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402A - 연결 기구 및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연결 기구 및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402A
KR20080033402A KR1020087003493A KR20087003493A KR20080033402A KR 20080033402 A KR20080033402 A KR 20080033402A KR 1020087003493 A KR1020087003493 A KR 1020087003493A KR 20087003493 A KR20087003493 A KR 20087003493A KR 20080033402 A KR20080033402 A KR 20080033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unit
connection
main body
sid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타카모리
마사미 니시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참신한 구조로 개폐하는 연결 기구와, 해당 연결 기구를 이용한 휴대 단말을 제공한다. 특히,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서로 겹치는 닫힌 상태와 해당 닫힌 상태로부터 책을 펴는 식으로 열리는 열린 상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제 1 케이싱의 연결측과 상기 제 2 케이싱의 연결측에 각각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제 1 케이싱의 개구부 내와 상기 제 2 케이싱의 개구부 내에 양단이 각각 진퇴 가능하게 부착된 연결 부재와, 상기 제 1 케이싱으로부터의 상기 연결 부재의 진퇴량과 상기 제 2 케이싱으로부터의 상기 연결 부재의 진퇴량이 일정 비율이 되도록 안정시키는 진퇴비율 안정화부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 단말, 연결 기구

Description

연결 기구 및 휴대 단말{CONNECTION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2개의 케이싱이 책을 펴는 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전화기나 PDA 등의 휴대 단말에 이용되는 연결 기구 및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기나 PDA,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 다양한 휴대 단말이 제공되고 있다. 이들의 휴대 단말로서, 표시부를 갖는 덮개부와 키 조작부를 갖는 본체부가 책을 펴는 식으로 접어갬이 가능하게 연결된 이른바 크램 셸 타입의 것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크램 셸 타입의 연결부는, 접은(折疊) 상태에서 덮개부와 본체부가 겹쳐지도록, 덮개부와 본체부를 일부 오버랩 시키고, 이 오버랩 부위에 1축의 힌지가 마련되어 있다.
근래에는, 이 힌지 구조에 관해 다양한 것이 제안되어 있고, 2축의 힌지 구조를 갖는 기기 케이스의 개폐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개폐 장치는, 힌지의 각 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회동 순서를 항상 일정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개폐 장치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회동이 각각에서 순 번대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동작으로서는 어색한 것이었다. 또한, 연결 부재와 제 1 케이스(제 2 케이스)의 관계에 있어서는, 2개의 개략 직육면체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는 것에 지나지 않고, 구조상 그다지 참신한 것이 아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4-308710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참신한 구조로 개폐하는 연결 기구와, 해당 연결 기구를 이용한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서로 겹치는 닫힌 상태와 해당 닫힌 상태로부터 책을 펴는 식으로 열리는 열린 상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로서, 상기 제 1 케이싱의 연결측과 상기 제 2 케이싱의 연결측에 각각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제 1 케이싱의 개구부 내와 상기 제 2 케이싱의 개구부 내에 양단이 각각 진퇴 가능하게 부착된 연결 부재와, 상기 제 1 케이싱으로부터의 상기 연결 부재의 진퇴량과 상기 제 2 케이싱으로부터의 상기 연결 부재의 진퇴량이 일정 비율이 되도록 안정시키는 진퇴비율 안정화부를 구비한 연결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참신한 구조로 개폐하고, 그 개폐할 때에 제 1 케이싱으로부터의 연결 부재의 진퇴량과 제 2 케이싱으로부터의 연결 부재의 진퇴량의 비율이 안정된 연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진퇴비율 안정화부를, 상기 제 1 케이싱에 접속되는 제 1 케이싱측 암과, 상기 제 2 케이싱에 접속되는 제 2 케이싱측 암과, 이들의 제 1 케이싱측 암과 제 2 케이싱측 암을 피봇동작(樞動) 가능하게 피봇장착(樞着)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접속되는 피봇장착(樞着)부로 형성하고, 제 1 케이싱측 암을 상기 제 1 케이싱에 접속하는 제 1 케이싱측 접속, 제 2 케이싱측 암을 상기 제 2 케이싱에 접속하는 제 2 케이싱측 접속, 및 상기 피봇장착부를 상기 연결 부재에 접속하는 연결 부재측 접속을 가지며, 이들의 접속의 방법은, 상기 각 케이싱측 접속과 상기 연결 부재측 접속의 한쪽이 피봇동작(樞動)을 허용하는 피봇장착(樞着)이고, 다른 쪽이 일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可動) 지지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및 연결 부재의 개폐시의 동작을 확실하게 규제하여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가동 지지를,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가동 지지로 하고, 상기 제 1 케이싱측 암과 상기 제 2 케이싱측 암은,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닫힌 상태일 때에 해당 제 1 케이싱측 암과 제 2 케이싱측 암이 대향하는 측의 측면을 오목하게 만곡 또는 굴곡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완전히 닫힌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제 1 케이싱측 암과 제 2 케이싱측 암이 방해하는 일이 없고,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접어져 완전히 겹치는 전폐쇄(全閉) 상태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제 1 케이싱에 한쪽이 피봇장착된 제 1 케이싱측 암과, 상기 제 2 케이싱에 한쪽이 피봇장착된 제 2 케이싱측 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싱측 