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679A - 공기 조절 장치 및 필터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조절 장치 및 필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679A
KR20080037679A KR1020087004119A KR20087004119A KR20080037679A KR 20080037679 A KR20080037679 A KR 20080037679A KR 1020087004119 A KR1020087004119 A KR 1020087004119A KR 20087004119 A KR20087004119 A KR 20087004119A KR 20080037679 A KR20080037679 A KR 20080037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talyst
organic matter
air
deodo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617B1 (ko
Inventor
나오유끼 시게모또
쥰 가따야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3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72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53/48 - B01D53/70, e.g.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4Removing carbon monoxide or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2Carbon mon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시로코 팬(130)과 필터 유닛(251)을 구비하고 있다. 필터 유닛(251)은 탈취 필터(252)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필터(253)와, 제균/집진 필터(254)를 구비하고 있다. 탈취 필터(252)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를 포함하고 있다.
공기 조절 장치, 시로코 팬, 필터 유닛, 탈취 필터, 제균/집진 필터

Description

공기 조절 장치 {AIR-CONDITIONING EQUIPMENT}
공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를 포함하는 필터, 또는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하나의 필터를 구비한 공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공기의 온도, 습도, 혹은 오염도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공기 조절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들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는, 실내의 공기를 장치 내부에 취입하고, 취입된 공기의 물성을 변화시켜 원하는 상태의 공기로 한 후, 장치 외부로 취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최근의 주환경의 변화에 수반하여, 실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개선하는 공기 청정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절 장치가 주목되고 있다.
종래부터, 집진 기능이나 탈취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는 널리 보급되어 있지만, 이들 기능 외에 인체에 유해한 부유 세균을 제균 또는 살균하는 기능을 더불어 구비한 공기 청정기가 최근 보급되어 있다. 여기서, 「제균」이라 함은, 섬유 형상의 필터에 부착된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살균」이라 함은, 미생물을 사멸시켜 절대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는, 집진 기능, 탈취 기능 및 제균 기능은 통풍로 내에 설치된 각종 필터에 의해 발휘된다. 공기 청정기는 일반적으로, 각종 필터로서, 집진 기능을 갖는 집진 필터와 탈취 기능을 갖는 탈취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집진 필터는 공기 중의 분진을 포집한다. 탈취 필터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을 포집ㆍ분해한다. 제균 필터는 인체에 유해한 부유 세균을 제균 또는 살균한다.
탈취 필터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114333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분말 활성탄 탈취부와 입상 활성탄 탈취부를 구비하는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39229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목탄과 제올라이트를 구비하는 습기 조절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58729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활성탄층과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탈취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최근, 실내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고, 공기 청정기에 대해, 상기한 집진 기능, 탈취 기능 및 제균 기능 등 이외에도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분해ㆍ제거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인체에 대해 유해한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톨루엔이나 포름알데히드 등의 VOC 가스(Volatile Organic Compound, 휘발성 유기 화합물)나, 담배의 연기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 등이 있다.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분해ㆍ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필터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235129호 공보(특허문헌 4)에는 알데히드류 제거용 약제와 질소계 물질 제거용 약제와 유황계 물질 제거용 약제를 구비하는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11433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39229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58729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235129호 공보
그러나, 일산화탄소를 분해ㆍ제거하기 위해서는,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고온으로 하여 일산화탄소를 분해ㆍ제거할 수 있는 촉매층에 통과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일산화탄소를 분해ㆍ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촉매층을 포함하는 공기의 유로는 내고온성이고, 상기 고온으로 하는 기기 및 촉매층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만, 가정용 공기 청정기 등의 소형 기기에 상기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어렵다. 그로 인해,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4는 일산화탄소를 분해ㆍ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4에 개시한 필터는 알데히드류 제거용 약제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공간상의 문제로부터, 질소계 물질 제거용 약제 등과 혼재시켜 담지시킨 담체를 이용하고 있고, 알데히드류 제거만을 위한 필터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다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 제거만을 위한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있어서의 공기 조절 장치는 송풍 팬과 필터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필터 유닛은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를 포함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있어서의 공기 조절 장치에 따르면,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에 의해,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반응시키는 것을 촉진한다. 그로 인해,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온에서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촉매를 필터 유닛에 구비함으로써, 공기를 고온으로 하는 기기를 배치하는 공간을 불필요로 하므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라 함은,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다른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필터 유닛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 및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유닛이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를 포함함으로써,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필 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로서, 특히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름알데히드는 시크하우스(sick-house)의 큰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유기물 제거 필터」라 함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다른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유기물 제거 필터가 촉매를 포함하는 필터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된다.
