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253A -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253A
KR20110037253A KR1020090094615A KR20090094615A KR20110037253A KR 20110037253 A KR20110037253 A KR 20110037253A KR 1020090094615 A KR1020090094615 A KR 1020090094615A KR 20090094615 A KR20090094615 A KR 20090094615A KR 20110037253 A KR20110037253 A KR 20110037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metal dome
light guide
guide film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179B1 (ko
Inventor
강춘권
곽명훈
김기대
박기태
송병호
양포식
임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9009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179B1/ko
Priority to US12/831,686 priority patent/US8803016B2/en
Publication of KR2011003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12Positioning of individual 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24Packing between substrate and membrane
    • H01H2229/028Adhe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Abstract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가 개시된다. 상기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는 인쇄회로기판의 인쇄된 접점에 접하여 전기적신호가 발생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접점들을 각각 덮고 있는 복수 개의 금속 돔 및 상기 금속 돔을 결합 고정하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금속 돔과 본딩 접합 영역에서 본딩(bonding) 결합되고, 상기 본딩 접합 영역은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한된 본딩 접합 영역에서 금속돔 및 도광 필름을 본딩 접합함으로써, 키패드 모듈, 돔시트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의 슬림화 추세를 만족할 수 있고, 별도의 탑필름 설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클릭감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광필름, LGF, 슬림화, 본딩 접착

Description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DOME SHEET STRUCTURE UNIFIED LIGHT GUIDE FIML AND MOBILE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필름을 구비한 돔시트의 구조를 변경하여 키패드 모듈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슬림화할 수 있는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인 키패드 모듈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키패드 모듈은 두께가 얇으면서 다양한 정보신호를 발생시켜 입력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뿐만 아니라, 각종 전자기기 장치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제작 판매되고 있는 휴대폰은 점차 슬림화, 다기능화 되어가면서 그만큼 휴대폰의 제작 시 여러 제한이 가해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의 입력키(key)를 어두운 곳에서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키패드용 발광장치로서 종래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및 EL(electroluminescence) 시트가 사용되어 왔으나, 새롭게 도광 시트(light guide sheet) 또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을 사용하 여 발광장치를 구성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광 필름을 구비한 돔 시트(dome sheet)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돔 시트 구조는 인쇄회로 기판(10) 상부에 베이스필름(12)이 적층되고, 일정한 위치에 금속 돔(13)이 위치되며, 이러한 금속 돔(13)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탑 필름(14)이 장착된다.
상기 탑 필름(14) 상부에 키패드의 발광 특성을 개선 및 균일화하기 위하여 도광필름(15)이 추가로 적용되되, 별도의 점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돔 시트 구조는 일반적인 돔 시트 구조에 상기 도광필름(15)을 추가로 적용하여 구성되며, 이에 따라 돔 시트 구조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제작 비용이 상승되며, 사용자에 의한 클릭감이 하락 되는 불리함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돔 시트의 두께를 슬림화하면서도 금속 돔을 결합 고정 시킬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패드의 발광 특성을 개선 및 균일화하면서도 클릭감을 유지할 수 있는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는 인쇄회로기판의 인쇄된 접점에 접하여 전기적신호가 발생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접점들을 각각 덮고 있는 복수 개의 금속 돔 및 상기 금속 돔을 결합 고정하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을 포함한다.
