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635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635A
KR20080063635A KR1020070000275A KR20070000275A KR20080063635A KR 20080063635 A KR20080063635 A KR 20080063635A KR 1020070000275 A KR1020070000275 A KR 1020070000275A KR 20070000275 A KR20070000275 A KR 20070000275A KR 20080063635 A KR20080063635 A KR 2008006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ecording medium
unit
voltage
resist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이세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3635A/ko
Priority to JP2007211856A priority patent/JP2008165176A/ja
Priority to US11/954,645 priority patent/US7873292B2/en
Priority to EP07123838A priority patent/EP1942382B1/en
Priority to CN200810004079XA priority patent/CN101216691B/zh
Publication of KR2008006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7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bias applied in the transfer ni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09Transfer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11Detector details, e.g. optical detector
    • G03G2215/00632Electric detector, e.g. of voltage or curr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63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resistiv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38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착부와; 감광체 및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전사 및 흡착을 위해 상기 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흡착부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1전사부의 하류에 배치된 제2전사부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프린팅을 위한 시스템 인식 시간을 단축시키고, 기록매체의 전사에 필요한 전원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THEREOF }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전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시스템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교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시스템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착부 20 : 전사부
30 : 전원공급부 40 : 이송부
50 : 제어부 50a : 전압/전류감지부
50b : 전사전압/전류 결정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사전압 또는 전사전류를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에 의해 작성된 내용을 기록매체에 출력하기 위한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한 후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화상을 형성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전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전사부(2) 중 흡착부(1)에 가장 가까이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a)를 기준전사부로 하여, 기록매체를 인쇄하기 전의 프리 프린팅 (Pre-Printing) 과정에서 최적의 전사전압 또는 전사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전사부(2a)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사부(2a)의 저항값을 인식한다. 여기서, 전사부(2a)의 저항값은 감광체와, 해당 전사부(2a)를 통과하는 이송벨트와, 이송벨트를 중심으로 감광체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대전된 감광체에 현상된 토너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롤러 등에 의해 인식된다.
그리하여, 전사부(2a)의 저항값이 인식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흡착부(1)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흡착부(1)의 저항값을 인식한다. 여기서, 흡착부(1)의 저항값은 기록매체를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착롤러 (ATTR, Attraction Roller)와, 기록매체가 이송벨트에 의해 전사부(2)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동롤러 등에 의해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기록매체가 흡착부(1)에 진입하는 경우, 흡착부(1)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흡착부(1)의 저항값을 인식함으로써, 기록매체에 준하는 저항값을 인식한다. 이렇게 인식된 저항값에 의해 전사에 필요한 최적의 전사전압을 결정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흡착부(1)에 가장 근접한 전사부(2a)의 저항값을 인식하기 때문에 흡착부(1)의 저항값을 인식하기 위해 흡착부(1)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흡착부(1)로부터 누설된 전류의 영향에 따른 교호작용으로 인해 전사부(2a)의 정확한 저항값을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가 기록매체를 전사하는 데 필요한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t1~t2 시각에 전사부(2a)의 저항값을 인식하고, 전사부(2a)의 저항값의 인식이 완료되면, t2~t3 시각에 흡착부(1)의 저항값을 인식한다. 그리고, 기록매체가 흡착부(1)에 진입하기 전의 t4~t5 시각이 경과한 후, t5~t6 시각에 흡착부(1)에 진입하는 기록매체의 저항값을 인식한다. 이렇게 인식된 저항값을 통해 t6 시간 이후에 기록매체에 전사를 수행한다.
