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691A -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691A
KR20080047691A KR1020060117493A KR20060117493A KR20080047691A KR 20080047691 A KR20080047691 A KR 20080047691A KR 1020060117493 A KR1020060117493 A KR 1020060117493A KR 20060117493 A KR20060117493 A KR 20060117493A KR 20080047691 A KR20080047691 A KR 20080047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mounting bracket
fender panel
bol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성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7691A/ko
Publication of KR2008004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휀더패널 앗세이를 차체에 휀더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마운팅시킴에 있어서, 상기 휀더 마운팅 브라켓을 2개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조립공차를 조절할 수 있는 2개의 슬롯홈을 가공하여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외관품질을 확보함은 물론, 별도의 작업인원 및 작업비용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휀더패널 앗세이, 휀더 마운팅 브라켓, 슬롯홈, 면용접, 볼팅체결

Description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A mounting structure of fender panel}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프론트 측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55: 차체 60: 휀더패널 앗세이
65: 휀더 마운팅 브라켓 65a: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
65b: 제2휀더 마운팅 브라켓 70a,70b: 볼트
75: 프론트 웨저스트립 가드 80: 타이어 지오메트리
85: 다이내믹 클리어런스
본 발명은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휀더패널을 차체에 마운팅시킴에 있어서, 조립공차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휀더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에 결합되는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프론트 측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휀더패널 앗세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차체(5)에 수평으로 면용접결합되고, 하단부가 수평으로 상기 휀더패널 앗세이(10)의 일측에 밀착되어 볼트(20)를 수직방향으로 관통시켜 볼팅체결시키는 휀더 마운팅 브라켓(15)을 매개로 차체(5)에 결합된다.
상기 볼트(20)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상기 휀더 마운팅 브라켓(15)과, 상기 휀더패널 앗세이(10)에는 볼트체결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휀더패널 앗세이(10)를 차체(5)에 마운팅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립공차를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휀더 마운팅 브라켓(15)과 휀더패널 앗세이(10)의 볼트체결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트체결공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홈(미도시)으로 가공 성형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25, 30, 35는 각각 프론트 웨저스트립 가드, 타이어 지오메트리, 그리고, 다이내믹 클리어런스이다.
상기 타이어 지오메트리(30)는, 주행 중 서스펜션(미도시)의 움직임에 의해 타이어(1)의 끝부분이 움직이는 궤적을 나타내며, 상기 다이내믹 클리어런스(35) 는, 서스펜션의 부시류(고무재질)(미도시)의 움직임 및 스노우 체인과 같은 부품의 장착작업을 고려한 여유부분을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는, 상기 슬롯홈이 수평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어, 수직방향의 조립공차는 흡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수직방향의 공차는, 상기 휀더패널 앗세이(10)를 차체(5)에 조립(결합)시킨 후, 엔진 또는 변속기(미도시) 등을 차체(5)에 장착할 경우 그 하중에 의하여 차체(5)가 수직방향으로 약간 변형됨에 의하여 발생되는데, 이때, 차체 외부에 헤드램프(40) 및 범퍼커버(45) 등을 장착하게 되면 상기 휀더패널 앗세이(10)와 상기 헤드램프(40) 및 범퍼커버(45)의 외관면(도 1의 도면상 도면부호 Z참조)이 서로 매칭되지 않고 단차가 생김으로써 차량의 외관을 좋지 않게 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아울러 상기 외관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체(5) 양산 후 현장에서 직접 맞춤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심한 