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900A -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900A
KR20080043900A KR1020060112541A KR20060112541A KR20080043900A KR 20080043900 A KR20080043900 A KR 20080043900A KR 1020060112541 A KR1020060112541 A KR 1020060112541A KR 20060112541 A KR20060112541 A KR 20060112541A KR 20080043900 A KR20080043900 A KR 20080043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hydrogen storage
fuel cell
tank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1109B1 (ko
Inventor
장진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109B1/ko
Priority to US11/647,791 priority patent/US7481411B2/en
Publication of KR2008004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후방충돌사고 발생시에 그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수소저장탱크 사이에 배치된 샤시 크로스 멤버에 수소저장탱크들이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수소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샤시 크로스 멤버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수소저장탱크를 지지하는 전방 탱크지지대와 후방에 배치된 수소저장탱크를 지지하는 후방 탱크지지대가 충격을 받으면 변형되는 완충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rear impact of fuel cell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의 수소탱크 배치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사고발생시의 변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요부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A,2B,2C-수소저장탱크 3-샤시 크로스 멤버
10,20-탱크지지대 30-완충수단
12,22-브래킷
본 발명은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방충돌 사고 발생시에 완충부재의 적절한 변형으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수소저장탱크의 손상을 예방하도록 한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 요구되는 장래기술의 하나로서, 지구 온난화, 석유자원 고갈 및 도심대기환경악화 등에 대처함은 물론 석유대체에너지의 이용이나 에너지절약의 강화, 즉 고효율화 및 저공해화를 실현 할 수 있는 차량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차량의 연비를 기존 차량에 비해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에 대한 개발이 상당한 진척을 가져오고 있는데,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예를 들어 엔진과 전동 모터의 2개의 동력원을 갖고서 목적에 따라서, 각각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해 에너지절약과 저공해를 달성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 중 그 한 예는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연료전지차량인데 이와 같은, 연료전지차량은 순수수소(통상,99%이상)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차량에 채용되는 연료전지시스템은, 고압의 수소가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수소저장탱크와, 이 수소저장탱크에 충전되어 있는 수소가스를 운반하는 수소공급관로와, 각 수소저장탱크와 수소공급관로의 사이에 설치되어 밸브의 개폐동작에 의해 가스를 단속하는 마그네틱 밸브와, 수소공급관로로부터 공급되는 수소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하는 레귤레이터와, 이 레귤레이터에서 감압된 수소를 공급받아 이를 산소와 반응시켜 전력을 발생하는 연료전지와, 이 연료전지에 의해 발생된 전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료전지시스템을 갖는 연료전지차량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연료전지차량(1)에는 복수의 수소저장탱크(2)가 설치되고, 이 수소저장탱크(2)들은 리어플로워 하단의 차체 크로스 멤버에 볼팅으로 장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수소저장탱크(2)들은 후방쪽 좌석의 하부에 위치되는 전방 수소저장탱크(2A)와, 트렁크의 하부에 위치되는 후방 수소저장탱크(2C) 및 상기 전방 및 후방 수소저장탱크(2A)(2B)의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 수소저장탱크(2B)를 포함하며, 대개 중앙 수소저장탱크(2B)와 후방 수소저장탱크(2C)가 샤시 크로스 멤버(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후방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후방 수소저장탱크(2C)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변형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샤시 크로스 멤버(3)의 모서리 뾰족한 부위가 수소저장탱크(2B)(2C)에 부딪히면서 이들 탱크가 손상되어 수소가 누출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방충돌사고 발생시에 그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수소저장탱크 사이에 배치된 샤시 크로스 멤버에 수소저장탱크들이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수소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샤시 크로스 멤버를 기준으로 전방 에 배치된 수소저장탱크를 지지하는 전방 탱크지지대와 후방에 배치된 수소저장탱크를 지지하는 후방 탱크지지대가 충격을 받으면 변형되는 완충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완충부재는 중앙 부위가 볼트로 연결되어 X자 형상을 이루는 2개의 제1,2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2완충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탱크지지대에 부착된 브래킷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는 소정 이상의 충격을 받으면 파단되는 파단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의 장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수소저장탱크(2)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가 배치되며, 샤시 크로스 멤버(3)를 사이에 두고 차량의 전방 쪽에는 전방 수소저장탱크(2A)와 중앙 수소저장탱크(2B)가 배치되고 후방 쪽에는 후방 수소저장탱크(2C)가 배치된다.
