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879A - 발광층이 직접 형성이 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발광층이 직접 형성이 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879A
KR20060110879A KR1020050032624A KR20050032624A KR20060110879A KR 20060110879 A KR20060110879 A KR 20060110879A KR 1020050032624 A KR1020050032624 A KR 1020050032624A KR 20050032624 A KR20050032624 A KR 20050032624A KR 20060110879 A KR20060110879 A KR 20060110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attern
light emitting
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박동준
조영도
Original Assignee
(주)지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씨 filed Critical (주)지엔씨
Priority to KR102005003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0879A/ko
Publication of KR2006011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0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 B63H21/305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with passive vibration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두께가 얇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버튼 플레이트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버튼 시트, 버튼 패턴에 대응하여 형성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층 및 발광층 상에 형성되며 버튼 패턴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가 표시된 인쇄 보호층을 구비한다. 금속 재질의 얇은 버튼 패턴을 이용하기 때문에 버튼 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으며, 얇은 버튼 플레이트를 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가 있다. 또한, 무기 EL 또는 유기 EL 을 이용한 발광층을 인쇄 보호 필름과 금속 재질의버튼 시트 사이에 형성이되는 버튼 플레이트 내에 형성함으로써 발광층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 및 단말기의 두께를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다.

Description

발광층이 직접 형성이 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BUTTON PLATE INCLUDING A LUMINESCENT LAYER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BUTTON PLATE}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또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발광층을 형성하는 분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발광층을 형성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개인휴대단말기 110 : 단말기 본체
112 : 전면 케이스 114 : 후면 케이스
200 : 버튼 플레이트 210 : 버튼 시트
212 : 버튼 패턴 220 : 발광층
230 : 발광부 234 : 발광 패턴
236 : 버스전극 패턴 238 : 투명전극 패턴
240 : 인쇄 보호층 242 : 인쇄필름 층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발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발광 기능을 포함하는 버튼 플레이트 및 그 버튼 플레이트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휴대폰의 키 패드의 발광을 위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EL 패드(Electro Luminescent Pad)를 사용한다. 일 예로, LED를 키 패드의 하부 에 설치하고, LED의 빛에 의해서 숫자 또는 문자가 두드러지도록 버튼에는 숫자 또는 문자 모양의 홀이 형성되거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인쇄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EL 패드 역시 키 패드 하부에 설치하고, 키 패드에 숫자 또는 문자 형상의 홀 또는 인쇄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LED를 이용한 종래의 발광방법에서는 다수개의 LED를 하부 기판에 설치하나 전체적으로 균일한 광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EL 패드를 이용한 종래의 발광방법에서는 패드 전체에서 균일한 광을 제공할 수 있지만, 돔 스위치 등의 주변 장치와 관련하여 EL 패드를 설치하기가 어렵고, EL 패드의 두께로 인해 키 입력모듈 또는 휴대폰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발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 모듈을 얇게 할 수 있으며, 조립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균일한 빛을 낼 수 있는 무기EL 또는 유기EL를 이용하여 버튼의 발광부를 형성하고, 돔 스위치와 같은 주변의 누름 센서와의 관계에 있어서 키 패드 및 키입력 센서부 간의 구조를 간단하게 유지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키패드 홀을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 단말기 본체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키패드를 제공하는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버튼의 물리적 변화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 센서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키패드는 단말기 본체의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고 케이스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버튼을 돌출시키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버튼 플레이트는 얇은 두께를 가지며 그 자체가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케이스의 벽을 대체할 수 있기 대문에 단말기의 두께를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다.
버튼 플레이트는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배치된 버튼 패턴(button pattern)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버튼 시트(button sheet), 버튼 패턴에 대응하여 형성된 발광부(luminescent section)를 포함하는 발광층(luminescent layer) 및 발광층 상에 형성되며 버튼 패턴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가 표시된 인쇄 보호층(printed protection layer)을 포함한다. 버튼 시트는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었기에 버튼 및 플레이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인쇄 보호층은 인쇄가 된 필름으로서 발광층 및 버튼 시트를 보호하면서 인쇄 등을 통하여 버튼 디자인 또는 숫자 또는 문자 디자인 등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키 입력부에 대한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 및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발광층은 무기 EL 또는 유지 EL 등을 이용하여 얇은 두께로 균일한 광을 제공할 수 있으며, 버튼 시트 및 필름 형상 인 인쇄 보호층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키 입력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안전하게 보호될 수가 있다.
버튼 시트에서 버튼 패턴의 주변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격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 슬릿은 버튼 패턴의 주변에서 서로 마주보는 양측 또는 버튼 패턴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버튼 패턴의 영역을 정의할 수 있고, 이격 슬릿으로 인해 버튼 패턴이 부분적으로 이동하여 키입력 센서부의 누름 센서를 작동시킬 수 있다.
