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163A - 유리 용융용 내열재, 유리 물품 제조 장치 및 유리 물품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용융용 내열재, 유리 물품 제조 장치 및 유리 물품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163A
KR20080036163A KR1020077021292A KR20077021292A KR20080036163A KR 20080036163 A KR20080036163 A KR 20080036163A KR 1020077021292 A KR1020077021292 A KR 1020077021292A KR 20077021292 A KR20077021292 A KR 20077021292A KR 20080036163 A KR20080036163 A KR 20080036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inum
melting
molten glass
contain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사 카다
타투야 타카야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3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e.g. fire-br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의 가열 제조 장치(10)에 탑재되는 백금 함유재(F)로 이루어진 유리 용융용 내열재이며,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의 백금 함유재(F)의 두께가 1.1mm~50mm의 범위내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10)는 상기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를 용융 유리(G)의 유동하는 조의 노바닥면, 측벽면 및 조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의 내표면으로 이루어진 군의 어느 하나에 배치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10)을 사용하여 유리물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유리 용융용 내열재, 유리 물품 제조 장치,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유리 용융용 내열재, 유리 물품 제조 장치 및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HEAT RESISTANT MATERIAL FOR GLASS MELTING, GLASS ARTICLE PRODUC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GLASS ARTICLE}
본 발명은 유리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성하는 내열재 및 그 장치를 사용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유리 물품을 제조하는 기술은 많은 곤란한 과제를 극복함으로써 발전해 왔다. 예를 들면, 현저한 발전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정보 기기를 지지하는 기초적인 부재 중 하나로서, 화소표시면에 사용되는 박판 유리나 액정 백라이트로서 이용되는 세관 유리로 대표되는 각종 유리 물품의 제조기술은 높은 성형치수 정밀도를 실현하고, 또한 높은 균질성을 실현한다는 과제에 대응하는 것으로 그 기술이 한층 향상되어 왔다.
유리 물품의 균질도를 저해하는 것으로는 용융 유리중의 미용해물이나 결정석출물, 맥리(threads, strings, streaks, cord), 줄무늬(scratch), 놋트(knot), 코드(cord), 스트리에(striae), 캣츠스크래치(catscratch), 림(ream) 등 여러가지 이지만, 용융 유리 중의 기포(seed, buble, blister)도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결함 중 1개이다. 용융 유리 중의 기포결함의 수의 증가는 유리 물품의 품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유리 물품의 제조효율을 저하시킨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같은 관점에서, 용융 유리중의 기포수를 저감시키기 위한 발명은 지금까지도 다수 행하여져 왔다. 특히, 최근 주목되고 있는 것으로서, 용융 유리중에 존재하고, 유리 물품의 결함이 되는 미세치수를 갖는 산소 기포의 문제가 있다. 이것은 백금을 함유하는 유리 제조 장치와 용융 유리의 계면에 발생하는 산소기포에 주목하는 것으로 그 대책으로서 특허문헌1은 용융 유리중에 생기는 산소 함유 기포의 발생원인에 대해서 용융 유리중에 존재하는 물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 수소 가스가 유리 용융장치를 구성하는 백금을 투과하여 계외로 유실함으로써 용융 유리중에 잔류하는 산소가 기포를 형성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대책으로서 유리중의 β-OH를 저감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백금 표면에 수소, 산소 불투과의 피복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발명도 행해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용융 용기 외부의 수소분압을 억제한다는 발명이 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용융 용기를 2중 구조로 하는 것으로, 내측의 용기내에는 기포의 발생을 최소로 할 수 있다는 발명도 행해져 있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표 2001-500098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 특허공표 2004-523449호 공보
특허문헌3:일본 특허공표 2001-503008호 공보
특허문헌4:일본 특허공개 2003-95663호 공보
그러나, 지금까지 행해진 발명만으로는 용융 유리중에 생기는 미세한 산소기포를 저감하기 위해서 충분하지 않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같이 유리중의 β-OH를 저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리 조성중에 염소를 함유시키면, 유리 물품의 재가열 처리중에 염소가 발생하기 쉬어지는 경우도 있고,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와 같은 정밀 배선 구조를 이용하는 유리기판 등의 용도에서는 발생하는 염소 때문에 높은 성능을 실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이 백금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유리 제조 조건에 의한 열충격이나 기계적인 충격에 의해 피막이 파손하기 쉽고, 피막에 약간 파손된 부분이 생겨도 용융 유리에는 치명적인 결함을 발생시킬 위험을 갖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있는 것처럼 수소 분압 제어를 위해 수증기 분압을 조절하는 것은, 각 공정에서의 온도차를 수반하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분압제어가 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공정간의 밸런스를 취하면서 안정화시키는 것을 제어곤란하게 될 경우가 있고, 안정한 생산을 장기간 계속해서 행하기 위해서는 무리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4와 같은 2중 구조의 구성으로 하는 것은 용융장치의 한정된 부분에서는 가능해도 기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전체 부분에 대해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기 위해서는 구조상에서의 제약도 있고, 대응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자들은 