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147A - 태양열 이동주택 - Google Patents

태양열 이동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147A
KR20080047147A KR1020060117137A KR20060117137A KR20080047147A KR 20080047147 A KR20080047147 A KR 20080047147A KR 1020060117137 A KR1020060117137 A KR 1020060117137A KR 20060117137 A KR20060117137 A KR 20060117137A KR 20080047147 A KR20080047147 A KR 20080047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space
discharge
wall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갑
Original Assignee
최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갑 filed Critical 최종갑
Priority to KR102006011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7147A/ko
Publication of KR20080047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태양열 이동주택에 관한 것으로, 주거공간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외벽을 형성하고, 외벽의 내측으로 유입공간이 구비된 단열벽을 설치하며, 단열벽의 하부에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유입구를 형성한 주택부와, 상기 주택부의 지붕부에 고정돌기를 구비한 온실고정구를 고정체결구로 체결하도록 형성한 온실고정부와, 상기 온실고정부의 고정돌기에 삽입 고정하도록 하부에 결합홈을 구비한 온실외벽의 내측으로 온실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하고, 온실공간의 일측으로 온실도어를 형성하며, 온실도어와 지면을 연결하는 사다리부를 형성한 온실부와, 상기 주택부의 유입공간 일측으로 온실부와 연통하여 냉기를 온실부로 유입시키는 냉기유입관을 형성하고, 온실부의 온실공간 일측으로 온도센서로 내부온도를 점검하면서 공급송풍기의 압력으로 온기를 주택부의 주거공간으로 공급하는 온기공급관을 형성한 공기순환부와, 상기 온실부의 온실공간 하부에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경사부를 구비한 배출단열부를 형성하고, 배출단열부의 중앙으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구비된 배출구를 온실고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연결된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형성한 응축수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택부, 주거공간, 이송바퀴, 온실부, 공기순환부, 응축수배출부

Description

태양열 이동주택 {solar heating mobile ho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이동주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이동주택의 보온 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주택 110 : 주택부
111 : 외벽 112 : 주거공간
113 : 단열벽 114 : 유입공간
115 : 냉기유입구 116 : 지붕부
117 : 바닥부 118 : 이송바퀴
120 : 온실고정부 121 : 온실고정구
122 : 고정돌기 123 : 고정체결구
130 : 온실부
131 : 온실외벽 132 : 결합홈
133 : 온실공간 134 : 온실도어
135 : 사다리부 140 : 공기순환부
141 : 냉기유입관 142 : 온기공급관
143 : 공급송풍기 144 : 온도센서
150 : 응축수배출부 151 : 배출단열부
152 : 경사부 153 : 배출구
154 : 배출관
본 발명은 태양열 이동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주택(mobile house)은 조립식 패널이나 경량의 건축자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하면서 사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방갈로, 전원주택, 캠핑용 주택 및 간이 주택 등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자연을 보호하는 지역이나 공사현장과 같이 건축물을 건설할 수 없는 장소에 이동하면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 주택은 이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벽체와 바닥의 재료를 얇고 단순한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 이동성능을 향상시켜 안락하고 편안한 공간을 창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주택은 벽판재나 바닥판재는 그 두께가 얇고 형태가 단순한 평균형이므로 보온 효과가 미흡하고 온수배관이 필요할 경우 별도의 난방관 설치시설을 필요로 하므로 시설공비가 많이 소요되며 시공이 많은 기술성을 요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주택의 보온을 위해서는 전기를 이용하여 시공비와 시설물의 대한 비용을 축소하였으나, 전기 사용에 따른 유지비용이 증대하고, 장비가 노후화 되면 합선이나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이 위험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동주택의 벽체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상부 지붕 측으로 태양열로 인해 기온이 상승되는 온실을 형성하여 온실과 주택내부를 연결시켜 온실에서 가열된 열기를 주거공간으로 공급시켜 이동주택을 난방함에 따라 난방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시설비와 유지비를 절감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태양열 이동주택은 