4)를 통하여 본체(1) 내부에 침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6R은 우측 전자 가열 코일(우 가열원)이고, 본체(1)의 내부로서, 톱 플레이트(5)의 우측 위치의 하면측에 배치되고, 그 상단부가 톱 플레이트(5)에 근접하여 있고, 전자유도 가열원이 된다. 이 예에서는 최대 소비 전력(최대 화력) 3KW의 능력을 구비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6L은 좌측 전자 가열 코일(좌 가열원)이고, 마찬가지로 톱 플레이트(5)의 좌측 위치의 하면측에 배치되고, 그 상단부가 톱 플레이트(5)에 근접하여 있고, 전자유도 가열원이 된다. 이 예에서는 최대 화력 2.5KW의 응력을 구비하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2개의 가열 코일(6R, 6L)은 각각 독립하여 통전과 그 전력량이 제어되고, 화력도 별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통전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우 가열원(6R)과 좌 가열원(6L)의 어느 것이나, 통전시에 와전류를 발생하도록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코일과, 이 코일을 수용한 원형이며 윗면이 개구한 용기형상의 지지 테두리와, 이 지지 테두리의 하면의 전체나 그 일부를 덮는 페라이트제 판(자속 누출 방지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7은 중앙 가열원이고, 본체(1)의 내부로서, 톱 플레이트(5)의 좌우 중심선상이며, 또한 그 뒷부분 근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전자유도에 의해 가열하는 코일, 또는 복사에 의해 가열하는 타입의 전기 히터(예를 들면 니크롬선이나 할로겐 히터)가 사용되고, 예를 들면 최대 소비 전력(최대 화력) 1.2KW의 능력을 구비한 것이 사용되고 있고, 톱 플레이트(5)를 통하여 그 상방에 놓인 냄비 등의 조리 기구(도시 생략)를 가열한다.
10은, 본체 케이스(2)의 우측 앞면에 마련된 앞면 조작부이고, 좌우의 가열원(6L, 6R), 중앙 가열원(7) 및 오븐 조리나 그릴 조리용의 전기 히터(도시 생략)의 모든 전원을 일제히 투입·차단하는 주전원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버튼(11)과, 우 가열원(6R)의 통전과 그 통전량(화력)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다이얼(12R)과, 마찬가지로 좌 가열원(6L)의 통전과 그 통전량(화력)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다이얼(12L)과, 중앙 가열원(7)의 통전과 그 통전량(화력)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다이얼(13)과, 조작 다이얼(12R)로 우 가열원(6R)에 통전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만 점등하는 표시등(14)과, 조작 다이얼(12L)로 좌 가열원(6L)에 통전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만 점등하는 표시등(1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3개의 조작 다이얼(13, 14, 15)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2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앞면 조작부(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밀어 넣어져 있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한번 밀면 전방으로 돌출하여 조작 다이얼(13, 14, 15)을 돌릴 수 있는 상태로 되고, 이 단계에서 좌우 가열원(6L, 6R) 및 중앙 가열원(7)에는 각각 통전이 시작된다. 그래서 다시 각 조작 다이얼(13, 14, 15)을 각각 좌우로 돌리면, 그 회동에 응하여 통전량이 결정되고, 화력 설정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16, 17, 18은 좌우 가열원(6L, 6R) 및 중앙 가열원(7)을, 통전 시작부터 소 망하는 시간만큼 통전하고, 이후 자동적으로 전원을 끊는 타이머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다이얼이고, 16이 우 가열원용, 17이 좌 가열원용, 18이 중앙 가열원용으로 되어 있다.
19는 본체(1)의 내부의 하반분에 구획 형성된 가열실이고, 금속판에 의해 좌우 및 상하의 벽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열실 내의 상부 천장 부근에는 최대 소비 전력(최대 화력) 1200W의 전기 히터(도시 생략)와, 저부 부근에 최대 소비 전력 800W의 전기 히터(도시 생략)가 각각 마련되고, 이들 히터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통전하여 로스트 조리(예를 들면 생선구이), 그릴 조리(예를 들면 피자나 그라탱)나 가열실(19) 내의 분위기 온도를 설정하여 조리한 오븐 조리(예를 들면, 케이크나 굽는 야채)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20은 천판(3) 상면, 구체적으로는 테두리체(4)의 앞부분에 배치된 윗면 조작부이고,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의 좌우 중심선을 끼우고, 그 중앙부에는 오븐 조리나 그릴 조리용의 전기 히터(도시 생략)의 조작부(23)가, 우측에는 우 가열원(6R)의) 조작부(21)가, 반대로 좌측에는 좌 가열원(6L)의 조작부(2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25에서, 24는, 우 가열원(5R)의 화력을 사용자가 한번 가압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는 원터치 키부이고, 3개의 원터치 키(25, 26, 27)를 구비하고 있다. 25는 우 가열원(6R)의 화력을 2.5KW로 설정하는 강화력 키, 26은 마찬가지로 750W로 설정하는 중화력 키, 27은 마찬가지로 300W로 설정하는 약화력 키이다. 또한, 이들 키와 우 가열원(6R)의 화력과의 대응 관계는 도 26에 모식적으로 기재하 고 있는 바와 같다. 또한 좌 가열원(6L)의 화력 설정을 위해서도, 원터치 키부(24)와 같은 키가 조작부(22)(도 24 참조)에 마련하고 있고, 원터치로 화력을 2.5KW, 750W 및 300W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부(23)에는, 로스트 조리, 오븐 조리 및 그릴 조리에 이용되는 각 전기 히터(도시 생략)의 통전을 제어하는 전원 조작 스위치(도시 생략)를 닫고 통전하는 조작 버튼(스타트)(28)과, 그 히터의 모든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원 조작 스위치를 여는 조작 버튼(정지)(29)과, 가압할 때마다 그릴 조리에서의 구워내는 온도를 1도씩 가산적 또는 감산적으로 설정하는 온도 조절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버튼(30, 31)이 가로 일렬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23)에는, 로스터, 그릴 및 오븐의 3종류의 조리 메뉴중에서,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로스터 조리 선택용의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버튼(32)과, 그릴과 오븐 조리 선택용의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버튼(33)이 나열하여 마련되어 있다.
34R은 타이머 카운터(도시 생략)의 스타트 스위치이고, 조작부(21)의 우단부에 마련하고 있고, 사용자가 한번 가압하면, 그 시점부터 시간이 계측되고, 톱 플레이트(5)의 우전방 구석에 마련된 액정 표시부(35R)(톱 플레이트(5)의 하면 부근에 있고, 톱 플레이트(5)를 통하여 그 상방)에 표시광을 투과시켜서 경과 시간이 분과 초 단위로 표시된다. 36R은 마찬가지로 조작부(21)에 마련된 튀김 선택 스위치이고, 사용자가 이것을 한번 누르면, 우 가열원(6R)에 의한 튀김(튀김) 냄비의 기름의 온도를 180℃로 초기 설정할 수 있고, 그 후 사용자는 우 가열원(6R)의 화 력을, 조작 다이얼(12R)을 조작하여 튀김에 적합한 임의의 적당한, 예를 들면 200℃로 설정할 수 있다. 조작부(22)에도, 상기 타이머 카운터(도시 생략)의 스타트 스위치(34R)와 같은 스위치(도시 생략)와, 그 계측 시간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35R)와 같은 기능의 액정 표시부(35L)(도 24 참조) 및 좌 가열원(6L)용의 튀김 선택 스위치(36R)와 같은 기능을 하는 튀김 선택 스위치(도시 생략)의 3개가, 각각 본체(1)의 좌우 중심선을 끼우고 좌우 대칭적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40R은 우 가열원(6R)의 화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화력 표시 램프이고, 톱 플레이트(5)의 우전측에서 우 가열원(6R) 대응 위치와 조작부(21)의 사이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있고, 톱 플레이트(5)를 통하여(투과시켜서) 그 하면부터 표시광을 윗면측으로 방사하도록 톱 플레이트(5)의 하면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40L은 좌 가열원(6L)의 화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화력 표시 램프이고, 톱 플레이트(5)의 좌전측에서 좌 가열원(6L) 대응 위치와 조작부(22)의 사이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있고, 톱 플레이트(5)를 통하여(투과시켜서) 그 하면부터 표시광을 윗면측으로 방사하도록 톱 플레이트(5)의 도면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우 가열원(6R)용의 화력 표시 램프(40R)는, 도 2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력 120W부터 최대 화력 3KW까지의 사이를 9단계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세는 다음 표와 같이 되어 있다.
[표 1]
화력의 단 1 2 3 4 5 6 7 8 9
소비 전력 120W 300W 500W 750W 1000W 1500W 2000W 2500W 3000W
그리고, 이들 9단계의 화력을 발광으로 나타내기 위해, 화력 표시 램프(40R)는, 9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41 내지 49)가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화력(1)인 경우는, 발광 다이오드(1)의 41만이 점등하고, 그 붉은 광이 사용자는 톱 플레이트(5)의 표면상으로부터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또한, 9개의 발광 다이오드(41 내지 49)는 그 크기(실질적으로 발광 표시하고 있는 면적)가 같아지도록, 각 다이오드(41 내지 49)를 윗면에서 본 경우, 높이는 모두 동일 치수이고, 폭도 모두 동일 치수로 되어 있다.
상기한 좌 가열원(6L)용의 화력 표시 램프(40L)(도 24 참조)는, 도시하지 않지만, 화력 120W부터 최대 화력 2.5KW까지의 사이를 8단계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세는 다음 표와 같이 되어 있다. 또한 8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는 도시하지 않지만, 그들의 크기(실질적으로 발광 표시하고 있는 면적)가 같아지도록, 각 다이오드를 윗면에서 본 경우, 높이는 모두 동일 치수이고, 폭도 모두 동일 치수로 되어 있다.