용융 유리중에서 그 균질성을 저해하는 산소 함유 기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용융 설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유리 용융용 내열재와 그 내열재를 사용한 유리 물품 제조 장치, 또한, 그 유리 물품 제조 장치에 의해 실현할 수 있는 유리 물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의 가열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백금 함유재로 이루어진 유리 용융용 내열재이며,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을 갖고 백금 함유재의 두께 1.1mm~50mm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의 가열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백금 함유재로 이루어진 유리 용융용 내열재로서,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을 갖고 백금 함유재의 두께가 1.1mm~50mm의 범위내에 있는 것은 복수개의 산화물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나타낼 수 있는 유리 조성물을 용융 유리 상태로 하기 위해, 가열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백금 함유재에 대해서 용융 유리와 직접 접촉하여 계면을 형성하는 면을 구성하는 백금 함유재의 면에 수직인 두께치수가 1.1mm 이상이고, 또 50mm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백금 함유재란, 성분으로서 플래티늄(Pt)을 함유하는 것, 즉 백금 합금이나 백금 등의 금속재, 또한 백금을 분산한 세라믹재를 의미하는 것이며, 백금의 함유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 백금을 ppm 오더의 불순물로서 함유하는 것은 본 발명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을 갖는 백금 함유재의 두께가 1.1mm~50mm의 범위내에 있는 것은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을 갖는 백금 함유재의 두께가 1.1mm 미만이면 산소 기포가 용이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백금 함유재의 두께가 1.1mm미만에서는 구조적인 강도에도 지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같은 관점에서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의 백금 함유재의 두께는 두꺼운 편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작하게는 1.2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mm 이상, 한층 바람직하게는 1.4mm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5mm이상, 한층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6m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2mm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을 갖는 백금 함유재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제조 설비의 구축에 필요로 하는 비용이 커지게 된다. 이와같은 관점에서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을 갖는 백금 함유재의 두께는 가능한 한 얇은 편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mm 이하로 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mm 이하, 한층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 또한 한층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로 하는 것이다.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은 액상 상태의 용융 유리에 젖는 부분, 즉,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라는 의미이며, 용융 유리가 어떠한 부재에 스며들음으로써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바와 같은 접촉하는 부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또한, 용융 유리중의 구성성분이 증발 또는 휘발함으로써, 백금 함유재의 표면이 젖도록 성상을 나타내는 모양이 되어 있는 것도 접촉하는 부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말하는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은, 용융 유리의 액상에 침지되어 접촉하고, 용융 유리와 액체 고체 계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용융 유리와 직접 접촉하는 백금 함유재의 사용 부분에 대해서 예시하면, 용융 유리를 수용하는 내열 재료제의 용기로서, 도가니 내벽표면이나 저면부 등, 또는 탱크(tank), 용융조(室), 청징조(室), 교반조(室), 작업조(室), 도가니, 폿트(Pot), 쓰로우트(throat), 라이저(riser), 피더(feeder), 주전(forehearth), 취수지(forebay), 도레인(dorain) 그리고 도그 하우스(doghouse)등이나 그것들의 특정 부분, 즉 노바닥(또는 페이빙), 노벽(혹은 측벽(sidewal1)), 둑(또는 댐 월(damwal1)), 문지방, 파이프(pipe) 그리고 홈통(gutter) 등의 내화재, 혹은 내열 금속재료제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유리 용융로의 주요한 백금 함유재, 혹은 용융 유리를 균질화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터러(stirrer), 츠일(또는 트윌(tweel)), 니들(needle), 게이트(gate), 댐퍼, 블렌더(blender), 로터(rotar), 튜브(tube) 그리고 패들러(paddler) 등의 내열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용융 유리에 침지되는 중공구조를 갖는 백금 함유재, 또한 롤(rol1), 슬릿(slott:슬롯), 립 타일(riptile), 스키마(skimmer), 웨트 백 타일(wetbacktile), 드로우 바(drawbar), 스파우트(spout), 컵(cup), 오리피스(orifice), 퓨전 파이프(fusionpipe), 부싱(bushing) 그리고 노즐(nozzle, spinning hole)등이라고 한 용융 유리를 정밀 성형하는 데에 빠뜨릴 수 없는 성형 부품을 구성하는 내화재나 내열재료이며, 직접 용융 유리가 접촉하는 백금 함유재가 해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의 연구에 의하면, 융융 유리 중의 산소 기포에 관한 문제는 백금의 판두께 치수를 얇게 하는 것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즉, 유리 제조 장치에 백금 또는 백금 함금을 사용하는 경우, 설비 비용의 증대를 초래한다는 것이고, 특히 액정 표시 장치에 탑재된 기판용 판유리의 제조에서는 대량의 백금이 필요로 되므로, 비용 상승의 대책으로서 백금 장치의 육박화가 행해졌다. 이와같은 설비 비용의 삭감대책이 행해졌던 바, 유리 물품의 기포 결함이 대폭 증가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리 제조 장치의 정지후에 백금장치를 조사한 결과, 백금장치와 용융 유리의 접촉 계면 또는 그 근방에 다수의 산소 기포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점에 주목해서 연구를 거듭해서 본 발명에 이르렀다. 따라서, 상술한 용융 유리와 계면을 이루는 각 백금 함유재 중에서도, 액정 표시 장치에 탑재된 기판용 판유리를 제조하는데 필요하는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백금 함유재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제조 장치는 어떤 열원에 의해 가스원료를 가열하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LPG나 산소 등의 가스 원료, 고체 화석 원료를 미분말 상태로 한 것, 또한 액화 연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등을 사용해서 전기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의 복수개의 방법을 필요에 따라서 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상술한 것 외에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을 갖는 백금 함유재의 두께 치수L이 용융 유리 온도T가 1458.5℃ 미만에서는 수1의 식에 따르고, 또한, 용융 유리온도T가 1458.5℃ 이상에는 수2의 식에 따르며, 어느 것이어도 하기의 어느 한쪽의 수식에 의해 얻어지는 두께치수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1]
