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227A -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을 위해 광 증폭기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을 위해 광 증폭기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227A
KR20080053227A KR1020070126931A KR20070126931A KR20080053227A KR 20080053227 A KR20080053227 A KR 20080053227A KR 1020070126931 A KR1020070126931 A KR 1020070126931A KR 20070126931 A KR20070126931 A KR 20070126931A KR 20080053227 A KR20080053227 A KR 20080053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level
output
amplifi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오딩 리
프랑크 제이. 에펜버거
다니엘 비. 그로스맨
윌리엄 윅스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5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007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 H01S3/1301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in optical amplifiers
    • H01S3/1301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in optical amplifiers by controlling the optical pu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3Signal power control
    • H04B10/294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 H04B10/296Transient power control, e.g. due to channel add/drop or rapid fluctuations in the input pow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007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 H01S3/1001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by controlling the optical pu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007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 H01S3/10015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by monitoring or controlling, e.g. attenuating,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4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as the active medium
    • H01S3/16Solid materials
    • H01S3/1601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 H01S3/1603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 H01S3/1608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erbi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Laser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데이터 신호선을 통해 다같이 결합되는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 증폭기 회로; 데이터 신호선에 결합되어, 입력 포트에서 광 증폭기로 입력되는 버스트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도록 동작하는 이득 제어 회로; 및 데이터 신호선에 결합된 출력 및 이득 제어 회로에 결합된 입력을 가진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광 증폭기로서, 이득 제어 회로는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전력 레벨을 제어하여 증폭기 회로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광 증폭기, 증폭기 회로, 이득 제어 회로,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 버스트 신호

Description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을 위해 광 증폭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TICAL AMPLIFIER FOR USE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본 발명은 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에서의 사용을 위해 광 증폭기(optical amplifier)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가 버스트 신호(burst signals)를 처리 중일 때, 광 증폭기에 대한 입력 전력 레벨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은 수동형 광 네트워크(PON;passive optical network) 기술을 이용한다. 현재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PON을 이용해, 데이터, 가입 TV(subscription television) 및 전화 통신과 같은,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가정 및 작은 사무실에 제공한다. 그러한 PON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최대 20 km(즉, CO(central office)로부터 가입자까지의 거리)의 광 섬유 유효 범위(optical fiber reach) 및 피더 섬유(feeder fiber)당 32 가입자의 최대 "분할비(split ratio)"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광 송신기 전력 출력 및 광 수신기 민감도에서의 제한으로 인한 것이다. PON의 유효 범위를 확장하고 분할비를 증가시키기 위한 일 방법은 광 증폭기를 사용해 추가되는 섬유 및 광 분할기(optical splitter) 손실을 보상하는 것이다.
EDFA(erbium-doped fiber amplifiers)가 장거리(long-haul) 및 메트로 광 전송(metro optical transport)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광 섬유에서의 손실로 인한 광 전력 손실을 보상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EDFA는, 업계에 "C-대역(C-band)"으로서 공지되어 있는, 1530 nm 내지 1561 nm 윈도(window)에서의 광 신호에 대한 광 증폭을 제공한다. EDFA의 광범위한 상업적 이용 가능성을 감안할 때, 유효 범위를 확장하고 그리고/또는 좀더 큰 분할비를 지원하기 위한 저렴한 방법으로서, PON에서 EDFA를 적용하는 것을 모색해 보는 것이 바람직스러울 수 있다.
기존의 PON은 통상적으로 다운스트림 방향에서는 약 1490 nm의 그리고 업스트림 방향에서는 1310 nm의 파장 방식(wavelength plan)으로 동작한다. EDFA를 PON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경된 파장 방식이 필요하다. 가능할 수 있는 변경된 파장 방식은 1530 nm에서 1536 nm까지 100 GHz 간격의 소위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채널을 다운스트림 채널로서 이용한다. 업스트림 채널을 위해서는, 1550 nm에 중심이 위치하는, 소위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채널이 이용된다. CWDM 채널의 주파수는, 온도와 같은 환경 조건에 따라, 1540 nm에서 1560 nm까지 변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DWDM 및 CWDM 채널은 그것의 대역폭 및 그에 따른 채널간 간격에서 차이가 있다. CWDM 채널은 좀 더 넓으므로, CWDM 채널은 좀 더 덜 정교한 레이저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다운스트림 및 업스트림 광 신호 모두가 EDFA 증폭 대역에 속하므로, 둘 모두는 PON 설계에서의 EDFA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그러나, EDFA 이득의 동적 응답의 상대적으로 느린 완화 시간(relaxation time)으로 인해 문제점이 발생한다. 장거리 및/또는 메트로 광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EDFA는 통상적으로, 일정한 신호 전력을 취급하도록 특정된다. 그러한 EDFA는 PON 다운스트림 광 신호를 증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업스트림 방향의 경우, EDFA를 위한 입력 신호 전력 레벨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PON 프로토콜의 버스트 특징, 차별적인 유효 범위, 및 송신기 허용 오차 범위(transmitter tolerance range)로 인해, 크게 (예를 들어, 20 dB 범위 이상으로) 그리고 동적인 방식으로 (즉, ns 시간 척도(timescales)에 걸쳐) 달라진다. 기존의 EDFA 설계는 버스트 모드 동작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업스트림 버스트 신호에 대한 EDFA 응답의 과도 동적 상태(transient dynamic)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
EDFA의 제어를 위한 종래 기술은 DWDM 장거리 및/또는 메트로 전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EDFA를 주로 다룬다. 그러한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업계에 OC-48 또는 OC-192로서 공지되어 있는, 일정한 비트 속도의 일정한 전력 광 신호를 전달한다. 주지의 EDFA 이득 제어 시스템은, 네트워크가 하나 이상의 ADM(add-drop multiplexers)을 포함하고 있을 때 발생하는 상황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ADM이 그러한 네트워크에 신호를 드롭(drop) 또는 추가할 때, 합계 광 전력 레벨(aggregate optical power level)은 변화한다. 그에 따라, EDFA 이득은 이 변화 를 보상하도록 안정화되어야 하고, 종래 기술은 그렇게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이러한 보상 방식은, 상술된 바와 같은, 고도의 동적 버스트 동작과 연관된 문제점을 다루지 않는다.
