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1683A -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1683A
KR20080061683A KR1020060136664A KR20060136664A KR20080061683A KR 20080061683 A KR20080061683 A KR 20080061683A KR 1020060136664 A KR1020060136664 A KR 1020060136664A KR 20060136664 A KR20060136664 A KR 20060136664A KR 20080061683 A KR20080061683 A KR 20080061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cosmetic composition
acne
brown ric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김형배
이건국
이연희
백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주) 피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주) 피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6013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1683A/ko
Publication of KR2008006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의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 및 각종 세균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여 여드름 유발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이 낮고, 보습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락토바실러스, 여드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 화장료

Description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Improving the Acnes containing the Culture Fluid of Lactobacillus which Cultured in the Oryza sativa-containing Medium As Active Ingredient}
도 1은 여드름 원인균으로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한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 PL9001 배양액의 생장저해효과페이퍼 디스크 방법(Paper disk method)으로 실시한 것으로, 0.001%, 0.01%, 0.1% 1%는 현미 함유배지 배양액의 희석률을 각각 나타낸 것이고, control은 대조군으로서 배양액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 것이고, 0.2% 에리스로마이신은 양성 대조군으로서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본 발명은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드름 피부 개선효과 및 방지효과를 지닌 피부 자극이 낮고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의 발생은 우리의 인체 호르몬 중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이상 작용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이 테스토스테론은 혈액을 타고 피부에 있는 피지선으로 흘러들어가 기름의 생산을 촉진시켜, 과도하게 분비된 이 기름이 피지 모공 안을 가득 채우게 된다. 이 때 기름의 과도한 생산과 더불어 모공 입구에서는 과각화 현상이 촉진되어 모공의 입구가 더욱 좁혀지거나 막히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모공 안을 가득 채우고 있는 기름들은 밖으로의 흐름을 멈추고 모공 안에 갇혀 정체되는데 이 갇힌 기름 덩어리들과 다른 불순물들이 서로 엉켜 여드름 덩어리(Comedo)를 이루게 된다. 모공 안에 정체되어 있는 기름의 양이 많아지면, 박테리아들, 특히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 Propionibacterium acnes )가 활동하게 되는데, 이 박테리아가 기름 성분들을 탐식하고 난 후 생긴 부산물인 자유지방산이 모공 안을 심하게 자극하면서 염증을 유발시킨다.
일반적으로, 세균에 의한 여드름이나 염증과 같은 피부질환의 임상치료에 있어서,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신다마이신(cindamycine)과 같은 항균물질들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항균물질은 장기간 사용 시 여드름 원인균이 항생물질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게 되고, 광과민작용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야기해 왔다. 게다가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아크네는 인공적인 배양이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 약제를 선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게다가 항생물질이 주가 되는 약제는 화장품으로서의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미생물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은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한 저해능력을 가지면서 고등생물에 대한 선택 독성이 낮다. 따라서 피부질환 치료를 위하여 항균활성을 가진 유산균의 대사산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유산균의 대사산물은 인체에 무해하며 인체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 되므로 잔류성이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산균 대사산물을 얻기 위한 공정에 있어 사용 기질의 단가가 높고, 대사산물의 분리 정제에 높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일본특개 2003-259860호는 락토코카스 락티스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배양액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 0536522호는 엔테로코커스 파시에움 및 이를 이용한 박테리오신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어 유산균 및 이의 배양액을 화장료 조성물로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현미는 벼에서 왕겨만을 벗겨낸 쌀로서, 흰쌀보다 충해, 미생물 해를 덜 받아 저장성은 좋으나, 배아 속의 지방이 리파아제로 말미암아 분해되므로 맛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다른 도정미에 비해 활용도가 낮다.
