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143A -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143A
KR20200037143A KR1020197037869A KR20197037869A KR20200037143A KR 20200037143 A KR20200037143 A KR 20200037143A KR 1020197037869 A KR1020197037869 A KR 1020197037869A KR 20197037869 A KR20197037869 A KR 20197037869A KR 20200037143 A KR20200037143 A KR 20200037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bar
shaped
shaped reinforc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욱
Original Assignee
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욱 filed Critical 박성욱
Publication of KR20200037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이나 압축보 등 RC조 또는 SRC조의 길이부재에 설치되는 주철근의 좌굴 등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콘크리트의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주철근의 둘레에 설치되는 후프근을 보강하기 위한 V형 띠철근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 주철근을 둘러싸는 형상의 절곡부와 양측으로 벌어진 앵커부로 이루어지는 V형 철근과 상기 V형 철근에 고정 설치되어 주철근과 연결되도록 하는 띠철근 상부고정대와, 상기 V형 철근의 절곡부에 고정 설치되어 주철근에 연결된 V형 철근이 상하좌우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대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본 발명은 기둥이나 압축보 등 RC조 또는 SRC조의 길이부재에 설치되는 주철근의 좌굴 등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콘크리트의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주철근의 둘레에 설치되는 띠철근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띠철근에 관한 것이다.
RC기둥의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수직철근의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띠철근이 설치되는 바, 상기 띠철근은 기둥에서 수직철근의 위치를 확보하면서 전단력에 저항하고, 상기 수직철근의 좌굴을 방지하여 콘크리트가 먼저 취성파괴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띠철근은 일반적으로 각 수직철근을 모두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나, 상기 수직철근의 배치간격이 넓어지거나 주근 개수가 많은 기둥의 경우에는 그 내부에 다양한 형상의 보조띠철근이 추가 설치된다.
도 1은 상기한 보조띠철근이 배치된 상태의 각 평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띠철근의 양 단부에는 갈고리를 형성시켜 수직철근에 걸림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갈고리는 양 단부 모두 135°표준 갈고리(A)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수직철근에 대한 갈고리의 끼움작업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일측에는 90°표준 갈고리(B)로 구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90°표준 갈고리는 수직철근으로부터 쉽게 풀림되어 지진 등 압축력과 휨모멘트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띠철근(hoop)과 보조띠철근이 수직철근을 구속시키지 못하여 좌굴로 기둥이 연성변형되지 않고 갑작스럽게 붕괴되는 취성파괴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 1의 (b)에서와 같이 보조띠철근으로 V형 띠철근이 사용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상기한 V형 띠철근은 양 단부가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앵커링 되도록 하면서 수직철근을 감싸듯 잡아주기 때문에 갈고리의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수직철근의 좌굴등을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다른 한편으로 중앙이 절곡되어 수직철근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는 V형 띠철근은 상기 수직철근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결합되어야 하는데, 도 2는 이에 적용될 수 있는 철근고정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철근고정구(3)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31660호에 게시된 것으로서, 주근(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호형클립(31)와 절곡 철근(2)의 양 측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거치부(3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철근고정구(3)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고, 현장에서는 착탈 및 삽입방식으로 철근에 간단히 고정되므로 현장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철근고정구(3)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상기의 철근고정구(3)는 충격에 의해 V형 띠철근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적절하게 제어하지 못한다.
