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690A -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690A
KR20080034690A KR1020060100954A KR20060100954A KR20080034690A KR 20080034690 A KR20080034690 A KR 20080034690A KR 1020060100954 A KR1020060100954 A KR 1020060100954A KR 20060100954 A KR20060100954 A KR 20060100954A KR 20080034690 A KR20080034690 A KR 2008003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ut
image
color
module
m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3089B1 (ko
Inventor
김인지
옥현욱
박두식
조양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0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089B1/ko
Priority to EP07118187A priority patent/EP1914980A1/en
Priority to JP2007266593A priority patent/JP5383995B2/ja
Priority to US11/872,280 priority patent/US8463067B2/en
Priority to CN2007101819570A priority patent/CN101198070B/zh
Publication of KR2008003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88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viewing conditions, i.e. conditions at picture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는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 모듈과, 외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모듈과,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감지된 외부 조도를 기초로 제1 색역에서 제2 색역으로 색역 매핑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을 보상하는 시인성 보상 모듈 및 상기 보상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시인성, 고조도 환경

Description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for im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 보상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역 매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색역을 매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밝기를 강화하기 위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색상을 보정하기 위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채도를 강화하기 위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 보상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룩업테이블(Lookup Table; LU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20: 영상 입력 모듈
140: 조도 감지 모듈
160: 영상 출력 모듈
200: 시인성 보상 모듈
210: 제1 색공간 변환 모듈
220: 색역 매핑 모듈
230: 제2 색공간 변환 모듈
본 발명은 영상의 시인성 향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폰, 캠코더 등과 같은 장치가 고조도 환경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에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사용자들이 보기 원하는 컨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동 시에, '휴대성', '이동성' 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그만큼 다양한 주위 환경에 노출되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개인용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조도, 색온도 등과 같은 주위 환경의 영향을 받아 동일한 영상이라고 하더라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게 된다. 특히, 맑은 날의 야외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 보다 주위의 조도가 훨씬 높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시인성 저하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가 갖는 다양한 장점들을 감쇄시키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위 환경이 변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특히 고조도의 주위 환경에서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은 물리적인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색역 매핑(gamut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고조도 환경에서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는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 모듈과, 외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모듈과,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감지된 외부 조도를 기초로 제1 색역에서 제2 색역으로 색역 매핑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을 보상하는 시인성 보상 모듈 및 상기 보상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는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외부 조도를 기초로 제1 색역에서 제2 색역으로 색역 매핑하는 색역 매핑 모듈 및 상기 색역 매핑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는 외부 조도에 따라 입력 영상의 밝기와 채도를 강화하고 블루 계통의 색상을 보정하도록,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고조도 환경에서의 영상 정보가 설정된 LUT를 생성하는 LUT 생성 모듈 및 상기 생성된 LUT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정보를 상기 고조도 환경에서의 영상 정보로 매핑하는 영상 매핑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영상을 입력받는 (a) 단계와, 외부 조도를 감지하는 (b) 단계와,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감지된 외부 조도를 기초로 제1 색역에서 제2 색역으로 색역 매핑하는 (c) 단계 및 상기 색역 매핑된 영상을 출력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외부 조도를 기초로 제1 색역에서 제2 색역으로 색역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색역 매핑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외부 조도에 따라 입력 영상의 밝기와 채도를 강화하고 블루 계통의 색상을 보정하도록,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고조도 환경에서의 영상 정보가 설정된 LUT를 생성하는 (a) 단계 및 상기 생성된 LUT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정보를 상기 고조도 환경에서의 영상 정보로 매핑하는 (b)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고조도 환경에서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 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고조도 환경'이라는 용어는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휴대용 단말기 외부의 높은 조도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기 표시되는 영상을 잘 알아볼 수 없거나, 외부의 높은 조도로 인하여 사용자 입장에서는 영상의 왜곡(예컨대, 색상, 명도 또는 채도의 변화)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되는 환경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조도 환경은 특정한 값 이상의 조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조도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영상 입력 모듈(120), 조도 감지 모듈(140), 시인성 보상 모듈(200) 그리고 영상 출력 모듈(160)을 포함한다.
영상 입력 모듈(120)은 영상 촬영을 위한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다.
