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202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202A
KR20080035202A KR1020060101549A KR20060101549A KR20080035202A KR 20080035202 A KR20080035202 A KR 20080035202A KR 1020060101549 A KR1020060101549 A KR 1020060101549A KR 20060101549 A KR20060101549 A KR 20060101549A KR 20080035202 A KR20080035202 A KR 20080035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rtable terminal
input switch
display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669B1 (ko
Inventor
최병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1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669B1/ko
Priority to US11/649,850 priority patent/US7826806B2/en
Priority to EP07001199.4A priority patent/EP1914964B1/en
Priority to DE102007003268A priority patent/DE102007003268A1/de
Priority to BRPI0700269-6A priority patent/BRPI0700269A/pt
Priority to MX2007002081A priority patent/MX2007002081A/es
Priority to RU2007107412/09A priority patent/RU2340112C1/ru
Priority to CN2007100843036A priority patent/CN101166201B/zh
Priority to JP2007161667A priority patent/JP5100214B2/ja
Publication of KR2008003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68Properties of the membrane
    • H01H2209/07Properties of the membrane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4Optical isolation of switch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8Tumb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88Actuators actuable from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9Flexible integral part of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04Switch site location in different planes to increase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Different switch sites under one actuator in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28Switch site location perpendicular to base of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6Control panel; Graphic display; Programm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입력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변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써, 복잡하고 여러 개의 외형선을 갖는 키입력 장치를 하우징이 대체하게 되어 단말기의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하우징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제2하우징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휴대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 징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휴대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210,310,410: 휴대 단말기 15,115,215,315,415: 디스플레이
20,120,220,320,420: 제1하우징 30,130,230,330,430: 제2하우징
32: 누름 돌기 33: 쉴드
35: 걸림부 31,131,231,331,431: 관통공
40,240,240,340,440: 입력 스위치 45: 발광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이 별도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의 효용을 높인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그 주요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이동통신 단말기), 휴대 중에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하거나(PDA), 동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거나(휴대용 디지털 카메라), 음악이나 동영상을 감상하도록 하는(MP3플레이어 등) 등과 같은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나이다.
오늘날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는 더욱 소형화 경량화되는 한편, 멀티 미디어를 감상할 수 있는 종합적인 휴대 장치로 발전하여 가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작고 제한된 장치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충분한 기구적인 뒷받침과 함께, 그러한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요한다.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장착되는 키패드 장치는 그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위하여 단순한 키의 입력에서 나아가 보다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키패드 장치는 다수의 개별 키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의 전체 외관에 많은 굴곡이나 경계선을 만들게 되고 복잡한 외양을 만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외양에 복잡한 패턴이나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배제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개선된 외관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력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변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조립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는 입력 스위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2하우징이 변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제2하우징을 눌러줌으로써 임의의 입력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배치와 형태 및 제2하우징과 입력 스위치 사이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제2하우징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는 전방에 디스플레이(15)가 배치되어 있는 제1하우징(20)과, 제1하우징(20)에 조립되어 휴대 단말기(10)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15)와 합하여져 휴대 단말기(10)의 전면(前面)을 이루는 사이즈와 형태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15)는 디스플레이(15)가 꺼져 있는 경우 빛을 반사시키도록 거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5)를 구성하는 외부창을 부분 반사 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내부의 조명은 통과시키고 외부에서 오는 빛은 반사시켜 디스플레이(15)가 꺼져 있는 때 사용자는 이를 거울로 사용하여 편의를 높일 수 있다.