Figure 112007067051673-PCT00001
[수2]
Figure 112007067051673-PCT00002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행해진 산소 기포를 방지하기 위해 행해진 발명과는 전혀 다른 시점에서 용융 유리중의 결함이 되는 산소 기포의 거동에 관한 상세한 연구를 행하고, 용융 유리 중에 함유된 이물 등을 용해하는 것으로 용융 유리의 균질성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용융 유리 온도T를 특정함으로써, 이 특정된 온도T에서의 백금 함유재료와 용융 유리 계면에 있어서의 발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백금 함유재의 두께치수L을 실현할 수 있는 조건을 찾아냈다. 그리고 특정 용융 유리온도T를 실현할 필요가 있는 유리 물품 제조 장치의 상술한 것과 같은 특정 부위에 사용되는 유리 용융용 내열재의 두께치수를 용융 유리 온도 T가 1458.5℃미만에서는 수1로 표현된 소정 두께치수L이 되도록 하고, 용융 유리의 온도T가 1458.5℃ 이상에는 수2로 표현된 소정의 두께치수L이 되도록 설계, 구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수1 또는 수2로 표현되는 용융 유리 온도T와 백금 함유재의 두께치수L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용융 유리온도T가 1300℃이면, 구성부재의 두께치수L은 1.1mm, 1,6mm, 2.2mm, 용융 유리온도가 1400℃이면, 백금 함유재의 두께치수L은 1.6mm, 2.2mm, 용융 유리온도T가 1500℃이면 배금 함유재의 두께치수L은 1.6mm, 2.2mm, 2.8mm, 용융 유리온도T가 1600℃이면 2.8mm, 4.0mm라고 한 구성 등이 바람직한 것이다.
수1 또는 수2의 식에서는 백금이 100질량%인 판재를 평가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며, 백금 함유재의 백금 함유율이 적어졌던 경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백금과 합금화한 재료이면, 백금 이외의 재료가 백금 보다도 용융 유리와의 접촉 계면의 발포성이 낮은 재료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용융 유리와의 반응성이나 내식성 등의 성능에 대해서도 충분한 음미가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상술한 것 외에 백금 함유재의 백금 함유율이 적어도 10질량%이면, 고온 상태이어도 충분한 용융 유리에 대한 내식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백금 함유재의 백금 함유율이 적어도 10질량%인 것이란, 충분한 내열성을 갖는 가열장치를 구성하는 백금 함유재로서 그 백금 함유재 중의 백금의 함유 비율을 질량 백분율로 표시함으로써 10% 이상 함유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백금 함유재에 대해서는, 요구되는 강도나 내열성에 따라서, 10% 이상이면 어떤 백금 함유량이어도 좋지만, 사용 부위나 필요한 경비나 내구성 등의 성능, 유리와의 반응성을 낮게 한다는 관점에서 가능한 한 함유율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백금 함유재의 백금 함유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으로 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한층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백금 함유재에 대해, 백금 이외의 함유 원소는 장기간에 걸친 내열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하게 한정되는 일은 없다. 단, 백금 함유재의 표면에서의 용출 등의 결과, 유리 물품을 불필요하게 착색하거나 하는 일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Ir(이리듐), Os(오스뮴), Rh(로듐), Zr(지르코늄), Ru(루테늄), Pd(팔라듐), Si(규소), Y(이트륨), Ce(세륨), La(란탄), Gd(가돌리늄), Ta(탄탈), Ti(티탄), Hf(하프늄), Al(알루미늄), Sc(스칸듐), Ca(칼슘), Mg(마그네슘) 혹은 Ba(바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상술한 것 외에 백금 함유재는, 용융 유리를 연속 용융하는 가열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면 기포의 발생수가 장기간에 걸쳐 억제된 안정한 품위의 유리 물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백금 함유재가, 용융 유리를 연속 용융하는 가열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것은 단속적인 생산밖에 할 수 없는 일괄식의 가열 제조 장치가 아니라 탱크로 등의 유리 용융 설비를 이용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유리 물품을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유리 용융 설비의 가열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유리 용융 설비에 대해서는, 어떤 구성이어도 700℃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장치를 구비하고, 균질한 용융 유리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면 채용가능하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속도에 대해서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상술한 것 외에 백금 함유재가 1 리터 이상의 용융 유리 유동부를 갖는 가열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면 기포 이외의 균질성을 저해하는 원인으로 되는 부쯔나 맥리, 놋트 등도 가열 용융하는 데에 충분한 용융 유리의 수용 용적을 갖고 용융 유리를 한층 균질한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백금 함유재가, 1리터 이상의 용융 유리 체류부를 갖는 가열장치에 적용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백금 함유재에 사용되는 적정한 열원을 갖는 가열 제조 장치가, 용융 유리를 유동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대략 용기형상의 구조를 갖고, 용융 유리를 유동시키는 그 구조부의 내용적의 크기가 1×103cm3이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용융 유리 유동부가 1리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 유리의 유속은 미세한 치수의 기포가 용융 유리중에 형성될 때까지 충분한 시간만큼, 용융 유리가 같은 장치내에 체류하는 정도의 상대적인 낮은 속도로 되는 부분이 용융 유리 유동부의 흐름의 일부에 형성되는 위험성이 있다. 