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366A -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366A
KR20150048366A KR1020130128277A KR20130128277A KR20150048366A KR 20150048366 A KR20150048366 A KR 20150048366A KR 1020130128277 A KR1020130128277 A KR 1020130128277A KR 20130128277 A KR20130128277 A KR 20130128277A KR 20150048366 A KR20150048366 A KR 20150048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iver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279B1 (ko
Inventor
성혜미성혜미
성혜미
신현경신현경
신현경
위지향위지향
위지향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30128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279B1/ko
Publication of KR20150048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갓으로부터 추출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독성물질에 대한 간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며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일상생활의 식이 및 생활습관을 통하여 간독성 질환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독성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Liver cytoprotect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brassica juncea coss. and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본 발명은 갓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간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이 없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간의 신체장기 중 생체 내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장기로, 인체 내 소화기계와 전신순환계 사이에 위치하면서 외부에서 들어온 생체 외 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생체 내로 들어온 생체 외 물질은 일단 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간은 영양소 이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다른 장기보다 많아 그만큼 손상될 확률도 매우 높다. 그러나 간은 재생능력이 우수한 장기로 약간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충분히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손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간 조직의 일부가 완전히 파괴되고 간 기능도 저하되는 등 정상 간으로의 회복이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간 손상이 만성화되면 그 원인에 상관없이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간암으로 진행된다.
간의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스트레스성 만성 피로 및 지방성분이 포함된 음식 또는 알코올의 과다 섭취, 바이러스의 감염, 각종 약품과 같은 유해물질, 영양부족 등 다양하다. 특히 음식을 통한 과다한 지방 섭취 또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 조직에 지질이 쌓이는 지방간을 유발하며, 이때 혈청속의 sGOT(serum glutamate-oxaloacetate transaminase), sGPT(serum glutamate-pyruvate transaminase) 등이 증가하게 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간질환의 치료방법은 크게 식이요법과 약제요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두 가지 방법을 병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간 질환 치료제로는 대표적인 것으로 실리마린(silymarin)과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BDD)가 있다. 그러나 실제 간질환의 병인학적 접근에 의한 근원적 치료개념을 갖는 약물은 거의 없는 실정인데, 이는 대부분의 간질환이 한 가지 원인에 의해서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발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치료에 있어서도 어느 한 가지 작용기전을 갖는 약제에 의한 것만으로는 모든 간질환에 대해 충분하게 만족스러운 높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공지의 간장애에 대한 치료약은 급격한 작용이 발생한다거나 대량 또는 장기간 투여 시에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등 결점이 있다. 예를 들어, 급성 간질환의 경우 휴식과 고단백질 식이 및 비타민류를 충분히 공급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간에 부담이 되는 약물요법은 오히려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실리마린, BDD 등의 약물은 예방제의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치료제의 개념으로, 즉 간염 치료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만 사용하고 있다.
현재 바이러스에 의한 간염, 알콜성 지방간, 만성간염 등 각종 간질환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간보호 및 치료에 획기적인 약물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간은 침묵의 장기로 질환 초기에는 자각증상이 없고 간 손상 정도가 심한 정도에 이르러서야 자각증상이 나타남으로써 간질환의 초기 발견은 그만큼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평상시 용이하게 섭취하여 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 손상을 치료할 뿐 아니라 예방할 수 있는 천연 물질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국내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막대한 외화가 소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인체시험을 거친 건강기능식품의 출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473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2130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갓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간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며 독성이 없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갓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갓 추출물은 갓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용매는 20 내지 80%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는 10 내지 90 ℃이며, 추출시간은 0.1 내지 24시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갓 추출물은 물로 10 내지 40 ℃에서 0.1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간보호용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및 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t-BHP과 같은 독성물질에 의하여 간독성이 유발되었을 때 간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여 회복능력이 우수하므로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손상 또는 간성혼수와 같은 간 독성질환에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일상생활의 식이 및 생활습관을 통하여 간독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독성 질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간독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갓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간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며 독성이 없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갓(Brassica juncea Coss.)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갓은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이판화군 겨자과의 2년초 또는 한해살이풀로서 보통 김치로 담가져 섭취된다.
