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4156A -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4156A
KR20080054156A KR1020060126380A KR20060126380A KR20080054156A KR 20080054156 A KR20080054156 A KR 20080054156A KR 1020060126380 A KR1020060126380 A KR 1020060126380A KR 20060126380 A KR20060126380 A KR 20060126380A KR 20080054156 A KR20080054156 A KR 20080054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printing
print data
paper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2533B1 (ko
Inventor
손정우
박수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533B1/ko
Priority to US11/854,905 priority patent/US8010003B2/en
Priority to CNA2007101861949A priority patent/CN101201568A/zh
Publication of KR2008005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용지 선단의 토너 화상의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이면 인쇄 시기를 지연 설정하여 용지 선단에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복사를 위해 사용하는 커버를 열고 복사 작업하는 경우 용지 선단의 인쇄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에 따라 용지 선단에 전사된 토너 화상에 의해 유발되는 정착기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정착기, 토너, 오염, 화상 농도, 용지 가이드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Fastening Unit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인쇄 용지의 이송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인쇄 용지의 선단이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 사이를 진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 사이를 경유하는 인쇄 용지의 토너 화상에 의해 용지 안내 부재가 오염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용지 안내 부재의 오염 방지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인쇄 시기를 지연 설정하는 경우의 유효 인쇄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정착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용지 안내 부재의 오염 방지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인쇄 용지의 선단을 마스크하는 경우의 유효 인쇄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정착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나 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호스트 컴퓨터
130 : 메인 제어부
150 : 복사기 모듈
160 : 프린터 모듈
본 발명은 용지 선단의 토너 화상에 의해 정착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드럼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로 토너를 부착시켜 현상한 가시적인 화상을 인쇄 용지에 전사시킨 후 화상이 전사된 인쇄용지를 정착기를 통과시키면서 용지에 고착시켜 배출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하는 정착기는 토너 화상이 전사된 인쇄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이 인쇄 용지에 달라 붙도록 하는 것으로, 용지의 이송 경로에 설치된 가열롤러와 가압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인쇄 용지의 이송 경로(T)에 가압 롤러(8)와 가열 롤러(9)가 대향하여 설치된다. 도시하지 않은 용지 카세트에서 한 장씩 공급되는 용지는 피드 롤러(10)에 의해 가압 롤러(8)와 가열 롤러(9)로 이송된 다.
미 설명 부호 11은 용지를 감지하는 용지 감지 센서이다. L1은 용지 카세트로부터 용지 감지 센서(11) 까지 이르는 이송 거리이고, L2는 용지 감지 센서(11)부터 가압 롤러(8)와 가열 롤러(9) 사이를 진입하는 위치에 이르는 이송 거리이다.
정착기는 이른바 클로(claw)라고 하는 용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가이드 부재(7)의 선단이 히터(9a)를 내장한 가열 롤러(9)의 표면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 용지의 배출 시 용지가 말려들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용지(6)에 전사된 토너 화상(5)이 가압 롤러(8)와 가열 롤러(9)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도 2b와 같이, 토너 찌꺼기가 용지 가이드 부재(7)와 가열 롤러(9)에 묻는다. 용지(6)의 선단이 가열 롤러(9)와 가압 롤러(8) 사이를 빠져 나가면서 용지 가이드 부재(7)에 접촉하는 관계로, 용지 선단의 토너 화상 농도가 높을수록 용지 가이드 부재(7)의 오염을 가속화시키게 된다.
인쇄 작업에 따른 인쇄 매수의 증가로 인하여 정착기의 오염이 심해지는 현상이 일반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하여도 정착기의 오염을 억제하고자 한다면 용지 선단에 전사되는 토너 화상의 농도를 고려하여 대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복사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커버를 완전하게 닫지 않은 상태에서 복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빛에 노출되어 용지 선단이 토너 화상의 농도가 상당히 높은 검은 색상으로 인쇄됨에 의해 정착기의 오염을 가 속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착기의 오염이 방치되는 경우 용지 가이드 부재에 달라 붙는 오염 물질이 정착 과정에서 유발되는 온도 상승에 의해 고화되고, 용지 가이드 부재에 고착된 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용지를 긁어 내리면 용지에 원하지 않는 검은 줄(vertical black line)이 인쇄될 뿐만 아니라 용지 걸림(jam)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 선단의 화상 농도를 고려하여 인쇄 시기를 지연함으로서 정착기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지 선단의 화상 농도를 고려하여 용지 선단의 인쇄 데이터를 의도적으로 삭제함으로써 정착기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 용지를 이송시켜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프린터 모듈; 및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에 대응하는 인쇄 농도에 따라 인쇄 시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인쇄 시기에 따라 상기 프린터 모듈에 의해 인쇄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와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호스트 컴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농도를 계산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농도와 설정된 기준 농도보다 크면 상기 인쇄 시기를 지연 설정한다.
