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123A - 가전 기기,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커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커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123A
KR20080058123A KR1020070008408A KR20070008408A KR20080058123A KR 20080058123 A KR20080058123 A KR 20080058123A KR 1020070008408 A KR1020070008408 A KR 1020070008408A KR 20070008408 A KR20070008408 A KR 20070008408A KR 20080058123 A KR20080058123 A KR 2008005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steel sheet
pattern
form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1028B1 (ko
Inventor
강동우
정혜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5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와, 상기 프런트 커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프런트 커버가 결합된 가전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 커버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문양이 표현된 강판에 포밍, 펀칭 또는 드로잉과 같은 공정이 수행되더라도 문양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세탁기, 건조기, 프런트 커버

Description

가전 기기,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 커버의 제조 방법{Electric home appliance, front cover coupled to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ront cove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가 결합된 가전 기기의 일실시예로서 보여주는 세탁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전 기기의 프런트 커버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의 패턴 형성 공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다른 프런트 커버의 성형 공정을 시계열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 제조 과정에서 적용되는 드로잉 공정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작업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 제조 과정에서 적용되는 드로잉 공정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작업 순서도.
도 8은 프런트 커버의 후처리 공정 중 노칭 및 트리밍 공정과 포밍 공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9는 도 8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10은 드로잉 공정을 통하여 프런트 커버의 테두리부가 소정 곡률로 만곡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Ⅱ-Ⅱ'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12는 드로잉 공정 이후 수행되는 트리밍 공정에 의하여 플랜지의 일부가 절단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의 후처리 공정 중 플랜지 다운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의 후처리 공정 중 볼트 체결홀을 형성하기 위한 펀칭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의 후처리 공정 중 캠벤딩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탁기 11 : 캐비닛
12 : 프런트 커버 13 : 컨트롤 패널
14 : 도어 15 : 세제 박스
본 발명은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와, 상기 프런트 커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프런트 커버가 결합된 가전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 기기라 함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기를 말하며, 그 예로서, 세탁기, 건조기, 식기 세척기, 냉장고, 에어컨 등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 가전 기기 중 세탁기, 건조기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세탁조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조는 도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세히,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전면에 제공되는 프런트 커버가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한다.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에 상기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최근에 등장하는 가전 기기는 기능 향상뿐 아니라 디자인의 고급화 및 다양화를 통해서 고품격화를 추구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고품격의 가전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품의 전면을 이루는 프런트 커버에 실크 스크린 인쇄 기법 등을 이용한 이미지가 표현된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한편, 프런트 커버의 경우 컬러 강판(pre-coated metal)에 드로잉, 펀칭 및 포밍 공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미지가 표현된 강판에 드로잉, 펀칭 또는 포밍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이미지의 균열 또는 스크래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프런트 커버의 제조 과정에서 프런트 커버 표면에 도색된 디자인의 균열 또는 파손 현상을 방지하는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 커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런트 커버가 결합된 가전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에는 PCM 강판의 일면에 실크 스크린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패턴이 형성된 강판에 세탁물 투입홀과 도어 안착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PCM 강판의 가장자리부가 부드럽게 라운드지도록 하는 드로잉 공정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프런트 커버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프런트 커버가 결합된 세탁기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프런트 커버가 결합된 건조기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 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가 결합된 가전 기기의 일실시예로서 보여주는 세탁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된 세탁기뿐 아니라 건조기와 같은 다른 가전 기기에도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이 안출된 세탁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12)와,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4)와,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상측에 제공되는 컨트롤 패널(13) 및 상기 컨트롤 패널(13)의 측방에 제공되는 세제 박스(1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 내부에는 세탁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드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커버(12)는 유채색으로 도장된 컬러 강판에 실크 스크린 기법에 의한 문양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유채색으로 도장된 컬러 강판에 한정되지 않고, 도색되지 않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에 직접 문양이 표현되는 것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세탁기(10)의 경우, 먼저 상기 프런트 커버(12)에 문양이 형성되고, 도어(14)가 결합되기 위한 홈 및 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완성된 프런트 커버(12)에 도어(14)가 장착된다. 그리고, 도어(14)가 장착된 프런트 커버(12)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결합되도록 한다. 물론, 이전에 상기 캐비닛(11) 내부에 터브와 드럼 및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구조 및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전 기기의 프런트 커버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커버(12)의 양단부에는 드로잉 공정에 의하여 부드럽게 만곡되는 만곡부(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내측에는 상기 도어(14)가 안착되기 위한 도어 안착부(122)가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안착부(122)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123)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안착부(122)는 포밍 공정에 의하여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투입홀(123)은 트리밍 공정에 의하여 원형 상태로 절개된다.