그에 따라, PON 설계에서의 EDFA에 의해 고도의 동적인 버스트 신호를 처리하는 것과 연관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위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전혀 일으키지 않으면서 고도의 동적 버스트 신호의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PON 설계에서 EDFA를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인 신호선(main signal line)을 통해 다같이 결합되는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 증폭기 회로; 메인 신호선에 결합되어, 입력 포트에서 광 증폭기로의 버스트 신호 입력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도록 동작하는 이득 제어 회로; 및 메인 신호선에 결합된 출력 및 이득 제어 회로에 결합된 입력을 가진 더미(dummy) 레이저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광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동작에 따르면, 이득 제어 회로는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전력 레벨을 제어하여, 증폭기 회로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 증폭기로 입력되는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광 증폭기의 증폭기 회로로 입력될 버스트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버스트 신호는 광 증폭기의 입력 포트에서 검출되는, 단계; 더미 레이저 발생 신호를 광 증폭기의 입력 포트에 결합하는 단계; 및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하여, 버스트 입력 신호와 더미 레이저 발생 신호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다음,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을 나타내는 이러한 조합 신호가 증폭기 회로로 입력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PON 설계에 포함되어 있는 EDFA로의 일정한 입력 전력 레벨을 유지하면서, 업스트림 버스트 데이터 신호의 처리를 제공하는 PON 설계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시스템은 EDFA에서의 지나친 동적 과도 응답을 방지하여, 실질적으로 과도 응답에 의해 도입되는 왜곡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종래 기술 시스템에 비해, 허용 가능한 PON 분할비의 증가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을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자체는,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좀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논의하기 전에,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PON 설계 및 EDFA 제어 회로의 간단한 논의가 제공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증폭형 PON 시스템(10)을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ONU(optical network unit;12), 1xN 광 커플러(14;변형으로서는, 2xN 광 커플러가 보호형 PON 설계에 이용된다), 제1 EDFA(20) 및 제2 EDFA(22)에 결합(coupling)되는 제1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16) 및 제2 WDM을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제1 EDFA(20)는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전파하는 신호를 증폭하고, 제2 EDFA(22)는 업스트림 방향으로 전파하는 신호를 증폭한다. 시스템(10)은 CO(central office)에 위치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tor;24)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OLT는 송신기(26), 수신기(28),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EDFA(30) 및, 송신기(26) 및 수신기(28) 양자를 피더 섬유(feeder fiber)에 결합하는, WDM(32)을 포함한다.
동작과 관련하여, ONU(12)가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더 나아가, PON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송신 허가(transmission grant)를 수신하였을 때, ONU(12)는 업스트림 방향의 데이터 버스트를, 하나(또는 그 이상)의 EDFA 광 증폭기(22)를 통해, CO의 OLT(24)로 송신한다. 증폭형 PON(10)은 N-포트 광 커플러(14)에 의해 제1 EDFA(22)에 그리고 피더 섬유에 결합된 복수개 ONU(12)를 가진다. 따라서, EDFA를 위한 입력에서의 신호는, 예를 들어, 고속 OOK(on-off keying) 변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일련의 버스트이다. 이러한 데이터 버스트는 통상적으로 수 ㎲에서 수십 ㎲ 차수의 제한된 구간을 가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데이터가 업스트림 방향으로 송신될 때, 커플러(14)는 ONU(1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조합하고, 조합된 신호를, WDM 필터(16)에 의해, 제1 업스트림 EDFA(22)의 입력에 결합한다. 제1 업스트림 EDFA(22)에서의 수신 전력 레벨은, 예를 들어, 분배 섬유의 길이에서의 차이, ONU 송신기 전력 스펙의 허용 오차 및 ONU 컴포넌트의 노후(aging)로 인해, ONU 사이에서 달라질 수도 있다. 그에 따라, EDFA(22)에서의 업스트림 입력 신호는 1 ㎲ 내지 100 ㎲ 또는 그 이상 차수의 시간 척도에 걸쳐 광범위한 동적 범위를 가질 것이다. 그러한 광범위한 동적 범위는 기존 EDFA가 EDFA 출력에서의 증폭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어렵게 하여, EDFA 출력에서 증폭 신호의 높은 왜곡을 초래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ONU(12)에 의해 발생되는 예시적 버스트 신호 및 업스트림 버스트 신호에 대한 EDFA(22)의 예시적 응답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상이한 ONU로부터의 버스트 입력 신호의 통상적인 시퀀스를 나타내고, 도 2b는 EDFA(22)에 의해 그로부터 출력되는 왜곡 신호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에는 평균 전력만이 도시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EDFA가 일정한 이득 제어 회로(즉, AGC) 또는 일정한 전력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기존 EDFA 설계에서는 출력 왜곡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왜곡은 EDFA의 동작점(operating point)에 무관하게, 즉, 그것이 선형 또는 포화 범위에 위치하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발생한다. 통상적인 경우로서, 15 dB 입력 버스트 전력 범위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DFA의 출력에서의 버스트의한 선행 에지로부터 하강 에지까지 약 15 dB 전력 차이를 초래할 수도 있다. OLT(24)에 포함되어 있는 업스트림 수신기(28)에서, 버스트 동안의 수신 전력 레벨에서의 그러한 변화는, OOK 신 호를 구별하기 위해 수신기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기존 설계에서, EDFA는 단지 그것의 펌프 레이저(pump laser)를 버스트 신호의 변화하는 입력 레벨로 조정하여 일정한 이득(AGC) 또는 일정한 전력(APC)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EDF(erbium-doped fiber)의 느린 응답으로 인해, EDF의 캐리어 개체군 레벨(carrier population level)은 지나치게 긴 완화 시간을 가져, 펌프 전력이 변화하는 신호 레벨을 뒤따르기에 충분할 정도로 빠르게 제어될 수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시스템이 신호를 뒤따르게 할 수 없다. 선행 에지로부터 하강 에지까지의 결과적 신호 차이는,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 dB 또는 그 이상만큼 높을 수도 있다.