조도 감지 모듈(140)은 장치(100)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며, 감지된 조도 정보를 시인성 보상 모듈(200)로 제공한다.
시인성 보상 모듈(200)은 조도 감지 모듈(140)에 의해 제공된 조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영상 입력 모듈(120)에 의해 입력된 영상의 시인성을 보상한다.
영상 출력 모듈(160)은 시인성 보상 모듈(200)에 의해 보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 입력 모듈(120)에 의해 입력된 영상이 시인성 보상 모듈(200)로 전달되면, 시인성 보상 모듈(200)은 조도 감지 모듈(140)로부터 수신한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의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이 때, 시인성 보상 모듈(200)은 이미 설정된 2가지 환경에서의 색역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두 색역간의 매핑을 통해 상기 입력된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 내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에 대한 2가지 종류의 색역 정보가 존재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2가지 종류의 색역 정보는 암실 조건에서의 색역 정보와 고조도 환경에서의 색역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 보상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인성 보상 모듈(200)은 제1 색공간 변환 모듈(210), 색역 매핑 모듈(220) 그리고 제2 색공간 변환 모듈(230)을 포함한다.
제1 색공간 변환 모듈(210)은 영상 입력 모듈(120)에 의해 입력된 영상에 관한 영상 정보를 색역 매핑(Gamut Mapping)을 위한 색공간 상의 좌표로 변환시킨다.
색역 매핑 모듈(220)은 조도 감지 모듈(140)에 의해 제공되는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색공간 변환 모듈(210)에 의해 변환된 영상 정보를 고조도 환경에서도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색역 매핑시킨다.
제2 색공간 변환 모듈(230)은 조도 감지 모듈(140)에 의해 제공되는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색역 매핑된 영상 정보를 영상 출력 모듈(16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영상으로 변환한다.
도 2에 도시된 시인성 보상 모듈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 3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1 색공간 변환 모듈(210)은 입력 영상의 영상 정보를 색역 매핑을 위한 색공간 상의 좌표로 변환하는데, S310 내지 S330에서 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입력 영상이 RGB 영상 정보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RGB 영상 정보를 CIEXYZ 색 공간 상의 좌표로 변환한다(S310). 이 때, 암실 조건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CIEXYZ 특성이 반영되어 좌표 변환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CIEXYZ 특성의 예로서 감마(gamma) 특성, 측색 특성 등이 있다.
그리고 나서, CIEXYZ 색공간 상의 좌표를 CIELab 색공간 상의 좌표로 변환하는데(S320), 이 때, 암실 조건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화이트(white) XYZ 특성이 반영된다.
CIELab 색공간 상의 좌표는 다시 LCH(Lightness, Chroma, Hue) 색공간 상의 좌표로 변환된다(S330).
입력된 영상의 영상 정보가 최종적으로 LCH 색공간 상의 좌표로 변환된 후, 색역 매핑 모듈(220)은 조도 감지 모듈(140)에 의해 감지된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변환된 영상 정보에 대한 색역 매핑을 수행한다(S340).
이 때, 본 발명에서는 2가지 환경에서의 색역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색역은 암실 조건에서의 색역(430)과 고조도 환경에서의 색역(410)이 있으며, 색역 매핑 모듈(220)은 암실 조건의 색역(430)에서의 임의의 화소를 고조도 환경에서의 색역(410)으로 매핑(420)시키게 된다.
이러한 매핑(420)은 LCH 색공간에서 밝기(Lightness), 채도(Chroma) 및 색상(Hue)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방법은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색역 매핑 모듈(220)은 LCH 색공간 상에서의 영상 정보들에 대하여 밝기를 강화한다(S510). 즉, 휘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를 이용하여 밝기를 강화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로축과 세로축은 각각 밝기 L에 대하여 0(검은색)부터 100(흰색)까지 나타낸 것인데, 예를 들어 LCH 색공간 상에서의 임의의 화소에 대한 밝기 정보가 0인 경우, 해당하는 화소의 밝기 정보를 60으로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밝기 강화 특성은 LCH 색공간 상에서의 임의의 화소에 대한 밝기 정보가 0보다 커지게 될 경우, 세로축 상의 밝기 정보가 60인 위치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특성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는 LCH 색공간 상에서의 임의의 화소에 대한 밝기 정보가 0인 경우, 해당하는 화소의 밝기 정보 Lout을 60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인성 확보가 가능한 Lout 이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밝기가 강화되면 휘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럴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지각하는 블루 계통의 색상이 변하게 되므로, 색역 매핑 모듈(220)은 블루 계통의 색상을 보정하게 된다(S520).