V형 띠철근은 절곡된 중앙부분을 1점지지로 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의 단부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까지는 어디에도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의 형식을 가진다. 따라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또는 콘크리트의 타설작업 과정 중에 수평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질 수 있는 바, V형 띠철근은 원형의 호형클립(31)를 중심으로 철근고정구(3)와 함께 좌우로 회전하게 되어 보조철근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둘째, 주근(1)을 파지하는 상기의 철근고정구(3)의 호형클립(31)는 V형 띠철근의 하중을 모두 부담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호형클립(31)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미끄럼에 취약한 평탄 단일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또는 콘크리트의 타설작업 과정 중에 정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셋째, 상기한 철근고정구(3)는 형상적인 특징상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제작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이러한 합성수지는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합성력을 저하시키고 단면결손을 야기시킴과 더불어, 이질재료에 따른 콘크리트 박리 및 콘크리트의 밀실한 충진 곤란으로 콘크리트의 구속성이 저하되어, 균열발생 등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V형 띠철근의 설치가 간편하고, 현장의 작업량을 줄여주며, 설치된 V형 띠철근은 불측의 외력이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설정된 형상을 유지하면서 정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상된 시공성과 공기단축의 경제성 및 높은 시공품질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구비된 V형 띠철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중앙에 주철근을 둘러싸는 형상의 절곡부와 양측으로 벌어진 앵커부로 이루어지는 V형 철근과; 상기 V형 철근에 고정 설치되어 주철근과 연결되도록 하는 띠철근 상부고정대와, 상기 V형 철근의 절곡부에 고정 설치되어 주철근에 연결된 V형 철근이 상하좌우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대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띠철근 상부고정대는, 주철근이 삽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된 호형클립과, 상기 인입구의 양 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외향 절곡되면서 단부가 V형 철근의 앵커부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방지대는, V형 철근의 상면에 걸침되어 설치되는 걸침고정바와, 상기 걸침고정바의 양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한 쌍의 버팀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바는 인입구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단부가 V형 철근의 앵커부에 부착 고정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부착 고정수단으로 용접에 의하게 하거나 상부 지지바의 단부에는 V형 철근의 앵커부가 삽입 고정되는 환형고리 또는 호형 클립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회동방지대는 버팀바의 외면이 주철근을 둘러싼 후프근의 내면에 위치하도록 구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버팀바의 각 단부에 주철근이 삽입되는 교차고정클립을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한 쌍의 상부 지지바에 구비된각 환형고리 또는 호형 클립에, 하부로 연장되어 상부 지지바와 대칭으로 하향 경사 지도록 절곡돤 한 쌍의 연장지지바 및, 상기 연장지지바의 각 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주철근이 삽입되는 한 쌍의 교차고정클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띠철근 상부고정대는 V형 철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V형 철근의 하부에는 띠철근 하부고정대가 더 설치되되, 상기 띠철근 하부고정대는, 주철근이 삽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된 호형클립과, 상기 인입구의 양 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외향 절곡되면서 단부가 V형 철근의 앵커부에 고정되는 하부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띠철근 상부고정대와 띠철근 하부고정대에 구비된 각 호형클립의 후면 중앙에는 V형 철근과의 결합을 위한 돌출홈부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띠철근 상부고정대는, 호형클립이 돌출홈부로부터 상향 절곡되고 상부 지지바는 호형클립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인입구 부분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띠철근 하부고정대는, 호형클립이 돌출홈부로부터 하향절곡되고 하부 지지바가 호형클립으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인입구 부분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게 하여, 상하의 각 호형클립은 서로 대향하는 경사각으로 삽입된 주철근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회동방지대의 걸침고정바는 V형 철근의 상면에 용접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띠철근 상부고정대와 띠철근 하부고정대는 V형 철근의 앵커부를 고정하는 환형고리 또는 호형클립에 의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띠철근 상부고정대와 띠철근 하부고정대를 V형 철근의 절곡부에 용접 또는 결합부속물로 고정하되, 회동방지대를 동시 또는 별개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지지바에 의한 진입안내 작용 및 호형클립의 탄성작용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주철근 방향으로 밀어 주기만 하면 V형 띠철근이 주철근에 결합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뛰어나고, 결합된 V형 띠철근의 수평이탈은 상부 지지바의 축력과 회동방지대의 버팀바에 의해 저지되므로 높은 결합의 안정성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방지대의 버팀바에 의해 V형 철근이 좌우 회동하는 것이 완벽하게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버팀바와 연장지지바, 주철근에 경사지도록 결합되는 상하부 고정대의 호형클립, 상하부 고정대의 호형클립과 V형 철근에 의한 상향 방향으로의 요철형상의 외면 등에 의해 V형 띠철근이 상부로 이동하려는 것을 억제시키며, 회동방지대의 버팀바와, 호형클립을 V형 철근으로부터 이격시켜 상부지지바에 의해 V형 철근의 앵커부가 행잉되도록 한 구성 및, 상하부 고정대에 의해 V형 철근의 상하부가 수직으로 2점 고정되도록 한 구성에 의해 V형 철근이 하부로 처지거나 회동하려는 것을 억제시키도록 하여,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콘크리트 타설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충격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배치상태를 그대로 유지함과 더불어, 철근과 동일 재질으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은 콘크리트에 대한 전단연 결재의 기능으로 결합력을 높임과 함께 결합부위에서의 콘크리트 균열 내지 박리현상이 방지되고 부재 내부에 이물질에 의한 단면결손이 발생되지 않게되므로, 부재의 고품질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보조띠철근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각 평면도이다.
