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935A -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 Google Patents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935A
KR20080064935A KR1020077017988A KR20077017988A KR20080064935A KR 20080064935 A KR20080064935 A KR 20080064935A KR 1020077017988 A KR1020077017988 A KR 1020077017988A KR 20077017988 A KR20077017988 A KR 20077017988A KR 20080064935 A KR20080064935 A KR 20080064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rive shaft
communicator
diagnosis unit
bear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요키 스기야마
다카시 오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ublication of KR20080064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382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constructional details of other than the intermediate memb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8Sensors; Details or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압연 설비 등의 구동축의 손상을 진단함에 있어서, 센서의 출력을 송신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소한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을 제공한다.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11)은 베어링컵(9)에 마련된 케이스 삽입 구멍(12)에 삽입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케이스(13)와, 케이스(13) 외면에 설치되어 십자축 연결부(4)의 크로스(7)의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14b)와, 케이스(13) 내에 배치된 무선 통신기(15) 및 전지(17)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 통신기(15)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통신기 지지 부재(16) 내에 수용되어 있고, 전지(17) 및 통신기 지지 부재(16)가 이 순서로 케이스(13)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Description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DRIVE SHAFT DAMAGE DIAGNOSING UNIT}
본 발명은, 압연 설비 등의 구동축의 손상을 진단하기 위한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철강의 압연 설비에서는, 구동축에 큰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구동축이 손상되기 쉽고, 손상을 빠르게 검지하여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정기적으로 분해 검사가 행해지고 있지만, 이 검사에 수고 및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분해 검사 대신에 가동중인 상태에서의 검사가 요구되고, 구동축의 손상을 감시할 필요가 점점 커지고 있다. 압연 설비의 구동축은, 그 자체가 회전하기 때문에, 이것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무선화가 반드시 요구된다.
한편, 특허 문헌 1에는 자동차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십자축 연결부에 있어서, 크로스의 중앙부에 센서 설치 구멍이 마련되고, 같은 구멍 내에 온도 센서 및 송신부를 갖는 센서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04975호 공보
압연 설비의 구동축의 손상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특허 문헌 1의 자동차의 구동축용 구성을 압연 설비의 구동축용 구성에 적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압연 설비용 구동축은 압연하는 기구(mechanism)상, 2개의 구동축이 밀착되어 있고, 십자축 연결부의 외부에 간극이 없으며, 센서의 출력을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외부에 부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 설비 등의 구동축의 손상을 진단함에 있어서, 센서의 출력을 송신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소한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은, 십자축 연결부의 크로스에 결합되는 베어링컵에 설치되는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으로서, 베어링컵에 마련된 케이스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바닥부 근방에 설치되어 십자축 연결부의 크로스의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와, 케이스 내에 배치된 무선 통신기 및 전지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기는 무선 기판 및 이 무선 기판에 세워져 설치된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지 및 무선 통신기가 이 순서로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십자축 연결부는, 2개의 회전축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 플랜지 요크간에 배치되는 크로스(십자축) 및 4개의 크로스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크로스 베어링은 베어링컵 및 복수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베어링컵과 플랜지 요크가 볼트로 결합됨으로써, 2개의 회전축은 상대적인 요동이 가능하게 되면서 회전이 확실하게 전달되도록 결합된다. 크로스와 베어링컵의 상대적 요동은, 한쪽 회전축으로부터 다른쪽 회전축으로 회전 운동을 전달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버퍼 기능을 한다.
십자축 연결부는, 예컨대 베어링강에 의해 형성되고, 케이스 및 통신기 지지 부재는 적절한 금속제(통상은 강제)가 된다.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은, 십자축 연결부의 크로스의 각 축부(trunnion)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하나의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은 안테나 및 무선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기와, 센서 및 센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유닛과, 이들의 전원이 되는 전지로 이루어진다. 센서 기판에는 프리앰프 및 전원 회로 등이 내장된다.
케이스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이 되고, 이 경우에 원통부와 바닥벽과는 일체여도 좋고, 별개의 부재여도 좋다. 그리고, 예컨대 케이스의 바닥벽의 외측 둘레에 센서가 부착되고, 케이스의 바닥벽의 상면에 센서 기판이 설치되며, 센서로부터 센서 기판까지 통과하는 접속선용 통로가 케이스의 바닥벽에 설치된다. 그리고, 센서 기판을 먼저 케이스의 바닥벽에 설치한 후, 그 위에 전지가 배치된다.
