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432A -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 치료 및예방용 약제와 건강식품 - Google Patents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 치료 및예방용 약제와 건강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432A
KR20080062432A KR1020060138233A KR20060138233A KR20080062432A KR 20080062432 A KR20080062432 A KR 20080062432A KR 1020060138233 A KR1020060138233 A KR 1020060138233A KR 20060138233 A KR20060138233 A KR 20060138233A KR 20080062432 A KR20080062432 A KR 20080062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neurokinin
treatment
pogongyoung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주
한창균
전효진
구경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2432A/ko
Publication of KR20080062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와 건강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공영 추출물이 뉴로키닌(Neurokinin) 수용체에 길항 작용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통증, 관절염, 우울증, 당뇨병, 구토, 과민성방광, 과민성대장증후군, 천식 및 염증성질환 등의 뉴로키닌 매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제와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포공영 추출물, 뉴로키닌 매개 질환, 약제, 건강식품

Description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약제와 건강식품{Pharmaceutical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neurokinin mediated disease and healthy food comprising extracts of Taraxaci Herb}
도 1은 U-373MG 글리오마 세포주(glioma cell line)를 이용하여 포공영 추출물의 뉴로키닌 길항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U-373MG 글리오마 세포주(glioma cell line)를 이용하여 포공영 분획물의 뉴로키닌 길항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와 건강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공영 추출물이 뉴로키닌(Neurokinin) 수용체에 길항 작용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통증, 관절염, 우울증, 당뇨병, 구토, 과민성방광, 과민성대장증후군, 천식 및 염증성질환 등의 뉴로키닌 매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제와 건강식 품에 관한 것이다.
뉴로키닌 수용체(Neurokinin receptor, NK)는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에 작용하는 신경펩타이드(neuropeptide) 중에 타키키닌(tachykinins) 류(family)에 속하는 세포내 리간드(ligand) SP(substance P)가 결합하는 주요 수용체이다. SP는 1931년에 말의 뇌와 창자에서 처음 발견된 11개의 아미노산 (HOOC-Arg-Pro-Lys-Prp-Gln-Gln-Phe-Phe-Gly-Leu-Met-NH2)으로 이루어진 신경전달물질로서 NK-1, NK-2, NK-3, 3가지 수용체에 대해 결합력을 나타내지만 주로 NK-1 수용체(affinity 0.05 ∼ 0.5 nM)에 결합하여 생리학적 기능을 수행한다[Int J Biochem Cell Biol 2001;33 : 555-576].
현재, NK-1 수용체는 뇌의 편도, 해마, 시상하부, 선조체, 척수와 같은 중추신경계나 피부, 염증세포, 소화계, 호흡계, 심혈계 등의 말초 신경계에 골고루 분포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리간드 SP가 결합하므로서 활성화되는 G-coupled 수용체로서 신경조절자(neuromodulator) 또는 신경전달자(neurotransmitter)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중요한 생리학적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t J Biochem Cell Biol 2001: 33 : 555-576; Glia 2002: 37: 258-267].
중추신경계에서 SP에 의한 NK-1 수용체 활성화는 우울증, 통증, 구토, 불안과 같은 증세를 유발하며[Science 1998: 281: 1640-1645], 말초신경계에서의 NK-1 수용체 활성화는 상피세포의 침투력 변화, 혈관 수축, 가래 분비 증가, 기도 수축, 염증전 매개인자(proinflmmatory mediator)로서 편두통, 관절염, 천식, 내장 과민성, 통각 과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reat Respir Med 2004: 3 : 201- 216; Ann Rheum Dis 1992: 51 : 1014-1018; J Cell Physiol 2004: 201: 167-180].
따라서, NK-1 수용체 길항 활성을 갖는 물질이 염증성 간질환, 천식, 관절염, 당뇨병, 우울증, 구토, 과민성방광, 과민성대장증후군 등의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이용 가능하다[Expert Opinion on Emerging Drugs 2004: 9 : 9-21].