도 2는 V형 띠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종래의 철근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V형 띠철근의 각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V형 띠철근을 주철근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일부구성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V형 띠철근의 각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V형 띠철근의 각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3실시예에 의한 V형 띠철근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V형 띠철근을 구성하는 회동방지대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각 개념도이다.
도 15는 상기 회동방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에 의한 회동방지대가 구비된 V형 띠철근을 주철근에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V형 띠철근(100)에 관한 것으로서, 도 3은 상기 V형 띠철근(100)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V형 띠철근(100)을 각 구성별로 분리시킨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V형 띠철근(100)을 주철근(200)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대단면 부재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 주철근(200)을 감싸는 사각주띠철근(300, 이하 '후프근'이라 한다)이 상부에 추가 설치되는 보조띠철근으로서, 상기한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주철근(200)을 둘러싸는 형상의 절곡부(111)와 양측으로 벌어진 앵커부(112)로 이루어지는 V형 철근(110)과, 상기 V형 철근(110)에 일체로 구비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V형 철근(110)의 절곡부(111)를 형성하는 각도와 앵커부(112)의 길이는 주철근(200)을 구속시키는 정도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나, 부재단면의 크기와 이에 배치되는 주철근(200)의 간격 및 띠철근의 규격 등에 따라 최적의 것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인 바, 본 발명에서는 이에 관하여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원터치식 고정수단은 V형 철근(1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철근(200)과 연결되도록 하는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와, 주철근(200)에 연결된 V형 철근(110)이 상하좌우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대(1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와 후술하는 띠철근 하부고정대(130)는 탄성재질의 철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고정수단의 탄성력에 의한 원터치 방식으로 주철근(200)에 대한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각 철근들과 콘크리트 사이에 전단연결재의 기능을 가지게 하고, 선팽창계수의 일치에 의한 결합 부위의 박리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부재의 내부에 단면결손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부재가 충분한 단면력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띠철근 상부고정대(120)는 V형 철근(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철근(200)과 결합되는 호형클립(121)과, 후술하는 인입구(121a)의 양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외향 절곡되면서 단부가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바(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형클립(121)은, 주철근(200)이 내부공간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면에는 인입구(121a)가 형성된다.
이때 인입구(121a)의 폭은, 일단 내부공간에 주철근(200)이 삽입되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주철근(200)은 호형클립(121)의 탄성 범위내에서 벌어진 인입구(121a)를 통하여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후 탄성복원된 호형클립에(121) 의해 고정된다.
단부가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바(122)는, 상기 인입구(121a)의 폭을 설정하는 호형클립(121)의 인입구(121a) 양단에서 외향 절곡된후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즉 호형클립(121)의 양 측단에 위치한 한 쌍의 상부 지지바(122)는 상호간에 V자 형상을 가지되, 이들 사이의 각도는 V형 철근(110)에서 절곡부(111)를 형성하는 각도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한 각도의 크기 차이는 상기 한 쌍의 상부 지지바(122)가 V형 철근(110) 의 앵커부(112) 내측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호형클립(121) 내부공간에 대한 주철근(200)의 삽입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면서도, 외측으로 벌어져 호형클립(121)의 탄성거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주철근(200)의 삽입이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호형클립(121)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주철근(200)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의 축력으로 버텨주어 주철근(200)에 대한 V형 철근(110)의 안정적인 정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6은 한 쌍의 상부 지지바(122)에 의한 상기한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중 (a)는 상부 지지바(122)의 안내에 따라 주철근(200)이 호형클립(12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고, (b)는 호형클립(121)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주철근(200)의 이탈을 저지하는 상부 지지바(122)의 반력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 지지바(122)의 작용효과는 본 실시예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제2, 3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상기의 호형클립(121)은 후술하는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후면 중앙이 V형 철근(110)에 용접고정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V형 철근(110)으로부터 상부로 이격한 높이에 위치하며, 앵커부(112)에 고정된 상부 지지바(122)에 의해 그 위치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상부 지지바(12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호형클립(121)의 인입구(121a) 양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외향 절곡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는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단부가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주철근(200)에 고정된 호형클립(121)이 V형 철근(110)으로부터 상부로 이격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 상부 지지바(122)는, 상기 V형 철근(110)의 자유단쪽을 행잉함으로써 후술하는 버팀바(142)와 함께 V형 철근(110)의 단부가 하부로 처지면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앵커부(112)에 대한 상부 지지바(122) 단부의 고정은 용접에 의할 수도있고, 상기 상부 지지바(122)의 단부에 환형고리(124)를 구비시킨 후 상기 환형고리(124)에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를 삽입시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환형고리(124)가 아닌 호형 클립을 사용하는 등 체결이 가능한 한 그 형상은 제한되지않는다.
