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298A -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298A
KR20080037298A KR1020060104182A KR20060104182A KR20080037298A KR 20080037298 A KR20080037298 A KR 20080037298A KR 1020060104182 A KR1020060104182 A KR 1020060104182A KR 20060104182 A KR20060104182 A KR 20060104182A KR 20080037298 A KR20080037298 A KR 20080037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ene change
brightness
input image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3090B1 (ko
Inventor
조양호
이승신
박두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090B1/ko
Priority to US11/829,303 priority patent/US8340413B2/en
Priority to EP07118465.9A priority patent/EP1918875A3/en
Priority to CN2007101674270A priority patent/CN101170708B/zh
Priority to JP2007276871A priority patent/JP5334402B2/ja
Publication of KR2008003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의 깜박임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영상에 대한 휘도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 여부를 검출하는 장면 전환 검출 모듈 및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를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과 이전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의 가중 평균값에 의해 상기 입력된 영상의 밝기를 보상하는 밝기 보상 모듈을 포함한다.
깜박임, 장면 전환

Description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 flicker for im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밝기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범주의 타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범주 재분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범주 타입에 대응하는 계조 매핑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면 전환시 가중 평균 연산에 의한 TMF 적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보간에 의한 TMF 변환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채도를 보상하기 위한 그래프를 나타내 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장면 전환 검출 모듈
120: 밝기 보상 모듈
130: 저장 모듈
140: 지역 대비 보상 모듈
150: 채도 보상 모듈
본 발명은 동영상 화면의 깜박거림 방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폰, 캠코더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저전력으로 구동될 때, 감소된 밝기를 보상하면서 동영상 화면의 깜박거림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휴대폰, PDA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 '이동성'과 같은 특징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개인용 휴대 단말기에서는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개인용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과 같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광원을 제공하는 요소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에서 소비되는 전력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백라이트 유닛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낮추고, 소비 전력 감소에 따른 휘도의 감소는 영상 정보를 디지털 처리하여 보상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인식되는 영상의 휘도를 유지하면서 개인용 휴대 단말기의 저전력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입력된 영상 정보를 디지털 처리함에 있어서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휘도의 보상 정도를 달리하는 많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들을 정지 영상이 아닌 동영상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장면이 전환되기 전에는 인접 프레임 간에 비교적 비슷한 밝기를 유지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인접 프레임이 서로 다른 영상 특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여 휘도의 보상 정도를 달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의 깜박임(flicker)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장면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에 휘도의 보상 정보를 달리하게 되는데, 이 때에도 밝기가 서서히 변하는 것이 아니라 급격하게 변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깜박임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동영상 재생 시 이러한 깜박임 현상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불편함을 제공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휘 도를 감소시켜면서, 동영상 재생 시 영상의 깜박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밝기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영상에 대한 휘도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 여부를 검출하는 장면 전환 검출 모듈 및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를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과 이전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의 가중 평균값에 의해 상기 입력된 영상의 밝기를 보상하는 밝기 보상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방법은 입력된 영상에 대한 장면 전환 여부를 검출하는 (a) 단계와,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를 결정하는 (b)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과 이전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의 가중 평균값에 의해 상기 입력된 영상의 밝기를 보상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장면 전환 검출 모듈(110), 밝기 보상 모듈(120), 저장 모듈(130), 지역 대비 보상 모듈(140)과 채도 보상 모듈(150)을 포함한다.
장면 전환 검출 모듈(110)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입력받고, 현재 입력된 프레임과 이전에 입력된 프레임을 비교하여 현재 입력된 프레임에서 장면의 전환이 발생했는지를 검출한다.
밝기 보상 모듈(120)은 현재 입력된 프레임에서 장면 전환이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따라 현재 입력된 프레임의 영상 범주를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매핑 함수(Tone Mapping Function; TMF)를 적용하여 현재 입력된 프레임의 밝기를 향상시킨다.
저장 모듈(130)은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TMF 정보와 이전 프레임에 대한 영상의 특징점 및 이전 프레임에 적용된 TMF 정보를 갖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 LUT)을 저장하고 있다.
지역 대비 보상 모듈(140)은 밝기 보상 모듈(120)에 의해 보상된 영상에 대하여 지역 대비(local contrast)를 향상시키고, 채도 보상 모듈(150)은 다시 채도를 향상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모듈들의 동작을 도 2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동영상이 재생되면 재생되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들이 차례로 장면 전환 검출 모듈(110)로 입력된다.