또한, 상기 도어 안착부(122)의 일측에는 도어 힌지가 결합되기 위한 도어 힌지 결합부(124)가 제공되며, 상기 도어 힌지 결합부(124)도 역시 펀칭과 트리밍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 힌지 결합부(124)와 대향되는 지점의 도어 안착부(122)에는 로커 삽입홀(125)이 형성되어, 도어(14)의 후면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로커(locker)가 삽입된다.
또한, 프런트 커버(12)의 하측에는 서비스 커버(미도시)가 결합되기 위한 서비스 커버홀(126)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서비스 커버홀(126)에는 상기 서비스 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서비스 커버를 열면 배수 펌프가 노출된다. 따라서, 세탁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 커버를 열어 배수 펌프에 남은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PCM 강판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커버(12)는 크게 전면에 문양을 착색하는 패턴 형성 공정(S11)과, 패턴이 형성된 PCM 강판을 제품 구조에 맞게 성형하는 프런트 커버 성형 공정(S12)으로 대별된다.
상세히, 상기 패턴 형성 공정(S11)은 PCM 강판의 전면에 문양이 착색되도록 하고, 착색된 문양이 벗겨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추가 공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프런트 커버 성형 공정(S12)은 상기 패턴 형성 공정(S11)을 통하여 원하는 문양이 형성된 PCM 강판에 펀칭, 노칭, 드로잉 및 벤딩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가전 제품의 전면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공정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제시된 패턴 형성 공정(S11)과 프런트 커버 성형 공정(S12)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의 패턴 형성 공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커버(12)에 원하는 형태의 문양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크 스크린 인쇄 기법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패턴 형성 공정이라 함은 강판의 표면에 특정 형태의 문 양 또는 형상이 표현되도록 하기 위한 전체적인 과정을 말한다.
상세히, 상기 실크 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형성된 문양이 상기 펀칭, 드로잉 등과 같은 공정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가공 과정이 수행된다.
먼저,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제조된 직사각형 형태로 컬러 강판(PCM : Pre-Coated Metal)을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컬러 강판(PCM)은 금속 판재의 양면 또는 단면에 폴리에스터, 실리콘폴리에스터, 불소수지 등 각종 수지를 입힌 유색 강판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강판의 표면에 원하는 형태의 문양이 나타나도록 하는 문양 착색 공정(S111)이 수행된다. 그리고, 문양 착색 공정(S111)이 완료되면 착색된 문양의 보호를 위한 코팅 공정(S112)이 수행된다. 그리고, 코팅 처리된 문양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공정(S113)과, 건조가 완료된 강판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S114)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냉각이 완료된 강판에 보호 필름을 피막하기 위한 필름 피막 공정(S115)이 마지막으로 수행된다.
한편, 상기 문양 착색 공정(S111)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하여 수행된다.
먼저, 상기 문양 착색을 위하여 실크 스크린 인쇄를 이용하며, 단일의 색상이 강판 표면에 인쇄되도록 하는 과정(1도 인쇄)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문양이 강판의 표면에 인쇄된다.
더욱 상세히, 1도 인쇄를 위하여 강판의 표면에 원하는 도안의 형태에 따라 망점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스크린을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 1 단일색의 염료 를 투입하고 스퀴지(squeegee)를 스크린 상에서 전후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염료가 스크린에 형성된 망점을 통과하여 강판의 표면에 1도 인쇄처리된다.
