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537A -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537A
KR20080035537A KR1020080023166A KR20080023166A KR20080035537A KR 20080035537 A KR20080035537 A KR 20080035537A KR 1020080023166 A KR1020080023166 A KR 1020080023166A KR 20080023166 A KR20080023166 A KR 20080023166A KR 20080035537 A KR20080035537 A KR 20080035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wheel
plate
fixing device
mo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106B1 (ko
Inventor
송병문
Original Assignee
(주)세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퍼스 filed Critical (주)세퍼스
Priority to KR1020080023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106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4C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퍼기어와 랙기어를 이용한 간단한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고장 우려가 적으며, 좌측 가압판과 우측 가압판이 동시에 구동되므로 어느 한 모터 고장시에도 휠체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랙기어와 가압판의 사이에 다관절 연결부가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 안착상태와 무관하게 휠에 대응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가압판의 내측에 완충 스프링을 채용하여 휠이나 림의 파손을 방지하고, 모터 고장시나 전원 차단시 수동으로 전환하여 가압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휠의 진입상태를 감지하여 안정적으로 가압판을 슬라이딩시켜 휠의 측면을 고정시키고 그 가압판의 전면에 다수의 탄성돌기가 돌출되어져 있으므로 보조적으로 휠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 동작이 일관되어 고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휠의 진입시 휠이 틀어진 경우라도 가압판이 휠의 진입 각도에 맞게 자유로운 각도로 휠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우수한 고정력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터의 고장시나 전원 차단시 수동으로 가압판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비상시 신속하게 휠체어를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휠체어를 해제시킬 수 있게 한 장점이 있다.
휠체어, 고정장치, 기어드 모터, 스퍼기어.

Description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HEEL OF A HEEL-CHAIR AT VEHICLE}
본 발명은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스퍼기어와 랙기어를 이용한 간단한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고장 우려가 적으며, 좌측 가압판과 우측 가압판이 동시에 구동되므로 어느 한 모터 고장시에도 휠체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휠체어를 버스나 기차 등의 이동수단 상에 고정하지 않으면 휠체어가 이동수단의 유동에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휠체어를 상기와 같은 이동수단 상에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에는 1995년 2월 23일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라는 명칭으로 일본국에 출원된(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230550 호) 장치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는 지지축(1)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내측 및 외측레버(3,2)와, 내측 및 외측레버(3,2)에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된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4)와, 외측레버(2)와 내측레버(3)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레버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휠체어 고정장치는 외측 플레이트(4)와 내측 플레이트 (5)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접근, 이간이 가능하도록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함과 동시에, 외측 플레이트(4)와 내측 플레이트(5) 사이에는 간극 내로 진입한 휠체어의 차륜에 눌려 작동하는 차륜감지장치(6)를 갖추고, 차륜감지장치(6)의 작동에 의하여 그 간극에 위치시킨 휠체어의 차륜을 외측 플레이트(4)와 내측 플레이트(5)로 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플레이트(5)와 내측레버(3) 사이에는 내측 플레이트(5)와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부설된 고정용 핀 유니트(7)를 형성하고, 그 고정용 핀 유니트(7)는 스프링에서 돌출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여러 개의 고정용 핀을 구비하여 내측 플레이트(5)에 부하가 걸리면, 고정용 핀이 내측 플레이트(5)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외측플레이트(4) 측으로 돌출 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고정용 핀 유니트(7)로부터 여러 개의 고정용 핀이 타이어를 누르거나 또는 차륜림에 걸리므로, 차륜의 직경 또는 타이어 크기 등이 다른 각종 휠체어 에 적응할 수 있으며, 휠체어의 이동을 고정 구속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휠체어 고정장치는 레버 구동수단으로 외측레버(2)와 내측레버(3)에 각각 지지된 제 1 및 제 2 장력 수취부(8,9)와, 한쪽 끝이 고정측에 지지되어, 제 1 및 제 2 장력 수취부(8,9)를 경유하는 장력전달부재(10)와, 이 장력전달부재(10)의 타면에 연결되어 장력을 부여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휠체어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다수의 부품과 이러한 부품들에 의한 복잡한 작동 메카니즘을 가짐으로써 고장 및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장 및 오작동시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둘째,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 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이러한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게 됨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함으로써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체인 및 스프라켓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되며, 장력 조정에 따른 기계적 수명손실을 고려해야만 한다.
