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350A -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 - Google Patents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350A
KR20080045350A KR1020060114369A KR20060114369A KR20080045350A KR 20080045350 A KR20080045350 A KR 20080045350A KR 1020060114369 A KR1020060114369 A KR 1020060114369A KR 20060114369 A KR20060114369 A KR 20060114369A KR 20080045350 A KR20080045350 A KR 20080045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contact plate
heat insulating
bracket
bas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이토
야스타케 쓰지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114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5350A/ko
Publication of KR2008004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下地) 금구(金具)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조 구체(構造軀體; 2)와, 상기 구조 구체(2)의 전면에 배치되는 단열재(3)와, 상기 단열재(3)의 전면에 배치되어 비스(11)에 의해 상기 구조 구체(2)에 고정되는 고정 금구(4)와, 상기 고정 금구(4)에 의해 구조 구체(2)에 고정되는 외벽판(5)을 갖는 외벽 시공 구조(1)가 제공되며, 상기 단열재(3)와 외벽판(5) 사이에는 통기층(12)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3)에는 고정 금구(5)의 후면을 접촉시키는 베이스 금구(6)가 배치된다. 베이스 금구(6)는 평판형의 접촉 판부(61)와, 상기 접촉 판부(61)로부터 후측으로 세워 설치한 다리부(脚部; 62)를 가지며, 접촉 판부(61)에는 비스(11)를 삽입하여 통과시키는 개구부(63)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금구(6)는 다리부(62)를 단열재(3)에 삽입하는 동시에, 접촉 판부(61)를 단열재(3)의 전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단열재(3)에 배치한다.
구조 구체, 단열재, 고정 금구, 외벽판, 베이스 금구, 외벽 시공 구조

Description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outer wall and a base clamper for use in the same}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외벽 시공 구조의 수직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외벽 시공 구조의 수평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베이스 금구의 사시도.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베이스 금구의 (a)상면도, (b)정면도, (c)측면도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 금구의 사시도.
도 6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베이스 금구의 (a)상면도, (b)정면도, (c)측면도
도 7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베이스 금구의 (a)상면도, (b)정면도, (c)측면도
도 8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베이스 금구의 (a)상면도, (b)정면도, (c)측면도
도 9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외벽 시공 구조의 수직 단면도.
도 10은 종래예에 있어서의 외벽 시공 구조의 수평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벽 시공 구조 11: 비스
12: 통기층 2: 구조 구체
3: 단열재 4: 고정 금구
5: 외벽판 6: 베이스 금구
61: 접촉 판부 62: 다리부
63: 개구부
본 발명은, 구조 구체(構造軀體)의 전면에 수지발포체로 구성되는 단열재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조 구체(92)의 전면(921)에 수지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단열재(93)를 배치한 소위 외단열 공법에 의한 외벽 시공 구조(9)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외벽 시공 구조(9)에 있어서는 구조 구체(92)의 전면(921)에 배치한 상기 단열재(93)의 전면(931)에 바디(胴) 에지(99)를 배치하고, 상기 바디 에지(99)의 전면(991)에 고정시킨 고정 금구(94)에 의해 외벽판(95)을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 바디 에지(99)에 의해 단열재(93)와 외벽판(95) 사이의 통기층(912)을 확보하여 외벽 시공 구조(9)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외벽 시공 구조(9)는 상기와 같이 바디 에지(99)를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성 부재가 많고, 시공 효율, 재료 비용 등의 점에서 우수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바디 에지를 배치하지 않고서 통기층을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부를 갖는 고정 금구(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를 단열재의 전면에 직접 배치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금구를 단열재의 전면에 직접 배치하면, 비스에 의해 고정 금구를 구조 구체에 고정할 때, 단열재가 변형되고, 고정 금구가 부분적으로 단열재에 메워져 버려 경사지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단열재의 변형에 따라 고정 금구에 국부적인 응력이 작용하여, 고정 금구가 변형되어 경사지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고정 금구에 의해 고정되는 외벽판에 요철이 생기거나 고정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즉,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747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9729호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공성,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발명은 건물의 구조 구체와, 상기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수지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전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구조 구체에 비스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금구와, 상기 고정 금구에 의해 상기 구조 구체에 고정되는 외벽판을 갖는 외벽 시공 구조로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외벽판의 사이에는 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에는 상기 고정 금구의 후면을 접촉시키는 베이스 금구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고정 금구의 후면에 면(面) 접촉하는 평판형 접촉 판부와, 상기 접촉 판부로부터 후방으로 세워 설치한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 판부에는 상기 비스를 삽입하여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다리부를 상기 단열재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접촉 판부를 상기 단열재의 전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에 있다(청구항 1).