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949A - 배토기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배토기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949A
KR20080065949A KR1020080035721A KR20080035721A KR20080065949A KR 20080065949 A KR20080065949 A KR 20080065949A KR 1020080035721 A KR1020080035721 A KR 1020080035721A KR 20080035721 A KR20080035721 A KR 20080035721A KR 20080065949 A KR20080065949 A KR 20080065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ain frame
frame
tractor
b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5762B1 (ko
Inventor
권혁상
Original Assignee
권혁상
권오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상, 권오숙 filed Critical 권혁상
Priority to KR1020080035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76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23Lateral adjustment of thei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토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트렉터 또는 로터리 후미에 설치되는 배토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트렉터와 로터리에서 쉽게 분리할 수 없었고, 또한 다양한 크기의 트렉터와 로터리에 배토기가 호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단은 트렉터 또는 로터리의 후미 양쪽에 구비된 연결힌지부(30)에 각각 연결되며, 선단 내면의 횡프레임(140) 중앙에 로드연결부(150)가 구비된 한쌍의 메인프레임(100);과 연결힌지부(30) 보다 높게 트렉터(10) 또는 로터리(20)에 설치되며, 로드 선단이 로드연결부(150)에 연결되어 메인프레임(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200);와 메인프레임(100)의 양쪽 선단에 설치되며, 다수의 배토날(300)이 설치되는 횡지지대(400);로 배토기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00)의 양쪽 선단에는 개구부(120)를 통해 횡지지대(400)가 얹혀지는 받침고리부(130)를 설치하고, 개구부(120)는 걸이쇠(110)에 의해 괘정되게 하여, 배토날(300)이 설치되는 횡지지대(400)가 메인프레임(100)에서 탈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인프레임(100)의 선단 내면을 연결하는 횡프레임(140)은, 중앙에 로드연결부(150)가 구비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삽입부(142)가 돌출되며, 삽입부(142)의 끝단 내부에 너트(143)가 설치된 고정프레임(141)과; 외측단은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에 각각 부착되고, 내측단은 고정프레임(141)의 삽입 부(142)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절프레임(145) 및; 메인프레임(100) 외측면의 조절홀(148)을 통해 고정프레임(100)의 너트(143)에 체결되게 하되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고정프레임(100)에 끼워진 조절프레임(145)을 좌우로 이동시켜주는 스크류봉(146);으로 간격이 조절되게 하여 연결힌지부(30)의 간격이 상이한 트렉터(10) 또는 로터리(20)에도 배토날(300)이 구비된 횡지지대(400)의 탈착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35721
배토기, 트렉터, 로터리, 유압실린더, 메인프레임, 횡지지대

Description

배토기 조절장치{control system for Earthing and Ridge Making Machine}
본 발명은 배토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배토날이 설치되는 횡지지대를 메인프레임에서 쉽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메인프레임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트렉터 또는 로터리에 호환가능하도록 하며,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만곡부로 이루어지고 하부안쪽으로는 날개부를 가진 배토날을 횡지지대에서 좌우로 조절가능하며 스프링으로 인해 완충 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배토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토기는 쟁기날과 같은 형태의 배토날을 이용하여, 밭의 흙을 작물의 뿌리쪽으로 모아 두둑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트렉터 또는 로터리 후미에 회동승강가능하게 장착된 메인프레임에 다수개의 배토날을 장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트렉터로 배토날을 끌고 다니면 배토날 형상의 보습이 흙을 파내고 파내진 흙은 보습의 경사면을 따라 모여서 두둑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배토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배토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트렉터에서 배토기를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트렉터에 배토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로 배토기를 올려 들고다녀야 하기때문에 불필요한 연료가 소비되고 이동중에 배토기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렉터 또는 로터리와 배토기를 연결하는 메인프레임의 폭이 조절되지 않아 다양한 크기의 트렉터 또는 로터리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배토날이 