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891B1 -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891B1
KR101101891B1 KR1020110045485A KR20110045485A KR101101891B1 KR 101101891 B1 KR101101891 B1 KR 101101891B1 KR 1020110045485 A KR1020110045485 A KR 1020110045485A KR 20110045485 A KR20110045485 A KR 20110045485A KR 101101891 B1 KR101101891 B1 KR 101101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lt
support frame
rotating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용
Original Assignee
박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용 filed Critical 박호용
Priority to KR102011004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01B13/025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with passively driven rotating disc-like elements for forming the rid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01B33/024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with disk-like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원판배토날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기울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면에 접촉하는 원판배토날의 접촉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폭을 갖는 이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에 원판배토날이 설치된 배토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판배토날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회전고정구; 상기 회전체의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된 한 쌍의 원판배토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Angle control apparatus of earth-moving equipment}
본 발명은 배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면과 접촉되는 원판배토날을 갖는 배토기의 접촉각도를 조절하여 이랑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토기는 작물을 재배할 목적으로 우마 등의 가축이나 기계 등을 이용하여 흙을 파서 일구고 뒤집어 엎어 두둑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이러한 배토기는 보습을 사용하거나 또는 디스크 형태의 원판이 사용되어진다.
도1은 종래의 배토기의 형태를 보인 도로서, 수평방향의 프레임의 하측으로 회전축 지지 프레임(25)이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 프레임(25)의 하부 양측에는 회전축(24,24')이 각각 형성되어 그 회전축(24,24')에 각각 원판배토날(23,23')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의 통상의 원판배토날(23,24')은 두개의 원판이 서로 비스듬히 마주보는 상태로서 배토기의 진행방향으로 전방은 서로 가깝게 위치하고, 후방은 멀게 위치하도록 회전축(24,24')에 장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원판배토날(23,23')이 지면에 접촉하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랑의 형성시에 항상 동일한 폭의 이랑만 형성할 수 밖에 없고, 이랑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회전축 지지 프레임(25), 회전축(24,24'), 원판배토날(23,23')을 모두 교체하여야 한다.
이로인해, 이랑의 폭에 따른 모든 장비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또한 작업자가 직접 교체하여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원판배토날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기울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면에 접촉하는 원판배토날의 접촉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폭을 갖는 이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에 원판배토날이 설치된 배토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판배토날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회전고정구;
상기 회전체의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된 한 쌍의 원판배토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전고정구를 구성하는 볼트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각도가 결정됨으로써 원판배토날의 지면 접촉위치가 달라지게 되는 구조로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단순히 볼트를 회전시켜 원판배토날의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종래의 원판배토날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결합 단면도 및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5는 원판배토날의 지면 접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크게 고정체(100), 회전체(200), 회전고정구(300), 지지프레임(400)으로 구성된다.
고정체(100)는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1)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ㄷ'자 형태의 브라켓(110)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10)의 외측으로 한 쌍의 고정편(120,130)이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10)은 프레임(1)에 용접이나 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편(120,130)은 브라켓(11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편(120,130)의 상측에는 핀삽입공(122,132)이 동일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이에 핀(140)이 삽입되며, 고정편(120,130)의 하측에도 동일한 위치에 핀삽입공(121)이 각각 형성된다.
회전체(200)는 한 쌍의 힌지편(210,220)이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100)의 외측으로 끼워지는데, 상기 힌지편(210,220)의 하측에는 동일한 위치에 핀삽입공(211,221)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핀(240)에 의해 고정체(100)의 핀삽입공(121)에 체결되어 전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힌지편(210,220)의 상측에도 동일한 위치에 각각 핀삽입공(212,222)이 형성되어 핀(230)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을 구속하여 회전각도를 결정하기 위해 회전고정구(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회전고정구(300)는 장볼트(310)의 일단이 핀(230)의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장볼트(310)의 몸체에는 결합링(330)이 끼워지고, 그 결합링(330)의 외측은 고정체(110)에 체결된 핀(14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형태이다.