이 경우는 용융 유리 중의 기포의 형성속도와 용융 유리의 유속의 상대적인 속도비에 의존해서 기포가 형성되기 쉽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1리터를 초과하면 용융 유리 중의 이물이나 놋트 등을 용융 유리 중에 완전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것이지만, 그 한편으로 용융 유리중의 기포의 발생을 효율 좋게 억제한다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바람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조건에 적당한 구조를 갖는 가열 제조 장치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기포에 대해서도 기포의 발생이 억제되는 균질한 품위가 되므로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상술한 것 외에 백금 함유재가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의 이면측의 적어도 일부 표면을 유리, 세라믹스, 결정화 유리, 콘크리트, 모르타르, 및 내열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료에 의해 지지되어 이루어지면, 백금 함유재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여러가지 물리화학적인 부하에 대해서 백금 함유재를 보호하는 것으로 백금 함유재가 고온 상태인 용융 유리를 장기간에 걸쳐 계속해서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백금 함유재가,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의 이면측의 적어도 일부 표면을 유리, 세라믹스, 결정화 유리, 콘크리트, 모르타르, 및 내열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료에 의해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은 고온 상태인 용융 유리와 직접 접촉하고 있는 표면에 대해서, 그 반대측에 상당하는 백금 함유재의 이면에 대해서 그 전면적의 일부가 다른 부재에 의해 당점 지지되는 상태이며, 더욱이 이것 외에 부재는 유리, 세라믹스, 결정화 유리, 콘크리트, 모르타르 및 내열 금속 중 적어도 어느 1종인 재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접촉 지지하는 각 부재는 반드시 고체상일 필요는 없지만, 고온 상태에서 백금 함유재의 경시적인 변형을 억제하도록 하는 움직임을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당접 지지하는 부재는 단독일 필요는 없고 복수의 부재를 조합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백금 함유재와 고온상태에서 반응성이 부족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용융 유리중에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산소를 흡수하는 비소(As) 등의 청징제가 함유된 경우이어도, 그 나름대로 산소 함유 기포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지만, 특히, 큰 효과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청징제를 첨가하지 않는 상태 또는 청징제의 첨가량이 현저히 적은 상태로, 용융 유리를 제조하는 경우에 적용한 경우이다.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유리 용융용 내열재를 가열 제조 장치의 노바닥면, 측벽면 및 조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의 내표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에 기재된 유리 용융용 내열재료가 가열 제조 장치의 노바닥면, 측벽면 및 조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의 내표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면에 배치된다는 것은,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을 갖고, 또 백금을 함유하는 백금 함유재의 두께가 1.1m~50mm 범위내에 있는 유리 용융용 내열재를 용융 유리를 유동하는 가열장치, 구체적으로는 조의 저면부, 또는 측면부, 또한 복수개인 조와 조 사이의 관이나 홈통 등, 용융 유리를 조에서부터 조로의 이동, 즉 유동시키기 위해 설치된 연결 구조부의 내표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배치된 구조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단일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를 실시한 것이어도, 복수개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를 병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높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다른 수단과 병용함으로써 유리 용융용 내열재의 사용시의 강도를 향상하도록 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상술한 것 외에 장치내의 용융 유리의 온도가 700℃~2200℃이면, 용융 유리의 점성을 충분하게 낮은 점성 상태로 하는 것으로 기포 이외의 이물, 놋트나 맥리와 같은 결함도 균질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도로부터, 소정의 형상으로 정밀 성형해서 유리 물품으로 하는데에 적당한 점도까지의 범위에 대해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서, 이러한 점도 영역에 있어서, 미세치수의 기포의 발생, 형성을 용융 유리중에서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장치내의 용융 유리의 온도가 700~2200℃에 있는 것은 용융 유리의 온도를 열전대나 광학적인 방법 등으로 계측함으로써 특정된다. 용융 유리의 온도는 2200℃를 초과하는 상태로 하는 것은 용융 유리의 점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효과적이지만, 용융 유리를 가열하는 장치의 부대설비 등의 내사용기간을 짧게 하는 등의 폐해가 생기기 쉬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용융 유리의 온도를 700℃ 보다도 저온으로 하면 용융 유리를 성형하는 경우에 적정한 형상으로 하기 어려운 등의 유리 물품을 성형하는데 있어서의 지장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상술한 것 외에 유리 용융용 내열재를 물리적인 교반조작을 행하는 설비 장치의 탑재된 조에서 성형장치에 이르는 공정, 소위 하류 공정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면, 장치벽에 미세한 치수의 산소 함유 기포를 형성하지 않고, 성형된 유리 물품 중에 미세 기포를 혼입할 우려가 적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미세 치수의 산소 함유기포란,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1500℃의 용융 유리 중에 2.5cm/시간 보다도 부상속도가 작아지는 치수를 갖는 기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상술한 것 외에 판유리를 제조하는 것이면, 각종 용도에서 사용된 높은 품위인 판유리의 품위를 한층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판유리를 제조하는 것이란, 용융 유리 가열 장치로 가열되어 용융 유리로 하고, 더욱 균질화한 상태로 각종 성형장치를 구사하는 것으로 여러가지 치수를 갖는 판유리를 성형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성형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트 