필터 유닛에 있어서, 촉매를 포함하는 필터는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 중으로부터 큰 집진을 포집하는 프리 필터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그로 인해, 유기물 제거 필터는 유기물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필터 유닛은 냄새 성분을 제거하는 탈취제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공기 중의 냄새 성분도 더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촉매와 탈취제를 하나의 필터에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일산화탄소 및 냄새 성분을 하나의 필터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필터 유닛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필터가, 상대적으로 상방 및 하방 중 어느 한쪽에 촉매를 갖고, 잔부에 탈취제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필터 유닛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필터가 탈취제에 촉매를 혼재시킨 상태로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필터 유닛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필터가, 탈취제를 수납하는 복수의 연결된 탈취제 수납실과, 촉매를 수납하는 복수의 연결된 촉매 수납실을 갖고, 탈취제 수납실과 촉매 수납실을 교대로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필터 유닛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필터 유닛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 및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유닛이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를 포함함으로써,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 제거 필터의 기능만이 저하된 경우에는, 다른 부재를 교환하지 않고 유기물 제거 필터만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유기물 제거 필터가 하나의 필터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된다.
필터 유닛에 있어서, 촉매를 포함하는 필터는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 중으로부터 큰 집진을 포집하는 프리 필터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그로 인해, 유기물 제거 필터는 유기물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필터 유닛은 촉매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촉매 필터와 탈취제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탈취 필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탈취 필터」라 함은, 냄새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면, 다른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촉매 및 탈취제를 많이 포함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 및 냄새 성분을 보다 많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이 저하된 촉매 필터 및 탈취 필터 중 어느 한쪽만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촉매 필터는 촉매를 수납하는 복수의 연결된 촉매 수납실을 갖고, 탈취 필터는 탈취제를 수납하는 복수의 연결된 탈취제 수납실을 갖고, 촉매 수납실의 대략 중심부에 탈취제 수납실의 연결부가 포개어지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촉매 수납실과 탈취제 수납실의 공간 부분끼리가 포개어지는 경우는 없다. 그로 인해, 필터 유닛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촉매 필터가 탈취 필터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된다.
탈취 필터는 촉매 필터보다도 큰 집진을 포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촉매 필터를 바람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일산화탄소 및 냄새 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필터 유닛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 및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유닛이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를 포함함으로써,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유기물 제거 필터가 촉매 필터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된다.
필터 유닛에 있어서, 촉매 필터 및 탈취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 중으로부터 큰 집진을 포집하는 프리 필터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그로 인해, 유기물 제거 필터는 유기물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공기 조절 장치는 송풍 팬과 필터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필터 유닛은 냄새 성분을 제거하는 하나의 탈취 필터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공기 조절 장치에 따르면, 공기 중의 냄새 성분 및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유닛이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를 포함함으로써,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 제거 필터의 기능만이 저하된 경우에는 다른 부재를 교환하지 않고 유기물 제거 필터만을 교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공기 조절 장치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필터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우수하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유기물 제거 필터가 촉매 필터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된다.
필터 유닛에 있어서, 탈취 필터는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 중으로부터 큰 집진을 포집하는 프리 필터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그로 인해, 유기물 제거 필터는 유기물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조절 장치에 따르면,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에 의해,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반응시키는 것을 촉진하므로,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탈취 필터와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냄새 성분 및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를 전방면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를 배면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상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전방면 패널, 필터 압박 프레임 및 필터 유닛의 조립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필터 압박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6은 필터 압박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7은 필터 압박 프레임의 상면도이다.
도8은 필터 압박 프레임에서 필터 유닛을 본체 케이싱에 설치한 상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전방면 패널, 필터 압박 프레임 및 필터 유닛을 케이싱으로부터 제거한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도1에 도시하는 X-X선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도1에 도시하는 XI-XI선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본체 케이싱의 배면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배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15는 탈취 필터의 정면도이다.
도16은 탈취 필터의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17은 탈취 필터의 상면도이다.
도18은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19는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20은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21은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22는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23은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공기 청정기, 110 : 본체 케이싱, 112 : 다리부, 114 : 손잡이부, 116 : 상면 패널부, 118 : 오목부, 120 : 구획벽, 121 : 연통 구멍, 122 : 금속 가드, 123 : 유로 형성 부재, 124 : 흡입구, 126A, 126B : 취출구, 126a, 126b : 루버, 130 : 시로코 팬, 132 : 모터, 134 : 이온 발생 장치, 136 : 먼지 센서, 138 : 냄새 센서, 140 : 전방면 패널, 141 : 측부, 150 : 필터 압박 프레임, 150a : 프레임체, 150b : 절입부, 150c : 걸기부, 150d : 삽입부, 151, 251, 351 : 필터 유닛, 152, 252, 256, 352 : 탈취 필터, 152A : 필터 설치띠, 153, 253, 353 : 유기물 제거 필터, 154, 254, 354 : 제균/집진 필터, 160 : 전원 버튼, 161 : 이온 발생 장치의 절환 버튼, 162 : 운전 모드 절환 버튼, 163 : 쇼트컷 버튼, 171 : 이온 발생 장치의 동작 상태 표시 램프, 172 : 운전 모드 표시 램프, 173 : 쇼트컷 동작 유무 표시 램프, 174 : 오염 상태 표시부, 174a : 발광 다이오드, 175 : 이온 발생 장치의 동작 상태 표시부, 175a : 발광 다이오드, 190 : 전원 코드, 252a : 촉매, 252b : 탈취제, 252c : 주머니체, 252d : 스페이서, 252e : 별도의 프레임재, 255 : 촉매 필터, S1 : 전방 공간, S2 : 후방 공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기 조절 장치로서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거치형의 공기 청정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도1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외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를 전방면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2는 배면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상면도이다. 도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전방면 패널, 필터 압박 프레임 및 필터 유닛의 조립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필터 압박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6은 필터 압박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7은 필터 압박 프레임의 상면도이다. 도8은 필터 압박 프레임에서 필터 유닛을 본체 케이싱에 설치한 상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9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전방면 패널, 필터 압박 프레임 및 필터 유닛을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제거한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100)는 본체 케이싱(110)과, 전방면 패널(140)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싱(110)은 세로로 긴 전방면 개구의 상자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공기 청정기(100)의 주요 부품이 수납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110)의 하부에는 다리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다리부(112)는 공기 청정기(100)를 직립 상태에서 바닥면 등에 적재하기 위한 부위이다. 또한, 본체 케이싱(110)의 상면에는 상면 패널부(1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상면 패널부(116)에는 각종 조작 버튼이나 표시 램프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싱(110)은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부재 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본체 케이싱(110)의 배면에는 손잡이부(1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114)는 공기 청정기(100)를 들어올려 반송할 때 등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설치된 것이다. 또한, 본체 케이싱(110)의 배면으로부터는 전원 코드(190)가 인출되어 있다.