여기서, 흡착부(1)로부터 누설된 전류의 영향에 따른 교호작용으로 인해 전사부(2a)의 저항값과 흡착부(1)의 저항값을 동시에 인식할 수 없고 각각 t1~t2 시각 및 t2~t3 시각에 별도로 인식해야 하므로 기록매체의 인쇄를 위한 프리 프린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리 프린팅 과정에서 흡착부로부터 누설된 전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사부의 저항값을 인식함으로써, 프리 프린팅 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정확한 전사전압 또는 전사전류를 결정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착부와; 감광체 및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전사 및 흡착을 위해 상기 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흡착부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1전사부의 하류에 배치된 제2전사부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제2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전압/전류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전류에 의해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을 인식하여 전사전압을 결정하는 전사전압/전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압/전류 감지부는, 상기 흡착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는 경우와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각각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각각의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에 준하는 저항값을 인식하여 상기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과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을 각각 인식하는 시각이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과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을 동시에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류에 배치된 전사부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감광체 및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전사를 위해 상기 전사부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상류에 위치하는 제1전사부의 하류에 배치된 제2전사부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 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제2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전압/전류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전류에 의해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을 인식하여 전사전압을 결정하는 전사전압/전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류에 위치하는 전사부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착부와; 감광체와,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흡착부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1전사부의 하류에 배치된 제2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따라 상기 제2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의 전사에 필요한 전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전원을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흡착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는 경우와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각각 감지하고, 상기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각각의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에 준하는 저항값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과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을 각각 인식하는 시각이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과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을 동시에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2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류에 배치된 전사부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감광체와,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상류에 위치하는 제1전사부의 하류에 배치된 제2전사부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따라 상기 제2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의 전사에 필요한 전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전원을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2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류에 위치하는 전사부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흡착부(10)와, 전사부(20)와, 전원공급부(30)와, 이송부(40)와, 제어부(50)를 포함하며, CMYK 각각에 대응하는 전사부를 가지는 프린팅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부(10)는 흡착롤러(12) 및 구동롤러(14)를 구비하여 기록매체가 이송벨트(42)에 의해 전사부(20)로 이송되도록 기록매체를 이송벨트(42)에 흡착시킨다.
전사부(20)는 감광체(22)와, 이송벨트(42)를 중심으로 감광체(22)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대전된 감광체(22)에 현상된 토너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롤러(24)를 구비하여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며, 이송벨트(42)에 의해 흡착부(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전사부(20)는 복수의 전사부(20) 중 흡착부(10)로부터 최근방에 배치된 제1전사부(20a) 및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1전사부(20a)의 하류에 배치된 제2전사부(20b, 20c, 20d)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부(20)는 CMYK (Cyan, Magenta, Yellow, Black)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마련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30)는 기록매체의 흡착 및 전사를 위해 흡착부(10) 및 전사부(20)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흡착전원 및 전사전원을 각각 공급한다.
이송부(40)는 이송벨트(42)를 포함하여 기록매체를 흡착부(10)로부터 전사부(20)로 이송한다.
제어부(50)는 복수의 전사부(20) 중 제2전사부(20b, 20c, 20d)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복수의 전사부(20a, 20b, 20c, 20d)에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50)는 제2전사부(20b, 20c, 20d) 중 어느 하나의 저항값을 인식하여, 인식된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사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류에 배치된 전사부(20d)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는 전원공급부(30)로부터의 전원공급에 따라 전사부(20)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전압/전류 감지부(50a)와, 전압/전류 감지부(50a)에 의해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제2전사부(20b, 20c, 20d)의 저항값을 인식하여 전사전압 또는 전사전류를 결정하는 전사전압/전류 결정부(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전류감지부(50a)는 전사부(20)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전원공급부(30) 측으로 피드백하기 위한 회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사전압/전류 결정부(50b)는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인식된 저항값을 통해 전사전압 또는 전사전류의 크기를 결정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흡착부(1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와 인가되지 않는 경우, 각각의 전사부(2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1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흡착부(10)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0a)가 흡착부(1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누설전류의 값이 4.4μA (= 8.6μA - 4.2μA)로 가장 크고, 흡착부(10)와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0d)가 흡착부(1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누설전류의 값이 0.2μA (= 9.1μA - 8.9μA)로 가장 작다.