버튼 시트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전기 전도와는 무관하게 상대적으로 경도로 높은 고경도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버튼 시트가 금속인 경우, 버튼 패턴도 금속으로서 그 자체로 배면전극이 될 수도 있어 버튼 플레이트의 두께를 더 줄일 수도 있다. 버튼 시트가 금속 이외의 고경도 플라스틱인 경우, 버튼 시트 및 인쇄 보호층 사이에는 발광층이 시트 형상으로 부가될 수 있으며, 이때 발광층의 발광부에는 배면전극 패턴, 발광 패턴 및 투명전극 패턴이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예들로서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서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또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버튼 시트(210)는 약 0.01~0.5mm의 두께를 갖는 금속 재질 로 형성된다. 버튼 시트(210)에는 버튼 영역의 주변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격 슬릿(214)이 형성되며, 이격 슬릿(214)에 의해서 버튼 패턴(212)이 정의될 수 있다. 버튼 시트(210)는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알루미늄 등과 같이 전기가 통할 수 있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슬릿(214)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버튼 시트(21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것과 같이, 버튼 패턴(212a)의 주변으로 복수개의 이격 슬릿(21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 시트(210)의 상단 좌우에 형성된 것과 같이, 버튼 패턴(212b)의 둘레를 따라 이격 슬릿(214b)이 형성되어 캔틸레버(cantilever) 형상의 버튼 패턴(212b)이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버튼 시트(210)의 하반부에 형성된 것과 같이, 이격 슬릿(214c)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2개의 상의 버튼 패턴(212c)이 이격 슬릿(214c)에 의해서 정의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이격 슬릿(214)은 원형, 다각형, 직선, 곡선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사용자가 버튼 패턴(212)을 누를 때, 버튼 패턴(212)은 이격 슬릿(214)에 의해서 상하로 움직일 수가 있다. 이격 슬릿(214)에 의해서 버튼 패턴(212)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버튼 시트(210)의 다른 부분과 독립적으로 분리된 움직임을 구현할 수가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버튼 패턴(212)은 배면 전극으로서 작동할 수도 있으며, 버튼 패턴(212) 상에는 발광부(230)를 포함하는 발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230)는 버튼 패턴(212) 상에 각각 형성되며, 발광부(230)는 발광 패턴(234) 및 투 명전극 패턴(238) 등을 포함한다. 이하 발광 패턴(234), 제1 유전체 패턴(235), 투명전극 패턴(238), 버스전극 패턴(236) 등을 형성하는 과정을 차례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발광부(230)가 형성되는 버튼 패턴(212) 상에 발광 패턴(234)이 형성된다. 발광 패턴(234)은 버튼 패턴(212)에 각각 형성되며, 무기EL 또는 유기EL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무기EL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기의 발광체 분말을 페이스트 형태로 준비한 후, 준비된 패턴을 이용한 스크린 인쇄 과정을 통해서 발광 패턴(234)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발광 패턴(234)은 금속 재질의 버튼 패턴(212) 상에 각각 형성되며, 주변의 전기적인 영향에 의해서 발광할 수가 있다. 이외에도 발광 패턴(234)은 포토 레지스트 방식 또는 잉크젯 방식 등 다양한 패턴 형성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유기EL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벤조티아졸계, 벤조이미다졸계, 벤조옥사졸계, 금속킬레이트화옥소늄화합물, 스틸릴벤젠계화학물, 방향족디메틸리딘계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유기 발광물질을 이용한 발광 패턴(234)은 증착 등의 방법을 통해서 금속의 버튼 패턴(212) 상에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시트(210)의 일측에는 외부와 연결되기 위한 전극(218)이 형성될 수가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패턴(234) 상에는 제1 유전체 패턴(235)이 형성된다. 제1 유전체 패턴(235)은 발광 패턴(234)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발광 패턴(234) 및 버튼 패턴(212)의 연결 부위를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투명 전극 패턴(238)이 형성된 후에는 제1 유전체 패턴(235)이 발광 패턴(234) 및 투명전극 패턴(238) 사이에 개재되며, 버튼 패턴(212)과 투명전극 패턴(238)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전체 패턴(235)이 발광 패턴(234)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패턴(234)의 가장자리 부분의 손상(defect)를 줄일 수도 있다.
제1 유전체 패턴(235)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인쇄, 포토 레지스트, 잉크젯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유전체 패턴(235)은 버튼 패턴(212) 및 투명전극 패턴(238)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유전체 패턴(235) 없이도 발광부를 형성할 수가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유전체 패턴(235) 상에 버스전극 패턴을 형성할 수가 있다. 버스전극 패턴(236)은 은(Ag), 알루미늄(Al), 금(Au) 등의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페이스트 형태로 인쇄를 하거나 포토 레지스트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 공정을 통해서 생성될 수가 있다.
투명전극은 상대적으로 전기 전도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전기 전도도가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버스 전극을 형성하고, 버스 전극을 이용하여 투명전극의 전기 전도도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버스전극 패턴(236)을 제1 유전체 패턴(235) 상에 형성하고 발광 패턴(234) 상에는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버스전극 패턴(236)이 발광 패턴(234)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버스전극 패턴(236)을 형성한 후, 발광 패턴(234) 및 버스전극 패턴(236) 상으로 투명전극 패턴(238)이 형성된다. 투명전극 패턴(238)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ITO 또는 IZO의 투명전극 패턴(238)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증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ITO 또는 IZO를 페이스트 형태로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과정에 의해서, 버튼 패턴(212) 상에는 발광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230)는 금속의 버튼 패턴(212)을 배면전극으로 이 용하며, 버튼 패턴(212) 상에 차례로 형성되는 발광 패턴(234), 제1 유전체 패턴(235), 버스전극 패턴(236) 및 투명전극 패턴(238)을 포함한다. 버튼 패턴(212) 및 투명전극 패턴(238)에 동작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양 전극으로부터 전자 또는 정공이 공급되고, 발광 패턴(234) 내의 전자가 들뜬 상태(excited state)로 되고, 들뜬 상태의 전자가 다시 바닥 상태(ground state)로 회복되면서 빛을 발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제 1 유전층이 생략 되기도 하며 버스 전극과 투명 전극의 형성 순서는 공정도나 구조에 따라서 바뀌기도 한다.