트렉터에 이끌려 밭의 흙을 갈아 엎을 때, 흙속에 돌과 같은 단단한 물체에 닿으면 그 충격으로 인해 배토기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배토기를 이용하여 두둑을 형성할 때 두둑이 일정한 모양과 높이로 형성되어야 작물을 심고 재배할 때 편하게 작업할 수 있지만, 배토날의 형상이 평면인 배토날로는 흙을 파내어 경사면에 모으는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토질에 따라 모아진 흙이 다시 무너져 두둑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배토날에 별도의 두둑판을 결합하여 개발된 특허가 등록 제781988호가 있는데, 이는 평판으로 형성된 배토날에 만곡진 호 형태의 두둑판을 결합하여 두둑이 쉽게 무너지지않게 파내어진 흙을 모아주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선 발명은 배토날에 두둑판을 따로 결합하여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해져 단가가 상승하고, 장시간 사용시 두둑판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 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토날이 설치되는 횡지지대를 메인프레임에서 쉽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한 배토기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스크류봉을 이용하여 메인프레임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크기의 트렉터 또는 로터리에 호환가능하도록 한 배토기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만곡부로 이루어지고 하부안쪽으로는 날개부를 가진 배토날은 횡지지대에서 좌우로 조절가능하며 스프링으로 인해 완충되도록 하여 단단한 이물질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킨 배토기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후단은 트렉터 또는 로터리의 후미 양쪽에 구비된 힌지부에 각각 연결되며, 선단 내면의 횡프레임 중앙에 로드연결부가 구비된 한쌍의 메인프레임;과 힌지부 보다 높게 트렉터 또는 로터리에 설치되며, 로드 선단이 로드연결부에 연결되어 메인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와 메인프레임의 양쪽 선단에 설치되며, 다수의 배토날이 설치되는 횡지지대;로 배토기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의 양쪽 선단에는 개구부를 통해 횡지지대가 얹혀지는 받침고리부를 설치하고, 개구부는 걸이쇠에 의해 괘정되게 하여, 배토날이 설치되 는 횡지지대가 메인프레임에서 탈착되게 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메인프레임의 선단 내면을 연결하는 횡프레임은, 중앙에 로드연결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삽입부가 돌출되며, 삽입부의 끝단 내부에 너트가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외측단은 메인프레임의 내면에 각각 부착되고, 내측단은 고정프레임의 삽입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절프레임 및; 메인프레임 외측면의 조절홀을 통해 고정프레임의 너트에 체결되게 하되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고정프레임에 끼워진 조절프레임을 좌우로 이동시켜주는 스크류봉;으로 간격이 조절되게 하여 힌지부의 간격이 상이한 트렉터 또는 로터리에도 배토날이 구비된 횡지지대의 탈착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토날연결부의 하단에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힌지부에는 하단에 배토날체결부가 구비된 연결레버를 상단의 힌지공에 의해 후미로 회전되게 설치하며, 배토날이 배토날체결부에 체결되어 매달린 연결레버는 배토날연결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장력을 받아 탄발되게 설치하여 배토날에 완충력을 부여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배토날은, 양단이 후미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V"형을 이루되 양단의 외측면이 서로 대향의 오목부를 이루도록 만곡시키고, 그러한 배토날의 하부에는 안쪽을 향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날개부를 형성하여 배토가 고랑 안쪽으로 덜 유입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토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트렉터 또는 로터리에서 작업자 혼자서도 쉽게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불필요한 연료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인프레임의 폭을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트렉터 또는 로터리에 배토기를 장착할 수 있게 하여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토날의 형태를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만곡부로 이루어지고 하부안쪽으로는 날개부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하고, 횡지지대에서 좌우로 조절가능하며 스프링으로 인해 완충되도록 함으로써, 배토날이 흙을 갈아엎을 때 두둑이 무너지지않게 되고 돌과 같은 단단한 물체와 배토날이 부딪쳤을 때에도 배토날을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가 트렉터 또는 로터리에 결합 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가 트렉터 또는 로터리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의 작동을 보여 주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의 배토날이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후단은 트렉터(10) 또는 