성형장치, 오버 플로우 다운 드로우 성형장치, 쓰롯 다운 드로우 성형장치, 롤 아웃 성형장치, 리드로우 성형장치라고 하는 각종 성형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상술한 것 외에,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치이면, 높은 화상 품위를 갖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수 있는 판유리로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는, 어떤 표시방식을 채용한 것이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Plasma Display Panel), 무기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FED:Field emmission display:전계방출 디스플레이로 칭함), 또는 SED(Surface Conduction Emitter Display), 형광 표시관 디스플레이(VFD:Vacuum Fluoresscent Display), 일렉트로 루미네이션 디스플레이(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형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Display(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일렉트로 크로믹 디스플레이(ECD:Elctro Cromic Display),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PD:Electrophoretic Display)로 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상술한 것 외에 액정 표시 장치 탑재용 판유리를 제조하는 것이면, 소형 표시 장치로부터 제 6 세대를 초과하는 대형표시 장치에 이르는 각종 치수의 액정 표시 장치에 탑재된 높은 균질도를 갖는 품질의 판유리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액정 표시 장치이면, 액정소자가 다르거나 화소표시방식이 다른 등에는 관계없이 본 발명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으로서 네마틱 액정, 스메틱 액정, 또는 콜레스테릭 액정 등의 종별에는 관계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화상 표시방식에 대해서도 STN이나 TFT 등의 각종 방식이 다름에 의존하지 않고 채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 탑재되는 판유리로서는 무알칼리 유리 또는 저알칼리 함유율의 유리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유리 조성물로서, 그 성분을 산화물 환산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표시하면, SiO2 40~85%, Al2O3 1~28%, RO 2~45%(RO=MgO+CaO+ZnO+SrO+BaO)라고 한 유리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 탑재용 판유리를 제조하는 유리 물품 제조 장치로서는 기포 이외에도 용융 유리중에 있어서의 백금 입자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백금 함유재로부터의 백금 입자의 박리, 재결정 등으로 생기는 용융 유리 중의 백금입자의 수를 가능한 한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이와같은 설비구성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유리 물품 제조 장치의 백금 입자가 생성하기 쉬운 부분에는 백금을 피복하는 기능을 갖는 적절한 세라믹스 등의 보호재를 실시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상술한 것 외에 고체촬상소자용 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치이면, CCD(Charge Coupled Device:전하결합소자),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로 한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각종 고체촬상 소자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촬상장치용 판유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이며, 또한 α선의 발생원으로 이루어진 우라늄, 토륨 또는 라듐 등의 미량 방사성 원소가 ppb(parts per billion)의 오더이어도 용출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상술한 판유리 이외에도 고온 가열을 필요로 하는 구조재의 배치가 불가결한 각종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섬유를 제조하는 용융로, 액정 백라이트나 크세논 플래쉬 램프 등의 광원용 고정밀도 통모양 유리관, 광부품의 렌즈 등으로서 이용되고, 굴절율이나 분산, 투과율의 관리를 행할 필요가 있는 각종 광학유리, 건재용도나 가전용도 등에 다용되는 액정화 유리재 등의 유리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유리 물품 제조 장치로서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재된 유리 물품 제조 장치를 사용해서 유리 물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에 기재된 유리 물품 제조 장치를 사용해서 유리 물품을 제조하는 것은 상술한 것과 같은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의 가열 제조 장치에 탑재된 백금 함유재이며,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의 백금 함유재의 두께가 1.1mm~50mm의 범위내인 유리 용융용 내열재가 용융 유리의 유동하는 가열장치의 노바닥면, 측벽면 및 조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의 내표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태된 1종 이상의 면에 배치된 유리 물품 제조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리 물품을 제조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용융 유리를 균질화하기 위한 다른 수단, 다른 방법 또는 장치와의 병용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다른 방법을 적당하게 조합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하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여러 가지 용융 유리의 교반장치, 용융 유리의 감압장치, 용융 유리의 기포장치 등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1)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의 가열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백금 함유재로 이루어진 유리 용융용 내열재로서,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을 갖는 백금 함유재의 두께가 1.1mm~50mm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므로, 유리중의 산소 함유율이 높은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2)또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용융 유리의 온도T가 1458.5℃ 미만인 경우의 백금 함유재의 두께의 하한값이 1.1mm이고, 또, 용융 유리의 온도T가 1458.5℃ 이상인 경우의 백금 함유재의 두께의 하한값이 (0.012T-16.4)mm로 설정되는 것이므로, 백금 함유재의 두께는 용융 유리의 온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적절한 치수가 된다.