기본 적인 구조는 발광 층 양쪽으로한 쪽에는 투명 전극이 형선이 되며 다른 쪽에는 유전층이 형성이 되고 그 하부에 하부전극이 형성이 되어 투명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인가 되는 전압에 의해 발광층에서 빛이 나오는 구조이다.
이러한 유전층이 있는 경우는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이며 유전층이 없이 전극 사이에 바로 발광층이 형성이 된 경우는 직류전압을 인가 하여도 빛이 나온다.
이러한 발광층은 직류 무기 EL 구조나 유기 EL 발광 구조 등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버튼 시트(210) 및 발광층(220) 상으로 인쇄 보호층(240)이 형성된다. 인쇄 보호층(240)은 발광층(220) 상에 형성된 인쇄필름 층(242)을 포함한다. 인쇄필름 층(242)에는 숫자, 문자, 버튼 디자인 등이 인쇄될 수 있으며, 숫자 또는 문자가 형성된 부분은 빛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애초부터 인쇄되거나 인쇄 후 숫자 또는 문자를 따라 인쇄된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그 외에도 인쇄 보호층(240)은 인쇄필름 층(242) 상에 형성된 보호코팅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인쇄필름 층(242)의 하부에 형성된 탄성 보호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호코팅은 인쇄필름 층(242)에 생길 수 있는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탄성 보호층은 사용자의 키감을 좋게 하고 내부 투명전극 패턴(238)이나 발광 패턴(234) 등을 보호할 수가 있다. 여기서 탄성 보호층은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의 고무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도 11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버튼 시트(210)의 저면에는 러버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러버 패드는 버튼 패턴(212)의 하부에 위치한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며, 누름 돌출부는 버튼 패턴(212)의 움직임을 돔 스위치 등으로 전달하여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누름 돌출부는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돔 스위치가 깨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버튼을 누르는 힘을 집중시켜 돔 스위치가 쉽게 눌러지도록 할 수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100)는 단말기 본체(110), 버튼 플레이트(200) 및 키입력 센서부(130)을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10)는 일반적인 단말기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내외 부품 및 회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폰의 경우 단말기 본체(110)는 단말기 케이스, 키 입력부, 디스플레이 모듈, 무선 송수신 모듈, 배터리, 마이크 및 리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단말기 본체(110)는 폴더형 단말기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는 바(bar)형, 플립(flip)형, 슬라이드(slide)형, 스윙(swing)형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스타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단말기 본체(110)는 전면 케이스(112) 및 후면 케이스(114)를 포함하며, 전면 케이스(112)의 전면 상부에는 액정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며, 전면 하부에는 키 입력부를 장착하기 위한 키패드 홀(116)이 제공된다.
버튼 플레이트(200)는 전면 케이스(112)의 내면에 장착되며, 버튼 플레이트(200)의 안쪽으로는 키입력 센서부(130)가 제공된다. 버튼 플레이트(200)는 키패드 홀(116)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키패드 홀(116)에 장착됨으로써 단일벽을 형성하는 키 입력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키 입력부와 함께 키패드 홀(116)을 차단하는 벽면을 제공할 수가 있다.
버튼 플레이트(200)는 버튼 패턴(2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210), 버튼 시트(210) 상에 형성되며 발광부(230)를 갖는 발광층(220) 및 발광층(220) 상에 형성되는 인쇄 보호층(240)을 포함한다. 버튼 시트(210), 발광층(220) 및 인쇄 보호층 (240)은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버튼 플레이트(200) 자체도 약 0.1~0.5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 패턴(212)의 박판을 포함하기 때문에 버튼 플레이트(200)는 견고한 구조 및 우수한 키감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버튼 플레이트(200)은 키패드 홀(116)에 장착됨으로써 한번에 키 입력부를 설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립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가 있다.
또한, 버튼 플레이트(200)의 외곽을 따라 위치 가이드 홈(2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케이스(112)에서 키패드 홀(116)의 내면에는 위치 가이드 홈(224)에 대응하는 위치 가이드 돌기(117)가 형성된다. 버튼 플레이트(200)는 나사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전면 케이스(112)에 고정될 수 있지만, 최초로 버튼 플레이트(200)를 키패드 홀(116)에 맞게 정위치 시키기 위해서 위치 가이드 돌기(117) 및 위치 가이드 홈(224)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위치 가이드 돌기(117)에 위치 가이드 홈(124)을 형성하고, 돌기와 홈이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함으로써 전면 케이스(112) 및 버튼 플레이트(200) 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할 수가 있다.