그리고 나서, 장면 전환 검출 모듈(110)은 입력된 프레임에 대한 휘도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생성하고, 생성된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영상의 특징점을 추출한다(S205).
휘도 히스토그램은 입력된 영상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으로서, 휘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입력된 영상의 각 화소들이 갖는 휘도값을 산출하여야 한다. 휘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장면 전환 검출 모듈(110)은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표준의 계산식을 사용할 수 있다.
Y=0.288R+0.587G+0.114B
수학식 1에서 R, G, B는 각각 대상 화소가 포함하는 빨강, 초록, 및 파랑의 성분을 나타내며, Y는 대상 픽셀의 휘도값을 나타낸다. 수학식 1은 입력 영상을 표현하는 색상이 RGB 색공간에 기반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입력 영상을 표현하는 색상이 다른 유형의 색공간에 기반하고 있다면, 휘도값을 산출하기 위해서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겠지만, 본 발명은 휘도값 산출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NTSC 표준의 계산식 이외에 다른 휘도값 산출 방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3에서는 위와 같은 방식에 따라 생성된 휘도 히스토그램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장면 전환 검출 모듈(110)은 상기 휘도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영상의 특징점을 추출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휘도 히스토그램의 가로축은 휘도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이 8비트 영상이라면, 휘도값의 범위는 0 ~ 255 사이가 될 수 있다. 휘도 히스토그램의 세로축은 각 휘도값에 대응하는 빈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빈도는 입력 영상에서 각 휘도값을 갖는 화소의 개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이 100*100의 크기이고 휘도값이 128인 화소의 개수가 100개라면 도 3에 도시된 히스토그램에서의 세로축은 0.01의 값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는 가로축이 하위 대역(low band), 중간 대역(middle band), 및 상위 대역(high band)로 나뉘어 있다. 각 대역 간의 경계는 사전 실험을 통해서 휘도 히스토그램의 특징을 가장 잘 분류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대역과 중간 대역의 경계는 휘도값의 범위 중 하위 25%(8비트 영상의 경우 휘도값 63)이고, 중간 대역과 상위 대역의 경계는 휘도값의 범위 중 상위 상위 25%(8비트 영상의 경우 휘도값 191)일 수 있다.
휘도 히스토그램의 특징점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예로서, HS, LS, MS, DR을 들 수 있다.
HS은 상위 대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개수를 의미하고, LS은 하위 대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개수를 의미하며, MS은 중간 대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개수를 의미한다.
Mean은 영상 전체에 대한 휘도값의 평균을 의미하며, DR은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나타내고 MAX와 MIN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MIN(320)은 휘도값이 낮은 순서대로 각 휘도값의 빈도를 합산할 경우, 그 합이 휘도 히스토그램의 면적의 1%가 될 때의 휘도값을 의미하고, MAX(310)는 휘도값이 높은 순서대로 각 휘도값의 빈도를 합산할 경우, 그 합이 휘도 히스토그램의 면적의 1%가 될 때의 휘도값을 의미한다.
장면 전환 검출 모듈(110)은 위와 같은 파라미터에 의한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 때 수학식 2와 같은 장면 전환 검출 식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6077439651-PAT00001
이 때, P와 C는 각각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의미하며, 이전 프레임에 대한 영상의 특징점들은 저장 모듈(130)에 저장되어 있다.
수학식 2에 의해 SC 값이 결정되면, 장면 전환 검출 모듈(110)은 결정된 SC 값과 장면 전환 문턱값을 비교하여 현재 입력된 프레임에서 장면이 전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0).
예를 들어, SC 값이 장면 전환 문턱값보다 큰 경우에 현재 입력된 프레임에서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밝기 보상 모듈(120)은 현재 입력된 영상에 의해 생성된 휘도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현재 입력된 영상의 영상 범주를 재분류한다(S220).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범주의 타입을 나타내고 있다. A 타입의 영상 범주는 중간 대역에 속하는 화소가 많고 상위 대역 및 하위 대역에 속하는 화소가 적은 영상을 대표한다. B 타입의 영상 범주는 상위 대역에 속하는 화소가 많은 영상을 대표하고, C 타입의 영상 범주는 하위 대역에 속하는 화소가 많은 영상을 대표한다.
D 타입의 영상 범주는 높은 대비(contrast)를 나타내는 영상으로서, 상위 대역과 하위 대역에 대부분의 화소가 분포하는 영상을 대표한다. E 타입의 영상 범 주는 전 대역에 걸쳐서 고른 화소 분포를 갖는 영상을 대표하고, F 타입의 영상 범주는 그래픽 작업을 통하여 생성된 영상과 같이 휘도값이 이산적으로 분포하는 영상을 대표한다.
