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560A - 전시 기구 - Google Patents

전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560A
KR20080037560A KR1020070107599A KR20070107599A KR20080037560A KR 20080037560 A KR20080037560 A KR 20080037560A KR 1020070107599 A KR1020070107599 A KR 1020070107599A KR 20070107599 A KR20070107599 A KR 20070107599A KR 20080037560 A KR20080037560 A KR 20080037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play
display mechanism
display apparatus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야 타무라
타츠야 하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라돈나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라돈나,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라돈나
Publication of KR2008003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47G1/143Pivotabl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전시 기구(1)는 판 형상의 전시 기구 본체(2)와, 각부(3)로서, 상단측이 상기 전시 기구 본체(2)의 배면(6)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하단측이 열림으로써 당해 전시 기구 본체(2)의 배면(6)을 지지하는 각부(3)와, 상기 전시 기구 본체(2)와 상기 각부(3)의 사이에 배치되고, 당해 각부(3)가 열리도록 당해 각부(3)에 힘을 가하는 부세 기구(9)를 구비한다.
전시 기구, 본체, 각부, 회전, 부세 기구

Description

전시 기구{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전시 기구(display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사진이나 그림 엽서 등을 수용하여 전시하는 포토 프레임(photo frame)이나 점포 앞에 늘어놓는 간판 등과 같은 전시 기구에는, 본체를 지지하는 봉이나 판 등의 다리가 배면에 설치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열리거나 닫히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리 구조와 달리, 스프링이나 발톱(claw) 등을 이용하여 다리를 출납하는 것이 가능한 다리 구조가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1981-34482호 공보
종래 기술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에 의하면, 전시 기구 본체를 들어올리고 있는 동안에 다리가 닫혀 버리기 때문에, 다리를 손으로 열면서 테이블 등에 놓을 필요가 있다. 또, 전시 기구 본체가 정면으로부터 눌리면 다리가 쉽게 닫혀 버리기 때문에, 점포에서의 판매나 테이블의 청소를 하고 있을 때 넘어지기 쉽다.
한편, 다리가 쉽게 닫히지 않는 구조의 전시 기구에 의하면, 전시 기구를 벽에 걸거나 상자에 수용하거나 할 때, 다리를 닫아 수용하고, 발톱(claw)으로 고정 시키거나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롭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리의 취급이 용이한 전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시 기구로서,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에 배치된 각부(leg portion)가 열리도록 힘을 가하는 부세(付勢) 기구를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시 기구로서, 판 형상의 전시 기구 본체와, 각부로서, 상단측이 상기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하단측이 열림으로써 당해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각부와, 상기 전시 기구 본체와 상기 각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당해 각부가 열리도록 당해 각부에 힘을 가하는 부세 기구를 구비한다.
상술한 전시 기구는 전시 기구 본체와 각부와 부세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판 형상의 전시 기구 본체는 저면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테이블 등에 세운 상태로 놓을 때 배면을 지지하는 각부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외형을 가지는 전시 기구로서 예를 들면, 포토 프레임(photo frame)이나 점포 앞에 늘어놓는 간판 등을 들 수 있다.
각부는 그 상단측이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각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하단측을 전시 기구 본체에 접근시키거나 이격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각부를 열면 전시 기구 본체를 배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부를 닫으면 전시 기구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부세(付勢) 기구는 전시 기구 본체와 각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부세 기구는 각부가 열리도록 힘을 가한다. 이에 의해, 전시 기구 본체를 들어올리고 있는 동안에도 각부의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전시 기구를 테이블 등에 놓을 때, 각부를 손으로 열 필요가 없게 된다. 또, 전시 기구 본체가 테이블에 놓인 상태에서 정면으로부터 눌려도, 각부가 열리도록 힘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쉽게 닫히지 않고, 전시 기구 본체가 넘어지기 어렵다. 또, 부세 기구는 각부가 열리도록 각부에 힘을 가하고 있을 뿐이므로, 전시 기구 본체를 벽에 걸거나 상자에 수용하거나 할 때는 각부를 누르는 것만으로 닫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에 의하면, 다리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부는 상기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에 경첩(hinge)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부세(付勢) 기구는 상기 경첩의 회전축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각부에 힘을 가하도록 해도 좋다.
