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960B1 -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 - Google Patents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960B1
KR100566960B1 KR1020040026605A KR20040026605A KR100566960B1 KR 100566960 B1 KR100566960 B1 KR 100566960B1 KR 1020040026605 A KR1020040026605 A KR 1020040026605A KR 20040026605 A KR20040026605 A KR 20040026605A KR 100566960 B1 KR100566960 B1 KR 100566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arrier
end module
lamp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395A (ko
Inventor
강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96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3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의 램프 장착부위로 변형이나 파손이 국한되는 차량 저속 충돌시 캐리어 전체의 교체가 필요 없이 파손 부위로만 국한해 제반 비용 저감은 물론 상품성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론트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을 이루면서 응축기(C)와 라디에이터(R) 및 냉각팬(Fc)등을 장착하면서 차량 차체프레임(F)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전면 패널을 이루는 캐리어(1)가
양쪽 하부 부위로 램프를 장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장착 영역(2)을 테두리만 갖춘 개구영역(2')을 갖도록 형성되고,
램프를 안착하면서 지지하는 마운팅부재(3)를 덧대 상기 장착 영역(2)과 차체프레임(F)쪽으로 볼트 체결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Low speed impact inducing part destroy type front end module carrier in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부위의 분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 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리어 2 : 장착 영역
2' : 개구영역 3 : 마운팅부재
4 : 마운팅플레이트 5 : 체결단
5a,5b,5c : 제1·2·3체결보스
6,7 : 제1·2변형가이드비드 8 : 체결볼트
a : 사이드멤버 체결홀
C : 응축기 F : 차체프레임
Fc : 냉각팬 R : 라디에이터
본 발명은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5Km/h 이하의 저속 충돌시 헤드 램프 장착부위의 부분 변형을 유도하도록 된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프론트엔드에는 헤드램프와 후드래치, 범퍼, 라디에이터 및 전동팬 등이 설치되므로 강성적 측면과 각종 부품 등을 설치하기 위한 기능성 측면을 모두 만족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프론트엔드에는 장착되는 많은 부품 등을 하나 하나 별개로 설치하게 되면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하고 공정수가 늘어나게 되어 작업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므로, 현재에는 프론트엔드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공정수를 단축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부품을 직접 프론트엔드에 미리 설치하여서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킨 프론트엔드 모듈(Front End Module)로 제조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프론트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차체프레임(F)에서 전면부를 구성하는 전면 패널을 이루는 캐리어(1,carrier, 이는 볼스터(bolster)라고도 함)를 통해 응축기(C)와 라디에이터(R) 및 냉각팬(Fc)등을 장착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캐리어(1)는 차량의 경량화와 금형의 단순화 및 투자비 절감 등의 이유로 합성 수지 재를 이용해 블로우 공법으로 제작되어짐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캐리어(1)에는 차량의 램프가 장착되도록 그 양 측면 하부 부위에 장착 영역(2)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캐리어(1)에 형성된 장착 영역(2)은 램프가 안착되도록 극히 단순하게 적정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1)에 램프를 장착하는 작업도 램프를 장착 영역(2)에 위치시킨 후 다수 볼트를 장착 영역(2)과 차체프레임(F)부위로 관통시켜 너트등을 매개로 체결해 조립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램프와 캐리어(1)간의 장착구조는 부품 파손에 따른 교체시 비효율적인 측면이 큰데 특히, 차량의 저속(15Km/h 이하 차량 속도)충돌시 캐리어(1)에 대한 큰 손상이 없이 그 변형이 램프 장착 부위인 장착 영역(2)으로 국한되는 경우에도 캐리어(1) 전체를 교환해야 만 하는 불편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캐리어(1)의 