암의 다른쪽과 상기 제 2 케이싱측 암의 다른쪽을, 원호를 그리며 이동 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상기 연결 부재에 마련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및 연결 부재의 개폐시의 동작을 확실하게 규제하여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를, 원호형상의 내측에 이빨을 배열 설치한 주면(周面) 기어로 형성하고, 해당 주면 기어 위를 전동(轉動)하는 전동 기어를, 상기 제 1 케이싱측 암의 다른쪽과 상기 제 2 케이싱측 암의 다른쪽에 각각에 마련하고, 상기 전동 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각 주면 기어의 중심축으로 회전 허용하는 중심 기어를 상기 각 주면 기어에 대응하여 마련하고, 상기 제 1 케이싱측 암의 전동 기어와 맞물리는 중심 기어와, 상기 제 2 케이싱측 암의 전동 기어와 맞물리는 중심 기어를 서로 역회전이 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및 연결 부재의 개폐시의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하여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서로 겹치는 닫힌 상태와 해당 닫힌 상태로부터 책을 펴는 식으로 열리는 열린 상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로서, 상기 제 1 케이싱의 연결측과 상기 제 2 케이싱의 연결측에 각각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제 1 케이싱의 개구부 내와 상기 제 2 케이싱의 개구부 내에 양단이 각각 진퇴 가능하게 부착된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제 1 케이싱측의 회동축으로 제 1 케이싱에 축지(軸支)하고, 상기 제 2 케이싱측의 회동축으로 제 2 케이싱에 축 지지한 연결 기구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및 연결 부재가 회동축에 의해 연결되고, 참신한 구조로 안정된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 기구를 구비한 휴대 단말로 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휴대전화기, PDA, 노트 PC,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휴대 내비게이션 기기, 휴대형 DVD 플레이어, 또는 휴대 음악 플레이어 등의 휴대 전자 기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참신한 구조로 개폐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해, 참신한 구조로 개폐하는 연결 기구와, 해당 연결 기구를 이용한 휴대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닫힌 상태의 휴대전화기의 사시도.
도 2는 열린 상태의 휴대전화기의 사시도.
도 3은 일부 커버를 제외한 휴대전화기의 사시도.
도 4는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부분적으로 확대한 설명도.
도 7은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8은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9는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10은 닫힌 상태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11은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3은 더욱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4는 닫힌 상태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변화하는 각 상태의 휴대전화기를 사시도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은 제 2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의 사시도.
도 17은 제 2 실시예의 휴대전화기를 일부 분해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8은 제 3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의 평면도.
도 19는 제 3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제 3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제 3 실시예의 링크 유닛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설명도.
도 22는 제 3 실시예의 연결체의 사시도.
도 23은 제 3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저면도.
도 24는 제 3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저면도.
도 25는 제 3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저면도.
도 26은 제 3 실시예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27은 제 3 실시예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28은 제 3 실시예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29는 제 3 실시예의 결합 고정 가이드체의 확대 사시도.
도 30은 제 4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의 평면도.
도 31은 제 4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의 설명도.
도 32는 제 4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3은 제 4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4는 제 4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5는 제 4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6은 제 4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37은 제 4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38은 제 4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39는 제 4 실시예의 링크 유닛과 가압 유닛의 사시도.
도 40은 제 4 실시예의 링크 유닛과 가압 유닛의 사시도.
도 41은 제 4 실시예의 링크 유닛과 가압 유닛의 사시도.
도 42는 제 4 실시예의 링크 유닛과 가압 유닛의 사시도.
도 43은 제 4 실시예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
도 44는 제 4 실시예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
도 45는 제 4 실시예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
도 46은 제 4 실시예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
도 47은 제 5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의 평면도.
