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389A -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부 - Google Patents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389A
KR20070094389A KR1020060025017A KR20060025017A KR20070094389A KR 20070094389 A KR20070094389 A KR 20070094389A KR 1020060025017 A KR1020060025017 A KR 1020060025017A KR 20060025017 A KR20060025017 A KR 20060025017A KR 20070094389 A KR20070094389 A KR 20070094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uch sensor
keypad
butt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우
Original Assignee
구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4389A/ko
Publication of KR20070094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체부의 하우징에 부착하는 키 패드부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인휴대단말기는 회로유닛을 내장한 본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에는 버튼 영역이 인쇄된 버튼 필름 및 버튼 필름에 형성되어 회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센서부가 구비된 키 패드부를 부착한다. 따라서, 두께가 얇은 터치 센서방식의 키 패드부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기존의 누름 버튼의 복잡한 구조나 번거로운 결합대신에 하우징에 직접 부착하여 결합하는 키 패드부를 사용함으로써, 생산 및 조립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단말기는 키패드의 얇은 두께로 인해 넓은 설계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하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설계될 수 있다.
키 패드부, 터치 센서부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부{PERSONAL POTABLE DEVICE AND KEY-PAD PART FOR THE DEVICE}
도 1에 종래의 휴대폰에서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패드부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3의 키 패드부를 분리한 정면도이다.
도 5는 키 패드부의 배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키 패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키 패드부 배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체부에 형성된 단자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키 패드부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키 패드부 구조를 XⅠ-XⅠ부분을 절단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터치 센서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개인휴대단말기 100:본체부
130:단자부 200:디스플레이부
300:키 패드부 310:터치 센서부
312:연결부 320:버튼 필름
430:조명부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단말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키 패드부 및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의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키 입력부의 버튼을 누른다. 휴대폰과 관련된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키 입력부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 외에도, 메시지 전달을 위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게임 기능이나 각종 기능을 입력하기 위해서 키 입력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비단 휴대폰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장치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적용되고 있다.
도 1 에 종래의 휴대폰에서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폰(1)에서 키 입력부는 버튼(12)이 형성된 키 패드(10), 돔 스위치(22)가 형성된 접착 시트(20), 및 원형의 전극(32)이 형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30)을 포함한다.
키 패드(10)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키 패드(10)의 상면에는 휴대폰의 버튼(12)이 사출 성형 등을 통해 키 패드(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키 패드(10)에서 버튼(12)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된 버튼(12)은 휴대폰의 상부 케이스(2)에 형성된 홀(4)를 통해서 각각 노출될 수가 있다.
키 패드(10)의 하부에는 돔 스위치(22)를 포함하는 접착 시트(20)가 제공된다. 돔 스위치(22)는 금속을 재질로 형성되며, 돔(dome) 형태의 스위치가 평평하게 눌러지면서 전극(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하여 전극(32)을 다시 분리시킬 수 있다. 돔 스위치(22)는 접착 시트(3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시킬 수가 있다.
PCB 기판(30)은 원형의 전극(32)를 포함하며, 전극(32)은 버튼(12) 및 돔 스위치(22)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전극(32)은 동심원의 원형 구조를 가지며, 돔 스위치(2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 패드(10)는 상부 케이스(2)의 하부에 위치하며, 버튼(12)은 상부 케이스(2)의 홀(4)을 통해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키 입렵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부 케이스(2) 및 키 패드(10)를 겹쳐서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키 입력부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상부 케이스(2)에 홀(4)을 형성하여야 하며, 각 홀(4)에 대응하도록 버튼(12)을 위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조립을 통한 제작이 복잡하며 키 입력부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도 많다.
