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075A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075A
KR20080059075A KR1020070135066A KR20070135066A KR20080059075A KR 20080059075 A KR20080059075 A KR 20080059075A KR 1020070135066 A KR1020070135066 A KR 1020070135066A KR 20070135066 A KR20070135066 A KR 20070135066A KR 20080059075 A KR20080059075 A KR 20080059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arine
device carrier
communication buoy
buoy
outer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856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말레쉐크
Original Assignee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5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38Arrangement of visual or electronic watch equipment, e.g. of periscopes, of ra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03Buoys adapted for being launched from an aircraft or water vehicle;, e.g. with brakes deployed in th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장치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캐리어 내부에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통신용 부표(buoy)가 잠수함의 선체와 외부 갑판 사이의 한 지지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통신용 부표를 설치 및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 캐리어를 상기 지지 위치로부터 외부 갑판 외측에 있는 한 위치로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잠수함 {SUBMARINE BOA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재된 특징들에 따른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군사용으로 이용되는 잠수함의 경우에는, "잠수 상태로부터 소위 통신용 부표를 해수면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부표의 설치 여부에 따라 잠수함의 잠수 상태에서 무선 통신, 위성 항해, 광학적 정찰 등이 실행될 수 있다"는 내용이 선행 기술에 속한다.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 및 설치하기 위한 상기와 같은 통신용 부표 그리고 동류의 장치도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1 15 194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에는 볼 형태의 부표가 기술되고 있으며, 상기 부표 안에는 다양한 안테나, 센서 및 통신 수단들이 통합되어 있다. 상기 부표는 케이블을 통해 잠수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부표와 잠수함 사이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도 제공되었다. 상기 공지된 장치는 보트 측에 권양기를 포함하며, 상기 권양기 위에 케이블이 감기고, 부표가 보트 선체 안에 있는 깔때기 모양의 수용부 내부로 이동된 후에, 상기 수용부는 커버에 의해 서 폐쇄된다.
부표가 실제로 볼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부표를 보트 내부에 배치된 부표 수용부로부터 인출하거나 또는 부표 수용부 내부로 회수할 때에 일반적으로 아무런 문제점도 발생하지 않는 반면에, 더 복잡한 외부 구조를 갖는 통신용 부표의 경우에는, 상기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1 15 194 A1호에 기술된 방식으로 통신용 부표를 직접 인출 및 설치할 때에 어려움이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부표들이 부표 수용부에 의해 형성된 배출 채널 내부에서는 오히려 끼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통신용 부표를 위하여, 보트 선체 안에 배치된 장치 캐리어를 구비한 설비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설비의 경우에 장치 캐리어들은 부표를 회수 및 인출하기 위하여 보트 선체 외부에 있는 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설비의 장치 캐리어는 선회 암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선회 암에 의해서 장치 캐리어는 잠수함 외부 갑판에 있는 개구를 통해 보트 선체 외부에 있는 한 위치로 선회할 수 있다.
상기 설비는 통신용 부표의 안전한 인출 및 설치를 가능케 하지만, 상기 설비들이 잠수함의 보트 내부에서 비교적 큰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도 또한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통신용 부표가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 선체와 외부 갑판 사이에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통신용 부표가 잠수함의 잠수 상태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인출되었다가 다시 회수될 수 있는 잠수함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는 잠수함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아래의 상세한 설명부 그리고 도면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용 부표는 비작동 상태, 즉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장치 캐리어 내에서 선체와 외부 갑판 사이의 한 지지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한 지지 위치로서는, 잠수함의 상갑판 후방에서 상부 갑판 아래에 있는 한 위치가 제공된다. 잠수함의 외부 갑판은 상기 지지 위치 위에 폐쇄 가능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를 통해 장치 캐리어는 통신용 부표를 인출 또는 회수하기 위하여 외부 갑판 외측에 있는 한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위치에서 통신용 부표의 인출 및 회수 동작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가이드 케이블을 권양기로부터 풀어냄으로써 또는 권양기에 감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장치 캐리어를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수단에 의해 장치 캐리어는 지지 위치로부터 외부 갑판 외측에서 통신용 부표를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한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될 수 있다. 장치 캐리어가 비교적 많은 공간을 요구하는 선회 동작에 의해 지지 위치로부터 외부 외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통신용 부표를 인출 및 회수하기 위한 지금까지 공지된 장치의 경우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형상에 의해서는, 장치 캐리어 및 그 위에 있는 통신용 부표가 직접적인 직선 경로를 따라 지지 위치로부터 외부 갑판 외측에 있는 위치로 그리고 그와 반대로 외부 위치로부터 지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캐리어는 선체 가까이에 있는 한 위치로부터 직선 동작으로, 상기 선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외부 갑판의 장치 캐리어 바로 위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외부 갑판 외측에 있는 한 위치로 그리고 뒤로 이동될 수 있다.