주거공간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외벽을 형성하고, 외벽의 내측으로 유입공간이 구비된 단열벽을 설치하며, 단열벽의 하부에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유입구를 형성하고, 상부에 지붕부를 형성하며, 하부에 이송바퀴가 구비된 바닥부를 형성한 주택부와, 상기 주택부의 지붕부에 고정돌기를 구비한 온실고정구를 고정체결구로 체결하도록 형성한 온실고정부와, 상기 온실고정부의 고정돌기에 삽입 고정하도록 하부에 결합홈을 구비한 온실외벽의 내측으로 온실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하고, 온실공간의 일측으로 온실도어를 형성하며, 온실도어와 지면을 연결하는 사다리부를 형성한 온실부 와, 상기 주택부의 유입공간 일측으로 온실부와 연통하여 냉기를 온실부로 유입시키는 냉기유입관을 형성하고, 온실부의 온실공간 일측으로 온도센서로 내부온도를 점검하면서 공급송풍기의 압력으로 온기를 주택부의 주거공간으로 공급하는 온기공급관을 형성한 공기순환부와, 상기 온실부의 온실공간 하부에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경사부를 구비한 배출단열부를 형성하고, 배출단열부의 중앙으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구비된 배출구를 온실고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연결된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형성한 응축수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태양열 이동주택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이동주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이동주택의 보온 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열 이동주택(100)은 내부에 주거공간(112)을 구비한 주택부(110)와, 상기 주택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온실고정부(120)와, 상기 온실고정부(120)에 고정되어 내부에 온실공간(133)을 형성한 온실부(130)와, 상기 주택부(110)에서 냉기를 유입하고 온실공간(133)의 일측으로 온기를 공급하여 주거공간(112)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140) 와, 상기 온실부(130)의 온실공간(133) 하부에 응축수를 배출하면서 단열하는 응축수배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택부(110)는 주거공간(112)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외벽(111)을 형성하고, 외벽(111)의 내측으로 유입공간(114)이 구비된 단열벽(113)을 설치하며, 단열벽(113)의 하부에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유입구(115)를 형성하고, 상부에 지붕부(116)를 형성하며, 하부에 이송바퀴(118)가 구비된 바닥부(117)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온실고정부(120)는 주택부(110)의 지붕부(116)에 고정돌기(122)를 구비한 온실고정구(121)를 고정체결구(123)로 체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온실부(130)는 온실고정부(120)의 고정돌기(122)에 삽입 고정하도록 하부에 결합홈(132)을 구비한 온실외벽(111)의 내측으로 온실공간(133)이 구비되도록 형성하고, 온실공간(133)의 일측으로 온실도어(134)를 형성하며, 온실도어(134)와 지면을 연결하는 사다리부(13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공기순환부(140)는 주택부(110)의 유입공간(114) 일측으로 온실부(130)와 연통하여 냉기를 온실부(130)로 유입시키는 냉기유입관(141)을 형성하고, 온실부(130)의 온실공간(133) 일측으로 온도센서(144)로 내부온도를 점검하면서 공급송풍기(143)의 압력으로 온기를 주택부(110)의 주거공간(112)으로 공급하는 온기공급관(142)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응축수배출부(150)는 온실부(130)의 온실공간(133) 하부에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경사부(152)를 구비한 배출단열부(151)를 형성하고, 배출단열부(151)의 중앙으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구비된 배출구(153)를 온실고정부(12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연결된 배출관(154)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태양열 이동주택에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바퀴(118)를 구비한 바닥부(117)의 상부에 내부에 주거공간(112)이 구비되도록 외벽(111)을 형성하고, 외벽(111)의 내측으로 유입공간(114)이 구비되도록 형성한 단열벽(113)의 하부에 냉기유입구(115)를 형성하며, 주거공간(112)의 상부에 지붕부(116)를 구비하여 주택부(110)를 형성한다.
이렇게, 주택부(110)를 형성한 상태에서 지붕부(116)의 외측으로 고정돌기(122)를 구비한 온실고정구(121)를 고정체결구(123)로 체결하여 온실고정부(120)를 형성하고, 온실고정구(121)의 고정돌기(122) 하부에 결합홈(132)을 구비한 온실외벽(111)을 삽입 고정시켜 온실외벽(111)의 내부에 온실공간(133)이 구비되도록 온실부(130)를 설치한다.
이때, 온실부(130)의 온실외벽(111) 일측으로 내부를 출입하는 온실도어(134)를 형성하고, 온실도어(134)를 출입하도록 지면과 연결되도록 사다리부(135)를 형성하여 온실공간(133) 내부를 출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온실부(130)를 주택부(110)의 상부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주택부(110)의 유입공간(114)에 온실부(130)와 연통되도록 냉기유입관(141)을 형성하여 단열벽(113)의 하부에 형성된 냉기유입구(115)를 통하여 유입된 냉기를 냉기유입관(141)을 통하여 온실부(130)의 온실공간(133)으로 유입하여 내부의 냉기를 온 실부(130)로 유입한다.