도 48은 제 5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의 설명도.
도 49는 제 5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0은 제 5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1은 제 5 실시예의 연결체의 사시도.
도 52는 제 5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53은 제 5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54는 제 5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55는 제 5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56은 제 5 실시예의 링크 유닛과 각도 고정 유닛의 사시도.
도 57은 제 5 실시예의 링크 유닛과 각도 고정 유닛의 사시도.
도 58은 제 5 실시예의 링크 유닛과 각도 고정 유닛의 사시도.
도 59는 제 5 실시예의 링크 유닛과 각도 고정 유닛의 사시도.
도 60은 제 5 실시예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
도 61은 제 5 실시예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
도 62는 제 5 실시예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
도 63은 제 5 실시예의 연결 유닛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
도 64는 제 6 실시예의 연결 유닛의 일부의 사시도.
도 65는 제 6 실시예의 링크 유닛과 가압 유닛(550)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21, 201, 301, 401 : 휴대전화기
3, 303, 403 : 덮개부
5, 205, 305, 405 : 연결 유닛
7, 307, 407 : 본체부
20, 220, 320, 420, 520 : 연결체
30. 230 : 가이드
62a, 62b : 오목부
77, 398, 498 : 링크 피봇장착부
98, 277, 298, 377, 477 : 가이드판
100, 210, 310, 410 : 링크 유닛
102, 106, 211, 378, 399, 478, 499 : 피봇장착 돌기
103, 243, 312b, 412b : 본체측 암
105, 251 : 슬라이드체
107, 212, 312a, 412a : 덮개측 암
109 : 축 부재
133a, 133b : 회동축
227, 422d : 샤프트
317a : 전동 기어
322a : 중심 기어
331a, 331b, 431a, 431b : 주면 기어
La, Lb : 진퇴 거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도 1에 도시하는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2에 도시하는 열린 상태의 사시도, 및 도 3에 도시하는 일부 커버를 제외한 상태의 사시도와 함께, 제 1 실시예의 휴대전화기(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휴대전화기(1)는, 덮개부(3)와 본체부(7)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유닛(5)은, 덮개측 유닛(5a)과 본체측 유닛(5b)과 연결체(20)와 링크 유닛(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측 유닛(5a)과 본체측 유닛(5b)은, 덮개부(3)나 본체부(7)에 나사잠금 등에 의해 고정되어 덮개부(3)나 본체부(7)와 일체화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나사(89a, 89b)에 의해 나사잠금되어 있지만, 끼워 넣음(嵌入)이나 접착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덮개부(3)에는,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가 되는 액정 디스플레이(4)가 개폐 내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7)에는,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입력부가 되는 복수의 입력 버튼(8)이 개폐 내면에 마련되어 있다.
휴대전화기(1)가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연결체(2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 와 같이 덮개측 유닛(5a)의 개구부 내(덮개측 가이드체(60a)에 마련된 오목부 내)와, 본체측 유닛(5b)의 개구부 내(본체측 가이드체(60b)에 마련된 오목부 내)에 완전히 수납된다. 그리고, 연결체(20)의 오목부 내에는, 덮개측 가압 유닛(40a)과, 본체측 가압 유닛(40b)과, 링크 유닛(100)이 수납된다. 이 중 링크 유닛(100)은, 일부가 가이드(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 있다.
또한, 도 3은, 도 2와 마찬가지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와 본체측 가이드 커버(80b)를 탈착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 휴대전화기(1)는, 전자 기기로서, 도시 생략하는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CPU 등의 제어부,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기억부, 화상 표시를 행하는 액정 디스플레이(4) 등의 표시부,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 버튼(8) 등의 조작 입력부, 음성 통신을 행하는 음성 통신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통신부, 촬영을 행하는 CCD 카메라 등의 촬영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부, 및, 음성을 집음(集音)하는 마이크로폰 등의 음성 집음부 등의 기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비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덮개부(3)와 본체부(7)를 연결 유닛(5)에 의해 책을 펴는 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즉, 덮개부(3)의 액정 디스플레이(4)면과 본체부(7)의 입력 버튼(8)이 대향하여 겹치는 전폐쇄 상태로부터, 덮개부(3)와 본체부(7)가 곧바로 늘어난 전개방(전(全開) 상태까지,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덮개부(3)와 본체부(7)를 개폐하고, 휴대전화기(1)를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로 편리하게 사용하고, 또한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방지하도록 닫힌 상태 로 휴대할 수 있다.