[표 2]
화력의 단 1 2 3 4 5 6 7 8
소비 전력 120W 300W 500W 750W 1000W 1500W 2000W 2500W
50은 중앙 표시부이고, 톱 플레이트(5)의 좌우 중앙부의 앞측에서, 중앙 가열원(7)의 기능(조리중인지의 여부 등)과, 그릴 조리인 경우에는, 가열실(19) 내부에서 그릴 조리를 행하는 경우의 조작 순서나 기능(예를 들면, 현재 로스터, 그릴, 오븐의 조리의 어느 하나가 행하여지고 있는지의 여부)을 문자나 일러스트, 그래프 등으로 표시한다. 이 중앙 표시부는, 액정 패널을 주체로 구성되고, 톱 플레이트(5)를 통하여(투과시켜서) 그 하면부터 표시광을 윗면측으로 방사하도록 톱 플레이트(5)의 하면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60은, 중앙 표시부(50)보다 조금 후방 위치에 배치된 중앙 가열원(7)의 화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화력 표시 램프이고, 화력 표시 램프(40R)와 마찬가지로, 톱 플레이트(5)를 통하여(투과시켜서) 그 하면부터 표시광을 윗면측으로 방사하도록 톱 플레이트(5)의 하면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화력 표시 램프(60)는 화력 100W부터 최대 화력 1500W까지의 사이를 5단계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화력(1)은 100W, 화력(2)은 300W, 화력(3)은 600W, 화력(4)은 1200W, 화력(5)은 1500W로 설정하고 있고, 이들은 화력 표시 램프(40R)와 마찬가지로, 동일 치수(발광 면적)를 갖는 5개의 발광 다이오드(61 내지 65)를 직선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화력(1)인 경우는, 발광 다이오드(61)가 점등하고, 사용자는 100W의 소비 전력으로 중앙 가열원(7)이 발하고 있는 것이 톱 플레이트(5)의 상방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서, 70은 가열실(19)의 앞면 개구(71)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도어이고, 전후로 이동 자유롭게 되도록 가열실(19)에 지지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72는 도어의 중앙에 마련한 창으로 내열 유리로 덮여 있다. 73은 도어(70)와 일체로 형성된 금속제의 받침접시로, 조리하는 경우는, 기름이 많은 조리를 하는 경우는 통상이 받침접시의 위에는 금속제의 석쇠(도시 생략)가 놓인다.
74는, 테두리체(4)의 후부에 마련한 흡기구이고, 표면은 사용자의 손가락나 이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펀칭 메탈이나 망으로 덮여 있다. 본체(1)의 내부에는 본체(1) 내부에 설치한 전동식의 흡기 팬의 운전에 의해 신선한 실내 공기가 이 흡기구로부터 흡입된다. 그리고, 그 공기로, 본체(1) 내부의 전기 부품이나 좌우 가열원(6L, 6R)이나 중앙 가열원(7)의 주변을 냉각하고 마찬가지로 테두리체(4)의 후부에 마련한 배기구(75)로부터 배기된다.
또한, 본체(1)의 내부에는 가열실(19)로부터 배기구(75)까지 연통한 배기 덕트(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고, 가열실(19)의 내부에 발생한 고온 공기(조리물로부터 발생한 유연(油煙)을 포함한다)는,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구(75)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종래의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 우 가열원(6R)을 사용한 경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톱 플레이트(5)의 우 가열원(6R)에 대응한 위치에 소정의 냄비(전자 가열에 적합한 것)를 놓고, 앞면 조작부(10)의 조작 버튼(11)을 가압한다.
다음에, 우 가열원(6R)의 전원을 투입하기 위해 조작 다이얼(12R)을 한번 누르면 소정량만큼 튀어나온 위치가 되고 전원 투입되기 때문에, 다음에 원터치 키(25, 26, 27)의 어느 하나를 누른다. 그러면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냄비인지의 여부의 판정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고, 사용할 수 있는 냄비인 경우에는, 화력 표시 램프(40R)가 점등한다. 그리고 화력을 그 원터치 키(25 내지 27)로 설정하거나, 또는 조작 다이얼(12R)을 돌려서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화력(8(2.5KW))으로 가열하고 있는 경우는 9개의 발광 다이오드(41 내지 49)중, 왼쪽의 41내지 48까지 8 개가 모두 점등한다.
한편, 동시에 좌 가열원(6L)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앞면 조작부(10)의 조작 버튼(11)을 가압한다. 다음에, 좌 가열원(6L)의 전원을 투입하기 위해 조작 다이얼(12L)을 한번 누르면 소정량 튀어나온 위치가 되고 전원 투입되기 때문에, 다음에 원터치 키(도시 생략)의 어느 하나를 누른다. 그러면 사용할 수 있는 적당한 냄비인지의 여부의 판정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고, 사용할 수 있는 냄비인 경우에는, 화력 표시 램프(40L)가 점등한다. 그리고 화력을 그 원터치 키로 성정하거나, 또는 조작 다이얼(12L)을 돌려서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화력(8)(2.5KW)으로 가열하고 있는 경우는 8개의 발광 다이오드(도시 생략) 모두 점등한다.
특허문헌1 : 일본 특허 제2681994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 특허 제2712399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 실개평3-5079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가열원이 2개, 많은 것에서는 예를 들면 5개도 있기 때문에, 그것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에 있어서, 각 열원의 입력 스위치나 화력 조절 손잡이 등 복수의 조작부를 조정하고, 또한 그 결과가 액정이나 램프, 문자 등에 의해 복수의 표시부에 개별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그들의 상태를 제각기 확인하여야 한다. 특히, 다종류의 조리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일수록, 최초의 조리 메뉴의 선택이나 화력 등의 조리 조건 설정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조리의 가열 조건(화력이나 시간, 온도 등)을 가능한 한 공통의 화면에서 확인하고,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가열 조리기는, 열조리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 수단과, 해당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조리 메뉴를 선택하고, 가열량을 포함하는 제어 조건을 키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해당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제어 조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표시 수단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조리 조건을 동시에 표시하는 모드와,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조리 조건을 표시하는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가열 조건을 표시하는 모드에서는 그 가열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종류의 조리에 대응할 수 있는 조리기에 있어서, 번거로운 조리 조건 설정이 공통의 화면을 보면서, 터치 키 방식에 의한 화면 입력 조건과 같이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표시 화면 영역이 확대하기 때문에, 시인성이 향상한다. 또한 톱 플레이트상에 직접 정전 용량형의 터치식 입력 키를 마련하지 않고, 조리기 본체상에서 상기 화면에 인접한 부분에 가압식의 입력 키를 마련하는 것에서는, 조리물의 액체나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닿은 것 등에 의해 오동작하는 일이 없고, 신뢰성이 높다.
실시의 형태 1
도 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복합형 가열 조리기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한 상기 종래예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가열 조리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윗면 조작부와 중앙표시·입력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서, 80은 중앙표시·입력부(본 발명의 표시 수단에 상당한다)이고, 우 가열원(6R), 좌 가열원(6L), 중앙 가열원(7) 및 가열실(19)의 내부에 마련한 2개의 전기 가열원(도시 생략)의 통전 상태(화력이나 시간 등)를 입력하거나, 확인하거나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에 기술한다. 20은 천판(3) 윗면, 구체적으로는 테두리체(4)의 앞 부분에 배치된 윗면 조작부이고, 본체(1)의 좌우 중심선을 끼우고, 그 중앙부에는 오븐 조리나 그릴 조리용의 2개의 전기 히터(110A와 110B중, 110A만 후술하는 도 15에 도시한다.)의 중앙 조작부(23)가, 우측에는 우 가열원(6R)의 조작부(21)가, 반대로 좌측에는 좌 가열원(6L)의 조작부(2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중앙 조작부(23)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스트 조리, 오븐 조리 및 그릴 조리에 이용되는 각 전기 히터(110A, 110B)의 통전을 시작하는 조작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버튼(92)과, 그 통전을 정지하는 조작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버튼(29)이 나열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중앙 조작부(23)에는, 상기 히터(110A, 110B)에 의한 그릴 조리나 좌우 가열원(6R, 6R)에 의한 전자 조리에서의 제어 온도를 1도씩 가산적 또는 감산적으로 설정하는 온도 조절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버튼(300, 310)이 가로 일렬로 마련되어 있다. 93은 편리 메뉴 키이고, 튀김(우 가열원(6R), 좌 가열원(6L)을 사용) 조리, 튀김 예열 상태 표시(우 가열원(6R), 좌 가열원(6L)을 사용하고, 기름을 소정의 예열 온도까지 가열), 타이머 조리(우 가열원(6R), 좌 가열원(6L), 중앙 가열원(7), 가열실(19)의 내부에 마련한 2개의 전기 가열원 등을 타이머로 설정한 시간중에만 통전하여 조리)를 설정할 때에 가압하면, 간단히 중앙표시·입력부(80)에 소망하는 입력 화면이나 상태 표시 화면을 판독할 수 있다. 94는, 중앙 가열원(7)의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 버튼이다. 또한, 조작 버튼(93)의 우측에는, 하드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우IH 편리 메뉴 버튼(93a)이 마련되어 있고, 이것은 우 가열원(6R)에 관한 각종의 설정을 하기 위한 설정 버튼이다. 마찬가지의 설정 버튼은 좌 가열원(6L)에 관해서도 마련되어 있다(도시 생략).