그 한 예로, 최근에 미국 식약청에서 승인한 비-펩타이드(non-peptide) NK-1 길항제인 아프레피탄트(aprepitant, MK 869)는 머크사가 개발한 항우울제로, 항암요법의 가장 큰 부작용의 하나인 오심과 구토를 억제하는데도 탁월한 효과를 보여 항암약물과 함께 병행 투여되고 있다[Expert Rev Anticancer Ther 2004: 4: 715-724].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다양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스크리닝한 결과,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의 전초인 포공영(Taraxaci Herb)의 추출물이 뉴로키닌 수용체에 대하여 탁월한 길항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염증성 질환, 천식, 관절염, 당뇨병, 우울증, 구토, 과민성방광 및 과민성대장증후군 등 뉴로키닌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공영(Taraxaci Herb)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뉴로키닌(Neurokinin) 수용체에 길항 작용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뉴로키닌 매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공영 추출물은 국화과 식물의 전초로서 그 주요 성분으로는 타락시산(Taraxacin), 타락사롤(Taraxarol), 타락사코사이드(Taraxacoside), 여러 지방산,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베타-아미린(β-Amyrin)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포공영을 탕제로 사용할 경우 동의보감, 중약대사전 등에 나타낸 한의학적 약리작용으로는 청열해독, 이담, 이뇨, 급성유방염, 결막염, 기관지염 등의 염증치료, 항진균 효과, 건위작용,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포공영은 현대의학에서 수용성 추출물을 분리, 정제하여 이뇨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인체에 독성이 없어 전초를 동결건조 후 분말화시켜 건강식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에 작용하는 뉴로키닌 수용체의 길항작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은 포공영 생약 중량의 3 ∼ 10 배의 물,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생약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얻 어진다. 이때 상기 알콜로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저급 알콜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포공영 원생약에 물,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을 가하고 0 ∼ 100 ℃, 바람직하기로는 50 ∼ 80 ℃에서 1 시간 ∼ 1 주일 동안, 2 ∼ 5 회 반복하여 추출한다. 이후에 서서히 냉각시킨 후 원심분리 등의 방법으로 여과하여 잔사와 분리한다. 상기 잔사에 상기 혼합 생약 중량의 5 ∼ 8 배량의 물,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을 가하고 가온하여 재추출한 후 여과한 다음, 이전의 여액과 혼합하여 여과한다. 상기와 같이 잔사에 물 또는 알콜 수용액을 가하여 재추출 및 여과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추출에 사용되는 물,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추출물의 용해도가 나빠져서 추출효율이 떨어지고,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층분리에 사용하는 알콜 수용액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감압 농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경제적이지 못하거나 취급상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알콜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족, 방향족 알콜이 모두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지방족 알콜,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탄소수 1 ∼ 6의 저급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1차 추출 후 다시 재추출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는데, 생약추출물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여과를 한다 하더라도 생약 자체의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1차 추출만으로는 추출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 단계별 추출효율을 검증한 결과 2차 추출에 의해 전체 추출량의 80 ∼ 90% 정도가 추출되는 것으로 밝혀졌고, 3차 이상의 다단계 추출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와 같이 1, 2차에 걸쳐 물,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은 여과 및 농축한 다음, 여액 중에 함유된 불필요한 불순물을 정제하는데, 포공영 추출물의 길항효과가 더욱 우수하도록 추출물을 정제한다.
이러한 추출물의 정제 단계는 추출물을 물에 녹이거나 현탁시키는 단계, 상기 추출물 수용액 또는 수현탁액을 물과 혼합되지 않는 극성 유기용매 또는 비극성 유기용매와 접촉시켜서 상기 추출물의 성분들을 분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극성 유기용매의 용액 또는 상기 수용액을 회수하고, 이로부터 상기 극성 유기용매 또는 물을 제거하여 부분적으로 정제된 포공영 분획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극성 유기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1-부탄올, 1-펜탄올, 1-헥산올, 시클로헥산올, 1-도데칸올, 디에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에틸 벤조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로는 n-헥산, 시클로헥산, n-펜탄, n-옥탄, 석유에테르, 톨루엔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부탄올을 사용하는 바, 유기용매의 사용량이 여액에 비하여 적을 경우에는 지방산 등의 불필요한 성분들에 의한 미립자가 형성되어 층 분리가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효활성성분의 추출 함량이 낮아지게 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얻어진 모든 추출물 및 분획물은 진공 오븐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 건조하여 사용할 때까지 -20 ℃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의약물의 제조시에는 생약 추출물 그 자체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 부형제(forming agent), 희석제(diluent)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캡슐 또는 주사제 등의 고상 및 액상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정제, 환제, 과립제, 분말, 새세이, 엘렉실제, 현탁제, 유제, 액제,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분말 등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경구투여용 제제로 제형화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 부형제(forming agent), 희석제(diluent)는 구체적으로 알루미늄염, 페녹시에틸에탄올, 물, 생리식염수, 락토즈, 덱스트로즈, 솔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유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은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온 것으로 그 투여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고,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공영 추출물은 체중 1 ㎏당 3 ∼ 30 ㎎ 정도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은 유효량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 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은 모두 식품공전에 등재되어 있는 생약재(천연물)로서 그 안전성은 이미 입증된 상태로서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을 과량 (1 ∼ 5 g/kg)으로 투여하여 살펴 본 결과, 치사 및 행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해부하여 내부 장기를 살펴본 결과 변화가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 예방 및 치료 보조용 건강식품을 포함한다.