그리고, 1도 인쇄 과정을 거친 강판을 건조하는 건조 과정이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염료가 인쇄된 강판을 섭씨 100도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염료가 강판의 표면에 견고하게 융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건조 온도가 100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염료의 건조가 불량하고 염료가 강판의 표면에 완전히 융착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건도 온도가 반드시 섭씨 100도 이상이 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150도 ~ 400도의 범위가 좋다.
상기 건조 과정이 완료되면, 건조 처리된 강판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이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건조 공정을 거친 강판을 에어컨과 같은 냉각 수단을 이용하여 섭씨 -10도 ~ 40도 범위에서 강제 냉각시킨다. 더욱 상세히, 상기 건조 공정을 거친 강판의 표면 온도가 높은 상태이며, 강판의 표면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도색된 염료의 완전 건조를 보장할 수 없으며, 염료가 강판의 표면에 완전히 융착되었는지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냉각 공정을 통하여 상기 강판의 완전 건조가 담보되므로, 차기 공정이 신속하게 진행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각 공정이 완료되면, 또다른 단일 색상을 도포하는 2도 인쇄 과정이 수행된다.
상세히, 1차 인쇄 및 건조 과정을 통하여 1도 인쇄된 강판에 1도 인쇄시 사용되었던 스크린의 도안과 일련성을 갖는 도안의 망점이 형성된 또다른 스크린을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1도 인쇄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2가지 색이 강판에 표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1도 인쇄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강판의 표면에 4도,6도 8도 등과 같이 복수의 색상으로 구성되는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복수의 인쇄 과정을 거치면서 원하는 문양이 완성되면, 상기 코팅 공정(S112)을 통하여 완성된 문양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코팅 공정(S112)은 인쇄 및 건조가 완료된 강판의 표면에 투명 점액질의 페이스트(paste)를 코팅하는 공정으로서, 인쇄 및 건조가 완료된 강판을 상하면에 배치된 피딩 롤러(feeding roller)를 통과시켜, 강판의 표면에 피이스트가 일정 두께로 도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코팅 공정에 의하여 강판의 표면에 인쇄된 염료의 색상과 문양이 보호된다.
또한, 상기 코팅 공정(S112)이 완료되면, 코팅된 강판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S113)이 수행된다. 상기 건조 공정(S113)은 문양 착색 공정(S111)에서 적용된 건조 공정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또한, 상기 건조 공정(S113)이 완료되면, 코팅 및 건조가 완료된 강판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S114)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공정도 상기 문양 착색 공정(S111)에서 적용된 냉각 공정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한편, 상기 냉각 공정(S114)이 완료되면 문양이 완성된 강판의 표면에 합성 수지 보호 필름을 피막하는 필름 피막 공정(S115)이 수행된다. 상기 필름 피막 공 정(S115)은 문양이 완성된 강판의 표면에 합성 수지 보호 필름을 피막하는 라미네이팅 공정으로서, 강판의 인쇄면에 박막의 합성 수지 필름이 진공 상태로 유지되도록 접합시켜, 완성된 컬러 강판의 운반 및 이송 과정에서 인쇄면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패턴 형성 공정(S11)에 의하면, 수차례의 건조와 냉각 공정이 반복 수행됨으로써, 강판의 표면에 인쇄된 염료가 견고하게 융착되어 내구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문양이 인쇄된 상태에서 드로잉 공정, 포밍 공정 또는 펀칭 공정이 수행되더라도 문양의 균열이나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다른 프런트 커버의 성형 공정을 시계열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패턴 형성 공정을 거치면서 전면에 문양이 형성된 PCM 강판에 대하여 여러 단계의 후처리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완성된 프런트 커버가 성형되도록 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커버 성형 공정(S12)에는 문양이 형성된 PCM 강판의 모서리 부위를 절단하고, 내측에 소정 크기의 세탁물 투입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 노칭 및 트리밍(trimming) 공정(S111)과, 상기 트리밍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도어 안착부를 형성하는 포밍 공정(S112)과, 상기 도어 안착부가 형성된 강판의 가장자리 부위가 소정 곡률로 만곡되도록 하는 드로잉 공정(S113)과, 상기 드로잉 공정(S113) 공정이 적용되지 않은 플랜지의 일부를 적 당한 길이로 절단하는 트리밍 공정(S114)과, 상기 트리밍 공정(S114)을 통하여 절단된 플랜지 부분을 펴는 플랜지 다운(flange down) 공정(S115)과, 상기 플랜지 부분에 체결 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는 펀칭 공정(또는 피어싱 공정)(S116) 및 상기 체결 부재 관통홀이 형성된 플랜지 부분을 프런트 커버(12)의 내측으로 절곡하는 캠벤딩(cam bending) 공정(S117)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치면서 문양이 착색된 강판이 하나의 완전한 프런트 커버가 완성되며,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각각의 