다음에, 연결 유닛(5)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연결 유닛(5)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연결 유닛(5)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부분적으로 확대한 설명도를 도시한다.
연결 유닛(5)은, 덮개부(3)(도 2)에 장착되는 덮개측 유닛(5a)과, 본체부(7)(도 2)에 장착되는 본체측 유닛(5b)과, 덮개측 유닛(5a) 및 본체측 유닛(5b) 사이에 수납되는 연결체(20)와, 이 연결체(20)가 덮개측 유닛(5a)과 본체측 유닛(5b)으로부터 진퇴하는 진퇴량의 비율을 조정하는 링크 유닛(100)으로 구성된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덮개측 유닛(5a)의 구성 요소에는 부호에 「a」를 붙여서 나타내고, 본체측 유닛(5b)의 구성 요소에는 부호에 「b」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연결체(20)에 관해서는, 덮개측 유닛(5a)에 대해 작용하는 구성 요소에는 부호에 「a」를 붙여서 나타내고, 본체측 유닛(5b)에 대해 작용하는 구성 요소에는 부호에 「b」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덮개측 유닛(5a)은, 덮개부(3)(도 2)와 같은 정도의 폭 및 같은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고, 덮개측 가이드체(60a)와, 이 덮개측 가이드체(60a)의 정면에 장착되는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와, 이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덮개측 가압 유닛(40a)으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측 가이드체(60a)는, 연결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측면에서 보아 역L자형의 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측 유닛(5b)과의 연결측에는, 연 결체(20)가 진퇴하는 진퇴 공간이 되는 오목부(62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62a)의 형상은, 연결측 단면(도 4의 좌하방)과 개폐 내면(도 4의 상방)의 각변(角邊)을 축(軸)으로, 일정 폭(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체 폭의 9할부터 9할 5분 정도)의 직사각형을 개폐 내면부터 연결측 단면(端面)에 1/4 회전시킨 옆으로 길게 쓰러진(橫倒) 선기둥형상(扇住形)의 공동(空洞)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측 가이드체(60a)의 연결측에는, 개폐 내면부터 연결측 단면을 향하여 원호를 그리는 폭이 있는 원호면(66a)과, 이 원호면(66a)의 좌우 양단 변으로부터 원호의 축심을 향하여 직각으로 기립하는 연직의 벽면(67a)이 마련되어 있고, 이 좌우 2개의 벽면(67a)과 상기 원호면(66a)으로 진퇴 가이드(68a)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벽면(67a)의 각각에는, 원호면(66a)으로부터 축심을 향하여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좌우 외측으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에 의해 측면으로 보아 부채형의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이 구성되어 있다.
각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의 연결측 단에는, 축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 직각으로 기립하는 결합 고정변(係止邊)(64a)이 각각 연접(連接)되어 있다.
덮개측 가이드체(60a)의 개폐 외측 부분(연결측에 대한 반대측 부분)에는,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를 끼움 장착(嵌着)하는 끼움 장착 홈(71a)이 좌우에 2개 마련되어 있다. 이 끼움 장착 홈(71a)의 중심에는, 덮개측 유닛(5a)을 덮개부(3)에 나사잠금하기 위한 나사구멍(72a)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72a)에, 덮 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나사구멍(81a)에 삽입된 나사(89a)가 나사부착(螺着)됨으로써, 덮개측 가이드체(60a)와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가 단단하게 부착된다. 이 나사(89a)는, 또한 덮개부(3)에 마련된 나사구멍(도시 생략)에 나사부착되고, 이로써 덮개측 유닛(5a)이 덮개부(3)에 단단하게 부착된다.
또한,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 및 본체측 가이드 커버(80b)는, 나사구멍(81a, 81b)을 마련하지 않고, 나사잠금 이외의 방법으로 단단하게 부착하여도 좋다.
상기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외형은, 상기 덮개측 가이드체(60a)와 평면으로 보아 같은 사이즈의 직사각형이 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면의 연결측 단에는, 모따기가 되어서 경사부(88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정면의 개폐 외측 부근에는, 2개의 나사구멍(81a)이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이면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그 연결측에, 밖에서부터 차례로 빠짐방지 회동축(85a), 슬라이드 안정화 가이드(91a), 가압 방향 규제 가이드(86a), 및 스프링 결합 고정 돌기(87a)가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가압 방향 규제 가이드(86a)와 빠짐방지 회동축(85a) 사이에 링크 피봇장착부(樞着部)(7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링크 피봇장착부(77)는,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이면에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직립 설치(立設)되어 있고, 중앙 부근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피봇장착구멍(78)이 마련되어 있다. 이 피봇장착구멍(78)은, 덮개측 유닛(5a)의 연결측 단면으로부터, 덮개측 유닛(5a)의 두께(D)(도 2 참조)와 같은 거리의 범위 내에 마 련되어 있다.
