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260A - 편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물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260A
KR20080047260A KR1020070099994A KR20070099994A KR20080047260A KR 20080047260 A KR20080047260 A KR 20080047260A KR 1020070099994 A KR1020070099994 A KR 1020070099994A KR 20070099994 A KR20070099994 A KR 20070099994A KR 20080047260 A KR20080047260 A KR 20080047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yarn
base
pattern yarn
k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아힘 피셔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47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22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special thread-gui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Woven Fabric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물 베이스(knitware base)와 패턴(pattern)을 포함하는 편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패턴이 적어도 하나의 패턴 실(pattern thread)로써 형성되며, 상기 패턴 실이 다수의 위치에서 상기 편물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패턴 실이 적어도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를 따르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편물 베이스에 결합되지 않는다. 패턴화 가능성이 확대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패턴 실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연장된다.

Description

편물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knitware}
본 발명은 편물 베이스(knitware base)와 패턴(pattern)을 포함하는 편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패턴이 적어도 하나의 패턴 실(pattern thread)로써 형성되며, 상기 패턴 실이 다수의 위치에서 상기 편물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패턴 실이 적어도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를 따르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편물 베이스에 결합되지 않는 편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패턴화된 편물의 제조에서, 일반적으로 편물 베이스(knitware base)를, 예를 들어, 술 장식 횡사를 배치함으로써 형성한다. 편물 베이스를 제조할 때, 부가적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패턴 실(pattern thread)이 사용되는데, 상기 패턴 실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패턴 설치 바(bar)로써 배치된다.
패턴 형상(pattern figure)이 상기 편물의 제조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기 위해서, 상기 패턴 실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되는 간격을 두고, 여기서 어떠한 패턴 실도 결합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상응하는 패턴 실을 제1 패턴 형상의 말단부에서 둘로 절개하고, 상기 제1 패턴 형상을 따르는 제2 패턴 형상을 시작하기 위해서 다시 상기 편물 베이스에 작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이러한 두 개의 위치, 즉, 제1 패턴 형상의 말단부와 제2 패턴 형상의 시작부 사이의 패턴 실이 엉클어질 수 있는 것은 잘 알려진 바이다. 상기 상응하는 패턴 실은 상기 편물 베이스의 표면상에 위치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으로만 다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패턴화(patterning) 가능성을 확대하는 편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는, 패턴 실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법에 의하여 해결된다.
상기 패턴 실은, 즉,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패턴 실이 일반적 배치에서 갖는 길이보다 큰 길이로써 설정된다. 상기 일반적인 길이로써 상기 패턴 실은 일반적으로 상기 편물 베이스상에 위치한다. 상기 패턴 실이 연장되면, 상기 패턴 실은 상기 편물 베이스로부터 제거되며, 이에 상응하게 더 이상 상기 편물 베이스에 위치하지 않는다. 이는, 패턴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광학적인 날염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물 실이 상기 제1 위치에 결합된 후에 고정되고 나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편물 베이스에 결합된다. 상기 편물 베이스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제조방향으로 진행되면, 상기 패턴 실의 고정은, 상기 패턴 실이 자동으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특히 간단하게는 상기 두 개의 위치 사이의 패턴 실이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턴 실이 단단히 고정된다. 단단히 고정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큰 힘이 발생할 때 상기 패턴 실이 상기 고정위치로부터 이완되 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단한 고정으로써, 상기 패턴 실이 점차로 고정위치로부터 이완되므로, 소정의 과잉길이에 도달할 때 부가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서 상기 패턴 실이 이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턴 실이 그리퍼(gripper)로써 고정부 안으로 당겨지고 나서 상기 그리퍼로부터 이완된다. 또한, 상기 그리퍼는, 상기 패턴 실을 연장시키고 상기 고정부 안으로 이동하는 과제를 갖는다. 그 이후, 상기 패턴 실은 상기 고정부 안에 단단히 고정되므로, 상기 그리퍼를 사용한 고정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상기 패턴 바로써 상기 패턴 실 주위에 배치하기 위해서, 상기 그리퍼는 가장 간단한 경우, 후크(hook)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면, 상기 그리퍼를 상대적으로 간단히 움직임으로써 상기 패턴 실을 상기 그리퍼로부터 이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위치는 인접한 스티치 라인(코의 열)에 배치된다. 소위, 두 개의 코의 열 사이에 하나의 매듭이 형성된다. 따라서, 두 개의 이완된 패턴 실 사이의 최소간격, 즉, 단일 코의 열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매우 미세한 해상력(resolving power)을 허용하고 동시에 패턴화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된 패턴 실이 상기 두 개의 위치의 영역에서 둘로 절개된다.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개개의 패턴 형상은, 상기 패턴 실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영역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위치 사이의 패턴 실은 확대된 길이를 가지므로, 둘로 절개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예 를 들어, 상기 편물 베이스를 통하여 기류가 발생하는데, 상기 기류로 인해, 상기 확대된 패턴 실이 상기 편물 베이스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편물 베이스에 의해 안내된, 조밀한 절개위치에 의하여, 상기 패턴 실이 상기 두 개 위치의 영역에서 둘로 절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응하는 절개도구가 배치되는 방향전환 롤러에 의해서도 상기 상응하는 패턴 실을 구비한 편물 베이스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연장된 패턴 실은 방향전환시 상기 방향전환 롤러에 의해서 방사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움직여지므로, 상기 절개도구에 의해 상기 연장된 패턴 실이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은, 상대적으로 작은 부가비용을 필요로 하는 패턴화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생시킨다.