공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 제조 과정에서 적용되는 드로잉 공정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작업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커버(12)의 테두리부가 소정 곡률로 부드럽게 만곡되도로 하기 위하여 드로잉 공정이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테두리부가 드로잉 공정에 의하여 부드럽게 만곡됨으로써, 상기 프런트 커버(12)가 결합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외관이 깔끔하게 처리되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게 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드로잉 공정에는 플레인 푸시-스루 드로잉(plain push-through drawing)과 인버티드 드로잉(inverted drawing)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인 푸시 스루 드로잉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플레인 푸시 스루 드로잉 공정에서는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 사이로 삽입되면서 프런트 커 버(12)가 부드럽게 휘어지도록 하는 가압 부재(22)가 준비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대(21)가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양단부, 즉 만곡될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대(211) 사이로 상기 가압 부재(22)가 만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부재(22)가 완전히 만입되면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양단부는 소정 곡률로 만곡되고, 중심부는 평평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부재(22)의 만입 깊이에 따라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양단부의 곡률이 다르게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 제조 과정에서 적용되는 드로잉 공정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작업 순서도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버티드 드로잉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인버티드 드로잉 공정은 상기 플레인 푸시 스루 드로잉과 반대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중심부가 지지대(31)에 의하여 지지되고, 양단부가 가압 부재(32)에 의하여 가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지지대(31)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부재(32)가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양단부를 가압하면서 하강한다. 그러면, 상기 지지대(31)는 상기 가압 부재(32)에 대하여 상대 운동하게 되고, 상기 가압 부재(32) 사이로 만입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 공정에 의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양단부가 소정 곡률로 만곡된다.
도 8은 프런트 커버의 후처리 공정 중 노칭 및 트리밍 공정과 포밍 공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고, 도 9는 도 8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패턴이 형성된 강판의 모서리 부위를 절개하는 노칭 공정을 통하여, 모서리 부위의 강판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후술하게 될 드로잉 공정에서 소재가 모서리쪽으로 쏠려서 주름이 생기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판의 내측에 요구되는 세탁물 투입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노칭과 트리밍은 단일의 공정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트리밍 공정에서 세탁물 투입홀(123)의 크기는 프런트 커버 완성 단계에서 요구되는 투입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 뒤에, 상기 세탁물 투입홀(123) 부위가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도어 안착부(122)가 형성되도록 하는 포밍 공정(S112)이 수행된다. 그러면, 포밍 과정에서 상기 강판이 신장되면서 함몰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홀(123)은 최초의 홀 직경보다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물 투입홀(123)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도어 배면에 제공되는 도어 글래스의 외경에 상당하는 크기로 확장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안착부(122)는 상기 도어의 외경에 상당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밍 공정에 앞서 상기 트리밍 공정이 먼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포밍 공정이 수행된 후에 트리밍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면, 강판이 늘어나는 부분의 면적이 커지게 된다. 