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182A - 시트-파일 벽 구성체의 구조체 - Google Patents

시트-파일 벽 구성체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182A
KR20080045182A KR1020087005813A KR20087005813A KR20080045182A KR 20080045182 A KR20080045182 A KR 20080045182A KR 1020087005813 A KR1020087005813 A KR 1020087005813A KR 20087005813 A KR20087005813 A KR 20087005813A KR 20080045182 A KR20080045182 A KR 2008004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ile wall
lock
locks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041B1 (ko
Inventor
리차드 하인들
롭 웬트
Original Assignee
파일프로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일프로 엘엘씨 filed Critical 파일프로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4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10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 E02D5/12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구성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구성체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세그먼트로서 연장하는 2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를 포함하며, 이 2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12)의 단부는 서로 바로 인접해서 배열되고, 제3의 잠금부(34)를 통해 앵커리지(14, 20)의 록(26)에 차례로 걸리는 결합부(16)의 2개의 잠금부(36, 38)에 걸리는 록(52)을 가진다. 시트-파일 벽 구획부(12)의 각각의 다른 단부는, 상기 2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12) 각각이 개방 셀 구조체로서 기능하는 영역(18)을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자신들의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16)의 잠금부(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와 이 잠금부와 맞물리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22) 또는 앵커리지(14, 20)의 록(26, 52)은, 연결부(16)의 잠금부(34, 36, 38)와 이 잠금부와 맞물리는 록(26, 52)이 하나의 내측에 다른 하나가 걸리고, 또한 단면으로 볼 때, 연결부(16)의 잠금부(34, 36, 38)와 록(26, 52)이 적어도 하나의 설치 위치 내의 적어도 3점에서 서로 지탱하고 서로 지지하는 식으로 서로 그라운드를 붙잡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파일 벽 구성체의 구조체{ARRANGEMENT OF SHEET-PILE WALL COMPONENTS}
본 발명은 시트 파일 및 캐리어 요소와 같은 시트-벽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구성체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유형의 시트-벽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구성체는 예를 들어 US 6,715,964 B2에 공지되어 있다. 이 인용문헌에서, 아크형으로 연장하는 수 개의 인접하는 시트-파일 구획부[s]는, 시트-파일 구획부가 앵커리지(anchorages)의 역할을 하는 흙에 유지되어 있는 연결부에 의해 결합된다. 개방 셀(open cell)이라 불리우는, 아크형으로 연장하는 시트-파일 구획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에워싸인 영역들은, 적어도 시트-파일 구획부의 레벨까지 흙으로 채워지는 반면, 시트-벽 구획부에 의해 에워싸인 영역들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외부 영역들은 하부 높이(lower height)까지 흙으로 채워지고, 이에 따라 외부 방향으로 가리키는 시트-벽 구획부의 측면들은 흙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소위 개방 셀 구조는, 대향하는 시트-벽 구획부의 측면들이 물과 맞서는 항구 벽을 형성하는, 예를 들어 항구 구조물에 사용된다.
US 6,715,964에 공지된 구성체에서, 계란형 단면 및 C형 클로 바(claw bar)를 가진 헤더 바(header bar) 형태의 간단한 록을 가진 시트 파일은, 아크형으로 연장하는 직선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로서 사용된다. 별 형상의 프로파일의 단부에 계란형 단면을 가진 헤더 바가 록으로서 형성되며, 별 형상의 프로파일은, 시트-파일 구획부가 앵커리지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부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단점은, 시트-파일 벽 구획부를 앵커리지에 결합시키는 연결부가, 특히 에워싸는 영역으로부터 다시 유지되는 그라운드의 흙의 압력으로 인해 지극히 높은 장력 하에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파일 벽 구획부와 앵커리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도 또한, 상호 맞물리는 록이 이탈함이 없이, 지극히 높은 장력을 견딜 수 있는 구성체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를 갖는 구성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며, 특히, 연결부의 잠금부와 이 잠금부와 함께 맞물리는 록이 서로 걸리도록 하고 그리고 연결부의 잠금부와 이 잠금부와 함께 맞물리는 록이 인접하고 단면으로 볼 때 적어도 하나의 설치 위치에서의 적어도 3점에서 상호적으로 접경하도록, 연결부의 잠금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록 또는 상기 잠금부와 맞물리는 앵커링(anchoring)과 함께 설계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의 잠금부들 중 적어도 하나와 이 잠금부와 맞물리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 또는 앵커리지의 록은,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연결부의 상기 잠금부와 상기 록이 적어도 소위 3점 연결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연결부의 잠금부와 이 잠금부와 맞물리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 또는 앵커리지의 록은, 서로 에워싸고, 단면으로 볼 때 적어도 3점에서 록이 인접하고 서로 접경을 이루도록 서로에 대해 서로 걸리도록 설계되어 있다. 접촉 방향으로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 또는 앵커리지에 가해질 때, 2개의 록은 이러한 3점에서 서로 지지하고, 그래서 모든 3점의 충격에 대해 장력이 분배된다. 이 방법에서, 연결부와 이 연결부와 맞물리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 또는 앵커리지의 결합은 비교적 높은 장력을 견딜 수 있고, 이에 따라 록 연결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로운 개발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종속항 및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연결부의 각각의 잠금부와 이 잠금부에 맞물리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록 사이에 전술한 3점 연결이 형성될 때 특히 이롭다. 이 방법에서, 연결부,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 및 앵커리지의 결합은, 잠금부들 중 하나 또는 록들 중의 하나를 의도적으로 개방하지 않고서, 지극히 높은 장력의 영향을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개발에서, 시트-파일 벽 구획부의 2개의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가 걸리는 2개의 잠금부가 연결부의 중력의 표면 중심부에 대해 미러-대칭 외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결과로서 연결부의 잠금부에 가해지는 장력이 미러-대칭 방향으로부터 연결부에 대해 완화되고, 그래서 정상적으로, 시트-파일 벽 구획부에 가해지는 장력이 적어도 대략 동일할 때, 이 힘들은 서로 부분적으로 상쇄되고, 이에 따라 가변하는 힘의 크기에 의해 연결부가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획부의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다른 단부 상의 추가의 연결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또한 추가의 연결부를 추가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와 추가의 앵커리지에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가 길어지거나 확장되는 것을 추가로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규격화된 구조체에 의해, 이에 대응해서 큰 치수로 구조체를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시트-파일 벽 구획부의 자유 단부를, 예를 들어 이중-T 캐리어, T 캐리어 또는 파이프 캐리어와 같은 캐리어 요소에 직접적으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아크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연장하고,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소정 개수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가 제공되고, 이 시트-파일 벽 구획부 각각이 연결부에 의해 바로 인접하는 시트-파일 구획부에 결합되며, 차례로 각각의 연결부가 흙 속에 매립된 앵커리지와 맞물리게 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전술한 2개의 응용에서, 사용된 연결부는 이롭게 동시에 건조된다. 