상기 현미에는 단백질, 지질, 당질, 비타민B1, 섬유, 회분, 광물질, 철, 인, 칼슘, 아미노산 등의 유용한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있으며, 특히 페룰산(ferulic acid) 부위에 -OH기가 있어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천연 항산화 물질인 감마 오리자놀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현미는 인체에 전혀 무해하면서 피부발진을 일으키는 자극이 없고 특히 피부에 유익한 영양소를 공급하고 보습효과를 지속 시키므로써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질환, 지루성 피부질환, 피부각질화 등에 효과가 탁월하다. 그러나, 현미를 여드름 및 염증성 피부질환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한 예는 없으며, 게다가 미생물을 이용한 현미 배양액을 사용한 예는 더더욱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의 배양액이 미생물에 의한 현미 발효액 및 항균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여드름과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 화장료로서 효능이 우수하고, 피부자극이 없고, 보습효과가 탁월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컨퓨러스 PL 9001(기탁번호 KCCM-10245)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 의해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 PL9001(기탁번 호:KCCM-10245)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대사물질은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 PL9001(GenBank AF477495,기탁번호:KCCM-10245)의 배양액으로, 현미를 함유한 배양배지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를 접종한 후 배양하고, 상기 배양된 배양액으로부터 원심 분리하여 세포를 제거하여 상등액을 얻는다.
상기에서 사용한 균주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 PL9001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국제 기탁하여 기탁번호를 부여받은 것으로, 국제기탁번호로는 KCCM-10245이다.
본 명세서에서, '현미'는 현미를 분쇄하여 얻는 분말 및 현미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현미분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현미함유배지는 배양배지 총중량에 대해 현미를 5.0 내지 2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미 10.0중량%, 트립톤 1.0중량%, 효모추출물 0.2중량%, 트윈80 0.1중량% 및 증류수를 함유한 배양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 PL9001을 접종한 후 24시간동안 배양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은 5,000 ×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유산균이 제거된 배양액 상등액을 얻은 후, 분리한 배양액 상등액을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한다.
본 발명의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이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이 상기 최소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상기 최대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제형의 안정화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피부 여드름 생성을 억제하고, 화장료 자체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생합성에 의한 제조물이므로 피부자극이나 기타 부작용도 없어 안전하며 보습효과가 있는 장점 등이 있으며, 특정 성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젤, 팩 및 클렌징크림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초 화장료; 화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락토바실러스는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 PL9001(GenBank AF477495, 기탁번호:KCCM-10245)을 사용하였고, 현미는 미세하게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현미함유배지는 현미 10.0중량%, 트립톤 1.0중량%, 효모추출물 0.2중량%, 트윈80 0.1중량% 및 증류수로 제조하였으며, 배양배지 1ℓ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균주 1×106 cfu/㎖을 접종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5,000 ×g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하여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얻었 다.
비교예 1: 현미 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제조
현미 미함유배지는 현미대신 포도당 1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한 현미 미함유배지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 PL9001을 접종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5,000 ×g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하여 현미 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얻었다.
실험예 1: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의 여드름 균주에 대한 생장저해효과
여드름 균주에 대한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조예 1에서 얻은 시료를 이용하여 페이퍼 디스크 방법(Paper disk method)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여드름 원인균으로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 ATCC 6919)를 사용하였으며,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0.001%, 0.01%, 0.1% 및 1%로 각각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87 X 15 mm 페트리디쉬(녹십자)에 2%의 RCM 배지(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Difco)를 10ml 넣은 후 3일 동안 굳히고, 1×10 6 세포수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를 고르게 도말한 후 직경 8mm의 페이퍼 디스크를 적당한 간격으로 올려놓았다. 상기 페이퍼 디스크에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희석액을 각기 농도별로 20ul씩 접종한 후, 혐기성 배양기에 넣고 37℃에서 4일간 배양한 후 투명 저지환(clear zone)을 관찰하였다. 음성 대조군(control)은 20ul의 배양배지를, 양성 대조군은 20ul의 0.2% 에리스로마이신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0.001%를 제외한 나머지 배양액의 희석농도에서 여드름 원인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에리스로마이신과 비교한 결과, 여드름 원인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2: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함유 화장료 제형 제조
동종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조성을 이용하여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함유 화장료 제형 제조하였다. 화장료 제형은 표 1의 조성에 따라,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제조예 1의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5, 10, 15 중량%를 포함하는 제형예 1, 2, 및 3을 제조하였고, 비교를 위하여 현미 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비교예 1의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5 중량% 포함하는 비교예 2, 에리스로마이신 0.2중량%를 함유하는 양성대조예 1 및 아무것도 넣지 않은 대조예 1을 함께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97759300-PAT00001
실험예 2: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함유하는 제형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함유한 제형예 1, 2, 3 및 비교예로서 아무것도 넣지 않은 대조예 1을 초자 용기에 담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완전히 차광 된 냉장고 내에서 1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제품 변색 정도는 다음의 표 2에 따라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점 수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변함
2 조금 변함
3 조금 심하게 변함
4 심하게 변함
5 극히 심하게 변함
Figure 112006097759300-PAT00002
상기 표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제형예 1, 2 및 대조예 1은 제형이 변색되지 않아 안정하였으나, 제형예 3은 제형이 변색되어,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10% 이하로 함유한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함유하는 제형의 안전성 시험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20-30대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원발명의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5.0 중량%로 함유한 제형예 1의 피부 안전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현미 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5.0 중량%로 함유한 비교예1, 에리스로마이신 0.2중량%를 함유하는 양성대조예 1 및 아무것도 넣지 않은 대조예 1을 함게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시험은 시험대상자의 전박 안쪽부위에 밀폐첩포하여 실시하였다.