로터리(20)의 후미 양쪽에 구비된 연결힌지부(30)에 각각 연결되며, 선단 내면의 횡프레임(140) 중앙에 로드연결부(150)가 구비된 한쌍의 메인프레임(100);과 연결힌지부(30) 보다 높게 트렉터(10) 또는 로터리(20)에 설치되며, 로드 선단이 로드연결부(150)에 연결되어 메인프레임(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200);와 메인프레임(100)의 양쪽 선단에 설치되며, 다수의 배토날(300)이 설치되는 횡지지대(400); 로 배토기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00)의 양쪽 선단에는 개구부(120)를 통해 횡지지대(400)가 얹혀지는 받침고리부(130)를 설치하고, 개구부(120)는 걸이쇠(110)에 의해 괘정되게 하여, 배토날(300)이 설치되는 횡지지대(400)가 메인프레임(100)에서 탈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메인프레임(100)의 선단 내면을 연결하는 횡프레임(140)은, 중앙에 로드연결부(150)가 구비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삽입부(142)가 돌출되며, 삽입부(142)의 끝단 내부에 너트(143)가 설치된 고정프레임(100)과; 외측단은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에 각각 부착되고, 내측단은 고정프레임(141)의 삽입부(142)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절프레임(145) 및; 메인프레임(100) 외측면의 조절홀(148)을 통해 고정프레임(141)의 너트(143)에 체결되게 하되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고정프레임(141)에 끼워진 조절프레임(145)을 좌우로 이동시 켜주는 스크류봉(146);으로 간격이 조절되게 하여 연결힌지부(30)의 간격이 상이한 트렉터(10) 또는 로터리(20)에도 배토날(300)이 구비된 횡지지대(400)의 탈착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횡지지대(400)에 구비되는 다수의 배토날(300)은 횡지지대(400)에 끼워져 이동되는 배토날연결부(310) 하단에 각각 매달리도록 설치하고, 배토날연결부(310)의 일면에는 배토날연결부(310)를 횡지지대(400)에 고정시켜주는 고정볼트(320)를 구비하여 횡지지대(400)에서 각 배토날(3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토날연결부(310)의 하단에는 힌지부(330)를 구비하고, 힌지부(330)에는 하단에 배토날체결부(390)가 구비된 연결레버(340)를 상단의 힌지공(341)에 의해 후미로 회전되게 설치하며, 배토날(300)이 배토날체결부(390)에 체결되어 매달린 연결레버(340)는 배토날연결부(310)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50)의 장력을 받아 탄발되게 설치하여 배토날(300)에 완충력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연결레버(340)에는 결합공(342)을 형성하여 스프링(35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스프링커버(351)를 유동되게 설치하고,
스프링(350)은 상면에 나선봉(352)이 구비된 상부스프링커버(353)로 지지되게 하며, 배토날연결부(310)에는 나선봉(352)이 결합되는 축공(311)을 형성하여 나선봉(352)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스프링(350)의 장력이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배토날(300)은, 양단이 후미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V"형을 이루되 양단의 외측면이 서로 대향의 오목부(360)를 이루도록 만곡시키고, 그러한 배토날(300)의 하부에는 안쪽을 향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날개부(370)를 형성하여 배토가 고랑 안쪽으로 덜 유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49)는 스크류봉(146)을 회전시키기 위해 끼워 사용하는 핸들이고, (355)는 나선봉(352)을 축공(311)에 고정시키는 너트이며, (190)은 스크류봉(146)과 조절홀(148)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토기를 트렉터(10) 또는 로터리(20)에 메인프레임(100)으로 연결하여 밭의 흙을 보습하게 되고 보습이 끝나거나 배토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메인프레임(100) 양쪽 선단에 형성되는 걸이쇠(110)를 상측 방향으로 열고 받침고리부(130)에 얹혀져 있는 횡지지대(400)를 탈거하여 배토기를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횡지지대(400)에는 다수개의 배토날(300)이 횡지지대(400)에 일정각격으로 끼워지는 배토날연결부(31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데, 이때 배토날연결부(310)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320)를 풀러 배토날(300)의 위치를 조정한 후 고정볼트(320)를 조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각각의 배토날(300)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트렉터(10) 또는 로터리(20)에 연결되는 배토기를 끌고 보습하는 과정에서 배토날(300)이 돌과 같은 단단한 물체와 부딪치게 되는데, 이때 배토날(300)에 결합되는 연결레버(340)의 상측 힌지공(341)이 배토연결부(310)의 힌지부(33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배토날(300)의 선두 하단부가 일시적으로 고정되 면서 후미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어 장애물을 배토기의 손상 없이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장애물을 피한 후 배토날(300)은, 연결레버(340)와 배토날연결부(31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350)의 탄발력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복귀하여 보습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토날연결부(310)의 