하나에 있어서, 이것은 구성체를 설치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또한, 모든 연결부는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구성체는 결합에서 약한 포인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흙 속에 고정되어 있는 캐리어 요소, 바람직하게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단단한 그라운드에 들어가 있는 이중-T 캐리어, T 캐리어 또는 파이프 캐리어를 앵커리지가 포함할 때 이롭다. 이때 연결부는 캐리어 요소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캐리어 요소는 이 목적을 위해, 대응하는 록 바(lock bar) 예를 들어, 용접부(weld-on profile)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연결부는 캐리어 요소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로 형성된 추가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는 지지 벽(supporting wall) 또는 유지 벽(retaining wall)으로 기능하는 이것에 적합하다. 앵커링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Z-파일 또는 U-파일을, 다른 시트-파일 벽 구획부용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로서 사용할 수 있다. Z자형 또는 U자형 시트 파일에 의해, 연결부와 앵커리지 사이에 가해지는 장력 및 공유력이, Z자형 또는 U자형 시트 파일과 그라운드 사이에 가해지는 추가의 마찰력 및 유지력에 의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앵커리지가 완화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전체적인 구성체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들에 대해 더 높은 저항력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를 예를 들어 부두 벽으로서 건조할 때, 아크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연장하는 시트-파일 벽 구획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에워싸여진 영역이 흙으로 채워져 있고, 에워싸여진 영역으로부터 피해 있는 시트-파일 벽 구획부의 측면이 흙으로부터 돌출하여, 시트-파일 벽 구획부는 그 에워싸여진 영역 내에 포함된 흙을 다시 유지하도록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에 사용되는 연결부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부와 결합되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 상의 그리고 앵커리지 상의 주력 충격의 방향이 정렬되는 접촉 방향들은 서로에 대해 120°에 놓여 있다.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 접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걸려 있고 앵커리지가 걸려 있는 그 결과적인 충격을 견디어내는 모든 잠금부의 동작점은, 연결부의 중력의 표면 중심부로부터 다른 2개의 잠금부의 동작점과 동일한 방사 거리이다. 동작점이 연결부의 중력의 표면 중심부로부터 동일한 방사 거리인 이러한 연결부의 구성의 한 가지 효과는, 시트-파일 벽 구획부와 앵커리지 걸리게 되는 결과로서 연결부에 가해지는 장력이 연결부에 공평하게 분배된다는 점이며, 그래서 이 힘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상쇄된다. 두 번째로, 연결부 파일의 설치 위치가 중요하지 않다. 연결부는 하나의 측면뿐만 아니라 다른 측면으로 그라운드에 충돌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 또는 앵커리지와 연결부의 어느 잠금부가 서로 맞물리든지 상관이 없다. 과거에는, 3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비대칭 연결부의 사용은 항상 문제를 일으켜 왔다. 빈번하게도, 연결부가 적절한 위치에 있는지 검사하지 않고, 연결부는 건조 위치상의 그라운드에 충돌한다. 비대칭 연결부가 잘못된 위치에 있을 때, 서로에 대한 시트-파일 벽 구획부의 과정은 힘의 최적의 흐름에 대응하지 않으며, 그래서 최악의 경우, 시트-파일 벽 구획부에 가해지는 힘을 앵커리지로 충분하게 돌리지 못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의 구조에서 가장 가능성 있는 유연성을 달성하기 위해, 연결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는 데, 연결부의 잠금부가 걸리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록과 앵커리지가 잠금부에서 적어도 15°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잠금부를 설계한다.
이러한 연결부 구조의 효과는, 연결부의 잠금부의 내부 록 챔버에서,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와 앵커리지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는 점이며, 이것은 잠금부가 그라운드에 들어갈 때 록이 연결부의 잠금부에서 경사질 가능성을 모두 완벽하게 배제시켜 버린다. 또한, 연결부에 결합되는 시트-파일 벽 구획부와 앵커리지의 과정의 부정확성이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용 연결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이로우며, 각각의 잠금부는, 곡선 손가락 형상 바와 함께, 그 길이 방향에 대해 횡단하여 연장하고 중간 릿지를 넘어 돌출하는 엄지 형상부가 형성되는 중간 릿지를 가지는 엄지 형상 바를 포함하고, 손가락 형상 바의 방향으로 가리키는 엄지 형상부의 단부와 함께 적어도 대체로 단면이 타원형 또는 계란형인 내부 록 챔버를 형성하며, 걸리는 시트-파일 벽 구획부의 록을 위한 그리고 앵커리지의 [sic] 록에 대한 개구부를 정의한다. 걸리는 시트-파일 벽 구획부의 록 그리고 앵커리지의 록은 또한 곡선의 손가락 형상 바 및 엄지 형상 바로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치수를 갖는다.
연결부의 잠금부,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와 앵커리지의 록을 이에 따라 상보형으로 설계할 때, 맞물린 잠금부와 록의 단면은 전술한 3점 연결에 대응한다.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록 또는 앵커리지의 엄지 형상부는 연결부의 록 프로파일의 록킹 챔버 내에 수용되는 반면, 연결부의 엄지 형상부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 또는 앵커리지에 접촉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질 때, 2개의 엄지 형상부는 서로에 대해 죄어지고, 다른 록의 손가락 형상 바들로 서로에 대해 각각 죄어져서, 단면으로 볼 때, 2개의 록이 3점에서 각각 접경하며, 이것을 상호적으로 서로 지지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3점 연결은, 서로 맞물리는 록들의 엄지 형상 부와 손가락 형상 바의 상호작용이, 손가락 형상 바가 구부려지거나 엄지 형상 바가 정상적인 장력 하에서 이탈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한다는 사실로 인해, 수십만 킬로뉴톤(kilonewtons)에 이를 수 있는 지극히 높은 장력을 견디어낼 수 있다. 또한, 개방 셀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를 서로에 대해 원형으로 연결부의 영역에 구성하는 것이 더 쉬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에 사용되는 전술한 연결부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잠금부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단면으로 볼 때, 그 소정의 접촉 방향에 대한 각도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잠금부에 걸리게 되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록에 대한 주력 충격의 방향이 그 소정의 접촉 방향에 관해 어느 한 방향으로 적어도 8°내지 12°를 피봇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제안하고 있다.