이때, 상기 결합링(330)의 양측에는 각각 너트(340,330)가 체결되고, 볼트(310)의 일단에는 'T'자 형태의 회전링(320)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링(320)이 핀(230)을 수용하여 볼트(310)가 상하방향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결합링(33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자유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너트(340,350)에 의해 전후방향의 자유이동이 구속된다.
회전체(200)의 후면에는 원반배토날(440,44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400)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데, 지지프레임(400)은 각체로 된 외부 파이프(410)의 내측으로 내부 파이프(430)가 삽입되며, 내부 파이프(430)의 하단에는 회전체(20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원판배토날(440,441)이 회전축(431)에 의해 축결합되어 있다.
이때, 원판배토날(440,441)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서로 비스듬히 마주보는 형태이다.
외부파이프(410)의 외측과 내부파이프(430)의 외측사이에는 코일 스프링(450)이 장착되고, 볼트(500)는 외부파이프(410)의 볼트삽입공(500)에 삽입되며, 그 하단이 내부파이프(430)의 상단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형태로서, 외부파이프(430)의 상측에서 너트(421)와 결합되어 원판배토날(400,441)의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결합 단면도로서, 너트(340,350)의 조절에 의해 볼트(310)가 회전체(210)의 상측을 후방으로 밀거나 전방으로 당기도록 회전시킨 다음 고정시킴으로써 지지프레임(400)이 경사를 가지도록 회전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도3의 경우 회전체(210)의 회전에 의해 지지프레임(400)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4의 경우 지지프레임(400)이 똑바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회전에 의해 원판배토날(440,441)이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가 달라지게 되고, 이로인해 이랑의 폭이 다르게 형성되는데, 이를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지프레임(400)이 회전체(200)의 회전에 의해 도3과 같이 배토기의 진행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a의 위치가 지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원판배토날(440,441)의 간격이 넓어져 a'의 간격만큼 이랑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도4와 같이 지지프레임(400)이 세워진 경우 b의 위치가 지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b'의 간격만큼의 폭을 갖는 이랑이 형성되며, 지지프레임(4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우 c의 위치가 지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c'의 간격만큼의 폭을 갖는 이랑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지프레임(400)의 기울기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갖는 이랑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원판배토날(440,441)의 심도조절과 완충작용을 위하여 작업자가 너트(421)를 풀어 볼트(500)의 상측부위에 위치시키면, 코일스프링(450)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파이프(430)가 하측으로 이탈되려고 하지만, 너트(421)에 의해 이탈이 제한되므로 지지프레임(400)의 길이가 길게 된다.
반대로 너트(421)를 조여 볼트(500)의 하측부위에 위치시키면 지지프레임(400)은 길이가 짧게 되면서 심도가 조절된다.
아울러 배토작업시 돌이 부딪치게 되면 내부파이프(430)가 외부파이프(4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원판배토날(440,441)의 손상이 방지되고, 다시 코일스프링(43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배토작업이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1 : 프레임
100 : 고정체
110 : 브라켓 120,130 : 고정편
121,122,132 : 핀삽입공 140 : 핀
200 : 회전체 210,220 : 힌지편
211,212,221,222 : 핀삽입공 230,240 : 핀
300 : 회전고정구
310 : 볼트 320 : 회전링
330 : 결합링 340,350 : 너트
400 : 지지프레임 410 : 외부파이프
420 : 볼트삽입공 421 : 너트
430 : 내부파이프 440,441 : 배토날
450 : 스프링 500 : 볼트

Claims (3)

  1.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1)에 원판배토날(440,441)이 설치된 배토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체(100);
    상기 고정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판배토날(440,441)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0)이 형성된 회전체(200);
    상기 고정체(100)와 회전체(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회전고정구(300);