이 때, 도광 필름은 상기 금속 돔과 본딩 접합 영역에서 본딩(bonding) 결합되고, 상기 본딩 접합 영역은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 모듈은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도록 접점이 인쇄된 인쇄회로 기판, 상기 접점을 제외한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베이스필름, 상기 접점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금속 돔(metal dome), 상기 금 속 돔 및 상기 베이스 필름과 결합되어 상기 금속 돔을 상기 인쇄회로 기판과 결합하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 및 상기 도광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는 키패드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금속 돔과 본딩(bonding) 결합되고, 본딩 접합 영역은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동심원 사이의 구역이고, 실질적으로 상기 본딩 접합 영역이 도넛(donut)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돔은 외부에서 상기 금속돔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접점에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비되며, , 상기 금속돔의 면적은 상기 가압부와 상기 금속돔이 접하는 면적의 6배 내지 10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딩접합영역을 형성하는 동심원 중 상대적으로 작은 원의 지름은 상기 가압부의 직경과 조립 공차 및 본딩 결합 공차를 합한 값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불어, 상기 본딩접합영역을 형성하는 동심원 중 상대적으로 큰 원의 지름은 상기 작은 원의 지름에 본딩가능 최소폭의 두 배를 더한 값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인쇄회로기판의 인쇄된 접점에 접하여 전기적신호가 발생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접점들을 각각 덮고 있는 금속 돔들과 상기 접점을 제외한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베이스필름과 상기 금속 돔을 결합 고정하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 및 상기 도광 필 름의 상부에 배치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키패드 모듈 및 상기 키패드 모듈을 감싸며 상기 키패드의 상면에 형성된 키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도록 상기 키에 대응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금속 돔과 본딩 접합 영역에서 본딩 결합되고, 상기 본딩 접합 영역은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서로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의 인쇄된 접점에 접하여 전기적신호가 발생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접점들을 각각 덮고 있는 복수 개의 금속 돔 및 상기 금속 돔을 결합 고정하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을 결합하는 본딩 방법에 있어서, 도광필름 일체형 돔 시트 본딩 방법은 상기 도광 필름을 상기 금속 돔과 본딩 접합 영역에서 본딩(bonding) 결합시키되, 상기 본딩 접합 영역은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 모듈 제조 방법은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도록 접점이 인쇄된 인쇄회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접점을 제외한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에 베이스필름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접점에 대응되도록 금속 돔(metal dome)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금속 돔과 도광 필름을 본딩 접합 하되,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 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에 대해 본딩 접합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도광 필름의 상부에 키패드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본딩 접합 영역에서 금속돔 및 도광 필름을 본딩 접합함으로써, 키패드 모듈, 돔시트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의 슬림화 추세를 만족할 수 있고, 별도의 탑필름 설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딩 접합에 의해 도광필름을 구비하면서도 클릭율을 유지하여 클릭감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돔시트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광필름 일체형 돔시트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돔시트 구조는 금속돔(130) 및 도광필름(150) 을 포함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돔(130; metal dome)은 인쇄회로기판(100)의 인쇄된 접점에 대하여 전기적 전기적신호가 발생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접점들을 각각 덮고 있는 상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광필름(150)은 측면의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면발광시키도록 구비되며, 또한, 상기 도광필름(150)은 재질은 도광성이 우수하고, 슬림하면서도 물성이 우수한 재료가 바람직하며,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카보네이트(PC)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광필름(150)은 상기 금속돔(130)과 본딩 접합 영역에서 본딩(bonding) 결합되고, 상기 본딩 접합 영역은 상기 금속돔(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본딩 접합 영역에 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도광필름(150)을 상기 금속돔(130)에 직접 본딩 결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돔 시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0), 베이스필름(120), 금속돔(130), 도광 필름(150) 및 키패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인쇄회로기판(100)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도록 접점이 인쇄되며, 회로 및 각종 부품이 실장되어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에 베이스필름(120)이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베이스필름(120)은 상부에 안착되는 도광필름(150)의 빛을 상부로 반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더불어 베이스필름(120)에는 금속돔(130)이 위치하는 지점 즉 인쇄회로기판(100)의 접점에 대응하여 관통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필름(120)은 상기 접점을 제외한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의 일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미도시)에 대응하는 금속돔(130)의 변형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0)의 접점이 접속되어 전기적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도광 필름(150)은 상기 금속돔(130) 및 상기 베이스필름(120)과 결합되어 상기 금속돔(130)을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의 정해진 위치, 즉, 상기 접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금속돔(130)은 외부에서 상기 금속돔(13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 는 가압부(200)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접점에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비되며, 이 때, 상기 가압부(200)는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상기 금속돔(130)을 가압하는 엑츄에이터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버튼부(미도시)에는 키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금속돔(13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통상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동작, 즉, 상기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금속돔(130)이 변형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의 접점이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가압부(200)의 직경(k)에 대한 관계식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9061137247-PAT00001
이다.