엄지 형상 바 및 손가락 형상 바로 형성된 잠금부에 의해, 소정의 접촉 방향에 대해 기저부에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는 경우, 그 소정의 접촉 방향을 벗어나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피봇은 엄지 형상 바의 방향으로 제한되는 반면, 반대의 방향으로 그 소정의 접촉 방향을 벗어나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피봇팅 움직임은 여러 번 반복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 소정의 접촉 방향에 대한 각도에 있도록 기저부에 잠금부를 설계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잠금부에서의 록과의 그 소정의 접촉 방향에 대한 적어도 대략 동일한 최대 각만큼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에 모두 가능성 있는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
그 엄지 형상 바가 소정의 접촉 방향으로부터 멀어지게 각도를 이루고, 그 소정의 접촉 방향에 대해 5°내지 10°의 각도로, 구성체에 사용되는 연결부 내의 잠금부가 타원형 또는 계란형 단면을 갖는 그 내부 록 챔버의 주축으로 따라 연장할 때도 또한 이롭다. 잠금부가 기저부에 대한 이러한 각도로 연장하는 한,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소정의 접촉 방향에 대해 다른 방향으로 피봇할 수 있다. 잠금부가 7°내지 8°의 각도를 포함할 때 특히 이롭다.
모든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반대의 방향으로 소정의 접촉 방향에 대해 피봇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잠금부의 엄지 형상부가 서로 바로 인접해서 기저부에 형성되고 2개의 잠금부는 서로를 향해 각도를 이루며, 모든 잠금부가 접촉 방향에 대해 5°내지 10°의 각도로 연장해야만 하는 것을 추가로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설치 위치가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잠금부의 엄지 형상부가 서로 바로 인접하는 기저부에 형성되고 잠금부들이 3개의 잠금부들 중 나머지 다른 것보다 연결부의 중력의 표면 중심부로부터 더 멀리 있는, 연결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바로 인접하는 엄지 형상 바에 의해 잠금부에 걸리게 되는 구성체의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가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으므로 연결부의 기저부와 충돌하지 않는다.
연결부의 특히 바람직한 개발에서, 각각의 잠금부의 개구부의 개구 폭과 각각의 잠금부의 내부 록 챔버의 최대 개구 폭 사이의 비율은 1 내지 2와 1 내지 2.5 사이이므로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록들은 연결부의 잠금부의 내측에서 피봇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중간 릿지의 길이 방향에 횡단해서 볼 때 엄지 형상 바 길이와 내부 록 챔버의 최대 개구 폭 사이의 비율이 연결부의 모든 잠금부에서 1 내지 1.2와 1 내지 1.4 사이일 때도 이롭다.
엄지 형상부가 근사적으로 구성될 때,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의 록과 앵커리지의 록은 내부 록킹 챔버 내에서 피봇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록은 잠금부에 효과적으로 걸리게 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서로 맞물리는 록이 부주의로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가 피봇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결부의 개발에서, 엄지 형상 바의 중간 릿지는, 그 길이 방향에 횡단해서 볼 때 중간 릿지의 두께와 개구부의 개구 폭 사이의 비율이 1 내지 1.2와 1 내지 1.4 사이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도록 제안하고 있다.
전술한 3가지 설계 특징, 즉 개구부의 개구 폭과 록킹 챔버의 개구 폭 사이의 비율, 엄지 형상부의 길이와 내부 록 챔버의 개구 폭 사이의 비율, 및 중간 릿지의 두께와 개구부의 개구 폭 사이의 비율은 각각, 잠금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결합해서, 개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빈번하게 수천 킬로뉴톤 정도인, 잠금부에 가해지는 힘들이 잠금부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 연결부의 각각의 잠금부에서, 중간 릿지의 길이 방향에 횡단해서 볼 때 중간 릿지의 두께와 중간 릿지의 길이 방향에 횡단해서 볼 때 엄지 형상부의 길이 사이의 비율은 적어도 1 내지 2.3과 1 내지 2.5 사이이다. 엄지 형상부의 길이는 엄지 형상 바의 엄지 형상부를 중심으로 록이 피봇되기 때문에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가 피봇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특히 중요한 결정자이고, 록이 엄지 형상 바의 엄지 형상부와 맞물리고, 부분적으로 엄지 형상부를 에워싸며, 이에 의해 내부 록 챔버 내에서의 안전한 홀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의 결과는, 엄지 형상부가 형성되는 중간 릿지의 두께는, 한편으론, 내부 록 챔버 내에서 방해 없이 록이 피봇될 수 있도록, 다른 한편으론, 엄지 형상 바가 변형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되는 연결부에 충분한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내부 록 챔버의 최대 개구 폭의 영역 내에서의 각각의 잠금부의 곡선 손가락 형상 바의 벽 두께가, 내부 록 챔버의 최대 개구 폭의 영역 내에서, 그 길이 방향에 횡단하여 볼 때 중간 릿지의 두께보다 1.1 내지 1.3의 인자만큼 더 크도록 추가로 제안되어 있다.