전방면 패널(140)은 그 주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세워 설치하여 설치된 측부(141)를 갖고 있고, 본체 케이싱(110)의 전방면 및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본체 케이싱(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방면 패널(140)은 장치의 동작 시에 있어서, 후술하는 시로코 팬이나 모터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장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음 부재로서 설치되는 것이고, 동시에 장치의 외관상의 미관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10)의 측면과 전방면 패널(140)의 측부(141)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은 흡입구(124)를 구성한다. 흡입구(124)는 장치 외부의 공기를 장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개구부이다. 또한, 본체 케이싱(110)의 측면의 상기 흡입구(124)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먼지 센서(13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10)의 상부에는 취출구(126A, 12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취출구(126A, 126B)는 장치 내부에 있어서 청정화된 공기를 장치 외부로 도출하기 위한 개구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10)의 상면 패널부(116)에는 각종 조작 버튼이나 표시 램프 등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 기(100)에 있어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100)의 온/오프 동작을 절환하는 전원 버튼(160)이나, 후술하는 이온 발생 장치의 운전 상태를 절환하는 이온 발생 장치의 절환 버튼(161), 공기 청정기(100)의 운전 모드를 절환하는 운전 모드 절환 버튼(162),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원터치의 조작으로 특정한 운전 동작으로 이행하는 쇼트컷 버튼(163)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면 패널부(116)에는 이들 버튼에 인접하고, 이온 발생 장치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이온 발생 장치의 동작 상태 표시 램프(171)나, 공기 청정기(100)의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운전 모드 표시 램프(172), 쇼트컷 버튼의 운전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쇼트컷 동작 유무 표시 램프(173)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100)에 있어서는, 공기 청정기(100)의 전방으로부터의 시인이 용이해지도록 공기 청정기(100)의 상면으로 돌출 설치된 취출구(126B)와 일체화되어 오염 상태 표시부(174) 및 이온 발생 장치의 동작 상태 표시부(175)가 설치되어 있다. 오염 상태 표시부(174)는 그 하방에 배치된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174a)의 색채나 휘도 등이 변조됨으로써,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부이다. 또한, 이 오염 상태 표시부(174)는 상술한 먼지 센서(136) 및 후술의 냄새 센서(138)(도9 참조)에 의해 검출된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서 그 표시가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온 발생 장치의 동작 상태 표시부(175)는 그 하방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175a)의 색채나 휘도 등이 변조됨으로써,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이온 발생 장치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이다. 또한, 이 이온 발생 장치의 동작 상태 표시부(175)는 상 술한 이온 발생 장치의 동작 상태 표시 램프(171)와 동일한 기능을 완수하는 표시 수단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10)의 전방면측에 형성된 오목부(118)에는 필터 유닛(151)이 수용 배치된다. 필터 유닛(151)의 구성으로서는, 다양한 구성이 고려되지만,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100)에 있어서는, 전방면측으로부터 차례로, 탈취 필터(152), 유기물 제거 필터(153) 및 제균/집진 필터(154)의 순으로 3개의 필터가 적층 배치된다. 이들 탈취 필터(152), 유기물 제거 필터(153) 및 제균/집진 필터(154)는 그 전방에 배치되는 필터 압박 프레임(150)이 본체 케이싱(110)의 전방면에 고정됨으로써, 본체 케이싱(110)의 오목부(118)에 유지되게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유닛(151)은 3개의 필터를 적층 배치하고 있지만, 이 구성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 유닛(151)은 필터를 1매 이상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탈취 필터(152)만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탈취 필터(152)에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담지 금속으로서 팔라듐 화합물을 0.1 내지 1 %, 구리 화합물을 4 내지 7 %, 물을 0.1 내지 2 %, 잔부를 담체로 하여 다공질의 스틸렌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도록 제작된 촉매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촉매를 이용함으로써, 상온에서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반응시키는 것을 촉진한다. 따라서,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촉매로서, 예를 들어 (주) 신명(新明) 전자제의 G3KK(코드 번호)를 이용하였다.