장치 캐리어를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기본적으로 모든 선형 구동 장치를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캐리어는 바람직하게 유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실린더와 기능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 캐리어는 가이드부 내에서 인출 방향 또는 회수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은 상기 장치 캐리어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결합되는 리프팅 실린더를 통해 행사된다. 그러나 상기 리프팅 실린더 자체가 상기 장치 캐리어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장치 캐리어는 바람직하게 상기 리프팅 실린더의 인출 가능한 단부 상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장치 캐리어의 동작은 상기 리프팅 실린더의 인출 동작에 바로 이어서 이루어진다. 선체와 외부 갑판의 간격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 실린더는 바람직하게 설치 높이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 큰 리프팅을 가능케 하는 신축 실린더로서 형성되었다. 따라서, 리프팅 실린더를 신축 실린더로서 형성하면, 한편으로는 장치 캐리어 및 그 위에 있는 통신용 부표를 잠수함의 선체와 외부 갑판 사이에서 상기 리프팅 실린더 상에 공간 절약 방식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만들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리프팅 실린더의 신축 가능성으로 인해, 상기 장치 캐리어 및 통신용 부표를 잠수함의 외부 갑판 외측에 있는 한 위치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리프팅 경로가 만들어진다.
장치 캐리어가 외부 갑판 외측에 위치 설정된 경우에는, 리프팅 실린더가 유동 파워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가이드 케이블에 의해서 가해지는 로프 파워에 의해서도 하중을 받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 실린더는 바람직하게 이 실린더가 횡력으로서 작용하는 부하 및 상기 부하와 연관된 토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치수 설계되었다.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서는, 상기 리프팅 실린더를 자신의 인출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제공되었다. 상기 지지부는 바람직하게, 리프팅 실린더에 작용하는 횡력 및 토크가 상기 리프팅 실린더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로 전달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선체 내부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선체 측에 배치된 상기 리프팅 실린더 및 지지부의 베이스 내부로 계속 전달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형성되었다.
통신용 부표의 지지 위치가 의도치 않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그립(grip) 수단을 제시하며, 상기 그립 수단은 통신용 부표를 상기 장치 캐리어 내부의 지지 위치에 적어도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시킨다. 그에 상응하게, 서로 마주 놓인 두 개 이상의 기계식 그립 암이 제공되며, 상기 그립 암은 상기 통신용 부표의 한 영역을 실제로 지름 상으로 이격된 측면에 파지하고,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로 강제 결합 방식으로도 고정시킨다.
상기 그립 수단은 바람직하게 유압식으로 작동 가능하게 형성되었다. 그립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평행 그립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평행 그립의 경우에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두 개의 그립 암은 상기 통신용 부표를 파지하기 위하여 서로 선형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그립 수단은 바람직하게 유압식으로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그리퍼(angle gripper)를 포함한다. 따라서, 선체 측면에서 상기 통신용 부표의 지지 위치에는 상기 각도 그리퍼를 형성하는, 서로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한 두 개의 그립 암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 암이 상호 선회되면, 상기 그립 암은 지지 위치에 있는 통신용 부표의 한 섹션을 둘러싸서 고정시킨다.
장치 캐리어 및 그 위에 지지된 통신용 부표를, 압력파에 의해서 가해지는 충격 부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 캐리어는 바람직하게 잠수함의 선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장치 캐리어를 탄성적으로 그리고 그와 더불어 충격에 안전하게 지지하는 것은 바람직하게 간접적으로, 즉 상기 장치 캐리어를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선형 구동 장치, 바람직하게는 유압식 신축 실린더가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신축 실린더에는 장치 캐리어가 설치 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재차 선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베이스와 선체 사이에는 스프링 소자 및/또는 댐핑 소자가 제공되어 있다. 그 경우 상기 베이스 상에는 바람직하게 통신용 부표를 지지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 수단도 배치되어 있다.
