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868B1 -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 Google Patents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868B1
KR102094868B1 KR1020190113443A KR20190113443A KR102094868B1 KR 102094868 B1 KR102094868 B1 KR 102094868B1 KR 1020190113443 A KR1020190113443 A KR 1020190113443A KR 20190113443 A KR20190113443 A KR 20190113443A KR 102094868 B1 KR102094868 B1 KR 102094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tractor
frame
weight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민
김완수
김택진
전현호
백승윤
이남규
문석표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24Tractor-drawn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20Special adjusting means for tools of ploughs drawn by, or mounted on tractors working on hillsides or s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 후방에 부착되는 쟁기에 작업자가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되, 안전을 위하여 작업자가 쟁기에 앉은 상태에서는 쟁기작업이 이루어 지지않도록 쟁기의 중량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는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 및 쟁기 작업에 사용되는 쟁기날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쟁기틀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에 있어서, 상기 쟁기틀 상면에는 복수의 중량감지 센서 및 경고발생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쟁기틀 상면에 쟁기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적층되게 결합되는 평판플레이트를 형성함으로써, 중량감지센서가 평판플레이트의 중량을 감지한 상태를 기준 중량으로 판단하고, 쟁기작업 개시시 기준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발생장치를 가동시키고, 기준 중량일때까지 쟁기작업을 대기하고 있다가 기준중량일때 비로소 쟁기작업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Safety tractor plow for worker riding}
본 발명은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 후방에 부착되는 쟁기에 작업자가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되, 안전을 위하여 작업자가 쟁기에 앉은 상태에서는 쟁기작업이 이루어 지지않도록 쟁기의 중량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한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쟁기나 써레와 같은 보조작업도구를 이용하여 땅을 경작하거나 흙을 부수고, 물건을 운반하기도 하며, 거름 및 농약 등을 살포하기 위한 농기계이다.
특히 트랙터의 동력으로 토양절삭기를 구동하여 경작지를 미세 절삭경운할 수 있도록 하는 쟁기를 트랙터의 후미에 연결하여 작업을 행하고 있다.
그런데 트랙터는 운전석 외에 별도의 작업자 탑승공간이 없어 통상적으로 트랙터 운전자가 트랙터용 쟁기에 작업자를 태우고 밭 작업현장까지 이동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때 트랙터 운전자는 쟁기에 앉은 작업자를 인지하지 못하고 쟁기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자가 트랙터와 쟁기날 사이에 떨여져서 쟁기 밑으로 들어가 사망하는 사고가 왕왕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쟁기에는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트랙터연결부를 갖는 쟁기틀 및 상기 쟁기틀에 장착되어 흙을 파서 일구고 뒤집어엎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쟁기날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밭 작업현장으로 이동 중 쟁기날(20)이 불규칙한 오프로드(off-road, 단단한 토양이나 바위 또는 순간적으로 깊어지는 비포장 도로)를 주행시 요철부에 충격을 받아 쟁기(1)에 충격을 가해 탑승자(작업자)에게 충격을 가하여 트랙터 운행 중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자 발생할 뿐만 아니라 트랙터를 이용한 쟁기 작업 시 단단한 토양이나 바위 또는 순간적으로 깊어지는 작업 깊이 등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쟁기날 및 그 연결부 등에 잦은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0615호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2060호 특허문헌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588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트랙터의 탑승공간 부족을 해소하도록 로터리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게 하되, 트랙터 운전자가 쟁기를 작동시 쟁기에 작업자가 탑승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트랙터에 쟁기를 연결 및 동력을 이용하여 쟁기날을 사용한 쟁기 작업시 쟁기날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기능의 발휘를 통해 줄일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쟁기날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는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 및 쟁기 작업에 사용되는 쟁기날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쟁기틀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에 있어서, 상기 쟁기틀 상면에는 복수의 중량감지 센서 및 경고발생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쟁기틀 상면에 쟁기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적층되게 결합되는 평판플레이트를 형성함으로써, 중량감지센서가 평판플레이트의 중량을 감지한 상태를 기준 중량으로 판단하고, 쟁기작업 개시시 기준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발생장치를 가동시키고, 기준 중량일때까지 쟁기작업을 대기하고 있다가 기준중량일때 비로소 쟁기작업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플레이트는 평판형태의 착석부, 상기 착석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쟁기틀 대면부 및 상기 착석부에 형성된 난간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쟁기틀 대면부 내면에는 쟁기틀과의 마찰을 저감하면서 유격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롤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 및 쟁기 작업에 사용되는 쟁기날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쟁기틀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에 있어서, 상기 쟁기틀에 고정 결합되고, 쟁기날과 충격흡수용 