상기한 6개의 각종 조작 버튼(29, 92, 93, 94, 300, 310, 93a) 등은 표면이 물이나 조리물의 기름 등에 견디는 재질의 얇은 수지 피막이나 금속 피막으로 덮여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누름에 의해 동작(내장한 전기 접점이 도통하고, 입력 신호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 조작부(23)에는, 입력 키군(91)이 마련되어 있다. 이 키군은 5개의 독립하여 조작 가능한 키(95, 96, 97, 98, 99)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키는, 표면이 조리물의 기름 등에 견디는 재질의 얇은 수지 피막이나 금속 피막으로 덮여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누름에 의해 동작(내장한 전기 접점이 도통하고, 입력 신호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 조작부의 각 조작 버튼이나 입력 키를, 접촉식의 입력 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2712399호에서 소개되어 있다)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그 종류의 접촉식 키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하여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므로, 조리중의 물이나 기름의 비산, 또한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조작한 경우 등의 상황을 고려하면, 이 종류의 조리기에서는 오동작이 일어날 우려가 있어 채용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중앙표시·입력부(80)는, 주지의 도트 매트릭스형 액정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그 구체적인 것을 모식적으로 표시한 예이다. 도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화면 구역이 7개의 에어리어에 할당되어 있고 좌 가열원의 대응 에어리어(81A), 중앙 가열원(7)의 대응 에어리어(81B), 우 가열원(6R)의 대응 에어리어(81C), 그릴이나 오븐 조리용의 가열원(110A, 110B)의 대응 에어리어(81D), 사용 자에게 각종 조리에서의 주의나 참고 정보를 표시하는 가이드 에어리어(81E), 상기 입력 키군(91)의 각 입력키(95 내지 99)에 인접하고, 그 키로 입력 가능한 기능을 개별로 표시하는, 서로 독립된 5개의 표시 키(100, 101, 102, 103, 104)를 표시하는 표시 에어리어 부분(81F) Tips 표시(81G)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표시 에어리어 부분(81F)과, 입력 키(95 내지 90)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표시 에어리어 부분(81F)의 각 키(이하, 표시 키 또는 소프트 키라고도 한다)(101 내지 104)는, 장면에 의해 기능이 변하는 액정 화면 내에서의 가상 키이고, 실제의 조작은 각 키(101 내지 104)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입력 키(F1 내지 F5, 펑션 키라고도 한다)(95 내지 99)를 조작함에 의해, 각 키(101 내지 104)에 상당하는 조작 신호가 입력하게 된다. 또한, 개별로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키 부분에 문자를 떠오르게 하거나, 발광 다이오드 등에 의해 점등시키거나, 키 부분의 색채나 휘도를 강조하거나,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할 수 있는 조건의 전제가 되는 각종 파라미터(대상이 되는 가열원, 가열 온도나 시간, 통전량 등) 설정에 필요한 문자와 기호(화살표 등)를 키 부분(101 내지 104)에 표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입력 키(99)의 우측에는, 하드 키로 이루어지는 인포메이션 키(Tips 키)(99a)가 마련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표시 키(101 내지 104)와 입력 키(펑션 키)(95 내지 99)의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입력 키(95 내지 99)에는 LED가 탑재되어 있고, 장면마다 유효한 입력 키를 점등한다(액티브(a)). 또한, 표시 키(101 내지 104)중, 무효한 입력 키에 대해서는, 그레이 아웃(콘트라스트 및 문자 내용을 엷게 표시한 다)(d)이나 비(非)표시(키 형상만을 엷게 표시한다)(c)에 의해 구별을 한다. 이와 같이 그레이 아웃이나 비표시로 되어 있는 표시 키(101 내지 104)에 대응하는 입력 키(95 내지 99)는, LED가 점등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가령 LED가 점등하지 않는 입력 키(95 내지 99)를 눌러도, 후술하는 통전 제어 회로(200) 중에는 유효한 조작 신호가 윗면 조작부(20)로부터 받아들여지지 않는다(통전 제어 회로(200)의 동작을 정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대해, 유효한 조작 지령 신호가 되지 않는다).
도 7의 (a) 및 (b)는 중앙표시·입력부(80)의 가이드 에어리어(81E)(본 발명의 안내 표시 영역에 상당한다)의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 가이드 에어리어(81E)에는, 예를 들면 18문자까지의 문자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그 주된 표시 내용은, 기능의 설명이나 조작 순서의 보조 등이 표시된다. 도 7의 (a) 및 (b)의 예에서는, 「i 그릴의 문이 열려 있습니다」, 「로크 해정(解錠)은 「……」를 6초 눌러 주십시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도 8은 Tips의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Tips는, 도움이 되는 정보·작은 지식이라는 뜻으로 취급, 알고 있으면 편리한 기능이나 조리의 포인트, 또한 자동 제어에 의한 유저의 당혹감을 해결하는 내용을 유저가 알고 싶다고 생각하는 장면에서 알린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하우투(howto) 대책으로서 활용하고, IH 조리를 보다 쾌적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동작은, 『i(인포메이션)』 아이콘이 표시된 때에 대응하는 하드 키인 예를 들면 인포메이션 키(Tips 키)(99a)(도 4 참조)를 누른 때에 해당하는 내용이 표시된다. 그 표시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유저의 조작·의도와는 관계없는 동작에 대한 알림(끊음 잊어버림 방지/탈연(脫煙) 필터 자동 클리닝 등)
·자동 조리(튀김, 자동 그릴)를 안전하게, 또한 능숙하게 잘 다루기 위해 행하여 받고 싶은 내용
·조리 전반에 관해, 안전면의 부탁이나 기기 특유한 버릇(구이 얼룩 등)의 알림·대응 방법
그런데 상기한 중앙표시·입력부(80)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각 에어리어의 면적은, 표시하는 내용에 응하여 크게 변화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좌 가열원(6L)의 제어 조건을 설정하거나, 확인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대상이 되는 에어리어(81A)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에 차지하는 면적을 크게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열원이나 조리에 필요한 정보를, 문자나 기호 등으로 종래보다도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중앙표시·입력부(80)와 5개의 입력 키(95 내지 99), 및 5개의 표시 키(100 내지 104)의 관계에 관해 이하 설명한다.
우선 중앙표시·입력부(80)에서는, 조리기의 사용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은 표시가 행하여진다. 즉, 좌 가열원(6L)의 대응 에어리어(81A)에는 「좌IH 조리중 20분」, 중앙 가열원(7)의 대응 에어리어(81B)에는 「중앙 히터 조리중」, 우 가열원(6R)의 대응 에어리어(81C)에서는 「우IH 튀김 온도 180℃」라고 표시된다. 여기서 「좌IH 조리중 20분」이란, 좌 가열원(6L)이 통전되고, 그 통전 시간이 이 조리기에서는 최초에 모두 20분으로 타이머 세트되어 있는 것(조리 시작 후는, 이 20분 부터 카운트 다운되고, 1분마다 표시된다)을 의미하고, 「중앙 히터 조리중」이란 중앙 가열원(7)이 통전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우IH 튀김 온도 180℃」란, 우 가열원(6R)이 통전되고, 튀김 냄비의 기름의 온도가 180℃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초기 설정(디폴트) 시간을 20분으로 설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10분이라도 좋다. 또한, 도 2에서 표시 키(102)에 아무것도 문자가 표시되지 않은 것은, 이 표시 키(102)로 입력하는 조건은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가령 이때, 사용자가 표시 키(102)에 대응하는 키(97)를 눌러도 어떤 입력도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중앙표시·입력부(80)를 본 경우, 소망하는 표시 키를 조금이라도 간단하게 인식·이해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표시 키에는 이와 같이 아무것도 선택하는 기능명이나 가열원의 명칭을 표시하지 않도록 프로그램하고 있다.
오른쪽과 왼쪽의 가열원(6R, 6L), 중앙 가열원(7) 및 오븐 조리나 그릴 조리용의 전기 히터(110A, 110B)의 모든 전원을 일제히 투입·차단하는 주(主)전원 스위치(도 12의 201)의 조작 버튼(11)이 0N(폐)으로 되어 있고, 아직 조작 다이얼(12R, 12L, 13)이, 어느 것도 앞면 조작부(10)의 표면에서 나와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표시·입력부(80)의 각 대응 에어리어(81A, 81B, 81C)는 엷은 문자나 선으로 「0FF」인 것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때에 5개의 「표시 키(100 내지 104)」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IH」 라는 표시가 된 부분(100A), 「중앙」이라고 표시되고 중앙 가열원(7)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101A), 「우IH」라고 표시된 부분(102A), 「그릴」이라고 표시된 부분(103A), 「본체」라고 표시된 부분(104A) 의 5개의 표시가 된다.
상기한 상태로부터, 좌 가열원(6L)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 「좌IH」라는 표시(100A)에 대응하고 있는 입력 키(F1)(95)를 누른다. 그릴 조리하고 싶은 경우에는, 「그릴」이라는 표시가 된 부분(103A)에 인접하여 대응하고 있는 입력 키(F4)(98)를 누름으로써, 통전 제어 회로(200)(후에 상세히 기술한다)에의 입력이 행하여진다.