장치 캐리어는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용 부표의 가이드 케이블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바람직하게 장치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롤러는 선체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 케이블을 인출 및 회수하기 위한 권양기 쪽을 향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권양기와 장치 캐리어 사이에서 편향 롤러를 형성하고, 상기 편향 롤러에 의해서는 가이드 케이블의 정렬 방향이 장치 캐리어의 권양기 측에 있는 제 1 방향으로부터 상기 장치 캐리어의 부표 측에 있는 제 2 방향으로 유도된다. 가이드 케이블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횡력 성분이 선형 구동 장치에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편향 롤러 또는 편향 롤러들은 상기 선형 구동 장치에 작용하는 상기 인장력의 횡력 성분이 가급적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그 외에, 선형 구동 장치 내부로 목적한 바대로 상기와 같은 횡력 성분이 도입되고, 상기 횡력 성분이 장치 캐리어의 유동에 의해 상기 선형 구동 장치에서 야기되는 횡력에 대향 함으로써 상기 횡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도록, 상기 편향 롤러 또는 편향 롤러들을 배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잠수함의 외부 갑판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 암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 암은, 통신용 부표를 회수하는 경우 장치 캐리어가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선회 암이 통신용 부표를 상기 장치 캐리어의 한 지지 장소로 밀어주도록 배치되고 선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의 목적은, 회수의 경우에 장치 캐리어 상에 비스듬하게 충돌할 수 있는 통신용 부표가 장치 캐리어의 지지 장소에 있는 한 규정된 위치에서 상기 장치 캐리어와 형상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용 부표를 정렬시키는 것이다.
장치 캐리어 위에 제공된, 잠수함 외부 갑판에 있는 개구는 바람직하게 유압식 회전 실린더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플랩 밸브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해서는 장치 캐리어가 외부 갑판 외측에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회전 실린더가 플랩 밸브와 결합 됨으로써, 상기 회전 실린더의 이동 가능한 부분의 회전 동작이 상기 플랩 밸브에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회전 실린더를 구비한 두 개의 플랩 밸브가 제공되며, 이 경우 상기 플랩 밸브들은 이 밸브들이 폐쇄 위치에서는 외부 갑판과 같은 높이로 폐쇄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부 갑판 개구를 폐쇄하는 플랩 밸브의 의도치 않은 개방 또는 예컨대 파도 상태와 같은 외부 작용에 의해서 야기되는 상기 플랩 밸브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플랩 밸브는 바람직하게 유압식으로 록킹(locking) 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플랩 밸브 측에 그리고 외부 갑판 측에 록킹 부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압식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기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플랩 밸브와 외부 갑판 사이에 형상 결합이 만들어질 수 있거나 또는 플랩 밸브들 사이에 형상 결합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수면(4) 아래에서 잠수하는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2)을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된 잠수함(2)의 경우에, 통신용 부표(8)를 위한 장치 캐리어(6)는 잠수함(2)의 상갑판(10) 후방에 배치된 외부 갑판의 개구를 통해 상기 외부 갑판 외측에 있는 위치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인출 상태에서 통신용 부표(8)는 수면(4)에서 부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통신용 부표(8)는 한 가이드 케이블(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케이블은 보트 내부에 배치된 권양기(14)로부터 풀어진 상태로 있으며, 상기 권양기는 상갑판(10) 후방에서 항해 방향으로 볼 때 장치 캐리어(6) 앞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케이블(12)에 의해, 통신용 부표(8)는 잠수함(2)과 기계적으로뿐만 아니라 데이터 교환 방식으로도 결합되어 있다.
도 2에는, 두 개의 플랩 밸브(16)에 의해서 폐쇄된, 잠수함(2) 외부 갑판의 개구 아래에 배치된 장치 캐리어(6) 내부에 지지되어 있는 통신용 부표(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랩 밸브(16)의 선회 축은 핀(18)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핀은 선회 축과 평행하게 정렬된 상기 플랩 밸브(16)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하며,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핀은 하나의 공통된 축을 갖는다. 상기 핀(18)은 베어링(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개구를 제한하는 상기 외부 갑판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플랩 밸브(16)의 각각 하나의 핀(18)에는 유압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회전 실린더(22)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 실린더에 의해 플랩 밸브(16)는 외부 갑판을 개방시키는 위치 또는 폐쇄시키는 위치로 선회 될 수 있다.