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단열재의 전면에 상기 고정 금구를 배치하고, 상기 고정 금구에 의해 외벽판을 고정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단열재와 외벽판 사이에 바디 에지 등을 배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외벽 시공 구조를 시공함에 있어서, 외벽판을 배치하기 전에 바디 에지 등을 고정할 필요가 없고,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재료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는 단열재에 배치한 상기 베이스 금구에 고정 금구의 후면을 접촉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단열재의 전면에 배치한 고정 금구를 비스에 의해 구조 구체에 고정할 때, 고정 금구의 일부가 단열재에 메워져 버리거나, 단열재의 변형에 따라 고정 금구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고정 금구의 후면이 베이스 금구의 접촉 판부에 면 접촉하는 것에 의해, 고정 금구가 비스로부터 받는 응력을 접촉 판부의 전면(前面)에서 분산시켜 받을 수 있다. 이로써, 고정 금구가 단열재의 전면 즉 구조 구체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고정 금구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로써,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를 단열재에 삽입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시공시 베이스 금구를 단열재에서의 소망의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하고, 그 후에, 고정 금구를 베이스 금구의 접촉 판부에 면 접촉시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이 용이한 동시에, 베이스 금구의 위치 어긋남을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와 상기 외벽판의 사이에는 통기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벽 시공 구조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성,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건물의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발포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단열재에 배치되고, 상기 구조 구체에 외벽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금구의 후면을 접촉시키는 베이스 금구로서,
상기 고정 금구의 후면에 면 접촉하는 평판형의 접촉 판부와, 상기 접촉 판부로부터 후방으로 세워 설치한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 판부에는 개구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부를 상기 단열재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접촉 판부를 상기 단열재의 전면과 거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금구에 있다(청구항 6).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 금구는 단열재에 배치하고, 접촉 판부에 고정 금구의 후면을 면 접촉시켜 고정 금구를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베이스 금구를 사용함으로써 바디 에지 등을 단열재의 전면에 배치하지 않고서 고정 금구를 단열재의 전면에 배치하여 외벽판을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외벽판을 배치하기 전에 단열재의 전면에 바디 에지 등을 고정할 필요가 없고,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재료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접촉 판부를 갖는다. 그 때문에, 상기 베이스 금구를 단열재에 배치하여 고정 금구의 후면을 면 접촉시킴으로써, 단열재의 전면에 배치한 고정 금구를 비스에 의해 구조 구체에 고정할 때, 고정 금구의 일부가 단열재에 메워져 버리거나, 단열재의 변형에 따라 고정 금구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고정 금구의 후면이 베이스 금구의 접촉 판부에 면 접촉시킴으로써, 고정 금구가 비스로부터 받는 응력을 접촉 판부의 전면에서 분산시켜 받을 수 있 다. 이로써, 고정 금구가 단열재의 전면 즉 구조 구체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고정 금구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로써,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를 단열재에 삽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공 시 베이스 금구를 단열재에서의 소망의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하고, 그 후, 고정 금구를 베이스 금구의 접촉 판부에 면 접촉시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이 용이한 동시에, 베이스 금구의 위치 어긋남을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성,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베이스 금구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상기 제 1 발명(청구항 1) 및 제 2 발명(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를 구성하는 수지발포체로서는, 예를 들면, 발포폴리스티렌, 발포우레탄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 구체는, 예를 들면, 형강 등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거나,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형강 등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스틸프레임, 목조의 축조 구조, 틀 구조의 구조 구체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 구체는 전면에 합판 등의 면재(面材)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통기층은 예를 들면 12mm 이상의 폭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접촉 판부를 상기 단열재의 전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상태」란 접촉 판부와 단열재 전면의 전후 거리가 예를 들면 1mm 이하인 상태를 말하며, 예를 들면, 접촉 판부의 두께 정도의 오차는 「대략 동일 평면상」을 만족시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건물의 외측 방향을 「전」, 내측 방향을 「후」로 나타낸다. 베이스 금구 등의 다리 부재에 대해서도 시공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 좌우 상하를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 제 1 발명(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다리부를 복수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2).