금속제 케이스의 개구는 송수신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해 수지제 시일 부재로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케이스의 개구를 직접 수지제 시일 부재로 폐쇄하여도 좋고, 케이스의 개구를 무선 통신기의 지지 부재에 의해 폐쇄하여 이 지지 부재의 개구를 수지제 시일 부재로 폐쇄하여도 좋다.
예컨대, 무선 통신기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통신기 지지 부재 내에 수용되어 있고, 통신기 지지 부재의 개구가 수지제 시일 부재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제1 실시예). 이 경우, 통신기 지지 부재는, 예컨대 외측 둘레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것이 되고, 케이스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케이스에 고정된다. 이 때, 통신기 지지 부재의 바닥벽과 전지 사이에 간극이 있어도 좋지만, 전지 이탈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통신기 지지 부재의 바닥벽을 전지에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개구의 내측 둘레에는 암나사부가 마련되고, 통신기 지지 부재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ㅏ마련되어 있도록 하면, 압연시에 케이스에 작용하는 충격력(100톤 정도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음)에 대하여, 케이스와 통신기 지지 부재가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강도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무선 통신기는, 전지 누름부 및 전지 누름부와 무선 기판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통신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며, 케이스의 개구가 수지제 시일 부재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제2 실시예). 이와 같이 하면 안테나의 특성 변화가 억제되는 동시에, 압연시의 충격에 의한 전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는 플랜지를 갖는 원통부 및 이 원통부와 별개의 부재인 바닥벽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벽은 아래쪽으로부터 삽입된 복수의 케이스 조립 볼트에 의해 통신기 지지 부재의 전지 누름부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케이스의 플랜지부가 복수의 케이스 부착 볼트에 의해 베어링컵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무선 기판, 전지 및 변위 센서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종래의 베어링컵에는 그리스(grease)를 공급하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데,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을 종래의 구동축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 구멍이 케이스 삽입 구멍으로서 사용되고, 그리스 공급용 구멍은 다른 위치에 마련된다.
이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을 구비한 구동축 감시 시스템은, 십자축 연결부의 크로스의 각 축부에 각각 설치된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자기(子機)]과, 자기와 송수신하여 센서 출력을 얻는 동시에 필요한 신호를 자기에 부여하는 본체와, 센서 출력을 처리하여 손상 정도에 대해서 판별하는 감시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센서는 십자축 연결부의 손상(박리)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변위 센서(센서로부터 크로스 표면까지의 거리의 변화를 이용하여 손상을 검지함)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압전형 가속도 픽업에 의해 진동으로써 손상을 검지하는 진동 센서, 손상부로부터 발생하는 AE(어쿠스틱 에미션)를 검지하여 손상을 진단하는 AE 센서, 온도 상승으로써 손상을 검지하는 온도 센서, 크로스로부터 롤러를 통해 베어링컵에 작용하는 힘에 따르는 왜곡량의 증대로써 손상을 검지하는 비접촉 왜곡 센서(왜곡에 의해 손상을 검지함) 및 그 외의 센서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안테나의 정상부는 수지제 시일 부재 내에 삽입되는 경우가 있고, 이때 안테나의 정상면이 시일 부재의 정상면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며, 안테나의 정상면이 시일 부재의 정상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경우가 있고, 안테나의 정상면이 시일 부재의 정상면보다 안쪽에 있어서 안테나의 정상면에 시일 부재의 수지 부분이 얇게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압연에 따라 발생되는 철분(스케일)이 안테나에 쌓이는 것에 의한 특성 변화가 걱정되는 경우에는, 안테나의 정상면 상부에 수지제 시일 부재를 존재시켜 무선 통신기의 안테나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통신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걱정이 없는 경우에는 안테나의 정상면을 수지제 시일 부재보다 돌출시켜, 송수신시의 전파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쨌든 케이스(또는 통신기 지지 부재)의 개구는 안테나에 의한 송수신을 방해하지 않도록, 수지제 시일 부재에 의해 폐쇄된다.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의 정상부에 장해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케이스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구성이 전파 방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예컨대 10 m 정도 떨어져 있는 본체에 신호를 보낼 때에도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의 정상부는 루프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의 정상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수지제 시일 부재는 안테나의 정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에 안테나의 전체 길이는 파장(λ)의 1/4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수지제 시일 부재에 안테나의 정상부가 수용되는 