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617A -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617A
KR20080039617A KR1020060107142A KR20060107142A KR20080039617A KR 20080039617 A KR20080039617 A KR 20080039617A KR 1020060107142 A KR1020060107142 A KR 1020060107142A KR 20060107142 A KR20060107142 A KR 20060107142A KR 20080039617 A KR20080039617 A KR 20080039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guide
sterling
shaf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668B1 (ko
Inventor
이남기
김성재
서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668B1/ko
Priority to PCT/KR2007/005502 priority patent/WO2008054161A2/en
Publication of KR2008003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8Sticking or clogging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량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기기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취출장치는, 얼음의 투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얼음을 상기 토출구 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얼음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스터링가이드; 및 상기 스터링가이드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터링가이드로부터 안내되는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여 실질적으로 정량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는 정량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ICE DISCHARGING THEREIN}
도 1은 종래의 얼음취출장치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얼음취출장치의 정면도로서 조각얼음을 토출하는 경우와 각얼음을 토출하는 경우에 대해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음취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얼음취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얼음취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취출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주요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도어
200 : 제빙기 300 : 얼음취출장치
310 : 케이스 320 : 스터링가이드
321 : 제1축 322 : 제2축
323 : 벨트 324 : 스터러
331 : 승하강장치 331a: 수납부
331b: 컨베이어 331c: 제1회전축
331d: 제2회전축 332 : 회전부재
332a: 회전축부 332b: 회전날개부
350 : 구동장치 360 : 얼음가공수단
본 발명은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새로운 얼음의 이송방식을 채용하여 정량적으로 얼음이 공급되도록 하는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내부에 마련되는 냉장실과 냉동실에 압축기와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장치에 의한 저온 분위기 또는 냉기 공급에 의해 음식물 등을 저온 상태로 장기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음식물 등을 저온으로 보존하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냉동실에 공급되는 물의 빙점 보다 훨씬 낮은 온도의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하고 그 얼음을 각얼음 그대로 취출되도록 하거나 잘게 부수어 조각얼음으로 취출되도록 하는 기능까지 가지고 있다.
이러한 얼음취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냉장고 내부, 특히 냉동실의 냉기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제빙기와 얼음취출장치인데, 제빙기는 냉동실의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이고 얼음취출장치는 상기 제빙기가 제조한 얼음을 각얼 음 또는 조각얼음의 선택적 취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얼음취출장치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얼음취출장치는 제빙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이 수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수납된 얼음을 각얼음으로 토출하거나 조각얼음으로 부수어 토출하는 얼음분쇄장치(30), 상기 얼음분쇄장치(30)를 구동하는 모터(21)와 구동축(22), 그리고 상기 구동축(22) 상에 형성되어 케이스(10) 내부의 얼음을 상기 얼음분쇄장치(30)로 이송하는 이송부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재(23)는 상기 구동축(22)의 둘레에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갖는 날개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은 제빙기(미도시)로부터 얼음이 투입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는 투입구(11)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에는 얼음이 케이스(10) 외부로 취출되도록 토출구(12)가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얼음취출장치는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얼음을 상기 구동축(22)이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부재(23)가 함께 회전하며 얼음을 토출구(12) 쪽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얼음이 그대로 토출되도록 하거나(이 경우 각얼음이 된다), 얼음분쇄장치(30)에서 얼음이 분쇄되도록 하여 토출된다(이 경우 조각얼음이 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얼음취출장치의 정면도로서 조각얼음을 토출하는 경우와 각얼음을 토출하는 경우에 대해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얼음취출장치에서 조각얼음을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 케이스(10) 내부의 얼음이 이송부재(23, 도 1 참조)를 통해 토출구(12) 쪽으로 이송되고, 이때 토출구(12)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폐하는 셔터(33)가 셔터구동장치(34)에 의해 구동되어 토출구(12)의 일부를 닫는다.