연결부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잠금부의 3개의 접촉 방향이 서로에 대해 120°오프셋 되어 진행하여, 서로 120°의 오프셋으로 연결부에 접근하는 시트-파일 벽 구획부가 연결될 수 있다. 그렇지만, 2개의 잠금부가 예를 들어, 반대의 접촉 방향으로, 환언하면 180°오프셋 되어 기저부를 벗어나서 고정되는 반면, 제3의 잠금부는 다른 2개의 잠금부에 대해 90°의 각도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를 설계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이렇게 활용된 연결부의 기본 본체는 잠금부가 서로 다른 접촉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실린더의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에 있어서, 기저부를 별 형상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즉, 릿지를 별 형상으로 3개의 접촉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별 형상의 단부에 잠금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연결부는, 결합시켜야만 하는 개별의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들 사이의 먼 거리를 브릿징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고 예시적 실시예 및 이 실시예의 변형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단부가 파이프 파일에 의해 그라운드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개방 셀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측면에서의 개방 셀들 중 하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 1의 A-A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3개의 시프-파일 벽 구획부 및 2개의 앵커리지를 도시하며, 2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가 각각의 경우에 커넥팅 프로파일에 의해 하나의 앵커리지에 결합되어 있는, 도 1에 따른 배열의 제1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배열의 다른 구획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구획부에 대응하되, 개방 셀 구조의 변형된 앵커리지를 가지는 구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180° 서로 오프셋 되어 있는 3개의 록 프로파일을 가진, 도 1에 따른 배열에 사용된 커넥팅 프로파일의 예시적 실시예의 측면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총 3개의 플랫 프로파일이 시트-파일 벽 구성체에 걸려 있는, 도 6에 따른 커넥팅 프로파일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록 프로파일의 작업점이 중력의 표면상의 중심(superficial center of gravity)으로부터 동일한 방사상의 거리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의 측면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록 프로파일이 접촉의 방향에 대해 걸려 있지 않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기저부(base)가 곡선으로 되어 있고 2개의 록 프로파일의 엄지 바(thumb bar)들이 서로 대향하며, 2개의 록 프로파일이 그 구부러진 기저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리지 바(ridge bar)가 기저부 상에 고정되어 있고 록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의 록 프로파일의 단부들에 형성되어 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기저부가 3개의 둥근 별 형상의 리지 바를 포함하고 이 리지 바의 단부에 록 프로파일이 형성되어 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의 제5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기저부가 3개의 직선의 별 형상의 리지 바를 포함하고 이 리지 바의 단부에 록 프로파일이 형성되어 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의 제6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기저부가 3개의 보강 별 형상의 리지 바를 포함하고 이 리지 바의 단부에 록 프로파일이 형성되어 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의 제7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기저부가 3개의 둥글고 보강 별 형상의 리지 바를 포함하고 이 리지 바의 단부에 록 프로파일이 형성되어 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의 제8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구성체
12 시트-파일 벽 구획부
14 제1 앵커리지
16 연결부
18 개방 셀
20 제2 앵커리지
22 평판형 결합체
24 지지 벽
26 용접부
28 이중-T 캐리어
30 파이프 파일
32 기저부
X 접촉 방향
Y 접촉 방향
Z 접촉 방향
34 잠금부
36 잠금부
38 잠금부
40 엄지 형상 바
42 엄지 형상 바
44 내부 록 챔버
46 중간 릿지
48 엄지 형상부
50 개구부
a 개구부(30)의 개구 폭
b 록 내부 챔버(24)의 개구 폭
c 중간 릿지(26)의 두께
d 엄지 형상부(28)의 두께
e 손가락 형상 바의 벽 두께
α 각도
S 중력의 표면 중심부
A 동작점
f 동작점과 중력의 표면 중심부 사이의 거리
52 록
F 주력 충격의 방향
54 릿지 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의 한 구획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구조체(10)는 복수의 아크형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로 형성되며, 이 복수의 아크형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는 그라운드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앵커리지(14)에 연결부(16)에 의해 결합된다. 각각의 아크형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는 2개의 제1 앵 커리지(14)를 가진 소위 개방 셀(18)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시트-파일 구획부(12)의 단부는 그라운드로 들어가 있는 파이프 파일(20)에 연결되며, 이하에 후술되는 바와 같이, 구조체(10)를 위한 폐쇄 요소(closing element)로서 기능한다.
도 2는 도 1의 A-A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형 시트-파일 벽 구획부(12)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개방 셀(18)은 흙으로 채워져 있는 반면, 개발 셀(18) 외측의 영역(도 2의 좌측)은 본 예에서 구조체(1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해안선 영역이다.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는 일부만이 그라운드에 들어가 있으므로, 시트-파일 벽 구획부(12)가 아래 방향으로 그라운드에 일부만이 들어가 있는 상황에서, 일 측면으로 가해지는 물(W)의 수압과 타 측면으로 가해지는 개방 셀(18) 내측의 지압(ground pressure)은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를 측면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시트-파일 벽 구획부(12)가 그라운드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리지(14 및 20)에 의해 단단한 그라운드에 고정시킨다.
도 3은 구조체(10)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목적으로 구조체의 하나의 구획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는 총 9개의 시트 파일(22)로 이루어져 있고, 이 경우 이 시트 파일은 평판형 결합체(union flat profile)이며, 이 평판형 결합체는 아크 구조로 그라운드에 들어가 서 서로 걸린다. 어느 한 단부에 배치된, 시트-파일 벽 구획부(14)의 최종 2개의 시트 파일(22)은 2개의 연결부(16)의 잠금부에 걸리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의 아크형 시트 -파일 벽 구획부(12)가 그에 따라 2개의 연결부(16)의 다른 잠금부에 걸린다.
각각의 연결부(16)의 제3 잠금부는 시트 파일(22)로 형성된 지지 벽(24)과 맞물리며, 이 경우 시트 파일을 유니언 플랫 파일로 해도 마찬가지이다. 지지 벽(24)은, 용접부(weld-on profile)(26)에 의해, 그라운드에 충돌한 이중-T 캐리어(28)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지지 벽(26) 및 이중-T 캐리어(28)는 서로 결합되어 제1 앵커리지(14)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조체에 의해 매우 명백한 바와 같이, 시트-파일 벽 구획부(12)의 과정에서의 편차(deviation)는 연결부(16)에 의해 보상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복수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가 공통점에서 결합되어야만 하는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도 4는 구조체(10)의 다른 구획부를 확대평면도로 나타낸다. 이 구획부는 시트-파일 벽 구획부(12)의 단부를, 예를 들어 해안선의 단단한 그라운드에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예에서 그라운드에 들어가 있는 파이프 파일(30)로 이루어지는 제2 앵커링(20)에 의해 더 안정화된다. 시트-파일 벽 구획부(12)의 최종 시트 파일(22)은 파이프 파일(30)의 외피(shell)에 용접되어 있는 용접부(26)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앵커리지(14)의 하나의 가능성 있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지지 벽(24)에 의해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로부터 이중-T 캐리어(28)로 전달될 수 있는, 지극히 높은 장력 및 공유력의 이중-T 캐리어(28)를 완화시키기 위해, 그리고 전체 앵커리지(14)의 저항(resistance)을, 발생할 수 있 는 임의의 장력 및 공유력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지지 벽(24)을 2개가 아닌 총 4개의 시트 파일(22)로 만든다. 또한, 더 큰 마찰력 및 유지력(holding force)에 의해 지지 벽(24) 상에 정렬해서 가해지는 장력 및 공유력을 상호작용시키기 위해, 이 4개의 시트 파일(22)은, 단면 투시도법으로 볼 때, 교대로 정렬되지 않은 채 10°의 각도로 벗어나서 땅에 들어가 있다. 또한 시트 파일(22)의 각이 진 구조(angled configuration) 대신 지지 벽(24)을 위해 그라운드에 들어가 있는 U자형 또는 Z자형 시트 파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단면을 가진 구조체(10)에서 사용되는 연결부(16)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연결부(16)는 2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를 지지 벽(24)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연결부(16)는 전술한 3개의 접촉 방향 X, Y, Z을 가지며, 이 방향들은 서로 120°오프셋 되어 있다. 이 점에서 접촉 방향 X, Y 또는 Z는 시트 파일(22)이 시트 파일들이 걸릴 때의 단면에서 연결부(16)와 함께 소위 3점 연결(three-point connection)을 형성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연결부(16)는 기저부(32)를 포함하며, 이 기저부(32)로부터 3개의 잠금부(34, 36 및 38)가 접촉 방향 X, Y, 및 Z으로 돌출한다. 잠금부(34, 36 및 38)는 동일하기 때문에, 잠금부(34, 36 및 38)의 구조에 대해서는, 위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34)에 의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잠금부(34)는, 기저부(32)로부터 돌출하여 이 기저부(32)에 떨어져서 배치되는 엄지 형상 바(thumb bar)(40), 및 손가락 형상 바(finger bar)를 가지며, 이 2 개의 바는 함께 기저부(32)로부터 돌출하여 내부 록 챔버(44)를 부분적으로 에워싼다.