도 3은, 광 섬유 통신에서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EDFA 증폭기 회로라고도 하는) EDFA의 통상적인 구성을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및 출력 신호 전력 레벨은, 각각, 광 전력 커플러(33 및 34)에 의해 입력 및 출력 신호의 일부를 수신하는 광 검출기(photo detectors;PD1(31) 및 PD2(32))에 의해 검출된다. EDFA는, 검출된 입력 및 출력 신호 레벨을 비교하고 피드백 제어 루프에서 그 차이를 사용해 펌프 레이저(36 및 37)의 출력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EDFA 제어 회로(35)에 의해, 미리 판정된 이득 또는 출력 전력 레벨로 설정된다. 펌프 레이저(36 및 37)는 제1 및 제2 WDM(38 및 39)을 통해 EDFA의 데이터 신호선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EDFA의 통상적인 응답 시간은 약 0.1 ms(msec)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높은 비트 속도의 연속 신호인 경우, EDFA 응답은 OOK 변조 데이 터에 의해서가 아니라 평균 입력 전력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 PON 애플리케이션에서, 신호는, 상이한 전력 레벨, 버스트 사이의 긴 휴지 주기(long idle periods) 및 수 ㎲에서 100 ㎲에 약간 못 미치는 버스트 구간을 갖춘, 버스트-모드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EDFA의 느린 동적 응답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스트 신호의 왜곡을 초래할 것이고, 버스트 엔빌로프(envelope)내에서 전력 변화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인 신호 열화는, 높은 비트 오류율을 초래하면서, 수신기 동적 범위를 감소시킨다. 또한, 버스트 휴지간(inter-burst idle)의 긴 시간은, EDFA 이득 및/또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회로가 펌프 출력 전력을 램프업(ramp up)한 다음 램프다운(ramp down)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한 실행은 부가적으로, 버스트 신호에 EDFA의 느린 응답으로 인한 과도 왜곡을 도입할 수 있다.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ON 설계의 업스트림 방향의 광범위한 동적 범위에 걸쳐 버스트 모드 동작을 보상할 수 있는 EDFA 회로 및 그러한 EDFA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EDFA 회로(40)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EDFA 회로(40)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지시되는) 도 3에 예시된 EDFA 회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지만, 다음의 추가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추가 컴포넌트는 EDFA 회를 위한 입력에 메인 선호선을 따라 배치된 이득 제어 유닛(42) 및 EDFA 회로의 출력에 메인 신호선을 따라 배치된 WDM(49)을 포함한다. 이득 제어 회로(42)는 메인 신호선을 따라 배치된 커플러1(43) 및 커플러2(44); 커플러1(43)의 출력을 입력 신호로서 수신하는 광 검출기(PD3;45); 커플러 2(44)에 결합된 출력을 가진 "더미" 레이저(46); 및 광 검출기(PD3;45) 및 광 검출기(PD1;31)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더미 레이저(46)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이득 제어 회로(47)를 구비한다. 더미 레이저(46)는, 업스트림 신호 윈도는 벗어나지만 여전히 EDFA 증폭 범위에는 해당되는 파장(λd)에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업스트림 신호는 1540 nm 내지 1560 nm 윈도에 해당되고, 더미 레이저(46)의 파장은 1529 nm와 1539 nm 사이이다.
동작시에, 광 검출기(PD3;45)는 커플러1(43)을 통해 PON 업스트림 데이터 신호를 검출한다. 더미 레이저(46)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입력 데이터 신호(즉, 업스트림 신호)와 조합되고 커플러2(44)에 의해 EDFA의 메인 신호선에 배치된다. 이러한 조합 신호는 커플러3(33)를 통해 광 검출기(PD1;31)에 의해 검출되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득 제어 회로(47) 및 EDFA 제어 회로(35) 양자에 의해 이용된다. 또한, EDFA의 출력에서, WDM 필터(49)는 EDFA(40)의 증폭된 출력으로부터 더미 레이저 신호가 "덤핑(dumping)"될 수 있게, 즉, 제거될 수 있게 한다.
회로 구성에 덤핑 WDM 필터(49)를 포함시키는 것은 선택적이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증폭형 PON 설계에 복수개 EDFA가 필요하다면, 더미 신호는 버스트 신호에 의해 후속 EDFA로 전파될 수 있으므로, 후속 EDFA가 자신만의 더미 레이저를 가질 필요는 없다. 더 나아가, 더미 레이저는, 다음에서 부연되는 바와 같이, 단신(simplex) 통신 채널에서의 사용을 위해 변조될 수도 있다.