이송된 얼음은 토출구(12)로 토출되지 못하고 얼음분쇄장치(30)의 회전칼날(3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얼음을 고정칼날(31) 쪽으로 옮겨서 상기 고정칼날(31)과 회전칼날(3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얼음을 분쇄한다. 분쇄된 얼음은 토출구(12)를 통해 조각얼음으로 토출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얼음취출장치에서 각얼음을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 케이스(10) 내부의 얼음이 토출구(12) 쪽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셔터구동장치(34)는 셔터(33)를 구동하여 토출구(12)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칼날(3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칼날(32)의 칼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얼음을 밀어서 얼음의 토출을 촉진하고, 이 경우 각얼음이 토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얼음취출장치는 이송부재를 통해 얼음을 밀어내는 방식이고 셔터를 개폐함으로써 얼음을 토출하는 방식이므로 취출되는 얼음의 양이 일정하지 않아 얼음 취출 시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얼음취출장치는 얼음을 이송부재에 의해 밀어내는 과정에서 밀어내는 얼음의 양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한꺼번에 많은 얼음을 밀어내는 경우 토출구 쪽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얼음의 취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얼음분쇄장치의 작동 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얼음취출장치의 구동장치에 과다한 부 하가 걸려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량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기기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취출장치는, 얼음의 투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얼음을 상기 토출구 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얼음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스터링가이드; 및 상기 스터링가이드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터링가이드로부터 안내되는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여 실질적으로 정량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는 정량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상기 스터링가이드로부터 안내되는 얼음을 수납하여 소정 거리 승강시킨 후 하강시키면서 상기 토출구로 얼음을 공급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정량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는 승하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스터링가이드로부터 안내되는 얼음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가 승강 및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얼음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소정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소정 크기의 얼음 파지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터링가이드는,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1축과, 하부측에 구비되는 제2축과, 상기 제1축 및 제2축과 연결되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 상에 마련되어 얼음이 섞이도록 하는 스터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정량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을 그대로 토출하거나 가공하여 토출하는 얼음가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스터링가이드, 상기 정량공급수단 및 상기 얼음가공수단이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축 및 상기 얼음가공수단과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며 상기 스터링가이드를 구동하는 제1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며 상기 정량공급수단을 구동하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축 및 상기 얼음가공수단과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 및 제2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며 상기 스터링가이드를 구동하는 제1종동기어와, 상기 제2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며 상기 정량공급수단을 구동하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냉동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도어 내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상기 제빙기로부터 투입되는 얼음을 수납하며 얼음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얼음을 상기 토출구 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얼음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스터링가이드와, 상기 스터링가이드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터링가이드로부터 안내되는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여 실질적으로 정량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는 정량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얼음취출장치; 및 상기 얼음취출장치로부터 취출되는 얼음이 상기 도어 외부로 투출되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음취출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얼음취출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얼음취출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취출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취출장치는 냉장고에 대해 적용되는 것은 물론, 자동판매기나 정수기 등과 같은 얼음의 취출을 전제로 하는 모든 기기에 적용 가능하며, 여기서는 특히 냉장고에 적용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마련되는 냉동실(101)과, 상기 냉동실(101)을 개폐하는 도어(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얼음의 취출을 위한 제빙기(200)와, 얼음취출장치(300), 그리고 디스펜서(201)는 냉장고의 도어(110) 내면 측에 설치되는데, 냉동실(101)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빙기(200)와, 얼음취출장치(300), 그리고 디스펜서(201)가 도어(110)에 설치되든 냉동실(101)에 설치되든 사용자가 도어(110)을 닫은 상태에서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디스펜서(201)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상기 냉장고에 적용되는 얼음취출장치(300)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음취출장치는 케이스(310)와, 케이스(310) 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터링가이드(320)와, 케이스(310) 내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정량공급수단으로서 승하강장치(331)와, 케이스(310)의 토출구(312) 측에 설치되는 얼음가공수단(360)과, 상기 스터링가이드(320)와 상기 승하강장치(331)와 상기 얼음가공수단(360)을 구동하는 구동장치(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310)의 상단은 개구되어 투입구(311)를 형성하여 제빙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얼음이 케이스(31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310)의 하단의 일측에는 개구되어 형성되는 토출구(312)가 마련되며, 그 내부는 소정 양의 얼음이 수납되도록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스터링가이드(320)는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 일측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1축(321)과, 그 하부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축(322)과, 상기 제1축(321) 및 제2축(322)을 연결하여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323)와, 상기 벨트(323) 상에 마련되어 얼음이 섞이도록 하는 스터러(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터러(324)는 상기 벨트(323) 상에 마련되는 돌기로서 얼음과의 마찰력을 일으켜 얼음이 벨트(323)를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서로 섞일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스터링가이드(320)는 하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으므로 상기 스터링가이드(320) 위에서 얼음은 상향으로 마찰력을 받는 동시에 하향으로 중력을 받게 되고, 중력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하는 얼음이 상기 스터링가이드(320)를 벗어나서 승하강장치(331) 쪽으로 이송된다.