도 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통신용 부표(8)는 플로우트(24)(float)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우트의 상부 측에는 다양한 송·수신 안테나 그리고 상기 통신용 부표(8)의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안테나 바디(2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 바디(26)는 플립(flip) 동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었고, 상기 통신용 부표(8)의 지지 위치에서 상기 플로우트(24)에 인접하는 위치(도 1)로 플랩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바디(26)가 실제로 상기 플로우트(24) 상에 수직으로 서 있는 기능 위치로도 플랩될 수 있다. 플로우트(24)의 하부면에는 낙하 용골(drop keel)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낙하 용골은 자신의 단부에, 밸러스트(ballast)를 수용하는 용골 핀(keel fin)의 형태로 된 통 모양의 확장부(28)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은 장치 캐리어(6) 상에 지지되어 있는 통신용 부표(8)를 보여준다. 상기 장치 캐리어(6)는 수용부(30)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는 통신용 부표(8)의 플로우트(24)의 외부 윤곽에 상응하는 지지 장소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 장소 안에는 플로우트(24)가 세워져 있다. 상기 수용부(30)는 고정 부품(32)에서 수평으로 돌출하며, 상기 고정 부품에 의해 장치 캐리어(6)는 나란히 배치된 두 개 리프팅 실린더(34)의 인출 가능한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리프팅 실린더(34)는 다수의 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었다. 상기 리프팅 실린더(34)의 인출에 의해서, 장치 캐리어(6)는 자신 위에 있는 통신용 부표(8)와 함께, 잠수함(2)의 외부 갑판과 선체 사이에 있는 한 지지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된 상기 외부 갑판 외측에 있는 한 위치로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리프팅 실린더(34)는 베이스(36) 상에 수직으로 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36)는 실제로 U자 형태로 구부러진 판 스프링 소자(38) 상에서, 잠수함(2)의 선체에 서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선체로부터 이격 됨으로써 충격에 안전하게 지지되어 있다.
장치 캐리어(6)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상기 리프팅 실린더(34)의 측면에서도 마찬가지로 베이스(36) 상에는 프레임(40)이 서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리프팅 실린더(34)를 위한 지지부로서 이용된다. 상기 프레임(40)은, 가로 지지대(44 및 4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삼각형 강철 프레임(42)으로부터 형성된다. 리프팅 실린더(34)는 각각 가로 지지대(48)를 통해 상기 프레임(40)의 한 강철 프레임(42)에 지지된다. 상기 두 개의 강철 프레임(42)을 연결하는 가로 지지대(44)에는 가이드 롤러(5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케이블(12)은 권양기(14)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장치 캐리어(6)의 방향으로 유도된다.
프레임(40)에 배치된 가이드 롤러(50) 이외에 상기 장치 캐리어(6) 상에는, 가이드 케이블(12)을 가이드 하기 위한 두 개의 추가 가이드 롤러(52 및 54)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52 및 54)는 수용부(30)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상기 장치 캐리어(6)의 고정 부품(32)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장치 캐리어(6) 아래에서 베이스(36) 상에는, 유압 실린더(56)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는 각도 그리퍼(58)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그리퍼에 의해 통신용 부표(8)는 지지 위치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도 그리 퍼(58)는 두 개의 선회 가능한 그립 암(60)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 암 상에는 그립 죠오(grip jaw)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그립 죠오는 상기 낙하 용골에 형성된 확장부(28)의 영역에서는 통신용 부표(8)의 외부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있다.
잠수함(2)의 외부 갑판 개구를 폐쇄하는 플랩 밸브(16) 외측에서, 외부 갑판에는 선회 암(6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선회 암(64)은 외부 갑판에 통합된 구성 부품을 형성한다. 상기 선회 암(64)의 선회 동작에 의하여, 통신용 부표(8)는 회수 과정 중에 장치 캐리어가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수용부(30)에 의해서 형성된 지지 장소로 밀려질 수 있다. 상기 선회 암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유압식 회전 실린더(66)가 제공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2)에서 실행되는 통신용 부표(8)의 인출 동작 및 그 다음에 이어지는 회수 동작에 대하여 기술된다. 도 2에 도시된 지지 위치에서, 통신용 부표(8)는 잠수함(2)의 외부 갑판과 선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장치 캐리어(6) 상부에 있는 외부 갑판 개구는 두 개의 플랩 밸브(16)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상기 플랩 밸브(16)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유압식으로 작동 가능한 록킹 수단에 의해서 록킹 되었다. 통신용 부표(8)를 인출하기 위해 제일 먼저 상기 플랩 밸브(16)의 록킹 동작이 개시되고, 그 다음에 상기 플랩 밸브(16)가 회전 실린더(22) 위로 선회된다. 그 다음에, 각도 그리퍼(58)가 작동되고, 그립 암(60)은 통신용 부표(8)에 형성된 확장부(28)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선회된다. 이때 리프팅 실린더(34)의 인출 동작에 의하여, 장치 캐리어(36)는 자신 위에 있는 통신용 부표(8)와 함께 잠수함(2) 외부 갑판 외측에 있는 한 위치로 이동된다. 안 테나 바디(26)가 외부로 플립된 후에는, 상기 통신용 부표(8)가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케이블(12)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권양기(14)로부터 풀어지고, 통신용 부표(8)는 고유의 부력에 의해 수면(4)에서 부유하게 된다.