또한, 탈취 필터(152)는 활성탄 등의 탈취 기능을 갖는 물질(탈취제)이 내포된 필터이고, 냄새 성분을 흡착함으로써 탈취 기능을 발휘한다. 탈취 필터(152)로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탈취제로서 활성탄을 이용하고 있다. 활성탄은, 예를 들어 형상을 입자 형상, 종류를 활성탄계, 석탄 피치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또는 셀룰로오스계, 평균 가는 구멍 직경을 10 내지 13 옹스트롬으로 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활성탄은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형상은 섬유 형상으로 해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탈취 필터(152)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와 활성탄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을 봉입하는 봉입 부재로서 후술하는 유연한 재료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탈취 필터(152)만으로는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없다. 그래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 압박 프레임(150)에 설치하기 위해, 탈취 필터(152)의 상단부와 측벽을 연결하는 필터 설치띠(152A)를 2개 갖고 있다(도8 참조). 한편, 탈취 필터(152)는 상기한 봉입 부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탈취 필터(152)는 세탁기 등에 투입하여 세정하고,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하여 탈취 능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탈취 필터(152)를 감아서, 고무 밴드나 끈으로 묶어서 세탁기에 투입하는 것 등을 하면, 세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 제거 필터(153)로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하나의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포름알데히드(HCHO)를 제거하는 필터는 에 틸렌 요소[C2(NH)2CO]를 포함하고 있다. 에틸렌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하기의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 반응시킬 수 있다. 이 메커니즘에 의해, 공기 중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2830039-PCT00001
또한, 제균/집진 필터(154)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를 이용하고 있다. HEPA 필터는 폴리에스테르/비닐론계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골재에 전석(電石) 가공한 멜트플로우-부직포를 맞추어 여과재로 하고, 이를 절첩한 후, 그 상하면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가공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항균 시트를 포개어 열압착하고, 핫멜트 처리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용착한 것으로, 미세한 진애를 포집하는 것이다.
또한, 멜트플로우-부직포는 상대적으로 가는 섬유 직경 약 1 ㎛와 상대적으로 굵은 섬유 직경 3 ㎛가 조합된 섬유로 이루어진다. 그로 인해, 종래에 비해 제균/집진 필터(154)의 압력 손실이 작아져, 체적을 약 35 % 저감시킬 수 있었다.
또한, HEPA 필터는 제균 기능도 부가되어 있으므로, HEPA 필터에 부착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도 있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압박 프레임(150)은 프레임체(150a)와, 절입부(150b)와, 걸기부(150c)와, 삽입부(150d)를 구비한다. 프레임체(150a) 의 정면 형상은 사각형이고, 그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을 갖도록 몇 군데에 있어서 대향하는 변을 각각 연결하는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체(150a)는 5단 4열의 중공을 형성하는 중공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중공에 있어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절입부(150b)는 프레임재(150a)의 외주에 있어서 상단부의 변의 양 코너 근방에 2개소와, 상단부의 변과 접속되는 변에 있어서 상기 코너의 근방에 2개소의 합계 4개소에, 탈취 필터(152)에 설치된 필터 설치띠(152A)가 머무를 정도의 깊이의 절입을 갖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걸기부(150c)는 프레임재(150a)의 상단부의 변과 2개소에서 접속되고, 필터 유닛(151)을 본체 케이싱(110)의 전방면에 고정할 때에 걸어 둘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삽입부(150d)는 프레임체(150a)의 하단부의 변과 2개소에서 접속되고, 필터 유닛(151)을 본체 케이싱(110)의 전방면에 고정할 때에 삽입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유닛(151)을 본체 케이싱(11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필터 압박 프레임(150)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절입부(150b)에, 탈취 필터(152)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필터 설치띠(152A)를 끼워 넣는다. 이에 의해, 탈취 필터(152)가 필터 압박 프레임(150)에 고정된다. 다음에, 필터 압박 프레임(150) 및 필터 유닛(151)을 본체 케이싱(110)의 전방면에 배치한다. 계속해서, 걸기부(150c) 및 삽입부(150d)를 각각 본체 케이싱(110)의 소정 장소에 끼워 넣는다. 이에 의해, 필터 압박 프레임(150)으로 필터 유닛(151)을 본체 케이싱(110)의 전방면에 고정할 수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10)의 오목부(118)의 후방에 설치된 구획벽(120)에는 연통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통 구멍(121)의 전방면에 금속 가드(122)가 설치되어 있다. 구획벽(120)은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을 전방 공간(S1)(도10 참조)과 후방 공간(S2)(도10 참조)으로 구획하는 것이고, 금속 가드(122)는 유지 보수 작업 시 등에 작업자가 실수하여 동작 중인 팬에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기 위한 가드 부재이다. 