환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안테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고, 고속 회전 중에서도 안정된 송수신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의 출력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전지 수명의 연장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이 베어링컵에 설치될 때에는,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케이스 및 베어링컵의 케이스 삽입 구멍이 모두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케이스 개구 단부가 케이스 삽입 구멍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돌출부 외측 둘레에 수나사부가 설치되고, 이 수나사부에 너트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이 베어링컵에 설치될 때에는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케이스가 베어링컵의 케이스 삽입 구멍에 외측(직경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삽입되는 동시에, 케이스의 플랜지부가 복수의 케이스 조립 볼트에 의해 베어링컵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는 경우가 있다.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베어링컵 대신에 이러한 베어링컵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압연 설비에 있어서의 구동축 손상 진단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에 의해, 케이스 내에 배치된 무선 통신기에 의해 센서의 출력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전지 및 무선 통신기가 이 순서로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전지가 무선 통신기의 전파 장해물이 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무선 기판, 전지, 센서의 교환은 크로스를 분해하지 않고 행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있는 부품 또는 고장 부품을 정기 점검시에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이 적합하게 사용되는 압연 설비의 구동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을 사용한 구동축 감시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및 이 유닛을 내장한 베어링컵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 : 구동축
4 : 십자축 연결부
7 : 크로스
9 : 베어링컵
11, 31 :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12 : 케이스 삽입 구멍
13, 33 : 케이스
13c : 암나사부
13d : 수나사부
14b, 34b : 센서(변위 센서)
15, 35 : 무선 통신기
15a : 무선 기판
15b : 안테나
16, 36 : 통신기 지지 부재
16a : 바닥벽
16d : 수나사부
17, 37 : 전지
18, 38 : 수지제 시일 부재
21 너트
42 : 원통부
43 : 플랜지부
44 : 바닥벽
38c : 환형 홈
45 : 케이스 부착 볼트
47 : 무선 기판
48 : 안테나
48b : 정상부
49 : 전지 누름부
50 : 스페이서
52 : 케이스 조립 볼트
61 : 무선 기판
62 : 안테나
62b : 정상부
63 : 수지제 시일 부재
63c : 환형 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상하는, 도 4 및 도 5의 상하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구동축에 부착된 상태에서 직경 방향 바깥쪽이 위가 되고, 직경 방향 안쪽이 아래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이 사용되는 압연 설비의 구동축(1)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구동축(1)은 도시 생략된 압연 롤러와 구동 모터를 접속하여 구동 모터의 회전을 압연 롤러에 전달하는 것으로, 압연 롤러에 일단부가 결합된 롤러 회전축(2)과, 십자축 연결부(4)를 통해 롤러 회전축(2)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된 중간 회전축(3)과, 십자축 연결부를 통해 중간 회전축(3)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는 구동 모터에 결합된 모터 회전축을 포함한다. 십자축 연결부(4)에 의한 결합부의 구성은 모터 회전축측과 롤러 회전축(2)측에서 동일하고, 한 쌍의 회전축(2, 3)이 이들의 결합 단부에 개재된 십자축 연결부(4)에 의해 상대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쪽 회전축(2)의 결합 단부에는 90˚ 각도의 플랜지 요크들(5)이 180˚ 만큼 떨어져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 회전축(3)의 결합 단부에는 90˚ 각 도의 플랜지 요크들(6)이 한쪽 회전축(2)과 90˚만큼 어긋난 위치에 180˚ 떨어져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십자축 연결부(4)는, 4개의 축부(trunnion)(7a)를 구비하는 크로스(십자축)(7)와, 크로스(7)와 각 플랜지 요크(5, 6)와의 결합 부위에 설치되는 4개의 크로스 베어링(8)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크로스 베어링(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컵(9) 및 이에 지지된 복수의 롤러(1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플랜지 요크(5, 6)에는 암나사부(5a, 6a)가 설치되고, 각 베어링컵(9)에는 볼트 삽입용 관통 구멍(9a)이 마련되어 있으며, 한쪽 회전축(2)의 접합 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플랜지 요크(5)와 이들에 대응하는 한 쌍의 베어링컵(9)이 볼트로 결합되는 동시에, 다른쪽 회전축(3)의 접합 단부에서는 한 쌍의 플랜지 요크(6)와 이들에 대응하는 한 쌍의 베어링컵(9)이 볼트로 결합됨으로써, 회전축(2, 3)이 상호간에 회전을 전달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크로스(7)와 베어링컵(9)은 롤러(10)를 통해 접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요동 가능하고, 한쪽 회전축(2)으로부터 다른쪽 회전축(3)에 회전 운동을 전달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버퍼 기능을 한다. 이렇게 하여 압연 롤러의 이동이 허용됨으로써, 구동축(1)에의 충격이 완화된다. 