각부는 그 상단측이 경첩을 개재하여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부의 하단측을 경첩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에 접속된 각부를 열거나 닫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부세(付勢) 기구는 경첩의 회전축에 장착된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시 기구 본체와 각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의 일단이 전시 기구 본체를 밀고, 스프링의 타단이 각부를 밂으로써, 각부가 열리도록 각부에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에 의하면, 각부가 열리도록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부는 상기 전시 기구 본체를 들어올린 자유 상태에서 열리도록 상기 부세 기구에 의해 힘이 가해지도록 해도 좋다. 
각부는 전시 기구 본체를 들어올린 자유 상태에서 열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블 등에 놓을 때 손으로 각부를 여는 것은 번거롭기 때문이다. 한편, 전시 기구 본체를, 예를 들면 수납 상자에 수용하거나 할 때는 각부가 닫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각부를 열린 상태로 고정해 버리면, 상자에 수납하거나 벽면에 걸거나 할 수가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세 기구를, 전시 기구 본체를 잡아서 들어올린 자유 상태에 있어서, 각부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힘을 당해 각부에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시 기구 본체를 들어올리면 각부가 열린 상태로 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각부를 여는 조작 없이, 전시 기구 본체를 테이블에 세운 상태로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부는, 상기 전시 기구 본체를 상기 각부가 배치되어 있는 면이 하측으로 되도록 하여 수평면에 둔 상태, 및 당해 전시 기구 본체를 당해 각부가 배치되어 있는 면이 수직면측으로 되도록 하여 당해 수직면에 설치한 상태의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당해 전시 기구 본체의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상기 부세 기구에 의해 힘이 가해지도록 해도 좋다.
각부는 전시 기구 본체를 들어올린 자유 상태에서 열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부가 자유 상태에서 열려 있으면, 각부를 여는 조작 없이 테이블 등에 놓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전시 기구 본체를, 예를 들면 수납 상자에 수용하거나 벽 등에 설치할 때는, 각부를 닫을 필요가 있다. 각부가 닫히지 않으면 전시 기구 본체가 전방으로 돌출해 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세 기구를, 전시 기구 본체를 수평면에 둔 상태, 및 수직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각부가 전시 기구 본체의 자중에 의해 닫혀 버리는 정도의 힘을 당해 각부에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시 기구 본체를 수평면이나 수직면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자유 상태에서 열려 있는 각부를 닫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각부를 닫는 조작 없이, 전시 기구 본체를 벽면에 설치하거나 수납 상자에 넣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전시 기구는 상기 전시 기구 본체와 상기 각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당해 각부가 당해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소정 위치까지 열리면, 상기 부세 기구에 의한 당해 각부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멈춤 기구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각부는, 적절한 위치(예를 들면, 열린 각부에 의해 지지되는 전시 기구 본체의 전시면이, 설치되는 테이블의 면에 대해서 약 75도의 기울기로 되는 장착 위치나 열린 각도)로 열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부의 개방도가 크면 전시 기구 본체의 전시면이 상방을 올려보는 것 같은 상태로 되고, 전시 효과가 저감되기 때문이다. 또, 각부의 개방도가 작으면, 전시 기구 본체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는 전시 기구 본체와 각부의 사이에, 부세 기구에 의한 각부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멈춤 기구를 더 구비한다. 