또한, 본체 케이싱(110)의 전방면의 소정 위치에는 냄새 센서(138)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 구조 및 장치 본체 내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도1에 도시하는 X-X선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11은 도1에 도시하는 XI-XI선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본체 케이싱의 배면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배면도이다.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에는 구획벽(120)이 위치하고 있다. 구획벽(120)의 전방에는 탈취 필터(152), 유기물 제거 필터(153) 및 제균/집진 필터(154)의 3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필터 유닛(151)이 배치되어 있고, 그 전방에는 전방면 패널(140)이 배치되어 있다. 필터 유닛(151)은 전방면 패널(140)과 구획벽(120)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 공간(S1)을 전 후 방향으로 2분할하고 있고, 이들 공간은 각각 공기의 유로가 된다. 또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공간(S1)은 본체 케이싱(110)의 측방에 있어서 흡입 구(124)를 통해 장치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도10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벽(120)의 후방에는 송풍 팬으로서 시로코 팬(130)이 배치되어 있다. 시로코 팬(130)은 그 후방에 배치된 모터(13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구획벽(120)에 형성된 연통 구멍(121)은 시로코 팬(130)의 흡입면과 대면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110)의 후방 공간(S2)은 본체 케이싱(110)의 상부에 설치된 취출구(126A, 126B)에 연통하고 있다. 취출구(126A, 126B)의 각각에는 루버(126a, 126b)가 설치되어 있다. 루버(126a, 126b)는 취출구(126A, 126B)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 케이싱(110)의 후방 공간(S2)에는 유로 형성 부재(12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유로 형성 부재(123)는 시로코 팬(130)에 의해 후방 공간(S2)으로 도입된 공기의 흐름을 취출구(126A, 126B)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고, 구획벽(120)에 의해 후방 공간(S2) 내에 있어서의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유로 형성 부재(123)는 하부에 있어서 시로코 팬(130)을 둘러싸고, 상부에 있어서 시로코 팬(130)으로부터 취출된 공기를 취출구(126A, 126B)로 유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 공간(S2)에 면하는 구획벽(120)의 소정 위치에는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후방 공간(S2)을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방출하는 이온 발생 장치(134)가 설치되어 있다. 이온 발생 장치(134)에 있어서는, 이온 발생 소자에 설치된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공기 중의 산소 내지 수분이 이온화된다. 그리고, 이 이온 발생 장치(134)의 이온 방출면을 공기의 유로에 대면 배치시킴으로써, 발생한 이온을 공기의 흐름에 태워 장치 외부로 방출한다.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100)에 있어서는, 시로코 팬(130)이 모터(132)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본체 케이싱(110)의 전방 공간(S1)에 있어서 부압이 생기고, 본체 케이싱(110)의 측방에 위치하는 흡입구(124)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전방 공간(S1)에 취입된다(도11 참조). 취입된 공기는 필터 유닛(151)을 통과할 때에 탈취 처리 및 일산화탄소의 제거 처리, 포름알데히드의 흡착 처리, 집진 처리 및 제균 처리가 차례로 실시되고, 구획벽(120)에 형성된 연통 구멍(121)을 통과하여 후방 공간(S2)으로 도입된다(도10 및 도11 참조).
또한, 이 필터 유닛(151)을 통과할 때, 시로코 팬(130)에 의해 흡입된 공기 중으로부터 큰 집진을 포집하는 프리 필터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후방 공간(S2)으로 유입된 공기는 시로코 팬(130)의 주위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취출된다. 시로코 팬(130)으로부터 취출된 공기는 유로 형성 부재(123)로 유도되어 후방 공간(S2) 내를 상승하고, 이온 발생 장치(134)에 의해 소정 농도의 플러스 이온 또는/및 마이너스 이온이 부가되어 취출구(126A, 126B)로부터 실내로 취출된다(도10 및 도12 참조). 또한, 도10 내지 도12에 있어서는,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100)에 따르면, 시로코 팬(130)과 필터 유닛(151)을 구비하고, 필터 유닛(151) 은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를 포함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에 의해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반응시키는 것을 촉진한다. 따라서,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는 상온에서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공기를 고온으로 하는 기기를 배치하는 공간을 불필요로 하므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를 구비함으로써, 필터 유닛(151)을 박형화로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필터 유닛(151)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포름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 제거 필터(153)를 탈취 필터(152)의 바람 하류측에 배치하고 있다. 탈취 필터(152)는 공기 중으로부터 큰 집진을 포집하는 프리 필터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그로 인해, 유기물 제거 필터(153)는 유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압박 프레임(150)의 일부에 절입부(150b)를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충격이나 취급 시에 탈취 필터(152)의 필터 설치띠(152A)가 어긋나는 것이나, 탈취 필터(152)가 낙하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100)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13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15는 탈취 필터의 정면도이다. 도16은 탈취 필터의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17은 탈취 필터의 상면도이다.