도 4에 도시된 각 영상 범주의 대표 히스토그램은 일 실시예일뿐이므로, 다른 특징을 갖는 영상 범주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범주 재분류 개념을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통해 요약할 수 있다. 즉, 프레임 A(510)와 프레임 B(520) 간에 장면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프레임 B(520)에 대하여 M 타입의 영상 범주에서 N 타입의 영상 범주로 영상 범주가 재분류된다. 그러나, 장면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프레임 간에는 동일한 타입의 영상 범주를 갖는다. 즉, 현재 입력된 프레임에서 장면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현재 입력된 프레임의 영상 범주는 이전 프레임의 영상 범주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밝기 보상 모듈(120)은 현재 입력된 프레임에 대한 영상 범주를 재분류한 후, 현재 입력된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계조 매핑 함수(TMF)에 대한 가중 평균을 연산한다(S225).
이 때, TMF는 저 전력 모드에서 각 영상 범주에 속하는 영상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최적화된 패턴을 나타내는 함수로서, 사전 실험을 통해서 저장 모듈(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6가지 타입의 영상 범주에 대한 TMF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 6에서 도시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휘도값을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 에서는 6비트 영상을 가정하여 0 ~ 63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의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각 휘도값에 대응하는 휘도 증가율을 나타낸다.
그런데,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는 단순히 해당하는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TMF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프레임에 대한 TMF와 이전 프레임에 대한 TMF에 대한 가중 평균을 적용하게 되는데, 이는 장면 전환시 발생하는 영상의 깜박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장면이 전환되더라도 영상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중 평균을 구하기 위해 이전 프레임에 적용된 TMF 정보를 갖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 LUT)이 저장 모듈(130)에 저장되어 있다.
장면 전환시 가중 평균 연산에 의한 TMF 적용을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M 타입의 영상 범주에서 N 타입의 영상 범주로 전환될 때, 장면 전환 이후 T개의 프레임에 걸쳐 영상의 밝기가 서서히 변하도록 하여 영상의 깜박임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장면이 전환되어 서로 다른 영상 범주가 할당될 경우, 장면 전환 후 영상의 TMF에 의한 밝기값 증가는 수학식 3과 같이 장면이 전환되는 앞뒤 프레임의 TMF를 가중 평균하여 보상되는 것이다.
Figure 112006077439651-PAT00002
이 때,
Figure 112006077439651-PAT00003
은 최종 적용될 밝기값 증가량이고,
Figure 112006077439651-PAT00004
Figure 112006077439651-PAT00005
은 각각 M 영상 범주와 N 영상 범주의 TMF에 의한 밝기값 증가량이며, T 는 장면 전환 후 가중 평균 TMF가 적용될 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낸다.
도 8에서는 위와 같은 프레임 보간에 의한 TMF 변환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TMF를 이전 영상 범주에서 다음 영상 범주로 서서히 변하도록 함으로써 동영상의 화면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학식 3에 의해 최종적으로 적용될 밝기값 증가량이 구해지면, 장면 검출 모듈(110)은 이를 기초로 현재 프레임의 영상 밝기를 보상한다(S230).
한편, S210 단계에서 장면 전환 검출 모듈(110)에 의해 장면 전환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밝기 보상 모듈(120)은 이전 프레임의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TMF를 적용하여 현지 프레임의 영상 밝기를 보상한다(S215).
이 때, 보상된 영상 밝기는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77439651-PAT00006
이 때,
Figure 112006077439651-PAT00007
은 보상된 영상 밝기를 나타내고,
Figure 112006077439651-PAT00008
는 입력된 영상의 원래의 밝기를 나타내며,
Figure 112006077439651-PAT00009
은 각각의 영상 범주별 계조 매핑 함수, 즉 계조 증가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06077439651-PAT00010
은 TMF 이득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TMF 이득은 영상 범주에 따라 고정된 값이거나 영상 내의 화소 위치에 따른 변하는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영상 범주가 실영상의 분포 특성과 유사한 A, B, C, E 타입일 경우에는 가변 TMF 이득을 적용하고, 그래픽 영상의 특성에 가까운 D, F 타입일 경 우에는 고정 TMF 이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영상 범주에 대한 가변 TMF 이득 및 고정 TMF 이득에 대한 정보는 저장 모듈(130)에 저장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에 따라 현재 입력된 영상의 밝기가 보상되면, 지역 대비 보상 모듈(140)에 의해 지역 대비(local contrast)가 보상되어 영상의 영역별 세밀함이 보완될 수 있다(S235). 이 때, 종래에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지역 대비 보상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채도 보상 모듈(150)은 TMF와 영역별 지역 대비 보상에 의해 발생되는 채도 감소를, 피부색과 이외 영역으로 분류하여 개별적인 채도 보상을 수행하게 된다(S240).