제1하우징(20)은 상부 하우징(21)과 상부 하우징(21)에 조립되는 하부 하우징(2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2하우징(30)의 내부에는 입력 스위치(40)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2하우징(30)은 입력 스위치(40)를 누를 수 있도록 변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하우징(30)은 눌려졌을 때 자체의 변형에 의하거나 눌려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입력 스위치(40)를 눌러 작동시킨다. 도 4에 의하면, 제2하우징(30)은 그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부(35)에 의하여 제1하우징(20)에 걸려진 상태에서 눌려지는 방향으로 이동 및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하우징(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입력 스위치(40)는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일정 접점패턴(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회로기판(41) 및 접점패턴 상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설치되는 금속 돔(dome; 42)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로기판(41)은 경성(rigid) 또는 연성(flexible)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 돔(42)과 회로기판(41)의 상면에는 금속 돔(42)을 접점패턴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정 시트(도시되지 않음)가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제2하우징(30)은 일정한 강도와 얇은 두께로 제작이 가능한 금속 판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입력 스위치(40)가 위치하는 부분을 식별시킬 수 있도록 관통 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제2하우징(30)의 가장자리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내부 방향으로 절곡된 후 제1하우징(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하우징(20)에 걸림되는 걸림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35)는 제2하우징(30)을 제1하우징(20)에 대하여 걸려질 수 있게 하면서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매끈한 외관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가락에 의하여 제2하우징(30)을 누를 때 해당 입력 스위치(40)가 용이하게 눌려질 수 있도록 관통공(31)의 내측에는 금속 돔(42)을 향해 돌출되는 누름 돌기(32)가 부착되어 있다. 누름돌기(32)는 제2하우징(30)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거나 융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사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와 도 4에 의하면, 각 입력 스위치(40)의 일측에는 관통공(31)을 통하여 외부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부(45)가 구비되어 있다. 발광부(45)는 회로기판(41)에 실장되는 소자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반도체 레이저 등이 될 수 있다. 발광부(45)의 빛이 관통공(31)을 통과하여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누름돌기(32)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다.
도 3과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누름돌기(32)의 주변에는 발광부(45)의 빛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불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쉴드(33)가 구비되어 있다.
쉴드(33)는 제2하우징(30)의 걸림부(35)가 제1하우징(20)에 탄성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하우징(30)을 외부 방향으로 밀어 줄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2하우징(30)을 누르고 있지 않을 때에는 쉴드(33)의 탄성에 의하여 제2하우징(30)이 제1하우징(20)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하우징(30)은 제1하우징(20)에 조립되어 휴대 단말기(10)의 전체 외양을 형성하게 되는 한편,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2하우징(30)의 특정 부분을 눌러주게 되면 해당하는 입력 스위치(40)가 눌려지며 입력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별 버튼이 다수로 구비되어 있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휴대 단말기(10)의 외관이 개선되고,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10)는 열고 닫히는 면에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제1키입력장치(112)가 구비된 제1바디(111)와, 제1바디(11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폐되는 제2바디(113)으로 구성된다.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바디(113)는 디스플레이(115)가 배치되어 있는 제1하우징(120)과, 제1하우징(120)에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1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130)으로 구성된다.
제2하우징(130)의 중심측에는 누름버튼(151,152) 및 스크롤 버튼(153)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2키입력장치(150)가 통과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관통창(136)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하우징(130)은 제2키입력장치(150)를 둘러싸는 형태로 됨으로 써, 하우징 외관이 되면서도 제2키입력장치(150)와는 별도의 입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5의 점선 화살표 참조).
제2하우징(130) 내부의 입력 스위치(140) 및 발광부(145)는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성이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도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210)에서는 제2하우징(230)은 휴대 단말기(210)의 전면(前面)을 이루는 사이즈와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제1하우징(220)은 휴대 단말기(210)의 나머지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제2하우징(230)의 중심부에는 디스플레이(215)가 배치될 수 있도록 관통창(237)이 형성됨으로써, 제2하우징(230)이 디스플레이(215)를 둘러싸는 외관이 되면서도 제2하우징(230)의 내부의 상하좌우 귀퉁이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입력 스위치(240)를 누를 수 있게 되어 있다(도 8의 점선 화살표 참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휴대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310)에서는 제2하우징(330)은 휴대 단말기(310)의 인접된 두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일체(one body) 형태로 형성되고 있 다. 