여기서, 상기 α는 상기 가압부(200)의 직경(k)을 정하는 상수로 일반적으로 0.05이내로 정해지며, 상기 A는 상기 금속돔(130)의 직경이다.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Φ4 mm또는 Φ5mm의 상기 금속돔(130)을 사용하는데, 상기 가압부(200)의 직경(k)은 경험 산술식에 의하여 상기 금속돔(130)의 직경의 약 (35 ± α) % 수준으로 결정된다.
즉, 상기 가압부(200)의 직경(k)은 상기 금속돔(130)의 직경 또는 지름의 3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금속돔(130)의 면적은 상기 가압부(200)와 상기 금속돔(130)이 접하는 면적,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구간,의 6배 내지 10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광 필름(150)은 상기 금속 돔(130)과 본딩(bonding) 결합되고, 본딩 접합 영역(160)은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동심원 사이의 구역으로 정의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본딩 접합 영역(160)이 도넛(donut)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200) 및 상기 금속돔(130)의 작동에 의한 클릭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돔(130)과 상기 도광 필름(150)의 본딩 접합 영역(160)이 정의되어야 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4내지 도 6을 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에서 가압부에 의한 금속 돔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클릭율 산출 공식에 따른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광필름과 금속돔의 본딩 접합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00)에 의한 상기 금속돔(130)의 동작시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의 바닥에 닿는 상기 금속돔(130)의 직경 관계식 은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9061137247-PAT00002
이다.
여기서, 상기 B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의 바닥에 닿는 상기 금속돔(130)의 직경이며, 상기 β는 상기 금속돔(130)을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에 조립하는 조립공차이다.
이 때, 상기 B영역에 대해 상기 금속돔(130)과 상기 도광필름(150)을 전체적으로 본딩 접합하는 경우, 상기 금속돔(130)과 상기 도광필름(150)이 일체화되어 상기 금속돔 본래의 동작력(operation force) 및 복귀력(return force)를 잃어버리게 되어 클릭율(click rate)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작력은 일반적으로 스위치가 동작하여 접촉이 이루어지기 위한 최소의 힘을 말하며, 상기 복귀력은 자가 복귀력(자체탄성력) 또는 스프링 등의 부품에 의한 힘을 이용하여 복귀가 되기 위한, 즉, 스위치가 접촉된 상태에서 단락되기 위한 최대의 힘을 말하며, 도 5를 참조하면, 클릭율에 대한 동작력과 복귀력의 관계식은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9061137247-PAT00003
이다.
여기서, 상기 OF는 작동력이고, 상기 RF는 복귀력이며, 이에 따라 상기 클릭율(click rate)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복귀력이 작아야 하고, 따라서, 상기 금속돔(130) 본래의 동작력과 상기 복귀력을 유지하여 상술한 클릭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즉, 상기 금속돔(130)의 본래 클릭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딩 접합 영역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본딩 접합 영역에 대한 관계식은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09061137247-PAT00004
이다.
여기서, 상술한 본딩 접합 영역(160)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동심원에 의해 정의되며, d1은 상기 두 개의 동심원 중 상대적으로 작은 동심원의 지름 이며, 상기 d2는 상기 두 개의 동심원 중 상대적으로 큰 동심원의 지름이고, δ는 본딩 접합 영역 공차이다.
즉, 상기 본딩 접합 영역(160)을 형성하는 동심원 중 상대적으로 작은 원의 지름(d1)은 상기 가압부(200)의 직경(k), 조립 공차(β) 및 본딩 결합 공차(δ)를 합한 값이며, 상기 본딩 접합 영역(160)을 형성하는 동심원 중 상대적으로 큰 원의 지름(d2)은 상기 작은 원의 지름(d1)에 본딩가능 최소폭의 두 배를 더한 값으로 정의된다.