이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금구를 안정되게 단열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전면에 배치하는 고정 금구의 경사를 효과적으로 막고,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접촉 판부의 외형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 판부의 4개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상기 다리부를 세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
이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금구를 보다 안정하게 단열재에 고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면에 배치하는 고정 금구의 경사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막아,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접촉 판부의 상변에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고정 금구의 상단부를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
이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금구를 단열재에 장착시킨 후 상기 고정 금구를 배치할 때, 고정 금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한층 더 시공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하방으로 꺾어 갈고리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 금구의 상단부를 갈고리 형상의 돌출부에 결합시킬 수 있고, 보다 정확한 고정 금구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는 상기 구조 구체의 전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5). 이 경우에는 접촉 판부와 단열재의 전면이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베이스 금구가 더욱 후방으로 후퇴하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의 후단은 상기 구조 구체에 찔린 상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상기 제 2 발명(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복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7).
이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금구를 안정되게 단열재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판부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갖고, 상기 접촉 판부의 4개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상기 다리부를 세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8).
이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금구를 보다 안정되게 단열재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판부의 상변에는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설치하여 이루 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9).
이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금구를 단열재에 장착시킨 후 상기 고정 금구를 배치할 때, 고정 금구의 상단부를 상기 돌출부에 접촉시킴으로써, 고정 금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하방으로 꺾어 갈고리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단열재의 두께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10).
이 경우에는 접촉 판부와 단열재의 전면을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를 상기 구조 구체의 전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단열재의 두께보다도 약간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다리부의 후단을 상기 구조 구체에 찌른 상태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외벽 시공 구조(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구조 구체(2)와, 구조 구체(2)의 전면(21)에 배치된 수지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단열재(3)와, 단열재(3)의 전면(31)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구조 구체(2)에 비스(11) 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금구(4)와, 고정 금구(4)에 의해 구조 구체(2)에 고정되는 외벽판(5)을 갖는다.
단열재(3)와 외벽판(2) 사이에는 통기층(12)이 형성된다.
단열재(3)에는 고정 금구(4)의 후면(41)을 접촉시키는 베이스 금구(6)가 배치된다.
베이스 금구(6)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금구(4)의 후면(41)에 면 접촉하는 평판형의 접촉 판부(61)와, 상기 접촉 판부(61)로부터 후방으로 세워 설치한 다리부(62)를 갖는다. 접촉 판부(61)에는 비스(11)를 삽입하여 통과시키는 개구부(63)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금구(6)는 다리부(62)를 단열재(3)에 삽입하는 동시에, 접촉 판부(61)를 단열재(3)의 전면(31)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단열재(3)에 배치하고 있다.
또, 베이스 금구(6)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판부(61)의 외형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판부(61)의 4개의 모서리부로부터 각각 다리부(62)를 세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62)는 구조 구체(2)의 전면(21)에 접촉하고 있다. 즉, 다리부(62)는 단열재(3)의 두께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갖는다. 이로써, 접촉 판부(61)의 전면(611)과 단열재(3)의 전면(31)을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다리부(62)의 후단부(621)를 구조 구체(2)의 전 면(21)에 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다리부(62)의 후단부(621)는 구조 구체(2)에 찔린 상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즉, 후술하는 구조 구체(2)에서의 합판에 대하여, 1 내지 3mm 정도 다리부(62)의 후단부(621)가 찔린 상태로 할 수도 있다.
본 예에 있어서, 단열재(3)는 발포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구조 구체(2)는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스틸 프레임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목조의 축조 구조, 틀 구조의 구조 구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구조 구체(2)는 상기 스틸 프레임의 전면에 합판과 방수 종이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통기층(12)은 12mm 이상의 폭을 갖는다.
또한, 베이스 금구(6)의 접촉 판부(61)의 외형은 고정 금구(4)의 후면(41)의 외형보다도 작다. 그리고, 배치 상태에서 접촉 판부(61)의 전면(611)은 고정 금구(4)에 의해 덮인다.