상기 갓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갓의 물기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갓 분말과 추출용매를 1 : 8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 10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 내지 9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에서 0.1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갓 분말을 물로 10 내지 40 ℃에서 0.1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용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0 내지 80%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일 수 있다.
추출시 갓 분말과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갓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갓 추출물은 추출물 자체로 이용하거나 사용이 편리하도록 분말화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갓 추출물을 분말화하는 방법은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부피를 줄인 후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다.
본 발명의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갓 추출물을 약학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지나,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환자의 무게 1 kg 당 300 mg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mg을 1일 1-4회 투여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간보호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갓 추출물을 0.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식사에서 부족할 수 있는 영양소를 보충하거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원료를 보충할 목적으로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및 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어 1회 섭위가 용이하게 제조 및 가동된 것이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제형에 따라 포도당, 구연산, 액상 올리고당, 옥수수 시럽(corn syrup), 대두 레시틴, 버터, 식물성 경화류, 탈지우유, 설탕, 마가린, 식염, 전분, 밀가루, 물엿, 맥아당, 중조 및 당 에스테르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간독성 질환으로는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손상 또는 간성혼수를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물 + 25 ℃ + 1시간
갓 잎을 물로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기로 분말화하였다. 상기 제조된 분말과 물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5 ℃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 후 80 ℃, 800 mmHg조건 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부피를 1/5로 줄였다. 그 후 감압 농축된 추출물을 동결건조기로 분말화하여 갓 잎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물 + 25 ℃ + 3시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시간을 1시간 대신 3시간으로 하여 갓 잎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물 + 25 ℃ + 10시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시간을 1시간 대신 10시간으로 하여 갓 잎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물 + 25 ℃ + 24시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시간을 1시간 대신 24시간으로 하여 갓 잎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물 + 90 ℃ + 1시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온도를 25 ℃ 대신 90 ℃로 하여 갓 잎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물 + 90 ℃ + 3시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온도를 25 ℃ 대신 90 ℃로 하여 갓 잎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물 + 90 ℃ + 10시간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시간을 1시간 대신 10시간으로 하여 갓 잎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물 + 90 ℃ + 24시간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시간을 1시간 대신 24시간으로 하여 갓 잎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80% 에탄올 + 25 ℃ + 3시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용매를 물 대신 80% 에탄올로 하여 갓 잎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80% 에탄올 + 25 ℃ + 24시간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시간을 3시간 대신 24시간으로 하여 갓 잎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이소티오시아네이트 함량 측정
1-1. 총 페놀 함량(mg/g) 측정
추출분말 10 ㎎/mL로 샘플 제조 후, 샘플에 2 ㎖의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Sigma)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다. 이 반응물에 7% 소듐 카보네이트를 2 ㎖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온에서 1시간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갈릭산(gallic acid)을 사용하였다.
1-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g) 측정
추출분말 10 ㎎/mL로 샘플 제조 후, 샘플에 5% NaNO2를 혼합 후 상온에서 5분간 방치 시키고, 물에 용해된 10% AlCl3을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6분간 반응을 시킨 후 NaOH를 혼합하여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카테킨(catechin)을 사용하였다.
1-3. 안토시아닌 함량(mg/g) 측정
추출분말 0.1 g/mL로 샘플 제조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20 nm에서 안토시아닌이 특이적으로 파장을 읽는데,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안토시아닌 흡광도 수치를 표현하였다.