더불어, 상기 금속돔(130)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돔 시트 구조 또는 상기 키패드 모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탑필름(14, 도 1참조)을 제거하고 상기 금속돔(130)을 상기 도광필름(150)에 직접적으로 접착하는 것 이외에도 종래의 돔시트 또는 키패드 모듈과 동등 이상 수준의 클릭감을 위해서는 상술한 수학식 4의 관계식에 따라 본딩 접합 영역(160)을 정의하고 상기 본딩 접합 영역(160)에 따라 본딩 결합을 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본딩 접합 영역(160)에서 상기 금속돔(130) 및 상기 도광 필름(150)을 본딩 접합함으로써, 상기 키패드 모듈은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의 슬림화 추세를 만족할 수 있고, 별도의 탑필름 설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상기 본딩 접합에 의해 상기 도광필름(150)을 구비하면서도 클릭율을 유지하여 클릭감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이러한 키패드 모듈의 접합 방법, 즉, 상기 키패드 모듈 제조 방법 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도록 접점이 인쇄된 인쇄회로 기판을 제공하고, 다음으로 상기 접점을 제외한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에 베이스필름을 결합한다.
다음, 상기 접점에 대응되도록 금속 돔(metal dome)을 배치하고, 상기 금속 돔과 도광 필름을 본딩 접합 하되,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에 대해 본딩 접합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광 필름의 상부에 키패드를 배치하는 단계를 수행하면 상기 키패드 모듈의 제조 방법이 완료된다.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상술한 키패드 모듈,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의 인쇄된 접점에 접하여 전기적신호가 발생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접점들을 각각 덮고 있는 금속돔(130)들과 상기 접점을 제외한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의 일면에 결합되는 베이스필름(120)과 상기 금속돔(130)을 결합 고정하는 도광 필름(150) 및 상기 도광 필름(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키패드(미도시)를 포함하는 키패드 모듈 및 상기 키패드 모듈을 감싸며 상기 키패드의 상면에 형성된 키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도록 상기 키에 대응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케이스로 상용되는 재질 및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러한 상기 케이스는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금속돔(130) 및 상기 도광필름(150)은 제 1 및 제 2실시예의 돔 시트 구조 또는 키패드 모듈과 유사하게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본딩 접합 영역(160)에서 서로 본딩 결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술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상기 금속돔(130)과 상기 도광필름(150)을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슬림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금속돔(130)과 상기 도광필름(150)의 본딩 접합 영역을 제한하여 클릭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광 필름을 구비한 돔 시트(dome sheet)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돔시트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모듈에서 가압부에 의한 금속 돔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클릭율 산출 공식에 따른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광필름과 금속돔의 본딩 접합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인쇄회로기판 120: 베이스필름
130: 금속돔 150: 도광필름
160: 본딩 접합 영역 200: 가압부

Claims (10)

  1. 인쇄회로기판의 인쇄된 접점에 접하여 전기적신호가 발생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접점들을 각각 덮고 있는 복수 개의 금속 돔; 및
    상기 금속 돔을 결합 고정하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
    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금속 돔과 본딩 접합 영역에서 본딩(bonding) 결합되고, 상기 본딩 접합 영역은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으로 형성되는 도광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2.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도록 접점이 인쇄된 인쇄회로 기판;
    상기 접점을 제외한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베이스필름;
    상기 접점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금속 돔(metal dome);
    상기 금속 돔 및 상기 베이스 필름과 결합되어 상기 금속 돔을 상기 인쇄회로 기판과 결합하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 및
    상기 도광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는 키패드;
    를 포함하는 키패드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금속 돔과 본딩 접합 영역에서 본딩(bonding) 결합되고, 상기 본딩 접합 영역은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으로 형성되는 키패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돔은 외부에서 상기 금속돔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접점에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금속돔의 면적은 상기 가압부와 상기 금속돔이 접하는 면적의 6배 내지 10배로 형성되는 키패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접합영역을 형성하는 동심원 중 상대적으로 작은 원의 지름은 상기 가압부의 직경과 조립 공차 및 본딩 결합 공차를 합한 값인 키패드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접합영역을 형성하는 동심원 중 상대적으로 큰 원의 지름은 상기 작은 원의 지름에 본딩가능 최소폭의 두 배를 더한 값인 키패드 모듈.