PON 설계에서, 업스트림 채널은, PD3(45)에 의해 검출되는 입력 데이터 신호 가 존재하지 않는 시점에서, 소정 시주기 동안 휴지일 수도 있다. 그러한 주기 동안, 더미 레이저(46)는 유일한 입력 신호를 커플러2(44)를 통해 EDFA 증폭기 회로에 제공한다. 더미 레이저 입력 신호 전력 레벨을 그것의 입력으로서 사용하는 EDFA 제어 회로(35)는, 입력 검출기(PD1;31) 및 출력 검출기(PD2;32)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를 사용해, 소정 이득 또는 전력을 확립한다. 이득 제어 회로(47)는, 광 검출기(PD3 및 PD1)로부터의 입력 전력 신호를 이용해, EDFA 증폭기 회로로 입력되는 전력 신호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더미 레이저(46)로 결합되는 그리고 EDFA 증폭기 회로를 위한 입력이 소정 이득 또는 전력 레벨이게 할 레벨로 더미 레이저 출력 전력을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동작 동안, 이득 제어 회로(47)는 계속해서 더미 레이저(46)의 출력 전력 레벨을 조정하여, 입력 전력 레벨을 소정 레벨로 유지할 것이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업스트림 신호가 동작의 버스트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라 하더라도, EDFA 증폭기 회로를 위한 입력 전력 레벨은 유지되고, 그 결과,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버스트 모드 입력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신호 열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WDM 필터(49)는 EDFA의 출력 신호로부터 더미 레이저 신호를 제거하도록 동작한다.
더미 레이저를 제어하여 상기 목적을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바람직한 방법이 다음에서 논의된다.
제1 실시예에서, 더미 레이저(46)는 이득 제어 회로(47)에 의해, 예상되는 최대 버스트 입력 신호 레벨보다 큰 소정 전력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EDFA는 깊은 포화 모드(deep saturation mode)에서 동작되는데, 이 경우, 이득은 더미 레이저(46)에 의해 클램핑되고 EDFA는 그것의 포화 출력 전력 레벨에 도달한다. 이런 방식으로, EDFA는, 입력 신호의 큰 동적 범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이득을 실현할 것이다. 이와 같이, EDFA의 동작점은 대체로 더미 레이저 신호에 의해 판정되고, 업스트림 신호는 그것의 동작에 대해 비교적 작은 교란(perturbation)을 가진다.
일례로서, 임의 ONU(12)로부터의 증폭 신호의 소정 광 전력이 6 dBm 또는 그보다 다소 작다면, 더미 레이저(46)의 출력 전력은, 그것의 증폭된 전력 레벨이 12 dBm이도록, 소정 레벨로 설정될 수도 있다. EDFA의 출력에서의 총 전력은 13 dBm(즉, 6 dBm = 4 mW, 12 dBm = 16 mW, 4 mW + 16 mW = 20 mW = 13 dBm)이다. EDFA는 APC나 AGC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에 의해, EDFA를 위한 입력 전력은, 버스트가 PON을 통해 전송되는 시점이 언제인지에 상관없이, 단지 1 db 만큼만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EDFA의 출력에서, 버스트의 선행 에지에서의 광 전력은 하강 에지의 광 전력으로부터 1 dB 미만만큼 차이가 난다.
더미 레이저는 (다음에서 다른 옵션으로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 전력 레벨에서 동작하므로, 이 실시예는 비교적 구현이 용이하고, 좀더 로버스트한 동작(robust operation)을 발생시키면서, 가능할 수 있는 장애 모드가 비교적 적다. 광 검출기(PD1) 및 커플러1은 이 실시예의 회로 설계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상기 제어 방법에 대한 변형으로서, 본 발명의 제2,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더미 레이저(46)는 평균 입력 신호 레벨에서의 차이를 보상하도록 조정되고, 그에 따라, EDFA로의 총 입력은 일정하다.
제2 실시예에서, 더미 레이저(46)의 평균 출력 전력은, 펄스폭 변조를 사용해, 이득 제어 회로(47)에 의해 조정된다(즉, 이득 제어 회로(47)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소정 속도에서 인가되는, 가변 듀티 사이클 및 소정 진폭의 일련의 온/오프 펄스를 구비한다). 펄스 속도는 EDFA 응답 시간, 예를 들어, 10 MHz 보다 커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업스트림 데이터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펄스폭(즉, 듀티 사이클의 '온' 부분)은 소정 최대치인데, 예를 들어, 10 MHz 속도의 경우, 펄스폭은 100 ns일 것이다. 광 검출기(PD3;45)가 업스트림 데이터 신호를 검출할 때, 이득 제어 회로(47)는 더미 레이저(46)에 결합된 제어 신호의 펄스폭을 단축시킴으로써, 더미 레이저(46)가 온인 시간량을 단축시키고, 그에 따라, EDFA 증폭기 회로의 총 평균 입력 전력은 일정하다. 예를 들어, PD3에서의 업스트림 데이터 신호 레벨이 소정 최대치의 50%라면, 더미 레이저 펄스폭은 50 ns로 설정된다. 따라서, 조합된 업스트림 데이터 신호 및 더미 레이저는 EDFA 증폭기 회로를 위한 입력에서 동일한 평균 전력을 갖고, 증폭된 업스트림 신호는 EDFA 과도 응답으로 인한 왜곡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더미 레이저(46)의 전력 레벨이, 아날로그 제어 회로를 사용해, 연속적인 범위에 걸쳐 조정된다. 조정은, 광 검출기(PD3;45)에서 측정되는, 연속 버스트의 수신 전력 레벨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도록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EDFA 증폭기 회로를 위한 입력은 일정하게 고정된다. 광 검출기(PD3;45)의 응답은 EDFA의 그것보다 빨라야 하는데, 예를 들어, 그것의 대역폭은 1 MHz 이상이어 야 한다. 