상기 케이스(310) 내에서 스터링가이드(320)와 승하강장치(331) 사이에는 얼음이 승하강장치(331) 쪽으로 한꺼번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획판(340)이 구비되며, 상기 구획판(3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터링가이드(320)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얼음이 승하강장치(331)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341)가 마련된다.
상기 승하강장치(331)는 상기 스터링가이드(320)로부터 이송되어 온 얼음을 수납하여 이를 얼음가공수단(360) 쪽으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얼음을 수납하는 수납부(331a)와, 상기 수납부(331a)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컨베이어(331b),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331b)를 구동시키는 상부의 제1회전축(331c), 그리고 하부의 제2회 전축(331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회전축(331c)과 제2회전축(331d)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331b)가 상기 제1회전축(331c)과 제2회전축(331d)을 기점으로 회전하면서 수납부(331a)가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부(331a)에 수납된 얼음이 컨베이어(331b)를 따라 승강하다가 다시 하강하면서 얼음가공수단(360)으로 얼음을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되는 얼음의 개수는 하나의 수납부(331a)에 대해 하나 또는 두 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승하강장치(331)의 속도나 수납부의 크기 등에 따라 이송되는 얼음의 개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스터링가이드(320)와 승하강장치(331), 그리고 얼음가공수단(360)은 하나의 모터(351)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러한 구동장치(350)에 관한 사항은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얼음취출장치(300)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얼음취출장치(300)는 케이스(310)와, 케이스(310) 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터링가이드(320)와, 케이스(310) 내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정량공급수단으로서 회전부재(332)와, 케이스(310)의 토출구(312) 측에 설치되는 얼음가공수단(360)과, 상기 스터링가이드(320)와 상기 회전부재(332)와 상기 얼음가공수단(360)을 구동하는 구동장치(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310)의 상단은 개구되어 투입구(311)를 형성하여 제빙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얼음이 케이스(31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310)의 하단의 일측에는 개구되어 형성되는 토출구(312)가 마련되며, 그 내부는 소정 양의 얼음이 수납되도록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스터링가이드(320)는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 일측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1축(321)과, 그 하부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축(322)과, 상기 제1축(321) 및 제2축(322)을 연결하여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323)와, 상기 벨트(323) 상에 마련되어 얼음이 섞이도록 하는 스터러(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터러(324)는 상기 벨트(323) 상에 마련되는 돌기로서 얼음과의 마찰력을 일으켜 얼음이 벨트(323)를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서로 섞일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스터링가이드(320)는 하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으므로 상기 스터링가이드(320) 위에서 얼음은 상향으로 마찰력을 받는 동시에 하향으로 중력을 받게 되고, 중력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하는 얼음이 상기 스터링가이드(320)를 벗어나서 회전부재(332) 쪽으로 이송된다.
상기 회전부재(332)의 상부에 상기 회전부재(332)와 인접한 부위에는 얼음이 상기 회전부재(332) 쪽으로 곧바로 쏟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획판(340)이 구비되며, 상기 구획판(340)의 단부는 개구부(341)가 마련되어 상기 스터링가이드(320)로부터 이송되는 얼음이 회전부재(332)로 이송되는 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부재(332)는 구동장치(35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부(332a)와 상기 회전축부(332a)로부터 방사상으로 결합 또는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회전날개부(33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날개부(332b)는 얼음이 파지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공간인 얼음파지공간(S)이 마련되도록 상기 회전날개부(332b)가 만곡되어 형성된다. 도 5에서는 회전날개부(332b)가 만곡되어 얼음파지공간(S)을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회전날개부(332b)는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각각의 회전날개부(332b) 사이의 공간에 얼음파지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부재(332)의 얼음파지공간(S)에 상기 스터링가이드(320)로부터 이송되어 온 얼음이 파지되어 회동하여 얼음가공수단(360)으로 이송되면 얼음이 그대로 토출되거나 가공되어 토출된다.