  7. 인쇄회로기판의 인쇄된 접점에 접하여 전기적신호가 발생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접점들을 각각 덮고 있는 금속 돔들과 상기 접점을 제외한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베이스필름과 상기 금속 돔을 결합 고정하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 및 상기 도광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키패드 모듈; 및
    상기 키패드 모듈을 감싸며 상기 키패드의 상면에 형성된 키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도록 상기 키에 대응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금속 돔과 본딩 접합 영역에서 본딩 결합되고, 상기 본딩 접합 영역은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서로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인 이동통신단말기.
  9. 인쇄회로기판의 인쇄된 접점에 접하여 전기적신호가 발생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접점들을 각각 덮고 있는 복수 개의 금속 돔 및 상기 금속 돔을 결합 고정하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을 결합하는 본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광 필름을 상기 금속 돔과 본딩 접합 영역에서 본딩(bonding) 결합시키되, 상기 본딩 접합 영역은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도광필름 일체형 돔 시트 본딩 방법.
  10.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도록 접점이 인쇄된 인쇄회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접점을 제외한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에 베이스필름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접점에 대응되도록 금속 돔(metal dome)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금속 돔과 도광 필름을 본딩 접합 하되, 상기 금속 돔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이 상이한 두 개의 동심원 사이의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도넛(donut) 형상에 대해 본딩 접합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도광 필름의 상부에 키패드를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키패드 모듈 제조 방법.
KR1020090094615A 2009-10-06 2009-10-06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92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615A KR101092179B1 (ko) 2009-10-06 2009-10-06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12/831,686 US8803016B2 (en) 2009-10-06 2010-07-07 Dome sheet structure including light guide fil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dome shee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615A KR101092179B1 (ko) 2009-10-06 2009-10-06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253A true KR20110037253A (ko) 2011-04-13
KR101092179B1 KR101092179B1 (ko) 2011-12-13

Family

ID=4382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615A KR101092179B1 (ko) 2009-10-06 2009-10-06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03016B2 (ko)
KR (1) KR101092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065B1 (ko) * 2013-04-26 2017-11-17 시티즌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푸쉬 스위치 및 스위치 모듈
KR20170022567A (ko)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택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컨택 장치와 전자 장치
US9746168B1 (en) 2015-10-30 2017-08-29 American Opto Plus Led Corporation Light-emitting touch butt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969A (ja) 2001-10-31 2003-05-16 Mitsum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
JP2003217391A (ja) * 2002-01-25 2003-07-31 Fujikura Ltd キー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53324B1 (ko) * 2006-04-05 2007-08-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도광필름을 구비한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장착한이동통신단말기
JP2008153050A (ja) 2006-12-18 2008-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照光式可動接点体
JP2009099298A (ja) * 2007-10-15 2009-05-07 Panasonic Corp スイッチ
JP2009277611A (ja) * 2008-05-19 2009-11-26 Fuji Denshi Kogyo Kk ライトガイド付き接点保持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9499A1 (en) 2011-04-07
KR101092179B1 (ko) 2011-12-13
US8803016B2 (en)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1032C1 (ru) Кнопочный узел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 этим узлом
US9509812B2 (en) Case for a hand held device
EP1962314B1 (en) Light guide sheet and movable contact unit and switch using the same
US8063325B2 (en) Keypad assembly
KR101243669B1 (ko) 휴대 단말기
US8513549B2 (en) Illuminated keyboard
EP1918954B1 (en) Keypad Assembly
US7547857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JP2003007161A (ja) 無線電話機用キーパッド
JP2006324241A (ja) キーパッド装置および携帯型端末機
KR20090031750A (ko) 핸드셋 키패드
JP2006324253A (ja) キーパッド装置および携帯型端末機
KR20070112895A (ko) 스위치 통합 케이싱 및 이 케이싱을 가진 전자기기
KR101092179B1 (ko) 도광 필름 일체형 돔 시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WO2009110422A1 (ja) スイッチ機構及び電子機器
US11804342B2 (en) Membrane switch, key and keyboard
JP2009037763A (ja) 照光式スイッチ、照光式スイッチユニット
JP4545693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6066157A (ja) キー入力装置構造及びこの構造を有する携帯用通信機器
JP4749371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70094389A (ko)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부
KR20080008649A (ko) 컴퓨터용 키입력 장치
JP2011159565A (ja) ドームシート、プリント配線板、キー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