상기 전방 수소저장탱크(2A)와 중앙 수소저장탱크(2B) 및 후방 수소저장탱크(2C)는 샤시 크로스 멤버(3)의 전, 후방에서 각각 전방 및 후방 탱크지지대(10)(20)에 의해 지지되어 차체에 고정된다.
상기 전방 탱크지지대(10)는 후방 탱크지지대(20)에 인접한 부위에 용접 등으로 일체로 고정된 브래킷(12)을 구비하고, 이 브래킷(12)은 차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후방 탱크지지대(20)는 상기 전방 탱크지지대(10)에 인접한 부위에 용접 등으로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전방 탱크지지대(10)의 브래킷(12)에 대하여 차폭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브래킷(22)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이 브래킷(22)도 차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2개 이상 구비된다.
상기 전방 탱크지지대(10)의 브래킷(12)과 후방 탱크지지대(20)의 브래킷(22)은 대체로 자 형상을 이루는 완충수단(30)에 의해 연결된다.
즉,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수단(30)은 자 형상으로 파단 볼트(30c)에 의해 결합된 2개의 제1,2완충부재(30a,30b)를 구비하고, 상기 각 완충부재의 양단은 상기 브래킷(12)(22)에 볼트로 고정된다.
상기 제1,2완충부재가 상기 볼트(30c)에 의해 결합될 때에 볼트의 체결 작업이 용이해지면서 볼트 체결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2개의 상하 플랜지(30d)를 매개로 볼팅 체결된다. 상기 플랜지는 원형을 이루고 있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후방충돌에 의해 후방 수소저장탱크(2C) 및 이를 지지하고 있는 후방 탱크지지대(20)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변형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후방 탱크지지대(20)와 전방 탱크지지대(10)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1,2완충부재에도 후방충돌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 데, 상기 충격이 소정 이상이면 상기 파단 볼트(30c)가 일차적으로 파단되면서 그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 볼트가 일차적으로 파단되면 상기 2개의 완충부재는 각각 서로 분리되게 되고, 충격이 계속해서 가해지면 각 제1,2완충부재는 하방으로 굽혀지는 변형을 하면서 이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해서 저감시키게 된다.
따라서, 후방 충돌사고 발생시에 상기 완충부재의 1차 및 2차에 걸친 적절한 변형으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저감시키므로, 수소저장탱크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에 의하면, 전방 및 후방 수소저장탱크들을 지지하는 탱크지지대를 완충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하여 후방 충돌사고 발생시에 상기 완충부재가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저감시킴으로써, 수소저장탱크의 손상 방지와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샤시 크로스 멤버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수소저장탱크를 지지하는 전방 탱크지지대와 후방에 배치된 수소저장탱크를 지지하는 후방 탱크지지대가 충격을 받으면 변형되는 완충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중앙 부위가 볼트로 연결되어 X자 형상을 이루는 2개의 제1,2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2완충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탱크지지대에 부착된 브래킷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소정 이상의 충격을 받으면 파단되는 파단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KR1020060112541A 2006-11-15 2006-11-15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KR100851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541A KR100851109B1 (ko) 2006-11-15 2006-11-15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US11/647,791 US7481411B2 (en) 2006-11-15 2006-12-29 Rear impact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fuel cel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541A KR100851109B1 (ko) 2006-11-15 2006-11-15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900A true KR20080043900A (ko) 2008-05-20
KR100851109B1 KR100851109B1 (ko) 2008-08-08

Family

ID=3936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541A KR100851109B1 (ko) 2006-11-15 2006-11-15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81411B2 (ko)
KR (1) KR100851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047B1 (ko) * 2013-12-30 2015-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륜서스펜션의 모듈화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0256A1 (ja) * 2009-06-05 2010-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US20130200604A1 (en) * 2011-08-09 2013-08-08 Beamco, Inc. Tank for a utility terrain vehicle
KR101695242B1 (ko) * 2015-04-08 2017-01-11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차량의 가스탱크 마운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스탱크 조립체
KR101858973B1 (ko) * 2015-04-30 2018-05-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펙클 저감장치
JP6414095B2 (ja) * 2016-02-17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MX2018014064A (es) * 2016-05-21 2019-04-04 Worthington Ind Inc Metodos y sistemas para soporte de contenedor de combustible alternativo.