한편,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구동장치(35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350)는 모터(351)와, 상기 모터(35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351a)을 구비하고, 상기 얼음가공수단(360)은 상기 구동축(351a) 상에 설치되어 모터(351)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
상기 구동축(351a) 상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되는데, 제1구동기어(352a)와 제2구동기어(352b)가 구비되고 상기 제1구동기어(352a)와 맞물려 회전하며 스터링가이드(320)를 구동하는 제1종동기어(353a)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기어(352b)와 맞물려 회전하며 회전부재(332)를 구동하는 제2종동기어(353b)를 포함한다(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제2종동기어(353b)는 승하강장치(331)를 구동한다). 여기서 제1종동기어(353a) 및 제2종동기어(353b)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복수개씩 구비될 수도 있으나 구동기어와의 위치나 구동기어의 크기, 종동기어의 크기 등에 의해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구동기어를 제1구동기어(352a) 및 제2구동기어(352b)로 각각 구비되도록 하여 구동하고 있지만 하나의 구동기어를 사용하여 제1종동기어(353a) 및 제2종동기어(353b)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얼음취출장치(3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의 케이스(310), 스터링가이드(320), 정량공급수단(331, 332), 얼음가공수단(360) 등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정량공급수단(331, 332)과 스터링가이드(320)의 축 방향이 구동장치(350)의 구동축(351a) 방향과 교차되도록 구성됨이 특징이었으나, 본 제3실시예에서는 구동축과 상기 정량공급수단(331, 332)과 스터링가이드(320)의 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됨이 특징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미도시)와 구동축(미도시)에 의한 회전에 의해 구동기어(352)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352)와 맞물려 종동기어(353)가 회전하며, 상기 종동기어(353)와 맞물려서 제1종동기어(353a), 그리고 제2종동기어(353b)가 회전하면서 정량공급수단(도 6에서는 회전부재(332)를 도시하였으나 승하강장치(331)가 구비된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과 스터링가이드(320)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352)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353)를 삭제하고 제1종동기어(353a)와 제2종동기어(353b)가 곧바로 맞물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 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장치에서 하나의 모터만을 사용하였으나, 얼음가공수단을 구동하는 별도의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얼음취출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빙기(200)로부터 투입되는 얼음들이 스터링가이드(320) 위로 제공되면 구동장치(350)가 구동하여 스터링가이드(320)가 상향으로 회전한다. 스터링가이드(320) 위의 얼음이 스터러(324)에 의한 마찰력과 중력을 받아 대략 일정한 개수의 얼음이 개구부(341)를 지나 정량공급수단(331, 332)으로 이송된다. 도 4에 도시된 정량공급수단인 승하강장치(331)는 일정한 개수의 얼음을 수납하여 승강하다가 다시 하강하면서 얼음을 토출시킨다. 도 5에 도시된 정량공급수단인 회전부재(332)는 일정한 개수의 얼음을 파지하여 회동하다가 얼음을 토출시킨다. 토출되는 얼음은 얼음가공수단(360)에 의해 그대로 토출되거나 가공되어 토출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양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얼음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기기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얼음의 투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얼음을 상기 토출구 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얼음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스터링가이드; 및
    상기 스터링가이드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터링가이드로부터 안내되는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여 실질적으로 정량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는 정량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취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상기 스터링가이드로부터 안내되는 얼음을 수납하여 소정 거리 승강시킨 후 하강시키면서 상기 토출구로 얼음을 공급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정량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는 승하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취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스터링가이드로부터 안내되는 얼음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가 승강 및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얼음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취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소정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소정 크기의 얼음 파지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취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링가이드는,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1축과, 하부측에 구비되는 제2축과, 상기 제1축 및 제2축과 연결되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 상에 마련되어 얼음이 섞이도록 하는 스터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취출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정량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을 그대로 토출하거나 가공하여 토출하는 얼음가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취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스터링가이드, 상기 정량공급수단 및 상기 얼음가공수단이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취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축 및 상기 얼음가공수단과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며 상기 스터링가이드를 구동하는 제1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며 상기 정량공급수단을 구동하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취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축 및 상기 얼음가공수단과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 및 제2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며 상기 스터링가이드를 구동하는 제1종동기어와, 상기 제2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며 상기 정량공급수단을 구동하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취출장치.