즉, 포밍 공정에서 강판을 누르는 가압 부재에 큰 힘이 들어가게 되고, 포밍된 부분의 강판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포밍 공정이 적용되는 부분에 형성된 문양이 늘어나거나 강판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결과, 원 래의 위치에 형성되어야 할 문양이 세탁물 투입홀(123) 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트리밍 공정이 수행된 다음에 포밍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강판의 늘어나는 부분의 면적이 감소되므로, 포밍이 적용된 부분의 강판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강판에 형성된 문양이 원래의 위치를 크게 벗어 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문양의 형상도 거의 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PCM 강판에 노칭 및 트리밍 공정이 수행되고 나면 세탁물 투입홀(123) 부분이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도어 안착부(122)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안착부의 외측은 평평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0은 드로잉 공정을 통하여 프런트 커버의 테두리부가 소정 곡률로 만곡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Ⅱ-Ⅱ'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의 노칭 및 트리밍 공정과 포밍 공정이 수행된 다음 프런트 커버(12)의 테두리부가 부드럽게 만곡되도록 하는 드로잉 공정(S113)이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도 6 또는 도 7에 제시된 드로잉 공법 중 어느 한 방법을 이용하여 강판의 사면이 부드럽게 만곡되도록 한다. 즉, 프런트 커버(12)의 크기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가압 부재(32)가 상기 강판을 가압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강판의 가장자리 부위가 함몰되면서 소정 곡률로 만곡되는 만곡부(127)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드로잉 공정에서 홀더(33)를 이용하여 강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잡아주도록 한다. 그러면, 드로잉 과정에서 만곡부(127)가 소정의 곡률 반경(R)으로 부드럽게 만곡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33)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은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어 플랜지(128)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28)는 최종 공정에서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캐비닛 전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플랜지(128)가 캐비닛 전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드로잉 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지지대와 강판의 접촉에 의하여 강판의 표면에 입혀진 필름막이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또는 금형이라고도 함)의 표면에도 PE 계열 또는 PVC 계열의 보호 필름 막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드로잉 공정 이후 수행되는 트리밍 공정에 의하여 플랜지의 일부가 절단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드로잉 공정(S113)이 수행된 다음에는 상기 플랜지(128)의 일부분을 잘라내는 트리밍 공정(S114)이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트리밍 공정(S114)을 통하여 상기 플랜지(128)의 가장자리 부위를 잘라내어 프런트 커버(12)의 테두리부가 깔끔하게 정리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잉 공정(S113)이 수행되면 강판이 늘어나면서 가장자리 부위가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강판의 인접하는 두면에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강판의 모서리 부위는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인접하는 두 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변형력에 의하여 소재의 일부가 네 개의 모서리 부위로 각각 집중되어, 모서리 부분에 주름이 잡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강판의 모서리 부위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돌출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형상 변형이 일어난 부위를 절단하는 트리밍 공정(S114)에 의하여, 프런트 커버(12)의 테두리 부위가 매끈하게 정리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의 후처리 공정 중 플랜지 다운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도 12에서 제시된 트리밍 공정(S114)이 완료되면, 상기 만곡부(127)의 단부에서 절곡된 상태로 유지되는 상기 플랜지(128)를 배면으로 곧게 펴는 플랜지 다운(flange down) 공정(S115)이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플랜지 다운 공정은 후술하게 될 캠 벤딩(cam bending)의 전(前)공정으로서, 플랜지가 두 단계에 걸쳐서 프런트 커버(12)의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더욱 상세히, 상기 플랜지 다운 공정에서는 상기 프런트 커버의 내측에 금형이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플랜지의 상부면으로부터 가압부재가 하강하도록 한다. 즉, 상기 가압 부재가 플랜지를 가압하여 펴지도록 하며, 펴진 플랜지가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내측에 밀착된 금형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플랜지가 만곡부(127)의 끝 부분에서 곧게 펴지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의 후처리 공정 중 볼트 체결홀 을 형성하기 위한 펀칭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 다운 공정에 의하여 프런트 커버(12)의 후방으로 곧게 펴진 플랜지에 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펀칭 공정(S116)이 더 수행된다.