그러나, 십자축 연결부(4)에는 충격 등에 의해 큰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 따라 손상이 진행된다. 이러한 손상의 진행을 감시하기 위해 각각의 베어링컵(9)에는, 크로스(7)의 손상을 검지하는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11)이 내장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컵(9)의 내측 둘레측에는 크로스(7)의 축부(7a)를 수납하는 크로스축부 수납 공간(9b)이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롤러(10)는 크로스(7)의 축부(7a)의 외측 둘레에 접촉하여 롤링하도록 상기 크로스측부 수납 공간(9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컵(9)에는, 또한 크로스 축부 수납 공간(9b)과 통하는 케이스 삽입 구멍(12)이 상기 수납 공간의 외측 둘레측으로부터 마련되어 있다. 이 케이스 삽입 구멍(12)은 크로스(7)와 롤러(10), 그리고 베어링컵(9)과 롤러(10)의 롤링 접촉부를 윤활하기 위한 그리스를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던 구멍이 전용된 것이다.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11)은, 베어링컵(9)에 마련된 케이스 삽입 구멍(12)에 삽입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 케이스(13)와, 케이스(13)에 지지되어 십자축 연결부(4)의 크로스(7)의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 유닛(14)과, 센서 유닛(14)으로부터의 출력을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기(15)와, 무선 통신기(15)를 지지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통신기 지지 부재(16)와, 센서 유닛(14) 및 무선 통신기(1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17)와,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개구를 폐쇄하는 수지제 시일 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삽입 구멍(12)은 개구부(12a)와, 개구부(12a)보다 직경이 작은 소직경부(12b) 및 소직경부(12b)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부(12c)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개구부(12a)와 소직경부(12b)와의 경계 부분에 제1 환형 단부(12d)가 형성되고, 소직경부(12b)와 대직경부(12c)와의 경계 부분에 제2 환형 단부(12e)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11)을 사용한 구동축 감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11)은 구동축 감시 시스템의 자기로서 사용되고, 각 자기(11)는, 센 서 유닛(14)으로부터의 출력을 무선 통신기(15)를 통해 본체(19)에 송신한다. 본체(19)에는 감시 컴퓨터(20)가 접속되어 있다. 감시 컴퓨터(20)는 압연 설비로부터 떨어진 감시실 등에 설치되고, 각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11)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크로스(7)의 손상 정도에 대해서 판별하며, 그 결과를 감시 컴퓨터(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구동축(1)이 회전하면 크로스(7)와 베어링컵(9)은 롤러(10)를 통해 서로 힘을 가하게 하고, 이 힘에 의해 발생되는 크로스(7)와 베어링컵(9)의 상대 변위가 센서 유닛(14)에 의해 검지되며, 무선 통신기(15)에 의해 본체(19)에 송신된다. 무선 통신기(15)는 베어링컵(9)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압연 설비용 구동축과 같이 2개의 구동축(1)이 밀착되어 있고 십자축 연결부(4)의 외부에 간극이 없는 경우에도 센서 유닛(14)으로부터의 출력을 용이하게 송신할 수 있다. 크로스(7)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면 센서 유닛(14)으로부터의 출력이 정상시와 상위(相違)하게 되고, 이 상위량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구동축(1)의 손상 진단을 할 수 있다. 크로스(7)의 각 축부(7a)는 통상적으로 손상의 진행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손상 진단은 각 축부(7a)마다 행해진다. 이렇게 하여 구동축(1)을 가동시킨 상태로 손상을 진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가동을 정지시키고서 행하는 분해 검사를 배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11)의 각 구성 요소의 세부사항에 대해서 설명한다.
케이스(13)는, 케이스 삽입 구멍(12)의 소직경부(12b)와 거의 동일한 외경의 소직경부(13a)와, 케이스 삽입 구멍(12)의 대직경부(12c)와 거의 동일한 외경의 대직경부(13b)와, 대직경부(13b)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바닥벽(13c)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3)가 케이스 삽입 구멍(12)에 삽입된 상태(도 3 참조)에서는, 대직경부(13b)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부가 케이스 삽입 구멍(12)의 제2 환형 단부(12e)에 접촉하고, 소직경부(13a)는 케이스 삽입 구멍(12)의 소직경부(12b)로부터 돌출되어 케이스 삽입 구멍(12)의 개구부(12a) 내에 위치하며, 대직경부(13b)는 케이스 삽입 구멍(12)의 대직경부(12c)로부터 돌출되어 크로스 축부 수납 공간(9b) 내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스(13)의 소직경부(13a)의 단부에는 내측 둘레에 암나사부(13c)가, 외측 둘레에 수나사부(13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3)는 케이스 삽입 구멍(12)에 직경 방향 안쪽으로부터 끼워 넣어지고, 소직경부(13a)의 수나사부(13d)에 나사 결합된 너트(21)가 케이스 삽입 구멍(12)의 제1 환형 단부(12d)에 접촉됨으로써 베어링컵(9)에 고정되어 있다. 너트(21)의 외측 단부에는 O링 배치용 환형 오목부(21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1a)에 O링(2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3)의 소직경부(13a) 중에서 대직경부 주변 부분에는 대직경부(13b)와의 사이에 O링 수납용 환형 공간을 형성하는 플랜지부(13e)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환형 공간에 케이스 삽입 구멍(12)에 밀접하는 O링(23)이 배치되어 있다.