광 검출기(PD3;45)에 의해 측정되는 전력 레벨에 기초해, 이득 제어 회로(47)는, 측정된 버스트 수신 전력 레벨과 변조된 더미 레이저 출력 전력의 합이 EDFA 증폭기 회로를 위한 입력에서 일정하도록 더미 레이저(46)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변조 깊이로써, 더미 레이저(46)에 결합된 제어 신호를 반전 변조한다. 더미 레이저의 변조 깊이가 작고 그것의 최대 출력 전력이 최대 버스트 수신 전력 레벨보다 크다면,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대한 개선인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5a는 EDFA로 입력될 수 있는 업스트림 버스트 데이터 신호의 일례를 예시한다. 도 5b는 소정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되는 대응되는 조정된 더미 레이저 신호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된 신호는 업스트림 버스트 신호의 전력 레벨의 반전이다. 그에 따라, EDFA 증폭기 회로 입력에서의 조합된 평균 광 신호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EDFA는 그것의 느린 응답 신호로 인해 평균 전력만을 프로세싱할 것이라는 것에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에 따라, 업스트림 신호는 EDFA 증폭으로 인한 큰 신호 왜곡은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EDFA 펌프(36, 37)가, 업스트림 버스트 데이터 신호의 상이한 레벨로 인해 빠르게 변화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펌프 제어는 출력에서 일정한 이득 또는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약간만 그리고 느리게 조정되기만 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광 검출기(PD1;31)의 출력 또한 더미 레이저(46)의 바이어스를 제어하여 더미 레이저 평균 전력의 어떠한 느린 드리프트(any slow drift)라도 오프셋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에 그리고, 그러한 제어는 장기적인 레이저 전력 드리프트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므로, 그러한 제어는 변조 속도보다 훨씬 더 느려야 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EDFA 출력에서의 증폭된 소정 버스트 신호 레벨이 4 mW(6 dBm)이고 EDFA 출력에서 그것의 신호가 16 mW(12 dBm)인 레벨로 더미 레이저 출력 전력 레벨이 설정되는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일례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EDFA 출력에서의 조합된 신호 레벨은 20 mW(13 dBm)이다. 업스트림 버스트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때, 이러한 13 dBm 조합 신호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서, 더미 레이저(46)의 출력 신호 레벨은 약 11.1%의 변조 깊이로써 증가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에 의해, EDFA는 그것의 입력이나 출력 전력 레벨에서 변동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고, 그 결과, 그것은 업스트림 버스트 신호를 왜곡하지 않을 것이다.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EDFA를 위한 입력 신호는, 광 검출기(PD3;45)에 의한 검출 이후에 지연되어, 이득 제어 회로(47)에 더미 레이저(46)의 출력 진폭을 조정하기 위한 추가 시간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는, 커플러1(43)과 커플러2(44) 사이의 메인 신호선에 지연 소자(51)가 추가되었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소정 실시예에서, 지연 소자(51)는 커플러(43 및 44) 사이에 광 섬유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광 지연 소자인데, 이 경우, 섬유의 길이는 소정 지연 및 섬유의 전파 속도에 의해 판정된다.
제4 실시예에 따라 추가 지연 소자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더미 레이저 출력의 진폭, 기울기 및 타이밍 특징을 좀더 정확하게 프로세싱하고 정합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이득 제어 회로(47)에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것은, EDFA의 이득 섹션으로 매우 일정한 평균 광 전력 레벨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증폭된 EDFA 출력에서의 변동(즉,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장치의 동작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은, EDFA의 이득 스테이지의 입력을 위한 일정한 평균 광 전력 레벨을 발생시키는, 원래의 지연된 입력 신호와 최적화된 변조 더미 레이저 신호의 조합을 예시한다. EDFA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 신호는, 앞서 설명된 버스트 모드 업스트림 TDMA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원래 입력 신호의 증폭된 사본(amplified copy)이다.
앞서 논의되고 상기 실시예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레이저 신호는, 더미 레이저 신호가 제2 EDFA에 의한 사용에 불필요하다면, WDM 필터(49)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EDFA의 출력에서 "덤핑"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의 변형에서, 더미 레이저 신호는 제2 사용을 가질 수도 있고, 그에 따라, 덤핑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 더미 레이저 신호의 제2 사용의 일례가 설명된다.