입력 스위치(340)는 각 인접 표면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적어도 두 방향에서 제2하우징(330)을 눌러주며 입력을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휴대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410)에서는 제2하우징(430A,430B)은 두 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제2하우징(430A,430B)는 휴대 단말기의 인접된 세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일체(one body)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입력 스위치(440A,440B)는 각 인접 표면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세방향에서 제2하우징(330)을 눌러서 입력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하우징이 그 내부에 배치되는 입력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변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므로, 복잡하고 여러 개의 외형선을 갖는 키입력 장치를 하우징이 대체하게 되어 휴대 단말기의 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누름 가능한 하우징은 디스플레이를 둘러싸거나 별도의 키입력장치를 둘러싸는 등의 형태를 보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인접된 두 표면 이상을 포함하는 일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입력할 수 있는 방향과 개소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7)

  1.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력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변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조립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는 입력 스위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2하우징이 변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전방에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며,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와 합하여져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前面)을 이루는 사이즈와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중심부에는 키입력 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前面)을 이루는 사이즈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하우징의 중심부에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인접된 두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일체(one body)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입력 스위치는 상기 각 인접 표면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인접된 세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일체(one body)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입력 스위치는 상기 각 인접 표면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2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꺼져 있는 경우 빛을 반사시키도록 거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스위치는 일정 접점패턴을 갖는 회로기판 및, 상기 접점패턴상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설치되는 금속 돔(dom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금속 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각 입력 스위치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측에는 상기 금속 돔을 향해 돌출되는 누름 돌기가 부착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돔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의 외부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의 주변에는 상기 발광부의 빛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불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 및 쉴드는 실리콘(silicone)재로 일체(one body)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부 방향으로 절곡된 후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하우징에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제2하우징의 걸림부가 상기 제1하우징에 탄성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하우징을 외부 방향으로 밀어 줄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60101549A 2006-10-18 2006-10-18 휴대 단말기 KR10124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549A KR101243669B1 (ko) 2006-10-18 2006-10-18 휴대 단말기
US11/649,850 US7826806B2 (en) 2006-10-18 2007-01-05 Mobile terminal
EP07001199.4A EP1914964B1 (en) 2006-10-18 2007-01-19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replaceable keypad cover
DE102007003268A DE102007003268A1 (de) 2006-10-18 2007-01-23 Mobiles Endgerät
BRPI0700269-6A BRPI0700269A (pt) 2006-10-18 2007-02-14 terminal móvel
MX2007002081A MX2007002081A (es) 2006-10-18 2007-02-20 Terminal movil.
RU2007107412/09A RU2340112C1 (ru) 2006-10-18 2007-02-27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CN2007100843036A CN101166201B (zh) 2006-10-18 2007-02-27 移动终端
JP2007161667A JP5100214B2 (ja) 2006-10-18 2007-06-19 携帯端末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549A KR101243669B1 (ko) 2006-10-18 2006-10-18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202A true KR20080035202A (ko) 2008-04-23
KR101243669B1 KR101243669B1 (ko) 2013-03-25

Family

ID=3896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549A KR101243669B1 (ko) 2006-10-18 2006-10-18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26806B2 (ko)
EP (1) EP1914964B1 (ko)
JP (1) JP5100214B2 (ko)
KR (1) KR101243669B1 (ko)
CN (1) CN101166201B (ko)
BR (1) BRPI0700269A (ko)
DE (1) DE102007003268A1 (ko)
MX (1) MX2007002081A (ko)
RU (1) RU234011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2509B2 (ja) * 2007-01-25 2013-10-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CN101599374B (zh) * 2008-06-04 2012-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面板式按键的电子装置
CN101621860A (zh) * 2008-07-04 2010-01-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全键盘的移动设备