키입력 센서부(130)는 누름 센서를 포함하며, 누름 센서는 돔 스위치(132) 및 접점 전극(134)을 이용한 구조를 갖는다. 버튼 플레이트(200)의 각 버튼에 대응하도록 버튼 패턴(212)이 제공되며, 각 버튼 패턴(212)의 하부에는 키입력 센서부(130)의 돔 스위치(132) 및 접점 전극(134)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 플레이트(200)의 버튼을 누르면, 누르는 힘은 버튼 패턴(212)를 통해 돔 스위치(132) 로 전달되며, 돔 스위치(132)은 일시적으로 변형되어 접점 전극(13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가 있다. 접점 전극(134)의 연결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가 생성되며, 각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특정되어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도 13은 버튼 시트의 버튼 패턴을 중심으로 상하로 형성된 적층 구조를 구조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300)는 버튼 시트(310), 발광층(320) 및 인쇄 보호층(340)을 포함한다. 버튼 시트(310)는 이격 슬릿에 의해서 정의된 버튼 패턴(312)을 포함하며, 버튼 패턴(312) 상에는 발광층(320)의 발광부(330)가 각각 형성된다. 발광부(330)는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패턴(334), 투명전극 패턴(338) 및 버스전극 패턴(336)를 포함하며, 버튼 시트(310) 및 발광층(320) 상에는 인쇄필름 층(342)를 포함하는 인쇄 보호층(340)이 형성된다.
버튼 시트(310)는 약 0.01~0.5mm의 두께를 가지며,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이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버튼 시트(310)에는 버튼 영역의 주변으로 이격 슬릿이 형성되며, 버튼 영역 주변에 형성된 이격 슬릿에 의해서 버튼 패턴(312)이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 패턴(312)을 누를 때, 버튼 패턴(312)은 이격 슬릿에 의해서 상하로 움직일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패턴(312)은 배면 전극으로서도 작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버튼 패턴(312) 상에는 발광 패턴(334)를 포함하는 발광부(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 패턴(312)은 하나의 전극으로서 투명전극 패턴(338)과 상호 작동을 하여 발광 패턴(334)으로부터 빛을 발하게 할 수 있다.
발광부(330)가 형성되는 버튼 패턴(312) 상에 발광 패턴(334)이 형성되며, 발광 패턴(334)은 무기EL 또는 유기EL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무기EL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기의 발광체 분말을 페이스트 형태로 준비한 후 인쇄하거나 포토 레지스트 또는 잉크젯 방식 등 다양한 패턴 형성방법을 이용하여 발광 패턴(334)을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유기EL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벤조티아졸계, 벤조이미다졸계 등을 이용하여 증착과 같은 방법으로 발광 패턴(334)을 형성할 수가 있다.
발광 패턴(334) 상에는 투명전극 패턴(338)이 형성된다. 투명전극 패턴(338)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ITO 또는 IZO의 투명전극 패턴(338)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증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ITO 나 IZO 등의 투명 전극 잉크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투명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명전극 패턴(338)의 주변으로는 버스전극 패턴(336)이 형성된다. 버스전극 패턴(336)은 은(Ag), 알루미늄(Al), 금(Au) 등의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페이스트 형태로 인쇄를 하거나 포토 레지스트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 공정을 통해서 생성될 수가 있다. 투명전극은 상대적으로 전기 전도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전기 전도도가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버스 전극을 형성하고, 버스 전극을 이용하여 투명전극의 전기 전도도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버튼 시트(310) 및 발광층(320) 상으로 인쇄 보호층(340)이 형성된다. 인쇄 보호층(340)은 발광층(320) 상에 형성된 인쇄필름 층(342)을 포함한다. 인쇄필름 층(342)에는 숫자, 문자, 버튼 디자인 등이 인쇄될 수 있으며, 숫자 또는 문자가 형성된 부분은 빛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애초부터 인쇄되거나 인쇄 후 숫자 또는 문자를 따라 인쇄된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버튼 시트(310)의 저면에는 러버 패드(350)가 제공될 수 있다. 러버 패드(350)는 버튼 패턴(312)의 하부에 위치한 누름 돌출부(352)를 포함하며, 누름 돌출부(352)는 버튼 패턴(312)의 움직임을 돔 스위치 등으로 전달하여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도 14의 버튼 플레이트(301)의 설명은 도 13의 버튼 플레이트(30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301) 역시 버튼 시트(310), 발광층(320) 및 인쇄 보호층(340)을 포함한다. 버튼 시트(310)는 이격 슬릿에 의해서 정의된 버튼 패턴(312)을 포함하며, 버튼 패턴(312) 상에는 발광층(320)의 발광부(330)가 각각 형성된다. 발광부(330)는 발광 패턴(334), 투명전극 패턴(338) 및 제1 보호필름(339)을 포함하며, 버튼 시트(310) 및 발광층(320) 상에는 인쇄필름 층(342) 및 탄성 보호층(344)를 포함하는 인쇄 보호층(340)이 형성된다.