센서 유닛(14)은 프리앰프 및 전원 회로를 구비하며 케이스(13) 바닥벽(13c) 상면에 배치된 센서 기판(14a)과, 크로스(7)의 축부(7a)의 외측 둘레를 향하도록 케이스(13)의 대직경부(13b)의 외측 둘레에 설치된 변위 센서(14b)와, 센서 기 판(14a)과 변위 센서(14b)를 연결하는 접속선(14c)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기(15)는,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바닥벽(16a)에 적재된 무선 기판(15a)과, 무선 기판(15a)에 세워져 설치된 안테나(15b)를 포함한다.
통신기 지지 부재(16)는 바닥벽(16a), 둘레벽(16b) 및 둘레벽(16b) 정상부에 설치된 플랜지부(16c)를 포함한다.
전지(17)는, 대략 U자형의 전지 홀더(17a)에 가로 배치 상태로 유지되어 센서 기판(14a) 위쪽에 적재되어 있다.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둘레벽(16b) 외측 둘레에는 케이스(13) 개구부 내측 둘레에 설치된 암나사부(13c)에 나사 결합된 수나사부(16d)가 설치되어 있다. 통신기 지지 부재(16)가 케이스(13)에 나사 결합되었을 때에는,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플랜지부(16c)가 너트(21)의 오목부(21a)에 배치된 O링(22)에 밀착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바닥벽(16a) 하면과 가로 배치 상태의 전지(17)의 둘레면 상부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없고, 전지(17)는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바닥벽(16a)에 의해 그 움직임이 억제되어 있다. 통신기 지지 부재(16)가 케이스(13)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통신기 지지 부재(16)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유닛의 각 구성 부재간에 접촉이 필요한 것들끼리 확실하게 접촉되어 있다.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수지제 시일 부재(18)는 둘레벽(16b)의 정상부에 수지 몰드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이 수지 몰드에 있어서, 무선 통신기(15)는 통신기 지지 부재(16) 내에 지지된 상태로 그 안테나(15b)의 정 상부가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둘레벽(16b)의 정상부 중앙에 위치하고, 안테나(15b)의 정상부와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둘레벽(16b) 사이에 수지가 충전 성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충격에 의해 수지제 시일 부재(18)가 외부에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안테나(15b)를 통한 본체(19)와의 송수신에 있어서는 안테나(15b)의 장해물이 되는 것(예컨대 전지 등)이 안테나(15b)의 정상부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전지(16)의 교환 및 무선 통신기(15)의 수리는 통신기 지지 부재(16)를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예컨대 라인 정기 점검시(주 2회 정도)에 이를 행하면 좋으며 보전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11)은, 손상 진단 유닛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동축에 대하여 케이스(13)의 형상을 베어링컵(9)의 케이스 삽입 구멍(12)에 맞쳐 형성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구동축의 손상 진단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11)은, 이 유닛을 베어링컵(9)에 내장해 두고 각각의 베어링컵(9)을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하여도 기존의 구동축의 손상 진단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31)은, 베어링컵(9)에 마련된 케이스 삽입 구멍(12)(도 3 참조)에 삽입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케이스(33)와, 케이스(33)에 지지되어 십자축 연결부(4)의 크로스(7)의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 유닛(34)과, 센서 유 닛(34)으로부터의 출력을 외부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기(35)와, 무선 통신기(35)를 지지하는 통신기 지지 부재(36)와, 센서 유닛(34) 및 무선 통신기(3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37)와, 케이스(33)의 개구를 폐쇄하는 수지제 시일 부재(38)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삽입 구멍(1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트 와셔(39)보다 아래쪽(직경 방향 안쪽)에 있는 제1 가이드링(40)과, 스러스트 와셔(39)보다 위쪽(직경 방향 바깥쪽)에 있는 제2 가이드링(41)이 끼워 넣어져 있다. 