상기 패턴 실이 상기 제2 위치에 결합된 후에 제3 위치에 결합되고, 상기 제3 위치에서는 하나 이상의 코의 열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패턴 실이 상기 제2 위치의 영역에서 둘로 절개된 후에 상기 편물 베이스로부터 이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제3 위치 사이의 패턴 실의 부분(segment)이 비어 있다. 단지 하나의 위치에서도, 즉, 상기 편물 베이스가 결합되는 제2 위치의 실은 일반적으로 단지 작은 힘으로 고정되므로, 상기 실은 상기 편물 베이스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float)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실이 존재한다. 이러한 실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까지의 간격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실 부분(segment)은 증가된 길이를 더 이상 가져서는 안되지만, 확대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이 단지 일측으로, 즉, 상기 제3 위치에서 더욱 고정되므로, 상기 실은 또 다른 패턴화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턴 실이 상기 제3 위치의 영역에서 둘로 절개된다. 상기 실은 어차피 상기 부분의 말단에서 더욱 고정되므로, 상기 실은 상기 편물 베이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서, 절개도구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턴 실이 15mm 내지 40mm의 범위 내의 길이로 연장된다. 대부분의 경우, 상기 두 개 위치 사이의 실을 둘로 절개하기 위한 간단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데 20mm 내지 30mm 범위 내의 연장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턴화(patterning) 가능성을 확대하는 편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술 장식 씨실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는 편물 베이스(knitware base) (2)를 포함하는 편물(1)을 도시한다. 이러한 편물 베이스를 제조하는 데 두 개의 베이스 바(base bar)가 사용되며, 상기 베이스 바는 하기 배치로써 작동된다.
GB 1: 1-0/0-1
GB 2: 0-0/2-2
상기 편물 베이스(2)를 제조할 때, 소정의 간격으로 제조방향에서 편물이 겹쳐지는 패턴 형상(4, 5)을 형성하기 위해서, 다수의 패턴 실(pattern thread)이 함 께 결합된다. 상기 패턴 형상(4, 5)은 자카드 설치 바(Jacquard installation bar )의 기본 배치에 의한 절반 또는 완전한 분할로, 예를 들어, 트리콧(trikot) 또는 천(cloth)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된 실시예에서 코(stitch) 또는 핸들(handle)로서 설치된다. 많은 패턴 형상들은 자카드 설치 바 없이도, 즉, 간단한 패턴 설치 바로써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 형상(4)을 배치한 후에, 상기 패턴 실(3)은 상부에 배치되지 않고 유동된다(A 부분). 이는, 자카드 설치 바에서, 자체적으로 알려진 역압출(reverse extrusion)에 의하여 상기 덮힘에서 실현되며, 간단한 패턴 바에서는 이러한 상부배치를 임시적으로 포기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패턴 형상(5)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패턴화를 다시 시작하기 전에, 상기 패턴 실(3)은 그리퍼(gripper)에 의하여 검출되며, 연장되고 고정장치 안으로 당겨진다(B 부분). 상기 그리퍼 안에 설치하는 것은 제2 하부배치 압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리퍼 동작에 의하여, 상기 패턴 실(3)은 소정의 길이, 예를 들어, 25mm로 연장된다.
패턴화에 필요한 패턴 실(3)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편물 베이스에 다시 결합된다. 상기 그리퍼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유동되는 실(3)이 연장된다(D 곡선).