(3)또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백금 함유재의 백금 함유율이 적어도 10질량%이어도 계면에서의 산소 함유율이 높은 기포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높은 고온 내구성을 실현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친 안정한 생산에 기여하는 것이다.
(4)또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백금 함유재는 용융 유리를 연속용융하는 가열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대량의 용융 유리를 연속적으로 가열하는 장치이어도 미세 치수를 갖는 산소 함유율이 높은 기포의 생성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속의 생산속도로 유리 물품이 생산된 경우에도 안정한 제조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5)또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는 백금 함유재가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에 대한 이면측의 적어도 일부 표면을 유리, 세라믹스, 결정화 유리, 콘크리트, 모르타르, 및 내열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에 의해 지지되어 이루어지면 백금 함유재가 사용되는 온도나 분위기에 따라 최적의 재료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므로 높은 내열성을 실현할 수 있다.
(6)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상기 어떤 것에 기재된 유리 용융용 내열재가 용융 유리의 체류하는 조의 노바닥면, 측벽면 및 조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의 내표면으로 이루어지는 군의 어느 것에 배치된 것이므로, 용융 유리중에서 미세한 산소함유율이 높은 기포가 형성되기 쉬운 백금 함유재의 소정 부분에 효과적으로 기포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7)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장치내의 용융 유리의 온도가 700℃~2200℃이면 기포가 형성되기 쉬운 온도범위에 적용됨으로써, 산소 함유율이 높은 기포가 형성되는 비율을 저감할 수 있고, 균질한 상태의 용융 유리를 실현하기 쉬운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8)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판유리를 제조하는 것이면 여러가지 용도에 이용되는 판유리를 산소함유율이 높은 기포가 혼입하기 어려운 환경에 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9)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치이면, 여러가지 치수를 갖는 판유리가 필요로 되는 용도에 이용되는 것이어도, 판유리 치수에 의존하지 않고, 높은 균질성을 갖는 판유리를 대량으로 안정하게 생산할 수 있다.
(10)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탑재용 판유리를 제조하는 것이면, 산소 함유율이 높은 미세한 기포가 존재하지 않는 대면적을 갖는 박판 유리를 연속성형할 수 있으므로, 대화면 디스플레이에 탑재되는 점에서 요구되는 대면적 치수를 갖는 판유리를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균질도를 갖는 상태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11)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는 고체 촬상 소자용 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치인 것이면 높은 화소를 갖는 이미지센서를 구성하는데에 불가결한 높은 균질성을 갖는 판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12)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방법은 상기에 기재된 유리 물품 제조 장치를 사용해서 유리 물품을 제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용융공정에서 발생하는 산소 함유율이 높은 기포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유리 물품 제조 장치의 부분단면도이며, (A)는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B)는 (A)의 X-X 단면을 표시한 요부단면도.
부호의 설명
10:유리 물품 제조 장치 20:유리 용융조
21:슛터(shooter) 22:원료 주입기
23:버너 24:전극
30:유리 청징조 40:피더
50:쓰로우트 B:버블링(bubbling)
M:유리 원료 G:용융 유리
R: 내화물 F:백금 함유재
이하에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와 그 내열재를 사용한 유리 물품 제조 장치, 또한 유리 물품 제조 장치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실시예를 기초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발명자들이 행한 시험단계 레벨의 평가에 대해 이하에 그 내용을 설명한다.
유리중의 β-OH 양이 518ppm의 무알칼리 유리(산화물 환산의 질량백분율 표 시로 표현된 유리 조성은 SiO2 59질량%, Al2O3 17질량%, B2O3 10질량%, MO(M=Ca, Mg, Ba, Sr, Zn) 14질량%인 유리)을 미리 용융함으로써 균질화하고, 두께 0.7mm의 투광면에 상당하는 양면이 경면상태의 박판유리상으로 성형했다. 이 유리는 액정 표시 장치에 탑재되기 때문에 박판유리로서 성형되는 것이지만, 이 판유리를 50×50×0.7mm의 직사각형 박편상으로 절단해서 순수로 세정하고, 간접 건조로내에 150℃, 10시간의 조건으로 건조한 것을 준비했다. 그리고, 이 판유리 시료 22장을 미리 준비한 소정의 각 두께를 갖는 백금 100질량%의 조성을 갖는 백금 도가니(저면직경 40mm, 상부 끝 가장자리 직경 55mm, 높이 20mm)의 상부 끝 가장자리에 적층하고, 그 상태로 상자형 가열 전기 저항로 내에 정치했다. 가열 전기 저항로에 의한 가열스케쥴은 1200℃까지 10℃/분으로 승온한 후에, 소정의 시험온도인 다른 상자형 시험로 내에 투입해서 30분간 정치하고, 그 후 백금 도가니를 시험로에서 취출하여 실온까지 냉각해서 관찰용 시료로 했다. 이와같이 유동하지 않는 용융 유리에 대해서 일정 기간 유지한 상태로 관찰을 행함으로써 가혹한 상황에서 평가를 행한다. 이어서 이 관찰용 시료에 대해서, 도가니 저부의 유리와 백금의 계면부에 생성한 산소 함유 기포의 존재 유무와 그 상태를 관찰, 조사했다. 조사에는 육안 및 20배의 실체 현미경을 사용했다. 또한 판유리의 연화변형시 잔류 말림 기포 등, 본 건과는 무관계한 원인에 의해 생성한 것이 명확한 치수, 형상 및 발생부위를 갖는 기포에 대해서는 용이하게 조사의 대상외로 할 수 있으므로, 재현성이 있는 평가를 행했다.