탄성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쟁기날을 지지 결합 및 고정 설치하기 위한 부재로서, 쟁기날에 순간적인 충격이 발생시 피벗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쟁기날힌지; 상기 지지대와 쟁기날의 사이에 개재되어 쟁기날의 피벗 회전방향으로 탄성 압축에 의한 완충기능을 발휘 및 쟁기날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쟁기틀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는 역기억(┏)자 형상의 틀고정부; 상기 틀고정부의 하단에 고정 결합 및 양측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고, 중앙에 힌지삽입공을 갖는 한쌍의 힌지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쟁기날은, 절곡 구조를 갖는 몸체의 상면 전방에 힌지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힌지결합편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힌지결합돌부; 상기 힌지결합돌부의 후측에 평면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대와 쟁기날의 사이에 탄성체를 개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탄성체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틀고정부의 후단부와 상기 쟁기날의 탄성체지지부는 서로 마주한 상태로 간격 배치되고 탄성체가 삽입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 구조이고, 상기 지지대의 틀고정부 후단부와 상기 쟁기날의 탄성체지지부에는 각각 탄성체고정돌기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 구비하여 삽입 개재되는 탄성체를 지탱함으로써 탄성체의 안정된 탄성 동작을 지지하면서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는 쟁기에 작업자의 중량을 감지하도록 중량 감지 센서를 부착하고 이를 인지하고 있다가 운전자가 쟁기 작동을 개시하는 순간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더 이상 중량이 인지되지 않을 때 장치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탑승공간이 부족한 트랙터의 탐승공간을 늘이면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트랙터에 연결하여 동력을 이용한 쟁기 작업시 쟁기틀에 설치된 쟁기날이 돌이나 단단한 토양 등에 접촉하는 등 순간적인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쟁기날 측 피벗 회전과 동시에 탄성체에 의한 완충작용을 유도하므로 순간적으로 발생된 충격에 대응하여 이를 바로 흡수할 수 있고 충격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를 포함하는 쟁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를 포함하는 쟁기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의 평판플레이트 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의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의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의 충격흡수장치를 포함하는 쟁기부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a)는 충격흡수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b)는 충격흡수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의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요부 도면으로서, (a)는 충격흡수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b)는 충격흡수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는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 및 쟁기 작업에 사용되는 쟁기날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쟁기틀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로서, 상기 쟁기틀(10) 상면에는 복수의 중량감지 센서(150) 및 경고발생장치(160)가 형성되고, 상기 쟁기틀(10) 상면에 쟁기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적층되게 결합되는 평판플레이트(200)를 형성함으로써, 중량감지센서가 평판플레이트의 중량을 감지한 상태를 기준 중량으로 판단하고, 쟁기작업 개시시 기준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발생장치를 가동시키고, 기준 중량일때까지 쟁기작업을 대기하고 있다가 기준중량일때 비로소 쟁기작업을 개시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트랙터 운전자가 쟁기 작동을 개시하는 순간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더 이상 중량이 인지되지 않을 때 장치가 작동하도록 하게하여 탑승공간이 부족한 트랙터의 탑승공간을 늘이면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평판플레이트(200)는 평판형태의 착석부(210), 상기 착석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쟁기틀 대면부(220) 및 상기 착석부에 형성된 난간(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착석부(210)를 통해 작업자 뿐만 아니라 각종 농기구들을 운반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착석부에 형성된 난간(230)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지지대 역할 뿐만 아니라 각종 농기구를 로프로 묶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착석부(210)에 연결부 홀(211)을 형성함으로써 탈부착을 위한 편의성을 도모하고, 경고발생장치홀(212)을 형성함으로써,경고발생음의 효과적 전달과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아울러, 상기 쟁기틀 대면부(220)를 통해 상기 착석부(210)가 쟁기틀(10)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적층되게 결합되어진다.
한편, 상기 쟁기틀 대면부(220) 내면에는 쟁기틀(10)과의 마찰을 저감하면서 유격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롤러(240)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착석부(210)가 작업자의 중량에 의해 중량감지센서(150)를 누르면서 하강시 쟁기틀(10) 측면과의 마찰을 저감하면서 하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센싱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탄성롤러(240)를 채택함으로써 작업자가 어느 일방향으로 착석하여 자중이 쏠리는 경우, 그 착석 지점을 중심으로 착석부가 하강하면서 반대측이 들리는 회전운동을 하더라고 쟁기틀 대면부(220)와 쟁기틀(10)과의 간격을 탄성롤러(240)가 탄성력을 통해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작업자가 밭 작업현장으로 이동 중 쟁기날(20)이 불규칙한 오프로드(off-road, 단단한 토양이나 바위 또는 순간적으로 깊어지는 비포장 도로)를 주행시 요철부에 충격을 받아 쟁기(1)에 충격을 가해 탑승자(작업자)에게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쟁기날의 충격흡수장치(10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쟁기날의 충격흡수장치(100)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트랙터용 쟁기(1)에 설치된다.