상기 인쇄 시기는 상기 인쇄 용지에 인쇄 작업을 처음하는 시기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 용지를 이송시켜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프린터 모듈; 및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의 인쇄 농도에 따라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한 인쇄 영역에 따라 상기 프린터 모듈에 의해 인쇄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복사물의 인쇄 데이터를 제공하는 복사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사기 모듈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상기 복사물을 복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커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열림 상태에서 획득한 인쇄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을 인쇄 영역에서 제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스트 컴퓨터; 복사물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제공하는 복사기 모듈; 상기 복사물을 복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커버 감지부; 상기 호스트 컴퓨터 또는 상기 복사기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토너 화상을 인쇄 용지에 정착하기 위한 정착기에 마련되는 용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프린터 모듈; 및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에 전사되는 토너 화상의 농도에 따라 인쇄 시기를 설정하거나 상기 인쇄 용지의 인쇄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 화상의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크면 상기 인쇄 시기를 지연 설정한다.
상기 커버의 열림 상태에서 획득된 인쇄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에 대응하는 인쇄 영역을 제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받은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의 토너 화상의 농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토너 화상의 농도에 따라 인쇄 시기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한 인쇄 시기에 따라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토너 화상의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크면 상기 인쇄 시기를 지연 설정한다.
상기 인쇄 시기는 상기 인쇄 용지에 인쇄 작업을 처음하는 시기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사기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복사기 모듈의 마련되어 복사에 사용하는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인쇄데이터가 상기 커버의 열림 상태에서 획득된 경우,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에 대응하는 영역을 인쇄 영역에서 제외하여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인쇄 영역에 따라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한다.
상기 제외한 영역의 인쇄 데이터는 삭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되어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작업과 복사물을 인쇄하는 작업을 각각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기존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110)를 매개로 호스트 컴퓨터(100)와 연결된다.
메인 제어부(130)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사기 모듈(150) 및 프린터 모듈(160)과 제어 명령을 주고 받는다.
커버 감지부(151)는 복사물을 복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그 커버의 개폐여부에 대한 정보를 복사기 모듈(150)를 통해 메인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조작부(120)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패드와 액정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조작부(120)는 원격제어기로서도 구현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메인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하여 인쇄 데이터,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호스트 컴퓨터(100)에서 출력하는 인쇄 명령에 응답하여 메인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전송받은 인쇄 데이터를 저장부(140)에 일시 저장한다.
인쇄 데이터는, 도 4와 같이 일정 영역의 밴드(B) 단위로 용지의 인쇄 영역 을 구분한 경우, 밴드 단위로 인쇄되는 토너 화상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하나의 밴드는 12mm로 설정할 수 있다. 밴드에 인쇄하는 문자, 그래픽, 이미지 등 인쇄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 그 밴드의 토너 소모량에 따라 토너 화상의 농도를 계산한다.
메인 제어부(130)는 인쇄 데이터를 토대로 용지 선단의 토너 화상의 농도를 계산한 경우 미리 설정한 기준 농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인쇄를 시작하는 인쇄 시작 시기를 설정한다. 여기서 실시 예에서는 용지 선단의 범위가 용지의 최초 밴드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용지의 선단은 하나의 밴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최초 밴드를 포함하여 연속하는 2이상의 밴드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토너 화상을 비교한 결과 계산한 토너 화상의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크면, 메인 제어부(130)는 인쇄를 시작하는 인쇄 시기를 하나의 밴드만큼 지연 설정한다. 여기서 실시 예에서는 지연하는 범위를 하나의 밴드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지연 범위를 2이상의 밴드로 설정할 수 있다. 지연 범위가 지나치게 크면 용지의 여유 영역이 부족하여 한 장 분량의 인쇄 데이터를 전부 인쇄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지연 범위를 적정하게 설정한다.
인쇄 시기의 지연 설정에 의하여 용지(6)의 전체 영역 중 지연 설정된 인쇄 시작 시기(Ps)부터 실질적으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으므로 인쇄할 수 있는 유효 인쇄 영역(P1)은 줄어든다. 메인 제어부(130)는 줄어든 유효 인쇄 영역(P1)에 대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인쇄 명령을 프린터 모듈(160)에 인가하고, 저장부(140)의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 모듈(160)에 제공한다.
프린터 모듈(160)은 현상한 토너 화상을 지연 설정한 인쇄 시작 시기(Ps)부터 용지에 전사하고 나서 정착기를 거치도록 한다. 이때 정착기의 가열 롤러(9)와 가압 롤러(8)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의 선단 즉 최초 밴드에는 어떠한 인쇄 데이터도 인쇄되지 않고 여백으로 남겨지므로 정착기의 용지 가이드 부재(7)가 토너 화상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인쇄 작업이 종료되기 이전에는 한 장의 인쇄 용지를 인쇄할 때 마다 용지 선단의 토너 화상의 농도에 따라 인쇄 시기를 지연 설정하여 인쇄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실시하게 된다.