버튼 패턴(312)은 배면 전극으로 작동하며, 버튼 패턴(312) 및 러버 패드(350) 사이에는 제2 보호필름(316)이 개재되어 버튼 시트(310) 및 러버 패드(250) 간의 충격의 상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2 보호필름(316)은 버튼 시트(310) 및 러버 패드(350) 간의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버튼 시트(310)의 이격 슬릿을 메워줌으로써 버튼 패턴(31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투명전극 패턴(338) 상으로는 제1 보호필름(33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필름(339)은 발광부(330)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발광부(33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투명전극 패턴(338)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보호층(340)은 실리콘이나 우레탄 재질의 탄성 보호층(344)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키감을 우수하게 하고, 내부 전극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도 15의 버튼 플레이트(302)의 설명은 도 13 및 도 14의 버튼 플레이트(300, 30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302)는 버튼 시트(310), 발광층(320) 및 인쇄 보호층(340)을 포함한다. 버튼 시트(310)는 이격 슬릿에 의해서 정의된 버튼 패턴(312)을 포함하며, 버튼 패턴(312) 상에는 발광층(320)의 발광부(330)가 각각 형성된다. 발광부(330)는 발광 패턴(334), 투명전극 패턴(338) 및 제1 보호필름(339)을 포함하며, 버튼 시트(310) 및 발광층(320) 상에는 플라스틱 버튼 층(346)을 포함하는 인쇄 보호층(340)이 형성된다.
투명전극 패턴(338) 상으로는 제1 보호필름(33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필름(339)은 발광부(330)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발광부(33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투명전극 패턴(338)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보호층(340)은 플라스틱 버튼 층(346)을 포함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돌출된 버튼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버튼 층(346)을 사용함으로써 발광부(330)를 보호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도 16의 버튼 플레이트(303)의 설명은 도 13의 버튼 플레이트(30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303)은 버튼 시트(310), 발광층(320) 및 인쇄 보호층(340)을 포함한다. 버튼 시트(310)는 이격 슬릿에 의해서 정의된 버튼 패턴(312)을 포함하며, 버튼 패턴(312) 상에는 발광층(320)의 발광부(330)가 각각 형성된다. 발광부(330)는 제2 유전체 패턴(333), 발광 패턴(334), 투명전극 패턴(338) 및 버스전극 패턴(336)을 포함하며, 버튼 시트(310) 및 발광층(320) 상에는 인쇄필름 층(342) 및 탄성 보호층(344)를 포함하는 인쇄 보호층(340)이 형성된다. 또한, 금속의 버튼 시트(310) 저면에는 러버 패드(350)가 제공되며, 버튼 패턴(312)에 대응하여 러버 패드(350)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35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유전체 패턴(333)은 배면전극으로서 기능을 하는 버튼 패턴(312) 및 발광 패턴(334) 사이에 개재된다. 제2 유전체 패턴(333)은 정공 주입층 또는 전자 주입층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방식 등에 의해서 생성될 수가 있다.
또한, 버스전극 패턴(336)은 버스전극 패턴(336)은 은(Ag), 알루미늄(Al), 금(Au) 등의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페이스트 형태로 인쇄를 하거나 포토 레지스트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 공정을 통해서 생성될 수가 있다. 버스전극 패턴(336)은 투명전극 패턴(338) 상에 형성되어, 투명전극의 전기 전도도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버스전극 패턴(336)을 투명전극 패턴(338)의 가장자리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버스전극 패턴(336)이 발광 패턴(334)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인쇄 보호층(340)은 고무재질을 포밍(foaming)에 의해 충진한 탄성 보호층(345)을 포함한다. 포밍에 의한 탄성 보호층(345)는 사용자의 키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으며, 내부 전극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도 17은 버튼 시트의 버튼 패턴을 중심으로 상하로 형성된 적층 구조를 구조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400)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410), 발광층(420) 및 인쇄 보호층(440)을 포함한다. 버튼 시트(410)는 이격 슬릿에 의해서 정의된 버튼 패턴(412)을 포함하며, 금속 또는 고경도의 플라스틱 등과 같이 경도가 높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버튼 시트(412)에서 버튼 패턴(412) 상에는 발광층(420)의 발광부(430)가 각각 형성된다. 발광부(430)는 배면전극 패턴(432), 제2 유전체 패턴(433), 발광 패턴(434), 투명전극 패턴(438) 및 버스전극 패턴(436)를 포함하며, 버튼 시트(410) 및 발광층(420) 상에는 인쇄필름 층(442) 및 탄성 보호층(444)를 포함하는 인쇄 보호층(440)이 형성된다.
버튼 시트(410)는 약 0.01~0.5mm의 두께로 형성된다. 버튼 시트(410)에는 버튼 영역의 주변으로 이격 슬릿이 형성되며, 버튼 영역 주변에 형성된 이격 슬릿에 의해서 버튼 패턴(412)이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 패턴(412)을 누를 때, 버튼 패턴(412)은 이격 슬릿에 의해서 상하로 움직일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패턴(412) 상에 별도의 배면전극 패턴(432)이 제공된다. 배면전극 패턴(432)은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 시트(410)와 분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유전체 패턴(433)은 배면전극 패턴(432) 및 발광 패턴(434) 사이에 개재된다. 제2 유전체 패턴(433)은 정공 주입층 또는 전자 주입층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방식 등에 의해서 생성될 수가 있다.
제2 유전체 패턴(433) 상에는 발광 패턴(434)이 형성되며, 발광 패턴(434)은 무기EL 또는 유기EL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무기EL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기의 발광체 분말을 페이스트 형태로 준비한 후 인쇄하거나 포토 레지스트 또는 잉크젯 방식 등 다양한 패턴 형성방법을 이용하여 발광 패턴(434)을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유기EL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벤조티아졸계, 벤조이미다졸계 등을 이용하여 증착과 같은 방법으로 발광 패턴(434)을 형성할 수가 있다.