도13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20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도10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100)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탈취 필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탈취 필터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서술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251)은 촉매(252a)와 탈취제(252b)를 포함하는 탈취 필터(252)와, 유기물 제거 필터(253)와, 제균/집진 필터(254)를 구비하고 있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탈취 필터(252)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252a)와 냄새 성분을 제거하는 탈취제(252b)를 하나의 필터에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필터인 탈취 필터(252)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하방에 촉매(252a)를 갖고, 잔부에 탈취제(252b)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 필터(252)는 9개의 주머니체 중, 하방으로부터 첫번째와 두번째의 주머니체(252c) 내부에 촉매(252a)를 수납하고, 잔부의 7개의 주머니체(252c) 내부에 탈취제(252b)를 수납하고 있다.
도15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탈취 필터(252)의 형상은 탈취제(252b)를 수납 하는 복수의 연결된 탈취제 수납실과, 촉매(252a)를 수납하는 복수의 연결된 촉매 수납실을 갖고, 정면 형상은 사각형으로 하고 있다. 탈취제 수납실 및 촉매 수납실의 각각의 외형은 대략 동일한 주머니체(252c)로 하고, 주머니체(252c)는 2매의 메쉬를 봉합한 것으로 하고 있다. 메쉬의 거칠기는 입자 형상의 촉매(252a) 및 탈취제(252b)의 파편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탈취 필터(252)는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 통기성의 스페이서(252d)를 갖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200)의 내부 구조 및 장치 본체 내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 구조 및 장치 본체 내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200)에 따르면, 탈취 필터(252)는 촉매(252a)와 탈취제(252b)를 하나의 필터에 포함하고 있다. 그로 인해, 일산화탄소 및 냄새 성분을 하나의 필터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유닛(251)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8 내지 도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200)를 구성하는 필터 유닛(251)의 제1 내지 제6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내지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251)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탈취 필터(252)의 구성에 있어서 다르다.
도18은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251)의 단면도이다. 제1 변형예의 탈취 필터(252)는 하나의 필터이고, 상대적으로 상방에 촉매(252a)를 수납하고, 잔부에 탈취제(252b)를 수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 필터(252)의 상방으로부터 첫번째와 두번째의 주머니체(252c)에 촉매(252a)를 수납하고 있는 촉매 수납실을 갖고, 잔부의 7개의 주머니체(252c)에 탈취제(252b)를 수납하는 탈취제 수납실을 갖고 있다.
도19는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251)의 단면도이다. 제2 변형예의 탈취 필터(252)는 상방에 탈취제(252b)를 수납하는 주머니체(252c)와, 하방에 촉매(252a)를 수납하는 별도의 프레임재(252e)를 구비한다. 별도의 프레임재(252e)는 거치가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변형예의 탈취 필터(252)에 있어서, 촉매(252a)는 탈취제(252b)와는 다른 부재에 수납되어 있다. 그로 인해, 탈취제(252b)를 수납하는 탈취제 수납실은 세탁기 등에서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탈취제(252b)만을 재생하고 싶은 경우에는 편리성이 높은 것이 된다.
도20은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251)의 단면도이다. 제3 변형예의 탈취 필터(252)는 본체 케이싱(110)에 설치할 때에 대략 중앙부에 촉매(252a)를 수납하는 촉매 수납실이 배치되도록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 필터(252)는 9개의 주머니체(252c) 중, 하방으로부터 4번째와 5번째의 주머니체(252c)에 촉매 수납실을 갖고, 잔부의 주머니체(252c)에 탈취제 수납실을 갖고 있다.
도21은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251)의 단면도이다. 제4 변형예의 탈취 필터는 탈취제 수납실과 촉매 수납실을 교대로 배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9개의 주머니체(252c) 중, 하방으로부터 차례로 탈취제 수납실과 촉매 수납실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단부의 주머니체에 탈취제 수납실이 배치되어 있다.
도22는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251)의 단면도이다. 제5 변형예의 탈취 필터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제(252b)에 촉매(252a)를 혼재시킨 상태에서 갖고 있다.
도23은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251)의 단면도이다.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은 촉매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촉매 필터(255)와 탈취제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탈취 필터(256)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촉매 필터(255)의 각 촉매 수납실의 대략 중심부에 탈취 필터(256)의 각 탈취제 수납실의 연결부가 포개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에 있어서는, 탈취 필터(255)가 프리 필터의 역할도 담당할 수 있으므로, 촉매 필터(255)가 탈취 필터(256)의 바람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251)에 따르면, 탈취 필터(252)는 촉매(252a)와 탈취제(252b)를 하나의 필터에 포함하고 있다. 그로 인해, 일산화탄소 및 냄새 성분을 하나의 필터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유닛(251)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251)에 따르면, 촉매 및 탈취제를 보다 많이 포함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 및 냄새 성분을 보다 많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촉매 수납실과 탈취제 수납실의 공간 부분끼리가 포개어지는 경우는 없다. 그로 인해, 필터 유닛(251)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24 및 도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24를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30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도10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100)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필터 유닛의 구성에 대해 도10에 도시한 필터 유닛(151)과 다르다.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300)를 구성하는 필터 유닛(351)은, 냄새 성분을 제거하는 하나의 탈취 필터(352)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353)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필터 유닛(351)은 탈취 필터(352)와, 유기물 제거 필터(353)와, 제균/집진 필터(354)를 구비한다.