색상 보정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그래프를 이용할 수 있는데, 도 7을 참조하면 가로축의 색상(Hue) 값이 200에서 320사이에 존재하는 색상이 블루 계통의 색상이다. 세로축의 밝기 정보가 0에서 100까지 스케일링되어 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색상 값이 300에 해당하는 그래프 곡선(710)을 보면, 밝기(Lightness)가 100인 경우에는 약 270의 색상 값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색상 값이 300에 해당하는 화소 정보는 색상 값을 270으로 보정함으로써 밝기를 강화하더라도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블루 계통의 색상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그래프를 보면 밝기가 증가될수록 블루 계통의 색상 값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색상 보정 후, 채도를 강화하는데(S530), 채도를 강화하는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그래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임의의 화소에 대한 채도 값을 0에서 100사이로 스케일링하고 각각의 화소에 대한 상대적인 채도 강화 값을 세로축에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는 채도의 강화를 위해 사용가능한 그래프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강화 정도는 영상의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실험에 의해 얻어질수 있다.
채도 향상을 위한 그래프는 도 8에 도시된 것뿐만 아니라, 채도 향상으로 인하여 영상의 시인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그래프라면 본 발명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방법에 따라 채도를 강화한 후, 채도 강화에 따라 블루 계통의 색상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색역 매핑 모듈(220)은 S520 단계에서와 같이 다시 한번 색상 보정을 수행한다(S540).
그리고 나서 밝기, 채도 및 색상이 보정된 입력 영상의 화소 정보가 도 4에 도시된 고조도 환경에서의 색역(430) 경계 내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하여, 암실 조건에서의 색역(410)과 고조도 환경에서의 색역(430) 사이에 매핑(420)이 올바로 수행 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따라 입력된 영상에 대한 색역 매핑이 이루어지면 색역 매핑이 이루어진 L'C'H' 색공간 상의 좌표를 CIEL'a'b' 색공간 상의 좌표로 변환한다(S350).
그리고 나서, CIEL'a'b' 색공간 상의 좌표를 CIEX'Y'Z' 색공간 상의 좌표로 변환하는데(S360), 이 때, 고조도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CIEX'Y'Z' 특성이 반영되어 좌표 변환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CIEX'Y'Z' 특성의 예로서 감마(gamma) 특성, 측색 특성 등이 있다.
그리고 나서, CIEX'Y'Z' 색공간 상의 좌표를 R'G'B' 영상 정보로 변환하여 시인성이 보상된 RGB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R'G'B' 영상 정보로 변환할 때 고조도 환경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화이트(white) X'Y'Z' 특성이 반영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입력된 영상에 대한 색역 매핑(Gamut Mapping)을 수행하여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을 얻기 위해 제1 색공간 변환 모듈(210) 및 제2 색공간 변환 모듈(230)에 의해 색 좌표가 변환되는데, 앞서 언급된 변환 과정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1 색공간 변환 모듈(210)은 암실 조건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특성을 반영하여 입력된 영상을 색역 매핑을 위한 색공간 좌표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색공간 변환 모듈(230)은 제1 색공간 변환 모듈(210)에서 수행되는 색좌표 변환이 역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 보상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시인성 보상 모듈(900)은 도 1에 도시된 시인성 보상 모듈(200)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도 9에서의 시인성 보상 모듈(900)은 LUT 생성 모듈(910)과 영상 매핑 모듈(92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LUT 생성 모듈(910)은 조도 정보를 기초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LUT)과 같은 LUT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 때 RGB LUT는 밝기에 있어서 검은 색(black color)의 값을 향상시키면서 전체 휘도를 향상시키고, 채도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고 있다. RGB LUT의 예로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밝기와 채도를 향상시키고, 블루(Blue) 계통의 색상을 보상하는 특성을 갖는 RGB LUT인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매핑 모듈(920)은 LUT 생성 모듈(910)에 의해 생성된 RGB LUT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의 RGB 영상 정보를 고조도 환경에서의 영상 정보로 매핑한다.