KR20100027686A (ko)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1694593B (zh) * 2009-09-28 2012-02-01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CN103026694B (zh) * 2011-10-20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包括具有键装置的盖单元的移动终端
USD734286S1 (en) * 2014-01-20 2015-07-14 Suzhou Snail Digital Technology Co., Ltd. Handset
USD770999S1 (en) * 2014-04-22 2016-11-0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66862S1 (en) * 2014-04-22 2016-09-20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80708S1 (en) * 2014-08-22 2017-03-0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JP6744294B2 (ja) * 2015-03-23 2020-08-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USD810714S1 (en) * 2015-07-01 2018-02-20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CN109759780B (zh) * 2017-11-10 2022-03-22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制备中框的方法、中框及移动终端
KR102490516B1 (ko) * 2018-01-19 2023-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D947548S1 (en) * 2019-03-06 2022-04-0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57783A (ko) * 1967-12-13 1969-02-21
US3811025A (en) * 1973-05-17 1974-05-14 Lockheed Electronics Co Touch panel switch assembly
JPS5686723U (ko) * 1979-12-07 1981-07-11
US4262182A (en) * 1980-01-11 1981-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Fully illuminated backlit membrane touch switch
US4419555A (en) * 1982-06-01 1983-12-06 Wilco Corporatio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assembly
US4543563A (en) * 1982-08-23 1985-09-24 Rca Corporation Mechanically-actuated transparent touchbars and touchplates
US4491692A (en) * 1982-11-05 1985-01-01 Lee Shan S Light-emitting device mounted under keybuttons of a keyboard
DE9000828U1 (ko) 1990-01-25 1990-03-2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US5225818A (en) * 1990-11-26 1993-07-06 Data Entry Products, Incorporated Data entry control panel
FI88345C (fi) * 1991-01-29 1993-04-26 Nokia Mobile Phones Ltd Belyst tastatur
US5128842A (en) * 1991-06-03 1992-07-07 Sunarrow Co., Inc. Uniform illumination plate
US5397867A (en) * 1992-09-04 1995-03-14 Lucas Industries, Inc. Light distribution for illuminated keyboard switches and displays
US5475192A (en) * 1993-03-15 1995-12-12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eytop sheet for push-button switches
US5401927A (en) * 1993-03-31 1995-03-28 Motorola, Inc. Selectively illuminated indicat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384459A (en) * 1993-06-01 1995-01-24 Motorola, Inc. Illuminated switch and keypad assembly having a light gradient and a light conductive elastomeric assembly
US5491313A (en) * 1994-07-22 1996-02-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Halo lighting for keypad switch assemblies
JP3103833B2 (ja) * 1994-08-10 2000-10-3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照光式押釦スイッチ装置
US5975711A (en) * 1995-06-27 1999-11-02 Lumitex, Inc. Integrated display panel assemblies
JPH0935571A (ja) * 1995-07-14 1997-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光式スイッチユニット
JPH0950728A (ja) * 1995-08-07 1997-02-18 Fuji Polymertech Kk 照光式スイッチ
US5661279A (en) * 1995-10-26 1997-08-26 Sunarrow Co., Ltd. Pushbutton switch
DE19715053A1 (de) 1997-04-11 1998-10-15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s Gerät
US5847336A (en) * 1997-05-02 1998-12-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irect keypad backlighting
SE517491C2 (sv) 1997-06-06 2002-06-11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telefonapparat
DE19815014C2 (de) 1998-04-03 2002-02-14 Bosch Gmbh Robert Telekommunikationsendgerät
JP2000299719A (ja) * 1999-04-12 2000-10-24 Nichinan:Kk 携帯電話機
IT246993Y1 (it) * 1999-08-11 2002-05-02 Telital Spa Comando di navigazione per telefono cellulare
JP2001119454A (ja) 1999-10-19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
JP4282184B2 (ja) * 1999-10-26 2009-06-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キーボタン照光装置およびキーボタン照光装置付き無線通信端末装置
FI108582B (fi) * 2000-05-02 2002-02-15 Nokia Corp Näppäimistön valaisujärjestely, joka mahdollistaa näppäinten muuttuvan ja yksilöllisen valaisemisen, sekä menetelmä sen käyttämiseksi
FI108901B (fi) * 2000-06-26 2002-04-15 Nokia Corp Kosketustuntumaltaan hyvä sähkömekaaninen tietojen syöttömekanismi
DE60142101D1 (de) * 2000-08-11 2010-06-24 Alps Electric Co Ltd Eingabevorrichtung mit Tasteneingabebetrieb und Koordinateneingabebetrieb
US6704004B1 (en) * 2000-08-17 2004-03-09 Nokia Mobile Phones Ltd. Arrangement for integration of key illumination into keyma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6803903B1 (en) * 2000-08-17 2004-10-12 Nokia Mobile Phones, Ltd. Integration of organic light-emitting components into the key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JP5036103B2 (ja) * 2001-05-14 2012-09-2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用通信機