엄지 형상 바(40)는 기저부(32)로부터 나오는 중간 릿지(middle ridge)(46)에 의해 형성되며, 이 중간 릿지의 자유 단부에 엄지 형상부(48)가 형성되는 데, 이 엄지 형상부는 중간 릿지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여 연장하되, 중간 릿지(46)를 양방향으로 넘어 연장한다.
손가락 형상 바(42)도 또한 기저부(32)로부터 나와서 엄지 형상 바(40) 쪽으로 곡선으로 연장한다. 손가락 형상 바(42)는 엄지 형상부(48)의 외부 표면과 함께 접평면(tangential plane)(도시되지 않음)으로 종결되고, 손가락 형상 바(42)의 방향으로 가리키는 엄지 형상부(48)의 단부와 함께 개구부(mouth)(50)를 형성한다.
기저부(32)와 중간 릿지(46) 사이의 변환, 중간 릿지(42)와 엄지 형상부(48) 사이의 변환, 및 기저부(32)와 손가락 형상부(42) 사이의 변환은 둥글게 되고, 이들의 형상은 타원형의 형상과 일치하여, 내부 록 챔버(44)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타원형인 내부 단면을 갖는다.
연결부(16)에 있어서, 걸리게 될 시트 파일(22)은 잠금부(34, 36, 및 38)의 내부 록 챔버(44) 내의 시트 파일(22)의 록(52)을 이용하여 정해진 방식으로 피봇될 수 있으며, 피봇되는 동안 연결부(16)의 내부 록 챔버(44) 내의 시트 파일(22)의 록(52)의 안전한 홀드(secure hold)가 시트 파일(22)의 모든 피봇 위치에서 여전히 보장된다.
피봇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이하의 설계 특징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16) 에 추가로 제공된다. 먼저, 개구부(50)의 개구 폭 a와 내부 록 챔버(24)의 최대 개구 폭 b 사이의 비율은 대략 1 내지 2.1이다. 차례로, 그 길이 방향에서 볼 때의 중간 릿지(46)의 두께 c와 개구부(50)의 개구 폭 a 사이의 비율은 1 내지 1.3이다. 그 길이 방향에 횡단해서 볼 때의 중간 릿지(46)의 두께 c와 중간 릿지(46)의 길이 방향에 횡단해서 볼 때의 엄지 형상부(48)의 길이 d 사이의 비율은 1 내지 2.3이다. 또한, 중간 릿지(46)에 횡단해서 볼 때의 엄지 형상부(48)의 길이 d와 내부 록 챔버(44)의 최대 개구 폭 b 사이의 비율은 1 내지 1.25이다.
이러한 설계 특징에 의해, 시트 파일(22)의 록(52)은, 시트 파일(22)의 록(52)이 연결부(16)의 잠금부(34, 36, 38)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약 16°를 피봇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잠금부(34, 36, 및 38)가 증가하는 유지력(holding force)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하고, 시트-파일 벽 구성체가 피봇될 잠재적 능력에도 부서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잠금부(34, 36, 및 38)를 형성하는 바(40 및 42)의 치수를 그에 따라 정해야 한다.
내부 록 챔버(44)의 최대 개구 폭 b의 영역 내에서의 각각의 잠금부(34, 36, 및 38)의 구부린 손가락 형상 바(42)의 벽 두께 e는, 내부 록 챔버(44)의 최대 개구 폭 b의 영역 내에서의 그 길이 방향을 횡단해서 볼 때의 중간 릿지(46)의 두께 c보다 1.2의 인자(factor)만큼 더 크다. 중간 릿지(4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엄지 형상부(40) 상에 가해지는 장력 부분(tensile force portion)은 횡단력 부분(transverse force portion)보다 크기 때문에, 엄지 형상 바(40)의 중간 릿 지(46)는 손가락 형상 바(42)보다 약하게 구성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손가락 형상 바(42)에서, 가해지는 횡단력은 더 크며, 이에 따라 비교적 큰 휨 모멘텀(bending momentum)이 손가락 형상 바에 가해지고, 손가락 형상 바는 이를 흡수하여야 한다.
걸리게 될 시트 파일(22)이 적어도 대략적으로 접촉 방향 X, Y, Z 각각에 대해 동일한 각도 범위에 걸쳐 피봇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3개의 잠금부(34, 36, 38)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접촉 방향 X, Y, Z에 대해 경사지도록 이 3개의 잠금부(34, 36, 38)를 기저부(32) 상에 구성한다.
도 6의 상단에 도시된 잠금부(34)는 접촉 방향 X에 대해 각 α에 있는 데, 이 경우 7.5°의 각이고, 이 경우 엄지 형상 바(40)는 접촉 방향 X로부터 떨어져서 각도를 이룬다.
2개의 다른 잠금부(36 및 38)도 또한 접촉 방향 Y 및 Z 각각에 대해 7.5°의 각도로 기저부(32) 상에 동일하게 배치되고, 엄지 형상 바(32)는 여기서 접촉 방향 Y 및 Z로부터 떨어져서 각도를 이룬다.
도 6의 하단에 도시된 2개의 잠금부(36 및 38)는 각도가 이루어진 덕택으로 서로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이 2개의 잠금부(36 및 38)와 연결부(16)의 중력의 표면 중심부(superficial center) S 사이의 거리는 상부 잠금부(34)와 그 동일한 포인트 사이의 거리보다 멀다. 이에 의해, 2개의 잠금부(36 및 38)에 걸리게 될 시트 파일(22)은, 가능한 한 함께 가깝게 이동할 때조차도 접촉하지 않게 된다.