채도 보상의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래프를 이용할 수 있는데, 도 9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임의의 화소에 대한 채도 값을 0에서 100사이로 스케일링하고 각각의 화소에 대한 상대적인 채도 강화 값을 세로축에 나타내고 있다.
도 9에서는 채도의 강화를 위해 사용가능한 그래프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강화 정도는 영상의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실험에 의해 얻어질수 있다. 채도 향상을 위한 그래프는 도 9에 도시된 것뿐만 아니라, 채도 향상으로 인하여 영상의 시인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그래프라면 본 발명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채도 보상 모듈(150)에 의한 보상된 영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따를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전력 구동에 따른 밝기 감소를 보상함에 있어서, 동영상 화면의 깜박거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입력된 영상에 대한 장면 전환 여부를 검출하는 장면 전환 검출 모듈; 및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를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과 이전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의 가중 평균값에 의해 상기 입력된 영상의 밝기를 보상하는 밝기 보상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전환 검출 모듈은,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한 휘도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 여부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전환 검출 모듈은,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한 휘도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장면 전환 검출 식
    Figure 112006077439651-PAT00011
    에 의해 결정된 상기 SC 값과 소정의 장면 전환 문턱값을 비교하여 장면 전 환 여부를 검출하는데,
    상기 P와 C는 각각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나타내고, mean은 영상 전체에 대한 휘도값의 평균을 나타내고, HS은 상위 대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개수를 나타내고, LS은 하위 대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개수를 나타내고, MS은 중간 대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개수를 나타내며, DR은 휘도값에 대한 동적 범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평균값은
    Figure 112006077439651-PAT00012
    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Figure 112006077439651-PAT00013
    은 최종 적용될 밝기값 증가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06077439651-PAT00014
    Figure 112006077439651-PAT00015
    은 각각 이전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와 현재 입력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을 나타내고, T는 장면 전환 후 가중 평균 연산이 적용될 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내며, i는 인덱스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장면 전환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밝기 보상 모듈은 이전 영상에 대 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을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의 밝기를 보상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입력된 영상에 대한 장면 전환 여부를 검출하는 (a) 단계;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를 결정하는 (b)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과 이전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의 가중 평균값에 의해 상기 입력된 영상의 밝기를 보상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한 휘도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는 (a-1)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 여부를 검출하는 (a-2)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한 휘도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장면 전환 검출 식
    Figure 112006077439651-PAT00016
    에 의해 결정된 상기 SC 값과 소정의 장면 전환 문턱값을 비교하여 장면 전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P와 C는 각각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나타내고, mean은 영상 전체에 대한 휘도값의 평균을 나타내고, HS은 상위 대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개수를 나타내고, LS은 하위 대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개수를 나타내고, MS은 중간 대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개수를 나타내며, DR은 휘도값에 대한 동적 범위를 나타내는,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평균값은
    Figure 112006077439651-PAT00017
    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Figure 112006077439651-PAT00018
    은 최종 적용될 밝기값 증가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06077439651-PAT00019
    Figure 112006077439651-PAT00020
    은 각각 이전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와 현재 입력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을 나타내고, T는 장면 전환 후 가중 평균 연산이 적용될 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내며, i는 인덱스를 나타내는,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장면 전환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이전 영상에 대한 영상 범주에 대응하는 계조 증가량을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의 밝기를 보상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방법.
KR1020060104182A 2006-10-25 2006-10-25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843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182A KR100843090B1 (ko) 2006-10-25 2006-10-25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1/829,303 US8340413B2 (en) 2006-10-25 2007-07-27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mproving flicker of image
EP07118465.9A EP1918875A3 (en) 2006-10-25 2007-10-15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mproving flicker of image
CN2007101674270A CN101170708B (zh) 2006-10-25 2007-10-24 改进图像闪烁的显示装置和方法
JP2007276871A JP5334402B2 (ja) 2006-10-25 2007-10-24 映像のチラつきを改善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182A KR100843090B1 (ko) 2006-10-25 2006-10-25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298A true KR20080037298A (ko) 2008-04-30
KR100843090B1 KR100843090B1 (ko) 2008-07-02

Family

ID=3905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182A KR100843090B1 (ko) 2006-10-25 2006-10-25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40413B2 (ko)
EP (1) EP1918875A3 (ko)
JP (1) JP5334402B2 (ko)
KR (1) KR100843090B1 (ko)
CN (1) CN10117070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7941A1 (zh) * 2021-11-05 2023-05-11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亮度调节方法、装置以及显示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7082B1 (fr) * 2009-06-22 2014-12-12 St Ericsson France Sas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une image numerique pour eclaircir ladite image.