축공(311)을 통해 상부로 노출되어있는 나선봉(352)을 회전시켜서 스프링(350)의 장력을 조절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력으로 셋팅 된 후에는 너트(355)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토날(300)의 형상이 양단의 외측면이 서로 대향의 오목부(360)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보습과정에서 두둑을 형성하고 흙이 쉽게 무너지지않도록 다지는 과정까지 한번에 수행할 수 있고, 배토날(300) 하부에는 안쪽을 향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날개부(370)가 형성되어 있어서 보습과정에서 배토날(300)이 형성하는 고랑으로 흙이 재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가 트렉터 또는 로터리에 결합 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가 트렉터 또는 로터리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배토기 조절장치의 배토날이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프레임 120 : 개구부
140 : 횡프레임 141 : 고정프레임
142 : 삽입부 145 : 조절프레임
146 : 스크류봉 150 : 로드연결부
200 : 유압실린더 300 : 배토날
311 : 축공 310 : 배토날연결부
340 : 연결레버 342 : 결합공
350 : 스프링 351 : 하부스프링커버
352 : 나선봉 353 : 상부스프링커버
355 : 너트 400 : 횡지지대

Claims (6)

  1. 후단은 트렉터(10) 또는 로터리(20)의 후미 양쪽에 구비된 연결힌지부(30)에 각각 연결되며, 선단 내면의 횡프레임(140) 중앙에 로드연결부(150)가 구비된 한쌍의 메인프레임(100);
    연결힌지부(30) 보다 높게 트렉터(10) 또는 로터리(20)에 설치되며, 로드 선단이 로드연결부(150)에 연결되어 메인프레임(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200);
    메인프레임(100)의 양쪽 선단에 설치되며, 다수의 배토날(300)이 설치되는 횡지지대(400); 로 배토기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00)의 양쪽 선단에는 개구부(120)를 통해 횡지지대(400)가 얹혀지는 받침고리부(130)를 설치하고, 개구부(120)는 걸이쇠(110)에 의해 괘정되게 하여,
    배토날(300)이 설치되는 횡지지대(400)가 메인프레임(100)에서 탈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토기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00)의 선단 내면을 연결하는 횡프레임(140)은,
    중앙에 로드연결부(150)가 구비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삽입 부(142)가 돌출되며, 삽입부(142)의 끝단 내부에 너트(143)가 설치된 고정프레임(141)과;
    외측단은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에 각각 부착되고, 내측단은 고정프레임(141)의 삽입부(142)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절프레임(145) 및;
    메인프레임(100) 외측면의 조절홀(145)을 통해 고정프레임(141)의 너트(143)에 체결되게 하되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고정프레임(141)에 끼워진 조절프레임(145)을 좌우로 이동시켜주는 스크류봉(146);
    으로 간격이 조절되게 하여 연결힌지부(30)의 간격이 상이한 트렉터(10) 또는 로터리(20)에도 배토날(300)이 구비된 횡지지대(400)의 탈착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토기 조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횡지지대(400)에 구비되는 다수의 배토날(300)은 횡지지대(400)에 끼워져 이동되는 배토날연결부(310) 하단에 각각 매달리도록 설치하고,
    배토날연결부(310)의 일면에는 배토날연결부(310)를 횡지지대(400)에 고정시켜주는 고정볼트(320)를 구비하여
    횡지지대(400)에서 각 배토날(3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토기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배토날연결부(310)의 하단에는 힌지부(330)를 구비하고,
    힌지부(330)에는 하단에 배토날체결부(390)가 구비된 연결레버(340)를 상단의 힌지공(341)에 의해 후미로 회전되게 설치하며,
    배토날(300)이 배토날체결부(390)에 체결되어 매달린 연결레버(340)는 배토날연결부(310)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50)의 장력을 받아 탄발되게 설치하여
    배토날(300)에 완충력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토기 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연결레버(340)에는 결합공(342)을 형성하여 스프링(35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스프링커버(351)를 유동되게 설치하고,
    스프링(350)은 상면에 나선봉(352)이 구비된 상부스프링커버(353)로 지지되게 하며,
    배토날연결부(310)에는 나선봉(352)이 결합되는 축공(311)을 형성하여 나선봉(352)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스프링(350)의 장력이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토기 조절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토날(300)은,
    양단이 후미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V"형을 이루되 양단의 외측면이 서로 대향의 오목부(360)를 이루도록 만곡시키고,
    그러한 배토날(300)의 하부에는 안쪽을 향하여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날개부(370)를 형성하여 배토가 고랑 안쪽으로 덜 유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토기 조절장치.