이상의 순서로 여러가지 백금 도가니의 두께, 가열유지 온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표1에 정리한다. 표1에서 ○로 표시한 것은 유리와 백금의 계면부에 발포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로 표시한 것은 계면부에 발포가 관찰되었던 것이다. 단, 시험의 성격상, 적층된 유리판 사이에 생기는 말림 기포에 대해서는 관찰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말림 기포는 기포 치수가 백금 계면에서 발생할 기포치수와 다르므로, 기포의 외관 관찰에 의해 높은 정밀도에서 제외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7051673-PCT00003
표1에서 명백한 것처럼, 유지온도가 1300℃, 1400℃의 경우, 백금의 두께가 0.4mm 이상이면, 즉 1.1mm, 1.6mm, 2.2mm이면 산소 함유 기포의 발포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예를 들면, 1600℃이고 0.4mm의 두께에 대해서 조사한 계면부에는 산소를 함유하는 기포가 다수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1500℃에서 1.6mm이상, 즉 1.6mm, 2.2mm의 두께 치수이면 발포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1300℃, 1400℃에서 사용한 0.4mm의 두께의 백금에서는 구조재로서 취약하므로 실사용에서는 강도가 약하고 사용상의 곤란이 예상되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조사에서, 본 발명자들은 백금 함유재와 용융 유리 온도에 대해서 수1 및 수2에 표시된 것과 같은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 따라서, 유리 물품 제조 장치의 소정온도를 필요로 하는 부분을 소정 두께의 구조재로 구성하는 것으로, 산소 기포가 혼입하는 것이 없는 유리 물품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이어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인 백금 함유재에 대해서, 유리 물품 제조 장치에 적용하는 사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유리 물품 제조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1(A)는 장척방향의 단면도이고, 도1(B)는 도1(A)의 X-X 단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대형 유리 용융장치는 또한 성형부에 연결되고, 용융 유리는 성형부에서 성형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만을 부분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 유리 물품 제조 장치(10)는 유리 용융조(20)와 유리 청징조(30)는 쓰로우트(50)을 통해서 연결한 구조이다. 그리고 유리 청징조(30)은 피더(40)에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피더(40)는 백금 함유재(F)로서 질량백분율 표시로 백금 90%-로듐 10%의 조성을 갖는 백금 함유의 내열 합금재(F)의 표면이 용융 유리(G)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한 구조이다. 이 백금 함유재(F)의 두께 치수는 측벽면이 1.1mm, 노바닥면이 1.3mm로 되어 있다(도1(B) 참조). 그리고 이 백금을 함유하는 내열 합금제의 백금 함유재(F)의 외측에는 단열기능과 충분한 구조강도를 실현하기 위해 세라믹스 블록재(R)이 배치되어, 세라믹스 블록재(R)의 지주에 의해 백금 함유재(F)를 지지하고 있다.
이어서 이 유리 물품 제조 장치(10)을 사용하고, 유리 조성이 산화물 환산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 59질량%, Al2O3 16질량%, B2O3 9질량%, MO(M=Ca, Mg, Ba, Sr, Zn) 16질량%의 무알칼리 유리 물품(액정 표시장치 탑재의 화상 표시부 판유리용도나 고체 촬상장치의 커버 유리 등으로서 이용되는 박판 유리)를 제조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미리 복수개의 유리 원료를 칭량하고 또한 유리 카렛트를 10질량% 상당만 배합하고, 혼합해서 조정한 유리원료(M)를 유리 용융조(20)에 배치한 슛터(21)로부터 원료 주입기(스크류 투입기)(22)로 유리 용융조(20)내에 연소투입한다. 투입된 유리 원료(M)는 유리 용융조(20)내에 버너(23)나 전극(24)을 열원으로 한 가열에 의해 고온화학반응을 일으키고, 탄소 가스나 산소가스, 수증기 등의 각종 가스를 발생시키면서 용융상태로 되고, 반응이 더욱 진행하여 용융 유리 상태로 이행해 갔다. 이렇게 생성한 용융 유리(G)는 버블링(B)에 의한 균질화 조작을 행한 후에 쓰로우트(50)을 거쳐 유리 청징조(30)로 유입한다. 용융 유리(G)는 약 30리터의 내용적을 갖는 유리 청징조(30) 내에서 미세한 잔류 기포가 청징된 균질한 상태로 된 후, 균질화된 용융 유리(G)는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로서 백금 함유재(F)를 측벽, 로바닥에 각각 배치한 피더(40)로 유입한다. 용융 유리(G)의 온도가 1300℃~1400℃로 된 피더(40)에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를 배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용융 유리(G)와 백금 함유재(F)의 계면에 생성한 미세한 산소를 함유하는 기포를 피더(40)의 선단측에 있는 성형부(도시안됨)로 흘러들어가는 것에 의해 기포불량으로 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이와같은 용융 유리(G)와 백금 함유재(F)의 계면에 생성한 미세한 산소를 함유하는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백금 함유재(F)의 두께는 용융 유리의 온도(T)가 상술한 것처럼 1458.5℃ 미만인 것에 의해 1.1mm를 하한치로서 그 이상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기포의 발생억제효과는 확실한 것이 된다. 또한, 상술한 경우와 다르게, 용융 유리의 온도(T)가 1458.5℃이상의 부분(예를 들면 청징조(30)의 측벽면부)에 백금 함유재(F)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백금 함유재(F)의 두께를(0.012T-16.4)mm이상에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기포의 발생억제효과를 확실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유리 용융용 내열재를 적용한 유리 물품 제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유리 물품중에 문제로 되는 미세한 치수의 산소 함유 기포를 혼입시키지 않고, 균질한 유리 물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명료하다.