건강식품이란, 상기 갈화 추출물을 일반 식품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포공영 추출물 제조
건조한 포공영 400 g을 세절한 후 생약 중량 대비(v/w) 3 ∼ 7배수의 50% 에탄올 수용액에 넣고 2 ∼ 4회 용매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며 다시 일정량의 증류수를 넣어 공비 농축을 하여 추출액 내의 에탄올을 완전 제거하였다. 이를 진공 건조한 후 분쇄하여 포공영 추출물 91 g을 얻었다.
실시예 2 : 포공영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생약 중량 대비 (v/w) 3 ∼ 7배수의 정제수로 현탁한 후, 동량의 헥산(n-Hexane)과 혼합하여 분리장치(separation funnel)에 넣고, 교반 후,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상층의 헥산층 만을 분리하였다. 헥산으로 2 ∼ 3회 더 재 분획하고, 증류기를 이용하여 헥산 분획물을 농축한 후, 진공오븐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건조시켰다. 남은 물 층에 수포화 부탄올을 넣고 교반 후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상층의 부탄올층 만을 분리하였다. 부탄올로 2 ∼ 3회 더 재분획하고, 증류기를 이용하여 부탄올 분획물과 남은 물층을 농축한 후, 진공 오븐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건조시켰다.
각 분획은 뉴로키닌 길항 활성 실험을 위해서 데시케이터에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Glioma cell line의 배양 및 뉴로키닌 길항제 검색시스템 구축
뉴로키닌 수용체, 특히 type-1을 과발현하고 있는 U-373 MG 글리오마(glioma) 세포주를 한국세포주 은행으로부터 구입하여 배양액은 RPMI 1640 90 중량%,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10 중량%, 페닐실린(penicillin) 100 IU/ml과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 ㎍/ml, L-글루타민(L-glutamine) 2 mM, 소듐 파이루베이트(sodium pyruvate) 1.0 mM로 구성된 배양액을 사용하여 5% CO2 인큐베이 터(incubator)에서 배양하고 0.25 중량% 트립신 용액(trypsin solution)을 이용하여 6 ∼ 8일마다 계대 배양하였다.
신경교종 세포(Glioma cell)를 세포수를 다양하게 희석하여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seeding 하고 24시간 후에 프로브(probe)가 결합된 SP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반응시간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SP가 수용체에 결합된 정도를 세포수별, 농도별 차이를 측정하고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뉴로키닌 수용체 길항제의 대조물질은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길항작용을 하는 L-733060(estimated affinity = 0.8 nM) 50 nM의 용량을 이용하였다.
실험예 2 : 시료의 투여 및 뉴로키닌 길항활성의 측정
포공영 추출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최종농도 0.1 중량% 이내)에 용해시킨 후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밀리포어 멤브레인(millipore membrane) (0.22 ??m, Millex-GV, U.S.A.)을 통과시켜 무균상태로 만든 후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대조군(Control) 세포에는 0.1 중량% DMSO 처리 후 SP 대신 증류수를 동량으로 처리하였다. SP만 처리하는 군에는 0.1 중량% DMSO 전처리 후 SP 50 nM되게 처리하였다. 시료처리는 SP 처리 1시간 전 처리하였다.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반응 후 무혈청 배지(serum free media)로 세척하고 5 중량% Triton X-100에 세포를 녹여 검정 불투명(black opaque)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를 이용하여 형광도(Ex 485/Em 528)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결과 도 1에서와 같이 포공영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뉴로키닌 길항 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를 분획화하였을 때 도 2에서와 같이 부탄올분획물 및 물 분획물에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대조물질로 사용된 L-733060보다도 우수한 길항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포공영 추출물을 용해시켜 1 g/kg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 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은 모든 랫트에서 2,000 mg/k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 치사량(LD50)은 2,000 m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제제예 1 :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경구투여용 정제를 습식과립법 및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조성]
포공영 추출물 200 mg, 경질 무수규산 1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미세결정 셀룰로오즈 50 mg,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25 mg, 옥수수 전분 113 mg, 무수에탄올 적량.
제제예 2 : 연고제의 제조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포공영 추출물 5 g, 세틸팔미테이트 20 g, 에탄올 40 g, 스테아릴알콜 40 g, 미리스탄이소프로필 80 g,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20 g, 폴리솔베이트 60 g,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1 g,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1 g, 인산 및 정제수 적량
제제예 3 :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포공영 추출물 100 mg, 만니톨 180 mg, 인산일수소나트륨 25 mg, 주사용 물 2974 mg
제제예 4 : 경피제의 제조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경피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1]
포공영 추출물 0.4 g,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1.3 g, 글리세린 3.6 g, 수산화 알루미늄 0.04 g, 메틸 파라벤 0.2 g, 물 14 g.
