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187A - 우유계 음료의 탄산화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유계 음료의 탄산화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187A
KR20080046187A KR1020087006071A KR20087006071A KR20080046187A KR 20080046187 A KR20080046187 A KR 20080046187A KR 1020087006071 A KR1020087006071 A KR 1020087006071A KR 20087006071 A KR20087006071 A KR 20087006071A KR 20080046187 A KR20080046187 A KR 2008004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beverage
composition
weight
carbo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779B1 (ko
Inventor
리처드 앨런 레벨
라인리 드러먼드
Original Assignee
스플린티즈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플린티즈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플린티즈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6Flavoured milk preparations ; Addition of fruits, vegetables, sugars, sugar alcohols or 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22Inorganic additives, e.g. minerals, trace elements; Chlorination or fluoridation of milk; Organic salts or complexes of metals other than natrium or kalium; Calcium enrichment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04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non-milk fats but no non-milk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24Inert gases, noble gases, oxygen, aerosol gases; Processes for foam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2210/00Physical treatment of dairy products
    • A23C2210/30Whipping, foaming, frothing or aerating dairy products

Abstract

하기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중량%로 포함하는 우유 음료 또는 우유계 음료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성분들의 총중량은 100중량%):
1. 실리카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2. 식물유 약 20 중량% - 약 90 중량%; 및
3. 폴리글리콜 혼합물 약 10 중량% - 약 90 중량%.
상기 조성물에 의해 탄산화의 결과인 음료 내의 발포 및 기포를 제어할 수 있다.
우유, 우유계 , 음료, 발포, 기포, 제어, 조성물, 실리카, 식물유, 폴리글리콜

Description

우유계 음료의 탄산화를 위한 조성물{FORMULATION OF MILK-BASED BEVERAGES FOR CARBONATION}
본 발명은 우유 또는 우유계 탄산음료(milk or milk-based carbonated beverage)의 제조용 기본 조성물, 그 기본 조성물을 이용한 우유 또는 우유계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기술분야 이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
탄산청량음료는 공지되어 있다. 탄산청량음료는 전세계의 청량음료시장의 거의 절반을 점유하고 있다. 탄산청량음료에 대한 대중의 인기가 증대됨에 따라 우유 소비량 및 우유계 음료의 소비량이 크게 감소되었다. 일반적인 음식물 섭취 패턴에 관련하여 서양 사회는 탄산청량음료의 높은 섭취 수준은 건강상태의 총체적인 쇠퇴 및 음식물 섭취에 직접 관련된 질병에 기여하는 요인들 중의 하나라고 인식하고 있다.
우유는 일반적으로 고 영양 물질로 인정된다. 우유는 양질의 단백질, 리보플라빈(비타민 B2), 비타민 B12, 칼슘 및 인의 탁월한 공급원이고, 비타민A, 티아민 (비타민 B1), 니아신 및 마그네슘의 양호한 공급원이다. 영양면에서는 유익하지만, 우유 및 우유계 음료는 인기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우유의 탄산화는 우유 및 그 영양적인 혜택을 더욱 매력적인 방법으로 전달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전통적인 청량음료의 대체물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는 우유의 제조법, 우유 베이스(무지방 우유, 저지방 우유, 고지방 우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조성만을 변화시킨 우유계 음료의 제조법 및 표준 향미우유(통상 감미제, 향미제, 안정제, 킬레이트제, 식품산(food acids) 등을 포함하는 것), 조성 개질 제품(예, 단백질 강화 제품이나 저유당 제품), 영양 강화된 우유계 음료(일종 이상의 비타민 또는 미네랄 성분을 함유한 것), 및 더욱 최근의 기능성 우유계 음료(즉, 특수한 건강상의 효과를 얻기 위해 다수의 성분을 첨가한 제품)의 제조법이 있다. 처방 우유 및 우유계 음료는 신선한 것, 저온 살균된 것, 냉장보관이 필요하고 전형적으로 1 내지 6주 미만의 제한된 저장수명(limited shelf-life)을 가지는 연장된 저장수명(extended shelf-life; ESL)의 것, 및 실온 저장수명이 최대 18개월에 달하는 UHT(ultra-heat treatment; 초고온처리) 음료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유 및 우유계 음료는 신선한 우유, 저온살균 우유, 또는 기타 열처리된 우유를 베이스로서 이용하여 제조되거나, 확립된 재결합 기술을 이용하여 분유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양 제조방법은 종래기술에 주지된 것이다.
실온에서 안정하고, 수명이 긴 우유 및 우유계 향미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초고온처리방법(UHT)은 종래기술에서 주지된 것이다. 우유계 음료를 위한 전형적인 UHT 공정은 음료 혼합물을 약 80 ℃의 온도로 예열하는 단계, 다음에 비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압시스템(약 400kPa) 내에서 약 140-150 ℃의 온도로 수초간 신속하게 가열하는 단계, 다음에 신속하게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유계 음료를 위한 UHT 온도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다수의 공정 및 설비 구성도 종래기술에 정립되어 있다. 상기공정은 다음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
i. 가열매체(통상, 증기)와 생성물이 직접 접촉하는 직접 시스템. 직접 시스템은 증기가 제품에 직접 분사되는 증기분사장치 및 생성물이 증기충전 장치 내에 도입되는 증기주입장치를 포함한다. 첨가된 물은 순간 냉각 시스템 내에서 증기로부터 제거된다.
ii. 간접 시스템. 간접 시스템에서 UHT 살균을 달성하기 위한 열은 가열매체로부터 열교환장치의 벽 또는 구획벽을 통해 전달된다.