상기 트랙터용 쟁기(1)는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연결부(11)를 갖는 프레임 구조의 쟁기틀(10)을 포함하며, 상기 쟁기틀(10)에는 쟁기 작업에 사용하기 위한 쟁기날(20)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 및 고정 설치된다.
상기 쟁기틀(10)에는 지지대(110)가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는 지지대가 쟁기틀 저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6 및 도 7에서 처럼 쟁기틀 측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대(110)는 쟁기날(20)과 충격흡수용 탄성체(13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지지대(110)의 하단에는 쟁기날(20)을 지지 결합 및 고정 설치하기 위한 부재로서 쟁기날힌지(120)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쟁기날힌지(120)는 쟁기날(20)에 순간적인 충격이 발생시 피벗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지지대(110)와 쟁기날(20)의 사이에는 충격흡수용 탄성체(130)가 개재되어 고정 배치된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용 탄성체(130)는 쟁기날(20)의 피벗 회전방향으로 탄성 압축에 의한 완충기능을 발휘 및 쟁기날(20)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대(110)는 상기 쟁기틀(10)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는 역기억(┏)자 형상의 틀고정부(111)와, 상기 틀고정부(111)의 하단에 고정 결합 및 양측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고 중앙에 힌지삽입공을 갖는 한쌍의 힌지결합편(112)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쟁기날(20)은 절곡 구조를 갖는 몸체의 상면 전방에 힌지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힌지결합편(112)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힌지결합돌부(21)와, 상기 힌지결합돌부(21)의 후측에 평면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대(110)와 쟁기날(20)의 사이에 충격흡수용 탄성체(130)를 개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탄성체지지부(22)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게 한다.
즉, 상기 틀고정부(111)의 후단부와 상기 쟁기날(20)의 탄성체지지부(22)는 서로 마주한 상태로 간격 배치되고, 상기 충격흡수용 탄성체(130)가 삽입 개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충격흡수용 탄성체(130)는 스프링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110)의 틀고정부(111) 측 후단부와 상기 쟁기날(20)의 탄성체지지부(22)에는 각각 탄성체고정돌기(113)(23)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 구비하여 삽입 개재되는 충격흡수용 탄성체(130)를 지탱하여 줌으로써 탄성체(130)의 안정된 탄성 동작을 지지하면서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대(110)의 틀고정부(111) 측 후단부와 상기 쟁기날(20)의 탄성체지지부(22)가 서로 마주하는 대응면에는 각각 충격흡수용 탄성체(130)의 길이방향측 양측단부를 삽입 배치하여 고정하도록 탄성체고정홈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충격흡수용 탄성체(130)가 더욱 안정된 탄성 동작을 발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쟁기날의 충격흡수장치(10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1)를 통해서는 쟁기틀(10)이 갖는 연결부(11)를 트랙터에 연결하여 두둑 등을 만들기 위한 쟁기 작업시 돌이나 단단한 토양 등에 쟁기날(20)이 접촉하여 순간적인 충격이 발생시 쟁기날(20)에 연결 장착한 충격흡수장치(100), 즉 지지대(110)의 틀고정부(111) 측 후단부와 상기 쟁기날(20)의 탄성체지지부(22) 상에 삽입 개재된 충격흡수용 탄성체(130)에서 수축에 의한 완충기능을 발휘하므로 쟁기날(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쟁기날(20)은 순간적인 충격이 발생시 힌지 결합구조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피벗 회전함과 동시에 충격흡수용 탄성체(130)에서 완충 작용함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여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트랙터용 쟁기 10: 쟁기틀
20: 쟁기날 21: 힌지결합돌부
22: 탄성체지지부 23: 탄성체고정돌기
100: 충격흡수장치 110: 지지대
111: 틀고정부 112: 힌지결합편
113: 탄성체고정돌기 120: 쟁기날힌지
130: 충격흡수용 탄성체 150: 중량감지센서
160: 경고발생장치 200: 평판플레이트
210: 착석부 220: 쟁기틀 대면부
230: 난간 240: 탄성롤러

Claims (6)

  1.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 및 쟁기 작업에 사용되는 쟁기날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쟁기틀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쟁기에 있어서,
    상기 쟁기틀 상면에는 복수의 중량감지 센서 및 경고발생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쟁기틀 상면에 쟁기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적층되게 결합되는 평판플레이트를 형성함으로써,
    중량감지센서가 평판플레이트의 중량을 감지한 상태를 기준 중량으로 판단하고, 쟁기작업 개시시 기준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발생장치를 가동시키고, 기준 중량일때까지 쟁기작업을 대기하고 있다가 기준중량일때 비로소 쟁기작업을 개시하도록 하되,
    상기 평판플레이트는 평판형태의 착석부,
    상기 착석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쟁기틀 대면부 및
    상기 착석부에 형성된 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쟁기틀 대면부 내면에는 쟁기틀과의 마찰을 저감하면서 유격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롤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쟁기틀에 고정 결합되고, 쟁기날과 충격흡수용 탄성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쟁기날을 지지 결합 및 고정 설치하기 위한 부재로서, 쟁기날에 순간적인 충격이 발생시 피벗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쟁기날힌지;