베이스 금구(6)는 두께 1mm 정도의 1장의 강판을 절단 및 굴곡하여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 판부(61)에 형성된 개구부(63)는 비스(11)의 직경보다도 충분히 큰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다리부(6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판의 두께 방향이 좌우의 방향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62)의 후단부(621)는 후단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측에 배치되는 다리부(62d)쪽이 상측에 배치되는 다리부(62u) 보다도 상하 폭을 넓게 형성된다. 또한, 4개의 다리부(62)의 길이는 가지런하고, 상기 단열재(3)의 두께와 동등하다.
상기 고정 금구(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한 후면(41)을 갖는 기판부(410)와, 상기 기판부(410)로부터 전방으로 세워 설치된 지지부(42)와, 상기 지지부(42)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한 상판 결합부(43)와, 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한 하판 결합부(44)를 갖는다. 그리고, 기판부(410)의 좌우 양측에는 스페이서부(45)가 형성된다. 스페이서부(45)는 기판부(410)보다도 전방 또한 지지부(42)의 전단보다 후방에 전면(451)을 갖는다. 또한, 기판부(410)에는 비스(11)를 삽입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비스 구멍(411)이 복수 형성된다.
스페이서부(45)의 전면(451)과 기판부(410)의 후면(41)의 전후 폭은 상기 통기층(12)의 전후 폭에 대응하여 12mm 이상이다.
고정 금구(4)도 1장의 강판을 절단 및 굴곡하여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외벽판(5)은 상하 반턱 쪽매 이음(shiplap) 구조의 요업계 외벽판이다. 즉, 외벽판(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에 상부 하실(51)을 하변에 하부 상실(52)을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하부 상실(52)의 후방에는 하부 결합부(521)가 형성된.
고정 금구(4)는 하판 결합부(44)에 하측의 외벽판(5)의 상부 하실(51)을 결합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고정 금구(4)는 상측의 외벽판(5)의 하부 결합부(521)를 지지부(42)에 의해 지지하는 동시에, 상판 결합부(43)에 의해 결합하고 있다.
또한, 고정 금구(4)는 상기 비스 구멍(411)에 삽입하여 통과한 비스(11)가 단열재(3)를 관통하여 구조 구체(2)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구조 구체(2)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고정 금구(4)에 의해 외벽판(5)이 구조 구체(2)에 고정되고 있다.
다음에, 본 예의 외벽 시공 구조(1)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건물의 최하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보조 문살(도시 생략)을 구조 구체(2)에 고정하고, 상기 보조 문살의 상방에서 구조 구체(2)의 전면(21)에 단열재(3)를 붙인다.
이어서, 보조 문살의 전면에 물빠짐재 및 고정 금구(4)를 고정한다(도시 생략). 이어서, 최하단의 외벽판(5)을 고정 금구(4)에 결합시켜서 배치한다.
이어서, 최하단의 외벽판(5)의 상변이 배치된 위치로서 구조 구체(2)가 후방에 존재하는 위치에서 단열재(3)에 베이스 금구(6)를 삽입한다. 즉, 베이스 금구(6)의 다리부(62)를 단열재(3)의 소정의 위치에 찌르는 동시에 후방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접촉 판부(61)가 단열재(3)의 전면(31)과 대략 동일 평면상이 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판(5)의 상변에 하판 결합부(44)를 결합시키는 동시에, 베이스 금구(6)의 접촉 판부(61)의 전면(611)에 후면(41)을 면 접촉시키도록 고정 금구(4)를 배치한다.
이어서, 고정 금구(4)의 어느 하나의 비스 구멍(411) 및 베이스 금구(6)의 개구부(63)에 비스(11)를 삽입하여 통과시키는 동시에, 상기 비스(11)에 단열재(3) 를 관통시켜 비스(11)를 구조 구체(2)에 더욱 밀어 넣는다. 이로써, 단열재(3)의 전면(31)에서 고정 금구(4)를 베이스 금구(6)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구조 구체(2)에 고정하여 외벽판(5)을 고정시킨다.
이어서, 2단째 외벽판(5)의 하변을 고정 금구(4)의 지지부(42)에 지지시키는 동시에 상판 결합부(43)에 결합하고, 상기 외벽판(5)을 배치한다. 이 때, 하부 상실(52)을 하측의 외벽판(5)의 상부 하실(51)에 상하 반턱 쪽매 이음 접합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 금구(6)의 배치, 고정 금구(4)의 배치, 및 외벽판(5)의 배치를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외벽판(5)을 고정시키고, 외벽 시공 구조(1)를 구축한다.