도 9는 중앙표시·입력부(80)의 입력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에서는, 좌 가열원(6L)으로 튀김 조리를 위한 예열(통전)이 행하여지고 있고, 그 튀김용의 냄비의 기름의 온도는 180℃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튀김이라는 문자(a), 180이라는 문자(d1), 예열중이라는 문자(e)가 좌 가열원(6L)의 대응 에어리어(81A)에 나타나 있고, 현재 진행 형태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d1)의 주위를 매초 반회전으로부터 1회전 정도 시계 주위를 회전하는 도형이나 캐릭터(d2)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사용자는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중앙 가열원(7)의 대응 에어리어(81B)에는 아무것도 동작의 문자가 표시되는 일 없이, 통전하지 않는 것을 둥근 도형(b)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 가열원(6R)에 통전이 행하여져 있고, 통전 시작부터 현재 6분 경과하고 있는 것이, 6의 문자(c1), 그 문자(c1)의 주위를 매초 반회전으로부터 1회전 정도 시계 주위를 회전하는 도형이나 캐릭터(c2)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사용자는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릴이나 오븐 조리용의 가열원(110A, 110B)의 대응 에어리어(81D)에 는, 「통구이」의 문자(g), 「이후 18분」의 문자(F)가 표시되어 있고, 이 표시로부터 현재 생선 등의 통구이 조리가 행하여지고 있고, 예정으로는 이후 18분으로 종료하는(통전 정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가이드 에어리어(81E)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대해 「문(70)이 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취지의 주의를 주는 문자 표시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그릴 조리나 오븐 조리에 필요한 주의 사항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음에, 제 10 도에 도시하는 중앙표시·입력부(80)의 상태는, 도 9의 상태로부터 좌 가열원(6L)을 선택하고, 더욱 미세하게 확인하고 입력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상태에서, 좌 가열원(6L)을 선택하기 위해, 「좌IH」로 표시된 「표시 키(100A)」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한 입력 키(F1)(95)를 누른다. 그러면 이 입력 키(95)의 입력 신호로 통전 제어 회로(200)에 메뉴 선택의 지령이 입력되고, 그 제어 회로는 이 중앙표시·입력부(80)에 대해, 도 10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지령을 낸다.
이 도 10의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좌 가열원(6L)을 사용한 조리 기능으로서 「튀김」이나 「푹끓임」, 「보온」 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튀김을 하기 위한 기름의 온도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80이라는 숫자는 80도이기 때문에, 상승을 나타내는 삼각형이 표시된 「표시 키(103B)」에 대응한 입력 키(F4)(98)를 누른다. 1회 누르면 예를 들면 10℃ 올리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기 때문에, 2회 누르면 100℃에 세트된다. 또한 미리 150℃, 180℃, 200℃ 등과 같이, 튀김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가 키(98)를 누를 때마다 순회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 가이드 에어리어(81E)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대해 「유량은 0.6L 이상에서 조리하여 주십시오」를 표시하고, 튀김에 사용하는 기름을 0.6리터 이상으로 하도록 어떤 주의를 주는 문자 표시가 나온다. 요컨대 튀김 조리에 필요한 주의 사항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하는 중앙표시·입력부(80)의 상태는, 도 9의 상태로부터 그릴 가열 조리를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상태에서, 「그릴」이라고 표시된 「표시 키(103A)」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한 입력 키(F4)(98)를 누른다. 그러면 이 입력 키(98)의 입력 신호로 통전 제어 회로(200)에 메뉴 선택의 지령이 입력되고, 그 제어 회로는 이 중앙표시·입력부(80)에 대해, 도 11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지령을 낸다.
이 도 11의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그릴이나 오븐 조리용의 가열원(110A, 110B)의 대응 에어리어(81D)에는, 전기 히터에 의한 가열원(110A, 110B)을 사용하는 조리 기능으로서 「자동 그릴」이나 「수동 그릴」, 「오븐」 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자동 그릴의 조리 메뉴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구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표시 키(102C나 103C)에 대응한 입력 키(97나 98)를 누르면, 「통구이」의 다음에 「생선 토막」, 「작은 물고기」, 「양념 바른 구이」 등의 메뉴가 표시된다. 또한 굽는 색 지정도 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키(101C)에 대응한 입력 키(F2)(96)를 누르면, 굽는 색을 입력 모드로 할 수 있다. 즉 「굽는 색」의 표시 부분의 표시를, 상하 입력을 나타내는 표시 키(102C, 103C)에 대응한 입력 키(F3, .F4)(97, 98)를 누름으로써, 굽는 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모양의 표시(h)를 변화시키고(5개의 점(h1 내지 h5)에 의해 5단계의 온도 설정 표시를 나타낸다), 통전 제어 회로(200)에 그 지령이 입력된다. 또한, 이 경우, 자동 그릴로 「통구이」할 수 있는 대상 생선으로서 「꽁치」, 「전갱이」, 「정어리」가 적합한 것을 사용자에게 가르친다. 요컨대, 통구이 조리에 참고가 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2는, 이 조리 장치의 제어 회로의 전체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2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는 통전 제어 회로로서, 입력부와 출력부와 기억부와 연산부의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정전압 회로(232)를 통하여 직류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202은 주회로의 모선(202A, 202B)에 200V를 공급하는 상용 전원, 201은 주회로의 한쪽의 모선(202A)에 마련된 주전원 스위치, 206R은 전원(202)에 대해, 서로 병렬로 접속된 우 가열원(6R)용의 회로, 206L은 이 우 가열원 회로(206R)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좌 가열원(6L)용의 회로, 207은 중알 가열원(7)용의 회로, 208은 그릴·오븐용 열원용의 회로이다.
우 가열원 회로(206R)는, 유도 가열 코일(220)과, 모선(202A, 202B)에 입력측이 접속된 정류 브리지 회로(221)와, 이 직류측 출력 단자에 접속된 코일(222) 및 평활화 콘덴서(223)로 이루어지는 직류 회로와, 코일(222)과 콘덴서(223)의 접속점에 일단이 접속된 가열 코일(220) 및 공진 콘덴서(224)의 병렬 회로로 이루어지는 공진 회로와, 이 공진 회로의 타단에 컬렉터측이 접속된 스위칭 수단이 되는 IGRT(225)를 구비하고 있다. IGBT(225)의 이미터는, 평활화 콘덴서(223)와 정류 브리지 회로(221)의 공적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226은 플라이휠 다이오드로서, 그 애노드가 이미터측이 되도록 IGBT(225)의 이미터와 컬렉터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도 12에서, 227은, 가열 코일(220)과 공진 콘덴서(224)의 병렬 회로로 이루어지는 공진 회로(225)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센서이고, 이 검출 출력은 통전 제어 회로(200)의 입력부에 공급되고, 유도 가열에 부적당한 냄비 등이 사용된 경우나 어떠한 사고 등에 의해 정규의 전류치에 비교하여 과소 전류나 과대 전류가 검출된 경우는 통전 제어 회로(200)에 의해 구동 회로(228)를 통하여 IGBT(225)가 제어되고, 순식간에 유도 가열 코일(220)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우 가열원 회로(206R)는, 상기한 유도 가열 코일(220)과, 코일(222) 및 평활화 콘덴서(223)로 이루어지는 직류 회로와, 구동 회로(228)와, 이 구동 회로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는 상기 IGBT(225)와, 공진 회로(220)와, 플라이휠 다이오드(226)와, 정류 브리지 회로(221)로 구성되어 있다.
좌 가열원 회로(206L)는, 상기 우 가열원 회로(206R)와 동등한 회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좌 가열원의 최대 화력은 상기한 바와 같이 2.5KW이고, 우 가열원의 최대 화력 설정 3.0KW보다도 작게 설계되어 있다.
전류 검출기(227)는, 도시하지 않지만, 좌 가열원 회로(206L)나 그릴·오븐용 열원용의 회로(208), 중앙 가열원용의 회로(207)에도 각각 마찬가지로 마련하고 있다.
중앙 가열원용의 회로(207)는, 전자 릴레이(230)와 전기 히터(231)의 직렬 회로를 가지며, 이 회로의 양단이 상기 모선(202A, 202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10은 앞면 조작부이고(도 1 참조), 주전원 스위치(201) 및 그 조작 버튼(11) 과, 우 가열원(6R)의 통전과 그 통전량(화력)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도시 생략) 및 그 조작 다이얼(12R)과, 마찬가지로 좌 가열원(6L)의 통전과 그 통전량(화력)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도시 생략) 및 그 조작 다이얼(12L)과, 중앙 가열원(7)의 통전과 그 통전량(화력)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도시 생략) 및 그 조작 다이얼(13)과, 조작 다이얼(12R)로 우 가열원(6R)에 통전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만 점등하는 표시등(14)과, 조작 다이얼(12L)로 좌 가열원(6L)에 통전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만 점등하는 표시등(15)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20은 윗면 조작부이고(도 1 참조), 3개의 조작부(21, 22, 23)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서, 233은 통전 제어 회로(20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의거하여, 적외선의 광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외선 구동 회로로서, 그 구동 출력측에는 복수개(도 12에서는 3개밖에 기재되어 있지 않다)의 적외선 LED(234, 235, 236)의 직렬 접속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이 직렬 접속 회로의 타단에는 저항(23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238)의 컬렉터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238)의 베이스는 적외선 구동 회로(23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238)의 이미터는 어스 접속되어 있다.
239는 본 발명의 조리기의 구성의 일부는 아니고, 본 발명의 조리기에 필수의 장치나 부품이 아닌 환기 장치이고, 조리기의 설치 공간의 상방이 되는 부엌의 측벽 상부 등에 설치되어 있다. 240은 환기 장치(239)의 제어부에 내장된 적외선 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포토 다이오드, 241은 수신 회로, 242는 제어 회로이다. 243은 환기용의 배기 팬을 구동하는 팬 모터이고, 포토 다이오드(240)가 적외선 LED(234 내지 236)의 직렬 회로로부터 적외조 신호를 받으면 수신 회로(241)를 통하여 제어 회로(242)에 신호가 전달되고, 그 신호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244는, 중앙표시·입력부(80)의 액정 화면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로서, 통전 제어 회로(200)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된다.