이 멈춤 기구는 각부가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소정의 위치까지 열리면, 부세 기구에 의한 각부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이에 의해, 전시 기구 본체를 들어올리고 있는 동안, 각부가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소정의 위치에서 멈춘 상태로 되므로, 전시 기구를 쉽게 테이블 등에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전시 기구가 테이블 등에 놓여져 있는 동안, 각부의 개방도가 전시 기구 본체를 지지하는데 적절한 위치로 유지되므로, 전시 기구 본체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정의 위치"라는 것은 각부와 전시 기구 본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이고, 예를 들면 전시 기구 본체가 적절히 지지되는 각부의 위치이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에 의하면, 전시 기구 본체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의 취급이 용이한 전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예시이고,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display apparatus)(1)를 전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1)를 후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1)는 전시 기구 본체(2)와 각부(leg portion)(3)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시 기구(1)는 사진을 전시하는 포토 프레임(photo frame)인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1)는 포토 프레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간판 등이라도 좋다.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듯이, 전시 기구 본체(2)는 프레임(frame)(4)과 보호 유리(5)와 배면판(6)과 발톱(claw)(7)을 가지고 있고, 사진 등이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각부(3)는 넥타이 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경첩(hinge)(8)에 의해 전시 기구 본체(2)와 각부(3)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이 나타내듯이, 각부(3)의 상단측은 전시 기구 본체(2)의 배면에 있는 배면판(6)에 경첩(8)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각부(3)는 경첩(8)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전에 의해 각부(3)는 열리거나 닫히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부(3)를 엶으로써 전시 기구 본체(2)를 배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각부(3)를 닫음으로써 전시 기구(1)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전시 기구 본체(2)와 각부(3)를 접속하고 있는 경첩(8)과, 경첩(8)에 장착되어 있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9)(본 발명에서 말하는 "부세(付勢) 기구"에 상당)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토션 스프링(9)을 가지는 경첩(8)은 일반적으로 "스프링 경첩(spring hinge)"이라고 불린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듯이, 토션 스프링(9)이 장착된 경첩(8)은 토션 스프링(9)에 토션력(torsional force)이 가해진 상태로 전시 기구 본체(2)와 각부(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부(3)는 토션 스프링(9)에 의한 토션력이 가해져 열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열린 상태로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듯이, 전시 기구 본체(2)와 각부(3)의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9)에 의한 각부(3)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멈춤 기구(10)가 설치되어 있고, 각부(3)의 열린 위치가 전시 기구 본체(2)의 배면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소정의 위치에서 멈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멈춤 기구(10)는 각부(3)의 경첩(8)이 접속되어 있는 위치보다도 더 상단측의 선단부(11)가 전시 기구 본체(2)의 배면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각부(3)의 회전이 멈추게 되어 있다.
도 5는 전시 기구 본체(2)를 손(12)으로 들어올렸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전시 기구(1)는 각부(3)를 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9)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전시 기구 본체(2)를 들어올린 상태에서도 각부(3)가 닫히지 않는다. 따라서, 각부(3)를 손(12)으로 열지 않고 쉽게 테이블 등에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시 기구 본체(2)를 들어올려도 각부(3)가 닫히지 않기 때문에, 점포에서 판매시, 고객이 손(12)으로 집어올린 후에 진열장에 되돌려 놓아도 전시 기구(1)가 쉽게 넘어지지 않는다. 