그리고, 도 5b는 흡착부(10) 및 전사부(2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각각의 전사부(2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전사부(2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부(2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클수록 전류의 크기도 커지며, 흡착부(10)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0a)가 흡착부(1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누설전류의 값이 각각 3.9μA (90V 인가시)와, 4.4μA (900V 인가시)로 가장 크고, 흡착부(10)와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0d)가 흡착부(1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누설전류의 값이 각각 0.4μA (90V 인가시)와, -0.2μA (900V 인가시)로 가장 작다.
그리고, 도 5c는 흡착부(10) 및 전사부(2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각각의 전사부(2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10)와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0d)가 기록매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흡착부(1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누설전류의 값 이 가장 작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사부(20)의 저항값을 인식하기 위한 프리 프린팅 과정에서 흡착부(10)와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0d)를 기준전사부로 하여 저항값을 인식하는 경우, 교호작용으로 인한 누설전류값이 모든 경우에 1.0μA 이하로서 가장 작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가 기록매체를 전사하는 데 필요한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흡착부(10)와 전사부(20)간의 교호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t1~t2 시각에 전사부(2a)의 저항값을 인식하면서 흡착부(1)의 저항값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50)는 기록매체가 이송벨트에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제2전사부(20b, 20c, 20d)의 저항값과 흡착부(10)의 저항값을 각각 인식하는 시각이 중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전사부(20b, 20c, 20d)의 저항값과 흡착부(10)의 저항값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기록매체가 흡착부(1)에 진입하기 전의 t3~t4 시각이 경과한 후, t4~t5 시각에 흡착부(1)에 진입하는 기록매체의 저항값을 인식한다. 이렇게 인식된 저항값을 통해 t5 시간 이후에 기록매체에 전사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원공급부(30)에 의해 인가되는 전사전원 및 흡착전원에 따른 전사부(20)의 저항값 및 흡착부(10)의 저항값을 t1~t2 시각동안 인식할 수 있으므로 프리 프린팅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물론, 제어부(50)는 흡착부(10)와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0d) 뿐만 아니라 흡착부(10)로부터의 누설전압 또는 누설전류값이 교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정값 이하인 경우라면, 제2전사부(20b, 20c)를 기준전사부로 하여 저항값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는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1전사부(20a)의 하류에 배치된 전사부(20b, 20c, 20d)를 기준전사부로 하여 저항값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50)는 흡착부(10) 및 제2전사부(20b, 20c, 20d)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한다(S10). 여기서, 제어부(50)는 제2전사부(20b, 20c, 20d) 중 어느 하나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류에 배치된 전사부(20d)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단계 S10에서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따라 흡착부(10) 및 제2전사부(20b, 20c, 20d)의 저항값을 인식한다(S20). 제어부(50)는 단계 S20에서 인식된 제2전사부(20b, 20c, 20d)의 저항값에 따라 기록매체의 전사에 필요한 전원을 결정한다(S30).