V형 철근(110)의 절곡부(111)에는 회동방지대(140)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회동방지대(140)는 후프근(300)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V형 철근(110)이 좌우로 회동하거나, 단부가 상부로 부상하거나 하부로 처짐이 발생하는 등 V형 철근(110)이 상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회동방지대(140)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모두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것이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뒤에서 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V형 띠철근(100)에 관한 것으로서, 도 7은 상기 V형 띠철근(100)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V형 띠철근(100)을 각 구성별로 분리시킨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상기 V형 띠철근(100)을 주철근(200)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V형 띠철근(100)에서 앵커부(112)에 대한 상부 지지바(122) 단부의 고정은 그 단부에 구비된 환형고리(124) 또는 호형클립에 의할 수 있는 바,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상부 지지바(122) 단부에 구비된 각 환형고리(124) 또는 호형클립에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지지바(125)의 한 쌍과 상기 연장지지바(125)의 단부에 위치하는 교차고정클립(126)의 한 쌍이 더 구비된다.
상기 연장지지바(125)는 상부 지지바(122)와 대칭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한 쌍의 교차고정클립(126)에 의해 주철근(200) 중 V형 철근(110) 하부의 아래쪽에 위치한 부분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장지지바(125)를 주철근(200)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교차고정클립은 주철근(200)이 삽입되는 개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삽입된 주철근(20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환형고리(124) 또는 호형 클립 및 교차고정클립(126)에 의해 V형철근(110)과 주철근(200)을 연결한 연장지지바(125)는 콘크리트 타설과정 중 상부를 향하는 하중(예컨대 트레미관의 인출을 위한 상부이동 하중)에 의해 V형 철근(110)의 단부가 상부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V형 띠철근(100)에 관한 것으로서, 도 10은 상기 V형 띠철근(100)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V형 띠철근(100)을 각 구성별로 분리시킨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상기 V형띠철근(100)을 주철근(200)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한 제1, 2실시예에서는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의 호형클립(121)이 V형철근(110)과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 즉 V형 철근(110)으로부터 상부로 이격한 높이에서 주철근(20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반면, 제3실시예에서는 호형클립(121)의 후면 중앙이 V형 철근(110)의 절곡부(111)에 용접 또는 결합부속물로 부착됨과 더불어,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띠철근 하부고정대(130)가 더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실시예에서는, 띠철근 상부고정대(120)가 V형 철근(110)의 상부에 3점 고정 설치되고, 이에 대칭이되도록 띠철근 하부고정대(130)가 V형 철근(110)의 하부에 3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띠철근 하부고정대(130) 역시, 주철근(200)이 삽입되는 인입구(131a)가 형성된 호형클립(131)과, 상기 인입구(131a)의 양 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외향 절곡되면서 단부가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에 고정되는 하부 지지바(13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V형 철근(110)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부착된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와 띠철근 하부고정대(130)의 각 외면은 상하방향으로 요철형상을 형성시켜 철근의 배근작업 또는 콘크리트의 타설작업 과정중에 예기치 못한 충격에 의해 V형 철근(110)이 상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마찰력 및 주철근 마디 구속력으로 억제시킨다.