원격 위치의 통신 장치는 적절한 동작을 위해 중앙에서 모니터링되어야 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모니터링될 EDFA 동작 파라미터의 일례로는 신호 입력 전력 레벨, 출력 전력 레벨, 펌프 출력 전력 레벨, 펌프 전류, 펌프 온도, 인클로저 온도(enclosure temperature), 및 인클로저 도어 개방(enclosure door opening)을 들 수도 있지만, 그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ONU는 각각의 EDFA를 모니터링하는데 전용될 수 있다. 그러한 접근 방법이 실현 가능하기는 하지만, 송신되어야 하는 데이터량과 어울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PON의 사용 가능한 분할비를 (예를 들 어, 128:1에서 127:1로) 감소시키는데, 이들 모두가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더미 레이저 신호가 모니터링 프로세스에 이용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더미 레이저 신호는 데이터 신호로써, EDFA를 위한 상태 모니터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단신 통신 채널을 발생시키도록 변조될 수 있다. 더미 레이저 신호가 EDFA에 대해 일정해지도록 하기 위해, 변조는 비교적 높은 속도, 예를 들어, 10 Mb/s 또는 100 Mb/s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한 변조가 가능한 값싼 송수신기를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입할 수 있다. CO(central office) OLT에서, 더미 레이저 신호는, WDM 필터를 사용해, 업스트림 신호로부터 분할되고, 예를 들어, 상용 수신기를 사용해, 복조되며, 프로세싱되어, 동작 및 유지 보수 센터로 포워딩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된 제1 또는 제3 실시예에 적용될 때, 변조는 더미 레이저의 평균 출력 전력에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영향을 미치므로, EDFA에 대해 변조는 중요하지 않다.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적용될 때, 데이터 변조의 예측된 듀티 사이클은 일정한 평균 입력 전력을 유지하는데 요구되는 소정 듀티 사이클로 팩토링될 수 있거나, 각각의 심볼이 소정 듀티 사이클을 유지하도록 데이터 변조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은, 더미 레이저 신호를 모니터링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 구성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상기 기능을 허용하는 그리고 상기 실시예 중 어떤 것에도 추가될 수 있는 추가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동작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데 필요한 EDFA의 선행 구성의 컴포넌트 및 요구되는 추가 컴포넌트만이 도 8에 예시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치는 EDFA의 동작 파라미터의 값을 모니터링하도록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71);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해 구현될 수도 있는 그리고 센서(71)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러한 수신 데이터를 메시지로 포매팅하도록 동작하는 소자 관리 에이전트 장치(72;element management agent device); 소자 관리 에이전트 장치(72)에 의해 형성된 메시지를 소정 포맷의 데이터 패킷, 예를 들어, 하지만, 그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이더넷 프레임에 배치하고, 메시지를 직렬화하며, 메시지를 EDFA의 응답 시간보다 큰 소정 클록 속도에서 비트 스트림으로서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송신기(73); 및 송신기(73)에 의해 출력되는 메시지 데이터를 이득 제어 회로(47)의 출력과 조합하여, 송신기(73)가 활성일 때, 더미 레이저(46)의 이득이 변조되도록 동작하는 커플러 장치(74)를 포함한다. OLT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합계 업스트림 신호로부터 더미 레이저로부터의 변조 신호를 추출하도록 동작하는 WDM 필터(75)를 더 포함한다. 그 다음, 변조 신호는 광 검출기(76)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기(77)에 의해 데이터 패킷으로 복구 및 포매팅된다. 소자 관리자 유닛(78)은 PON 뿐만 아니라 EDFA 및 그에 관한 동작을 관리할 때의 추가 사용을 위해 데이터 패킷의 메시지를 프로세싱한다. 수신기(77) 및 소자 관리자(78)는 간략화를 위해 예시되지 않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프로세스는 하드와이어링된 장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구현을 위한 프로세싱 유닛은 바람직스럽게도 이득 제어 회로(47)에 또는 부분적으로는 EDFA 제어 회로(35)에도 포함된다. 이 프로세스 중 어떤 것이라도, 이득 제어 회로(47)에 판독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또는 부분적으로는 EDFA 제어 회로(35)에도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CD 디스크, DVD 디스크, 자기 또는 광 디스크, 테이프, 실리콘 기반 분리형 또는 비분리형 메모리, 패킷화된 또는 패킷화되지 않은 유선 또는 무선 송신 신호를 포함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는 임의 매체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가 광 증폭기로 입력되는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고, 이 방법은 적어도 광 증폭기의 증폭기 회로로 입력될 버스트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버스트 신호는 상기 광 증폭기의 입력 포트에서 검출되는, 단계; 더미 레이저 발생 신호를 광 증폭기의 입력 포트에 결합하는 단계; 및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에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버스트 신호와 더미 레이저 발생 신호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 단계로서, 조합 신호는 증폭기 회로로 입력되는, 단계를 구비한다. 명령어는 상기 버스트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이득 제어 회로에 결합하는 단계;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출력을 버스트 신호와 결합하여 조합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조합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이득 제어 회로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가장 중요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PON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있는 EDFA로의 일정한 입력 전력 레벨을 유지하면서, 업스트림 버스트 데이터 신호의 프로세싱을 제공하는 PON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시스템은 EDFA에서의 큰 동적 과도 응답을 방지하고, 과도 응답에 의해 도입되는 왜곡을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본 발명은 업스트림 신호의 증폭을 허용하므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 시스템에 비해, 허용 가능한 PON 분할비의 증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소정 실시예가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정신 또는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희토류 원소 에르븀(erbium)은, 특수한 광 섬유의 제조에서 도펀트로서 사용될 때, C-대역에서 ASE(amplified stimulated emission)과 일치하는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다른 희토류 도펀트가 사용되어, 다른 대역에서 동작하는 광 증폭기를 구성하여 왔다. 특히 관심있는 것이, 1300 nm 부근의 광 윈도에서 동작하는 증폭기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프라세오디뮴(praseodymium) 원소로써 도핑된 섬유이다. PDFA(praseodymium-doped fiber amplifiers)는 EDFA와 동일한 동적 과도 응답에 의한 문제점을 겪는데, 본 발명은 PDFA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모든 관점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야 하고,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지시되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청구항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내에 해당되는 모든 변화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어야 한다.
다음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예시적 PON 설계를 예시한다.