경우 상기 차체(5)의 양산에 필요한 금형을 수정하여야 하는 등 작업인원 및 작업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휀더패널을 차체에 마운팅시킴에 있어서 이를 매개하는 휀더 마운팅 브라켓의 결합위치 및 형상을 다소 변경시킴으로써 수평방향의 조립공차는 물론, 수직방향의 조립공차 가 흡수가능한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는, 휀더패널 앗세이가 휀더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에 연결되는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단부가 차체에 면용접되고, 하단부가 휀더패널 앗세이에 볼팅체결되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조립공차 조절이 가능한 조립공차 흡수수단이 구비된 휀더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휀더 마운팅 브라켓은, 상단부가 차체에 면용접되고,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볼트가 관통하여 볼팅체결되도록 수직방향의 제1슬롯홈이 형성된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과; 상단부가 상기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의 하단부에 형성된 슬롯홈에 수평방향으로 볼트가 관통하여 볼팅체결되고,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휀더패널 앗세이를 볼팅체결하도록 수평방향의 제2슬롯홈이 형성된 제2휀더 마운팅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슬롯홈과 제2슬롯홈을 이용하여 조립공차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휀더패널 앗세이(60)가 휀더 마운팅 브라켓(65)을 매개로 차체(55)에 연결되는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휀더 마운팅 브라켓(65)은, 상단부가 차체(55)에 면용접되고, 하단부가 휀더패널 앗세이(60)에 볼팅체결되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이하, "수직방향"은 "y"방향, "수평방향"은 "x"방향으로 혼용하여 칭함)으로 조립공차 조절이 가능한 조립공차 흡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휀더 마운팅 브라켓(65)은,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65a)과, 제2휀더 마운팅 브라켓(65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65a)은 상단부가 차체(55)에 면용접되고,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볼트(70a)가 관통하여 볼팅체결되도록 수직방향의 제1슬롯홈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휀더 마운팅 브라켓(65b)의 상단부는 상기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65a)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슬롯홈에 수평방향으로 볼트(70a)가 관통하여 볼팅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휀더 마운팅 브라켓(65b)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볼트(70b)가 관통하여 상기 휀더패널 앗세이(60)를 볼팅체결하도록 수평방향의 제2슬롯홈이 형성된다.
이는 종래 상단부가 차체(5)에 면용접결합되고, 하단부가 휀더패널 앗세이(10)에 수직방향으로 볼팅체결되는 휀더 마운팅 브라켓(15)과는 차이가 있다.
즉, 종래에는 휀더 마운팅 브라켓(15)에 본 발명의 상기 제2슬롯홈에 해당되 는 슬롯홈밖에 형성되지 않아, x방향의 조립공차만을 흡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휀더 마운팅 브라켓(65)을 2개로 분리 구성하고, 그 중간부분에 상기 제1슬롯홈을 별도로 형성시킴으로써 y방향의 조립공차까지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된다.
한편, 상기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65a)의 하단부와 상기 제2휀더 마운팅 브라켓(65b)의 상단부가 볼트(70a)에 의하여 볼팅체결되는 부위는 볼트체결작업이 용이하도록 프론트 웨저스트립 가드(75)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차량의 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승용차량의 경우 타이어와 차체(55)간 간격을 최소로 하여 디자인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상기 차체(55)와 프론트 웨저스트립 가드(75), 그리고 타이어 지오메트리(80)간 간격이 매우 협소하여, 상기 제1 및 제2휀더 마운팅 브라켓(65a,65b)의 볼팅체결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미설명 도면부호 85는 다이내믹 클리어런스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다이내믹 클리어런스(85)는, 서스펜션의 부시류(고무재질)(미도시)의 움직임 및 스노우 체인과 같은 부품의 장착작업을 고려한 여유부분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략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65a)의 상단부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 차체(55)의 일면에 면용접 결합한다.