우유계 UHT 음료의 균질공정은 간접 시스템 내에서의 UHT 공정 전(비무균 상태)이나 직접 시스템 내에서의 UHT 공정 후(무균 상태)에 실행할 수 있다. 우유계 음료의 경우, 통상 약 40-50℃의 온도의 UHT 공정 후의 무균상태의 2단계 균질화 공정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은 음료 생성물의 텍스처(texture)의 향상(입상성(graininess)의 감소) 및 물리적 안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다음, 액체는 20 ℃ 또는 그 미만의 온도까지 급속 냉각된 다음 무균 탱크로 이송되고, 이곳에서 패킹 작업(packing) 전까지 보관된다.
모든 조제된 음료계(우유계 또는 비우유계 )에 있어서, pH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해 완충계로서 염(salts) 및 산(acid)을 사용하는 것이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탄산화 현상은 일부의 발효음료 및 천연 미네랄워터에서 자연 발생하는 현상이지만,본 발명은 탄산화는 음료 또는 음료를 제조하는 데 이용되는 물에 고압의 CO2 기체를 계획적으로 도입한다. 탄산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기체(CO2)를 액체 내에 도입하는 공정은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물에 대한 CO2의 용해도는 온도 및 압력의 함수이다. 표준 1기압 및 15.6 ℃에서, 물은 물의 체적과 동일한 양(즉, 1.86g의 CO2)의 CO2를 용해시킨다. 이것은 탄산음료의 기체의 체적에 기초한 탄산화 레벨을 표시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통상, 탄산 청량음료는 기체 체적이 달라지면 향미가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 콜라, 레모네이드, 토닉워터 및 소다수와 같은 산도가 높은 향미음료는 3.0 내지 4.0 범위의 기체 체적을 가진다. 감미과실음료 및 크림소다의 탄산화 레벨은 통상 2.5 내지 2.8 기체 체적의 범위이고, 발포성 미네랄워터는 2.0 기체 체적 이하를 가지는 것이 많다(참조문헌: (Shachman, M. (2005) In: The Soft Drinks Companion - A Technical Handbook for the Beverage Industry,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U.S.A.; pp. 167 -177).
탄산 우유음류 및 탄산 우유계 음료는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다른 지역에서는 크게 알려져 있지 않다. 상기 개념은 많은 소비자들에게는 새로운 것이지만, 1898년 이래 이 분야의 특허는 다수가 존재한다. 그러나, 최근의 특허들만이 위와 같은 제품의 생산에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시작하였다. 가장 최근의 특허 중의 하나는 특정 시장을 표적으로 하는 광범위한 기능성 탄산우유음료를 개발해오고 있는 미국의 맥팜사(Mac Farms)에 허여되었다. 다른 최근의 특허는 장기보관용 탄산 우유제품의 제조하기 위해 우유제품의 UHT 처리 및 탄산화 처리를 조합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우유 음료 제품 또는 우유계 음료 제품의 제조를 위한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우유 음료 또는 우유계 음료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다음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성분들의 총량은 100 중량%)을 제공한다.
1.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실리카;
2.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식물유; 및
3.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글리콜 혼합물.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성분들의 총량은 100 중량%)을 탄산화에 의해 발생하는 음료 내의 발포(foaming) 및/또는 기포(frothing)를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양만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산 우유 음료 또는 탄산 우유계 음료의 제조공정을 제공한다.
1.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실리카;
2.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식물유; 및
3.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글리콜 혼합물.
상기 폴리글리콜 혼합물은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글리콜 혼합물은 지방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을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은 0 내지 약 10%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분자량(MW)은 약 2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분자량(MW)은 약 6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글리콜 혼합물은 실온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유는 트리글리세리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유는 캐놀라(canola) 유, 홍화(safflower) 유, 해바라기 유, 또는 아몬드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탄산화 될 음료에 약 10 ppm 내지 약 50 ppm의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료에 첨가된 조성물은 Rhodoline®DF 59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유는 우유 대용물 또는 우유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유는 동물의 우유 또는 그 유도체(예, 유청(whey))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유 대용물은 콩류(예, 대두)로부터 추출된 것; 견과류(예, 아몬드)로부터 추출된 것 또는 곡류(예, 쌀)로부터 추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유 또는 우유 대용물은 신선한 것, UHT, ESL, 또는 분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제 음료는 장기보관용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UHT 공정을 사용하여 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조제 음료(예, UHT)는 탄산화에 의해 CO2 기체의 용해기체 체적이 약 2.5 내지 약 4.0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조제 음료(예, UHT)는 탄산화 공정 이전에 0 ℃를 초과하는 온도 내지 4 ℃ 미만의 온도 사이의 온도범위로 냉각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냉각온도범위는 이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탄산 음료는 비타민, 미네랄, 영양제, 및 필수지방산 중의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성분들의 총량은 100 중량%)을 음료 내의 발포 및/또는 기포를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양만큼 포함하는 안정한 탄산 우유 음료 또는 탄산 우유계 음료를 제공한다.
1.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실리카;
2.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식물유; 및
3.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글리콜 혼합물.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성분들의 총량은 100 중량%)을 탄산화에 의해 발생하는 음료 내의 발포 및/또는 기포를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양만큼 포함하는 우유 음료 또는 우유계 음료를 제공한다.
1.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실리카;
2.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식물유; 및
3.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글리콜 혼합물.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발포 및/또는 기포를 완화시키기 위해 음료에 첨가되는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성분들의 총량은 100 중량%)의 양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기압에 노출된 후의 탄산 우유 음료 또는 탄산 우유계 음료 내의 CO2의 보존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실리카;
2.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식물유; 및
3.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글리콜 혼합물.