KR100384993B1 (ko) * 2001-05-22 2003-05-23 주식회사 유일전자 이엘램프 내장 일체형 키패드
JP2002374339A (ja) * 2001-06-15 2002-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
JP4295468B2 (ja) * 2001-12-21 2009-07-15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US6926418B2 (en) * 2002-04-24 2005-08-09 Nokia Corporation Integrated light-guide and dome-sheet for keyboard illumination
JP2004023651A (ja) * 2002-06-19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機
JP4172968B2 (ja) * 2002-08-19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20040080682A1 (en) * 2002-10-29 2004-04-29 Dalton Dan L.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proved electronic display
US20040204196A1 (en) * 2002-12-05 2004-10-14 Lester Dunican Cellular telephone lighting system and method
DE10260297A1 (de) 2002-12-20 2004-07-01 Siemens Ag Anzeige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Gerät
TW559327U (en) * 2003-03-21 2003-10-21 Hon Hai Prec Ind Co Ltd Side key assembly
KR100938055B1 (ko) * 2003-03-21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 입력 장치
US7053799B2 (en) * 2003-08-28 2006-05-30 Motorola, Inc. Keypad with illumination structure
US7181251B2 (en) * 2003-10-22 2007-02-20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 orientation user interface
JP2005150034A (ja) * 2003-11-19 2005-06-09 Mitsum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ユニット
KR100631670B1 (ko) 2003-12-09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TWI231693B (en) * 2004-01-12 2005-04-21 Asustek Comp Inc Translucent key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5260294A (ja) * 2004-03-09 2005-09-22 Nec Corp 携帯型通信端末の照光装置
JP2006060334A (ja) 2004-08-17 2006-03-02 Nec Saitama Ltd キーボタン構造及びそのキーボタン構造を有する携帯端末機器
KR100690726B1 (ko) 2004-09-14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태스킹이 구현된 휴대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EP1835517A4 (en) * 2004-12-28 2011-01-05 Sunarrow Ltd THIN KEY SHEET AND THIN KEY UNIT WITH THIN KEY SHEET
JP4473752B2 (ja) * 2005-03-04 2010-06-0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シート
JP4533786B2 (ja) * 2005-04-08 2010-09-0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ボタン防水構造
US7005595B1 (en) * 2005-04-25 2006-02-28 Unitel Rubber Corporation Light emitting keypad assembly
KR100692742B1 (ko) * 2005-05-13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광층을 갖는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EP1724800B1 (en) * 2005-05-19 2008-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pad and keypad assembly
KR100689392B1 (ko) * 2005-05-19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와 그를 이용한 키 패드 어셈블리
KR100689394B1 (ko) * 2005-06-28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키패드 어셈블리
KR100689395B1 (ko) * 2005-07-0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어셈블리
KR100651413B1 (ko) * 2005-07-1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어셈블리
KR100652755B1 (ko) * 2005-08-30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팅이 가능한 터치 및 푸시 입력 방식의 휴대폰
KR100754587B1 (ko) * 2006-03-03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200426164Y1 (ko) 2006-06-22 2006-09-08 박선근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4964A3 (en) 2012-06-13
CN101166201A (zh) 2008-04-23
DE102007003268A1 (de) 2008-04-24
EP1914964B1 (en) 2015-03-04
KR101243669B1 (ko) 2013-03-25
RU2340112C1 (ru) 2008-11-27
EP1914964A2 (en) 2008-04-23
JP5100214B2 (ja) 2012-12-19
RU2007107412A (ru) 2008-09-10
JP2008104145A (ja) 2008-05-01
US20080096616A1 (en) 2008-04-24
CN101166201B (zh) 2011-09-07
US7826806B2 (en) 2010-11-02
BRPI0700269A (pt) 2008-06-03
MX2007002081A (es) 200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669B1 (ko) 휴대 단말기
RU2341032C1 (ru) Кнопочный узел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 этим узлом
US8063325B2 (en) Keypad assembly
US8446713B2 (en) Waterproof butt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599709B2 (en) Case for a hand held device
JP4305212B2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44528A (ja) 押釦スイッチの防水構造
MXPA06009864A (es) Ensamble de teclas tactiles para una terminal movil.
US8577072B2 (en) Electronic device
JP2018160025A (ja) カバー
US7963709B2 (en) Electronic device
JP4265680B2 (ja) 電子機器
JP5945456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7073445A (ja) キー操作部及び電子機器
KR101571166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JP2012022793A (ja) シートスイッチ及び入力装置
KR20110037253A (ko)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4728890B2 (ja) 携帯端末
KR200364952Y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KR101336710B1 (ko) 이동 단말기
JP2005149903A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KR20080088237A (ko) 터치 방식의 키 버튼 구조
JPH08227634A (ja) 電子機器のキースイッチ構造
CN102136386A (zh) 按键组件及具有该按键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JP2004178328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