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962A -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용취성 버퍼 - Google Patents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용취성 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962A
KR20080055962A KR1020087010141A KR20087010141A KR20080055962A KR 20080055962 A KR20080055962 A KR 20080055962A KR 1020087010141 A KR1020087010141 A KR 1020087010141A KR 20087010141 A KR20087010141 A KR 20087010141A KR 20080055962 A KR20080055962 A KR 2008005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brittle
elevator car
elevator
counter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페리시
리차드 맥카시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8701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5962A/ko
Publication of KR2008005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4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mounted on cars or counterweights
    • B66B5/286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mounted on cars or counterweights between two cars or two counterweight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은 승강로(26) 내에 다수의 카들(22, 32)을 포함한다. 평형추들(24, 34)은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들(22, 32)과 연관된다. 취성 버퍼들(40, 38)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들(22, 32), 평형추들(24, 34) 중 1 이상 또는 둘 모두와 연관된다. 나타낸 예시에서, 버퍼 액티베이터들(42, 39)은 취성 버퍼들(40, 38)의 취성부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깨트려 엘리베이터 카들(22, 32) 또는 평형추들(24, 34) 간의 충돌 또는 충돌 임박과 연관된 에너지를 분산시키도록 작동한다.

Description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용 취성 버퍼{FRANGIBLE BUFFER FOR AN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A HOISTWA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1 이상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버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로프 또는 다른 부하 지지 부재에 의하여 함께 결합되는 카 및 평형추를 포함한다. 머신은, 예를 들어 빌딩 내의 다양한 층들 사이에서 승객들을 싣고 내리기 위하여 카의 이동을 제어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평형추 및 카는 통상적으로 승강로 내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단일 승강로 내에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증대되거나 개선된 승객 서비스를 위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들과 관련된 예시적 특허에는 미국특허 제 1,837,643 호; 제 1,896,776 호; 제 5,419,414 호; 제 5,584,364 호; 및 공개공보 U.S. 2003/0075388이 포함된다. 이들 각각은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 구성요소들의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제공하려할 경우 나타나는 여러 과제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들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이동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의 디자인과는 무관하게, 엘리베이터 카들 또는 평형추들 사이에 충돌이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카들 또는 평형추들 간의 충돌과 연관된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시킬 필요가 존재한다.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승강로의 바닥 또는 피트(pit) 내에 배치되는 버퍼를 포함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스프링-기반이다. 코일 스프링 또는 오일 충전 실린더들은 가버너(governor) 또는 브레이킹 디바이스가 카 또는 평형추의 하향 이동을 제어할 수 없는 경우 부적절한 방식으로 승강로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는 엘리베이커 카 또는 평형추와 연관된 에너지를 흡수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버퍼들은 상대적으로 크고 무거우며 고가이다. 그러므로, 카들 또는 평형추들 간의 잠재적인 충돌과 연관된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승강로 내에 2 대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종래의 버퍼 장치를 채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카들 또는 평형추들이 충돌하는 경우에 승강로 내에 2 대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서의 에너지-흡수 능력들을 제공하는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예시로 개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 내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해 지지되는 제 1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한다. 제 1 엘리베이터 아래의 제 2 엘리베이터 카는 제 1 엘리베이터 카와는 독립적으로 승강로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들 중 1 이상 상에서 지지되는 1 이상의 취성(frangible) 버퍼는 취성 버퍼와, 다른 엘리베이터 카와 연관된 대응부 간의 접촉과 연관된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는, 취성 버퍼와의 접촉 시 취성 버퍼의 취성부를 깨기 위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카 상에 1 이상의 버퍼 액티베이터가 지지된다.
일 예시는 엘리베이터 카들 상에서 지지되는 복수의 버퍼 액티베이터들 및 복수의 취성 버퍼들을 각각 포함한다.
하나의 승강로 내에 1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의 엘리베이터 카들 또는 평형추들의 충돌의 경우 또는 충돌 부근에서 에너지를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흡수한다.