아울러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와 띠철근 하부고정대(130)는 V형 철근(110)을 상부와 하부에서 2점 고정됨으로써 상기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 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와 띠철근 하부고정대(130)에 구비된 각 호형클립의 후면 중앙에는 돌출용접홈부를 더 구비시켜 호형클립과 V형 철근(110) 사이의 용접 또는 결합부속물로 부착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도모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와 띠철근 하부고정대(130)를 각 구성하는 호형클립(121,131)과 상부 지지바(122) 또는 하부 지지바(132)는 모두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형 철근(110)의 상하부에 위치한 각 호형클립(121,131)이 서로 대향하는 경사각으로 주철근(200)의 외면을 감싸도록 각 구성사이를 절곡시킴으로써, 주철근(200)의 상하방향에 대한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켜 미끄럼 이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띠철근 상부고정대(120)는, 호형클립(121)이 돌출홈부(123)로부터 상향 절곡되고 상부 지지바(122)는 호형클립(121)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인입구(121a) 부분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시키고, 이에 반하여 띠철근 하부고정대(130)는, 호형클립(131)이 돌출홈부(133)로부터 하향 절곡되고 하부 지지바(132)는 호형클립(131)으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인입구(131a) 부분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시킴으로써, 설령 호형클립(121,131)의 내주면과 주철근(20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더라도 V형 철근(110)이 주철근(200)의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다음으로는 제1 내지 3실시예에서 공통으로 V형 철근(110)의 절곡부(111)에 고정 설치되는 회동방지대(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상기 회동방지대(140)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중(a)는 회동방지대(140)가 V형 철근(110)이 좌우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b)는 회동방지대(140)가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 즉 하부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관하여 각각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러한 회동방지대(140)는, V형 철근(110)의 상면에 걸침되어 용접 고정되는 걸침고정바(141)와, 상기 걸침고정바(141)의 양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한 쌍의 버팀바(142)로 이루어진다. 걸침 고정바(141)는 용접 뿐만 아니라 다른 부속물을 이용하여 V형 철근(11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버팀바(142)는 V형 철근(110)의 절곡부(111) 중앙을 중심으로하여 양 쪽에 대칭하도록 위치하게 되는 바, 상기 각 버팀바(142)는 후프근(300)에 의해 지지되면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회동을 방지함으로써, 이에 일체로 접합된 V형 철근(110)이 좌우로 회동하지 않게 한다.
상기의 각 버팀바(142)는 그 외면이 주철근(200)을 둘러싼 후프근(300)의 어느 한 면에 함께 위치하면 되는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프근(300)의 내면에 위치하도록 구성시킴으로써,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기치 않는 수평하중에 의해 호형클립(121,131)이 후퇴하면서 V형 띠철근(100)이 주철근(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걸침고정바(141)는 평면상 내측으로 완만한 곡선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버팀바(142)의 단부에는 주철근(200)이 삽입되는 교차고정클립(146)을더 구비시킬 수 있다.
도 15는 버팀바(142)의 단부에 교차고정클립(146)을 구비한 회동방지대(140)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교차고정클립(146)으로 주철근(200)에 버팀바(142)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교차고정클립(146)이 구비된 버팀바(142)는,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서의 연장지지바(125) 역할을 대신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과정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상방향 하중에 의해 V형 철근(110)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중앙에 주철근(200)을 둘러싸는 형상의 절곡부(111)와 양측으로 벌어진 앵커부(112)로 이루어지는 V형 철근(110)과; 상기 V형 철근(110)에 고정 설치되어 주철근(200)과 연결되도록 하는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와, 상기 V형 철근(110)의 절곡부(111)에 고정 설치되어 주철근(200)에 연결된 V형 철근(110)이 상하좌우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대(140)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띠철근 상부고정대(120)는, 주철근(200)이 삽입되는 인입구(121a)가 형성된 호형클립(121)과, 상기 인입구(121a)의 양 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외향 절곡되면서 단부가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바(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방지대(140)는, V형 철근(110)의 상면에 걸침되어 설치되는 걸침고정바(141)와, 상기 걸침고정바(141)의 양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한 쌍의 버팀바(1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바(122)는 인입구(121a)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단부가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바(122)의 단부에는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가 삽입 고정되는 환형고리(124) 또는 호형 클립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4.