제2 가이드링(41)에는 복수의 암나사부(41a) 및 하나의 그리스 니플(41b)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33)는, 플랜지부(43)를 구비하면서 제2 가이드링(4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의 원통부(42)와, 원통부(42)와는 별개의 부재로 되어 있으며 원통부의 하단부에 끼워 넣어져 있는 바닥벽(44)으로 이루어진다. 플랜지부(43)는, 그 하면이 제2 가이드링(41)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다. 케이스(33)의 원통부(42) 및 바닥벽(44)의 외경은 동일하게 되어 있고, 케이스(33)는 위쪽(직경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제1 가이드링(40) 및 제2 가이드링(4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플랜지부(43)에는 케이스(33)를 제2 가이드링(41)에 결합하기 위한 케이스 부착 볼트(45)가 삽입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43a)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33)는, 케이스 부착 볼트(45)가 위쪽으로부터 플랜지부(43)를 관통하여 제2 가이드링(41)의 암나사부(41a)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베어링컵(9)에 고정된다. 케이스(33)의 외측 둘레에는 제2 가이드링(41)의 내측 둘레에 밀접하는 O링(46)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33)의 플랜지부(43)는 원통부(42)의 상단보다 약간 아래쪽에 설치되 어 있고, 원통부(42)의 상단부에는 베어링컵(9)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제거하기 쉽도록 손잡이(4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센서 유닛(34)은, 프리앰프 및 전원 회로를 구비하는 센서 기판(34a)과, 크로스(7)의 축부(7a)의 외측 둘레를 향하도록 케이스(33)의 바닥벽(44)의 외측 둘레에 설치된 수나사 타입의 변위 센서(34b)와, 센서 기판(34a)과 변위 센서(34b)를 연결하는 접속선(34c)으로 이루어진다. 바닥벽(44)은 변위 센서(34b)의 부착 부재의 역할을 한다.
무선 통신기(35)는 무선 기판(47)과, 이 무선 기판(47)에 세워져 설치된 안테나(48)로 이루어진다. 안테나(48)는 무선 기판(47)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승부(48a)와, 상승부(48a)에 연속되면서 무선 기판(47)과 평행한 루프형으로 형성된 정상부(48b)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48)는 구리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승부(48a) 및 정상부(48b)를 합친 전체 길이가 파장(λ)의 1/4로 되어 있다. 정상부(48b)는 케이스(33)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통신기 지지 부재(36)는, 도면의 위쪽으로부터 전지(37)에 접촉되는 천공된 원판부(49a), 천공된 원판부(49a)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전지(37)를 양측으로부터 덮는 동시에 전지(37)의 양단부가 노치부(49c)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원통부(49b), 원통부(49b)의 하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49d)를 포함하는 전지 누름부(49)와, 전지 누름부(49)의 천공된 원판부(49a)와 무선 기판(47)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스페이서(50)를 포함한다. 통신기 지지 부재(36)는 무선 기판(47)을 위쪽으로부터 관통하는 수나사(51)에 스페이서(50)가 끼워지고, 이 수나 사(51)를 전지 누름부(49)의 천공된 원판부(49a)에 설치된 암나사부에 돌려 넣음으로써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50)의 높이를 소정의 값으로 함으로써, 무선 기판(47)의 위치에 따라서 안테나(48)의 정상부(48a)의 위치를 소정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수지제 시일 부재(38)는 원통부(38a) 및 정상벽(38b)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33)의 원통부(42)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는 환형의 안쪽 돌출부(42b)가 형성되어 있고, 수지제 시일 부재(38)의 원통부(38a)의 외측 둘레는, 상기 안쪽 돌출부(42b)를 이용하여 위쪽으로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충격에 의해 수지제 시일 부재(38)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수지제 시일 부재(38)는, 안테나(48)를 케이스(33)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시키기 때문에, 수지제 시일 부재의 상면이 안테나(48)의 정상부(48b)보다 더 위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지제 시일 부재(38)의 정상벽(38b)의 하면에는 안테나(48)의 정상부(48b)가 수용되는 환형 홈(38c)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33)의 상면으로부터 수지제 시일 부재(38)가 돌출되는 양은 상하의 구동축(1)과 간섭하지 않는 크기(수 mm 정도)로 되어 있다.