상기 빠짐방지 회동축(85a)은,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측면 부근에 위치하여 마련되고, 옆으로 길게 쓰러진 반원기둥형상(半圓柱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방향 규제 가이드(86a)는,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이면에 직각으로 직립 설치된 원기둥형상의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결합 고정 돌기(87a)는,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이면에 직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압 방향 규제 가이드(86a)보다 짧은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결합 고정 돌기(87a)는, 탄성체의 일종인 코일 스프링(59a)의 일단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드 안정화 가이드(91a)는, 상기 빠짐방지 회동축(85a)과의 동심원이 되는 1/4원의 원호형상의 가이드이고,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이면에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빠짐방지 회동축(85a, 85b)보다 개폐 외측에는, 측변에 근접하여 연결 방향(도 4의 우상으로부터 좌하 방향, 도 5의 우하로부터 좌상의 방향)으로 길다란 직사각형의 빠짐방지 돌기 수용 홈(84a)이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이면중, 개폐 외측의 부근에는, 링형상으로 돌출한 끼움 장착 돌기(82a)가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고, 각각의 끼움 장착 돌기(82a)의 중심에는, 상기 나사구멍(81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덮개측 가압 유닛(40a)은, 덮개측 가압 베이스부(基部)(41a), 롤러(44a), 및 코일 스프링(59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측 가압 베이스부(41a)는, 전체가 폭방향으로 길다란 기둥형상(柱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개폐 내면(도 4의 상방)측에는, 코일 스프링(59a)이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링 장착부(42a)가 좌우 대칭으로 2개 마련되어 있다.
이 스프링 장착부(42a)의 더욱 외측에는, 개폐 내면(도 4의 상방)으로부터 개폐 외면(도 4의 하방)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43a)이 마련되어 있다. 해당 가이드 구멍(43a)에는, 상기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가압 방향 규제 가이드(86a)(도 5 참조)가 삽입된다. 이 때문에, 덮개측 가압 베이스부(41a)가 덜커덕거림 없이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정면(도 4, 5의 상방)으로부터 배면(도 4, 5의 하방)으로 전후이동(도 4, 5에서는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덮개측 가압 베이스부(41a)의 양측면에는, 두께가 있는 원반형상의 롤러(44a)가 좌우 대칭으로 동축상에 축지되어 있다. 이 롤러(44a)는, 외주면이 가압 베이스부(41)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체(20)는, 대략 반원형의 슬라이드판(27)의 좌우측 단에, 직각으로 세워지는 측벽(28)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측벽(28)의 각 윗면 중앙에는, 도 4 우하에서 보아 원호형상으로 도려낸 축이 닿는 홈(軸當接溝)(21a, 21b)이 연결 방향으로 연접되어 있고, 그 연결 방향 외측에는 빠짐방지 돌기(22a, 22b)가 연결 방향으로 대칭으로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판(27)의 외주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이 닿는 홈(21a)의 원호의 중심인 덮개 회동축(도시 생략)을 축심으로 하는 원호로 형성된 원호 외주면(29a)과, 축이 닿는 홈(21b)의 원호의 중심인 본체 회동축(도시 생략)을 축심으로 하는 원호로 형성된 원호 외주면(29b)이 연결 방향으로 대칭으로 연접되어 있다. 이 원호 외주면(29a)은, 덮개측 가이드체(60a)의 원호면(66a)에 면대응(面對應)하고, 원호 외주면(29b)은, 본체측 가이드체(60b)의 원호면(66b)에 면대응한다.
슬라이드판(27)의 내주에는, 도 6(A)의 확대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 회동축을 축심으로 하여 상기 원호 외주면(29a)과 일정한 거리 내측에서 만곡하는 원호 내주면(24a)과, 상기 본체 회동축을 축심으로 하여 상기 원호 외주면(29b)과 일정한 거리 내측에서 만곡하는 원호 내주면(24b)이, 연결 방향으로 대칭으로 연접되어 있다.