램프 장착부위에 대한 부분적인 변형이나 파손시에도 캐리어(1)전체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부품 교환에 대한 비용 상승을 가져옴은 물론, 불필요한 부품 교환에 따른 제반 비용의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의 구매욕구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캐리어의 램프 장착부위로 변형이나 파손이 국한되는 차량 저속 충돌시 캐리어 전체의 교체가 필요 없이 파손 부위로만 국한해 제반 비용 저감은 물론 상품성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응축기와 라디에이터 및 냉각팬등이 장착되는 차체프레임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캐리어의 양쪽 하부 부위로 테두리를 제외한 빈 공간인 개구영역을 형성하는 장착 영역에 램프를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부재가 체결되되,
상기 마운팅부재는 장착 영역부위를 가려주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상부와 한쪽 측면부위로 돌출되어 장착 영역을 형성하는 테두리부위로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체결단 및 상기 개구영역을 가려주는 마운팅플레이트부위에 다수의 사이드멤버 체결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을 야기하도록 형성된 변형가이드비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부위의 분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프론트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을 이루면서 응축기(C)와 라디에이터(R) 및 냉각팬(Fc)등을 장착하면서 차량 차체프레임(F)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전면 패널을 이루는 캐리어(1)가
양쪽 하부 부위로 램프를 장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장착 영역(2)을 테두리만 갖춘 개구영역(2')을 갖도록 형성되고,
램프를 안착하면서 지지하는 마운팅부재(3)를 덧대 상기 장착 영역(2)과 차체프레임(F)쪽으로 볼트 체결시켜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부재(3)는 캐리어(1)에 일체로 형성된 테두리부위와 개구영역(2')을 형성하는 장착 영역(2)부위를 가려주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운팅플 레이트(4)와, 이 마운팅플레이트(4)의 상부와 한쪽 측면부위로 돌출되어 상기 장착 영역(2)을 형성하는 테두리부위로 체결볼트(8)가 관통되는 체결단(5) 및 상기 개구영역(2')을 가려주는 마운팅플레이트(4)부위에 다수의 사이드멤버 체결홀(a)이 형성됨과 더불어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을 야기하도록 형성된 변형가이드비드(6,7)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단(5)은 상부부위로 1곳에 제1체결보스(5a)가 형성되지만 한 쪽 측면부위로는 서로 간격을 두고 2곳에 제2·3체결보스(5b,5c)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변형가이드비드(6,7)는 상기 제1체결보스(5a)부위에서 마운팅플레이트(4)에 수평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홈이 길게 형성된 제1변형가이드비드(6)와, 상기 제2·3체결보스(5b,5c)부위에서 마운팅플레이트(4)에 수직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홈이 길게 형성된 제2변형가이드비드(7)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 차체프레임(F)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를 이루면서 응축기(C)와 라디에이터(R) 및 냉각팬(Fc)등을 장착하는 캐리어(1)에 램프를 장착하려면, 상기 캐리어(1)의 장착 영역(2)으로 램프와 마운팅부재(3)를 덧대어 체결볼트(8)를 캐리어(1)와 차체프레임(F)부위의 사이드프레임쪽으로 관통시켜 조립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1)의 장착 영역(2)을 형성하는 테 두리 상단 부위로 마운팅부재(3)의 마운팅플레이트(4)에 형성된 체결단(5)의 제1체결보스(5a)를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장착 영역(2)을 형성하는 테두리 측면 부위로 마운팅부재(3)의 마운팅플레이트(4)에 형성된 체결단(5)의 제2·3체결보스(5b,5c)를 위치시켜 준다.
이어, 상기 제1·2·3체결보스(5a,5b,5c)에 체결볼트(8)를 캐리어(1)뒤로 관통해 너트를 매개로 고정해 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팅부재(3)의 마운팅플레이트(4)가 캐리어(1)의 장착 영역(2)을 이루는 테두리부위와 개구영역(2')을 전체적으로 가려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운팅부재(3)를 캐리어(1)의 장착 영역(2)에 덧대어 고정한 후, 체결볼트(8)를 마운팅플레이트(4)에 형성된 사이드멤버 체결홀(a)을 통해 사이드프레임쪽으로 관통시켜 램프를 조립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저속 충돌이 일어나 그 충격이 범퍼를 거쳐 램프를 파손하면서 가해지는 캐리어(1)의 장착 영역(2)으로 가해지면, 상기 캐리어(1)의 장착 영역(2)으로 덧대어진 마운팅부재(3)부위가 충격을 받아 마운팅플레이트(4)에 수평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2변형가이드비드(6,7)부위가 변형되게 된다.