또한, 상기 패턴 실(3)은 제1 위치(6)와 제2 위치(7) 사이에서 일반적인 배치에 비해서 연장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언급한 25mm만큼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인접하여 상기 패턴 실(3)이 상 기 편물 베이스(2)에 결합되고, 그 사이에서는 상기 패턴 실(3)은 상기 편물 베이스(2)에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패턴 실(3)을 상기 편물 베이스(2)에 결합한 후에, 상기 패턴 실(3)은 상기 그리퍼로부터 이완되어 상기 패턴 형상(5)이 배치된다. 이는, 상기 패턴 실(3)이 상기 연장 후에 단단히 고정되어서 상기 결합 후에 상기 그리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간단히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조여진 패턴 실(3)은, 상기 편물 베이스에 의하여 제조방향으로 자동으로 상기 편물 베이스(2)로부터 이완될 때까지 몇 개의 스티치 라인(코의 열)으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는 다수의 코의 열로써, 상기 패턴 실(3), 즉, 상기 패턴 실(3)에 의해 형성된 "매듭"이 제어되지않은 채로 상기 편물공정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그리퍼를 코의 열에서 코의 열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하나의 매듭(C)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비어있는 패턴 형상(4, 5)과의 최소간격에서 상기 패턴 실(3)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매듭(C)과 상기 연장된 유동 부분(A)은 상기 편물 베이스(2)로부터 명백히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패턴 실(3)은 더 이상 상기 편물 베이스(2)에 인접하지 않는다. 이러한 배치의 실현은, 상기 비어있는 패턴 형상(4, 5)을 얻거나 이를 패턴 효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작업공정에서 상기 편물 베이스(2)과 거리가 먼 실을 절개하는 데(절개위치(E)) 사용할 수 있다.
패턴을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면, 상기 편물 베이스(2)에서 절개하지 않고서상기 연장된 유동 부분(A) 또는 상기 매듭(C)을 이탈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 배치를 항상 매듭(C)의 배치와 함께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패턴 실(3)은 상기 매듭(C)을 배치할 때 연장된다. 이러한 배치는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작업공정시 상기 형성된 매듭(C)을 절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유동되는 패턴 실(A)을 상기 편물 베이스(2)로부터 이완시키거나, 절개 대신에 패턴 효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매듭(C)을 상기 절개위치(E)에서 둘로 절개한 후에 상기 유동되는 패턴 실(A)이 실제로 각각의 말단에서 간단한 결합에 의해서만 상기 편물 베이스(2)에 고정되므로, 상기 유동되는 부분(A)을 상대적으로 간단히 이완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패턴 실(3)은, 상기 편물 베이스(2)에 결합되는 제1 위치(6)와 제2 위치(7) 사이에서 더 이상 상기 편물 베이스(2)에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매듭(C)에 의하여 상기 패턴 실(3)은 이러한 두 개의 위치(6, 7) 사이에서 연장되므로, 상기 패턴 실(3)은 상기 절개위치(E)에서 아무런 문제없이 둘로 절개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 실(3)이 상기 편물 베이스(2)에 결합되는 제1 위치(6)와 제2 위치(7) 사이에서 상기 패턴 실(3)을, 상기 패턴 실(3)의 길이가 연장되는 매듭(C)쪽으로 배치한다. 상기 매듭(C) 안에서 연장된 패턴 실(3)은 상기 절개위치(E)(두 번)에서 아무런 문제없이 둘로 절개될 수 있다.
상기 패턴 실(3)이 다시 상기 편물 베이스(2)에 결합되는 제3 위치(8)에서 끝나는, 연장되지않은 부분(A)이 남는다. 상기 제3 위치(8)와 상기 제2 위치(7) 사이에 일반적으로 다수의 코의 열이 위치한다.
상기 패턴 실(3)을 상기 절개위치(E)에서 둘로 절개한 후에 상기 매듭(C)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부분(A)은 상기 제2 위치(7)에서 아무런 문제없이 상기 편물 베이스(2)로부터 이완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패턴 실(3)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3 위치(8)에서만 상기 편물 베이스(2)에 연결된다(상기 패턴 형상(4, 5) 내부의 잔여 결합을 무시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7)의 영역에서 아무런 문제없이 상기 부분(A)을 상기 편물 베이스(2)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제3 위치(8)에서 상기 편물 베이스(2)에 연결할 수 있거나(이는 패턴화를 위한 또 다른 형성가능성을 유발시킨다), 인접한 패턴 형상(4, 5) 사이에서의 분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위치(F)에서 둘로 절개할 수 있다.
도 1은 패턴을 포함하는 제1 편물을 도시한다.
도 2는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편물을 도시한다.
도 3은 패턴을 포함하는 제3 편물을 도시한다.