발광 패턴(434) 상에는 투명전극 패턴(438)이 형성된다. 투명전극 패턴(438)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ITO 또는 IZO의 투명전극 패턴(438)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증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명전극 패턴(438)의 주변으로는 버스전극 패턴(436)이 형성된다. 버스전극 패턴(436)은 은(Ag), 알루미늄(Al), 금(Au) 등의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페이스트 형태로 인쇄를 하거나 포토 레지스트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 공정을 통해서 생성될 수가 있다.
버튼 시트(410) 및 발광층(420) 상으로 인쇄 보호층(440)이 형성된다. 인쇄 보호층(440)은 발광층(420) 상에 형성된 인쇄필름 층(442) 및 고무재질을 포밍(foaming)으로 충진한 탄성 보호층(445)을 포함한다. 인쇄필름 층(442)에는 숫자, 문자, 버튼 디자인 등이 인쇄될 수 있으며, 숫자 또는 문자가 형성된 부분은 빛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애초부터 인쇄되거나 인쇄 후 숫자 또는 문자를 따라 인쇄된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포밍에 의한 탄성 보호층(345)는 사용자의 키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으며, 내부 전극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버튼 시트(410)의 저면에는 러버 패드(450)가 제공될 수 있다. 러버 패드(450)는 버튼 패턴(412)의 하부에 위치한 누름 돌출부(452)를 포함하며, 누름 돌출부(452)는 버튼 패턴(412)의 움직임을 돔 스위치 등으로 전달하여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버튼 시트(410) 및 인쇄 보호층(440) 사이에 개재되는 발광층(420)은 버튼 시트(410) 상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발광 시트로서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완성된 버튼 시트(410), 시트 형상의 발광층(420) 및 인쇄 보호층(440)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버튼 플레이트를 제작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도 18의 버튼 플레이트(401)의 설명은 도 17의 버튼 플레이트(40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금속의 버튼 시트(410) 및 배면전극 패턴(432) 사이에는 절연 패턴(431)이 형성될 수 있다. 절연 패턴(431)은 버튼 시트(410)과 배면전극 패턴(432)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튼 패턴(412)과 발광부(430)를 절연시킴으로써 발광층(420)의 구조를 별도로 구성할 수가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버튼 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으며, 안정된 발광부의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9 와 도 20 에는 또 다른 구조의 방법으로서 인쇄보호층인 인쇄 필름에 인쇄를 한 후 발광층을 직접 형성을 하고 버튼 시트와 고무재질을 통하여 성형을 통한 버튼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공정과 구조가 나와 있다.
도 19 에는 인쇄보호층인 인쇄 필름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공정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 의 (a) 에는 아무것도 인쇄가 되지 않은 투명 필름(501) 형태이다.
필름의 재질로는 PC, PET, 등 다양한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한다.
이러한 투명 필름(501)위에 휴대폰의 숫자나 문자 또는 도면 등을 도 19의 (b) 에서와 같이 인쇄를 한 인쇄면(502)이 형성된다.
실제로 휴대폰에 사용이 될때는 인쇄된 면이 아래로 가고 반대면이 위로 향한다.
도면에서는 인쇄가 되는 순서를 나타내기위해 인쇄가 되는면이 위로 향하게 하였다.
인쇄가 되는 면의 인쇄는 각종 칼라 외에 빛이 통과하는 부분과 통과하지 않는 부분으로 인쇄를 하며 통상적으로 빛이 통과하여야 할 부분은 인쇄를 하지 않거나, 빛이 투과할 정도로만 인쇄를 하며 빛이 통과를 하지 않아야 할 부분은 인쇄면의 하부에 흰색 인쇄를 더 하여 빛의 통과를 막기도 한다.
도 19 의 ( c) 에는 인쇄면(502) 위에 빛이 통과하면서 전기가 흐르는 투명전극(503)을 인쇄한 구조이다.
투명 전극은 위에서 언급한 대로 인듐 신 옥사이드 (Indium-Tin-Oxide; ITO) 나노 분말을 함유한 잉크등 투명하면서 전기가 흐르는 투명 전극을 인쇄한 형태이다.
보통 투명 전극 재료는 전기 전도성이 적으므로 버스 전극을 별도로가장자리에인쇄를 하여 전기가 투명 전극 까지 잘 도달하도록 한다.
이에 대한 도면이 도 19 의 (d) 에 나타나 있듯이 투명전극(503)위에는 실버등의 전기가 잘 흐르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버스 전극(504)를 형성을 한다.
다시 이 위에는 전기가 통하면 빛이 발광을 하는 발광층을 인쇄를 통하여 형성을 한다.
도 19 의 (e) 에 나타나 있듯이 투명 전극(503)의 상부에는 발광층(505)가 형성이 되어 발광층에서 나오는 빛이 투명전극을 통과 하여 인쇄 필름을 통과한다.
또 한 발광층 위에는 다시 유전층이 형성이 된다.
이 경우 교류 전압을 인가 하여 발광층에서 발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9 의 (f) 에서와 같이 발광층(505)위에는 다시 유전체(506) 가 형성이 되며 도 19 의 (g) 에서와 같이 유전체위에 다시 카본 등의 하부전극(506)이 형성이 된다.