다섯째, 종래의 장치는 구동수단이 어느 한 모터로부터 발생되게 되므로 그 모터의 고장시에는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는 어떤 수단도 없으므로 사고를 예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섯째, 종래의 장치는 플레이트의 가압력이 취약하므로 휠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력이 약하므로 이동수단의 급출발이나 급제동시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곱째, 종래의 장치는 전동식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모터 고장시나, 전원 차단시 휠체어를 고정하거나, 고정된 휠체어를 해제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전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퍼기어와 랙기어를 이용한 간단한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고장 우려가 적으며, 좌측 가압판과 우측 가압판이 동시에 구동되므로 어느 한 모터 고장시에도 휠체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랙기어와 가압판의 사이에 다관절 연결부가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 안착상태와 무관하게 휠에 대응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가압판의 내측에 완충 스프링을 채용하여 휠이나 림의 파손을 방지하고, 모터 고장시나 전원 차단시 수동으로 전환하여 가압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나 기차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그 상면에 장치 부품을 장착하는 베이스 판넬(32)과; 상기 베이스 판넬(32)상에 부착되며, 휠체어 휠(22)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내벽체(48)와; 상기 베이스 판넬(32)상에 부착되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그 내측에서 상호 대향되게 좌/우측 가압판(44,42)의 유출입을 구동시키는 가압구동부(50)를 그 내부에 내장시키는 좌/우측 케이스(36,34)와; 상기 좌/우측 케이스(36,34)의 내측면에 각각 마주보게 장착되어져 있고, 가압구동부(50)와 결합되어 유출입되는 좌/우측 브라켓(40,38)과; 상기 좌/ 우측 브라켓(40,38)의 전면에 부착되며,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좌/우측 가압판(44,42)과; 상기 좌/우측 케이스(36,34)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2)와, 상기 모터(5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퍼기어(56)와, 상기 스퍼기어(56)에 치합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기어(58)로 구성된 가압구동부(50)와; 상기 랙기어(58)와 좌/우측 가압판(44,42)의 사이에 연결되어, 좌/우측 가압판(44,42)의 수평, 수직 관절 운동을 행하는 다관절 연결부(80)가 포함되어, 휠체어의 휠(22)을 상기 가압구동부(50)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좌/우측 가압판(44,42)의 상호 가압에 의해 구름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관절 연결부(80)는 상기 랙기어(58)의 단부에 결합되며, 그 전방 양측에 결합홈(124)이 형성된 연결판(122)과; 상기 연결판(122)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홈(12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26)가 그 후면에 형성된 회동판(130)과; 상기 결합돌기(126)와 결합홈(124)을 고정시키기 위한 핀(128)과; 상기 회동판(130)의 중앙 소정부에 돌출된 연결대(133)와; 상기 브라켓(40)의 전면 소정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로드(41)와; 상기 연결대(133)와 연결로드(41)에 형성된 힌지공에 결합된 힌지핀(135)으로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 안착 상태에 무관하게 휠을 다각도로 가압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외측 가압판(44,42)은 그 내측 가압판(44) 또는 외측 가압판(42)중 어느 한 가압판의 전면에 형성된 출입공(47)을 통해 출입되어, 휠체어의 휠 사이로 진입함으로써 휠을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돌기(46)와; 상기 탄성돌기(46)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는 그 내벽체(48)의 내측에 내측 소정부에 휠체어의 휠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16)와; 그 감지센서(116)에 접촉/접촉해제되는 접촉판(114)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우측 브라켓(38)과 우측 가압판(42)은 그 양단에 피봇(110)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피봇(110)의 외주연에는 완충 스프링(112)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는 상기 스퍼기어(56)와 축설된 커넥팅 샤프트(202)와; 그 커넥팅 샤프트(202)의 단부에 결합된 제 1 베벨기어(204)와; 상기 커넥팅 샤프트(202)를 고정시키며 내주연에 베어링(208)이 결합된 베어링 하우징(206)과; 상기 제 1 베벨기어(204)와 치합되는 제 2 베벨기어(210)와; 상기 제 2 베벨기어(210)에 축설된 샤프트바(212)가 상기 커넥팅샤프트(202)에 수직되게 배치되고 그 샤프트 바(212)를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214)와; 상기 샤프트 바(212)의 결합홈에 체결되어 수동으로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형 렌치(216)로 이루어진 수동 조작부(20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는 