그리고, 제어부(50)는 단계 S30에서 결정된 전원을 복수의 전사부(20a, 20b, 20c, 20d)에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30)를 제어한다(S40).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부 및 전사부 간의 교호작용에 관계없이 기록매체의 전사를 위해 필요한 전원을 정확히 결정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흡착부 및 전사부의 저항값을 인식하기 위한 프리 프린팅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6)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착부와;
    감광체 및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전사 및 흡착을 위해 상기 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흡착부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1전사부의 하류에 배치된 제2전사부의 저항값 에 대응하는 전원을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제2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전압/전류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전류에 의해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을 인식하여 전사전압을 결정하는 전사전압/전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흡착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는 경우와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각각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각각의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에 준하는 저항값을 인식하여 상기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과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을 각각 인식하는 시각이 중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과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을 동시에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류에 위치하는 전사부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감광체 및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전사를 위해 상기 전사부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상류에 위치하는 제1전사부의 하류에 배치된 제2전사부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제2전사부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전압/전류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전류에 의해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을 인식하여 전사전압을 결정하는 전사전압/전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류에 위치하는 전사부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착부와; 감광체와,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흡착부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1전사부의 하류에 배치된 제2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따라 상기 제2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의 전사에 필요한 전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전원을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흡착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는 경우와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각각 감지하고,
    상기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각각의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에 준하는 저항값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과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을 각각 인식하는 시각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을 동시에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2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류에 위치하는 전사부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15.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감광체와,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상류에 위치하는 제1전사부의 하류에 배치된 제2전사부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따라 상기 제2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상기 제2전사부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의 전사에 필요한 전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전원을 상기 복수의 전사부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2전사부 중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류에 위치하는 전사부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KR1020070000275A 2007-01-02 2007-01-0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KR20080063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275A KR20080063635A (ko) 2007-01-02 2007-01-0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JP2007211856A JP2008165176A (ja) 2007-01-02 2007-08-15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転写方法
US11/954,645 US7873292B2 (en) 2007-01-02 2007-12-12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thereof
EP07123838A EP1942382B1 (en) 2007-01-02 2007-12-20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thereof
CN200810004079XA CN101216691B (zh) 2007-01-02 2008-01-02 成像装置及其转印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275A KR20080063635A (ko) 2007-01-02 2007-01-0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635A true KR20080063635A (ko) 2008-07-07

Family

ID=3926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275A KR20080063635A (ko) 2007-01-02 2007-01-0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73292B2 (ko)
EP (1) EP1942382B1 (ko)
JP (1) JP2008165176A (ko)
KR (1) KR20080063635A (ko)
CN (1) CN1012166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0708A (ja) * 2011-12-21 2013-07-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EP2693363B1 (de) * 2012-07-31 2015-07-22 Sick Ag Kamerasystem und Verfahren zur Erfassung eines Stromes von Objekte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7536A (en) 1990-11-30 1993-02-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5469248A (en) 1993-02-01 1995-11-2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applying a common transfer bias voltage to first and second transfer rollers
JPH10228186A (ja) 1997-02-17 1998-08-25 Mita Ind Co Ltd 転写装置
JP3826573B2 (ja) * 1997-09-17 2006-09-2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9990038550A (ko) 1997-11-06 1999-06-05 윤종용 전사 전압 제어 회로 및 방법
JP3462739B2 (ja) 1997-12-24 2003-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772505B2 (ja) 1998-01-19 2006-05-1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092315A (ja) * 1999-09-22 2001-04-06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766123B2 (en) * 2000-11-10 2004-07-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tected-current transfer material charging voltage control feature
JP2003316109A (ja) 2002-04-22 2003-11-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258432A (ja) * 2003-02-27 2004-09-16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124359B2 (ja) 2003-12-26 2008-07-23 三星電子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145920A (ja) * 2004-11-19 2006-06-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2382B1 (en) 2012-03-14
JP2008165176A (ja) 2008-07-17
CN101216691A (zh) 2008-07-09
EP1942382A2 (en) 2008-07-09
US20080159764A1 (en) 2008-07-03
CN101216691B (zh) 2012-02-08
EP1942382A3 (en) 2008-09-10
US7873292B2 (en)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6104B2 (ja) 画像形成装置
CN104350430B (zh) 图像形成设备
US77785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pplication voltage to adhering member
JP512655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9835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36859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088344A1 (en) Image forming device
US2010012910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63635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US10162296B2 (en) Transport monitoring contro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43293B2 (en) Image forming device for printing in a selected region,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KR10110182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US201201283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220991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5500413B2 (ja) 画像形成装置
JP5448967B2 (ja) 画像形成装置
JP6759627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321889A1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ation apparatus
JP2006235469A (ja) 画像形成装置
KR10124468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구동제어 방법
JP201317480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4853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13108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49252A (ja) 画像形成装置
JP3682061B2 (ja) 電子写真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