1-4. 아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함량(mg/g) 측정
아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분석은 70% 메탄올을 이용하여 시료의 아릴 이소시아네이트를 추출하였으며 Agilent 1100 seri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최대 흡수파장인 254 nm 에서 waters x-terra C18 Column 4.5 > 250 mm를 사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표준물질로 ally-isothiocyanate를 사용하였다. 시험용액의 제조 및 분석은 시료 0.2 g을 100% 메탄올 4 mL와 혼합해 20 분간 초음파 처리 및 0.45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것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solvent A (물:인산 = 99:1)와 solvent B (아세토니트릴)로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총 페놀 31.1 33.9 28.5 25.9 47.1 51.6 43.8 42.0 40.3 70.1
총 플라보노이드 11.1 13.5 8.9 7.8 19.0 20.3 19.0 17.9 10.0 14.1
안토시아닌 0.964 0.812 0.694 0.636 0.737 0.706 0.332 0.156 0.992 1.678
이소티오시아네이트 0.024 0.033 0.011 0.005 0.075 0.019 0.001 0.001 0.009 0.000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페놀의 함량은 실시예 10>실시예 6>실시예 5>실시예 7>실시예 8>실시예 9>실시예 2>실시예 1>실시예 3>실시예 4의 순이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실시예 6>실시예 5, 7>실시예 8>실시예 10>실시예 2>실시예 1>실시예 9>실시예 3>실시예 4의 순이고;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실시예 10>실시예 9>실시예 1>실시예 2>실시예 5>실시예 6>실시예 3>실시예 4>실시예 7>실시예 8의 순이며;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은 실시예 5>실시예 2>실시예 1>실시예 6>실시예 3>실시예 9>실시예 4>실시예 7, 8>실시예 10의 순이다.
상기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간기능을 보호하는 물질들인데 상기 물질들에 대하여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추출물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항산화 측정
비타민 C와 같은 항산화제를 비교 샘플로 하여 DPPH법을 이용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은 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DPPH)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피검물질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시험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다. 사용한 시약은 DPPH(Aldrich Chem. Co., MW=618.76) 0.1mM 용액으로서 61.88 mg을 메탄올에 용해하여 100 ㎖로 하였다.
측정방법은 96-웰 플레이트에 0.1 mM DPPH 용액 0.15 ㎖에 추출물 0.15 ㎖를 가하여 교반하고 25 ℃에서 1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 후 560 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0.1mM DPPH 용액 대신에 메탄올을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결과는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2와 같다.
[수학식 2]
억제율(%) = [1-(St-So)/(Bt-Bo)]X 100
St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비타민 C
DPPH 라디칼 소거능(%) 30.1 33.7 29.8 26.9 44.7 49.2 42.4 39.9 51.5 65.3 59.2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PH 라디칼 소거능면에서 실시예 10>실시예 9>실시예 6>실시예 5>실시예 7>실시예 8>실시예 2>실시예 1>실시예 3>실시예 4의 순으로 높은 소거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세포 생존율
시료의 안전성 농도 범위에서 시험을 실행하기 위해 세포독성은 Rochem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24 wells plate에 2 × 105 cells/well의 세포를 분주한 후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배지를 제거하고 추출물이 용해된 serum이 3% 함유된 배지 1 mL을 분주하고 재배양을 24시간 동안 하였다. 24 시간 후 각 well에 0.25 mL의 XTT-PMS 용액(1 mg XTT and 10 g PMS/mL of MEM without phenol red)을 첨가하고 다시 2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독성도는 formazan의 형성 정도를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안전성 농도 범위 확인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배지는 10%(v/v) fetal bovine serum(FBS), 0.5%(v/v) 50 g/mL streptomycin, 50 IU/mL penicillin, 0.125 g/mL fungizone, 3.024 g sodium bicarbonate를 함유한 MEM을 사용하였고, 배양은 37℃, 5% CO2 , 95% humid air로 조절된 배양기를 사용하였다.