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부 지지바(122)에 구비된 각 환형고리(124) 또는 호형클립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상부 지지바(122)와 대칭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돤 한 쌍의 연장지지바(125) 및, 상기 연장지지바(125)의 각 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주철근(200)이 삽입되는 한 쌍의 교차고정클립(12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철근 상부고정대(120)는 V형 철근(1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V형 철근(110)의 하부에는 상부 지지바(122)와 동일하게 단부에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를 고정하는 환형고리(124) 또는 호형클립을 가진 띠철근 하부고정대(130)가 더 설치되되,
    상기 띠철근 하부고정대(130)는, 주철근(200)이 삽입되는 인입구(131a)가 형성된 호형클립(131)과, 상기 인입구(131a)의 양 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외향 절곡되면서 단부가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에 고정되는 하부 지지바(1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와 띠철근 하부고정대(130)에 구비된 각 호형클립(121,131)의 후면 중앙에는 V형 철근(110)과의 결합을 위한 돌출홈부(123,133)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띠철근 상부고정대(120)는, 호형클립(121)이 돌출홈부(123)로부터 상향 절곡되고 상부 지지바(122)는 호형클립(121)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인입구(121a) 부분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띠철근 하부고정대(130)는, 호형클립(131)이 돌출홈부(133)로부터 하향 절곡되고 하부 지지바(132)가 호형클립(131)으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인입구(131a) 부분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하의 각 호형클립(121,131)은 서로 대향하는 경사각으로 삽입된 주철근(200)의 외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방지대(140)는 버팀바(142)의 외면이 주철근(200)을 둘러싼 후프근(300)의 내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바(142)의 각 단부에는 주철근(200)이 삽입되는 교차고정클립(14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방지대(140)의 걸침고정바(141)는 V형 철근(110)의 상면에 용접 또는 결합부속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와 띠철근 하부고정대(130)는 V형 철근(110)의 앵커부(112)를 고정하는 환형고리(124) 또는 호형클립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띠철근 상부고정대(120)와 띠철근 하부고정대(130)를 V형 철근(110)의 절곡부(111)에 용접 또는 결합부속물로 고정하되,
    회동방지대(140)를 동시 또는 별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KR1020197037869A 2017-08-28 2018-08-02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KR20200037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55 2017-08-28
KR1020170108455A KR101802959B1 (ko) 2017-08-28 2017-08-28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PCT/KR2018/008781 WO2019045292A1 (ko) 2017-08-28 2018-08-02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143A true KR20200037143A (ko) 2020-04-08

Family

ID=608121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455A KR101802959B1 (ko) 2017-08-28 2017-08-28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KR1020197037869A KR20200037143A (ko) 2017-08-28 2018-08-02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455A KR101802959B1 (ko) 2017-08-28 2017-08-28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8930B2 (ko)
JP (1) JP6955290B2 (ko)
KR (2) KR101802959B1 (ko)
CN (1) CN109424123B (ko)
TW (1) TWI681101B (ko)
WO (1) WO2019045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893B1 (ko) 2018-12-03 2019-08-12 이양운 조립식 띠철근
KR102061219B1 (ko) * 2019-03-14 2020-01-02 박성욱 V형 띠철근 조립체
JP6758737B1 (ja) * 2020-04-16 2020-09-23 株式会社サンエーテック 鉄筋固定具
KR102203621B1 (ko) * 2020-04-24 2021-01-15 박성욱 띠철근 풀림 방지 장치
CN113585627A (zh) * 2021-08-20 2021-11-02 广东峻佳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施工用构造柱钢筋固定结构及其施工方法
CN116497798B (zh) * 2023-03-28 2023-11-14 江苏海洋大学 一种预制装配式超高性能混凝土大直径管桩及施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7610A (en) * 1921-01-29 1923-06-05 William E White Concrete spacer
US3289378A (en) * 1964-02-10 1966-12-06 Carroll William Jay Reinforcing rod support
DE2035670A1 (de) * 1970-07-17 1972-01-20 Rehm, Gallus, Prof Dr Ing , 8000 Mun c hen Bewehrungselement fur Stahlbetonbau teile