탈취 필터(352)는 활성탄 등의 탈취 기능을 갖는 물질[탈취제(352b)]만이 내포된 필터이고, 냄새 성분을 흡착함으로써 탈취 기능을 발휘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탈취제로서 활성탄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유기물 제거 필터(353)는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필터로 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필터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제균/집진 필터(354)는,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HEPA 필터를 이용하고 있다.
도24 및 도25를 참조하여, 유기물 제거 필터(353)가 탈취 필터(352)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 바람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탈취 필터(352), 유기물 제거 필터(353), 제균/집진 필터(354)의 순으로 3개의 필터가 적층 배치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300)의 내부 구조 및 장치 본체 내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 구조 및 장치 본체 내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300)에 따르면, 필터 유닛(351)은 냄새 성분을 제거하는 하나의 탈취 필터(352)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353)를 포함하고 있다. 그로 인해,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 제거 필터(353)의 기능만이 저하된 경우에는, 다른 부재를 교환하지 않고 유기물 제거 필터(353)만을 교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공기 청정기(300)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각 필터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유기물 제거 필터(353)가 탈취 필터(352)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된다. 필터 유닛(351)에 있어서, 탈취 필터(352)는 시로코 팬(130)에 의해 흡입된 공기 중으로부터 큰 집진을 포집하는 프리 필터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그로 인해, 유기물 제거 필터(353)는 유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기 조절 장치로서 거치형의 공기 청정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기 조절 장치라 함은, 장치 외부로부터 공기를 장치 내부로 도입하고, 도입된 공기에 어떠한 처리를 실시한 후에 장치 외부로 송출하는 장치 전반을 가리키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 조절 장치는, 상술한 거치형의 공기 청정기 이외에도, 벽걸이식 공기 청정기나 빌트인 타입의 공기 청정기, 차량 적재용 공기 청정기, 또는 공기 조화기, 제습기, 가습기, 전기 히터, 석유 스토브, 석유 팬 히터, 가스 히터, 냉장고, 쿨러 박스, 건축물용 공조 덕트, 차량 적재용 공조 덕트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금회 개시한 상기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획정되고,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21)

  1. 송풍 팬(130)과 필터 유닛(151, 251)을 구비한 공기 조절 장치(100, 200)이며,
    상기 필터 유닛(151, 251)은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촉매(252a)를 포함하는 필터(152, 252, 255)를 구비하는 공기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151, 251)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가 상기 촉매(252a)를 포함하는 필터(152, 252)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151, 251)은 냄새 성분을 제거하는 탈취제(252b)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252a)와 상기 탈취제(252b)를 하나의 필터(152, 252)에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필터(152, 252)가, 상대적으로 상방 및 하방의 어느 한쪽에 상기 촉매(252a)를 갖고, 잔부에 상기 탈취제(252b)를 갖고 있는 공기 조절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필터(152, 252)가, 상기 탈취제(252b)에 상기 촉매(252a)를 혼재시킨 상태에서 갖고 있는 공기 조절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필터(152, 252)가, 상기 탈취제(252b)를 수납하는 복수의 연결된 탈취제 수납실과, 상기 촉매(252a)를 수납하는 복수의 연결된 촉매 수납실을 갖고,
    상기 탈취제 수납실과 상기 촉매 수납실을 교대로 배치하고 있는 공기 조절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151, 251)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가 상기 하나의 필터(152, 252)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151, 251)은 상기 촉매(252a)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촉매 필터(255)와 상기 탈취제(252b)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탈취 필터(256)를 포함하고 있는 공기 조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필터(255)는 상기 촉매(252a)를 수납하는 복수의 연결된 촉매 수납실을 갖고, 상기 탈취 필터(256)는 상기 탈취제(252b)를 수납하는 복수의 연결된 탈취제 수납실을 갖고,
    상기 촉매 수납실의 대략 중심부에 상기 탈취제 수납실의 연결부가 포개어지도록 배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필터(255)가 상기 탈취 필터(256)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151, 251)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151, 251)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151, 251)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가 상기 촉매 필터(255)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가 상기 촉매 필터(255)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가 상기 촉매 필터(255)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
  20. 송풍 팬(130)과 필터 유닛(151, 251, 351)을 구비한 공기 조절 장치(100, 200, 300)이며,
    필터 유닛(151, 251, 351)은 냄새 성분을 제거하는 하나의 탈취 필터(152, 252, 256, 352)와,
    알데히드기를 갖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하나의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 353)를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제거 필터(153, 253, 353)가 상기 탈취 필터(152, 252, 256, 352)보다 바람 하류측에 배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
KR1020087004119A 2005-07-22 2006-07-20 공기 조절 장치 및 필터 유닛 KR100973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3283 2005-07-22