최종적으로 하부전극의 뒷면에 도 19 의 (h) 와 같이 보호층(508)이 별도로 인쇄가 되기도 한다.
도 20 에는 인쇄 필름에 직접 발광층이 인쇄로서 형성이 된 구조에 있어서 이격 슬릿이 있는 금속판과 고무로서 성형을 하여 버튼 플레이트를 형성을 한 구조이다.
이 경우 투명필름의 인쇄가 되지 않은 면이 실제로버튼 플레이트의 상부가 되므로 각 인쇄가 된 면이나 발광층은 하부로 향하게 된다.
도 20 의구조에 있어서 인쇄 보호 필름인 투명 필름(501)의 하부에는 문자나 숫자가 인쇄가 된 인쇄면(502) 이 있으며 인쇄면의 하부에는 인쇄로 직접 형성이 된 투명 전극(503)과 버스전극(504)이 형성된 구조이며 투명 전극의 하부에는 순차적으로 발광층(505)과 유전층(506)과 하부전극(507)이 형성이 되며, 하부전극 아래에는 전체적으로 발광 층을 보호하는 발광 보호층(508) 이러한 구조로 형성이 된 발광 일체형 필름을 다시 이격 슬릿이 있는 금속판(511)과 고무(512)로서 성형을 하여 일체화 된 버튼 플레이트를 제작 하는 것이다.
실제로 투명 전극과 하부전극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발광 구조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0.2 밀리미터 이하로서 특히 0.05 밀리미터 이하의 얇은 구조도 제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인쇄 보호층인 인쇄 필름에 직접 발광층을 형성을 한 후 성형을 하는 경우는 발광 면적을 넓게 하며 인쇄공정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층의 형성은 기본적인 구조는 무기 EL 과 유기 EL 을 사용 하는 등 본 발명의 구조가 기본적인 구조이나 약간의 구조적인 변경에 의한 발광층의 형성도 기본적으로 인쇄 필름과 금속 버튼 시트 사이에 형성이 되는 발광층과 이를 통합하여 고무로 성형을 한 구조에는 포함이된다.
또 한 발광을 하기위하여 전기적으로 전기를 인가하여 직류 전원이나 교류 전원으로 발광을 하는 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기본 구조로서 전기를 인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는 버스전극과 하부전극을 형성한 후 전기적 연결 단자로서 플렉스블 PCF (Flexible PCB ; FPCB) 를 사용하여 본딩 처리 하여 전극으로 사용한다.
또 한 금속 버튼 시트와 발광층이 인쇄가 된 필름의 부착은 포밍 과정 중에 부착을 할 수도 있고 양면 스티커 처럼 인쇄 필름의 하부나 금속 버튼 시트의 양면에 접착제를 처리 한 후 실리콘 성형과 금속 버튼 시트의 접착력을 강화 하며 또한 금속 버튼 시트와 인쇄 필름의 접착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의 버튼 시트 및 인쇄 보호층 사이에 발광층을 형성한 것으로서, 버튼 플레이트는 키 패드로서 사용될 수 있는 동시에, 직접 발광할 수도 있다.
또한, 버튼 플레이트의 두께를 약 0.1~0.5mm까지 얇게 형성할 수가 있으며, 키패드 홀에 장착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도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다.
종래의 EL패드는 키 패드 및 돔 스위치가 있는 키입력 센서부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가 어렵고 장착되는 구조도 매우 복잡할 수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발광층은 버튼 시트 및 인쇄 보호층 사이에 개재되어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도 간단하다. 또한, 버튼 플레이트 및 키입력 센서부 사이에 개재되는 부품이 없기 때문에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조 및 설계가 매우 편리해질 수가 있다.
또한, 무기EL 또는 유기EL을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발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키 입력부를 제공하는 일체형 버튼 플레이트에 있어서,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배치된 버튼 패턴을 포함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 버튼 시트;
    상기 버튼시트 상부에 위치하는 전기를 인가하여 빛을 내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 패턴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가 표시된 인쇄 보호층인 인쇄 필름;
    을 구비하는 버튼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에는 상기 버튼 패턴의 주변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격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슬릿은 상기 버튼 패턴의 주변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슬릿은 상기 버튼 패턴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버튼 패턴은 일면이 상기 고경도 버튼 시트에 일체로 나머지 면이 상기 이격 슬릿에 의해서 분리된 캔틸레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버튼 패턴에 대응하여 형성된 발광 패턴 및 상기 발광 패턴 상에 형성된 투명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무기 EL(Electro Luminescent) 을 이용하여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무기 EL 발광부는,
    상면에 전기를 인가하면서 빛이 통과하는 투명 전극과,
    투명 전극의 가장자리에 전기 전도도를 높이는 버스 전극과,
    투명전극의 하부에 형성이 된 발광층과,
    발광층의 하부에 형성이 된 유전층과,
    유전층의 하부에 형성이 된 배면 전극 층으로 형성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8. 6 항에 있어서 발광부의 형성은 인쇄 필름에 형성 하는 것으로서,
    투명 필름의 하부에 문자나 숫자 또는 그림등이 인쇄가 된 인쇄면과,
    인쇄면의 하부에 인쇄 또는 코팅으로 형성이 된 투명 전극과,
    투명 전극의 가장자리에 인쇄로 형성이 된 버스전극과,
    투명 전극의 하부에 인쇄로 형성이 된 발광층과,
    발광층의 하부에 인쇄로 형성이 된 유전층과
    유전층의 하부에 형성이 된 배면 전극으로 형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9. 8 항에 있어서 발광부가 형성이 된 인쇄 필름을 보호 코팅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10. 1 항에 있어서 발광부가 형성이 된 버튼 플레이트에 있어서,
    발광부가 형성이 된 인쇄 필름과,
    인쇄필름의 하부에 이격 슬릿이 형성이 된 금속판 버튼 시트와,
    인쇄 필름과 버튼 시트를 성형을 통하여 고무 재료로 둘러 싼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필름은 인쇄필름의 상기 발광층 하부에 형성된 탄성 보호층 및 하 부에 금속 버튼 시트가 접착이 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 패턴에 대응하여 저면에 형성된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는 상기 버튼 시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플레이트.