상기 원호 내주면(24b)에는, 롤러(44b)(도 4)와 동일한 원호형상 또는 롤러(44b) 보다 작은 원호형상의 결합 고정 오목부(25b)가 연결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호 내주면(24b)의 정면측 단부(도 4의 하방측의 단부)에도 결합 고정 오목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체측에만 결합 고정 오목부(23b)와 결합 고정 오목부(25b)를 구비하고 있지만, 덮개측에도 이것과 대칭으로 결합 고정 오목부(23a)(도시 생략)와 결합 고정 오목부(25a)(도시 생략)를 구비하여도 좋다.
좌우의 측벽(28)의 각 내면에는, 만곡한 W형의 복록부(35)가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복록부(35)의 만곡 외측면과, 슬라이드판(27)의 내면으로 끼워진 부분에는, 원호형상의 슬라이드 안정화 홈(34a, 34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B) 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슬라이드 안정화 홈(34a)에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슬라이드 안정화 가이드(91a)가 걸어 맞춘다. 이로써, 연결체(20)가 덮개측 유닛(5a)의 오목부(62a)로부터 원호를 그리며 진퇴하는 동작이 스무스하게 안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연결체(20)의 내면에는, 좌측의 측벽(28)으로부터 조금 거리를 둔 위치에서 개폐 내면을 향하여 연직(鉛直)으로 세워지는 가이드(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30)는, 중앙에 마련된 슬라이드 공간(32)이 연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 유닛(100)은, 도 6(C)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부재(109)와, 이 축 부재(109)를 삽입하는 덮개측 암(107), 슬라이드체(105), 본체측 암(103), 및 빠짐방지 캡(101)으로 구성되어 있다.
축 부재(109)는, 원통형의 축부(112)의 일단에 장착 복록부(111)가 마련되고, 타단에 빠짐방지용의 축두(軸頭)(113)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측 암(107)은, 일단에 축 삽입구멍(108)이 마련되고, 타단에 피봇장착 돌기(106)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측 암(107) 자신의 형상은, 도 6(C)의 좌측면으로 보아 개략 L자형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체(105)는, 모서리부를 모따기한 사각주 형상이고, 상기 축 부재(109)를 삽입하는 축 삽입구멍(115)이 마련되어 있다. 이 사각주 형상의 대향하는 2개의 면(수평면)이, 연결체(20)의 가이드(30)(도 6(B) 참조)의 대향면에 맞닿아, 상하로 안정하게 슬라이드한다. 즉, 슬라이드체(105)는 가이드(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라이드 가동(可動) 지지되어 있다.
본체측 암(103)은, 일단에 축 삽입구멍(104)이 마련되고, 타단에 피봇장착 돌기(102)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측 암(103) 자신의 형상은, 도 6(C)의 우측면으로 보아 개략 L자형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빠짐방지 캡(101)은, 링형상이고, 상기 축 부재(109)의 장착 복록부(111)가 장착된다.
따라서, 축 부재(109)의 축부(112)를, 덮개측 암(107)의 축 삽입구멍(108), 슬라이드체(105)의 축 삽입구멍(115), 본체측 암(103)의 축 삽입구멍(104)에 이 순서로 삽입한다. 그리고, 빠짐방지 캡(101)을 축 부재(109)의 장착 복록부(111)에 장착하여 고정한다. 이로써, 축 부재(109)를 축으로 하여 본체측 암(103), 슬라이드체(105), 및 덮개측 암(107)이 각각 독립하여 회동 가능하게 유닛화된다. 그리고, 이 유닛화된 링크 유닛(100)은, 도 6(C)의 측면으로 보면 개략 w형의 형상이 된다.
그리고, 본체측 암(103)의 피봇장착 돌기(102)는, 가이드판(98)의 피봇장착구멍(99)에 피봇장착되고, 덮개측 암(107)의 피봇장착 돌기(106)는, 링크 피봇장착부(77)의 피봇장착구멍(78)에 피봇장착된다.