245는 우 가열원(6R)의 화력 표시 램프(40R)를 점등시키는 구동 회로로서, 통전 제어 회로(200)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된다. 화력 표시 램프(40R)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계 12개의 발광 다이오드(246 내지 257)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병렬 회로의 일단이 구동 회로(245)에 접속되고, 타단은 각각 저항(258a 내지 2581)을 통하여 접지측 접속점(25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좌 가열원(6L)용의 화력 표시 램프(40L)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발광 다이오드의 수는 11개이다.
상기 우 가열원(6R)용의 화력 표시 램프(40R)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력 120W부터 최대 화력 3KW까지의 사이를 12단계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세는 다음 표와 같이 되어 있다.
[표 3]
화력의 단 1 2 3 4 5 6 7 8 9 10 11 12
소비 전력 120W 300W 500W 563W 625W 750W 875W 1000W 1500W 2000W 2500W 3000W
그리고 이들 12단계의 화력을 발광으로 나타내기 위해, 화력 표시 램프(40R)는, 12개의 발광 다이오드(246 내지 257)(본 발명의 발광 소자에 상당한다)를 직선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화력(1)인 경우는, 발광 다이오드(1)의 246만이 점등하고, 그 붉은 광을 사용자는 톱 플레이트(5)의 표면상으로부터 용이하게 볼 수 있다.
게다가, 12개의 발광 디이오드(216 내지 257)는 그 크기(실질적으로 발광 표시하고 있는 면적)가 같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화력의 영역인 500W부터 1000W의 사이를, 종래에는 750W밖에 없었던 것에, 이 조리기에서는 560W, 625W, 875W로 더욱 미세한 중간 화력을 3개 추가 설정하고, 이와 같은 미세한 설정이 전체중에서도 강조되도록 하고 있다. 그 강조의 수단으로서 12개의 발광 다이오드(246 내지 257)중, 작은 화력부터 4번째를 나타내는 발광 디이오드(249)와, 5번째를 나타내는 발광 디이오드(250)와, 7번째의 화력을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252)의 3개는, 그 윗면에서 본 경우, 높이는 모두 다른 것과는 동일 치수이지만, 폭은 좁게 설정되어 있다, 즉 발광하는 영역 전체를, 톱 플레이트(5)를 투과하여 상방에서 사용자가 본 경우, 도 141와 같이 중화력의 영역에서는 더욱 미세한 화력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이미지적으로 알 수 있다.
상기 좌 가열원(6L)용의 화력 표시 램프(40L)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화력 120W부터 최대화력 2.5KW까지의 사이를 11단계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세는 다음 표와 같이 되어 있다.
[표 4]
화력 의 단 1 2 3 4 5 6 7 8 9 10 11
소비 전력 120W 300W 500W 563W 625W 750W 875W 1000W 1500W 2000W 2500W
또한 우 가열원(6R)의 화력 표시 램프(40R)와 마찬가지로, 563W, 625W, 875W 로 더욱 미세한 중간 화력을 3개 추가 설정하고, 이와 같은 미세한 설정이 전체중에서도 강조되도록 하고 있다. 그 강조의 수단으로서 11개의 발광 다이오드중, 작은 화력부터 4번째를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와, 5번째를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와, 7번째의 화력을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의 3개는, 그 윗면에서 본 경우, 높이는 모두 다른 것과 동일 치수이지만, 폭은 좁게 설정되어 있다. 즉 발광하는 영역 전체를, 톱 플레이트(5)를 투과하여 상방에서 사용자가 본 경우, 중화력의 영역에서는 더욱 미세한 화력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이미지적으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563W, 625W, 875W의 화력을 추가한 이유에 관해 설명한다.
중화력 영역에서의 가열 조리를 실제로 행한 결과, 500W나 750W와 같은 종래의 화력으로는, 삶는 물건이 부주의로 끓어 오르고, 끓어 넘치거나, 또는 역으로 충분한 고온 가열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버렸기 때문에, 안정하게 다양한 분량의 조리물을 능숙하게 화력 조절하여 조리할 수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래서, 이 중화력 영역에서 종래의 화력의 중간치, 예를 들면 500W와 750W의 중간치가 되는 625W를 추가하고, 또한 이 625W와 500W의 개략 중간치가 되는 563W를 추가하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종래의 화력 조절보다도 더욱 미세한 화력 조절을 할 수 있고, 삶는 물건이 부주의로 끓어 오르거나, 역으로 충분한 고온 가열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거나 하는 것 등을 억제하고, 안정적으로 다양한 분량의 각종 조리를 능숙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에서, 260은 본체(1)의 내부 공간을 일정한 온도 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냉각 팬 구동 회로이다. 311은 온도 검출 회로로서, 중앙 가열원(7)용의 회로(207) 의 전기 히터(231)의 근방에 온도 센서(S1)를, 우 가열원(6R)용 회로(206R)의 방도가열 코일(220)의 근방에 온도 센서(S2)를 중앙표시·입력부(80)의 액정 표시 패널의 근방에 온도 센서(S3)를, 또한 좌 가열원(6L)용 회로(206L)의 유도 가열 코일의 근방에 온도 센서(S4)를, 각각 배치하고 있고, 그들 각 온도 센서(S1 내지 S4)로부터의 온도 데이터를 통전 제어 회로(200)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팬 구동 회로(260)는, 온도 검출 회로(311)로부터의 온도 측정 상황에 응하여, 각각의 온도 측정 부분이 소정 온도 이상 고온이 되지 않도록 항상 송풍 팬(26L, 262, 263)의 운전에 의한 바람으로 냉하게 있고, 그것으로도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는, 통전 제어 회로(200)에 온도 검출 회로(311)로부터 이상 온도 신호가 입력되고, 좌우 가열원(6L, 6R)이나 전기 히터(231) 등의 가열원의 전원이 차단되거나, 제한되거나, 안전 동작을 위한 보호 신호가 통전 제어 회로(200)로부터 각 가열원을 향하여 출력된다.
도 15는 도 1의 가열 조리기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톱 플레이트(5)의 하면과, 가열실(19)의 천장면 전체를 덮는 단열재(300) 사이의 공간은, 칸막이판(27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방 공간(275)과 하방 공간(27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송풍 팬(26L)은, 하방 공간(274)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본체(1)의 천판(3)의 후부에 마련된 흡기구(74)(도 1에 도시)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인하고, 본체(1)중의 중요한 전기 부품, 예를 들면 통전 제어 회로(200)의 주위에 바람을 보낸다. 또한 2개의 송풍 팬(262, 263)은, 칸막이판(270)의 상방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운전시에는, 마찬가지로 흡기구(74)로부터 덕트를 통하여 상방 공간(275)에 흡입한 공기를 그 전방 부분으로 보낸다.
도 15에서, 271은, 칸막이판(270)의 전단부의 좌우 중앙 및 우단부와 좌단부의 합계 3개소에 각각 잘라세운 편(片)(272)을 형성한 3개의 연통구멍이다. 송풍 팬(262, 263)은, 상방 공간(275)에 흡입한 공기를 칸막이판(270)의 연통구멍(271)의 방향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좌우 가열원(6L, 6R)의 가열 코일 주변에는 각각 송풍 팬(262, 263)으로부터의 바람이 제각기 흐르기 때문에, 그들 가열 코일 자체와 그 주변을 냉각한다. 그 후 그들 공기는 연통구멍(271)으로부터 하방 공간(274)에 화살표(F11)와 같이 흘러들어간다.
상방 공간(275)에는, 중앙표시·입력부(80)의 액정 화면을 구성하는 액정 기판(280)이 마련되어 있다. 액정 기판(280)은 그 저면측이 단열재(281)로 덮이고, 윗면만이 개구한 금속제의 케이스(282)의 내부에 격납되고, 톱 플레이트(5)의 하면부터 소정의 공극(283)을 유지하도록 케이스(28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280A는 그 액정 기판의 전기 배선이다.
마찬가지로 도 15에서 234은, 도 13에 도시한 적외선 LED(234)이고, 액정 기판(280)의 후단과 단열재(281) 사이에 마련한 홈형상 공간(291)에 배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지만 다른 적외선 LED(235, 236)도 곧바로 가로로 일렬로 놓이고, 톱 플레이트(5)를 투과하여 환기 장치(239)의 방향으로 적외선 구동 신호를 방사하게 되어 있다. 또한, 테두리체(4)의 상벽면이나 윗면 조작부(20)를 구성하는 외표면의 일부에 개구를 마련하고, 그 개구를 적외선 투과재로 덮고, 이 투과재의 하방에 상기 적외선 LED(234 내지 236)의 일부 또는 모두를 마련하여도 좋다.