당업자라면 후속 설명부로부터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 및 장점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한 설명부에 첨부된 도면들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승강로 내에 1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 및 취성 버퍼들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된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2는 일 예시의 취성 버퍼 및 액티베이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의 선택된 부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카(22)는 승강로(26) 내에서의 동시 이동을 위해 제 1 평형추(24)와 커플링된다. 도 1에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제 1 엘리베이터 카(22)는 알려진 바와 같이 복수의 로프 또는 벨트에 의하여 제 1 평형추(24)에 커플링된다. 제 2 엘리베이터 카(32)는 (도면에 따르면) 제 1 엘리베이터 카(22) 아래에 위치된다. 제 2 엘리베이터 카(32)는 제 2 평형추(34)와 연관되어 알려진 바와 같이 승강로(26) 내에서 함께 이동한다.
이 예시에서, 평형추들(24 및 34)은 공통의 가이드레일들(36)을 따라 이동한다. 달리 말해, 평형추들(24 및 34)은 동일한 가이드레일을 공유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시스템(20)의 또 다른 특징은 서로 접촉하는 평형추들과 연관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1 이상의 취성 버퍼(38)가 1 이상의 평형추들(24 및 34) 상에서 지지된다는 것이다. 다른 평형추[이 예시에서는 제 2 평형추(34)]는, 예를 들어 평형추들(24 및 34)이 충돌하거나 거의 충돌하는 경우에 취성 버퍼(38)와 상호작용하는 버퍼 액티베이터(39)를 포함한다. 버퍼 액티베이터(39)는 평형추들(24 및 34)이 충돌 또는 거의 충돌하려 할 때 서로를 향하는 상기 평형추들(24 및 34)의 움직임과 연관된 에너지를 분산시키기 위해 취성 버퍼(38)의 취성부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깨트리도록 작동한다.
도 1의 예시에서, 제 2 엘리베이터 카(32)는 제 1 엘리베이터 카(22)를 향하는 복수의 취성 버퍼(40)를 포함한다. 대응되는 복수의 버퍼 액티베이터들(42)은 제 1 엘리베이터 카(22) 상에서 지지된다.
도 2는 일 엘리베이터 카(32) 상에서 지지되는 복수의 취성 버퍼(40) 및 다른 엘리베이터 카(22) 상에서 지지되는 대응되는 복수의 버퍼 액티베이터(42)를 구비한 하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는 프레임(52) 상에서 알려진 방식으로 지지되는 케빈(cabin;50)을 포함한다. 프레임(52) 및 그들의 다양한 부재들은 통상적인 것들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52)은 크로스헤드 빔들(crosshead beams;54) 및 플랭크 빔들(plank beams;56)을 포함한다.
나타낸 예시에서, 취성 버퍼들(40)은 제 2 엘리베이터 카(32)의 크로스헤드 빔들(54)에 의하여 지지되는 버퍼 지지부들(60)을 포함한다. 이 예시에서, 취성 버퍼들(40)의 취성부들은 크로스헤드 빔들(54) 넘어 위로 연장된다. 버퍼 액티베이터들(42)은 제 1 엘리베이터 카(22) 프레임(52)의 플랭크 빔들(56) 부근에서 지지된다. 일 예시에서, 버퍼 액티베이터들(42)은 2 개의 플랭크 빔들(56) 사이에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물론, 취성 버퍼들(40) 및 버퍼 액티베이터들(42)은 다른 엘리베이터 카 상에서 각각 지지되도록 반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는 각 카 상의 1 이상의 버퍼 및 각 카 상의 1 이상의 대응되는 버퍼 액티베이터를 포함한다.