통신용 부표(8)를 회수하기 위하여, 가이드 케이블(12)은 권양기(14)에 감기고, 통신용 부표(8)는 장치 캐리어(6)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통신용 부표(8)가 장치 캐리어(6)에 도달한 후에는, 리프팅 실린더(34)가 삽입된다. 그 경우 통신용 부표(8)는 플랩 밸브(16)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는 외부 갑판 개구 아래에 있게 된다. 이때 선회 암(64)이 작동되고 선회 됨으로써, 상기 선회 암은 우선 안테나 바디(26)를 상기 통신용 부표의 플로우트(24)에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통신용 부표(8)를 수용부(30) 안에서 지지 장소로 밀어준다. 그 다음에 각도 그리퍼(58)가 작동되고, 그립 암(60)은 이 그립 암(60)에 배치된 그립 죠오(62)가 상기 통신용 부표(8)에 형성된 확장부(28)를 형상 결합 방식으로 둘러싸게 되는 위치로 선회된다. 마지막으로, 플랩 밸브(16)가 외부 갑판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선회되어 고정된다.
도 1은 수면으로 인출된 통신용 부표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의 개략도다.
도 2는 잠수함 내부의 선체와 외부 갑판 사이에 제공된 장치 캐리어 내부에 배열된 통신 부표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3은 장치 캐리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도 2에 따른 통신용 부표의 배열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잠수함 4: 수면
6: 장치 캐리어 8: 통신용 부표
10: 상갑판 12: 가이드 케이블
14: 권양기 16: 플랩 밸브
18: 핀 20: 베어링
22: 회전 실린더 24: 플로우트
26: 안테나 바디 28: 확장부
30: 수용부 32: 고정 부품
34: 리프팅 실린더 36: 베이스
38: 스프링 소자 40: 프레임
42: 강철 프레임 44, 46, 48: 가로 지지대
50, 52, 54: 가이드 롤러
56: 유압 실린더 58: 각도 그리퍼
60: 그립 암 62: 그립 죠오
64: 선회 암 66:회전 실린더

Claims (10)

  1.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8)를 구비하고, 지지 위치에서는 상기 통신용 부표가 장치 캐리어(6) 내부에서 잠수함(2)의 선체와 외부 갑판 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잠수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 캐리어(6)를 지지 위치로부터 외부 갑판 외측에서 상기 통신용 부표(8)를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한 위치로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그리고 그 반대로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34)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캐리어(6)는 유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실린더(34)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실린더(34)를 인출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지지하는 지지부(40)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부표(8)를 상기 지지 위치에서 상기 장치 캐리어(6) 내부에 적어도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그립 수단(58)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수단(58)은 유압식으로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그리퍼(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캐리어(6)는 잠수함(2)의 선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캐리어(6)는 상기 통신용 부표(8)의 가이드 케이블(12)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52, 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수함(2)의 외부 갑판 측에 적어도 하나의 선회 암(64)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회 암은, 통신용 부표(8)를 회수하는 경우 장치 캐리어가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선회 암이 통신용 부표를 상기 장치 캐리어(6)의 한 지지 장소로 밀어주도록 배치되고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캐리어(6) 위에 제공된 외부 갑판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플랩 밸브(16)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랩 밸브는 유압식 회전 실린더(22)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밸브(6)는 유압식으로 록킹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KR1020070135066A 2006-12-22 2007-12-21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구비한 잠수함 KR100977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61138.1 2006-12-22
DE102006061138A DE102006061138B3 (de) 2006-12-22 2006-12-22 Untersee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075A true KR20080059075A (ko) 2008-06-26
KR100977856B1 KR100977856B1 (ko) 2010-08-25

Family

ID=3897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066A KR100977856B1 (ko) 2006-12-22 2007-12-21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구비한 잠수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935779B1 (ko)
KR (1) KR100977856B1 (ko)
DE (1) DE102006061138B3 (ko)