KR1020080035721A 2008-04-17 2008-04-17 배토기 조절장치 KR10086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721A KR100865762B1 (ko) 2008-04-17 2008-04-17 배토기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721A KR100865762B1 (ko) 2008-04-17 2008-04-17 배토기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949A true KR20080065949A (ko) 2008-07-15
KR100865762B1 KR100865762B1 (ko) 2008-10-29

Family

ID=3981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721A KR100865762B1 (ko) 2008-04-17 2008-04-17 배토기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76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8777A (zh) * 2011-10-25 2012-05-02 潘学洲 农田土埂制造方法及其专用装置
KR101423669B1 (ko) * 2013-05-06 2014-08-01 권혁상 배토기의 보습날 각도 조절장치
KR101438082B1 (ko) * 2014-01-22 2014-09-12 지금강 주식회사 상하 회동식 배토기
KR101492612B1 (ko) * 2013-05-03 2015-02-11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배토기
WO2015083989A1 (ko) * 2013-12-04 2015-06-11 지금강 주식회사 파종기
KR200489965Y1 (ko) 2018-12-28 2019-09-02 신정호 트랙터용 배토 및 두둑형성장치
KR102025404B1 (ko) * 2019-02-18 2019-09-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랙터용 쟁기날의 충격흡수장치
KR102094868B1 (ko) * 2019-09-16 2020-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299B1 (ko) * 2014-07-21 2014-10-22 안성시 정지작업용 가변 휴립장치
KR101727638B1 (ko) 2015-04-01 2017-04-18 주식회사 아세아텍 관리기 부착형 파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342Y1 (ko) 1998-09-21 2000-12-01 노오섭 트랙터용 로터리장착대의 폭조절장치
KR100367121B1 (ko) 2000-11-10 2003-01-09 (주)광산엠.티.시 다목적 써레장착구
KR200232886Y1 (ko) 2001-02-06 2001-09-25 경상남도 트랙타 부착형 유압식 전작물 전용배토기
KR100398702B1 (ko) 2001-10-24 2003-09-19 대호농업기계(주)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100448965B1 (ko) 2002-06-05 2004-09-18 제주도(농업기술원) 트랙터용 쟁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8777A (zh) * 2011-10-25 2012-05-02 潘学洲 农田土埂制造方法及其专用装置
KR101492612B1 (ko) * 2013-05-03 2015-02-11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배토기
KR101423669B1 (ko) * 2013-05-06 2014-08-01 권혁상 배토기의 보습날 각도 조절장치
WO2015083989A1 (ko) * 2013-12-04 2015-06-11 지금강 주식회사 파종기
KR101438082B1 (ko) * 2014-01-22 2014-09-12 지금강 주식회사 상하 회동식 배토기
KR200489965Y1 (ko) 2018-12-28 2019-09-02 신정호 트랙터용 배토 및 두둑형성장치
KR102025404B1 (ko) * 2019-02-18 2019-09-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랙터용 쟁기날의 충격흡수장치
KR102094868B1 (ko) * 2019-09-16 2020-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762B1 (ko)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762B1 (ko) 배토기 조절장치
KR101193401B1 (ko) 로터리용 배토기
KR20110007350U (ko) 마늘수확기
JP2007000013A (ja) 耕起・整地装置の砕土作業具およびこれを取り付けた耕起・整地装置
JP5297427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KR20130050044A (ko) 로터리용 작업기프레임
CN2667855Y (zh) 旋耕搅浆平地通用机
KR101423669B1 (ko) 배토기의 보습날 각도 조절장치
JP4097507B2 (ja) 代掻き均平装置
JP4205599B2 (ja) 代掻作業機
CN213718611U (zh) 一种蔬菜种植翻土机
KR101101891B1 (ko)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
JP6386482B2 (ja) ロータリ耕耘機のスキッド装置
JP4961365B2 (ja) 培土板
CN202019550U (zh) 挖掘松土铲
JP6968407B2 (ja) 農作業機
KR20200064311A (ko) 로터베이터용 흙 이동장치
JP2542030Y2 (ja) ロータリ作業機のエプロン枢着部カバー装置
CN218483172U (zh) 一种便于魔芋种植用的土壤松土机
RU219569U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для очистки закрепленного дна мелиоративных каналов
JP6352093B2 (ja) 畦成形装置
CN220140081U (zh) 一种深耕粉碎松土机用翻转升降装置
CN207652910U (zh) 一种改进型平地机
JP6909490B2 (ja) 農作業機
KR200194260Y1 (ko) 배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