도 7은 잠금부(34, 36, 38) 상의 록(52)에 걸린 시트 파일(22)과 같이 평판형 결합체(union flat profile)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16)를 나타낸다. 도면의 상단에 도시된 잠금부(34)에 있어서 시트 파일(22)이 연결부(16)에 걸릴 수 있는 피봇 범위(pivoting range)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시트 파일(22)은 피봇된 위치에서 연결부(16)에 걸릴 수 있는 데, 상기 피봇은 제1 단부 위치와 제2 단부 위치 사이의 약 8.5°의 각을 포함하며, 시트 파일(22) 상의 주력 충격(main force impact) F의 방향이 접촉 방향 X에 대해 평행한 시작 위치로부터 진행하며, 그래서 이 피봇 범위는 2개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대략 8.5°이고, 맞물린 록(34 및 52)은 단면 투시도로부터 3점에서 접촉을 이룬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연결부(16)의 제1 변형예이다. 이 변형된 연결부(16a)에서, 잠금부(34a, 36a, 38a)도 또한 서로 120°오프셋 되어 기저부(32a) 상에 배열된다. 이 연결부(10)의 독특한 특징은, 접촉 방향 X, Y, Z로 연장하도록 시트 파일(22)이 걸린 경우 그 결과적인 장력이 가해지는 각각의 잠금부(34a, 36a, 38a)의 동작점(working point) A는, 연결부(16a)의 중력의 표면 중심부 S로부터 각각 2개의 다른 잠금부(36a, 38a 및 34a)의 동작점들 A와 동일한 방사 거리 f이다는 점이다. 동작점 A가 연결부(16a)의 중력의 표면 중심부 S로부터 동일한 방사 거리인 이러한 연결부(16a)의 구성에 의해, 시트 파일(22)의 결과에 따라, 연결부(16a) 상에 가해지는 장력은 연결부(16a)에 걸쳐 공평하게 분배되어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되어 버린다. 다른 결과는, 관련 연결부(16a)의 설치 위치가 가변적이므 로, 시트 파일(22)에 걸 때 잠금부(34a, 36a, 38a)의 과정에 주목할 필요도 없이 연결부(16a)를 임의의 위치에 통합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기저부(32)가 잠금부(34, 36, 38)가 배열된 단부에 예를 들어 별 형상 구조의 릿지 바(ridge bar)로 구성되어 있는, 연결부(16)의 추가적인 변형예를 도시한다. 그렇지만, 개구부(50)의 개구 폭과 관련해서 설계 특징을 도시한 모든 변형예에서, 내부 록 챔버(44)의 개구 폭 b, 중간 릿지(46)의 두께 c, 엄지 형상부(48)의 길이 d, 및 손가락 형상 바(42)의 두께 e는 유사한 방식으로 실현된다는 것에 유념하라.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들에서, 잠금 부(34, 36, 38)는 접촉 방향 X, Y, Z에 대한 각도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최대 개구 폭 b에서의 내부 록 챔버(44)가 접촉 방향 X, Y, Z에 대한 직각으로 대략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변형예들에서도 마찬가지로, 잠금부(34, 36, 38) 중 적어도 하나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 방향 X, Y, Z에 대한 각도로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하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10)에 사용되는 연결부(16)의 제2 변형예(16b)를 도시하며, 여기서 잠금부(34b, 36b, 38b)는 접촉 각도 X, Y, Z에 대한 각도로 연장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10)에 사용되는 연결부(16)의 제3 변형예(16c)를 도시하며, 여기서 기저부(32c)는 곡선으로 연장하며, 2개의 잠금부(36c 및 38c)는 그 곡선 기저부(32c)의 단부들에 배치된다. 한편, 제3 잠금 부(34c)는 곡선 기저부(32c)의 중심에 배치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10)에 사용되는 연결부(16)의 제4 변형예(16d)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여기서 릿지 바(54d)는 잠금부들 중 어느 하나의 잠금부(34d)의 단부에 형성된 기저부(32d)에 배치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10)에 사용되는 연결부(16)의 제5 변형예(16e)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여기서 기저부(32e)는 잠금부(34e, 36e, 38e)가 배치되어 있는 단부에 별의 형상으로 연장하는 3개의 둥근 릿지 바(54e)를 포함한다. 릿지 바(54e)를 둥글게 한 목적은 잠금부(34e, 36e, 38e)에 가해지는 압력을 더욱 잘 흩어지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10)에 사용되는 연결부(16)의 제6 변형예(16f)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여기서 기저부(32f)는 잠금부(34f, 36f, 38f)가 배치되어 있는 단부에 별의 형상으로 연장하는 3개의 직선 릿지 바(54f)를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10)에 사용되는 연결부(16)의 제7 변형예(16g)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여기서 기저부(32g)는 잠금부(34g, 36g, 38g)가 배치되어 있는 단부에 별의 형상으로 연장하는 3개의 보강 릿지 바(54g)를 포함한다. 릿지 바(54g)의 보강으로 잠금부(34g, 36g, 38g)가 지극히 높은 장력 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10)에 사용되는 연결부(16)의 제8 변형예(16h)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여기서 기저부(32h)는 잠금부(34h, 36h, 38h)가 배치되어 있는 단부에 별의 형상으로 연장하는 3개의 둥근 보강 릿지 바(54h)를 포함한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둥근 형상은 압력을 더 잘 흩어지게 한다.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은 단지 몇 가지의 가능한 구성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저부(32)는 또한 잠금부(34, 36 및 38)가 서로 다른 접촉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구성체(10)의 개방 셀(18)을 서로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시트 파일 및 캐리어 요소와 같은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구성체에 있어서,
    아크형 또는 다각형으로 연장하고 록(52)에 의해 결합되는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22)로 이루어진 2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를 포함하며,
    서로 바로 인접해서 배열된 상기 2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12)의 단부 상에 제공된 상기 2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12)의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22)는, 제3의 잠금부(34)를 통해 앵커리지(14, 20)의 록(26)에 차례로 걸리는 결합부(16)의 2개의 잠금부(36, 38)에 걸리는 록(52)을 가지며,
    상기 시트-파일 벽 구획부(12)의 각각의 다른 단부 상에 제공된 시트-파일 벽 구획부(22)는, 상기 2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12) 각각이 개방 셀 구조체로서 기능하는 영역(18)을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16)의 잠금부(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와 이 잠금부와 맞물리는 상기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22) 또는 앵커리지(14, 20)의 록(26, 52)은, 상기 연결부(16)의 상기 잠금부(34, 36, 38) 및 상기 잠금부와 맞물리는 상기 록(26, 52)이 하나의 내측에 다른 하나가 걸리고, 또한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연결부(16)의 상기 잠금부(34, 36, 38)와 상기 록(26, 52)이 적어도 하나의 설치 위치 내의 적어도 3점에서 서로 접촉하고 서로 지지하는 식으로 에워싸도록 구성되는, 구성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6)의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연결부(16)의 3개의 잠금부(34, 36, 38) 각각은, 상기 록(26, 52)이 상기 잠금부(34, 36, 38)에 각각 걸리는 3점 연결(three-point connection)를 형성하는, 구성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22)의 록(52)이 걸리는 연결부(16)의 2개의 잠금부(36, 38)는 상기 연결부(16)의 중력의 표면 중심부(S)에 대해 미러-대칭 방식(mirror-sysmetrical fashion)으로 연장하는, 구성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시트-파일 구획부(12)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12)의 록(52)이 다른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추가의 연결부(16)의 잠금부(36, 38)에 걸리고,
    각각 서로 바로 인접하는 상기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는 연결부(16)와 결합하며,
    각각의 연결부(16)는 그라운드에 고정되어 있는 앵커리지(14, 20)와 맞물리는, 구성체.