도 4, 도 5에 도시한 상기 본체측 유닛(5b)은, 본체부(7)(도 2 참조)와 같은 정도의 폭 및 같은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본체측 가이드체(60b)와, 이 본체측 가이드체(60b)의 정면에 장착되는 본체측 가이드 커버(80b)와, 이 본체측 가이드 커버(80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본체측 가압 유닛(40b)으로 구성된다. 이들 의 각 요소는, 다음에 설명하는 비대칭 부분 이외는, 전술한 덮개측 유닛(5a)과 연결 방향으로 대칭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비대칭 부분은, 본체측 가이드 커버(80b)에는 링크 피봇장착부(77)(도 5 참조)가 마련되지 않고, 대신에 좌측의 슬라이드 안정화 가이드(91b)를 구비한 가이드판(98)이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고, 또한 해당 가이드판(98)의 중앙 부근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피봇장착구멍(99)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 피봇장착구멍(99)은, 본체측 유닛(5b)의 연결측 단면으로부터, 본체측 유닛(5b)의 두께(D)(도 2 참조)와 같은 거리의 범위 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연결체(20), 가이드체(60)(60a, 60b), 및 가이드 커버(80)(80a, 80b)는 금속 부재로 형성되고, 가압 베이스부(41)(41a, 41b) 및 롤러(44)(44a, 44b)는 수지 부재로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적절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 요소를 조합함으로써, 연결 유닛(5)이 완성된다.
다음에, 덮개측 유닛(5a) 및 본체측 유닛(5b)에 대해 연결체(20)가 진퇴함으로써 실행되는 연결 유닛(5)의 개폐 동작, 및 휴대전화기(1)의 개폐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는, 더욱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닫힌 상태의 연결 유닛(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이 들 도 7부터 도 10은, 도 5에서의 좌하 위치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은,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5)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5)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더욱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5)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닫힌 상태의 연결 유닛(5)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1부터 도 14는, 도 3에서의 A-A 화살표로 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5는,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변화하는 각 상태의 휴대전화기(1)를 사시도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우선, 열린 상태에서는, 도 7, 도 11, 및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측 유닛(5a)(도 11 참조)이 부착된 덮개부(3)와, 본체측 유닛(5b)이 부착된 본체부(7)가 180도 열린 상태로 되고, 전체로 하나의 직육면체와 같은 형상이 된다.
이때, 연결체(20)는, 덮개측 유닛(5a)의 오목부(62a)(도 4 참조)와, 본체측 유닛(5b)의 오목부(62b) 속에 완전히 수납되고, 밖에서 시인(是認)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유닛(100)의 슬라이드체(105)는, 가이드(30)의 베이스부에 가장 근접한다.
또한 이때, 본체측 가압 유닛(40b)의 롤러(44b)는, 연결체(20)의 결합 고정 오목부(25b)(도 4 참조)에 맞닿아서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59b)의 가세력에 의해, 약간의 힘으로는 덮개측 유닛(5a)과 본체측 유닛(5b)이 닫힌 상태 로 이행하지 않고,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는 본체측 가압 유닛(40b)측에만 결합 고정 오목부(25b)를 형성하고 있지만, 덮개측 가압 베이스부(41a)측에도 대칭으로 결합 고정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덮개측 가압 유닛(40a)의 롤러(44a)가 결합 고정 오목부에 결합 고정되게 되고, 보다 강한 힘으로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열린 상태로부터, 이용자에 의해 손으로 힘이 가하여져서 덮개부(3)와 본체부(7)가 닫힌 방향으로 접혀 조작되면, 그 힘이 코일 스프링(59b)의 가세력을 초과한 시점에서, 롤러(44b)가 결합 고정 오목부(25b)로부터 탈출하고, 도 8, 도 12, 및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측 유닛(5a)(도 11 참조)이 부착된 덮개부(3)와, 본체측 유닛(5b)이 부착된 본체부(7)가 조금 굴곡한 상태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롤러(44b)가 결합 고정 오목부(25b)로부터 탈출할 때에, 양호한 조작감이 되는 클릭 느낌을 이용자에게 줄 수 있다.
이 닫힌 방향으로의 이행일 때, 덮개측 유닛(5a)은, 빠짐방지 회동축(85a)(도 8 참조)을 가상의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본체측 유닛(5b)은, 빠짐방지 회동축(85b)(도 8 참조)을 가상의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때, 본체측 암(103)의 피봇장착 돌기(102)와 덮개측 암(107)의 피봇장착 돌기(106)는, 축 부재(109)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연동하면서 회동한다.