[조성 2]
포공영 추출물 0.8 g, 프로필렌 글리콜 1.6 g, 유동 파라핀 0.8 g,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0.4 g, 젤바 1430 16.4 g.
제조예 4 : 건강식품의 제조
포공영 추출물 0.1 g, 분말비타민 E, 젓산철, 산화아연, 니코틴산 아미드, 비타민 A, 비타민 B1 및 비타민 B2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음료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포공영 추출물 ····················· 0.1 g
비타민 C ······················ 15 g
분말비타민 E ···················· 7.5 g
젓산철 ······················· 5.75 g
산화아연 ······················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 0.3 g
전분·························18.0 g
물 ·························· 적량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은 뉴로키닌 수용체 길항활성이 탁월함을 확인하여 뉴로키닌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건강식품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4)

  1. 포공영(Taraxaci Herb)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포공영을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알콜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뉴로키닌 매개 질환은 통증, 관절염, 우울증, 당뇨병, 구토, 과민성방광, 과민성대장증후군, 천식 및 기타 염증성질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
  4. 포공영 추출물(Taraxaci Herb) 또는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건강식품.
KR1020060138233A 2006-12-29 2006-12-29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 치료 및예방용 약제와 건강식품 KR20080062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233A KR20080062432A (ko) 2006-12-29 2006-12-29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 치료 및예방용 약제와 건강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233A KR20080062432A (ko) 2006-12-29 2006-12-29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 치료 및예방용 약제와 건강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432A true KR20080062432A (ko) 2008-07-03

Family

ID=3981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233A KR20080062432A (ko) 2006-12-29 2006-12-29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 치료 및예방용 약제와 건강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24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6425A (zh) * 2012-06-23 2012-10-10 陈慧婷 缓解抑郁症的郁金中药制剂及制备方法
CN103599207A (zh) * 2013-11-28 2014-02-26 哈药集团中药二厂 一种抗抑郁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091848A (ko) 2013-04-24 2016-08-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약학 조성물
JP2021143144A (ja) * 2020-03-11 2021-09-24 株式会社ファミニティー ウアリ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認知機能改善用組成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6425A (zh) * 2012-06-23 2012-10-10 陈慧婷 缓解抑郁症的郁金中药制剂及制备方法
KR20160091848A (ko) 2013-04-24 2016-08-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약학 조성물
CN103599207A (zh) * 2013-11-28 2014-02-26 哈药集团中药二厂 一种抗抑郁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21143144A (ja) * 2020-03-11 2021-09-24 株式会社ファミニティー ウアリ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認知機能改善用組成物
JP6989976B2 (ja) 2020-03-11 2022-01-12 株式会社ファミニティー ウアリ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認知機能改善用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zu et al. Evaluation of the antidiarrhoeal effects of Zizyphus spina-christi stem bark in rats
US20140322365A1 (en)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rthritis
EP2117560B1 (en) A composition for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ion and process thereof
KR102267796B1 (ko) 천연 추출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0382564B1 (ko) 치매병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CN102215857A (zh) 包含生姜提取物或姜烯酚的药物组合物
KR20080062432A (ko)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뉴로키닌 매개 질환 치료 및예방용 약제와 건강식품
EP1843774A1 (en) Pulsatilla spp. extracts effective in brain function
KR20130131265A (ko)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90501A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049493B1 (ko) 정력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1071684B1 (ko) 팔각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JP6365914B2 (ja) 神経細胞死抑制剤、抗アルツハイマー病剤、抗脳機能低下剤、抗アルツハイマー病作用又は抗脳機能低下作用を有する医薬品又は食品、神経細胞死抑制剤の製造方法、抗アルツハイマー病剤の製造方法、抗脳機能低下剤の製造方法、及び、抗アルツハイマー病作用又は抗脳機能低下作用を有する医薬品又は食品の製造方法
WO2007079695A1 (fr) Extrait de xanthoceras sorbifolia bunge et extraction et utilisation
KR100262072B1 (ko) 원지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정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한생약 조성물
KR20190044862A (ko) 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30171278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memory and learning ability
Thaina Anti-diabetic activity of Bauhinia strychnifolia Craib stem extract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KR20150048366A (ko)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0123848A (zh) 一种雪松精油的应用
EP260992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KR102573994B1 (ko) 침향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정신장애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25869B1 (ko) 항천식 활성을 가지는 신선초 추출물
CN111097010B (zh) 用于抑制乙酰胆碱酯酶的提取物及组合物
JP2022551290A (ja) 芫花、威霊仙、及び天麻の複合生薬抽出物を含む神経変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