케이스(33)의 바닥벽(44)에는 아래쪽으로부터 계단형 볼트 삽입용 관통 구멍(44a)이 마련되어 있고, 케이스(33)의 바닥벽(44) 상면에 통신기 지지 부재(36)의 전지 누름부(49)의 플랜지부(49d)가 위치하고 있다. 통신기 지지 부재(36)의 전지 누름부(49)의 플랜지부(49d)의 상면에는 또한 케이스(33)의 원통부(42)의 하단부에 설치된 내향 플랜지부(42c)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33)의 바닥 벽(44)의 볼트 삽입용 관통 구멍(44a)에 대응하도록, 케이스(33)의 내향 플랜지부(42c)에는 암나사부가, 통신기 지지 부재(36)의 전지 누름부(49)의 플랜지부(49d)에는 관통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케이스(33)의 바닥벽(44)의 아래쪽으로부터 돌려 넣은 케이스 조립 볼트(52)에 의해 케이스(33)의 원통부(42), 통신기 지지 부재(36) 및 케이스(33)의 바닥벽(44)이 일체화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구동축 손상 유닛(31)은 수지제 시일 부재(38)가 설치된 케이스(33)와, 안테나(48)가 부착된 무선 기판(47) 및 전지(37)가 지지된 통신기 지지 부재(36)와, 변위 센서(34b)가 부착된 케이스 바닥벽(44)의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이들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케이스 바닥벽(44)의 아래쪽으로부터 삽입 관통된 케이스 조립 볼트(52)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무선 기판(47)이나 전지(37)의 교환이 요구되었을 때, 용이하게 그 교환을 행할 수 있고 보전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48)를 통한 본체(19)와의 송수신에 있어서는, 안테나(48)의 장해물이 되는 것(예컨대 전지 등)이 안테나(48)의 정상부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된 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케이스(3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안테나(48)의 면적이 대폭 증가하므로, 통신 감도가 향상되고, 충분한 통신 품질이 확보된다.
상기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31)은 손상 진단 유닛을 구비하지 않은 구동축에 대하여, 케이스(33)를 케이스 삽입 구멍(12)에 삽입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의 구동축의 손상 진단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안테나(48) 및 수지제 시일 부재(38)의 구성은, 제1 실 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기(15)를 도 8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무선 통신기(15)는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바닥벽(16a)에 적재된 무선 기판(61)과, 무선 기판(61)에 세워져 설치된 안테나(62)로 이루어진다.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개구는 수지제 시일 부재(63)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통신기 지지 부재(16)는 바닥벽(16a), 둘레벽(16b) 및 둘레벽(16b) 정상부에 설치된 플랜지부(16c)로 이루어지고,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둘레벽(16b) 외측 둘레에는 케이스(13) 개구부의 내측 둘레에 설치된 암나사부(13c)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6d)가 설치되어 있다.
안테나(62)는 무선 기판(61)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승부(62a)와, 상승부(62a)에 연속하면서 무선 기판(61)과 평행하게 루프형으로 형성된 정상부(62b)를 가지고 있다. 안테나(62)는 구리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승부(62a) 및 정상부(62b)를 합친 전체 길이가 파장(λ)의 1/4로 되어 있다. 정상부(62b)는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지제 시일 부재(63)는 원통부(63a) 및 정상벽(63b)으로 이루어진다.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둘레벽(16b)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는 환형의 안쪽 돌출부(16e)가 형성되어 있고, 수지제 시일 부재(63)의 원통부(63a)의 외측 둘레는, 이 안쪽 돌출부(16e)를 이용하여 위쪽으로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지제 시일 부재(63)는 안테나(62)를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시키기 때문에, 수지제 시일 부재의 상면이 안테나(62)의 정상부(62b)보다 더 위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지제 시일 부재(63)의 정상벽(63b)의 하면에는 안테나(62)의 정상부(62b)가 수용되는 환형 홈(63c)이 형성되어 있다. 통신기 지지 부재(16)의 상면으로부터 수지제 시일 부재(63)가 돌출되는 양은 상하의 구동축(1)과 간섭하지 않는 크기(수 mm 정도)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압연 설비 등의 구동축의 손상을 진단하기 위한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을 제공한다. 종래에는 구동축의 손상을 진단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분해 검사를 실시했었지만, 본 발명의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을 사용하면 분해 검사에 요구되는 수고 및 시간을 없앨 수 있다.