상세히,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외부 측방에서 펀칭 기구를 이용하여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커버의 후처리 공정 중 캠벤딩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펀칭 공정(S116)이 수행된 다음에는 상기 플랜지(128)가 프런트 커버(12)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캠벤딩 공정(S117)이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플랜지(128)가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12)가 결합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가전 기기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캠벤딩 공정(S117)에 의하여 상기 플랜지(128)가 절곡되고, 상기 플랜지(128)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1)의 전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캠벤딩 공정은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사면에 형성된 모든 플랜지(128)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시 말하면, 좌우면 캠벤딩과 상하면 캠벤딩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캠벤딩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플랜지 다운 과정에서 프런트 커버(12)의 모서리 부위가 접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 부위에 접혀진 소재 를 잘라내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즉, 캠벤딩 공정에서 내측으로 접혀지는 상측 또는 하측 테두리부의 플랜지와 측면 테두리부의 플랜지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잘라내는 과정이 선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 다운 과정이 수행되기 전에 볼트 체결홀을 형성하기 위한 펀칭 공정이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플랜지 다운 과정과 캠벤딩 과정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 부분이 180도 전환되도록 플랜지 다운 과정과 캠벤딩 과정이 한번에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플랜지 다운 과정이 수행되기 전에 프런트 커버(12)의 모서리 부분을 잘라 내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 커버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문양이 표현된 강판에 포밍, 펀칭 또는 드로잉과 같은 공정이 수행되더라도 문양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원형의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프런트 커버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어, 고품격의 가전 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강판의 일면에 실크 스크린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패턴이 형성된 강판에 세탁물 투입홀과 도어 안착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강판의 가장자리부가 부드럽게 라운드지도록 하는 드로잉 공정이 포함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에 형성된 패턴이 상기 도어 안착부 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세탁물 투입홀을 형성하는 과정이 상기 도어 안착부를 형성하는 공정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투입홀을 형성하는 공정과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되며, 상기 강판의 모서리부를 절단하는 노칭 공정이 더 포함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에는,
    문양 착색 공정과,
    착색된 문양을 코팅하는 코팅 공정과,
    코팅층이 형성된 강판의 표면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과,
    건조된 강판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 및
    코팅층이 형성된 강판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입히는 필름 피막 공정이 포함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 착색 공정은 상기 강판의 표면에 단일 색상의 염료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의 문양을 스크린 인쇄하는 공정과, 염료가 인쇄된 강판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 및 건조된 강판을 냉각시키는 냉각 공정이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건조 온도는 적어도 섭씨 10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냉각 온도는 섭씨 -15도 ~ 40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공정에서 형성된 플랜지의 일부를 절단하는 트리밍 공정과,
    상기 트리밍 공정 후 남은 플랜지를 펴는 플랜지 다운 공정과,
    상기 플랜지에 체결 부재 삽입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 펀칭 공정과,
    상기 홀이 형성된 플랜지를 상기 강판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하는 벤딩 공정이 더 포함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다운 공정과 펀칭 공정 및 벤딩 공정의 순서는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다운 공정과 벤딩 공정은 연속하여 수행 가능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공정에는 플레인 푸시 스루 드로잉 또는 인버티드 드로잉이 포함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공정에서 패턴이 형성된 강판의 표면과 접촉되는 금형의 표면에 PE 또는 PVC 계열의 필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에는 PCM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이 포함되는 프런트 커버 제조 방법.
  14. 제 1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프런트 커버.
  15. 제 1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프런트 커버가 결합된 세탁기.
  16. 제 1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프런트 커버가 결합된 건조기.