상기 CO2의 방출 속도, 기포의 치수, 기포의 체적도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탄산화에 의한 발포 및/또는 기포를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양의 Rhodoline® DF 5900을 포함하는 우유 음료 또는 우유계 음료를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대체적으로, 본 발명은 탄산 우유 음료 또는 탄산 우유계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음료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탄산화에 의해 음료 내에 발생하는 발포 및/또는 기포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는 우유 음료 또는 우유계 음료에 첨가되기 위한 기본 조성물(소포제 조성물(antifoam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우유, 우유 대용물, 우유 유도체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조된 탄산 우유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우유, 우유 대용물 및/또는 우유 유도체의 성분은 액상으로 구성하거나, 분말형태의 것을 물이나 임의 다른 유체(알코올 음료를 포함)와 같은 바람직한 액체를 첨가함으로써 액상으로 환원시킨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우유는 동물의 우유 도는 그 유도체(예, 유청)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유 대용물은 콩류(예, 대두), 견과류(예, 아몬드) 및 곡류(예, 쌀)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탄산 우유 음료는 다양한 용도에 대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상기 탄산 우유 음료는 향미를 포함할 수 있고, 알코올성 또는 비알코올성일 수 있고, 및/또는 비타민, 미네랄, 영양제, 필수지방산 및 기타 보조제 등을 함유함으로써 유익한 영양상의 특성 및 건강상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첨가제도 유사하게 분말형태 또는 유체형태로 기본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우유 음료는 신선한 것, UHT, ESL, 또는 분말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음료는 신선한 우유를 사용하거나, 장기보관용 제품을 얻기 위해 UHT 공정을 이용하여 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foaming)는 탄산 우유 음료에 있어서 하나의 문제점이다. 발포는 충분한 탄산화를 달성하기 위해 우유 내에 용해시킨 CO2의 양에 기인된다. CO2는 전형적인 탄산화 발생 온도인 0 ℃에서 우유나 물에 용해성이 매우 좋다. 탄산화는 고압 하에서 실시되고(더 높은 온도(예, 최대 약 10 ℃)에서도 실시되지만, 0 ℃ 내지 약 4 ℃ 범위의 온도로 사전 냉각된 상태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공정(filling)은 통상 잘 확립되어 있는 역압(counter pressure) 충전기술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탄산화에 의해 약 2.5 내지 약 4.0 범위의 CO2 기체 체적이 용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병에 뚜껑을 덮고, 약 4 ℃의 온도나 실온에 방치하여 평형이 되도록 한다. 그러면, CO2는 용해도가 감소함과 동시에 해드스페이스(headspace) 내에서 외압보다 고압인 상태로 평형이 된다. 병을 개방하면 압력이 대기로 방출됨으로써 우유의 CO2의 평형은 변화하고, 우유는 CO2에 의해 과포화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하다. CO2는 병의 일측의 에어포켓(air pockets)을 향해 확산하고, 이 에어포켓을 성장한 후 결국 떨어져 나간다. 다른 CO2는 원위치에서 성장한다(참고문헌: Walstra, P. (1996). Dispersed Systems: Basic Considerations. In Food Chemistry 3rd ed. O. R. Fenemma (Ed). Marcel Dekker, New York. pp. 44 -149.). 병을 흔들어 주면 더 많은 발포가 발생하는 이유는 CO2 기포의 형성을 위한 더 많은 핵(nuclei)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을 흔들면 다량의 발포가 발생할 수 있다.
UHT의 경우, 본 발명의 탄산 가공 음료는 역압식 충전 장치(counter pressure type filling unit)에서 고압 하에서 무균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제된 UHT 음료는 무균 플라스틱병이나 무균 유리병 내에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의 한정 사항이 아니다. 신선한 우유는 포스트믹스(post-mix) 공정에서 탄산화되거나 역압식 충전장치 내에서 고압 하에 탄산화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탄산화 방법의 변형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우유계 액체와 물은 표면 활성 성분(즉, 유단백질)의 존재량에서 큰 차이가 있다. 이 계면활성제는 기포를 형성을 지지하고, 기포의 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도와준다. 이러한 이유로 탄산 우유 음료 및 탄산 우유계 음료의 발포 현상 및 기포 현상은 탄산수(carbonated water)에 비해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된다. 조제 우유 음료 및 조제 우유계 음료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단백질 이외에 안정제, 유화제 및 증점제가 고도의 안정한 거품(foams)의 형성을 더욱 촉진하므로 상기 조제 우유 음료 및 조제 우유계 음료에서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우유단백질은 통상 안정 상태의 과도한 거품(foam and froth)을 형성하는 원인이 되는 주요 성분들 중의 하나라는 사실은 신선한 우유 및 환원우유의 양자의 첨가성분을 이용하지 않은 탄산화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강력한 막을 형성하는 능력과 같은 상기 우유단백질의 표면활성 특성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탄산 우유계 음료의 기비성(起沸性;effervescence)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탄산 우유계 음료의 발포현상의 제어에 매우 효과적인 물질(agents)들의 조합을 발견하였다. 특정의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이들 성분들의 활성 메커니즘은 공기/물의 계면에서 흡착작용에 의해 거품의 형성을 완화하는 것이다.
제품의 소비 중에 탄산화의 기비(起沸) 효과가 유지될 수 있도록, 탄산 우유 음료 또는 탄산 우유계 음료의 CO2의 방출속도는 물의 CO2의 방출속도와 유사한 것 이 이상적이다. 따라서, 음료가 대기압에 노출되었을 때(음료 용기가 개방되었을 때), 음료를 마시기도 전에 용해된 CO2가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포 제어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2는 물에 용해되어 비록 약산이긴 하지만 pH의 수치를 떨어뜨리는 효과를 가지는 탄산을 형성한다. 탄산이 형성되면 다수의 이점이 있다. 즉, 탄산은 탄산 음료의 특징적 산도에 기여하고, 불필요한 미생물의 성장을 지연시키고, 가장 중요한 것은 음료를 소비하는 중에 기비효과를 제공하는 CO2를 방출시킨다. 단백질의 용해도에 미치는 pH 효과로 인해, 용해된 CO2의 pH 강하 효과는 탄산 우유에서 중요한 것일 수 있다. 단백질은 그 등전점(isoelectric point; IEP)에서 최소의 용해도를 가진다. 카세인은 우유 단백질의 총 함량의 약 80%를 차지하는 우유 내의 주요 단백질이다.우유 카세인의 등전점은 일반적으로 pH 4.6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단백질의 불용해 및 그에 따른 입안에서 느껴지는 입자 느낌을 방지하기 위해, 음료의 최종 pH치가 상기 수준에 접근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우유 단백질의 다양한 단백질 획분의 등이온 pH치는 pH 4.8 내지 pH 5.9의 범위이고, 정상 우유의 pH인 약 pH 6.6 내지 pH 6.7에서 전체적으로 순 음성 하전(net negative charge)을 가진다. 음료의 최종 pH는 추가의 완충 효과를 제공하고 기체의 체적을 제어하기 위해 염을 사용하여 관리된다.