Claims (9)

  1. 십자축 연결부의 크로스에 결합되는 베어링컵에 설치되는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으로서, 베어링컵에 마련된 케이스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바닥부 근방에 설치되어 십자축 연결부의 크로스의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와, 케이스 내에 배치된 무선 통신기 및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기는 무선 기판 및 이 무선 기판에 세워져 설치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 및 상기 무선 통신기가 이 순서로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기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통신기 지지 부재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통신기 지지 부재의 개구가 수지제 시일 부재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것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내측 둘레에는 암나사부가 마련되고, 통신기 지지 부재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기는 전지 누름부 및 전지 누름부와 무선 기판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통신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케이 스의 개구는 수지제 시일 부재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것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원통부 및 이 원통부와 별체인 바닥벽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벽은 아래쪽으로부터 삽입된 복수의 케이스 조립 볼트에 의해 통신기 지지 부재의 전지 누름부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케이스의 플랜지부에 복수의 볼트 삽입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정상부는 루프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의 정상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수지제 시일 부재는 안테나의 정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시일 부재에 안테나의 정상부가 수용되는 환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8. 제3항의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이 설치된 베어링컵으로서,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케이스 및 베어링컵의 케이스 삽입 구멍이 모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케이스의 개구 단부가 케이스 삽입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그 돌출부의 외측 둘레에 수나사부가 마련되고 이 수나사부에 너트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것인 베어링컵.
  9. 제5항의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이 설치된 베어링컵으로서,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의 케이스가 베어링컵의 케이스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케이스의 플랜지부가 복수의 케이스 부착 볼트에 의해 베어링컵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것인 베어링컵.
KR1020077017988A 2005-11-04 2006-10-25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KR200800649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0857 2005-11-04
JP2005320857 2005-1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935A true KR20080064935A (ko) 2008-07-10

Family

ID=3800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988A KR20080064935A (ko) 2005-11-04 2006-10-25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41306B2 (ko)
KR (1) KR20080064935A (ko)
CN (1) CN101103261B (ko)
WO (1) WO2007052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3620A (ja) * 2008-03-17 2009-10-01 Denso Corp 力学量センサの組み付け構造
EP2487452B1 (fr) * 2011-02-08 2014-01-08 Tesa Sa Instrument de mesure de dimensions avec interface et interface correspondante
EP2843359B1 (de) * 2013-08-26 2016-05-04 Grundfos Holding A/S Kupplung mit einem antriebseitigen Kupplungsteil und mit einem abtriebseitigen Kupplungsteil
CN109639060A (zh) * 2018-12-18 2019-04-16 南京磁谷科技有限公司 一种磁悬浮径向传感器的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9090U (zh) * 1991-03-20 1991-11-20 地方国营乐清县重型机械配件厂 十字轴式万向联轴器
JP2624198B2 (ja) * 1994-10-31 1997-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内蔵型携帯用無線機
JP2005047466A (ja) * 2003-07-31 2005-02-24 Pacific Ind Co Ltd タイヤ状態監視装置用送信機のケーシング構造
JP4396311B2 (ja) * 2004-02-20 2010-01-1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駆動軸用データ送信ユニット、ベアリングカップグリース注入孔用蓋、及び駆動軸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03261A (zh) 2008-01-09
JPWO2007052504A1 (ja) 2009-04-30
CN101103261B (zh) 2010-09-08
JP4941306B2 (ja) 2012-05-30
WO2007052504A1 (ja)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83352A (ja) センサ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
US10408709B2 (en) Device for determining wheel fastening state using server
EP2746610B1 (en) State detection device for bearing roller, roller bearing device with sensor, and wind turbine generator
JP6699140B2 (ja) 異常診断システム
US5602539A (en) Bearing with an electric-acoustic transduc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garding various parameters within the bearing
KR20080064935A (ko) 구동축 손상 진단 유닛
JP2005345277A (ja)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US20160039434A1 (en) Hub unit
US11915530B2 (en) Wheel end monitoring apparatus, fastener, and method
CN108458053A (zh) 用于状况监测的被仪表化的轴
JP2010174969A (ja) 異常検知装置
JP4742821B2 (ja) 駆動軸損傷診断装置
JP2010112387A (ja) センサ付き転がり軸受ユニット
CN210800012U (zh) 一种具有行星轮轴承测温装置的齿轮箱
JP2006200613A (ja) 駆動軸損傷診断ユニット
CN110701292A (zh) 一种具有行星轮轴承测温装置的齿轮箱
JP4329698B2 (ja) 駆動軸損傷診断ユニット
US11900737B2 (en) Failure diagnosis device for wheel bearing
JP2017003555A (ja) センサユニット、センサ付き軸受及び異常診断システム
JP5303296B2 (ja) 回転軸のトルク測定装置
WO2016199846A1 (ja) センサユニット、センサ付き軸受及び異常診断システム
JP4475137B2 (ja) 駆動軸損傷診断ユニットおよび駆動軸監視システム
JP4396311B2 (ja) 駆動軸用データ送信ユニット、ベアリングカップグリース注入孔用蓋、及び駆動軸監視システム
JP4556892B2 (ja) 十字軸継手
JP4517754B2 (ja) 駆動軸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