이에 관련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호스트 컴퓨터(100)의 인쇄 데이터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메인 제어부(130)에 제공된다. 메인 제어부(130)는 호스트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받은 인쇄 데이터를 저장부(140)에 일시 저장한다(200).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120) 또는 원격제어기를 통하여 정착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오염 방지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202), 그 결과 오염 방지 모드가 아닌 경우 노르말 모드에 따라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노르말 모드는 인쇄를 시작하는 인쇄 시작 시기를 초기값으로 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용지의 선단을 포함하는 인쇄 영역에 인쇄 작업을 한다(203).
동작 202의 판단 결과 오염 방지 모드가 설정된 경우, 메인 제어부(130)는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용지 선단의 토너 화상의 농도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용지 선단의 범위를 최초 밴드로 설정된 경우라면 최초 밴드에 인쇄하는 인쇄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토너의 소모량에 기초하여 토너 화상의 농도를 계산한다(204).
다음으로 메인 제어부(130)는 계산한 토너 화상의 농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 농도보다 큰지를 판단하고(206), 그 판단 결과 계산된 토너 화상의 농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 농도보다 큰 경우, 메인 제어부(130)는 인쇄 시작 시기(Ps)를 지연 설정한다. 여기서 지연 범위는 최초 밴드를 적어도 포함하여 연속하는 복수의 밴드로 구성할 수 있다(208).
메인 제어부(130)는 인쇄 시작 시기에 대하여 지연 설정한 정보를 프린터 모듈(160)에 제공한다. 프린터 모듈(160)은 지연 설정한 인쇄 시작 시기부터 인쇄 데이터를 현상하고 전사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나서 정착기를 거치도록 한다(210). 이러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인쇄 종료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212), 그 판단 결과 인쇄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인쇄 동작을 지속하기 위해 동작 202로 진행한다.
동작 212의 판단 결과 인쇄 종료 명령이 입력된 경우 인쇄 작업을 정지한다(214).
한편, 복사물을 복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커버를 완전하게 닫지 않은 상태에서 복사 작업을 하는 경우, 이 복사물의 인쇄 데이터를 제한하지 않고 인쇄하면 용지 선단에 토너 화상의 농도가 상당히 높은 검정 색상으로 인쇄가 된다.
이를 고려하여 메인 제어부(130)는 복사물의 인쇄 작업 시 커버 감지부(151) 에 의해 커버가 완전하게 닫히지 상태에서는 용지의 선단을 마스크 하여 이 부분을 인쇄하지 않도록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장 분량의 인쇄 데이터 중 용지(6)의 마스크 영역(M)에 해당하는 인쇄 데이터를 삭제하여 용지 선단에 어떠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지 않는 여백이 남겨지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크 영역(M)을 제외한 나머지가 유효 인쇄 영역(P2)에 한 장 분량의 인쇄 데이터 중 삭제되지 않고 남은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게 된다.
인쇄 작업이 종료되기 이전에는 한 장의 인쇄 용지를 인쇄할 때 마다 용지 선단을 마스크 하여 인쇄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실시하게 된다.
이에 관련하여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인 제어부(130)는 복사기 모듈(150)를 통하여 전송받은 복사물의 인쇄 데이터를 저장부(140)에 일시 저장한다(300).
그런 다음 커버 감지부(151)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커버의 열림 상태인지 판단하고(302), 그 판단 결과 커버의 열림 상태이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120) 또는 원격제어기를 통하여 정착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오염 방지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304), 그 결과 오염 방지 모드가 아닌 경우 노르말 모드에 따라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303).
동작 302의 판단결과 오염 방지 모드인 경우, 메인 제어부(130)는 복사기 모듈(150)로부터 제공받은 인쇄 데이터 중에서 용지의 선단에 해당하는 영역을 마스킹 한다. 즉, 이 마스킹 영역에 해당하는 인쇄 데이터를 삭제한다(306).
그런 다음 메인 제어부(130)는 마스킹 영역을 제외하여 인쇄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프린터 모듈(160)에 제공한다. 프린터 모듈(160)은 마스킹 영역을 제외한 유효 인쇄 영역에 인쇄 데이터를 현상하고 전사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나서 정착기를 거치도록 한다(308). 이러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인쇄 종료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310), 그 판단 결과 인쇄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인쇄 동작을 지속하기 위해 동작 302로 진행한다.