도 2a는 도 1의 PON 설계에 포함되어 있는 EDFA로 입력되는 예시적 버스트 데이터 신호를 예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도 1의 PON 설계에 포함되어 있는 EDFA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된 출력 신호를 예시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EDFA 구성을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DFA 회로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a는 업스트림 버스트 데이터 신호의 일례를 예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되는 변조된 더미 레이저 신호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7은 도 6에서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 8은, 모니터링 목적을 위해 더미 레이저 신호의 사용을 허용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32, 45: 광 검출기
33, 34, 43, 44: 커플러
35: EDFA 제어 회로
36, 37: 펌프
38, 39, 49: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46: 더미 레이저
47: 이득 제어 회로

Claims (20)

  1. 광 증폭기로서,
    데이터 신호선을 통해 함께 결합되는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
    증폭기 회로;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 포트에서 상기 광 증폭기로 입력되는 버스트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도록 동작하는 이득 제어 회로; 및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 결합된 출력 및 상기 이득 제어 회로에 결합된 입력을 가진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
    를 구비하고,
    상기 이득 제어 회로는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전력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증폭기 회로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광 증폭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 접속되어, 상기 버스트 신호 입력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이득 제어 회로에 결합하도록 동작하는 제1 커플러;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 접속되어,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상기 출력을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 결합하도록 동작하는 제2 커플러; 및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 접속되어, 상기 제2 커플러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이득 제어 회로에 결합하도록 동작하는 제3 커플러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득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커플러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 및 상기 제2 커플러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이용해,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에 의해 출력될 전력 레벨을 판정하는
    광 증폭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회로는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상기 출력 전력 레벨을, 상기 증폭기 회로가 포화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광 증폭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상기 출력 전력 레벨은 상기 광 증폭기에 입력되는 버스트 신호의 전력 레벨보다 더 큰 소정 레벨로 설정되는 광 증폭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회로는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출력을 펄스 폭 변조하는 광 증폭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상기 출력은, 상기 입력 포트에 어떤 버스트 신호도 존재하지 않을 때, 소정의 최대 변조 레벨로 설정되는 광 증폭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이 0보다 클 때, 상기 이득 제어 회로는, 상기 더미 레이저 신호의 출력과 상기 버스트 신호의 조합이 상기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과 동일한 전력 레벨을 가진 신호를 형성하도록,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상기 출력 전력 레벨에 적용되는 변조를 제어하는 광 증폭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의 출력과 상기 제2 커플러의 입력 사이에 결합되는 지연 소자
    를 더 구비하는 광 증폭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회로는,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펌프 레이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 레이저에 결합된 증폭기 제어 유닛 - 상기 증폭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 레이저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여 상기 광 증 폭기의 출력 전력 레벨을 소정 레벨로 유지하도록 동작함 -
    을 구비하는 광 증폭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회로는 EDFA(erbium-doped fiber amplifier)를 형성하는 광 증폭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회로는 희토류 도핑 섬유 증폭기(rare earth-doped fiber amplifier)를 형성하는 광 증폭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회로는 PDFA(praseodymium-doped fiber amplifier)를 형성하는 광 증폭기.
  13. 광 증폭기로 입력되는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광 증폭기의 증폭기 회로로 입력될 버스트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버스트 신호는 상기 광 증폭기의 입력 포트에서 검출됨 - ;
    더미 레이저 발생 신호를 상기 광 증폭기의 상기 입력 포트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버스트 신호와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신호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 단계 - 상기 조합 신호는 상기 증폭기 회로로 입력됨 -
    를 구비하는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이득 제어 회로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상기 출력을 상기 버스트 신호와 결합하여 상기 조합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합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이득 제어 회로에 결합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회로는, 상기 증폭기 회로가 포화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상기 출력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상기 출력 전력 레벨은 상기 광 증폭기로 입력되는 상기 버스트 신호의 전력 레벨보다 더 큰 소정 레벨로 설정되는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회로는,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출력을 펄스 폭 변조하는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상기 출력은, 상기 입력 포트에 상기 버스트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때, 소정의 최대 변조 레벨로 설정되는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이 0보다 클 때, 상기 이득 제어 회로는, 상기 조합 신호가 상기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과 동일한 전력 레벨을 갖도록, 상기 변조를 제어하는 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지연 소자를 제공하여, 상기 버스트 신호를 상기 더미 레이저 발생 회로의 상기 출력과 조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스트 신호를 소정량만큼 지연시키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방법.
KR1020070126931A 2006-12-08 2007-12-07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을 위해 광 증폭기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532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08,437 US20080137179A1 (en) 2006-12-08 2006-12-08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tical Amplifier for Use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US11/608,437 2006-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227A true KR20080053227A (ko) 2008-06-12

Family

ID=3940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931A KR20080053227A (ko) 2006-12-08 2007-12-07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을 위해 광 증폭기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137179A1 (ko)
EP (1) EP1942565A3 (ko)
JP (1) JP2008148286A (ko)
KR (1) KR20080053227A (ko)
CN (1) CN101197626A (ko)
BR (1) BRPI0704613A (ko)
CA (1) CA2607122A1 (ko)