그 결과, 탄산 우유계 생성물의 단백질 환경은 다른 비단백질 환경과 완전히 달라진다. 우유 또는 우유계 환경(또는 단백질 식품) 내에서 많은 발포억제제는 분 리반응에 적절히 작용(예, 실리카; 프로필렌 글리콜)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합성제(combination)를 사용하는 경우 효과가 향상되는 것이 보인다. 식품, 특히 탄산 우유 음료에서 발견되는 상기 향상된 상호반응(또는 상승 작용)은 의외의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특이적 표적화된 단일 실리케이트(폴리디메틸실록산, AF9020 (GE Silicones)) 또는 기타 실리카계 제제를 사용함으로써 우유 음료 및 우유계 음료의 제조, 처리, 탄산화 및 포장시의 과도한 발포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이 효과는 많은 탄산화 시스템에 대해 (및 동일 시스템에서 반복 실시될 때) 효과 및 신뢰성이 낮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유 및 조합 폴리글리콜(글리콜 혼합물)과 실리카를 한정된 범위 내에서 조합하여 사용하면 과도한 거품이 생성되는 것을 효과적이고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단일의 실리케이트 및 다양한 조합물은 모두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고 통상 믿어왔기 때문에 위의 사실은 놀라운 것이다. 그 이유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포제(antifoam) 조성물은 실리카를 포함한다. 이 실리카는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10%의 양만큼 함유되어야 한다. 실리카의 함량은 약 1% 내지 약 7%의 범위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실리카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예, 에멀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콜 혼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 공중합체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분자량은 약 2000이고,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분자량은 약 <600 (즉, ≤ 6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글리콜 혼합물은 최대 약 10%의 지방산의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PGE)를 포함할 수 있다. PEG, PPG 및 PGE의 조합도 가능하다. 폴리글리콜 혼합물은 조성물의 약 10% 내지 약 90% 만큼 포함되어야 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70%, 도는 약 10% 내지 약 55% 만큼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 조성물은 또 프로필렌 글리콜(PG)을 소포제 조성물의 0% 내지 약 10%의 양만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포제 조성물은 다음의 성분 및 조성범위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실리카;
2.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식물유;
3.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글리콜 혼합물; 및
4. 약 0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프로필렌.
식물유는 트리글리세리드인 것인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유는 기타 식물유 중(예, 홍화 유)에서 전문가에게 공지된 캐놀라 유, 아몬드 유, 및 해바라기 유를 포함한다. 아몬드 유는 점성이 작은 식물유로서, 탄산화 중에 항상 용기의 측면 상에 대형 기포(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포)를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모든 식물유는 혼합성능에 차이가 없이 적절히 제제를 형성하였다. 약 20% 내지 약 90% 범위의 식물유,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80%의 식물유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탄산 우유 음료의 제조시 및 충전 공정 중에 발생하는 발포현상을 제어하는데 극히 효과가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
상기 조성물의 안정도는 Tweens(예, Tween 8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와 같은 유화제를 약 2% 내지 약 10%의 범위로 사용함으로써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용 유화 시스템은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공지된 것으로서, 많은 유화제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혼합성능을 활발하게 향상시키지 않음으로써 발포현상을 최소화한다. 전문가에게 공지된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방법이 있다.
(모든 %는 탄산화 대상의 우유 음료 또는 우유계 음료에 첨가될 소포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중량%이다.)
특히, 상기 폴리글리콜 혼합물은 실온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온에서 액상을 유지하는 혼합물 내에 적절히 현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분자량 성분은 낮은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고분자량의 변이물질은 용액 내에서의 현탁이 곤란할 뿐 아니라, 냉각 탄산 우유 음료계에 사용된 경우, 음료를 부을 때 음료 용기(병)의 측면 상에 검출할 수 있는 잔류물을 남긴다. 이것은 소비자의 불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 상기 물질은 효율이 낮다. 즉, 이들 물질은 냉각된 음료 내에서 응고속도가 빠르므로 효율이 감소된다.
또, 탄산 음료의 발포현상을 억제하고, 그 결과 처리공정을 향상시키고, 유쾌한 탄산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탄산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최종 음료에 첨가하는 상기 혼합물의 양은 약 10 ppm 내지 약 50 ppm의 범위가 적절하다.