이렇게, 냉기를 온실부(130)로 유입한 상태에서 온실공간(133)의 일측으로 온도센서(144)로 내부의 온도를 점검하여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공급송풍기(143)를 가동시켜 온기공급관(142)을 통하여 온실공간(133) 내부에 가열공기를 온기공급관(142)을 통하여 주택부(110)의 내부에 주거공간(112)으로 공급시켜 난방을 실시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온실부(130)의 내부의 태양열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냉기를 냉기유입관(141) 측으로 배출하면서 순환시켜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공기를 순환하면서 온실부(130)의 공기를 주택부(110)의 주거공간(112)으로 순환하여 난방을 실시하고, 온실부(130)의 하부에 주택부와 단열하면서 경사부(152)를 구비한 배출단열부(151)의 중앙에 구비된 배출구(153) 측으로 외기와 온실부(130)의 온도편차로 인해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시키면 배출구(153)와 연결되어 온실고정구(121) 외측으로 관통된 배출관(15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외벽(111)과 단열벽(113)의 이중격벽 형태로 이동주택(100)의 단열효율을 향상시키고, 단열벽(113)의 하부에 냉기유입구(115)를 통하여 온실부(130) 측으로 냉기유입관(141)으로 냉기를 유입시키며, 온실부(130)의 온실공간(133) 내부에 태양열로 가열된 공기를 온도센서(144)로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온기공급관(142)을 통하여 공급송풍기(143)의 압력으로 공급시켜 난방효율을 증대시 켜고, 온실부(130)의 온실공간(133) 내부에 외기와의 온도 편차로 인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관(154)을 통하여 배출함에 따라 내부 응축수 발생을 최소화 하면서 난방함으로써, 난방에 따른 시설비와 유지비를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태양열 이동주택은 이동주택의 벽체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상부 지붕 측으로 태양열로 인해 기온이 상승되는 온실을 형성하여 온실과 주택내부를 연결시켜 온실에서 가열된 열기를 주거공간으로 공급시켜 이동주택을 난방함에 따라 난방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시설비와 유지비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열 이동주택은 주거공간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외벽을 측부에 형성하고, 외벽의 내측으로 유입공간이 구비된 단열벽을 설치하며, 상부에 지붕부를 형성하며, 하부에 이송바퀴가 구비된 바닥부를 형성한 주택부를 구비하여 바닥부에 이송바퀴를 구비하여 이동성능을 향상시키고, 외벽과 단열벽 사이에 유입공간을 형성한 이중격벽 형태로 구비함으로써, 외기와 차단력을 증대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태양열 이동주택은 주거공간이 구비된 주택부의 상부 지붕부에 고정돌기를 구비한 온실고정구를 고정체결구로 고정형성하고, 고정돌기에 삽입 고정되도록 온실공간이 구비된 온실외벽의 하부에 결합홈을 구비하며, 온실외벽의 일측에 온실을 출입하는 온실도어를 형성하고, 온실도어를 출입하도록 사다리 부를 형성하도록 구비하여 지붕의 상부에 온실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의 보온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열 이동주택은 주거공간이 구비된 주택부의 단열벽 하부에 냉기유입구를 형성하여 주거공간의 내부에 냉기를 냉기유입구를 통하여 유입공간으로 유입하고, 유입공간에 형성된 냉기유입관을 통하여 온실부의 가열된 온실공간으로 유입하고, 온실부의 온실공간의 공기가 온도센서로 센싱하여 일정한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면 공급송풍기의 송풍압력으로 온기공급관을 통하여 주거공간의 상부에 공급됨에 따라 내부의 냉기를 온실부로 유입하고 온실부의 가열된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함으로써, 복잡한 시설물 없이 가열된 공기를 내부로 공급함에 따라 난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함에 따라, 시설비를 축소하고 난방에 따른 유지비용을 감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태양열 이동주택은 온실부의 온실공간 하부에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경사부를 구비하면서 온실부와 주택부를 단열하는 배출단열부를 형성하고, 배출단열부의 중앙으로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온실공간의 측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에 연결 형성하여 온실공간의 내부에 형성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온실부의 기온차로 인한 응축수를 배출하면서 온실공간의 내부에 온도편차로 인한 냉기의 유입을 단열재로 단열하여 주택부의 보온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태양열 이동주택은 태양열로 가열되는 온실부의 온기를 지붕부에 구비된 온실부에서 순환 공급함에 따라 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고, 온도 편 차로 형성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함에 따라 난방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주거공간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외벽을 형성하고, 외벽의 내측으로 유입공간이 구비된 단열벽을 설치하며, 단열벽의 하부에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유입구를 형성하고, 상부에 지붕부를 형성하며, 하부에 이송바퀴가 구비된 바닥부를 형성한 주택부와,