MX (1) MX20070155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4288B1 (en) * 2006-09-18 2013-02-12 Mediatek Inc. Dummy burst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US8200083B2 (en) 2008-01-03 2012-06-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Burst power measurements using averaged power measurement
JP5347333B2 (ja) * 2008-05-23 2013-11-20 富士通株式会社 光信号処理装置
US8150273B2 (en) * 2008-09-04 2012-04-03 Finisar Corporation Optical receiver with threshold voltage compensation
JP5529589B2 (ja) * 2009-04-10 2014-06-25 株式会社フジクラ ファイバ出力安定化装置
US8149886B2 (en) * 2009-04-28 2012-04-03 High Q Technologies Gmbh Laser amplifier system and laser amplifier method
EP2246944B1 (de) * 2009-04-28 2015-08-05 High Q Laser GmbH Laserverstärker und Laserverstärkungsverfahren
CN101895345A (zh) * 2009-05-22 2010-11-24 华为技术有限公司 突发光信号放大方法、突发光放大器及系统和通信系统
EP2326021A1 (en) * 2009-11-23 2011-05-25 Stichting IMEC Nederland Method and transmitter device for selecting transmission signal power level
CN102136870B (zh) * 2010-01-22 2014-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突发光信号的放大方法、装置和系统
US9264147B2 (en) * 2010-03-24 2016-02-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 shift keyed optical communications
CN102238438B (zh) 2010-05-01 2016-01-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长距盒及其对上下行光的处理方法
JP5556358B2 (ja) * 2010-05-19 2014-07-23 富士通株式会社 光増幅装置
JP5648429B2 (ja) * 2010-11-02 2015-01-07 富士通株式会社 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伝送装置
WO2013015859A2 (en) 2011-05-02 2013-01-3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Optical receiver configurable to accommodate a variety of modulation formats
EP2538592B1 (en) * 2011-06-21 2016-06-08 Alcatel Lucent Add-and-drop node for a WDM optical network
US20130121684A1 (en) * 2011-11-10 2013-05-16 Alcatel-Lucent Us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tection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CN102706537A (zh) * 2012-05-09 2012-10-03 武汉光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掺饵光纤放大器瞬态效应的装置
CN103560834B (zh) * 2013-10-29 2016-01-20 武汉光迅科技股份有限公司 多级edfa瞬态效应的抑制装置和抑制方法
JP6291799B2 (ja) * 2013-11-13 2018-03-14 富士通株式会社 光伝送装置及び光伝送方法
EP3125445B1 (en) * 2014-03-27 2021-08-25 Nec Corporation Optical relay devic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optical re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509113B2 (en) * 2014-06-17 2016-11-29 Fujitsu Limited Transient gain cancellation for optical amplifiers
JP2016025393A (ja) * 2014-07-16 2016-02-08 富士通株式会社 光伝送装置及び光伝送方法
CN105703834B (zh) * 2014-11-28 2019-10-01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光功率的方法和主节点
US9608758B1 (en) * 2015-11-30 2017-03-28 Google Inc. Low cost gain clamped EDFA for TWDM passive optical network application
EP3443690B1 (en) * 2016-04-15 2020-08-26 Xieon Networks S.à r.l. Codirectional ropa supplied with power via a separate fiber transmitting data in opposite direction
US9831978B1 (en) 2016-08-29 2017-11-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pectral occupancy
US10707958B2 (en) * 2018-08-31 2020-07-07 Adva Optical Networking Se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maximum transmission capacity within an optical network
US10868614B2 (en) * 2018-09-04 2020-12-15 Ciena Corporation Optical power replacement for faulted spectrum in channel holder based optical links
WO2022137504A1 (ja) * 2020-12-25 2022-06-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バースト光中継装置及びバースト光中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7666B2 (ja) * 1993-01-20 1999-06-21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ダミー光入力制御型定利得光ファイバ増幅方法および装置
US5657153A (en) * 1995-03-21 1997-08-12 Sdl, Inc. Optical amplifier with complementary modulation signal inputs
US6437908B2 (en) * 2000-02-03 2002-08-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amplifying device
US7064890B2 (en) * 2001-12-10 2006-06-2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amplifier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JP4448700B2 (ja) * 2004-01-09 2010-04-14 富士通株式会社 広帯域パルス幅変調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光増幅器
US20060239604A1 (en) * 2005-03-01 2006-10-26 Opal Laboratories High Average Power High Efficiency Broadband All-Optical Fiber Wavelength Converter
EP1768282B1 (en) * 2005-09-26 2008-01-23 Alcatel Lucent Method for amplifying a time-varying optical signal and optical amplificat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7179A1 (en) 2008-06-12
EP1942565A3 (en) 2009-11-04
BRPI0704613A (pt) 2008-07-29
JP2008148286A (ja) 2008-06-26
CA2607122A1 (en) 2008-06-08
CN101197626A (zh) 2008-06-11
EP1942565A2 (en) 2008-07-09
MX2007015550A (es) 200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3227A (ko)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을 위해 광 증폭기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34120B1 (ko) 수동 광 통신망에 이용되는 반도체 광증폭기의 제어 방법및 장치
KR100326635B1 (ko) 파장 다중 광전송 시스템
JP4481540B2 (ja) 光増幅器
EP1120925B1 (en) Optical amplification repeater and optical amplification repeating and transmitting system
JP3306700B2 (ja) 光増幅装置及び波長多重光伝送システム
US8774635B2 (en) Fiber-optic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JPH11121848A (ja) 光増幅器及び該光増幅器を備えた光伝送システム
US6147796A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arameters for the data channels of a WDM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EP1569368B1 (en)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PSK modulation with a deeply saturated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JP2001024594A (ja) 光増幅器及び該光増幅器を有するシステム
Michie et al. An adjustable gain-clamped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AGC-SOA)
Tran et al. EDFA transient control based on envelope detection for optical burst switched networks
JP4771530B2 (ja) 光増幅器
JP3799266B2 (ja) 誘導ブリリュアン散乱を利用した雑音光除去方法、雑音光除去装置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
JP3306712B2 (ja) 波長多重光伝送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7170673B2 (en) Optical amplifying repeater apparatus and optical amplifying/repeating transmission system
JP3306713B2 (ja) 光増幅装置
US20110311236A1 (en) Optical amplifier, control method therefor,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JP2001053682A (ja) 光増幅装置及び光通信システム
KR100622276B1 (ko) 스펙트럼 저미어진 광원을 이용하는 광 가입자망을 위한 광중계기
WO2001020821A1 (fr) Amplificateur optique et systeme de communication optique a multiplexage en longueur d&#39;onde
Ono et al. Optical WDM node for highly-reliable AGC/ALC of EDFAs by employing power-managed control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