Claims (9)

  1. 편물 베이스(knitware base)와 패턴(pattern)을 포함하는 편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패턴이 적어도 하나의 패턴 실(pattern thread)로써 형성되며,
    상기 패턴 실이 다수의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실이 적어도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를 따르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편물 베이스에 결합되지 않으며,
    상기 패턴 실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 실이 상기 제1 위치에 결합된 후에 고정되고 나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편물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실이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실이 그리퍼(gripper)로써 고정부 안으로 당겨지고 나서 상기 그 리퍼로부터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위치는 인접한 스티치 라인(코의 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패턴 실이 상기 두 개의 위치의 영역에서 둘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실이 상기 제2 위치에 결합된 후에 제3 위치에 결합되고,
    상기 제3 위치에서는 하나 이상의 코의 열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패턴 실이 상기 제2 위치의 영역에서 둘로 절개된 후에 상기 편물 베이스로부터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실이 상기 제3 위치의 영역에서 둘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실이 15mm 내지 40mm의 범위 내의 길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제조방법.
KR1020070099994A 2006-11-24 2007-10-04 편물 제조방법 KR200800472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55498.1 2006-11-24
DE102006055498A DE102006055498B4 (de) 2006-11-24 2006-11-24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irkwa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260A true KR20080047260A (ko) 2008-05-28

Family

ID=3914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994A KR20080047260A (ko) 2006-11-24 2007-10-04 편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25699A1 (ko)
JP (1) JP2008127738A (ko)
KR (1) KR20080047260A (ko)
CN (1) CN101187108B (ko)
DE (1) DE102006055498B4 (ko)
TW (1) TW20082523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5430B (zh) * 2014-04-02 2017-01-18 福建华峰新材料有限公司 一种表面反向垫纱贾卡提花三明治布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65048C (de) * 1928-09-04 Wilhelm Barfuss Jacquardgemusterte ein- und doppelflaechige Kettenwirkware
US4014185A (en) * 1974-09-19 1977-03-29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knitted long-pile fabrics and fabrics made by the method
DD139432B1 (de) 1978-10-20 1980-12-10 Manfred Schneider Verfahren und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eines gemusterten polschlingengewirkes
JPS5748285A (en) * 1980-08-15 1982-03-19 Rohm Co Ltd Magneto resistive device
JPS57162391A (en) * 1981-03-31 1982-10-06 Toshiba Chem Prod Copper-lined insulating board
TW203638B (ko) * 1991-09-02 1993-04-11 Textilma Ag
DE4223226C2 (de) * 1992-07-15 1994-11-10 Roland Wunner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doppelseitiger Polware und Verfahren hierzu
WO1995019462A1 (fr) * 1994-01-14 1995-07-20 Nippon Mayer Co., Ltd.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de realiser des motifs pour machine de tricotage sur metier chaine
DE4432222C1 (de) * 1994-09-10 1996-05-02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und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gemusterten Wirkware
DE19514995C2 (de) * 1995-04-24 1997-06-19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DE10142948B4 (de) * 2001-09-01 2006-03-2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emusterten Wirkware und Kettenwirkmaschine
JP4030542B2 (ja) * 2004-11-10 2008-01-09 株式会社クロダレース 編レース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55498B4 (de) 2008-08-07
CN101187108A (zh) 2008-05-28
EP1925699A1 (de) 2008-05-28
DE102006055498A1 (de) 2008-06-12
TW200825230A (en) 2008-06-16
JP2008127738A (ja) 2008-06-05
CN101187108B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3758B1 (en) Warp knitting fabrics having ground structure expressing various design patterns
WO2007076530A3 (en) Self-curling knitted sleeve and method of fabrication
TW201600667A (zh) 針織織物、用於生產針織織物的方法及經編針織機
DE50213608D1 (de)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Musterlegebarre
JP2017014676A5 (ko)
KR20100019466A (ko) 래치 니들을 구비한 싱커리스 편물기
US5284034A (en) Patterned fabric and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the fabric
SG126717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plush fabrics
CN102534980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HK1106403A1 (en) Fastener tape and fastener stringer
KR930006219A (ko) 플러시(plush) 천을 만드는 원편기
JP3549335B2 (ja) 編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の製造方法及び製造機
KR101957429B1 (ko) 경편기 및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KR20080047260A (ko) 편물 제조방법
KR101182483B1 (ko)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KR100272352B1 (ko) 뜨개 레일을 구비한 경편기
DE10191163D2 (de) Rundstrickmaschine für mehrfarbigen Plüsch
KR940018502A (ko) 더블니트 직물 및 그 제조장치 및 방법
ES2156308T3 (es) Tela textil tricotada por urdimbre con dibujo de partes de tela plisadas.
KR101455976B1 (ko) 파일직물의 편직방법
KR101616522B1 (ko) 환편기
JP6105009B2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成方法
KR101616521B1 (ko) 패턴환편직물 직조방법 및 패턴환편직물
KR100281229B1 (ko) 경편기,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및 문양이 놓여진경편물
KR930018071A (ko) 경사편성포와 그 경사편성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