도 2는 종래의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의 버튼(12)이 키 패드(10)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키 패드(10)의 저면에는 간격 지지부(16) 및 누름 돌출부(14)가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12)을 누르면, 누름 돌출부(14)가 돔 스위치(22)를 누르게 되고, 돔 스위치(22)가 변형되면서 돔 스위치(22) 하부에 위치한 전극(32)을 연결할 수가 있다. 전극(32)이 연결됨에 따라 버튼(12)의 누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극(32)에서 발생된 신호는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해 내부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버튼(12)의 면적이 누름 돌출부(14)의 면적보다 훨씬 크므로, 버튼(12)을 누르는 힘이 모아져서 누름 돌출부(14)에 전해질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돔 스위치(22)를 용이하게 누를 수가 있다.
최근의 휴대폰은 키 패드의 디자인이 휴대폰의 디자인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고, 현재 출시되는 휴대폰의 키패드는 다양한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중에서 키 패드의 재질을 바꾸거나 버튼의 배치를 바꾼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제품과 컨버전스 되기 위해 최신 경향에 맞는 새로운 키 패드가 디자인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보듯이 종래의 휴대폰은 돔 스위치를 이용한 키 패드를 구비하며, 이를 위한 종래의 키패드는 돔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해 여러 개의 전자부품들을 추가로 구비하여야 한다. 이런 부품들을 회로유닛에 부착하거나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일정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결국 단말기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여러가지 부품을 제작 및 결합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재료 및 생산설비가 증가되고, 생산단가도 비싸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품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및 결합이 어려우며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할 확률도 높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계적 방식의 키 패드 대신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터치방식을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및 그 개인휴대단말기용 키 패드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및 결합 공정이 단순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고, 가격이 저렴한 개인휴대단말기 및 그 개인휴대단말기용 키 패드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패드의 얇은 두께로 인해 넓은 설계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하고 세련된 디자인의 개인휴대단말기 및 그 개인휴대단말기용 키 패드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는 회로유닛을 내장한 본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에는 버튼 영역이 인쇄된 버튼 필름 및 버튼 필름에 형성되어 회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센서부를 구비한 키 패드부가 부착된다.
본체부의 외면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안테나 등의 일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회로유닛은 본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회로유닛의 상면에는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회로유닛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통화, 메일, VOD, MOD 또는MP3 기능 등을 제어 및 통제할 수 있다.
버튼 필름의 상면에는 버튼 영역이 격자형태 또는 다양한 배치 형태로 인쇄되고, 각각의 버튼 영역에는 숫자, 문자 및 기능 아이콘들이 인쇄될 수 있다.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터치 센서부가 형성되며, 터치 센서부는 정전용량, 멤브레인, 초음파 및 충격식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기타 사용자의 터치 여부 또는 압력 유무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그리고, 각각의 터치 센서부는 회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터치 센서부가 형성된 키 패드부를 통해, 기존보다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설계의 폭이 증가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번거로운 제조 및 결합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고, 보다 저렴한 가격의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버튼 필름에는 EL소자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터치 감지센서와 함께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서는 슬라이드형을 이용하였으나 풀립(Flip)형, 폴더(Folder)형, 바(Bar)형, 폴더(Folder)형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 응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패드부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50)는 본체부(100), 디스플레이부(200) 및 키 패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하우징(110)으로 외관이 형성되고, 카메라장치(120), 안테나, 마이크 및 리시버 등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후면에는 배터리가 장 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에는 각종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210)가 부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210)의 하단부에는 방사상 형상의 선택적으로 누름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네비게이션키(220) 및 상기 네비게이션 키(220) 주위에 배치된 기능키(23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키 패드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부착되고,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키 패드부(300)를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도 4는 키 패드부를 분리한 정면도이고, 도 5는 키 패드부의 배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키 패드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키 패드부(300)의 배면에는 접착층(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층(330)을 매개로 상기 키 패드부(300)를 상기 하우징(110)에 접착한다. 상기 접착층(330)은 상기 키 패드부(300)의 배면에 형성된 접착물질(미도시)과 상기 접착물질을 외부의 먼지나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33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키 패드부(300)의 배면에 부착된 상기 이형지(332)를 떼어내어, 상기 접착물질이 형성된 상기 키 패드부(300)의 배면을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키 패드부(300)가 접착되는 면의 일측에는 상기 키 패드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130)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키 패드부(300)의 배면에도 상기 단자부(130)와 결합하는 연결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130)는 상기 본체부(100)에 내장된 회로유닛(미도시)과 연결되어, 상기 키 패드부(300)의 입력신호를 상기 연결부(312)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회로유닛으로 전달한다.