즉, 상기 캐리어(1)의 장착 영역(2)에서 뚫려 있는 개구영역(2')에 위치된 마운팅플레이트(4)가 충격력에 의해 변형되는데 이때, 상기 제1·2변형가이드비드(6,7)는 오목한 홈으로 형성됨에 따라 우선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전달된 충격력이 캐리어(1)부위로 전달되지 않고 마운팅플레이트(4)의 자체적인 변형으로 한정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손된 램프의 교체시에는 캐리어(1)의 교체가 필요 없이 파손된 램프와 함께 변형·파손된 마운팅부재(3)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저속 충돌시 프론트엔드모듈(FEM)를 이루는 캐리어의 변형·파손 부위를 램프를 장착하면서 볼트를 매개로 캐리어에 체결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국한 시켜주므로, 파손된 램프에 관련된 부품 교체시에도 캐리어 전체가 아닌 램프 장착부로 한정해 과도한 부품 교환 비용을 억제함과 더불어 교체 비용 감소에 따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응축기(C)와 라디에이터(R) 및 냉각팬(Fc)등이 장착되는 차체프레임(F)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캐리어(1)의 양쪽 하부 부위로 테두리를 제외한 빈 공간인 개구영역(2')을 형성하는 장착 영역(2)에 램프를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부재(3)가 체결되되,
    상기 마운팅부재(3)는 장착 영역(2)부위를 가려주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운팅플레이트(4)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의 상부와 한쪽 측면부위로 돌출되어 장착 영역(2)을 형성하는 테두리부위로 체결볼트(8)가 관통되는 체결단(5) 및 상기 개구영역(2')을 가려주는 마운팅플레이트(4)부위에 다수의 사이드멤버 체결홀(a)이 형성됨과 더불어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을 야기하도록 형성된 변형가이드비드(6,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이드비드(6,7)는 마운팅플레이트(4)에 수평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면서 오목한 홈으로 길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
KR1020040026605A 2004-04-19 2004-04-19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 KR100566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605A KR100566960B1 (ko) 2004-04-19 2004-04-19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605A KR100566960B1 (ko) 2004-04-19 2004-04-19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395A KR20050101395A (ko) 2005-10-24
KR100566960B1 true KR100566960B1 (ko) 2006-03-31

Family

ID=3727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605A KR100566960B1 (ko) 2004-04-19 2004-04-19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78B1 (ko) * 2006-12-08 2008-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방 차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395A (ko) 2005-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348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7322639B2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US4917203A (en) Radiator cover for motor vehicles
US8911007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2007216761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2009083687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US6155633A (en) Bumper-mounting structure for frame-mounted-body vehicle
JP4816141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2007090916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6758515B2 (en) Front end structure of vehicle with crushable zones for collision damage
JP5163338B2 (ja) 車両の補機支持構造
KR100566960B1 (ko) 저속충돌 부분 변형 유도형 차량용 프론트엔드 모듈 캐리어
KR20230055100A (ko) 차량의 언더 프로텍터 체결 구조
KR101273367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638840B1 (ko) 헤드램프 고정장치
JP2007137141A (ja) 自動車用フェンダ構造
KR20130002782A (ko) 펜더 조립 구조 및 방법
EP3808606B1 (en) Vehicle front structure, and vehicle
KR100534345B1 (ko) 대형트럭의 헤드램프 마운팅구조
KR100569977B1 (ko) 자동차용 프론트엔드모듈의 냉각장치 장착구조
JP7480813B2 (ja) エアガイド構造および車両
KR20110140028A (ko) 자동차의 프런트 구조
KR100328993B1 (ko) 자동차 범퍼
KR100869733B1 (ko) 자동차용 프런트 엔드 모듈
KR100803064B1 (ko) 라디에이터 그릴의 스토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