허용범위 내에서 첨가 비율을 증가시키면 CO2의 방출능력(즉, 기포의 크기 및 구강 내에서의 방출량)이 향상되므로 소비자의 입 안에서의 느낌 및 반응이 달라진다(즉, 소비자들은 차이를 소리로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첨가제의 사용량을 변화(약 10ppm 내지 약 50ppm의 범위)시키면, CO2의 방출 속도 및 기포 치수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병입된 제품이 개방되어 그 내용물이 대기압에 노출되었을 때, 방출되어 터지는 CO2 기포의 음향 특성(소리)은 조절이 가능하다. 특히, 탄산 청량 음료의 소리는 널리 인식되어 있는 소리로서, 탄산음료를 소비하는 중에 경험할 수 있는 적절하고 전형적인 탄산화의 지표가 된다. 첨가제의 사용량을 줄이면 발포현상이 지연되고, 기포의 치수가 소형화한다. 이와 같은 기포의 치수를 변화시키는 능력은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으로서, 제조된 제품의 특성을 반영하는 개개의 특성을 가지는 탄산 음료(알코올 음료 및 비 알코올 음료)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및 성분 구성)은 임의의 특정 우유 제품 또는 우유계 제품에 대한 사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특정 탄산 제품에 대한 최적의 사용량을 찾아내는 방법은 전문가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첨가제 또는 첨가제들의 조합물은 최적의 효과를 위해 높은 소수성 특성 및/또는 비이온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첨가제 또는 첨가제들의 조합물은 최종 탄산 우유 음료 또는 탄산 우유계 음료의 관능 특성(organoleptic properties)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탄산화는 전문가에게 공지된 탄산 제품의 제조 공정의 임의의 시점에서 실행 할 수 있다. 인라인 탄산화(as in line carbonation)(병입 및 포스트믹스의 양 공정 중의 탄산화), 병 내에서의 탄산화, 고압 용기 내에서의 탄산화, 소결 베드(sintered bed)에 의한 탄산화와 같은 탄산화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추후의 탄산화 처리를 위해 보관 중인 우유 제품 또는 우유계 제품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슈퍼마켓형 우유 또는 포스트믹스형 우유와 같이 판매 현장에서 탄산화될 수 있는 제품이 그 범주에 들 수 있다. 또, 상기 조성물은 탄산화되지 않은 우유(예, 슈퍼마켓형 우유)와 별도로 첨가를 위한 안내문을 부착하여 판매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기비성의 향미 첨가 우유(쵸코렛 우유, 딸기 우유 등)가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자는 최종 우유 제품 또는 우유계 제품(UHT 우유, 신선한 우유 등)의 점성을 부여하는 공지의 안정화제 및 유화제를 사용하면 기포의 안정화에 강력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제품은 가능하면 최소화 또는 회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 시(실시예 참조) 소량의 안정화제 및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단일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안정한 UHT 탄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제(formulation)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특수한 건강상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강화제, 영양 보조식품, 또는 기타 화합물의 첨가 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필요 시 상기 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UHT 공정 및 탄산화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액상 배취(liquid batch)를 제조하기 위한 다수의 성분 및 그 상대량이 준비되었다. 액상 우유는 신선한 우유 또는 전지우유 또는 탈지우유, 또는 전지분유나 탈지분유로부터 고형물 농도가 동등(통상 11.5% 내지 14.0%의 고형물)해지도록 환원된 우유(인스턴트 우유가 바람직)를 사용할 수 있다. 배취의 치수는 이용 가능한 시설에 관련된다. 향미제, 감미제, 및 색소 성분의 종류 및 첨가비율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조된 액상 우유에 다음의 성분을 첨가한다.
스크로우스(sucrose)(바람직하게는 최고급 스크로우스) 2.0 내지 8.0 중량/체적 %
소디움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0.2 내지 0.6 중량/체적 %
캐러멜 향미료(액상) 0.15 내지 0.25 체적/체적 %
브라운 HT(Brown HT) 0.002 내지 0.008 중량/체적 %
AF9020 4ppm 내지 10ppm (실리콘 기준)
첨가된 전체 성분의 완전 분해 및/또는 완전 분산을 위해 중간 세기의 교반에 의해 혼합한다.
표준 UHT 공정 및 탄산화 공정에 따라 처리 및 포장한다. 바람직한 탄산화 레벨은 CO2의 2.5 내지 4.0 기체 체적의 범위이다.
추가의 연구 결과, AF9020를 함유하는 우유 제품 또는 우유계 제품은 일정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계(system) 내에 실리케이트계 첨가제(즉, 실리카가 AF9020와 같은 활성 성분인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만으로는 신뢰성이 낮고, 후술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사용되거나 후술하는 실시예 4에서 제공되는 Rhodoline® DF 5900에 의해 제공되는 소포제 성분의 조합물을 첨가하는 것과 동일한 정도의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독자적인 계면활성제의 혼합물(Rhodoline® DF 5900)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안정한 UHT 탄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특수한 건강상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강화제, 영양 보조식품, 또는 기타 화합물의 첨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서도 필요 시 상기 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Rhodoline® DF 5900 내의 제제 및 활성 성분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로달린 생성물(Rhodaline products)은 식품 외용의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식품용 성분을 이용하여 조제되어왔다. 우유계 제품과 같은 단백질 제품에 대한 사용은 완전히 미 공지된 상태이고, 예를 들면 AF9020를 사용했을 때 부진한 결과가 얻어지는 효과가 밝혀졌다.
UHT 공정 및 탄산화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액상 배취를 제조하기 위한 성분 및 그 상대량이 준비되었다. 액상 우유는 신선한 우유 또는 전지우유 또는 탈지우유, 또는 전지분유나 탈지분유로부터 고형물 농도가 동등(통상 11.5% 내지 14.0%의 고형물)해지도록 환원된 우유(인스턴트 우유가 바람직)를 사용할 수 있다. 배취의 치수는 이용 가능한 시설에 관련된다. 향미제, 감미제, 및 색소 성분의 종류 및 첨가비율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조된 액상 우유에 다음의 성분을 첨가한다.
스크로우스(바람직하게는 최고급 스크로우스) 2.0 내지 4.0 중량/체적 %
프럭토우스(fructose) 2.0 내지 4.0 중량/체적 %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0.02 내지 0.08 중량/체적 %
소디움 트리폴리포스페이트 0.025 내지 0.10 중량/체적 %
트로피컬(Tropical) 향미료(액상) 0.2 내지 0.25 체적/체적 v/v
폰세오(Ponceau) 4R 0.001 내지 0.003 중량/체적 %
엑사콜 욜킨(Exacol Yolkine) R1873 0.0015 내지 0.0025 중량/체적 %
Rhodoline® DF 5900 10ppm 내지 45ppm.