휠의 진입상태를 감지하여 안정적으로 가압판을 슬라이딩시켜 휠의 측면을 고정시키고 그 가압판의 전면에 다수의 탄성돌기가 돌출되어져 있으므로 보조적으로 휠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 동작이 일관되어 고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휠의 진입시 휠이 틀어진 경우라도 가압판이 휠의 진입 각도에 맞게 자유로운 각도로 휠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우수한 고정력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터의 고장시나 전원 차단시 수동으로 가압판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비상시 신속하게 휠체어를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휠체어를 해제시킬 수 있게 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는 스퍼기어와 랙기어를 이용한 간단한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고장 우려가 적으며, 좌측 가압판과 우측 가압판이 동시에 구동되므로 어느 한 모터 고장시에도 휠체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랙기어와 가압판의 사이에 다관절 연결부가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 안착상태와 무관하게 휠에 대응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가압판의 내측에 완충 스프링을 채용하여 휠이나 림의 파손을 방지하고, 모터 고장시나 전원 차단시 수동으로 전환하여 가압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는 버스나 기차, 비행기, 선박 등의 각종 이동수단 상에 장착되어 그 내부에 휠체어(20)의 휠(22)을 진입시켜 고정함으로써 이동수단의 이동에 의한 힘(관성, 작용 및 반작용)이 가해질 때, 상기 휠체어(20)의 휠(22)이 이동수단 내부에서 구름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는 버스나 기차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그 상면에 장치 부품을 장착하는 베이스 판넬(32)이 그 하부에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판넬(32)상에 부착되며, 휠체어 휠(22)이 더 이상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내벽체(48)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는 상기 베이스 판넬(32)상에 부착되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그 내측에서 상호 대향되게 좌/우측 가압판(44,42)의 유출입을 구동시키는 가압구동부(50: 도 4참조)를 그 내부에 내장시키는 좌/우측 케이스(36,34)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좌/우측 케이스(36,34)는 마주보게 장착된 상태에서 각각 일정 거리 이격되어짐으로써 휠 수용부(51)가 마련되어져 있는 바, 그 휠 수용부(51)로 휠체어(20)의 휠(22)이 진입하게 된다. 상기 휠(22)을 상기 좌/우측 케이스(36,34)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좌/우측 케이스(36,34)의 내측면에 각각 마주보게 장착되어져 있고, 가압구동부(50: 도 4참조)와 결합되어 유출입되는 좌/우측 브라켓(40,38)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좌/우측 브라켓(40,38)의 전면에 부착되며,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22)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좌/우측 가압판(44,42)이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이격 공간으로 휠체어(20)의 휠(22)이 진입하게 되면, 상기 좌/우측 브라켓(40,38)이 상기 가압구동부(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격 공간으로 인출되게 되고, 그로인해 상기 좌/우측 브라켓(40,38)의 전단에 부착된 상기 좌/우측 가압판(44,42)이 상기 휠체어(20)의 휠(22)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는 상기 우측 가압판(42) 중앙에 다수개의 출입공(47)이 형성되어져 있는 바, 그 출입공(47)을 통해 탄성돌기(46: 도 4참조)가 인출되어 휠체어 휠에 구비된 림의 사이에 결합되게 된다.
또, 상기 휠 수용부(51)의 전단 좌우측에는 휠의 진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 가이드판(49)이 일정각도 절곡된 상태로 부착되어져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는 도 4와 5, 6을 통해 그 내부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는 상기 가압구동부(50)를 구성하는 모터(52)와, 스퍼기어(56)와, 랙기어(58)가 내부에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모터(52)는 상기 좌/우측 케이스(36,34)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그 모터(5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좌/우측 가압판(44,42)이 유출입되게 되므로 상기 모터(52)는 정역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DC 정역 모터이면서, 펄스에 의해 정회전수만큼 회전하는 스텝모터인 것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퍼 기어(56)는 상기 모터(52)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로서, 그 원판상의 기어 외주연에 다수의 기어산과 골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랙기어(58)는 상기 스퍼기어(56)에 치합되며 상기 스퍼기어(56)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어이다.