    상기 회전체(200)의 지지프레임(400)의 하측에 설치된 한 쌍의 원판배토날(440,441);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고정체(100)에 고정된 외부 파이프(410)에 내부 파이프(43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외부 파이프(410)와 내부 파이프(430)의 사이에는 스프링(450)이 장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구(300)는
    볼트(310)의 일단이 상기 회전체(200)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볼트(310) 몸체에는 결합링(330)이 끼워지며, 상기 결합링(330)은 고정체(100)에 고정됨과 아울러 결합링(330)의 전후방에는 너트(340,350)가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파이프(410)에는 상측에 볼트 삽입공(420)이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되어 외부 파이프의 하측으로 내부 파이프(430)가 삽입되어 수용되며, 상기 내부 파이프(430)의 하측에는 한 쌍의 배토날(440,441)이 축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내부 파이프(430)의 상단에 고정결합된 볼트(500)의 상측이 외부 파이프(410)의 볼트 삽입공(420)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 파이프(410)의 외측에서 너트(421)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
KR1020110045485A 2011-05-16 2011-05-16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 KR101101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485A KR101101891B1 (ko) 2011-05-16 2011-05-16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485A KR101101891B1 (ko) 2011-05-16 2011-05-16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891B1 true KR101101891B1 (ko) 2012-01-05

Family

ID=45613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485A KR101101891B1 (ko) 2011-05-16 2011-05-16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8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762B1 (ko) 2013-02-14 2013-05-15 김정호 배토기
KR20220000670A (ko) * 2020-06-26 2022-01-04 김부건 오리농장용 배토기
KR102481808B1 (ko) 2022-03-10 2022-12-27 배연호 폭 조절이 가능한 배토 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083Y1 (ko) * 2002-05-23 2002-09-05 헌 호 임 트랙터용 배토기
KR20020088083A (ko) * 2001-01-18 2002-11-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피크 전력 억압 장치와 그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기지국 장치
KR20040040912A (ko) * 2002-11-08 2004-05-13 광주과학기술원 접착제 분사장치
KR200440912Y1 (ko) * 2007-03-31 2008-07-08 정길동 트랙터용 배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083A (ko) * 2001-01-18 2002-11-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피크 전력 억압 장치와 그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기지국 장치
KR200288083Y1 (ko) * 2002-05-23 2002-09-05 헌 호 임 트랙터용 배토기
KR20040040912A (ko) * 2002-11-08 2004-05-13 광주과학기술원 접착제 분사장치
KR200440912Y1 (ko) * 2007-03-31 2008-07-08 정길동 트랙터용 배토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762B1 (ko) 2013-02-14 2013-05-15 김정호 배토기
KR20220000670A (ko) * 2020-06-26 2022-01-04 김부건 오리농장용 배토기
KR102408865B1 (ko) 2020-06-26 2022-06-13 김부건 오리농장용 배토기
KR102481808B1 (ko) 2022-03-10 2022-12-27 배연호 폭 조절이 가능한 배토 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2120A (en) Tilling apparatus
KR101101891B1 (ko) 배토기의 각도조절장치
JP2022528350A (ja) プラウモジュール
JP3878031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4205599B2 (ja) 代掻作業機
KR101106075B1 (ko) 농기계용 쟁기장치
JP4171294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2007252221A (ja) 管理機
KR200489965Y1 (ko) 트랙터용 배토 및 두둑형성장치
JP6968407B2 (ja) 農作業機
WO2020026723A1 (ja) 車輪跡消し装置、及び、作業車両
KR102347523B1 (ko) 고구마 종자 파종용 평탄 작업장치
KR101398593B1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JPS6010330Y2 (ja) 代掻均平装置
JP4377701B2 (ja) 耕耘装置
JP2005287398A (ja) 根菜類のクリーナ装置およびこれを装着した根菜類収穫機
JP5272162B2 (ja) 耕耘砕土作業機のレーキ装置
KR200408770Y1 (ko) 로타베이터용 스키드
JP2005295907A (ja) 耕耘作業機
KR100691361B1 (ko) 동력중경제초기
JP2004236583A (ja) 移動農機における整地装置
KR200221924Y1 (ko) 보리논작업용 휴립복토기
JP2020018271A (ja) 畦塗り機
JP2000253704A (ja) 代掻作業機のワラ稈埋没装置
JPH0610727Y2 (ja) 耕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