첨가된 전체 성분의 완전 분해 및/또는 완전 분산을 위해 중간 세기의 교반에 의해 혼합한다.
표준 UHT 공정 및 탄산화 공정에 따라 처리 및 포장한다. 바람직한 탄산화 레벨은 CO2의 2.5 내지 4.0 기체 체적의 범위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독자적인 계면활성제의 혼합물(Rhodoline® DF 5900)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안정한 UHT 탄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특수한 건강상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강화제, 영양 보조식품, 또는 기타 화합물의 첨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필요 시 상기 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UHT 공정 및 탄산화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액상 배취를 제조하기 위한 성분 및 그 상대량이 준비되었다. 액상 우유는 신선한 우유 또는 전지우유 또는 탈지우유, 또는 전지분유나 탈지분유로부터 고형물 농도가 동등(통상 11.5% 내지 14.0%의 고형물)해지도록 환원된 우유(인스턴트 우유가 바람직)를 사용할 수 있다. 배취의 치수는 이용 가능한 시설에 관련된다. 향미제, 감미제, 및 색소 성분의 종류 및 첨가비율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조된 액상 우유에 다음의 성분을 첨가한다.:
스크로우스(바람직하게는 최고급 스크로우스) 2.0 내지 8.0 중량/체적 %
소디움 시트레이트 0.2 내지 0.6 중량/체적 %
바닐라 향미료 (액상) 0.10 내지 0.35 체적/체적 %
브라운(Brown) HT 0.000 내지 0.002 중량/체적 %
Rhodoline® DF 5900 10ppm 내지 45ppm
첨가된 전체 성분의 완전 분해 및/또는 완전 분산을 위해 중간 세기의 교반에 의해 혼합한다.
표준 UHT 공정 및 탄산화 공정에 따라 처리 및 포장한다. 바람직한 탄산화 레벨은 CO2의 2.5 내지 4.0 기체 체적의 범위이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생성물은 소망하는 기비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기포 생성을 효과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는 소포제로서 Rhodoline® DF 5900(실리카를 함유하는 제제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얻은 성공적인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경계를 추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 과정 중에 탄산화 대상인 신선한 저온살균 우유 내에 첨가된 혼합물을 평가함으로써 모든 처리된 우유 계(milk system)에 대해 발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상기 첨가된 혼합물의 작용(performance)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실험실 규모의 평가를 실시할 수 있고, 이들 실험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혼합물의 다양한 첨가량에 대한 혼합물의 작용을 밝혀낼 수 있었다.
조제된 혼합물을 중량 측정 후 냉각 상태의 저지방유(1.5%)에 직접 첨가하였다.
이 우유를 병에 충전한 다음, 전술한 확립된 표준 탄산화 방법에 따라 냉각된 우유계 내에 고압 이산화탄소를 직접 주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탄산화시켰다.
탄산화 공정 및 감압 후, 탄산화된 우유 200g을 풍대 평형(tared balance)을 이용하여 메스실린더에 주입하였다.
우유의 총 체적(거품 + 액상)을 기록한 다음, 30초 후에 다시 우유의 총 체적을 기록하였다.
거품의 체적, 소포율(rate of breakdown), 거품의 특성, 및 대체적인 외형을 기록하였다.
과도한 발포 및 기포를 방지하고, 성공적인 탄산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첨가 혼합물의 작용은 명백히 확인되었고, 탄산화 공정 이전의 병입 공정 중의 우유 혼합물의 거동을 통해 어느 정도까지는 예측이 가능하였다.
탄산화 유지능력을 구비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우유를 따를 때의 거품의 체적 및 소포율(rate of foam breakdown)의 양자를 통해 작용효과를 측정하였다.
약어:
PEG: 폴리에틸렌 글리콜
PP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PGE: 지방상의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PG: 20% 실리카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글리콜 실리카 에멀젼
실시예 4
약 15-50ppm의 첨가율로 음료에 첨가되는 경우:
캐놀라유 30%
공중합체 혼합물:
PEG 400 20%
PEG 600 15% 50%
PPG 2000 15%
실리카 에멀젼 20%
100%
실시예 5
약 20-50ppm의 첨가율로 음료에 첨가되는 경우:
아몬드유 50%
공중합체 혼합물:
PEG 600 10%
PPG 2000 10% 20%
Tween 20 5%
실리카 에멀젼 25%
100%
실시예 6
약 30-50ppm의 첨가율로 음료에 첨가되는 경우:
해바라기유 50%
공중합체 혼합물:
PEG 200 10%
PG 10% 28%
PPG 2000 8%
Tween 80 2%
실리카 에멀젼 20%
100%
실시예 7
약 30-50ppm의 첨가율로 음료에 첨가되는 경우:
캐놀라유 80%
공중합체 혼합물:
PEG 400 7%
PEG 600 3% 15%
PGE 3%
Tween 20 2%
실리카 에멀젼 5%
100%
실시예 8
약 30-50ppm의 첨가율로 음료에 첨가되는 경우:
아몬드유 50%
공중합체 혼합물:
PEG 200 10% 20%
PEG 600 10%
PG 10%
실리카 에멀젼 20%
100%
표 1은 상기 실시예의 제제의 효과를 증명하는 실험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표 1
시예 가율 ( pp m) 0시간 에서 의 체적 ( ml ) 30 에서 의 체적 ( ml ) 설명
4 50 420 220 거품이 신속하게 소포됨
4 20 550 230 우유를 따를 때 대규모로 발포되지만 신속하게 소포됨
5 40 550 240 극히 미세한 거품, 신속한 소포
6 30 300 275 우유를 따를 때 소규모 발포
7 40 300 260 대형 거품, 과도하지 않은 발포
8 40 320 280 중간 정도의 미세한 거품
DF 5900 35 320 200 소규모 발포, 신속한 소포
DF 5900 50 370 210 신속한 소포, 초기의 대형 거품
비교예
다수의 비교 혼합물은 적절한 성능을 발휘하지 않았고, 성공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들 비교 혼합물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9
약 15-50 ppm 의 첨가율로 음료에 첨가되는 경우:
캐놀라유 80%
공중합체 혼합물:
PEG 200 5%
PEG 400 5%
실리카 에멀젼 10%
100%
실시예 10
약 25-50ppm의 첨가율로 음료에 첨가되는 경우:
캐놀라유 50%
공중합체 혼합물:
PEG 400 10%
PEG 600 10%
Tween 20 5%
실리카 에멀젼 25%
100%
실시예 11
약 25-50ppm의 첨가율로 음료에 첨가되는 경우:
해바라기유 50%
공중합체 혼합물:
PEG 200 10%
PEG 400 20%
PPG 2000 20%
100%
표 2는 상기 비교예의 제제의 효과가 없음(형성된 거품이 안정한 상태임)을 증명하는 실험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표 2
실시예 첨가율 (ppm) 0시간에서의 체적 (ml) 30에서의 체적 (ml) 설명