따라서, 휠체어의 휠(22)을 상기 가압구동부(50)의 구동으로 인해, 그 가압구동부(50)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좌/우측 가압판(44,42)을 중앙으로 인출시키면서 상기 휠(22)의 양측면을 가압함으로써 휠(22)의 구름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구동부(50)는 좌/우측 케이스(36,34)에 각각 단일 개수로 구성되어져 있는 바, 예컨대 상기 우측 케이스(34)의 내부에는 단일의 모터(52)와 스퍼기어(56), 랙기어(58)가 구성되어져 상기 우측 가압판(42)을 양측에 서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유출입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좌측 케이스(36)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는 그 내부에 상기 랙기어(58)와 좌/우측 가압판(44,42)을 연결하면서 상기 랙기어(58)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이 다각도로 상기 좌/우측가압판(44,42)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다관절 연결부(8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모터(52)의 고장시나 전원 차단시 수동으로 상기 랙기어(58)를 동작시키기 위한 수동 조작부(200)가 구비되는 바, 그 관절형 연결부(80)는 도 7a, 7b를 통해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는 상기 좌/우측 가압판(44,42)을 통해 상시 돌출된 탄성돌기(46)가 구비되는 바, 그 탄성돌기(46)는 상기 좌측 가압판(44) 또는 우측 가압판(42)중 어느 한 가압판(바람직하게 우측 가압판: 42)의 전면에 형성된 출입공(47)을 통해 출입될 수 있게 다수개가 우측 브라켓(38)에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탄성돌기(46)는 상기 좌/우측 가압판(44,42)의 상기 휠(22)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휠체어(20)의 휠(22) 사이로 진입함으로써 휠을 고정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탄성돌기(46)는 상기 우측 브라켓(38)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져 있으며, 그 탄성돌기(46)의 외주연에는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60)이 더 포함되어져 있는 바, 상기 탄성돌기(46)가 유출시 상기 휠체어(20)의 휠(22)에 접촉되게 되면 상기 휠(22)에 대해 맞서지 않고 상기 스프링(60)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우측 가압판(42)에 형성된 출입공(47)으로 진출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우측 브라켓(38)과 우측 가압판(42)은 그 양단에 피봇(110)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피봇(110)의 외주연에는 완충 스프링(112)이 개재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랙기어(58)의 이동에 의해 상기 우측 브라켓(38)이 상기 휠 수용부(51)로 진출하여도 상기 완충 스프링(112)에 의해 상기 우측 가압판(42)이 무리하게 휠을 가압하지 않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는 상기 좌/우측 케이스(36,34)의 내측 소정부에 휠체어의 휠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16)가 더 포함되는 바, 그 감지센서(116)는 상기 내벽체(48: 도 3참조)의 내측에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감지센서(116)의 전단에는 접촉판(114)이 구비되고, 그 내벽체(48)와 접촉판(114)은 별도의 피봇(118)으로 연결되어져 있고, 그 피봇(118)의 외주연에는 복원 스프링(120)이 개재되어져 있다.
따라서, 그 감지센서(116)의 감지에 따라 상기 가압구동부(50)가 구동되어 휠체어의 휠(22)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는 수동 조작부(200)가 구비되는 바, 그 수동 조작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퍼기어(56)와 축설된 커넥팅 샤프트(20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커넥팅 샤프트(202)의 단부에 결합된 제 1 베벨기어(204)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팅 샤프트(202)를 고정시키며 내주연에 베어링(208)이 결합된 베어링 하우징(206)이 상기 베이스판넬(32)상에 고정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수동 조작부(200)에는 상기 제 1 베벨기어(204)와 치합되는 제 2 베벨기어(210)가 구비되고, 제 2 베벨기어(210)에 축설된 샤프트바(212)가 상기 커넥팅샤프트(202)에 수직되게 배치되고 그 샤프트 바(212)를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214)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 바(212)의 단부에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결합홈에 체결되어 수동으로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형 렌치(216)가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52)의 고장시나 전원 차단시 상기 수동 조작부(200)를 통해 상기 랙기어(58)를 구동시키는 바, 상기 “┗”형 렌치(216)를 상기 샤프트 바(212)에 고정시키고 회전시키면 상기 샤프트 바(212)의 회전력에 의해 제 2 베벨기어(210)가 회전되며, 제 2 베벨기어(210)와 치합된 제 1 베벨기어(204)측으로 그 회전력이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커넥팅 샤프트(202)가 회전되면서 동일 축선상에 축설된 상기 스퍼기어(56)를 회전시키게 되어, 그 스퍼기어(56)와 결합된 랙기어(58)가 회전되게 된다.