291은 윗면 조작부(20)의 각종 입력 스위치류, 예를 들면 조작 버튼(92)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나 입력 키(97)로 조작되는 스위치 등이 부착되는 제어 기판으로서, 앞면과 배면에 각각 연통구멍(295, 296)을 마련한 케이스(29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292)의 저면에는 바람이 통해 빠지는 연통구멍(299)이 형성되고, 또한 그 저면 하방에는 공기가 통하는 간극(293)이 확보되어 있고, 상방 공간(275)에 보내 넣어진 송풍 팬(262, 263)의 냉각풍의 일부(F12)가, 돌아 들어가 상기 연통구멍(2960으로부터 들어가고, 화살표(F13)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구멍(295)이나 연통구멍(299)으로부터 후부로 빠져서 천판(3)의 벽면에 복수개 마련한 공기 빠짐 구멍(298)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송풍 팬(262, 263)의 냉각풍의 나머지는, 상방 공간(275)의 후부로부터 배기구(75)를 통하여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액정 기판(280)의 주변의 케이스(282)나 그 주변의 톱 플레이트(5)는, 송풍 팬(262, 263)으로부터 연통구멍(271)이나 공기 빠짐 구멍(298)을 향하여 냉각풍의 흐름에 노출되기 때문에, 그들에 의해 냉각된다. 또한 동시에 제어 기판(291)도 냉각된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가열 조리기의 동작의 개요를, (1) 통상가열, (2) 푹끓임 (3) 자동 그릴의 예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1) 통상가열
도 16은 통상가열인 경우의 중앙표시·입력부(80)의 표시 회면의 천이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전원 on(주전원 스위치(201)의 조작 버튼(11)을 누른 상태에서), 인코더(우 가열원(6R)의 조작 다이얼(12R)과, 좌 가열원(6L)의 조작 다이얼(12L)과 함께)를 밀어넣은 상태에서 화면1(이하, 이를 초기 화면이라고 한다)이 표시된다. 우 가열원(6R)을 사용하기 위해, 우 가열원(6R)의 (통전 제어용 우 인코더)의 조작 다이얼(12R)을, 눌러 나온 상태로 하면, 다음의 화면2가 된다. 위 인코더의 조작 다이얼(12R)을 돌리면, 그 돌린 정도에 따른 화력이 우 가열원(6R)에 설정되고, 가열 조리 시작되어, 화면3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우 가열원(6R)의 대응 에어리어(81C)에는, 시계 주위로 회전하는 캐릭터(c2)가 나타난다.
(2) 푹 끓임
도 17 및 도 18은 푹끓임인 경우의 중앙표시·입력부(80)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푹끓임이란, IH 히터의 코일을 내측과 외측의 2개의 링으로 나누고, 교대로 통전함에 의해, 냄비의 속에 적당한 대류를 일으키고, 이 대류에 의해, 균등하게 푹 끓여지고, 또한 맛도 스며들어가도록 한 것이다. 초기 화면인 화면4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우 가열원(6R)을 사용하기 위해, 우 가열원(6R)(통전 제어용 인코더)의 조작 다이얼(12R)을, 눌러 나온 상태로 하면, 화면5가 된다. 우IH 편리 메뉴 키(93a)를 누르고, 또는 입력 키(F3)(97)를 누르면, 우 가열원(6R)의 에어리어가 확대되고, 화면6이 표시된다. 입력 키(F1)(95)를 2회 누르면, 튀김, 오프 타이머, 푹끓임까지 입력 대상 에어리어가 이동하고(화면7), 푹끓임의 조리 시간의 입력을 촉구하는 표시 부분이 나타난다(화면8). 입력 키(F3, F4)(97, 98)를 가압 조작하면, 표시 키(102, 103)를 조작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시간 표시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거나 한다. 따라서, 입력 키(97, 98)로 상기한 바와 같이 1시간 30분을 설정할 수 있다(화면9). 입력 키(F5)(99)를 누르면, 그것에 대응한 표시 키(스타트)가 선택된 것으로 되고, 조리가 스타트한다(화면10). 그리고, 1시간 30분의 조리가 경과하면, 종료(연장 화면, 화면11)가 나타난다.
(3) 자동 그릴
도 19 및 도 20은 자동 그릴인 경우의 중앙표시·입력부(80)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초기 화면인 화면12의 상태에서, 그릴 오븐 키(92) 또는 입력 키(F4)(98)를 누르면 다음의 화면13이 나타난다(그릴·오븐 조리용의 화면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입력 키(F2)(96)를 누르면, 굽는 색을 설정하는 부분으로 입력 대상 에어리어가 이동한다(화면14). 입력 키(F3/F4)(97, 98)를 눌러서 굽는 색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입력 키(98)를 가압 조작하면, 이에 대응한 표시 키(103)가 조작된 것으로 되기 때문에, 굽는 색은 강해지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입력 키(F5)(99)를 누르면, 표시 키(104)는 「스타트」의 입력을 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 스타트한다. 조리가 스타트하면, 초기 화면과 같이, 각 가열원의 표시 에어리어는 원래의 크기로 되돌아온다(화면15). 그리고, 조리 시간의 경과와 함께, 화면16 내지 화면18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통구이는 종료까지의 예측 시간이 표시되는(이 예에서는 최초에 21분이라고 표시된다) 그 예측 시간이 계측되고, 예측 시간만큼 가열원은 통전된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 조리를 종료하고 싶은 경우에는, 종료의 표시 키(100)에 대응하고 있는 입력 키(F1)(95)를 누르면, 화면12와 같이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오지만, 가열실(19)로부터 배기구(75)에 이르는 배 기 풍로 내에 마련된 탈기 필터(촉매)에 소정 시간 통전이 행하여져서, 해당 필터의 클리닝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은, 그 취지가 화면19와 같이 중앙입력·표시부(80)의 화면에 문자로 표시된다, 또한, 화면18의 자동 그릴 조리 완료 시점부터 10분간, 사용자가 아무것도 키 조작하지 않으면, 예를 들면 10분 경과 후 자동적으로 초기 화면(화면12로 되돌아온다. 이 경우에는, 이미 탈연 필터(촉매)에 소정 시간 통전이 행하여져 종료한 후가 되기 때문에, 해당 필터의 「클리닝중」이라는 표시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중앙표시·입력부(8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열 수단(6R, 6L, 7)에 공통으로 사용되고, 복수의 가열 수단(6R, 6L, 7)의 조리 조건과 조리 실행 상태를 동시에 표시하는 모드와,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조리 조건과 조리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가열 조건과 조리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모드에서는, 그 가열 조건과 조리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에어리어의 면적을 확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다종류의 조리에 대응할 수 있는 조리기에 있어서, 번거로운 조리 조건 설정과 조리 실행의 상황이 공통의 화면을 보면서, 터치 키 방식에 의한 화면 입력 조건과 같이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표시 화면 영역이 확대되기 때문에, 시인성이 향상한다. 또한 톱 플레이트상에서의 터치식 입력이 아니기 때문에, 조리물의 액체나 물 등에 의해 오동작하는 일이 없고, 신뢰성이 높다.
또한, 중앙표시·입력부(80)에는,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조리 조건을 표시시킨 경우, 해당 조리의 특유한 주의 사항, 또는 피가열물의 종류 등의 참고 정보가 자동적으로 표시되는 가이드 에어리어(81E)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조리 조건의 입력 조작시에, 그 화면상에, 해당 조리의 특유한 주의 사항, 또는 피가열물의 종류 등의 참고 정보가 자동적으로 표시되고, 사용자의 입력 조작이나 조리의 도움을 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가열 조건을 표시하는 모드에서는, 그 가열 조건의 입력에 필요한 개별 파라미터(가열의 온도, 시간, 전력 등)의 입력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키(100 내지 104)가 중앙표시·입력부(8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됨과 함께, 해당 표시 키와 각각 입력 기능이 대응하고, 또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가압식의 입력 키(95 내지 99)가, 중앙표시·입력부(80)에 인접하는 본체(1) 윗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다종류의 조리에 대응할 수 있는 조리기에 있어서, 번잡한 조리 조건 설정이 공통의 화면을 보면서, 터치 키 방식에 의한 화면 입력 조작과 같이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표시 화면 영역이 확대하기 때문에, 시인성이 향상한다. 또한 톱 플레이트(5)상에서의 터치식 입력이 아니기 때문에, 조리물의 액체나 물 등에 의해 오동작하는 일이 없고, 신뢰성이 높다.
또한, 복수의 표시 키(100 내지 104)는, 가열 조건의 입력에 유효한 키 부분만이 중앙표시·입력부(80)의 화면상에서 표시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다수의 입력 키로부터 소망하는 키를 찾아내는 부하가 경감되고, 번거로운 조리 조건 설정이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수단에 투입된 전력의 크기를 발광 소자에 의해 표시하는 표시 수단(40R, 40L)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화력의 단계마다 점등하는 것 이 할당되어 있고, 또한 최소 화력부터 최대 화력 대응 순서로 나열하여 마련한 것에 있어서, 중화력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교하여 화력 1단계당의 전력량 차를 미세하게 설정함과 함께, 그 전력량 차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중화력 영역에 관한 발광 다이오드(249, 250, 251, 252)의 유효 발광 면적을 다른 영역을 나타내는 발광 소자의 것에 비교하여 작게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종래의 화력 조절보다도 더욱 미세한 화력 조절을 할 수 있고, 삶는 물건이 부주의로 끓어 오르거나, 역으로 충분한 고온 가열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거나 하는 것 등을 억제하고, 안정적으로 다양한 분량의 각종 조리를 능숙하게 행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중화력의 영역에서는 더욱 미세한 화력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이 시각 이미지적으로 간단하게 알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화력 표시 램프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고, 도 22는 화력 표시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12개의 적색계의 관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246 내지 257)는, 그 발광면 자체의 크기는 같은 것이 사용되고 있지만, 사용자나 시인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발광 표시되는 면적」을 중화력 영역과 다른 화력역에서 다르게 한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에서도 중화력 영역인 500W부터 1000W 사이에, 563W, 625W, 875W의 중간화력을 3개 추가 설정하고, 12개의 발광 다이오드(246 내지 257)중, 작은 화력부터 4번째(563W 대응)를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249)와, 5번째를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250)(625W 대응)와, 7번째의 화력을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252)(875W 대응)의 3개는, 그 윗면에서 본 경우는, 높이와 폭은 모두 다른 것과 동일 치수로 하고 있다.