우선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뒤, 준비된 시험물질을 15 ㎍씩 핀 쳄버 (Finn chamber, 100×10, EPITEST, 핀란드국)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부위에 밀폐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제거한 후, 표시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각각 1시간 및 24시간 후(첩포 제거 후 1시간, 24시간 후 = 첩포 부착 포함 24시간, 48시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으며,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의 규정에 따라 표 4와 같이 6 단계의 평가기준을 정하여 판정하였으며, 판정한 값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평균피부반응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 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
기 호 점 수 평가 기준
- 0 무반응, 정상 피부
±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0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0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0 심한 홍반 및 소포형성
++++ 6.0 대수포 형성
Figure 112006097759300-PAT00003
Figure 112006097759300-PAT00004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0.2%의 에리스로마이신을 함유하는 양성대조예 1의 제형은 피부 안전성이 낮은 반면, 아무것도 넣지 않은 대조예 1, 현미 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함유하는 비교예 2 및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함유하는 제형예 1은 피부 안전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함유하는 제형의 보습 효과 시험
건강한 20-30대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대조예 1, 비교예 2 및 본원발명인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5.0 중량%로 함유한 제형예 1의 보습 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상기 패널은 20명씩 3개조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각 조당 각각 대조예 1, 비교예 2 및 제형예 1의 제형으로 매일 2회씩 1개월간 얼굴 및 전박부에 도포하게 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도포하기 바로 전에 항온, 항습 조건(21도, 습도 55%)에서 코네오미터 (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하고, 1주, 2주, 4주 경과 후 및 도포중지 후 2주 경과(6주 경과)후의 피부 수분양의 변화를 측정하여 객관적인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7759300-PAT00005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원발명의 5.0 중량%의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함유하는 제형예 1이 아무것도 넣지 않은 대조예 1 및 현미 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함유하는 비교예 2에 비해 피부 피부보습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는, 피부에 상재하여 여드름 유발에 관여하는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 및 세균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여드름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염증성 피부 질환을 완화하고,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이 없으며,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 PL9001(기탁번호:KCCM-10245)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의 생육을 억제하고,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현미함유배지는 배양배지 총 중량에 대해 현미 분말을 5.0 내지 2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화장료 총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136664A 2006-12-28 2006-12-28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1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664A KR20080061683A (ko) 2006-12-28 2006-12-28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664A KR20080061683A (ko) 2006-12-28 2006-12-28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683A true KR20080061683A (ko) 2008-07-03

Family

ID=3981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664A KR20080061683A (ko) 2006-12-28 2006-12-28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16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052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산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6145B1 (ko)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 heh ehwa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가소화액
TW201922224A (zh) 包含胚芽乳酸桿菌培養物的抗菌化粧品組成物
CN111278326A (zh) 改善皮肤、头发和头皮健康的基于酵母的面膜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US11759544B2 (en) Therapeutic compositions for enhanced healing of wounds and scars
JP4776058B2 (ja) 皮膚改善剤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8026B1 (ko) 노니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5989A (ko)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상처 재생 활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N111265434A (zh) 一种植物来源乳化剂油包水膏霜及其制备方法
WO2023076663A1 (en) Biosurfactant formulations for use in skincare and wound treatment
KR20190111840A (ko) 피부 유래 유산균 및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8933A (ko) 초유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8533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1097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7590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0747A (ko) 번행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90424B1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09604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080061683A (ko) 현미함유배지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1861B1 (ko) 여드름 피부개선용 조성물
KR20210155987A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1995016431A1 (en) Cosme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