도 7a,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에 구비된 다관절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30)에 구비된 다관절 연결부(80)는 상기 랙기어(58)와 좌/우측 가압판(44,42) 을 연결하는 수단이며, 상기 휠체어(20)의 휠(22)이 휠 고정장치(30)의 내부로 진입할 때, 정중앙부로 진입하지 않고 비틀어진 상태로 진입하여도 상기 다관절 연결부(80)가 꺾이면서 상기 휠체어(20)의 휠(22)의 측면을 좌/우측 가압판(44,42)이 견실하게 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관절 연결부(80)는 수직 회전 및 수평 회전되는 복수개의 관절 동작을 취하는 바, 상기 랙기어(58)의 단부에는 그 전방 양측에 결합홈(124)이 형성된 연결판(122)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연결판(122)의 전방에는 상기 결합홈(12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26)가 그 후면에 형성된 회동판(130)이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126)와 결합홈(124)은 핀(128)으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위치 고정된 상기 연결판(122)에 대해 상기 회동판(130)은 상기 핀(128)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수직으로 상하 회전되게 된다. 그로인해 상기 휠체어의 휠(22)에 대해 적정하게 상기 좌/우측 가압판(44,42)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판(130)의 중앙 소정부에 돌출된 연결대(133)와; 상기 브라켓(40)의 전면 소정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로드(41)와; 상기 연결대(133)와 연결로드(41)에 형성된 힌지공에 결합된 힌지핀(135)으로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 안착 상태에 무관하게 휠을 다각도로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랙기어(58)가 이송되어 상기 가압판(44)이 휠(22)의 측면으로 밀어나게 되고, 상기 휠(22)에 가압판(44)이 밀착되게 되면, 그 가압판(44)의 배면에 고정된 브라켓(40)과 결합된 상기 연결로드(41)가 힌지핀(135)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각도가 변형되게 된다. 즉, 상기 랙기어(58)와 브라켓(40)은 수직인 상태에서 힌지핀(135)을 중심으로 틀어지게 되므로 수직상태가 되지 않게 된다.
그로인해, 상기 가압판(44)은 상기 휠체어(20)의 휠(22)이 진입한 각도에 맞게 휠(22)의 측면에 밀착되게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a,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에 구비된 다관절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베이스판넬, 36,34:좌/우측케이스,
40,38:좌/우측브라켓, 44,42:좌/우측가압판,
46:탄성돌기, 50:가압구동부,
52:모터, 56;스퍼기어,
58:랙기어, 80:다관절 연결부,
116:감지센서, 200:수동조작부.

Claims (6)

  1. 버스나 기차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그 상면에 장치 부품을 장착하는 베이스 판넬(32)과;
    상기 베이스 판넬(32)상에 부착되며, 휠체어 휠(22)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내벽체(48)와;
    상기 베이스 판넬(32)상에 부착되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그 내측에서 상호 대향되게 좌/우측 가압판(44,42)의 유출입을 구동시키는 가압구동부(50)를 그 내부에 내장시키는 좌/우측 케이스(36,34)와;
    상기 좌/우측 케이스(36,34)의 내측면에 각각 마주보게 장착되어져 있고, 가압구동부(50)와 결합되어 유출입되는 좌/우측 브라켓(40,38)과;
    상기 좌/우측 브라켓(40,38)의 전면에 부착되며,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좌/우측 가압판(44,42)과;
    상기 좌/우측 케이스(36,34)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2)와, 상기 모터(5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퍼기어(56)와, 상기 스퍼기어(56)에 치합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기어(58)로 구성된 가압구동부(50)와;
    상기 랙기어(58)와 좌/우측 가압판(44,42)의 사이에 연결되어, 좌/우측 가압판(44,42)의 수평, 수직 관절 운동을 행하는 다관절 연결부(80)가 포함되어,
    휠체어의 휠(22)을 상기 가압구동부(50)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좌/우측 가압 판(44,42)의 상호 가압에 의해 구름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연결부(80)는 상기 랙기어(58)의 단부에 결합되며, 그 전방 양측에 결합홈(124)이 형성된 연결판(122)과;
    상기 연결판(122)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홈(12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26)가 그 후면에 형성된 회동판(130)과;
    상기 결합돌기(126)와 결합홈(124)을 고정시키기 위한 핀(128)과;
    상기 회동판(130)의 중앙 소정부에 돌출된 연결대(133)와;
    상기 브라켓(40)의 전면 소정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로드(41)와;
    상기 연결대(133)와 연결로드(41)에 형성된 힌지공에 결합된 힌지핀(135)으로 구성되어 휠체어의 휠 안착 상태에 무관하게 휠을 다각도로 가압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가압판(44,42)은 그 내측 가압판(44) 또는 외측 가압판(42)중 어느 한 가압판의 전면에 형성된 출입공(47)을 통해 출입되어, 휠체어의 휠 사이로 진입함으로써 휠을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돌기(46)와;