도 6는 도 4의 키 패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키 패드부(300)는 버튼 필름(320), 터치 센서부(310) 및 연결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필름(320)은 상기 키 패드부(3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 필름(320)에는 격자 형태의 버튼 영역(322)이 인쇄된다.
상기 버튼 영역(322) 안에는 숫자가 인쇄되는데, 그 외 문자 혹은 기호 등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영역(322)에 대응하여 상기 키 패드부(300)에는 복수개의 상기 터치 센서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터치 센서부(310)는 상기 버튼 필름(32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면 또는 내부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사용자가 인쇄된 상기 버튼 영역(322)을 눈으로 식별하기 위해서 상기 터치 센서부(310)의 일부분이 투명하게 제조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연결부(312)는 상기 키 패드부(300)의 우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부(310)가 감지한 신호를 상기 회로유닛으로 전달한다. 상기 연결부(312)는 상기 키 패드부(30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키 패드부(300)를 도 2의 종래 키 패드(10)와 비교해 보면 훨씬 얇은 두께로 제조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키 패드부 배면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키 패드부(300)의 배면에는 터치 센서부(310), 연결부(312) 및 배선부(316)가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터치 센서부(310)로부터 배선부(316)의 일단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부(316)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312)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선부(316)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며, 상기 터치 센서부(310)에서 감지한 신호를 상기 연결부(312)까지 전기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키 패드부(300)의 배면에 접착물질을 형성할 경우에 상기 터치 센서부(310) 및 상기 배선부(316)의 상면은 코팅처리 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Ⅷ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체부에 형성된 단자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312)는 복수개의 패드단자(314)가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패드단자(314)는 상기 연결부(312)로 안내되는 상기 배선부(316)에 의해 각각의 터치 센서부(310)와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단자부(130)의 위치는 상기 터치 센서부(310)를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할 때 상기 연결부(312)와 대응되는 지점이다. 상기 단자부(130)에는 상기 연결부(312)에 형성된 상기 패드단자(314)에 대응하여 접속단자(132)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접속단자(132)는 각각의 상기 패드단자(314)와 일대일 접촉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개인휴대단말기(5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자 할 때, 상기 버튼 필름(320)에 인쇄된 상기 버튼 영역(322)을 터치하면, 상기 버튼 영역(322)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터치 센서부(310)가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센서부(310)와 연결된 상기 배선부(316)을 통해 상기 연결부(312)까지 터치 신호가 전달된다. 상기 연결부(312)는 상기 단자부(130)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312)에 형성된 상기 패드단자(314)는 전달된 터치 신호를 상기 단자부(13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접속단자(132)로 전달한다. 상기 단자부(130)는 상기 회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로유닛은 전달받은 터치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버튼 영역(322)에 해당되는 문자, 숫자를 상기 디스플레이(210)에 나타내거나 또는 기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에 부착 가능한 터치 방식의 키 패드를 이용할 때는 키 패드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제조 및 결합이 간단해져 생산효율이 증가하며, 또한 키 패드부의 얇은 두께로 인해 넓은 설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2
도 10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키 패드부의 부분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키 패드부 구조를 XⅠ-XⅠ부분을 절단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버튼 필름(420)에는 인쇄층(424)이 형성되어 버튼 영역(422)을 형성한다. 상기 인쇄층(424)의 저면에는 터치 센서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터치 센서부(410)의 하부에는 조명부(430)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 (430)는 유기 EL(Electro Luminescent)을 이용한 것으로, ITO(Indium-Tin Oxide, 산화인듐)와 같은 투명전극(432)과 금속(Ca, Li, Al:Li, Mg:Ag등)을 사용한 배면전극(436)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전극(432)과 상기 배면전극(436) 사이에는 정공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으로 형성된 유기 박막층인 EL(434)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서부(410)와 상기 조명부(430) 사이에는 절연층(412)이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430)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전기장의 영향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배면전극(436)의 하부에는 보호층(438)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438)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 가능하도록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터치 센서부(410)를 상기 버튼 필름(420)에 스팟(SPOT) 형태로 형성하였으나,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부(440)를 버튼 필름(450)에 형성된 숫자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빛을 발산하는 키 패드부를 이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버튼 영역을 터치할 할 때, 버튼 영역의 하부로부터 하나 혹은 둘 이상의 빛이 발산하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심어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방식의 키 패드부 대신에 터치 방식의 키 패드부를 이용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제조 및 결합 공정이 단순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며,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얇은 두께로 인해 넓은 설계의 폭을 가질 수 있어서, 다양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회로유닛을 내장하는 본체부;