ES (1) ES2612265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21B1 (ko) * 2011-06-28 2012-06-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자항기뢰 및 자항기뢰를 부설위치로 유도하는 방법
KR20160145075A (ko) * 2014-04-10 2016-12-19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잠수함용 리프팅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5111B3 (de) 2009-06-11 2010-12-16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
DE102009032138A1 (de) * 2009-07-08 2011-01-13 Gable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Aus- und Einbringen eines kabelgebundenen Schleppkörpers aus einem oder in ein Unterseeboot im getauchten Zustand
DE102015104137A1 (de) 2015-03-19 2016-09-22 Thyssenkrupp Ag Hubvorrichtung für ein U-Boot
CN110155282A (zh) * 2019-05-07 2019-08-23 常州大学 一种基于太阳能无人潜艇浅海探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479A (en) * 1962-08-07 1980-10-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ubmarine communications system
US3972046A (en) 1975-08-25 1976-07-27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Antenna arrangement for a submerged submarine
FR2518491A1 (fr) * 1981-12-22 1983-06-24 Eca Procede et dispositif d'observation et/ou de communication aeriennes pour sous-marin en plongee
DE3737342A1 (de) * 1987-11-04 1989-05-18 Gabler Ing Kontor Luebeck U-boot mit wenigstens einer einrichtung zum informationsaustausch
DE10115194B4 (de) * 2001-03-27 2005-10-13 Nordseewerke Gmbh Boje sowie Unterseeboot mit Handhabungseinrichtung
DE10129696A1 (de) * 2001-06-22 2003-01-02 Gabler Gmbh Maschbau Mastvorrichtung für ein Unterseeboot
DE10337004A1 (de) * 2003-08-12 2005-03-03 Howaldtswerke - Deutsche Werft Ag Vorrichtung zum Ausbringen einer Schleppantenne oder eines Schleppkabe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21B1 (ko) * 2011-06-28 2012-06-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자항기뢰 및 자항기뢰를 부설위치로 유도하는 방법
KR20160145075A (ko) * 2014-04-10 2016-12-19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잠수함용 리프팅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856B1 (ko) 2010-08-25
EP1935779B1 (de) 2016-10-26
EP1935779A3 (de) 2014-06-04
ES2612265T3 (es) 2017-05-16
EP1935779A2 (de) 2008-06-25
DE102006061138B3 (de)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9075A (ko) 잠수함
CA2658975C (en) Apparatus for recovering a surface marine vehicle or an underwater vehicle
US8313266B2 (en)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apparatus for offshore wind turbine generator
US7028627B2 (en) Submersible vehicle launch and recovery system
US8215257B2 (en) Lifeboat suspension systems
CA2658981A1 (en) An installation and a method for recovering a surface marine vehicle or an underwater vehicle
CA28389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 submarine vehicle
ES2610228T3 (es) Sistema y método de conexión marina
NO782044L (no) Stivt fortoeyningsarm-koblingssystem
NO340687B1 (no) Subsea fundament og tilhørende fremgangsmåte
CA2706751A1 (en) Lifting device for installing and servicing an underwater power plant
KR101160886B1 (ko) 잠수함
US8544400B2 (en) Mooring arrangement
US7985110B2 (en)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a floating unit to and from a buoy which is connected to a subsea installation
KR101023517B1 (ko) 케이블에 연결된 통신용 부표를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
MX2008013811A (es) Sistema de amarre desconectable.
NO314350B1 (no) Konnektormontasje og konnektorlegeme for offshore overföring av fluid
JP3485321B2 (ja) 船底の受入れ空間内に積込み/積降しブイを案内する装置
WO1991014615A1 (en) Mooring system
CN213677048U (zh) 一种船用止链器
CN114295421A (zh) 一种可对不同水层和淤泥层进行河道生态修复取样检测设备
EP3181440B1 (en) Retractable chain connector
EP3411290B1 (en) Mooring connector assembly
CN109415107B (zh) 可断开的船首转塔
US20130230359A1 (en) Retractable chai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