다음에, 본 예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외벽 시공 구조(1)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3)의 전면(31)에 고정 금구(4)를 배치하고, 상기 고정 금구(4)에 의해 외벽판(5)을 고정시킨다. 그 때문에, 단열재(3)와 외벽판(5) 사이에 바디 에지 등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상기 외벽 시공 구조(1)를 시공함에 있어서 외벽판(5)을 배치하기 전에 바디 에지 등을 고정할 필요가 없고,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재료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 시공 구조(1)에 있어서는, 단열재(3)에 배치한 베이스 금구(6)에 고정 금구(4)의 후면(41)을 접촉시킨다. 그 때문에, 단열재(3)의 전면에 배치한 고정 금구(3)를 비스(11)에 의해 구조 구체(2)에 고정할 때, 고정 금구(4)의 일부가 단열재(3)에 메워져 버리거나, 단열재(3)의 변형에 따라 고정 금구(4)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고정 금구(4)의 후면(41)이 베이스 금구(6)의 접촉 판부(61)에 면 접촉함으로써, 고정 금구(4)가 비스(11)로부터 받는 응력을 접촉 판부(61)의 전면(611)에서 분산시켜 받을 수 있다. 이로써, 고정 금구(4)가 단열재(3)의 전면(31) 즉 구조 구체(2)의 전면(21)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고정 금구(4)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로써, 외벽판(5)의 고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금구(6)는 다리부(62)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62)를 단열재(3)에 삽입한다. 그 때문에, 시공시 베이스 금구(6)를 단열재(3)에서의 소망의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하고, 그 후, 고정 금구(4)를 베이스 금구(6)의 접촉 판부(61)에 면 접촉시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이 용이한 동시에, 베이스 금구(6)의 위치 어긋남을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단열재(3)와 외벽판(5) 사이에는 통기층(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외벽 시공 구조(1)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금구(6)는 다리부(62)를 4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즉, 베이스 금구(6)는 접촉 판부(61)의 외형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 판부(61)의 4개의 모서리부로부터 각각 다리부(62)를 세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베이스 금구(6)를 보다 안정되게 단열재(3)에 고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면에 배치하는 고정 금구(4)의 경사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막고, 외벽판(5)의 고정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62)는 구조 구체(2)의 전면(21)에 접촉된다. 그 때문에, 접촉 판부(61)의 전면(611)과 단열재(3)의 전면(31)이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베이스 금구(6)가 더욱 후방으로 후퇴하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외벽판(5)의 고정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예에 의하면 시공성 및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판부(61)의 상변에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64)를 설치한 베이스 금구(6)를 채용한다.
그리고, 돌출부(64)에 고정 금구(4)의 상단부(412; 도 5 참조)를 접촉시킨다.
본 예에 있어서, 돌출부(64)는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하방으로 꺾어 갈고리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 금구(4)의 상단부(412)를 갈고리 형상의 돌출부(64)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예의 경우에는 베이스 금구(6)를 단열재(3)에 장착시킨 후 고정 금구(4)를 배치할 때, 고정 금구(4)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한층 더 시공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1)를 얻을 수 있다.
그 외,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3)
본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62)를 좌우의 2개로 한 베이스 금구(6)를 채용한다.
다리부(62)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판부(61)의 좌우변으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굴곡된 상태로 형성된다. 각 다리부(62)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향할수록 상하 폭이 작아지는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된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같다.