만일, 상기 생성된 RGB LUT에 입력 영상의 RGB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웃하는 영상 정보를 보간하여 매핑하도록 하며, 이 때의 보간은 종래의 보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따를 경우 사용자는 고조도 환경에서도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의 밝기 및 채도가 향상되고, 블루(Blue) 계통의 색상이 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 모듈;
    외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모듈;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감지된 외부 조도를 기초로 제1 색역에서 제2 색역으로 색역 매핑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을 보상하는 시인성 보상 모듈; 및
    상기 보상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역은 암실 조건에서의 색역이고, 상기 제2 색역은 고조도 환경에서의 색역인,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성 보상 모듈은,
    상기 입력된 영상의 영상 정보를 암실 환경에서의 화면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색역 매핑을 위한 색공간 좌표로 변환시키는 제1 색공간 변환 모듈;
    상기 변환된 영상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1 색역에서 상기 제2 색역으로 색역 매핑을 수행하는 색역 매핑 모듈; 및
    상기 색역 매핑된 영상 정보를 상기 감지된 외부 조도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에게 표시하기 위한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제2 색공간 변환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색공간 변환 모듈은 상기 제1 색공간 변환 모듈에 의한 변환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색역 매핑 모듈은 상기 제1 색역에서의 영상 정보에 대하여 밝기와 채도를 강화시키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역에서의 영상의 밝기 정보가 검정의 밝기 정보를 갖는 경우, 시인성 확보가 가능한 밝기로 향상시키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역에서의 영상에 대한 채도의 강화 정도를 달리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색역 매핑 모듈은 상기 제1 색역에서의 영상 정보에 대하여 색상 정보를 보정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색상은 블루 계통의 색상인,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색역 매핑 모듈은 상기 블루 계통의 색상 값을 감소시켜 보정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11.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외부 조도를 기초로 제1 색역에서 제2 색역으로 색역 매핑하는 색역 매핑 모듈; 및
    상기 색역 매핑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역은 암실 조건에서의 색역이고, 상기 제2 색역은 고조도 환경에서의 색역인,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13. 영상을 입력받는 (a) 단계;
    외부 조도를 감지하는 (b) 단계;
    상기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감지된 외부 조도를 기초로 제1 색역에서 제2 색역으로 색역 매핑하는 (c) 단계; 및
    상기 색역 매핑된 영상을 출력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역은 암실 조건에서의 색역이고, 상기 제2 색역은 고조도 환경에서의 색역인,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의 영상 정보를 암실 환경에서의 화면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색역 매핑을 위한 색공간 좌표로 변환시키는 (c-1) 단계;
    상기 변환된 영상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1 색역에서 상기 제2 색역으로 색역 매핑을 수행하는 (c-2) 단계; 및
    상기 색역 매핑된 영상 정보를 상기 감지된 외부 조도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c-3)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상기 제1 색역에서의 영상 정보에 대하여 밝기와 채도를 강화시켜 색역 매핑을 수행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역에서의 영상의 밝기 정보가 검정의 밝기 정보를 갖는 경우, 시인성 확보가 가능한 밝기로 향상시키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역에서의 영상에 대한 채도 강화 정도를 달리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상기 제1 색역에서의 영상 정보에 대하여 색상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색상은 블루 계통의 색상인,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 계통의 색상 값이 감소되어 보정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2.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외부 조도를 기초로 제1 색역에서 제2 색역으로 색역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색역 매핑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역은 암실 조건에서의 색역이고, 상기 제2 색역은 고조도 환경에서의 색역인,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4. 외부 조도에 따라 입력 영상의 밝기와 채도를 강화하고 블루 계통의 색상을 보정하도록,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고조도 환경에서의 영상 정보가 설정된 LUT를 생성하는 LUT 생성 모듈; 및
    상기 생성된 LUT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정보를 상기 고조도 환경에서의 영상 정보로 매핑하는 영상 매핑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매핑 모듈은 상기 생성된 LUT에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웃하는 영상 정보를 보간하여 매핑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26. 외부 조도에 따라 입력 영상의 밝기와 채도를 강화하고 블루 계통의 색상을 보정하도록,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고조도 환경에서의 영상 정보가 설정된 LUT를 생성하는 (a) 단계; 및
    상기 생성된 LUT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정보를 상기 고조도 환경에서의 영상 정보로 매핑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생성된 LUT에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이웃하는 영상 정보를 보간하여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20060100954A 2006-10-17 2006-10-17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843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954A KR100843089B1 (ko) 2006-10-17 2006-10-17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