구분 세포 생존능(%)
125 ㎍/㎖ 250 ㎍/㎖ 500 ㎍/㎖ 1000 ㎍/㎖
실시예1 99.8 99.9 99.9 99.9
실시예2 99.9 99.8 99.9 99.9
실시예3 99.8 99.7 99.8 99.7
실시예4 99.6 99.7 99.7 99.7
실시예5 99.8 99.9 99.9 99.8
실시예6 99.9 99.8 99.7 99.8
실시예7 99.7 99.8 99.8 99.8
실시예8 99.7 99.8 99.7 99.8
실시예9 99.8 99.5 97.1 89.4
실시예10 99.8 99.2 82.4 78.1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80% 에탄올로 추출한 갓 잎 추출물을 제외한 다른 갓 잎 추출물들은 세포 생존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t - BHP (t- butyl hydroperoxide )에 의한 간세포 손상 회복 효과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각각의 갓 잎 추출분말 300 ㎍/mL를 시험에 사용하였다. 사람 간세포인 HepG2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5 × 104 cell/well로 분주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하여 안정화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상기 갓 잎의 추출분말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200 μM의 t-BHP를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독성을 유발하였다. 이와 같이 처리된 세포를 세포독성 및 세포 생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XTT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XTT가 첨가된 세포를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BHP(20 μM) 및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하여 독성 처리군 및 시료 처리군의 세포생존율을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3회 반복 실험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t-BHP 대조군
세포 생존능(%) 99.1 95.0 89.4 81.5 91.1 90.0 69.8 60.7 71.1 70.8 57.3 100.0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HepG2 세포에 t-BHP를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58.11%로 세포 생존능이 낮아지지만,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갓 잎 추출물에 의해 세포독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물로 25 ℃에서 추출한 추출물(실시예 1 및 2)이 세포독성 억제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4는 추출시간에 따라 세포생존능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세포독성 억제효능이 우수하다는 것은 세포생존능이 95%이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물로 90 ℃에서 추출한 추출물들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세포생존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은 추출시간에 상관없이 낮은 세포생존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4의 시험결과, 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및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 항산화 활성은 실시예 1 및 2가 우수하지 않았지만, 세포독성 억제효능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갓 잎 추출분말 4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갓 잎 추출분말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갓 잎 추출분말 25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갓 잎 추출분말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 ,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갓 잎 추출분말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갓 잎 추출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갓 잎 추출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9)

  1.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갓 추출물은 갓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는 20 내지 80%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온도는 10 내지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시간은 0.1 내지 24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갓 추출물은 물로 10 내지 40 ℃에서 0.1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간보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및 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30128277A 2013-10-28 2013-10-28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29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277A KR101529279B1 (ko) 2013-10-28 2013-10-28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277A KR101529279B1 (ko) 2013-10-28 2013-10-28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366A true KR20150048366A (ko) 2015-05-07
KR101529279B1 KR101529279B1 (ko) 2015-06-17

Family

ID=5338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277A KR101529279B1 (ko) 2013-10-28 2013-10-28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01A (ko) 2020-08-27 2022-03-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정선 갓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20230071946A (ko) 2021-11-17 2023-05-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오비소겐 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2986A (zh) * 2010-04-21 2011-11-09 中国科学院寒区旱区环境与工程研究所 高山离子芥或其提取物用于制备防治肝脏疾病药物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279B1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0243B2 (ja) 虚血性疾患および脳変性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のためのイネ科植物(Gramineaeplant)からのでんぷんまたは食物繊維を含む組成物
US10576057B2 (en) Methods for treating muscle wasting and degeneration diseases
KR101864009B1 (ko) 레드비트 추출물을 이용한 방사선에 의한 면역조혈기능 장해 방호용 조성물
KR101829637B1 (ko) 참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소화기능장애, 백혈구 감소증 및 골수부전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92758A1 (zh) 瓦草五环三萜皂苷类化合物抗肿瘤的药物用途
Jaruchotikamol et al. Cytoprotective activity of mulberry leaf extract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ellular injury in rats.
KR101886350B1 (ko) 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529279B1 (ko)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00295B1 (ko)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30079205A (ko)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20140037316A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론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0670850B1 (ko) 진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KR101326870B1 (ko) 천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WI678211B (zh) 管花肉蓯蓉萃取物及異類葉升麻苷於保護肌肉之用途
KR101050003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WO200806960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herbal extract of aralia cordata thunb.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pain disease
KR101682156B1 (ko) 레드비트 추출물을 이용한 방사선에 의한 면역조혈기능 장해 방호용 조성물
KR20180118413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82962B1 (ko) 백혈병 치료용 조성물 및 몰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90142672A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017394A (ko) 해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섬유화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8412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83205B1 (ko) 운지버섯 추출물과 운지버섯 조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20018556A (ko) 마가목 및 현지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또는 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sg-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