FR3054817B1 (fr) * 2016-08-02 2018-08-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lement de renfort modulable pour caisse de vehicule automobile pour la protection en cas de choc arriere ou de choc lateral
DE102017201299A1 (de) 2017-01-27 2018-08-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rennstoffzellenfahrzeug
DE102017202120A1 (de) * 2017-02-10 2018-08-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utzgehäuse für einen Treibstoffbehälter sowie Inspektionsverfahren
JP6589909B2 (ja) * 2017-03-01 2019-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FR3099094B1 (fr) * 2019-07-26 2023-04-28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Système de stockage d’hydrogène
KR20210041711A (ko) * 2019-10-08 2021-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스연료 저장장치
JP7481221B2 (ja) * 2020-09-30 2024-05-10 株式会社Subaru 燃料電池車両
CN116080389B (zh) * 2023-04-07 2023-06-16 氢动力(北京)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氢能车辆管理用的状态监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4622A (en) * 1959-01-29 1962-09-18 Ernest L Davis Handcart for game
JP3391432B2 (ja) 1997-04-07 2003-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燃料タンク取付構造
MY125923A (en) * 1998-10-27 2006-08-30 Univ Johns Hopkins Compressed gas fuel storage system
JP2000219049A (ja) 1999-01-28 2000-08-08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CA2352979C (en) * 2000-09-18 2007-09-11 Charles W. Darling, Iii Portable cart for wagon/stretcher
DE10102636A1 (de) * 2001-01-20 2002-08-29 Daimler Chrysler Ag Fahrzeug mit Brennstofftank
KR100461361B1 (ko) * 2001-08-21 2004-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JP2003118402A (ja) 2001-10-10 2003-04-23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燃料ボンベ搭載構造
JP2004114740A (ja) 2002-09-24 2004-04-15 Fuji Heavy Ind Ltd ガス燃料車両のガス燃料容器搭載構造
JP2004168207A (ja) 2002-11-20 2004-06-17 Honda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取付構造
JP4179128B2 (ja) 2003-10-07 2008-1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支持構造
US7270209B2 (en) * 2004-08-10 2007-09-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fuel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047B1 (ko) * 2013-12-30 2015-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륜서스펜션의 모듈화 구조
US9290091B2 (en) 2013-12-30 2016-03-22 Hyundai Motor Company Modularized structure of fuel device and rear susp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109B1 (ko) 2008-08-08
US7481411B2 (en) 2009-01-27
US20080111048A1 (en)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109B1 (ko)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ES2933823T3 (es) Compartimento de batería de seguridad para vehículos eléctricos con batería
JP5257718B2 (ja) 車両
JP4549826B2 (ja) 燃料電池自動車
KR101842927B1 (ko) 자동차 및 관련된 에너지 저장소 지지체
JPWO2018207688A1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US6692028B2 (en) Vehicle with fuel tank
JP2008037135A (ja) 車体後部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2004098799A (ja) サブフレームの取り付け構造
CN102548788A (zh) 车辆充电口结构
CN111546868B (zh) 一种提高新能源电动汽车侧面碰撞安全性能的车辆结构
US11577787B2 (en) Rear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CN113276653B (zh) 混合动力车电池布置结构及其安装支架
JP5320102B2 (ja) 燃料電池車の車体構造
JP2023085187A (ja) 車両用水素タンク支持システム
JP4507856B2 (ja) 車両の車体構造
KR101786263B1 (ko) 배터리 장착 위치를 개선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US11664520B2 (en) Fuel cell assembly and vehicle including fuel cell assembly
JP5099526B2 (ja) バッテリーの取付構造
KR100680722B1 (ko)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KR20110059354A (ko) 자동차
JP2009255663A (ja)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JP4293144B2 (ja) 車体構造
KR102587989B1 (ko) 차량용 수소탱크 장착 구조
CN220826587U (zh) 一种后部防护结构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