  10. 내부에 냉동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도어 내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상기 제빙기로부터 투입되는 얼음을 수납하며 얼음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얼음을 상기 토출구 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얼음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스터링가이드와, 상기 스터링가이드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터링가이드로부터 안내되는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여 실질적으로 정량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는 정량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얼음취출장치; 및
    상기 얼음취출장치로부터 취출되는 얼음이 상기 도어 외부로 투출되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60107142A 2006-11-01 2006-11-01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852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142A KR100852668B1 (ko) 2006-11-01 2006-11-01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PCT/KR2007/005502 WO2008054161A2 (en) 2006-11-01 2007-11-01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ice discharging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142A KR100852668B1 (ko) 2006-11-01 2006-11-01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617A true KR20080039617A (ko) 2008-05-07
KR100852668B1 KR100852668B1 (ko) 2008-08-19

Family

ID=3934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142A KR100852668B1 (ko) 2006-11-01 2006-11-01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52668B1 (ko)
WO (1) WO200805416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367A (ko) * 2009-12-22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857118B2 (en) 2009-12-22 2018-0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2913A1 (zh) * 2011-05-27 2012-12-06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碎冰装置及具有该碎冰装置的冰箱
KR101281590B1 (ko) * 2011-08-12 2013-07-03 정휘동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KR101392927B1 (ko) * 2011-10-17 2014-05-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얼음엉김 해제기능을 갖는 아이스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932076B1 (ko) * 2012-06-12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6442842B2 (ja) 2014-03-14 2019-01-09 富士電機株式会社 アイス供給装置
EP3401621B1 (en) * 2015-12-31 2023-06-21 Hisense Ronshen (Guangdong) Refrigerator Co., Ltd. Ice crushing device and refrigerator
CN105423672B (zh) * 2015-12-31 2019-08-02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碎冰装置及冰箱
CN105444484B (zh) * 2015-12-31 2018-10-26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碎冰装置及冰箱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862A (en) * 1923-02-20 1923-08-09 George Porteu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chines for mixing granular or pulverulent substances
US3387750A (en) * 1966-11-17 1968-06-11 Leslie C Stencil Automatic ice dispenser
US3463362A (en) * 1967-12-05 1969-08-26 Howard A Garber Ice dispensing machine
JPS5022753U (ko) 1973-06-26 1975-03-14
US4060111A (en) * 1975-12-15 1977-11-29 Perino B. Wingfield Vending and dispensing bin
SU1548132A1 (ru) * 1988-01-04 1990-03-07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о Технологии Механосбороч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И Специального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Вптитяжмаш" Элеваторное 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DE4013825A1 (de) * 1990-04-30 1991-10-31 Gaggenau Werke Ausgabe- und zerkleinerungsvorrichtung fuer kleineisstuecke
JP4068017B2 (ja) * 2003-07-22 2008-03-26 サンデン株式会社 氷削機
US7266951B2 (en) * 2004-10-26 2007-09-11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367A (ko) * 2009-12-22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857118B2 (en) 2009-12-22 2018-0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668B1 (ko) 2008-08-19
WO2008054161A2 (en) 2008-05-08
WO2008054161A3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668B1 (ko)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820816B1 (ko)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8387408B2 (en) Ice dispen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KR100793786B1 (ko)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EP2584293B1 (en) Ice bucket for unlaying ice curdling
KR100565617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080052503A (ko) 냉장고
KR20080062986A (ko) 얼음배출장치
KR101555755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분쇄 방법
KR20080104645A (ko) 얼음 취출 장치
KR20070076751A (ko) 냉장고
US20110167860A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KR20080020126A (ko) 냉장고
EP2333462B1 (en) Three forms of ice from a single well
KR100793787B1 (ko) 얼음 저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100546671B1 (ko) 상향식 얼음 취출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777293B1 (ko) 얼음 저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20080000128A (ko) 냉장고
KR20060128071A (ko) 냉장고
KR100781269B1 (ko) 얼음배출장치
CN210486199U (zh) 定量出冰装置、制冰机和冷饮机
KR20050034337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110032635A (ko) 제빙기 및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KR100774001B1 (ko) 냉장고
KR20080019892A (ko) 얼음이송장치와 이를 가지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