EP07118187A EP1914980A1 (en) 2006-10-17 2007-10-10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of image
JP2007266593A JP5383995B2 (ja) 2006-10-17 2007-10-12 映像の視認性を向上させる装置および方法
US11/872,280 US8463067B2 (en) 2006-10-17 2007-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of image
CN2007101819570A CN101198070B (zh) 2006-10-17 2007-10-17 用于提高图像可见度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954A KR100843089B1 (ko) 2006-10-17 2006-10-17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690A true KR20080034690A (ko) 2008-04-22
KR100843089B1 KR100843089B1 (ko) 2008-07-02

Family

ID=3898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954A KR100843089B1 (ko) 2006-10-17 2006-10-17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63067B2 (ko)
EP (1) EP1914980A1 (ko)
JP (1) JP5383995B2 (ko)
KR (1) KR100843089B1 (ko)
CN (1) CN101198070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4161A (ko) * 2013-01-21 201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위 광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상의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1477533B1 (ko) * 2008-06-26 2014-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보상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US9001142B2 (en) 2012-07-25 2015-04-07 Samsung Display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mapping color gamut
US9171496B2 (en) 2013-03-26 2015-10-27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control display device and image control method
US9305521B2 (en) 2013-02-08 2016-04-05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9576538B2 (en) 2013-09-12 2017-02-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9842568B2 (en) 2013-11-04 2017-12-12 Samsung Display Co., Ltd. Device for controlling color gamu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102797B2 (en) 2013-10-04 2018-10-16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sticking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302B1 (ko) * 2005-05-17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보정 장치 및 방법
WO2009101802A1 (ja) * 2008-02-15 2009-08-20 Panasonic Corporation カラーマネージメントモジュール、カラーマネージメント装置、集積回路、表示装置、及びカラーマネージメント方法
JP5177751B2 (ja) 2008-09-29 2013-04-1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駆動回路
KR101543631B1 (ko) * 2009-01-23 2015-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구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 장치를 갖는 표시 장치
US8767002B2 (en) 2011-01-31 2014-07-01 Marvell World Trad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color adjustment of pixels on a color display
CN102231264B (zh) * 2011-06-28 2013-03-06 王洪剑 动态对比度增强装置和方法
CN102723065B (zh) * 2012-03-31 2014-06-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lch色空间的色彩转换的方法、装置以及液晶显示装置
JP5401596B2 (ja) * 2012-12-07 2014-01-2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駆動回路
JP5669916B2 (ja) * 2013-10-28 2015-02-18 シナプティクス・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株式会社 表示データ処理方法
KR102158844B1 (ko) * 2014-01-03 2020-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6412544B (zh) 2016-09-19 2019-02-01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色域保持系统和方法
CN106454300B (zh) * 2016-09-19 2018-11-02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色域扩展系统和方法
CN106646870B (zh) * 2016-09-27 2018-12-28 东南大学 一种全息波导显示系统及显示方法
KR102496558B1 (ko) * 2018-08-02 2023-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역 제어 장치 및 방법, 색역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004075A (zh) * 2020-09-03 2020-11-27 北京印刷学院 邻域色差补偿方法及装置
CN113109369A (zh) * 2021-05-22 2021-07-13 盐城市盐都区荣海实验器材厂 一种载玻片的生产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244Y1 (ko) 1993-03-03 1999-08-02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 자동 조절회로
US5933256A (en) * 1996-05-14 1999-08-03 Xexox Corporation Method for color correction within a color space using hue shifting of a region therein
KR19990000122A (ko) 1997-06-03 1999-01-15 윤종용 액정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 자동조절방법
JPH1175072A (ja) * 1997-08-29 1999-03-16 Toyota Motor Corp 画像出力方法及び装置
JP4834896B2 (ja) * 1997-10-31 2011-12-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画像送受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11215386A (ja) 1998-01-28 1999-08-06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6037821A (en) 1998-05-28 2000-03-14 General Electric Company Digital programmable clock generator with improved accuracy
JPH11341296A (ja) * 1998-05-28 1999-12-10 Sony Corp 色域変換方法及び色域変換装置
JP4147655B2 (ja) * 1998-12-07 2008-09-1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010010195A (ko) 1999-07-16 2001-02-05 권영일 외부 조도 적응적 모니터/프린터 칼라매칭장치 및 방법