도 6은 상자(13)에 수용된 전시 기구(1)의 상태를 나타낸다. 각부(3)는 토션 스프링(9)에 의해 각부(3)를 여는데 필요한 필요 최소한의 힘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여기서, 토션 스프링(9)에 의한 힘이 너무 강하면 각부(3)를 닫는데 강한 힘이 필요하게 된다. 또, 각부(3)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닫힌 상태로 각부(3)를 고정하는 부재 등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본원 발명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1)는 전시 기구 본체(2)와 각부(3)의 중량 차이에 주목하였다. 즉, 전시 기구 본체(2)는 프레임(4)이나 보호 유리(5)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 형상의 부재를 형성했을 뿐인 각부(3)에 비해 중량이 무겁다. 그래서, 전시 기구(1)를 들어올린 자유 상태에 있어서 각부(3)를 여는데 충분한 힘을 각부(3)에 부여하지 만, 전시 기구(1)를 각부(3)가 배치되어 있는 면(배면)이 하측으로 되도록 하여 테이블이나 수납 상자와 같은 수평면에 놓은 상태, 및 전시 기구(1)를 벽면에 건 상태의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전시 기구(1)의 자중에 의해 닫혀 버리는 정도의 힘까지 밖에 주지 않는 것으로 토션 스프링(9)을 구성한다. 이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듯이, 전시 기구(1)를 상자(13)에 수용하는 것만으로 전시 기구 본체(2)의 자중에 의해 각부(3)를 닫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부(3)를 조작하여 열거나 닫거나 하지 않아도, 상자(13)에 출납하는 것만으로 각부(3)가 열리거나 닫히거나 하기 때문에, 매우 쉽게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전시 기구(1)를 벽에 걸 때도, 전시 기구 본체(2)의 자중으로 각부(3)가 닫히기 때문에, 각부(3)를 개폐 조작하지 않아도 그대로 벽에 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1)에 의하면, 각부(3)가 열리도록 힘이 가해지고 있고, 소정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열린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쉽게 닫는 것도 가능하므로, 각부(3)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세(付勢) 기구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9)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압축 스프링(compression spring)이나 인장 스프링(extension spring), 판 스프링(plate spring) 등을 채용해도 좋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를 전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를 후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 본체와 각부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경첩(hinge)과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 본체를 들어올렸을 때의 상태도.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시 기구 본체를 상자에 수용했을 때의 상태도.
<부호의 설명>
1····전시 기구(display apparatus)
2····전시 기구 본체
3····각부(leg portion)
4····프레임(frame)
5····보호 유리
6····배면판
7····발톱(claw)
8····경첩(hinge)
9····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10 ···멈춤 기구
11 ···선단부
12 ···손
13 ···상자

Claims (5)

  1. 판 형상의 전시 기구 본체와,
    각부로서, 상단측이 상기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하단측이 열림으로써 당해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각부와,
    상기 전시 기구 본체와 상기 각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당해 각부가 열리도록 당해 각부에 힘을 가하는 부세 기구를 구비하는 전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부는 상기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에 경첩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부세 기구는 상기 경첩의 회전축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각부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부는 상기 전시 기구 본체를 들어올린 자유 상태에서 열리도록 상기 부세 기구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부는 상기 전시 기구 본체를 상기 각부가 배치되어 있는 면이 하측으 로 되도록 하여 수평면에 둔 상태, 및 당해 전시 기구 본체를 당해 각부가 배치되어 있는 면이 수직면측으로 되도록 하여 당해 수직면에 설치한 상태의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당해 전시 기구 본체의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상기 부세 기구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기구 본체와 상기 각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당해 각부가 당해 전시 기구 본체의 배면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소정의 위치까지 열리면, 상기 부세 기구에 의한 당해 각부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멈춤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 기구.