KR1020070008408A 2006-12-20 2007-01-26 가전 기기,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커버의 제조 방법 KR100901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616 2006-12-20
KR20060130616 2006-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123A true KR20080058123A (ko) 2008-06-25
KR100901028B1 KR100901028B1 (ko) 2009-06-04

Family

ID=398038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408A KR100901028B1 (ko) 2006-12-20 2007-01-26 가전 기기,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커버의 제조 방법
KR1020070069898A KR100895150B1 (ko) 2006-12-20 2007-07-12 가전 기기,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커버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898A KR100895150B1 (ko) 2006-12-20 2007-07-12 가전 기기,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커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90102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50B1 (ko)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970143B2 (en) 2015-11-02 2018-05-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or
US10047473B2 (en) 2015-11-02 2018-08-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693866C1 (ru) * 2015-11-02 2019-07-0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US10344422B2 (en) 2015-11-02 2019-07-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711389B2 (en) 2015-11-02 2020-07-14 Lg Electronics Inc. Door hinge of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815602B2 (en) 2015-11-02 2020-10-2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2379A (zh) * 2017-01-18 2017-06-20 滁州市新康达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冰箱底板冲压件加工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7862B2 (ja) * 1995-09-08 2004-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折曲フランジを有する絞り成形品の成形方法
KR20000038815A (ko) * 1998-12-09 2000-07-05 이철우 엠보스 처리된 융착라미나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85567A (ko) * 2001-05-09 2002-11-16 주식회사 몰텍스 엠보싱 처리 장식용 금속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42765A (ko) * 2001-11-23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스테인레스 질감을 가지도록 하는 냉장고 도어의 도장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50B1 (ko)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7078340A1 (ko) * 2015-11-02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970143B2 (en) 2015-11-02 2018-05-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or
US10000879B2 (en) 2015-11-02 2018-06-1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006159B2 (en) 2015-11-02 2018-06-2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047473B2 (en) 2015-11-02 2018-08-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094063B2 (en) 2015-11-02 2018-10-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or
US10161076B2 (en) 2015-11-02 2018-12-2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266983B2 (en) 2015-11-02 2019-04-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693866C1 (ru) * 2015-11-02 2019-07-0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US10344422B2 (en) 2015-11-02 2019-07-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711389B2 (en) 2015-11-02 2020-07-14 Lg Electronics Inc. Door hinge of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815602B2 (en) 2015-11-02 2020-10-2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RE49269E1 (en) 2015-11-02 2022-11-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028B1 (ko) 2009-06-04
KR20080058145A (ko) 2008-06-25
KR100895150B1 (ko) 2009-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028B1 (ko) 가전 기기,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커버의 제조 방법
JP4719433B2 (ja) 電化製品用のドアまたは蓋
JP5431813B2 (ja) インモールド加飾成形装置及びその成形方法
US2008024511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ront cover for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184001A1 (en) Home appliance with decorated exterior panel
AU2003231314B2 (en) Top cover assembly for laundry dryer
JP2005058753A5 (ko)
JP2016068475A (ja) 加飾シート
CN103453721B (zh) 冰箱门及其制造方法、装饰面板和真空模制装置
KR101354579B1 (ko) 지그(jig) 및 유브이(uv) 몰딩을 이용한 데코글라스의 제조방법
CN101678647B (zh) 电波透过性转印材料的制造方法
JP5808661B2 (ja) 光輝フィルムの賦形方法、及び光輝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4693550B2 (ja) 印刷シート及び印刷シートの製造方法
WO2009139082A1 (en) Film for film insert molding and molded product
US8501063B2 (en) Process of graining thermoplastic sheets
KR100479105B1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 및 드럼 세탁기의 헤어라인을 갖는 도어의 제작방법
JP2006095937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による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CN211038360U (zh) 开合门组件
JP2006281707A (ja) 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KR101810462B1 (ko) 2톤 컬러를 갖는 금속제 패널의 표면처리방법
EP2387638B1 (en)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panel
JP2006038250A (ja) 冷蔵庫扉の化粧板
EP2494538B1 (en) Method of adhering an exterior film to a home appliance
CN113636745B (zh) 3d玻璃及表面纹理图案的制作方法、玻璃壳体和电子设备
KR100971558B1 (ko) 입체형상을 갖는 가전제품용 데코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