US4249354A (en) * 1979-03-05 1981-02-10 Wynn Gayle B Reinforced insulated wall construction
US4463538A (en) * 1982-01-21 1984-08-07 Dragunas Alfred R Reinforcing network for concrete structure
JP3055508B2 (ja) 1997-11-13 2000-06-26 株式会社デンソー 圧力検出器の製造方法
US6637171B1 (en) * 2001-10-17 2003-10-28 Bryan D. Toone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using rebar isolators
JP4005387B2 (ja) 2002-03-05 2007-11-07 独立行政法人土木研究所 配筋定着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定着具
TW505167U (en) * 2002-03-18 2002-10-01 Wen-Chin Chen An improved block for reinforcing steels
US6871471B1 (en) * 2003-08-15 2005-03-29 Tommy Davids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curing rebar together
JP2007120266A (ja) * 2005-10-25 2007-05-17 Kyoto Supeesaa:Kk 壁・柱用スペーサー
EP2058452B1 (en) * 2007-11-12 2013-02-27 Steven Edward Kelly Method for fastening reinforcement steel bars
JP5198186B2 (ja) * 2008-08-27 2013-05-15 株式会社富士ボルト製作所 鉄筋の結束具
US8549813B2 (en) * 2010-12-03 2013-10-08 Richard P. Martter Reinforcing assembly and reinforced structure using a reinforcing assembly
US8220219B2 (en) * 2010-12-03 2012-07-17 Martter Richard P Reinforcing assembly,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sing such assembly
JP3188340U (ja) 2013-10-30 2014-01-16 愛知スチール株式会社 鉄筋の固定金具及び固定構造
KR101418689B1 (ko) * 2013-11-28 2014-07-10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진 설계를 위한 시공성이 개선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띠철근 배근 방법
WO2015147415A1 (ko) * 2014-03-24 2015-10-01 지엘기술 주식회사 띠철근 고정용 클립 또는 띠철근 고정부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수직부재의 내부 띠철근 고정구조
KR101600007B1 (ko) 2014-03-24 2016-03-04 지엘기술주식회사 띠철근 고정용 클립 또는 띠철근 고정부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수직부재의 내부 띠철근 고정구조
TW201610271A (zh) * 2014-09-12 2016-03-16 Yu-Shu Peng 耐震型鋼筋混凝土樑柱
KR101750792B1 (ko) 2016-11-21 2017-06-27 박경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US10017942B2 (en) * 2016-12-13 2018-07-10 Christopher McCarthy Rebar wall set-up bar
KR102004420B1 (ko) * 2017-11-08 2019-07-26 포엠 주식회사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방법
KR102004419B1 (ko) * 2017-11-08 2019-07-26 포엠 주식회사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88930B2 (en) 2021-04-27
CN109424123A (zh) 2019-03-05
TWI681101B (zh) 2020-01-01
JP2020531722A (ja) 2020-11-05
KR101802959B1 (ko) 2017-11-29
CN109424123B (zh) 2020-10-16
TW201912903A (zh) 2019-04-01
US20200248454A1 (en) 2020-08-06
WO2019045292A1 (ko) 2019-03-07
JP6955290B2 (ja)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7143A (ko)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KR101627834B1 (ko) 띠철근 고정구, 원터치 체결 띠철근 및 띠철근 고정구에 의해 띠철근이 결합된 철근콘크리트 부재
KR101750701B1 (ko) 강관버팀보 및 주형보를 이용한 처짐 방지모듈
KR102296581B1 (ko) 나선형 띠철근 시공용 고정지그
KR101938887B1 (ko) 고정장치를 구비한 띠철근 배근구조
JP2017515019A (ja) 平面構成部材、せん断補強筋資材、ならびにせん断補強筋資材を材料にしたせん断補強筋を有する鉄筋コンクリート/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成部材
KR102444870B1 (ko) 고소작업용 합벽지지대 설치장치
KR102293304B1 (ko) 앵커볼트 고정구
JP2014206025A (ja) カルバート
KR20170117728A (ko) 기둥부재와 pc빔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pc구조물
KR200231283Y1 (ko)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KR101996559B1 (ko) 헌치부를 지지하는 시스템 동바리
JP6983190B2 (ja) 管状補強材および既設コンクリート柱の補強方法
KR1009967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력강화용 구조재
KR102420207B1 (ko) 시스템 동바리의 대각재 이탈방지 안전장치
KR101875561B1 (ko)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KR101277755B1 (ko) 휀스 지주 고정 설치 방법 및 휀스 지주 고정 구조물
JP2011074691A (ja) 法枠用アンカー
KR20240000902U (ko)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작업용 지그
US20200063436A1 (en) Reinforcing bar positioner and method
KR200323938Y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배열구조
KR20240033531A (ko) 거푸집 조립체
KR20240073470A (ko) 건물 고층 바닥 시공용 안전바 설치를 위한 브라켓 유닛
JP2004162379A (ja) 補助部材の固定具及び床構造部材
JP2023117768A (ja) 主筋固定金具及び主筋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