9 40 550 530 미세하고 크림형의 안정한 거품
10 30 560 540 탄산화시의 대형 거품, 안정한 미세 거품
11 40 510 490 진한 크림형의 거품. 안정상태
AF9020 40 550 550 극미세한 안정한 거품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허용 가능한 발포 특성을 구비하는 탄산 우유 음료 또는 탄산 우유계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지속 가능한 향상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소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조성물의 특정 범위의 혼합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상기 특성에는 제어 가능한 발포 또는 기포, 감응(response) 및 소망의 기비성을 유지하는 것이 포함된다. AF9020는 본 발명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조성으로서 적절한 발포 제어에 실패하였음을 알 수 있다(지속적인 효과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실시예 4 내지 8의 제제들로부터 얻은 결과와 Rhodoline® DF 5900로부터 관찰된 결과가 유사한 것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Rhodoline® DF 5900도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된 지속적인 효과를 가지는 성분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공지의 등가물(equivalents)을 구비한 본 발명의 특정 성분 또는 정수가 참조되었고, 상기 등가물은 개별적으로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도입되었다.
본 발명은 가능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만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의 범위 내에서 개조 또는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19)

  1. 우유 음료 또는 우유계 음료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다음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성분들의 총량은 100 중량%):
    1.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실리카;
    2.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식물유; 및
    3.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글리콜 혼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콜 혼합물은 지방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0 내지 약 10 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콜 혼합물은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분자량은 약 2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분자량은 약 6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콜 혼합물은 실온에서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유는 트리글리세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유는 캐놀라유, 해바라기유, 또는 아몬드유 중의 임의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성분들의 총량은 100 중량%)을 탄산화에 의해 발생하는 음료 내의 발포를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양만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산 우유 음료 또는 탄산 우유계 음료의 제조공정:
    1.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실리카;
    2.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식물유; 및
    3.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글리콜 혼합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ppm 내지 50 ppm의 양만큼 탄산 음료 내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에 첨가된 조성물은 Rhodoline® DF 59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는 우유 대용물 또는 우유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는 동물 우유, 콩류, 견과류, 또는 곡류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는 신선한 것, UHT처리된 것, ESL 처리된 것, 또는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
  16.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성분들의 총량은 100 중량%)을 음료 내의 발포를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양만큼 포함하는 안정한 탄산 우유 음료 또는 탄산 우유계 음료:
    1.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실리카;
    2.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식물유; 및
    3.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글리콜 혼합물.
  17.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성분들의 총량은 100 중량%)을 탄산화에 의해 발생하는 음료 내의 발포 및/또는 기포를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양만큼 포함하는 우유 음료 또는 우유계 음료:
    1.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실리카;
    2.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식물유; 및
    3.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글리콜 혼합물.
  18. 발포 및/또는 기포를 완화시키기 위해 음료에 첨가되는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성분들의 총량은 100 중량%)의 양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기압에 노출된 후의 탄산 우유 음료 또는 탄산 우유계 음료 내의 CO2의 보존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1.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실리카;
    2.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식물유; 및
    3.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글리콜 혼합물.
  19. 탄산화의 결과로서 발포 및/또는 기포를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양의 Rhodoline® DF 5900을 포함하는 우유 음료 또는 우유계 음료.