각 발광 다이오드의 광방사면의 면적이 동일한 한, 이들 다이오드를 정면에서 본 경우에는, 빛난다고 느끼는 면적에 차가 나지 않기 때문에,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 12개 각각의 발광면측에, 광을 어느 정도 확산하는 확산판(311 내지 322)(도 21에서는 4장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다)을 1장씩 놓고, 그 폭을 일부의 것만 좁게 설정한다는 연구를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은 화력부터 4번째(563W 대응)를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249)와, 5번째를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250)(625W 대응)와, 7번째의 화력을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252)(875W 대응)의 3개의 확산판(314, 315, 317)은, 그 세로 치수는 D2이지만, 가로 치수(폭)는 W1이고, 다른 것의 가로폭(W2)보다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모든 확산판의 세로 치수는 D2로 통일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발광 다이오드(246 내지 257)는, 윗면에 광방사창(319)이 개구한 케이스(318)의 내부 공간(320)에 수용되어 조리기 본체(1)의 톱 플레이트(5)의 하방에 설치된다. 321은 부착판, 322는 전기 절연 기판이다.
이상의 구성이기 때문에, 도 22와 같이, 12개의 발광 다이오드(246 내지 257)가 각각 점등한 상태에서는, 확산판(314, 315, 317)의 폭이 다른 것과 비교하 여 작은 발광 다이오드(249, 250, 252)의 3개의 부분만은, 실질적인 광방사면이 다른 9개의 발광 다이오드보다 좁게 보이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에게는, 폭(D2)의 적색광의 띠가 아니라, 케이스(318)에서의 광방사창(319)의 폭(D1)의 범위로 광이 보인다. 이 때문에, 중화력 영역에서 미세한 화력 설정 부분으로 되어 있는 것이 화력 표시 전체중에서 강조되어, 시인할 수 있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동일 치수 규격의 발광 다이오드로 정돈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나 품질 관리면에서 실시의 형태 1보다도 유리해진다. 또한, 하나의 화력 레벨에 대해, 발광 다이오드를 2개 이상의 조(組)로 표시하도록 변경하는 것도 좋다.
실시의 형태 3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전방 상부 종단면도이고, 상기 실시의 형태 1, 2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의 형태 3은, 중앙표시·입력부(80)의 표시 화면을 구성하는 액정 기판(280)과, 제어 기판(291)의 주변의 냉각 구조를 바꾼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가열원(6R, 6L)의 가열 코일은, 각각 윗면이 개구한 금속제 케이스(330)에 수용되고, 이 케이스의 윗면 개구의 가장자리(緣)가 단열재(332)를 사이에 두고 톱 플레이트(5) 하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가열 코일 윗면은, 톱 플레이트(5) 하면에 대해 일정한 간극(335)을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3321은, 게이스(33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이다.
291은 윗면 조작부(20)의 각종 입력 스위치류, 예를 들면 조작 버튼(93)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나 입력 키(97)로 조작되는 스위치 등이 부착된 제어 기 판으로, 그 위에는 통전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의 하나인 「표시용」의 마이크로 컴퓨터 등, 이 윗면 조작부(20)에 관계가 있는 전기 부품군이 탑재되어 있다. 333은, 5개의 입력 키(95 내지 99) 등과 테두리체(4) 사이의 밀봉용 실 패킹재이다.
톱 플레이트(5)의 하면과, 가열실(19)의 천장면 전체를 덮는 단열재(300)의 사이의 공간은, 수평으로 설치한 금속제 칸막이판(334)에 의해 상방 공간(275)과 하방 공간(274)의 상하 2실로 구획되어 있다. 상방 공간(275)은, 흡기구(도시하지 않지만, 실시의 형태 1의 흡기구(74)와 같다)를 통하여 본체(1) 외부에 연통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 3에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지만, 칸막이판(334)의 하방 공간에는 송풍 팬(26L)이 설치되어 있고, 본체(1)의 윗면의 흡기구(74)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인하고, 본체(1)중의 중요한 전기 부품, 예를 들면 통전 제어 회로(200)의 주위로 바람을 보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바람은 그 후, 가열실(19)의 상방에 있는 하방 공간(274)을 전방부터 후방으로 화살표(F20)와 같이 흐르고, 최종적으로는 독립한 풍로(風路)(도시 생략)로부터 배기구(75)까지 안내되어,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방 공간(275)에는, 그 후부 좌우에, 각각 1대씩 송풍 팬(262, 263)이 설치되어 있고, 운전시에는 흡기구(74)로부터 상방 공간에 신선한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송풍 팬은, 우 가열원(6R)과 좌 가열원(6L)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방 공간(275)에 흡입한 공기를 좌우 가열원(6L, 6R)의 방향을 향하여 취출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 팬(262, 263)으로부터 송출된 공기는, 본체(1)의 상방에서 보면 좌 가열원(6L)에 대하여 말하면, 좌측을 통과하는 공기류(F15)와, 우측을 통과하는 공기류(F14)로 나누어지고, 이들 공기류는 이윽고 천판(3)의 전방 공간까지 이르고, 그곳으로부터 흐름을 본체(1)의 좌우 중심 방향, 즉 중앙표시·입력부(80)나 제어 기판(291)의 방향으로 방향이 변한다. 그리고 일부는 공기류(F16, F18)와 같이, 제어 기판(291)의 주변을 흐르고, 또일부는 F17과 같이 중앙표시·입력부(80)의 액정 화면을 구성하는 액정 기판(280)을 수용한 금속제의 케스(282)의 둘레를 흐른다. 즉 이들 일련의 공기류(F14, F15, F16, F17, F18)는, 좌 가열원(6L)과 우 가열원(6R)의 주위를 흐른 후, 좌우로부터 중앙표시·입력부(80)의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금속 케이스(282)의 주위를 통과하고, 그 후는 본체(1)의 좌우 중심선에 따라, 상부 공간(275)을 후방을 향하여 흐른다. 그리고 송풍 팬(262, 263)의 냉각풍은, 최종적으로는 상방 공간(275)의 후부에 입구를 마련한 배기 덕트(도시 생략)로 들어가고, 이 배기 덕트의 출구가 접속된 배기구(75)를 통하여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도시하는 가열 조리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윗면 조작부와 중앙표시·입력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
도 3은 중앙표시·입력부의 표시 에어리어 구분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표시 에어리어 부분(81F)과 입력 키(95 내지 99)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표시 키와 입력 키의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그 1).
도 6은 표시 키와 입력 키의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그 2).
도 7은 중앙표시·입력부(80)의 가이드 에어리어(81E)의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Tips의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중앙표시·입력부의 입력 상태의 설명도.
도 10은 중앙표시·입력부의 다른 조리 메뉴 입력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중앙표시·입력부의 다른 조리 메뉴 입력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도 1의 조리 장치에서의 전기 회로 구성도.
도 13은 화력의 설정 단계마다의 전력치와 화력 표시 램프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투입 전력과 화력의 표시 레벨의 관계를 종래예와 대비하여 도시한 설명도.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가열 조리기의 전방의 상부 종단면도.
도 16은 통상가열인 경우의 중앙표시·입력부(80)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설명도.
도 17은 푹끓임인 경우의 중앙표시·입력부(80)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설명도(그 1).
도 18은 푹끓임인 경우의 중앙표시·입력부(80)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설명도(그 2).
도 19는 자동 그릴인 경우의 중앙표시·입력부(80)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설명도(그 1).
도 20은 자동 그릴인 경우의 중앙표시·입력부(80)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설명도(그 2).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를 도시하는 조리기의 화력 표시 램프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22는 화력 표시 램프의 종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을 도시하는 조리기의 전방 상부 종단면도.
도 24는 종래의 가열 조리기의 전체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평면도.