예시적 버퍼 액티베이터들(42)은 말단 단부(64) 및 웨지부(66)를 갖는 플런저(plunger)를 구비한다. 이 예시에서, 말단 단부들(64)은 버퍼 액티베이터들(42)과 취성 버퍼들(40)이 충분한 힘으로 접촉할 때 취성 버퍼들(40) 상의 말단 표면(68)을 관통할 수 있다. 그 다음, 웨지부들(66)은 엘리베이터 카들(22 및 32)이 함께 보다 가까와지도록 점진적으로 이동할 때 취성 버퍼들(40)을 점진적으로 쪼개도록 작동한다. 취성 버퍼들(40)을 깨트리고 그들을 점진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은 엘리베이터 카들 (22 및 32) 간의 충돌 시 또는 거의 충돌하는 경우 연관된 에너지를 분산시킨다.
일 예시에서의 취성 버퍼들(40)은 대응되는 버퍼 액티베이터(42)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깨어지는 경우 폐기가능하고 교체가능한 일회용(single-use) 디바이스이다. 엘리베이터 카들 또는 평형추들 간의 충돌 또는 충돌 임박의 가능성이 최소화된다고 하면, 취성 버퍼들의 최소한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예시적 취성 버퍼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은 종래의 코일 스프링 또는 유압식 엘리베이터 버퍼들을 이용할 때 가능한 것보다 훨씬 더 경제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
본 예시에 의하여 제공되는 또 다른 경제적인 장점은 버퍼가 준비되었음(buffer readiness)을 체킹 또는 전기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성을 제거한다는 점이다. 유압식 버퍼들은 버퍼의 작동이 준비되었다는 확인으로서 오일 충전 레벨 및 피스톤의 위치 상태를 입증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검사되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은, 예를 들어 유압식 버퍼가 평형추 상에 장착된다면 불합리하게 비싸진다. 이 예시에서 사용되는 취성 버퍼는 버퍼의 작동부가 온전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간단한 시각적 검사 능력을 제공하여, 훨씬 더 저렴하다.
일 예시에서, 취성 버퍼들(40)은 버퍼 액티베이터들(42)과의 상호작용에 반 응하여 2 이상의 부분들로 쪼개지는 금속 튜브들을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버퍼 액티베이터들(42)은 취성 버퍼가 교체될 때마다 교체되어야 한다.
일 예시에서 평형추 버퍼(38) 및 버퍼 액추에이터(39)는 엘리베이터 카들 상에서 사용되는 것과 기본적으로 같다. 몇몇 예시들은 평형추들 상에서 사용되는 것들과 비교하여 카들 상에서는 상이한 버퍼 타입들을 포함한다.
주어진 이러한 설명부에서, 당업자는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어떠한 재료들 및 어떠한 구조가 취성 버퍼를 제공할 필요성을 가장 잘 충족시키는지를 확실히 이해할 것이다.
상술된 설명부는 기본적으로 제한보다 예시적인 것이다. 당업자들은 개시된 예시들의 변형례 및 수정례들이 본 발명의 기본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주어진 법적 보호범위는 후속 청구범위를 분석함으로써만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4)

  1.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 내에서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해 지지되는 제 1 엘리베이터 카;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있으며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와는 독립적으로 승강로 내에서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해 지지되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들 중 1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들 상에서 지지되고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깨어져, 취성 버퍼와 다른 엘리베이터 카와 연관된 대응되는 부분 간의 접촉과 연관되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1 이상의 취성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성 버퍼와의 접촉시 상기 취성 버퍼의 취성부를 깨트리기 위하여 상기 다른 엘리베이터 카 상에서 지지되는 1 이상의 버퍼 액티베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취성 버퍼와 대응되는 복수의 버퍼 액티베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액티베이터는 상기 취성 버퍼와 상기 버퍼 액티베이터 간의 접촉이 있을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들이 함께 점진적으로 더 가까이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취성부를 점진적으로 더 깨트리기 위한 플런저(plunge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는 프레임의 최상부를 따라서는 크로스헤드 빔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바닥을 따라서는 플랭크 빔을 갖는 상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취성 버퍼는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카의 크로스헤드(crosshead) 빔 또는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의 플랭크(plank) 빔 중 하나 부근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액티베이터와 상기 취성 버퍼 간에 접촉이 있는 경우 상기 취성 버퍼의 취성부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깨트리기 위하여,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의 플랭크 빔 또는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카의 크로스헤드 빔 중 하나 부근에서 지지되는 버퍼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와 동시에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와 커플링되는 승강로 내의 제 1 평형추;
    상기 제 1 평형추 위의 승강로 내에 있으며,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카와 동시에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카와 커플링되는 제 2 평형추; 및