동작 310의 판단 결과 인쇄 종료 명령이 입력된 경우 인쇄 작업을 정지한다(31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용지 선단의 토너 화상의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이면 인쇄 시기를 지연 설정하여 토너 찌꺼기 등에 의해 정착기에 설치된 용지 가이드 부재가 오염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사물을 인쇄하기 위해 사용자의 부주의로 커버를 닫지 않고 복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용지 선단의 인쇄 데이터를 삭제하여 불필요한 검은 색상이 인쇄되지 않게 함으로써 정착기의 용지 가이드 부재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정착기의 용지 가이드 부재의 오염으로 인하여 용지에 검은 줄이 인쇄되거나 용지 걸림이 발생되는 문제에 대비할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6)

  1.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 용지를 이송시켜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프린터 모듈; 및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에 대응하는 인쇄 농도에 따라 인쇄 시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인쇄 시기에 따라 상기 프린터 모듈에 의해 인쇄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호스트 컴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농도를 계산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농도와 설정된 기준 농도보다 크면 상기 인쇄 시기 를 지연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시기는 상기 인쇄 용지에 인쇄 작업을 처음하는 시기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6.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 용지를 이송시켜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프린터 모듈; 및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의 인쇄 농도에 따라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한 인쇄 영역에 따라 상기 프린터 모듈에 의해 인쇄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복사물의 인쇄 데이터를 제공하는 복사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사기 모듈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물을 복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커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열림 상태에서 획득한 인쇄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을 인쇄 영역에서 제외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9. 호스트 컴퓨터;
    복사물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제공하는 복사기 모듈;
    상기 복사물을 복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커버 감지부;
    상기 호스트 컴퓨터 또는 상기 복사기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토너 화상을 인쇄 용지에 정착하기 위한 정착기에 마련되는 용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프린터 모듈; 및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에 전사되는 토너 화상의 농도에 따라 인쇄 시기를 설정하거나 상기 인쇄 용지의 인쇄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 화상의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크면 상기 인쇄 시기 를 지연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열림 상태에서 획득된 인쇄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에 대응하는 인쇄 영역을 제외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12.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받은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의 토너 화상의 농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토너 화상의 농도에 따라 인쇄 시기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한 인쇄 시기에 따라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화상의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크면 상기 인쇄 시기를 지연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시기는 상기 인쇄 용지에 인쇄 작업을 처음하는 시기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방법.
  15. 복사기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복사기 모듈의 마련되어 복사에 사용하는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인쇄데이터가 상기 커버의 열림 상태에서 획득된 경우, 상기 인쇄 용지의 선단에 대응하는 영역을 인쇄 영역에서 제외하여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인쇄 영역에 따라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외한 영역의 인쇄 데이터는 삭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방법.
KR1020060126380A 2006-12-12 2006-12-12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102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380A KR101102533B1 (ko) 2006-12-12 2006-12-12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US11/854,905 US8010003B2 (en) 2006-12-12 2007-09-13 Apparatu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fixing unit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uch
CNA2007101861949A CN101201568A (zh) 2006-12-12 2007-09-28 成像装置中定影单元的防污装置及其使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380A KR101102533B1 (ko) 2006-12-12 2006-12-12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156A true KR20080054156A (ko) 2008-06-17
KR101102533B1 KR101102533B1 (ko) 2012-01-03

Family

ID=3949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380A KR101102533B1 (ko) 2006-12-12 2006-12-12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10003B2 (ko)
KR (1) KR101102533B1 (ko)
CN (1) CN1012015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477B1 (ko) * 2009-12-09 201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JP7051404B2 (ja) * 2017-12-05 202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20095252A (ja) * 2018-12-12 2020-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5972A (en) * 1989-11-10 1996-10-1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a continuous-form recording sheet
DE4019543A1 (de) * 1989-06-20 1991-01-10 Canon Kk Dokument-verarbeitungsgeraet
JP4011276B2 (ja) * 1999-09-24 2007-11-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785480B2 (en) * 2000-08-28 2004-08-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speeds
JP4387740B2 (ja) * 2003-09-24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1568A (zh) 2008-06-18
KR101102533B1 (ko) 2012-01-03
US20080138093A1 (en) 2008-06-12
US8010003B2 (en)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3677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11221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proved in setting process for recording medium,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21004877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heet typ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in the apparatus
JP201004260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KR101102533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US956382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10450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68739A (ja) 消耗品情報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消耗品情報表示方法
JP200619520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08739A (ja) 画像形成装置
US972701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05234222A (ja) 画像形成装置
US94889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760500B2 (ja) 画像形成装置
JP625867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8732881B (zh) 图像形成装置
JP2010167641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119704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36557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355541B2 (ja) 出力カウント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81707A (ja) 画像形成装置
JP6668815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EP2290455A2 (en) Printing apparatus
JP5878655B2 (ja) 画像処理装置
JP202217526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