US8279349B2 (en) * 2009-11-17 2012-10-02 Nice Systems Ltd. Automatic control of visual parameters in video processing
US8737738B2 (en) 2010-02-19 2014-05-27 Thomson Licensing Parameters interpolation for high dynamic range video tone mapping
DE112010005418B4 (de) * 2010-03-25 2019-07-11 Nokia Technologies Oy Vorrichtung, Anzeigemodul und Verfahren zum anpassbaren Einfügen eines Leerrahmens
JP5829758B2 (ja) 2011-10-20 2015-12-09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ビデオ等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2930831B (zh) * 2012-11-06 2015-05-20 青岛海信信芯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屏图像显示方法、装置及液晶电视
CN103841337B (zh) * 2012-11-23 2017-04-05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背光补偿的方法和装置
CN103117045B (zh) * 2013-01-31 2015-04-22 青岛海信信芯科技有限公司 背光显示控制装置及背光显示控制方法
US9955084B1 (en) 2013-05-23 2018-04-24 Oliver Markus Haynold HDR video camera
CN104346793B (zh) * 2013-07-25 2017-11-2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闪烁检测方法及装置
US20160012571A1 (en) * 2014-07-11 2016-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277771B1 (en) 2014-08-21 2019-04-30 Oliver Markus Haynold Floating-point camera
US10225485B1 (en) 2014-10-12 2019-03-05 Oliver Markus Haynol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tonemapping
CN104464664B (zh) * 2014-11-21 2016-08-17 深圳市立德通讯器材有限公司 一种自动修正液晶显示屏Flicker的方法
US10530995B2 (en) * 2015-06-12 2020-01-07 Gopro, Inc. Global tone mapping
CN104980625A (zh) * 2015-06-19 2015-10-14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视频转场检测的方法和装置
CN106548763B (zh) * 2015-09-22 2020-09-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和装置、以及终端
CN105741786B (zh) * 2016-01-27 2018-11-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消除显示屏抖动的方法及移动终端
CN105872311B (zh) * 2016-05-30 2019-08-16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高动态范围画面切换方法及装置
US11183147B2 (en) * 2016-10-07 2021-11-23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content for display control
WO2018085447A1 (en) * 2016-11-04 2018-05-11 Flir Systems, Inc. Dynamic range compression for thermal video
CN106657714B (zh) * 2016-12-30 2020-05-15 杭州当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升高动态范围视频观看体验的方法
CN108024104B (zh) * 2017-12-12 2020-02-28 上海顺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对输入的高动态范围图像进行处理的方法和显示设备
CN108174238A (zh) * 2018-01-16 2018-06-15 北京数码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增强视频帧对比度的方法、装置和视频编解码器
KR102550846B1 (ko) * 2018-03-06 2023-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미지-적응 톤 맵핑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KR102662951B1 (ko) * 2018-12-27 2024-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CN111752506B (zh) * 2019-03-27 2024-02-13 京东方艺云(杭州)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作品显示方法及显示设备、计算机可读介质
CN110189693B (zh) * 2019-06-11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方法、显示驱动器和显示装置
KR20210026293A (ko) 2019-08-29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10863106B1 (en) * 2019-10-21 2020-12-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ED flickering and banding detection
CN111147924B (zh) * 2019-12-24 2022-10-04 书行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视频增强处理方法及系统
CN114038370B (zh) * 2021-11-05 2023-10-13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显示参数调整方法、装置、存储介质及显示设备
CN114119432A (zh) * 2021-11-09 2022-03-01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57510B2 (en) * 1991-05-24 1995-03-16 Apple Inc. Improved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JPH0799619A (ja) * 1993-05-24 1995-04-1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
JP3018914B2 (ja) * 1994-08-23 2000-03-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階調補正装置
JP3514523B2 (ja) * 1994-08-30 2004-03-3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ガンマ補正回路
JP2001042814A (ja) * 1999-07-08 2001-02-16 Lg Electronics Inc ディスプレイ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1229375A (ja) 2000-02-18 2001-08-24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1343957A (ja) * 2000-03-27 2001-12-1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7003153B1 (en) * 2000-09-29 2006-02-2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Video contrast enhancement through partial histogram equalization
JP2002158893A (ja) * 2000-11-22 2002-05-31 Minolta Co Ltd 画像補正装置、画像補正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7068841B2 (en) * 2001-06-29 2006-06-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digital image enhancement
JP3992177B2 (ja) * 2001-11-29 2007-10-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928424B2 (ja) * 2001-12-26 2007-06-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動画におけるフリッカ補正