  14. 키패드 홀을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배치된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버튼 시트, 상기 버튼 패턴에 대응하여 형성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 패턴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가 표시된 인쇄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 홀이 형성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버튼 플레이트; 및
    상기 버튼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 패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누름 센서를 포함하는 키입력 센서부;를 구비하는 개인 휴대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버튼 플레이트 및 상기 키입력 센서부를 설치하기 위한 전면 케이스 및 상기 전면 케이스에 대응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케이스에는 상기 키패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키패드 홀은 상기 버튼 플레이트의 외형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에는 상기 버튼 패턴의 주변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격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버튼 패턴 상에 형성된 발광 패턴 및 상기 발광 패턴 상에 형성된 투명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패턴은 무기 EL(Electro Luminescent) 또는 유기 EL 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 패턴 및 상기 투명전극 패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발광 패턴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버튼 패턴 및 상기 투명전극 패턴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유전체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버튼 패턴 및 상기 발광 패턴 사이에 개재되는 유전체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보호층은 상기 발광층 상에 형성된 인쇄필름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보호층은 상기 인쇄필름 층 및 상기 발광층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보호층은 상기 발광층 상에 형성된 탄성 보호층 및 상기 탄성 보호층 상에 형성된 플라스틱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 기.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 패턴에 대응하여 저면에 형성된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5. 키패드 홀을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배치된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상기 버튼 패턴에 대응하여 형성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 패턴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가 표시된 인쇄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버튼 패턴 상에 형성된 배면전극 패턴, 상기 배면전극 패턴 상에 형성된 발광 패턴 및 상기 발광 패턴 상에 형성된 투명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 홀이 형성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버튼 플레이트; 및
    상기 버튼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 패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누름 센서를 포함하는 키입력 센서부;를 구비하는 개인 휴대단말기.
KR1020050032624A 2005-04-20 2005-04-20 발광층이 직접 형성이 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KR20060110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24A KR20060110879A (ko) 2005-04-20 2005-04-20 발광층이 직접 형성이 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24A KR20060110879A (ko) 2005-04-20 2005-04-20 발광층이 직접 형성이 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879A true KR20060110879A (ko) 2006-10-26

Family

ID=3761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624A KR20060110879A (ko) 2005-04-20 2005-04-20 발광층이 직접 형성이 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08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62B1 (ko) * 2006-01-04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키 패드 장치
KR100811219B1 (ko) * 2006-07-25 2008-03-07 (주)매트릭스 배면 전극이 일체로 형성되는 이엘 시트 및 이엘 키패드제조 방법
KR100849320B1 (ko) * 2007-01-11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62B1 (ko) * 2006-01-04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키 패드 장치
KR100811219B1 (ko) * 2006-07-25 2008-03-07 (주)매트릭스 배면 전극이 일체로 형성되는 이엘 시트 및 이엘 키패드제조 방법
KR100849320B1 (ko) * 2007-01-11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3119B2 (ja) 薄型キーシート及び該薄型キーシートを組み込んだ薄型キーユニット
EP1039493B1 (en) El-combined sheet switch
US7015408B2 (en) Switch unit capable of directly illuminating switch operating position
JP2003007161A (ja) 無線電話機用キーパッド
US7705256B2 (en) Thin key sheet
KR20060110879A (ko) 발광층이 직접 형성이 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0514759B1 (ko) 초박형 발광 키패드
KR100580285B1 (ko) 발광층을 포함하는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0583353B1 (ko) 전도성 고분자로 구성된 전면전극층 및 배면전극층을 포함한 무기 el 램프, 상기 무기 el 램프를 이용한 키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116057A (ko) 이엘 램프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623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광형 사이드키
KR20070094392A (ko) 발광 시트를 포함하는 키패드 플레이트
KR100705483B1 (ko) 발광 키패드
KR200426230Y1 (ko) 발광 키패드
KR20030090012A (ko) 이엘램프가 내장된 셀룰라폰용 키패드
WO2007145423A1 (en) Light emitting keypad
KR100830542B1 (ko) 발광 키패드용 이엘(el) 디바이스
KR100790560B1 (ko) 초박막 키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4441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KR100737763B1 (ko) 발광 키패드
WO2006059834A1 (en) Super thin type light emitting keypad
KR100472000B1 (ko) 박막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62711B1 (ko) 발광 키패드용 이엘(el) 디바이스
KR200426232Y1 (ko) 발광 키패드용 이엘(el) 디바이스
KR200426005Y1 (ko) 발광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