    상기 주택부의 지붕부에 고정돌기를 구비한 온실고정구를 고정체결구로 체결하도록 형성한 온실고정부와,
    상기 온실고정부의 고정돌기에 삽입 고정하도록 하부에 결합홈을 구비한 온실외벽의 내측으로 온실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하고, 온실공간의 일측으로 온실도어를 형성하며, 온실도어와 지면을 연결하는 사다리부를 형성한 온실부와,
    상기 주택부의 유입공간 일측으로 온실부와 연통하여 냉기를 온실부로 유입시키는 냉기유입관을 형성하고, 온실부의 온실공간 일측으로 온도센서로 내부온도를 점검하면서 공급송풍기의 압력으로 온기를 주택부의 주거공간으로 공급하는 온기공급관을 형성한 공기순환부와,
    상기 온실부의 온실공간 하부에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경사부를 구비한 배출단열부를 형성하고, 배출단열부의 중앙으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구비된 배출구를 온실고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연결된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형성한 응축수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이동주택.
KR1020060117137A 2006-11-24 2006-11-24 태양열 이동주택 KR20080047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137A KR20080047147A (ko) 2006-11-24 2006-11-24 태양열 이동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137A KR20080047147A (ko) 2006-11-24 2006-11-24 태양열 이동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147A true KR20080047147A (ko) 2008-05-28

Family

ID=3966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137A KR20080047147A (ko) 2006-11-24 2006-11-24 태양열 이동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71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470B1 (ko) * 2011-04-26 2011-08-11 진우건철(주) 태양열집열판이 구비된 이동식 주택
KR101119189B1 (ko) * 2009-04-28 2012-03-12 주건식 이동용 하우스
CN104322363A (zh) * 2014-10-23 2015-02-04 济南盛兴童硕果蔬有限公司 房顶阴阳温室无土栽培大棚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89B1 (ko) * 2009-04-28 2012-03-12 주건식 이동용 하우스
KR101056470B1 (ko) * 2011-04-26 2011-08-11 진우건철(주) 태양열집열판이 구비된 이동식 주택
CN104322363A (zh) * 2014-10-23 2015-02-04 济南盛兴童硕果蔬有限公司 房顶阴阳温室无土栽培大棚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418B1 (ko) 단열성이 보강된 컨테이너 하우스
KR20080047147A (ko) 태양열 이동주택
JP4974707B2 (ja) 建物
FI101493B (fi) Rakennus
US10214895B2 (en) Building having security and safety function
KR101818557B1 (ko) 공동주택 발코니 확장부 단열 및 방염구조
JP4133660B2 (ja) 建物構造
JP4033266B2 (ja) 木造家屋の暖房システム
RU2722614C2 (ru)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и охлаждения модульного жилого здания
JPS646367B2 (ko)
KR200241661Y1 (ko) 전열교환기 시스템의 급기그릴 연결구
KR100496523B1 (ko) 단열 및 방열구조를 가진 사우나실
JPH08285328A (ja) 空気循環建物
JP3123276U (ja) 住宅構造
JP2012167883A (ja) 暖冷房システム及び建物
CN1628199B (zh) 钢结构住宅的建筑物内部的热温环境均匀化施工法
JP3727229B2 (ja) 空気循環式空調システム
JP2995028B2 (ja) 室内暖房構造
JPH07189352A (ja) 家 屋
JP2007009511A (ja) 木造屋根の垂木間空間にダクトを形成して屋根裏頂部から高温空気を排出する方法
JPH10245903A (ja) 建 物
CN208430647U (zh) 一种便于散热的房屋建筑结构
JPH11101475A (ja) 家屋の保温構造
JPH116629A (ja) 高気密・高断熱構造の住宅におけるヒーティングシステム
JP2000356356A (ja) 温風床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