    버튼 영역이 인쇄된 버튼 필름 및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버튼 필름에 형성된 복수개의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는 키 패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키 패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에 부착되며, 각각의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회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부는 상기 버튼 필름의 일측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패드 단자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각각의 상기 터치 센서부와 상기 패드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패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서부의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부의 배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키 패드부는 상기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본체의 하우징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버튼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부는 정전용량식, 멤브레인식, 초음파식 또는 충격식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필름에는 조명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는 전기장 발광소자(EL; Electro Luminescent)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8. 회로유닛을 내장하는 단말기의 본체부에 장착되는 키 패드부에 있어서,
    버튼 영역이 인쇄된 버튼 필름; 및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버튼 필름에 형성된 복수개의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 패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에 부착되며, 각각의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회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키 패드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부는 상기 버튼 필름의 일측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패드 단자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각각의 상기 터치 센서부와 상기 패드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키 패드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서부의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키 패드부.
KR1020060025017A 2006-03-17 2006-03-17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부 KR20070094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017A KR20070094389A (ko) 2006-03-17 2006-03-17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017A KR20070094389A (ko) 2006-03-17 2006-03-17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389A true KR20070094389A (ko) 2007-09-20

Family

ID=3868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017A KR20070094389A (ko) 2006-03-17 2006-03-17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43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96B1 (ko) * 2007-01-05 2008-03-31 에이디반도체(주) 터치 키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96B1 (ko) * 2007-01-05 2008-03-31 에이디반도체(주) 터치 키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3325B2 (en) Keypad assembly
US7896511B2 (en)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US9036358B2 (en) Terminal device and transparent substrate
EP1918954B1 (en) Keypad Assembly
US8119938B2 (en) Touch keypad assembly
CN212461477U (zh) 键盘
KR20120036076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 장치
US20050103610A1 (en) Switch unit capable of directly illminating switch operating position
CN101174511A (zh) 键盘组件
US7710405B2 (en) Keypad and/or touchpad construction
JP2009170195A (ja) 可動接点体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US20100051434A1 (en) Keypa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6216473A (ja) 薄型キーシート
KR100870229B1 (ko) 베이스필름에 터치패널과 el램프패널이 일체화되어결합되어 있는 발광터치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4389A (ko)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부
KR200325934Y1 (ko) 이엘 돔 테이프 키패드
KR100583353B1 (ko) 전도성 고분자로 구성된 전면전극층 및 배면전극층을 포함한 무기 el 램프, 상기 무기 el 램프를 이용한 키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116057A (ko) 이엘 램프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5085582A (ja) キーパッド
JP2007012285A (ja) 可動接点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2332025B1 (en) Input device with rotary wheel
KR200426230Y1 (ko) 발광 키패드
KR20030090012A (ko) 이엘램프가 내장된 셀룰라폰용 키패드
KR20060110879A (ko) 발광층이 직접 형성이 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JP5318790B2 (ja) 入力センサ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