JP2003244480A (ja) * 2002-02-20 2003-08-29 Fujitsu General Ltd 表示映像の輝度制御回路
JP4212290B2 (ja) 2002-04-08 2009-01-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
JP4050547B2 (ja) 2002-04-16 2008-02-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動画撮像システム
JP2003345315A (ja) * 2002-05-30 2003-12-03 Fujitsu Ltd 信号処理部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4032551A (ja) * 2002-06-27 2004-01-29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7034843B2 (en) * 2002-07-10 2006-04-25 Genesis Microchip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color and contrast for display devices
KR20040008067A (ko) 2002-07-15 2004-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간의 상관도를 이용한 화질 개선 회로 및 방법
JP3873917B2 (ja) * 2003-03-14 2007-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6879731B2 (en) * 2003-04-29 2005-04-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process for generating high dynamic range video
SG118191A1 (en) * 2003-06-27 2006-01-27 St Microelectronics Asia Method and system for contrast enhancement of digital video
US20050001935A1 (en) * 2003-07-03 2005-01-06 Shinya Kiuchi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009739B2 (en) * 2003-09-07 2011-08-30 Microsoft Corporation Intensity estimation/compensation for interlaced forward-predicted fields
JP4595330B2 (ja) * 2004-01-19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3698710B1 (ja) 2004-04-28 2005-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階調改善回路及び表示システム
US7573533B2 (en) * 2004-10-15 2009-08-11 Genesis Microchip Inc. Method of generating transfer curves for adaptive contrast enhancement
JP2006133439A (ja) * 2004-11-05 2006-05-25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4646797B2 (ja) * 2005-02-01 2011-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6270417A (ja) 2005-03-23 2006-10-05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信号処理方法及び映像信号処理装置
KR200394469Y1 (ko) 2005-06-07 2005-09-01 이희석 보조 방음벽의 설치구조
JP4687526B2 (ja) * 2005-07-27 2011-05-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動画像表示装置および動画像表示方法
CN1744687A (zh) * 2005-09-14 2006-03-08 上海广电(集团)有限公司中央研究院 一种动态提高视频图像视觉效果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7941A1 (zh) * 2021-11-05 2023-05-11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亮度调节方法、装置以及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0708A (zh) 2008-04-30
JP2008109669A (ja) 2008-05-08
JP5334402B2 (ja) 2013-11-06
US20080100743A1 (en) 2008-05-01
KR100843090B1 (ko) 2008-07-02
CN101170708B (zh) 2011-09-28
EP1918875A2 (en) 2008-05-07
US8340413B2 (en) 2012-12-25
EP1918875A3 (en)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090B1 (ko) 영상의 깜박임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09801605B (zh) 屏幕亮度调整方法、电子设备、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1089928B1 (ko) 비디오 재생 관리 기법
KR100855472B1 (ko) 저전력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791387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RU2472234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им дисплеем,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ий дисплей,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им дисплеем, программа и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для программы
KR100916073B1 (ko)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및 방법
US10878543B2 (en) Group management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17143635A1 (zh) 一种降低显示面板功耗的方法及系统
US8131103B2 (en) Image detail enhancement
US8860744B2 (en) System for image enhancement
US20070047808A1 (e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brightness enhancement and power control and method thereof
US8761539B2 (en) System for high ambient image enhancement
US20130257887A1 (en) System for improved image enhancement
KR102276902B1 (ko) 픽셀 콘트라스트 제어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15223509A (zh) 背光控制方法、装置、显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13168B (zh) 一种影像显示处理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3046807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CN117198220B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装置、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7198219B (zh) 显示屏显示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CN108735180B (zh) 一种影像处理方法及装置
Kim et al. Error diffusion algorithm for gray level representation on a plasma display panel
CN117952875A (zh) 图像对比度增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ung et al. Power constrained contrast enhancement based on brightness compensated contrast-tone mapping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