KR1020087006071A 2005-08-19 2006-08-21 우유계 음료의 탄산화를 위한 조성물 KR101404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541934 2005-08-19
NZ541934A NZ541934A (en) 2005-08-19 2005-08-19 Carbonated milk product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gents that control the foaming of the product while retaining an effective effervescence in the carbonated milk-based beverage
PCT/NZ2006/000211 WO2007021205A1 (en) 2005-08-19 2006-08-21 Formulation of milk-based beverages for carbon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187A true KR20080046187A (ko) 2008-05-26
KR101404779B1 KR101404779B1 (ko) 2014-06-20

Family

ID=3775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071A KR101404779B1 (ko) 2005-08-19 2006-08-21 우유계 음료의 탄산화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337924B2 (ko)
EP (1) EP1921923B1 (ko)
JP (1) JP4660593B2 (ko)
KR (1) KR101404779B1 (ko)
CN (2) CN101242742B (ko)
AU (1) AU2006280501B2 (ko)
BR (1) BRPI0615356B1 (ko)
CA (1) CA2619775C (ko)
DK (1) DK1921923T3 (ko)
ES (1) ES2396993T3 (ko)
HK (1) HK1116630A1 (ko)
MX (1) MX2008002342A (ko)
MY (1) MY145290A (ko)
NZ (1) NZ541934A (ko)
PL (1) PL1921923T3 (ko)
PT (1) PT1921923E (ko)
WO (1) WO20070212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424A (ko) * 2008-06-16 2011-02-25 캄피나 네덜란드 홀딩 베.붸. 발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1258B1 (en) 2006-10-13 2013-08-06 Jose Antonio Feregrino-Quezada Method for preparing milk-based beverages
WO2008065401A1 (en) 2006-11-29 2008-06-05 Stephenson Group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rbonated beverages
GB0810251D0 (en) 2008-06-05 2008-07-09 Stephenson Group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ssed beverages
JP5528694B2 (ja) * 2008-12-19 2014-06-25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低タンパク質チーズ様食品
CA2801781C (en) 2010-07-21 2018-02-27 Rigel Pharmaceuticals, Inc. Protein kinase c inhibitors and uses thereof
JP6494901B2 (ja) * 2013-03-22 2019-04-0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炭酸飲料
GB201315738D0 (en) * 2013-09-04 2013-10-16 Thos Bentley & S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rbonated beverages
EP3677122A1 (en) * 2014-09-30 2020-07-08 Suntory Holdings Limited Carbonated beverage, syrup used for preparing carbonated beverage,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ated beverage, and method for suppressing foaming in carbonated beverage
WO2023148208A1 (en) * 2022-02-04 2023-08-10 Givaudan Sa Gas loss reducing additive for beverages, a beverage composition including the gas loss reducing additive and a method of reducing gas loss from a beverag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5116C (ko) * 1967-04-14
US3951832A (en) * 1974-11-13 1976-04-20 Texaco Inc. Stabilized polysiloxane-polyglycol foam inhibitors for mineral oils
US3984347A (en) * 1974-12-19 1976-10-05 Dow Corning Corporation Foam control composition
JPS6047637A (ja) * 1983-08-25 1985-03-15 Ajinomoto Co Inc 豆乳炭酸飲料の製造法
JPS6083559A (ja) * 1983-10-11 1985-05-11 Riken Vitamin Co Ltd 豆腐用消泡剤
NZ226287A (en) 1987-09-21 1992-04-28 Michael Aloysius Tracey Carbonating non-fermented milk
US5223294A (en) * 1990-04-05 1993-06-29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Liquid defoaming agent for food and method of use thereof
FR2675346B1 (fr) 1991-04-19 1995-06-30 Mitsubishi Chem Ind Boisson contenant un agent antimousse.
JP2834345B2 (ja) * 1991-07-02 1998-12-09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酸性蛋白食品
US5589099A (en) * 1993-04-20 1996-12-31 Ecolab Inc. Low foaming rinse agents comprising ethylene oxide/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US5510409A (en) * 1993-10-26 1996-04-23 Ashland Inc. Foam control agents for latex paints
EP0861115A4 (en) * 1995-10-17 1998-12-02 Henkel Corp DEFOAMER-ANTI-FOAM COMPOSITION
CN1082526C (zh) * 1996-04-10 2002-04-10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具有自控泡沫丙烯酸乳液的组合物
TW499296B (en) 1997-05-12 2002-08-21 Mitsubishi Chem Corp Milk beverages composition
CN1067542C (zh) * 1998-08-20 2001-06-27 维维集团股份有限公司 提高固体饮品流动性的方法
CN1780563A (zh) * 2003-04-29 2006-05-31 伊斯曼化学公司 含有水溶性维生素的饮料
US20040219274A1 (en) * 2003-04-29 2004-11-04 Cook Phillip Michael Beverages containing water-soluble vitamin E
GB0324673D0 (en) * 2003-10-23 2003-11-26 Dow Corning Process for controlling foam
WO2005079590A1 (en) * 2004-02-20 2005-09-01 Splintiz Investment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everages
JP5064657B2 (ja) * 2005-02-02 2012-10-31 アサヒ飲料株式会社 容器入り炭酸飲料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424A (ko) * 2008-06-16 2011-02-25 캄피나 네덜란드 홀딩 베.붸. 발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5290A (en) 2012-01-13
MX2008002342A (es) 2008-04-29
EP1921923A4 (en) 2009-08-12
NZ541934A (en) 2008-05-30
PT1921923E (pt) 2013-01-23
DK1921923T3 (da) 2013-01-21
CN102771560A (zh) 2012-11-14
WO2007021205A1 (en) 2007-02-22
BRPI0615356A2 (pt) 2011-05-17
JP4660593B2 (ja) 2011-03-30
CN102771560B (zh) 2014-08-13
AU2006280501B2 (en) 2012-06-14
AU2006280501A1 (en) 2007-02-22
US8337924B2 (en) 2012-12-25
EP1921923A1 (en) 2008-05-21
HK1116630A1 (en) 2009-01-02
CA2619775C (en) 2014-10-28
CN101242742A (zh) 2008-08-13
KR101404779B1 (ko) 2014-06-20
JP2009504180A (ja) 2009-02-05
BRPI0615356B1 (pt) 2015-09-29
PL1921923T3 (pl) 2013-04-30
EP1921923B1 (en) 2012-10-03
US20100316778A1 (en) 2010-12-16
CN101242742B (zh) 2012-06-13
CA2619775A1 (en) 2007-02-22
ES2396993T3 (es) 201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779B1 (ko) 우유계 음료의 탄산화를 위한 조성물
US9101149B2 (en) Stable crea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WO1990003119A1 (en) Improved carbonated liquid dairy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AU2015340558B2 (en) Packaged ambient dairy beverage
JP2018530327A (ja) 低減された乳固形分を含むパッケージされた常温(ambient)乳飲料
AU2019260517B2 (en) Aerated shelf-stable dairy-based ready-to-drink beverage
WO2014148213A1 (ja) 炭酸飲料
WO2005079590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everages
TW499296B (en) Milk beverages composition
WO2020011532A1 (en) Shelf-stable ready-to-drink coffee beverage with a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