  5. 제4항에 있어서,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22)를 포함하고 아크형 또는 다각형으로 연장하는 정해진 개수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는, 서로 바로 인접하는 시트-파일 벽 구획부(12)가 각각 연결부(16)와 함께 결합되도록, 그리고 각각의 연결부(16)가 그라운드에 고정되어 있는 앵커리지(14, 20)와 맞물리도록 제공되는, 구성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리지(14, 20)는 그라운드에 고정된 캐리어 요소, 바람직하게는 이중-T 캐리어(28), T 캐리어 또는 파이프 파일(30)을 포함하는, 구성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요소(28, 30)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22), 바람직하게는 시트 파일에 의해 상기 연결부(16)와 결합되는, 구성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를 아크형으로 또는 다각형으로 연장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에워싸인 영역(18)은 흙(soil)으로 채워지는 반면, 에워싸인 영역(18)으로부터 피해 있고 외측에 마주하는 시트-파일 벽 구획부(12)의 측면은 그라운드(ground)로부터 돌출하고, 이에 따라 시트-파일 벽 구획부(12)는 상기 에워싸인 영역(18) 내에 함유된 흙을 다시 지탱하는, 구성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6)의 각각의 잠금부[sic]는, 접촉 방향(X, Y, Z)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22)가 걸릴 때 그 결과적인 장력이 가해지는 동작점(A)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34, 36, 38)의 동작점(A)은 상기 연결부(16)의 중력의 표면 중심부로부터 동일한 방사 거리(f)인, 구성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6)의 잠금부(34, 36, 38)는, 상기 연결부(16)의 각각의 잠금부(34, 36, 38)에 걸릴,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22) 및 상기 앵커리지(14, 20)의 록이 상기 잠금부(34, 36, 38)에서 적어도 15°피봇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성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점 연결을 형성하는 연결부(16)의 잠금부(34, 36, 38)는, 엄지 형상부(48)가 형성되는 중간 릿지(46)를 갖는 엄지 형상 바(40)를 포함하며, 상기 엄지 형상 바(40)는 상기 중간 릿지(46)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여 연장하고 상기 엄지 형상 바(40)를 넘어 돌출하며,
    상기 3점 연결을 형성하는 연결부(16)의 잠금부(34, 36, 38)는 또한, 상기 엄지 형상 바(40)의 방향으로 가리키는 곡선 손가락 형상 바(42)를 포함하고, 단면 으로 볼 때 적어도 대략적으로 타원형 또는 계란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록 내부 챔버(44)를 형성하며, 손가락 형상 바(42)의 방향으로 가리키는 엄지 형상부(48)의 단부와 함께 걸린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hooked-on sheet-pile wall components)(22)의 록(52)과 앵커리지(28, 30)의 록(26)을 위한 개구부(50)를 정의하는, 구성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의 잠금부(34, 36, 38) 중 적어도 하나는, 단면으로 볼 때, 접촉 방향(X, Y, Z)의 소정의 방향에 대한 각도로 연장하여, 잠금부(34, 36, 38)에 걸릴 록(26, 52)이 주력 충격(direction of main force impact)(F)의 방향에 따라 적어도 ±8° 내지 ±12°의 범위에서 상기 소정의 접촉 방향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구성체.
  13. 제12항에 있어서,
    모든 잠금부(34, 36, 38)는 소정의 접촉 방향(X, Y, Z)에 대해 5°내지 10°의 각도로 연장하는, 구성체.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34, 36, 38)는 단면이 타원형 또는 계란형의 내부 록 챔버(44)의 주축(b)에 따라 상기 소정의 접촉 방향(X, Y, Z)에 대해 5°내지 10°의 각도로 연장하고, 상기 엄지 형상 바(40)는 상기 소정의 접촉 방향(X, Y, Z)으로부터 멀어지게 각도를 이루는, 구성체.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잠금부(36, 38)의 엄지 형상 바(40)는 서로 바로 인접하여 기저부(32)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잠금부(36, 38)는 상기 3개의 잠금부들 중 다른 하나의 잠금부(34)보다 상기 연결부(16)의 중력의 표면 중심부(S)로부터 더 멀리 있으며,
    상기 2개의 시트-파일 벽 구획부(12)의 상기 시트-파일 벽 구성요소(22)의 록(52)은 상기 2개의 록(36, 38)에 걸리는, 구성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32)는, 상기 3개의 접촉 방향(X, Y, Z)으로 별 형상으로 돌출하는 릿지 바(54)를 포함하며, 상기 릿지 바(54)의 단부에 상기 잠금부(34, 36, 38)가 배치되는 구성체.