KR1020070107599A 2006-10-26 2007-10-25 전시 기구 KR200800375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91185 2006-10-26
JP2006291185A JP2008104706A (ja) 2006-10-26 2006-10-26 展示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560A true KR20080037560A (ko) 2008-04-30

Family

ID=3885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599A KR20080037560A (ko) 2006-10-26 2007-10-25 전시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84326B2 (ko)
EP (1) EP1915929A1 (ko)
JP (1) JP2008104706A (ko)
KR (1) KR20080037560A (ko)
CN (1) CN101176606A (ko)
SG (1) SG142276A1 (ko)
TW (1) TW2008268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06Y1 (ko) * 2009-03-13 2011-04-06 김재우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0119A1 (en) * 2007-11-30 2009-06-04 Chun Yuen To Support stand for notebook
US20090072113A1 (en) * 2007-09-14 2009-03-19 World Wide Stationery Mfg. Co., Ltd. Support stand for structures that hold pag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WM331818U (en) * 2007-11-19 2008-05-01 Quanta Comp Inc Connecting apparatus adapted in a conjunctive structure
US20100059649A1 (en) * 2008-09-06 2010-03-11 Pierce Alfred Buxton Integrated Frame/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736499B1 (ko) * 2010-04-05 201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US8459453B2 (en) * 2010-11-22 2013-06-11 Kevin P. Parker Carrying case for display apparatus
USD950967S1 (en) 2019-02-25 2022-05-10 Mcs Industries, Inc. Picture frame
US10939774B2 (en) 2019-02-25 2021-03-09 Mcs Industries, Inc. Frame assembly
JP1654025S (ko) * 2019-06-28 2020-03-02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28496A (en) 1929-06-24 1930-05-01 Arthur Gerrans Hil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rames for photographs and the like
US1892014A (en) * 1931-10-23 1932-12-27 Singer Ralph Picture frame
US2448580A (en) * 1945-10-30 1948-09-07 William J Crosby Easel frame
GB635997A (en) 1947-01-21 1950-04-19 Peter Flatt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ruts for picture frames or like articles
US2542958A (en) * 1948-06-01 1951-02-20 J V Pilcher Mfg Company Inc Hinged prop for picture frames
JPS4219432Y1 (ko) * 1965-11-16 1967-11-09
JPS56477U (ko) * 1979-06-18 1981-01-06
JPS5923578Y2 (ja) * 1979-08-27 1984-07-13 株式会社創成電子 置物立掛用の脚開閉装置
US4515338A (en) * 1982-04-19 1985-05-07 Hallmark Cards, Inc. Combination easel hinge and hanging device
US4918847A (en) * 1988-11-10 1990-04-24 Alvin Lee Jewelry, Inc. Combined display board and clip
US5570526A (en) * 1995-07-24 1996-11-05 Wallon; Edward J. Picture frame stand clip
US6899311B1 (en) * 2003-01-22 2005-05-31 Apple Computer, Inc. Easel display arrangement
US7490427B2 (en) * 2004-06-04 2009-02-17 Sleepeck Printing Company Display easel, device and method
US20080028657A1 (en) * 2006-08-04 2008-02-07 Kenneth Holmes Picture frame st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06Y1 (ko) * 2009-03-13 2011-04-06 김재우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5929A1 (en) 2008-04-30
TW200826881A (en) 2008-07-01
US20080098639A1 (en) 2008-05-01
CN101176606A (zh) 2008-05-14
US7484326B2 (en) 2009-02-03
JP2008104706A (ja) 2008-05-08
SG142276A1 (en)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7560A (ko) 전시 기구
US4167298A (en) Balanced cabinet door lift
US6234329B1 (en) Display unit having a display element and a storage unit incorporating the same
EP2979526B1 (fr) Enceinte d&#39;équipement industriel
JP2014516735A (ja) 可動ハウジングを有するマーチャンダイジングユニット
JP2005192793A (ja) 遊技機
US6206225B1 (en) Portable device for displaying and dispensing card-like members
US9140036B2 (en) Bag container dispenser rack
JP4004611B2 (ja) 表示装置
JP2011000374A (ja) 商品展示用の表示プレート
JP3232247U (ja) 立て看板用カバーパネル支持具
JP7310062B2 (ja) ディスペンサー
KR100978919B1 (ko) 액자
JPH0628026Y2 (ja) テーブル等における壁板立設装置
JP2009187274A (ja) Posレジスタ載置台
JP2681871B2 (ja) 傘の袋収納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傘収納袋
CN217982459U (zh) 售货机柜显示屏结构及包含该显示屏结构的售货机柜
JP4015058B2 (ja) アンケートデスク
JP3244485U (ja) 眼鏡掛け置き収納箱
CN216333934U (zh) 一种可翻转包装盒
FR2852435A1 (fr) Dispositif monobloc inclinable de presentation d&#39;informations dans un point de vente
JP2538710Y2 (ja) 中継台
JP2006163329A (ja) 移動式看板
JP4593723B2 (ja) 商品陳列台
JP4181798B2 (ja) 商品陳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