    상기 지지대와 쟁기날의 사이에 개재되어 쟁기날의 피벗 회전방향으로 탄성 압축에 의한 완충기능을 발휘 및 쟁기날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쟁기틀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는 역기억(┏)자 형상의 틀고정부;
    상기 틀고정부의 하단에 고정 결합 및 양측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고, 중앙에 힌지삽입공을 갖는 한쌍의 힌지결합편; 을 포함하며,
    상기 쟁기날은,
    절곡 구조를 갖는 몸체의 상면 전방에 힌지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힌지결합편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힌지결합돌부;
    상기 힌지결합돌부의 후측에 평면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대와 쟁기날의 사이에 탄성체를 개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탄성체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틀고정부의 후단부와 상기 쟁기날의 탄성체지지부는 서로 마주한 상태로 간격 배치되고 탄성체가 삽입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 구조이고,
    상기 지지대의 틀고정부 후단부와 상기 쟁기날의 탄성체지지부에는 각각 탄성체고정돌기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 구비하여 삽입 개재되는 탄성체를 지탱함으로써 탄성체의 안정된 탄성 동작을 지지하면서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KR1020190113443A 2019-09-16 2019-09-16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KR10209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43A KR102094868B1 (ko) 2019-09-16 2019-09-16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43A KR102094868B1 (ko) 2019-09-16 2019-09-16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868B1 true KR102094868B1 (ko) 2020-03-31

Family

ID=7000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443A KR102094868B1 (ko) 2019-09-16 2019-09-16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8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949A (ko) * 2008-04-17 2008-07-15 권혁상 배토기 조절장치
KR20110031564A (ko) * 2009-09-21 2011-03-29 주식회사 세웅 트랙터용 다련 쟁기
KR20110060615A (ko) 2009-11-30 2011-06-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고령 운전자에 적합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안전 경보 시스템
KR101205886B1 (ko) 2008-10-24 2012-11-28 박재현 트랙터용 쟁기장치
KR20140080170A (ko) * 2012-12-20 2014-06-3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포브키 인식 기반의 승차 연동 장치 및 방법
KR101892060B1 (ko) 2016-12-02 2018-08-24 최준호 스프링 쟁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949A (ko) * 2008-04-17 2008-07-15 권혁상 배토기 조절장치
KR101205886B1 (ko) 2008-10-24 2012-11-28 박재현 트랙터용 쟁기장치
KR20110031564A (ko) * 2009-09-21 2011-03-29 주식회사 세웅 트랙터용 다련 쟁기
KR20110060615A (ko) 2009-11-30 2011-06-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고령 운전자에 적합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안전 경보 시스템
KR20140080170A (ko) * 2012-12-20 2014-06-3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포브키 인식 기반의 승차 연동 장치 및 방법
KR101892060B1 (ko) 2016-12-02 2018-08-24 최준호 스프링 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3687B1 (ja) カルチベータユニットにおける深耕作業機と砕土均平ローラ装置の取付構造及びこの構造に使用する取付装置
US4503630A (en) Ditch digging machine
KR102094868B1 (ko) 작업자 탑승이 가능한 안전 트랙터용 쟁기
US5443126A (en) Grubber tine
KR101436155B1 (ko) 파손방지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써레
US7823654B2 (en) Electric post driver
US6179676B1 (en) Shock tower
EP2192240A1 (en) Footstep for excavator
SE533244C2 (sv) Transportpåbyggnad för en vibratorplatta
US3173494A (en) Overload release trip for cultivator shanks
JP5358777B2 (ja) 刈払機の飛散防止装置
KR200492150Y1 (ko) 두둑 성형 및 비닐 피복기가 구비된 경운기
GB2371513A (en) Shovel with shock absorbing means
JP4545058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CA3029757C (en) Soil-working device having an overload protection means
JP2004293224A (ja) 車止め構造
CN112609759B (zh) 一种防砸装置及推土机
JP3578843B2 (ja) 耕耘装置
KR20240010853A (ko) 써레 안전장치
JP4753906B2 (ja) 作業機装着装置
JP6199610B2 (ja) 耕耘整地作業機
KR200491273Y1 (ko) 제초기용 3연동 충격완화장치
KR200275837Y1 (ko)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
KR100446395B1 (ko)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
RU2275778C1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