본 예의 경우에는 베이스 금구(6)의 형상이 보다 단순화되고 제작이 용이해진다. 그 외,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4)
본 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62)를 좌우의 2개로 하는 동시에, 접촉 판부(61)의 상변에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64)를 설치한 베이스 금구(6)를 채용한다. 즉, 상술한 실시예 3과 실시예 4를 조합할 수 있는 예이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예의 경우에는 베이스 금구(6)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고정 금구(4)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외,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리부의 길이를 단열재의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하고, 다리부의 후단부를 구조 구체의 전면에 접촉시키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다리부의 길이를 단열재의 두께보다도 작게 하고, 다리부의 후단부를 구조 구체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성 및 외벽판의 고정 안정성이 우수한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건물의 구조 구체와, 상기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전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비스에 의해 상기 구조 구체에 고정되는 고정 금구와, 상기 고정 금구에 의해 상기 구조 구체에 고정되는 외벽판을 포함하는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외벽판의 사이에는 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에는 상기 고정 금구의 후면을 접촉시키는 베이스 금구가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고정 금구의 후면에 면 접촉하는 평판형의 접촉 판부와, 상기 접촉 판부로부터 후방으로 세워 설치한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 판부에는 상기 비스를 삽입하여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다리부를 상기 단열재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접촉 판부를 상기 단열재의 전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다리부를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접촉 판부의 외형을 대략 직사 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 판부의 4개의 모서리부로부터 각각 상기 다리부를 세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금구는 상기 접촉 판부의 상변에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고정 금구의 상단부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구조 구체의 전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
  6. 건물의 구조 구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발포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단열재에 배치되고, 상기 구조 구체에 외벽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금구의 후면을 접촉시키는 베이스 금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금구의 후면에 면 접촉하는 평판형의 접촉 판부와 상기 접촉 판부로부터 후방으로 세워 설치한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 판부에는 개구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부를 상기 단열재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접촉 판부를 상기 단열재의 전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금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복수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금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판부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접촉 판부의 4개의 모서리부로부터 각각 상기 다리부를 세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금구.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판부의 상변에는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금구.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단열재의 두께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금구.
KR1020060114369A 2006-11-20 2006-11-20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 KR20080045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369A KR20080045350A (ko) 2006-11-20 2006-11-20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369A KR20080045350A (ko) 2006-11-20 2006-11-20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350A true KR20080045350A (ko) 2008-05-23

Family

ID=3966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369A KR20080045350A (ko) 2006-11-20 2006-11-20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53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920A2 (en) * 2008-09-11 2010-03-18 Steve Trum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tructural support and reinforcement
CN105442792A (zh) * 2015-12-11 2016-03-30 黄锦超 一种陶瓷板及陶瓷板定位销
JP2018165438A (ja) * 2017-03-28 2018-10-25 ニチハ株式会社 壁材の取付具及び壁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920A2 (en) * 2008-09-11 2010-03-18 Steve Trum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tructural support and reinforcement
WO2010030920A3 (en) * 2008-09-11 2010-05-20 Steve Trum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tructural support and reinforcement
CN105442792A (zh) * 2015-12-11 2016-03-30 黄锦超 一种陶瓷板及陶瓷板定位销
JP2018165438A (ja) * 2017-03-28 2018-10-25 ニチハ株式会社 壁材の取付具及び壁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4797B2 (ja) 外壁施工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下地金具
JP4938512B2 (ja) 下地金具および外壁施工構造
JP3454244B2 (ja) 留め付け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2002013273A (ja) 外壁施工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シール金具,外壁板,外壁施工方法
KR20080045350A (ko) 외벽 시공 구조 및 이것에 사용하는 베이스 금구
KR20140006220U (ko)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JP2006299507A (ja) 間仕切壁
KR102074061B1 (ko) 구조단열패널용 부착철물 세트
TW200823346A (en) External wall mounting structure and substrate fitting for use therein
JP2007291702A (ja) 化粧パネル取付構造
US20070095014A1 (en) Consumable assembly for forming a concrete wall structure, a concrete wall structure formed with the assembly and a side plate for use in the assembly
JPH089306Y2 (ja) タイル張り壁構造
JP3984617B2 (ja) 外壁板用の留め付け金具および該留め付け金具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と外壁施工方法
CN218091467U (zh) 一种隔墙的顶部安装结构
JP3850592B2 (ja) 壁パネルの接合構造
JP7329280B1 (ja) パネル及びパネルの施工方法
KR200265937Y1 (ko) 목조주택 벽체용 외벽패널
JP2006104742A (ja) 外断熱建物のサイディング外壁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サイディング支持用ブラケット
JP3801409B2 (ja) 壁板取付け金具と壁板取付け工法
JP4834396B2 (ja) 外囲体及び外囲体構築工法及び支持金具
KR200355425Y1 (ko) 계단용 조립식 벽면거푸집
JP4931652B2 (ja) 型枠兼用断熱パネル
JP2002339502A (ja) 出隅部施工構造
JP2004218330A (ja) 建物における発泡樹脂断熱板の取付け方法及び取付け金物
CN114991356A (zh) 一种带有玻璃窗的装配式墙体和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12

Effective date: 2008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