KR100372398B1 (ko) 2000-08-03 2003-02-17 강병호 안구피로예방을 위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JP3692989B2 (ja) 2000-11-13 2005-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US7595811B2 (en) * 2001-07-26 2009-09-29 Seiko Epson Corporation Environment-complaint image display system, projector, and program
JP4372401B2 (ja) * 2001-12-21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補正特性決定装置、補正特性決定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3775666B2 (ja) * 2002-03-18 2006-05-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3719424B2 (ja) * 2002-05-09 2005-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EP1843602A3 (en) * 2002-12-12 200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llumination characteristic data around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color variation using the method and apparatus
US7969478B1 (en) * 2003-04-18 2011-06-2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 correction of color devices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KR100499149B1 (ko) * 2003-06-30 2005-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주변 조명의 밝기 특성을 시각적으로 측정하는방법
JP2005318491A (ja) * 2004-03-30 2005-11-10 Seiko Epson Corp 画像データの色変換処理
JP4703219B2 (ja) * 2005-03-04 2011-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2777879Y (zh) * 2005-03-16 2006-05-03 昆盈企业股份有限公司 可调光照度的网络摄影机
JP4736487B2 (ja) * 2005-03-22 2011-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処理装置
JP3957730B2 (ja) 2005-06-02 2007-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0763235B1 (ko) * 2005-10-21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의 색특성을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
EP1982698A1 (de) 2007-04-18 2008-10-22 Evonik Degussa GmbH Präparate zur gesteuerten Freisetzung von bioaktiven Naturstoff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533B1 (ko) * 2008-06-26 2014-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보상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US9001142B2 (en) 2012-07-25 2015-04-07 Samsung Display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mapping color gamut
KR20140094161A (ko) * 2013-01-21 201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위 광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상의 변환 방법 및 장치
US9305521B2 (en) 2013-02-08 2016-04-05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9171496B2 (en) 2013-03-26 2015-10-27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control display device and image control method
US9576538B2 (en) 2013-09-12 2017-02-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10102797B2 (en) 2013-10-04 2018-10-16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sticking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842568B2 (en) 2013-11-04 2017-12-12 Samsung Display Co., Ltd. Device for controlling color gamu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98070B (zh) 2013-04-03
EP1914980A1 (en) 2008-04-23
US20080089604A1 (en) 2008-04-17
KR100843089B1 (ko) 2008-07-02
US8463067B2 (en) 2013-06-11
JP5383995B2 (ja) 2014-01-08
CN101198070A (zh) 2008-06-11
JP2008104177A (ja)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089B1 (ko)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
JP5527931B2 (ja) 映像の視認性を向上させる装置及び方法
US9767544B2 (en) Scene adaptive brightness/contrast enhancement
JP638121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467610B1 (ko) 디지털 화질 개선 방법 및 장치
US8228438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improving the display quality of image frames
KR101927968B1 (ko)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그에 따른 기록매체
US8189909B2 (en)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luminance correction conversion function
JP2011050013A (ja) 映像投影装置及び映像投影方法
JP6974156B2 (ja) 画像色変換装置、画像色変換プログラム、画像色変換方法
JP201012250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08978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47770A (ja) 色収差補正装置、撮像装置、色収差算出方法および色収差算出プログラム
JP2010183232A (ja) 色域変換装置
JP200634544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2248911A (ja) 画像表示装置
US8284316B2 (en) Real-time image processing circuit capable of enhancing brightness contrast and color saturation
CN109685859B (zh) 基于3d查找表的三维颜色自动调整方法
JP5205230B2 (ja) 画像処理装置
US20180376031A1 (en) Projection apparatus that improves dynamic range of luminance of printed materi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594628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WO2020071108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4216897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6172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