    상기 탄성돌기(46)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는 그 내벽체(48)의 내측에 내측 소정부에 휠체어의 휠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16)와; 그 감지센서(116)에 접촉/접촉해제되는 접촉판(114)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브라켓(38)과 우측 가압판(42)은 그 양단에 피봇(110)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피봇(110)의 외주연에는 완충 스프링(112)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는 상기 스퍼기어(56)와 축설된 커넥팅 샤프트(202)와;
    그 커넥팅 샤프트(202)의 단부에 결합된 제 1 베벨기어(204)와;
    상기 커넥팅 샤프트(202)를 고정시키며 내주연에 베어링(208)이 결합된 베어링 하우징(206)과;
    상기 제 1 베벨기어(204)와 치합되는 제 2 베벨기어(210)와;
    상기 제 2 베벨기어(210)에 축설된 샤프트바(212)가 상기 커넥팅샤프트(202)에 수직되게 배치되고 그 샤프트 바(212)를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214)와;
    상기 샤프트 바(212)의 결합홈에 체결되어 수동으로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형 렌치(216)로 이루어진 수동 조작부(20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KR1020080023166A 2008-03-13 2008-03-13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KR10098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66A KR100983106B1 (ko) 2008-03-13 2008-03-13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66A KR100983106B1 (ko) 2008-03-13 2008-03-13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537A true KR20080035537A (ko) 2008-04-23
KR100983106B1 KR100983106B1 (ko) 2010-09-20

Family

ID=3957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166A KR100983106B1 (ko) 2008-03-13 2008-03-13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245B1 (ko) * 2008-08-11 2010-08-05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회전 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116B1 (ko) 2017-02-03 2018-12-10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065A (ja) * 1995-03-24 1996-10-08 Nissan Shatai Co Ltd 車両用車椅子固定装置
KR100434018B1 (ko) * 2001-08-31 2004-06-04 주식회사 삼주기계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0928081B1 (ko) * 2008-01-09 2009-11-23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의 휠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245B1 (ko) * 2008-08-11 2010-08-05 (주)세퍼스 시스템 이동수단에 구비된 회전 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106B1 (ko) 201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569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링크식 휠체어 고정장치
JP5515853B2 (ja) サイドサポート装置の作動機構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装置
US10583752B2 (en) Seat sliding device
KR101535027B1 (ko) 트럭의 스텝
TW201618978A (zh) 刹車油門組合裝置及採用該刹車油門組合裝置之汽車
US6811129B2 (en) Fixture device
KR100983106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KR101396908B1 (ko)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JP6647409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4076575A (ja) 自動車用取り付けユニット
KR101764141B1 (ko) 차량용 휠체어 안전 고정장치
JP6180013B2 (ja) 観覧車
KR101909116B1 (ko)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CN107791996B (zh) 移动装置
KR100434018B1 (ko)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1350864B1 (ko)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KR100928081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의 휠 고정장치
KR100974245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회전 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
KR20100009826A (ko) 로터리 주차 장치
KR101127542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휠체어 고정장치
JP5369866B2 (ja) バッテリ搭載構造
KR100974249B1 (ko) 이동수단에 구비된 볼트 구동방식의 휠체어 고정장치
CA2735359C (en) Cabin for cable cars for accommodating passengers and/or goods
CN208650619U (zh) 用于立体车库的车辆对中机构
KR101229792B1 (ko)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주차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