다음으로, 수평방향의 조립공차를 미리 예측하여 상기 제2휀더 마운팅 브라켓(65b)의 하단부를 상기 휀더패널 앗세이(60)의 수평면에 밀착시킨 후 상기 제2슬롯홈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의 조립공차가 흡수되도록 볼트(70b)를 수직방향(구체적으로는 하부에서 상부)으로 관통시켜 볼트체결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각각 상기 차체(55) 및 휀더패널 앗세이(60)에 결합된 상기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65a)의 하단부와, 상기 제2휀더 마운팅 브라켓(65b)의 상단부를 각각 겹쳐지도록 밀착시킨 후 상기 제1슬롯홈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의 조립공차가 흡수되도록 볼트(70a)를 수평방향(구체적으로는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관통시켜 볼트체결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 및 제2휀더 마운팅 브라켓(65a,65b)의 조립이 완료된 후 차체(55)에 엔진 및 변속기 등을 장착하여 헤드램프 및 범퍼커버와 비매칭되는 단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슬롯홈 및 제2슬롯홈을 이용하여 추후 조립공차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는, 휀더패널을 차체에 휀더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마운팅시킴에 있어서, 상기 휀더 마운팅 브라켓을 2개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조립공차를 조절할 수 있는 2개의 슬롯홈을 가공하여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외관품질을 확보함은 물론, 별도의 작업인원 및 작업비용의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휀더패널 앗세이가 휀더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에 연결되는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단부가 차체에 면용접되고, 하단부가 휀더패널 앗세이에 볼팅체결되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조립공차 조절이 가능한 조립공차 흡수수단이 구비된 휀더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에 연결되는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휀더 마운팅 브라켓은, 상단부가 차체에 면용접되고,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볼트가 관통하여 볼팅체결되도록 수직방향의 제1슬롯홈이 형성된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과;
    상단부가 상기 제1휀더 마운팅 브라켓의 하단부에 형성된 슬롯홈에 수평방향으로 볼트가 관통하여 볼팅체결되고, 하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휀더패널 앗세이를 볼팅체결하도록 수평방향의 제2슬롯홈이 형성된 제2휀더 마운팅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슬롯홈과 제2슬롯홈을 이용하여 조립공차를 조절할 수 있는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
KR1020060117493A 2006-11-27 2006-11-27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 KR20080047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493A KR20080047691A (ko) 2006-11-27 2006-11-27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493A KR20080047691A (ko) 2006-11-27 2006-11-27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691A true KR20080047691A (ko) 2008-05-30

Family

ID=3966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493A KR20080047691A (ko) 2006-11-27 2006-11-27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76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6713B1 (en) 2012-06-18 2013-12-0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ssembling fender panel of vehicle
US9156503B2 (en) 2013-12-17 2015-10-13 Kia Motors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of fender side cover
CN105946983A (zh) * 2016-06-17 2016-09-2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翼子板安装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6713B1 (en) 2012-06-18 2013-12-0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ssembling fender panel of vehicle
US9156503B2 (en) 2013-12-17 2015-10-13 Kia Motors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of fender side cover
CN105946983A (zh) * 2016-06-17 2016-09-2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翼子板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8861B (zh) 后车身结构
KR102371245B1 (ko) 차량의 센터 필러 구조
CN102361768A (zh) 车门构造体
KR20080047691A (ko) 휀더패널 마운팅 구조
CN204488630U (zh) 机动车辆前照灯组件和用于机动车辆的前照灯组件
JP4795750B2 (ja) キャブへのフロントガード取付構造
KR100826472B1 (ko)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CN106143311A (zh) 一种车门上的后视镜安装结构
KR101584287B1 (ko) 차량용 에어댐의 단부 체결 장치
KR100993506B1 (ko) 트럭의 리어가드 장착구조
CN209192076U (zh) 履带车架
US20170107689A1 (en) Support structure for frame of a machine
CN213831585U (zh) 一种汽车保险杠总成
GB2496487A (en) Vehicle water box arranged below front window frame
KR100873860B1 (ko) 엔진용 마운팅 브라켓
KR100534345B1 (ko) 대형트럭의 헤드램프 마운팅구조
KR102402895B1 (ko)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 및 창틀의 개선된 장착구조
CN215398933U (zh) 车辆及其a柱组件
KR100890118B1 (ko) 차량용 도어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KR100586507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와 범퍼 및 펜더 동시 장착용 브라케트
WO2010056018A3 (ko) 도로의 가드레일
KR20030086633A (ko) 화물 차량의 후부 안전가드
KR0123050B1 (ko) 차체의 전면구조
CN102943800A (zh) 一种用于固定汽车内饰板缓冲块的连接件
KR100566960B1 (ko)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