도 26은 도 24에 도시한 가열 조리기의 화력과 원터치 키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 조리기 본체 5 : 톱 플레이트
6R : 우 가열원 6L : 좌 가열원
7 : 중앙 가열원 10 : 앞면 조작부
19 : 가열실 20 : 윗면 조작부
21 : 조작부 22 : 조작부
23 : 중앙 조작부 40R : 화력 표시 램프
40L : 화력 표시 램프 70 : 도어
80 : 중앙표시·입력부 91 : 입력 키군
95 내지 99 : 입력 키 100 내지 104 : 표시 키
200 : 통전 제어 회로 201 주전원 스위치
206R : 우 가열원 회로 206L : 좌 가열원 회로
207 : 중앙 가열원용 회로 208 : 그릴·오븐용 열원용 회로
246 내지 257 : 발광 다이오드 280 : 액정 기판
274 : 하방 공간 275 : 상방 공간
270 : 칸막이판

Claims (8)

  1. 가열 조리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 수단과,
    해당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조리 메뉴를 선택하고, 가열량을 포함하는 제어 조건을 키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해당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제어 조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표시 수단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조리 조건을 동시에 표시하는 모드와,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조리 조건을 표시하는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가열 조건을 표시하는 모드에서는 그 가열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 가열 조리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 수단과,
    해당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복수의 조리 메뉴를 선택하고, 가열량을 포함하는 제어 조건을 키로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해당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제어 조건 및 가열 수단의 조리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표시 수단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열 수단의 조리 조건 및 조리 실행 상태를 동시에 표시 하는 모드와,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조리 조건 및 조리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가열 조건 및 조리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모드에서는, 그 가열 조건 및 조리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조리의 특유한 주의 사항, 또는 피가열물의 종류 등의 참고 정보가 자동적으로 표시되는 안내 표시 영역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가열 조건과 조리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모드에서는, 상기 안내 표시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5. 가열 조리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 수단을 내장한 조리기 본체와,
    상기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복수의 조리 메뉴를 선택하고, 가열량을 포함하는 제어 조건을 키로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제어 조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열 수단의 조리 조건을 동시에 표시하는 모드와, 특정한 가열 수단만의 조리 조건을 표시하는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가열 조건의 입력에 필요한 개별 파라미터의 입력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키 부분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 수단은, 조리기 본체의 윗면에 상기 표시 수단에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가압식의 입력 키를 포함하고, 해당 가압식의 입력 키는 복수의 표시 키 부분의 표시 부분에 각각 인접하고, 복수의 가압식의 입력 키의 조작 신호는, 해당 인접하여 표시되어 있는 표시 키 부분의 조작 신호로서 받아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복수의 표시 키 부분의 표시로서, 가열 조건의 입력에 유효한 키 부분만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7. 가열 조리를 행하기 위한 유도 가열 수단과,
    해당 가열 수단에 투입하는 전력을 최대 화력으로부터 최소 화력까지 복수 단계로 제어하는 통전 제어 회로와,
    상기 가열 수단에 투입된 전력의 크기를 복수의 발광 소자에 의해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상기 화력의 단계마다 점등하는 것이 할당되어 있 고, 또한 최소 화력으로부터 최대 화력 대응 순서로 나열하여 마련되고, 중화력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교하여 화력 1단계당의 전력량 차를 미세하게 설정함과 함께, 중화력 영역에 관계되는 발광 소자의 유효 발광 면적을 다른 영역을 나타내는 발광 소자의 것에 비교하여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그 발광면의 종방향 치수가 각각 동일한 것이 최소 화력으로부터 최대 화력 대응 순서로 일렬로 나열하여 마련되고, 중화력 영역과 관계되는 발광 소자의 발광면의 횡폭을, 다른 영역을 나타내는 발광 소자의 횡폭에 비교하여 좁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KR1020070113561A 2007-01-15 2007-11-08 가열 조리기 KR100943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05854A JP4684242B2 (ja) 2007-01-15 2007-01-15 加熱調理器
JPJP-P-2007-00005854 2007-01-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950A Division KR101151519B1 (ko) 2007-01-15 2009-12-14 가열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278A true KR20080067278A (ko) 2008-07-18
KR100943583B1 KR100943583B1 (ko) 2010-02-23

Family

ID=396996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561A KR100943583B1 (ko) 2007-01-15 2007-11-08 가열 조리기
KR1020090123950A KR101151519B1 (ko) 2007-01-15 2009-12-14 가열 조리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950A KR101151519B1 (ko) 2007-01-15 2009-12-14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84242B2 (ko)
KR (2) KR100943583B1 (ko)
CN (6) CN102151072B (ko)
HK (1) HK115760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54Y1 (ko) * 2011-09-28 2013-06-04 정평기 전기구이장치
WO2019050254A1 (ko) * 2017-09-05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90195508A1 (en) * 2017-12-22 2019-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KR20190084556A (ko) * 2018-01-08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과정에 대한 타임라인을 결정할 수 있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0886B2 (ja) * 2008-08-08 2012-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装置
JP5030887B2 (ja) * 2008-08-08 2012-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装置
JP5311951B2 (ja) * 2008-09-29 2013-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439820B2 (ja) * 2009-01-14 2014-03-12 井関農機株式会社 自動炊飯機
JP5085592B2 (ja) * 2009-03-13 2012-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WO2011010429A1 (ja) * 2009-07-24 2011-0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500944B2 (ja) * 2009-10-29 201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110092891A (ko) * 2010-02-10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가열조리기
KR101672546B1 (ko) * 2010-03-31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조리기기
CN102934516B (zh) 2010-05-28 2016-01-20 三菱电机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
JP2012026617A (ja) * 2010-07-21 2012-02-09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WO2012029306A1 (ja) 2010-09-03 2012-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WO2014014227A1 (ko) * 2012-07-16 2014-01-23 Yun Jin-Ho 일체형 복합 주방가전기기
CN103901910B (zh) * 2012-12-24 2017-02-0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加热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537033B1 (ko) * 2013-09-12 2015-07-16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레인지 및 그의 키 동작 제어 방법
JP2015194289A (ja) * 2014-03-31 2015-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833699B2 (ja) * 2014-03-31 2015-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4000475A (zh) * 2014-06-10 2014-08-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烹饪设备的倒计时显示方法、显示装置和烹饪设备
EP3171667B1 (en) * 2014-07-14 2018-09-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eating cooker
CN104896535B (zh) * 2015-06-26 2017-03-2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控制面板及微波烹饪器具
FR3043534B1 (fr) * 2015-11-18 2017-12-15 Jean Michel Senaux Dispositif et procede de decongelation, rechauffage et/ou cuisson d'un produit alimentaire
TWI721079B (zh) * 2016-02-09 2021-03-11 日商林內股份有限公司 加熱調理器
JP6706114B2 (ja) * 2016-03-25 2020-06-03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8309046B (zh) * 2017-01-18 2020-10-3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烹饪器及其防溢出加热控制方法和装置
JP2019041968A (ja) * 2017-08-31 2019-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炊飯器
CN109864600A (zh) * 2017-12-05 2019-06-1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加热平台的显示控制方法和加热平台的显示控制系统
JP7178320B2 (ja) * 2019-05-15 2022-11-25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12034755A (zh) * 2020-08-24 2020-12-04 华帝股份有限公司 节能烹饪设备的控制方法及应用其的烹饪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8720A (ja) * 1995-05-30 1996-12-13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及び加熱調理器
TW455042U (en) * 1995-07-19 2001-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erating apparatus and heating cooker using the same
JP3274610B2 (ja) * 1996-07-29 2002-04-15 シャープ株式会社 調理装置
JPH1089695A (ja) * 1996-09-19 1998-04-10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CN2338647Y (zh) * 1997-11-10 1999-09-15 顺德市希贵电器制造有限公司 语音提示动态显示多功能微波炉
JP3719117B2 (ja) * 2000-08-31 2005-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2089845A (ja) * 2000-09-12 2002-03-27 Toshiba Corp 調理支援システム
JP3769462B2 (ja) * 2000-12-08 2006-04-26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JP2002190376A (ja) * 2000-12-19 2002-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JP2002262345A (ja) * 2001-02-27 2002-09-13 Casio Comput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3641605B2 (ja) * 2001-09-28 2005-04-27 株式会社東芝 電気機器、加熱調理器、冷蔵庫及び洗濯機
JP3743935B2 (ja) * 2001-11-28 2006-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3249338A (ja) * 2002-02-22 2003-09-05 Hitachi Hometec Ltd 誘導加熱調理器
JP3815349B2 (ja) 2002-03-08 2006-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3287233A (ja) * 2002-03-29 2003-10-10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JP2004167060A (ja) * 2002-11-21 2004-06-17 Zojirushi Corp 製パン機
JP4133408B2 (ja) * 2003-02-14 2008-08-13 株式会社東芝 誘導加熱調理器
JP2004363005A (ja) * 2003-06-06 200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JP2005019178A (ja) * 2003-06-26 2005-01-20 Hitachi Hometec Ltd 誘導加熱調理器
JP3895313B2 (ja) * 2003-08-08 2007-03-22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JP2004214215A (ja) * 2004-03-01 2004-07-29 Hitachi Hometec Ltd 誘導加熱調理器
JP2005322511A (ja) * 2004-05-10 2005-11-17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4470115B2 (ja) * 2005-04-04 2010-06-02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表示部カスタマイズ機能を有する電気炊飯器
JP2006294284A (ja) * 2005-04-06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加熱調理器
JP4455565B2 (ja) * 2006-10-16 2010-04-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誘導加熱調理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54Y1 (ko) * 2011-09-28 2013-06-04 정평기 전기구이장치
WO2019050254A1 (ko) * 2017-09-05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90195508A1 (en) * 2017-12-22 2019-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WO2019124645A1 (en) * 2017-12-22 2019-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KR20190076586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 및 그 표시 제어방법
CN111543121A (zh) * 2017-12-22 2020-08-14 三星电子株式会社 电磁加热炉及其控制显示的方法
US10883723B2 (en) 2017-12-22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CN111543121B (zh) * 2017-12-22 2022-07-19 三星电子株式会社 电磁加热炉及其控制显示的方法
KR20190084556A (ko) * 2018-01-08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과정에 대한 타임라인을 결정할 수 있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583B1 (ko) 2010-02-23
CN103349490B (zh) 2016-04-13
KR101151519B1 (ko) 2012-05-31
HK1157600A1 (en) 2012-07-06
CN102068195A (zh) 2011-05-25
JP2008171757A (ja) 2008-07-24
CN103152887B (zh) 2015-05-20
CN102068195B (zh) 2014-07-09
CN103349490A (zh) 2013-10-16
CN102151072A (zh) 2011-08-17
KR20100007832A (ko) 2010-01-22
JP4684242B2 (ja) 2011-05-18
CN101227772B (zh) 2011-04-06
CN102151073A (zh) 2011-08-17
CN103152887A (zh) 2013-06-12
CN102151072B (zh) 2014-03-12
CN101227772A (zh)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583B1 (ko) 가열 조리기
KR100930445B1 (ko) 가열 조리기
KR101240108B1 (ko) 가열 조리기
JP4912197B2 (ja) 加熱調理器
JP5020358B2 (ja) 加熱調理器
JP4679653B2 (ja) 加熱調理器
JP4776716B2 (ja) 加熱調理器
JP5078956B2 (ja) 加熱調理器
JP5225395B2 (ja) 加熱調理器
JP4679652B2 (ja) 加熱調理器
JP5345182B2 (ja) 加熱調理器
JP2008267642A (ja) 加熱調理器
JP5512018B2 (ja) 加熱調理器
JP5535346B2 (ja) 加熱調理器
JP5425171B2 (ja) 加熱調理器
JP4776715B2 (ja) 加熱調理器
JP5058318B2 (ja) 加熱調理器
JP4776714B2 (ja) 加熱調理器
JP5442082B2 (ja) 加熱調理器
JP5106644B2 (ja) 加熱調理器
JP5414728B2 (ja) 加熱調理器
JP5127936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