Claims (12)

  1.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의 가열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백금 함유재로 이루어진 유리 용융용 내열재로서,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을 갖는 백금 함유재의 두께가 1.1mm~50mm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용융용 내열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용융 유리의 온도T가 1458.5℃ 미만인 경우의 백금 함유재의 두께의 하한값이 1.1mm이고, 또, 용융 유리의 온도T가 1458.5℃ 이상인 경우의 백금 함유재의 두께의 하한값이 (0.012T-16.4)mm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용융용 내열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백금 함유재의 백금 함유율이 적어도 1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용융용 내열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금 함유재는 용융 유리를 연속 용융하는 가열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용융용 내열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금 함유재는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면의 이면측의 적어도 일부 표면을 유리, 세라믹스, 결정화 유리, 콘크리트, 모르타르, 및 내열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료에 의해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용융용 내열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 용융용 내열재가 가열 제조 장치의 노바닥면, 측벽면 및 조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의 내표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 제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장치내의 용융 유리의 온도가 700℃~2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 제조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판유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 제조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 제조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 탑재용 판유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 제조 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촬상 소자용 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 제조 장치.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 물품 제조 장치를 사용해서 유리 물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077021292A 2005-08-19 2006-08-11 유리 용융용 내열재, 유리 물품 제조 장치 및 유리 물품의제조 방법 KR200800361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38182 2005-08-19
JP2005238182 2005-08-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163A true KR20080036163A (ko) 2008-04-25

Family

ID=3775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292A KR20080036163A (ko) 2005-08-19 2006-08-11 유리 용융용 내열재, 유리 물품 제조 장치 및 유리 물품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80036163A (ko)
TW (1) TWI388524B (ko)
WO (1) WO2007020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8519B (zh) * 2008-11-24 2013-03-11 Corning Inc 等管材料除氣
WO2011136109A1 (ja) * 2010-04-28 2011-11-03 旭硝子株式会社 溶融ガラス処理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WO2012091130A1 (ja) * 2010-12-28 2012-07-05 旭硝子株式会社 清澄槽、ガラス溶融炉、溶融ガラスの製造方法、ガラス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製品の製造装置
CN106290044B (zh) * 2016-08-10 2019-05-10 东旭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铂金通道的耐用性的检测方法
JP7358806B2 (ja) * 2019-07-05 2023-10-1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1033A (ja) * 1988-02-04 1989-08-14 Canon Inc 溶融装置及び溶融容器
JPH06247719A (ja) * 1993-02-19 1994-09-06 Tanaka Kikinzoku Kogyo Kk ガラス溶解用るつぼの製造方法
JPH06247720A (ja) * 1993-02-25 1994-09-06 Tanaka Kikinzoku Kogyo Kk ガラス溶解用るつぼ
JP2004059362A (ja) * 2002-07-26 2004-02-26 Tanaka Kikinzoku Kogyo Kk ルツボ
JP4151900B2 (ja) * 2003-07-01 2008-09-17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白金系材料の金属疲労寿命評価方法及びガラス溶解槽の余寿命予測方法並びにガラス溶解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0887A1 (ja) 2007-02-22
TW200708491A (en) 2007-03-01
TWI388524B (zh)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5571B2 (ja) 無アルカリガラスの製造方法
JP4737709B2 (ja) ディスプレイ基板用ガラスの製造方法
US9309139B2 (en) High volume production of display quality glass sheets having low zirconia levels
TWI714698B (zh) 玻璃
JP5263719B2 (ja) 無アルカリガラスの製造方法
KR101627484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KR20080036163A (ko) 유리 용융용 내열재, 유리 물품 제조 장치 및 유리 물품의제조 방법
JP2006076871A (ja) 硼珪酸板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製造方法及び硼珪酸板ガラス物品
JP2007077004A (ja) ガラス熔融用耐熱材、ガラス物品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EP1698596A1 (en) Production apparatus for borosilicate sheet glass article, production process therefor and borosilicate sheet glass article
KR20140043657A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