JP2005213283A JP3940417B2 (ja) 2005-07-22 2005-07-22 空気調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679A true KR20080037679A (ko) 2008-04-30
KR100973617B1 KR100973617B1 (ko) 2010-08-02

Family

ID=3766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119A KR100973617B1 (ko) 2005-07-22 2006-07-20 공기 조절 장치 및 필터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93589B1 (ko)
JP (1) JP3940417B2 (ko)
KR (1) KR100973617B1 (ko)
CN (1) CN101227932B (ko)
WO (1) WO2007010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13603D0 (en) 2005-06-30 2005-08-10 Univ Aberdeen Vision exercising apparatus
DE102007027026A1 (de) * 2007-06-08 2008-12-11 BLüCHER GMBH Mattenförmiges Schaumstoffmaterial zur Luftreinigung und/oder Luftfiltration
US8083840B2 (en) * 2008-10-10 2011-12-27 Headwaters R&D Inc High cleaning efficiency room air cleaner with slim profile
JP5589277B2 (ja) * 2008-11-17 2014-09-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US8814144B2 (en) * 2010-04-08 2014-08-26 Johnnie McTaw, Jr. Air register assembly
USD846105S1 (en) 2014-02-14 2019-04-16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USD802725S1 (en) 2014-02-14 2017-11-1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KR101448422B1 (ko) 2014-03-17 2014-10-07 이경옥 여과면적을 높인 흡착탑용 프리필터의 설치구조
CN104949213B (zh) 2014-03-28 2017-09-29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
CN104949212B (zh) * 2014-03-28 2017-11-14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
CN204147696U (zh) * 2014-07-16 2015-02-11 北京富纳特创新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器
EP3163201B1 (en) * 2015-10-30 2019-03-13 LG Electronics Inc.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USD825046S1 (en) 2017-01-09 2018-08-0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CN207445856U (zh) * 2017-09-19 2018-06-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
USD854133S1 (en) * 2017-11-02 2019-07-1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Dehumidifier
USD890904S1 (en) * 2019-02-28 2020-07-21 Guardian Technologies Llc Air purifier
JP7252867B2 (ja) * 2019-09-13 2023-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D962411S1 (en) * 2020-10-29 2022-08-30 Zhongshan Konlon Electrical Technology Co., Ltd Ai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011A (ja) * 1990-04-19 1992-01-08 Mitsui Petrochem Ind Ltd フィルター
JP3045794B2 (ja) * 1991-02-14 2000-05-29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脱臭方法および脱臭装置
JPH09239229A (ja) 1996-03-07 1997-09-16 Meiji Kuritsukusu:Kk 調湿具
JPH09271616A (ja) * 1996-04-08 1997-10-21 Japan Vilene Co Ltd 脱臭フィルタ素材
JPH10235129A (ja) 1997-02-25 1998-09-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ィルタ
JPH11114333A (ja) 1997-10-14 1999-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用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
JP3939047B2 (ja) * 1999-04-30 2007-06-27 泰▲慶▼ 李 プロペラファン、扇風機
JP2002058729A (ja) 2000-08-14 2002-02-26 Sanyo Electric Co Ltd 脱臭フィルター
JP3404739B2 (ja) * 2000-10-16 2003-05-1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フィルタ、並びに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及び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
DE10140797A1 (de) * 2001-08-20 2003-07-31 Bosch Gmbh Robert Ausgleichselement für ein Brennstoffeinspritzventil
JP2003210559A (ja) * 2001-11-14 2003-07-29 Suzuki Motor Corp エア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55159A (ja) * 2003-02-05 2004-09-16 Sharp Corp 脱臭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用フィルター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617B1 (ko) 2010-08-02
CN101227932B (zh) 2012-06-27
JP3940417B2 (ja) 2007-07-04
JP2007029796A (ja) 2007-02-08
US7993589B1 (en) 2011-08-09
CN101227932A (zh) 2008-07-23
WO2007010972A1 (ja)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617B1 (ko) 공기 조절 장치 및 필터 유닛
US20080083337A1 (en) Air Cleaner Using Dust Collecting Filter
US20080050288A1 (en) Air purification member, air purification unit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414562B1 (ko) 친환경 환풍기
JP3450287B2 (ja) 空気清浄機
KR20090082576A (ko) 공기 청정기
JP3528594B2 (ja) 空気清浄器
KR200419443Y1 (ko) 서랍형 공기청정기
JP2006026239A (ja) 空気清浄機及びこれを用いた収納装置
CN2565456Y (zh) 高效光触媒空气净化装置
JP2011226717A (ja) 空気調和機
KR20060111025A (ko) 공기청정기의 탈취필터 구조
JP2000102598A (ja) 空気浄化膜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
KR20190055869A (ko) 공기 청정기
KR200417118Y1 (ko) 공기정화기
KR20060087298A (ko) 기능성 필터를 갖는 공기조화기
JP2000070726A (ja) 酸化物光触媒、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
JPH11248211A (ja) フィルタ付き換気孔
CN212842095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JP2002035091A (ja) 空気清浄機
JP2007029283A (ja) 空気清浄機
JP2000126527A (ja) 空気清浄機
KR100687360B1 (ko) 공기청정 시스템
JP4830697B2 (ja) 空気清浄機
JP2007021458A (ja) 空気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