KR1020087005813A 2005-08-09 2006-07-21 시트-파일 벽 구성체의 구조체 KR101085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7564.2 2005-08-09
DE102005037564 2005-08-09
DE102006000623A DE102006000623A1 (de) 2005-08-09 2006-01-02 Anordnung aus Spundwandabschnitten
DE102006000623.2 2006-01-02
PCT/EP2006/007207 WO2007017076A1 (de) 2005-08-09 2006-07-21 Anordnung aus spundwandkomponen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182A true KR20080045182A (ko) 2008-05-22
KR101085041B1 KR101085041B1 (ko) 2011-11-22

Family

ID=3711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813A KR101085041B1 (ko) 2005-08-09 2006-07-21 시트-파일 벽 구성체의 구조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946791B2 (ko)
EP (1) EP1917399A1 (ko)
JP (1) JP4991721B2 (ko)
KR (1) KR101085041B1 (ko)
BR (1) BRPI0616559A2 (ko)
CA (1) CA2618190A1 (ko)
DE (2) DE102006000623A1 (ko)
EA (1) EA200800552A1 (ko)
WO (1) WO20070170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2595A2 (ko) 2010-02-20 2011-08-25 Park Gang Ho 아칭효과를 이용한 보강형 자립식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굴착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1049A1 (de) * 2006-09-01 2008-03-06 Pilepro Llc Barriere aus Spundwandkomponenten
DE102008010991A1 (de) * 2008-02-25 2009-08-27 Contexo Ag Kombiwand
CA2824049A1 (en) * 2011-01-11 2012-07-19 Pilepro, Llc Improved steel pipe piles and pipe pile structures
AU2011354695A1 (en) * 2011-01-11 2013-03-21 Pilepro, Llc Improved steel pipe piles and pipe pile structures
EP2699734B1 (en) 2011-04-21 2015-01-28 PilePro LLC Universal connecting element for sheet pile wall components
FR3041976B1 (fr) * 2015-10-06 2017-11-24 Soletanche Freyssinet Quai portuaire constitue de parois voutees et de tirants plans
US10145076B2 (en) * 2016-08-12 2018-12-04 Pnd Engineers, Inc. Sheet pile bulkhead systems and methods
US10094088B1 (en) * 2017-10-31 2018-10-09 Earth, Inc. Sheet pile retaining wall system
USD925776S1 (en) * 2020-02-05 2021-07-20 Sheet Pile LLC Cylindrical pile with connecting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450A (en) * 1910-03-28 1910-08-23 Cloud C Conkling Metal sheet-piling.
US1098077A (en) 1910-06-18 1914-05-26 Richard Henry Annison Locking-bar and sheeting for constructional work.
US1032109A (en) 1910-11-01 1912-07-09 Lackawanna Steel Co Junction member for steel sheet-piling.
US2128428A (en) * 1936-08-18 1938-08-30 Jr Thomas E Murray Sheet piling
US2129429A (en) * 1937-07-15 1938-09-06 Carus Chemical Company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hydroquinone from quinone
FR894627A (fr) * 1943-02-09 1944-12-29 Palplanches et agrafes pour la réalisation de rideaux gabionnés du type cellulaireou autres
US3688508A (en) * 1970-10-21 1972-09-05 United States Steel Corp Sheet piling connectors
JPS4923911A (ko) * 1972-07-01 1974-03-02
CA1186516A (en) * 1983-06-29 1985-05-07 Valerian Curt Retaining wall
JPS6059228A (ja) * 1983-09-12 1985-04-05 Hazama Gumi Ltd 控え鋼矢板による鋼矢板土留工法
DE3907348A1 (de) * 1989-03-08 1990-09-20 Hoesch Stahl Ag Biegesteifes verbindungs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29718052U1 (de) * 1997-03-18 1997-12-04 Krupp Ag Hoesch Krupp Verbundschloß und Spundwand
US6715964B2 (en) * 2000-07-28 2004-04-06 Peratrovich, Nottingham & Drage, Inc. Earth retaining system such as a sheet pile wall with integral soil anchors
JP4086128B2 (ja) 2000-09-11 2008-05-14 パイルプロ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矢板用コネクタ
USD472455S1 (en) * 2001-03-30 2003-04-01 Georg Wall Connection element for sheet piles
DE102006000624A1 (de) 2005-08-09 2007-02-22 Pilepro Llc Verbindungsprofil zum Miteinanderverbinden dreier Spundwandkomponenten sowie Anordnung aus Spundwandkomponenten mit einem derartigen Verbindungsprof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2595A2 (ko) 2010-02-20 2011-08-25 Park Gang Ho 아칭효과를 이용한 보강형 자립식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굴착 시공방법
JP2013514472A (ja) * 2010-02-20 2013-04-25 ホオ パク、ガン アーチング効果を利用した補強型自立式土留構造体及びそれを利用した地中掘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88948A1 (en) 2011-08-04
EA200800552A1 (ru) 2008-08-29
EP1917399A1 (de) 2008-05-07
JP4991721B2 (ja) 2012-08-01
US7946791B2 (en) 2011-05-24
US20090123237A1 (en) 2009-05-14
DE202006021134U1 (de) 2012-12-05
DE102006000623A1 (de) 2007-02-22
CA2618190A1 (en) 2007-02-15
KR101085041B1 (ko) 2011-11-22
JP2009504943A (ja) 2009-02-05
BRPI0616559A2 (pt) 2011-06-21
WO2007017076A1 (de)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041B1 (ko) 시트-파일 벽 구성체의 구조체
KR101085040B1 (ko) 3개의 시트 파일 벽 구성체를 상호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이연결부를 포함하는 시트 파일 벽 구성체의 구조체
US7527456B2 (en) Connecting profiled element for connecting sheet piles to carrier elements
US20060179771A1 (en) Combination pile wall
NZ560538A (en) An anchor device of wooden or metal structures to a wall
KR20200037143A (ko)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CA2959421A1 (en) Building element for making retaining wall using filling material
TR201604642A2 (tr) Prefabri̇ke i̇sti̇nat duvari bloğu ve i̇sti̇nat duvari i̇nşa etmeye yöneli̇k yöntem
ES2345905T3 (es) Brazo de grua telescopico con segmentos de perfil curvados en mayor y menor medida en las partes de perfil superior e inferior.
CA2724368A1 (en) Pier bracket
KR200393052Y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
KR101040824B1 (ko) 도로용 울타리
KR101326676B1 (ko) 콘크리트 속채움식 강관파일 두부보강방법
JP2007231704A (ja) 断面ハット形鋼製梁を用い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50039798A (ko) 흙막이 벽의 설치구조
KR101132868B1 (ko) 에너지 전달 체인 및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플레이트
KR100779582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및 두부보강방법
KR200432526Y1 (ko) 복수의 유-볼트를 이용한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구
CN101287874A (zh) 一种由板桩壁部件组成的结构
KR200242168Y1 (ko) 보강토 옹벽용 조립체
CN217974356U (zh) 一种腰梁可内嵌锚索锚头的支护结构
KR101028571B1 (ko) 페어링을 이용한 조립형 거더
JP3600902B2 (ja) 連結杭
KR102261089B1 (ko) 벽체 배근 공법
KR102430732B1 (ko) 토목 및 건축 하중지지 영구 흙막이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