    상기 평형추들 중 1 이상의 평형추 상에서 지지되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깨어짐으로써, 상기 취성 평형추 버퍼와 다른 평형추 버퍼와 연관된 대응되는 부분 간의 접촉과 연관되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1 이상의 평형추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액티베이터와 상기 취성 평형추 버퍼 간의 접촉이 있는 경우 상기 취성 평형추 버퍼의 취성부를 깨트리기 위하여 다른 평형추 상에서 지지되는 버퍼 액티베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 내에서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해 지지되는 제 1 엘리베이터 카;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와 커플링되어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와 동시에 이동하는 상기 승강로 내의 제 1 평형추;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있고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와 독립적으로 상기 승강로 내에서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해 지지되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상기 제 1 평형추 위에 있고,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카와 커플링되어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카와 동시에 이동하는 상기 승강로 내의 제 2 평형추;
    상기 엘리베이터 카들 중 1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 또는 상기 평형추들 중 하나의 평형추 상에서 지지되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깨어짐으로써, 다른 엘리베이터 카 또는 다른 평형추와 연관된 대응되는 부분과 취성 버퍼 간의 접촉과 연관되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1 이상의 취성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취성 버퍼와의 접촉 시 상기 취성 버퍼의 취성부를 깨트리기 위하여 상기 다른 엘리베이터 카 또는 상기 다른 평형추 상에서 지지되는 1 이상의 버퍼 액티베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복수의 취성 버퍼들 및 대응되는 복수의 버퍼 액티베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액티베이터는, 상기 취성 버퍼와 상기 버퍼 액티베이터 간의 접촉이 있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들 또는 상기 평형추들이 함께 점진적으로 더 가 까이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취성부를 점진적으로 더 깨트리기 위한 플런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들 중 1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들 상의 1 이상의 취성 버퍼 및 상기 평형추들 중 1 이상의 평형추 상의 1 이상의 다른 취성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 상의 복수의 취성 버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087010141A 2008-04-28 2005-09-29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용취성 버퍼 KR20080055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10141A KR20080055962A (ko) 2008-04-28 2005-09-29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용취성 버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10141A KR20080055962A (ko) 2008-04-28 2005-09-29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용취성 버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962A true KR20080055962A (ko) 2008-06-19

Family

ID=3980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141A KR20080055962A (ko) 2008-04-28 2005-09-29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용취성 버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59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057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712314B2 (ja) エレベータ設備に保護帯域を形成するためのバッファ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保護帯域形成方法
CN103213888A (zh) 电梯设备
EP1928776B1 (en) Frangible buffer for an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a hoistway
CN107922155B (zh) 电梯缓冲系统
JP6200841B2 (ja) 乗客コンベア
EP0567099B1 (en) Motion buffer for a people moving device
CN101272979A (zh) 升降机通道具有多个轿厢的升降机系统的易损缓冲器
KR20080055962A (ko)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용취성 버퍼
CN107531451B (zh) 用来确保预定电梯竖井间隙的用于电梯系统的监测系统
EP1934126B1 (en) Counterweight with partially imbedded buffer
CN115258864A (zh) 一种防坠落施工升降机
JP2007197138A (ja)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US5238088A (en) Pit buffer assembly for high speed elevators
JP4700994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
JP2006315796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装置
EP1882667A1 (en) Elevator device
JP3178109U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6204061A (ja) エレベータ装置
JP7405193B1 (ja) エレベータ
JP43020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0302353A (ja) エレベータのばね緩衝器
US11912538B2 (en) Double impact area buffer for improved plank
CN217732349U (zh) 一种太阳能电梯停电应急平层装置
JP200416845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