그리고, 이 회동에 의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피봇장착부(77)와 가이드판(98)이 떨어지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측 암(103)의 피봇장착 돌기(102)와 덮개측 암(107)의 피봇장착 돌기(106)의 간격(W)이 열린 상태인 경우 보다도 넓어진다. 이 때문에, 링크 유닛(100)의 슬라이드체(105)가 가이드(30)의 슬라이드 공간(32) 내를 가이드(30)의 베이스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따라서, 덮개측 유닛(5a)으로부터 연결체(20)가 진출한 진퇴 거리(La)(도 12 참조)와, 본체측 유닛(5b)으로부터 연결체(20)가 진출한 진퇴 거리(Lb)(도 12 참조)의 비율은 1대1이 되고, 균등하게 진출한다. 이로써 안정된 스무스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 닫힌 방향으로 접혀 조작되면, 도 9, 도 13, 및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한 상태로 이행한다. 이 이행의 도중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측 암(103)의 피봇장착 돌기(102)와 덮개측 암(107)의 피봇장착 돌기(106)를 잇는 직선상에, 덮개측 유닛(5a)의 가상 회동축(31a) 및 본체측 유닛(5b)의 가상 회동축(31b)이 위치한 때에 간격(W)이 최대로 되고, 이 이후는 간격(W)이 줄어들게 된다. 이 동안, 링크 유닛(100)의 슬라이드체(105)는, 가이드(30)의 슬라이드 공간(32)을 가이드(30)의 베이스부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계속 이동한다. 그리고, 덮개측 유닛(5a)으로부터 연결체(20)가 진출한 양과, 본체측 유닛(5b)으로부터 연결체(20)가 진출한 양의 비율은, 1대1의 비율이 유지되고, 항상 균등하게 진출한다.
더욱 닫힌 방향으로 접혀 조작되면, 도 10, 도 14, 및 도 1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전히 접힌 닫힌 상태로 이행한다. 이때,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유닛(100)의 슬라이드체(105)는, 가이드(30)의 선단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슬라이드 공간(32)에 위치한다.
그리고, 덮개측 암(107)과 본체측 암(103)은, 양자가 대향하는 측의 측면이 오목하게 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측 암(103)과 덮개측 암(107) 사이에는 간극(X)이 확보되고, 이 간극(X)에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와 본체측 가이드 커버(80b)가 끼워지게 된다.
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할 때에는, 상술한 닫힌 방향으로의 이행과 완전히 역으로 동작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연결체(20)가 덮개측 유닛(5a)과 본체측 유닛(5b)에 대해 각각 원호를 그리며 진퇴하고, 이로써 덮개부(3)와 본체부(7)가 개폐한다는 참신한 구조의 휴대전화기(1)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개폐에 즈음하여서는, 링크 유닛(100)의 기능에 의해, 덮개측 유닛(5a)과 본체측 유닛(5b)에 대해 연결체(20)가 균등하게 진퇴하고, 접음 중심에서 대칭이 되는 안정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체(20)는, 그 원호 외주면(29a)(도 5 참조)이 덮개측 가이드체(60a)(도 4 참조)의 원호면(66a)에 맞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회동하여 진퇴하기 때문에, 걸리는 일 없이 진퇴할 수 있다. 특히,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에 마련된 슬라이드 안정화 가이드(91a)(도 6(A) 참조)와 연결체(20)에 마련된 안정화 홈(34a)(도 6(B) 참조)이 걸어 맞춤으로써, 보다 안정된 슬라이드 회동을 실현할 수 있고, 스무스한 진퇴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의 연결부와 본체부(7)의 연결부에 오목부(62a, 62b)를 각각 마련하고, 이 오목부(62a) 내에, 연결체(20)의 일단측을 진퇴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오목부(62b) 내에, 해당 연결체(20)의 타단측을 진퇴 가능하게 부착한다. 이로써, 전개방 상태에서는 연결체(20)를 오목부(62a, 62b) 내에 수납하여 은폐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휴대전화기(1)의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또한, 빠짐방지 회동축(85)(85a, 85b)을 가상의 축심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며 연결체(20)를 진퇴시키는 진퇴 가이드(68)(68a, 68b)를, 덮개측 유닛(5a)과 본체측 유닛(5b)에 마련하고, 연결체(20)에 측벽(28) 및 원호 외주면(29)(29a, 29b)을 마련함에 의해, 연결체(20)를 오목부(62)(62a, 62b)로부터 원호형상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열린 상태에서는 연결체(20)를 오목부(62) 내에 수납하고, 이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의 이행에서는, 연결체(20)가 오목부(62)로부터 원호형상으로 진출하여 덮개부(3)와 본체부(7)가 닫힌 상태로 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측의 원호면(66a)의 축은 덮개 회동축(31a)(도 13 참조)으로 하고, 본체부(7)측의 원호면(66b)의 축은 본체 회동축(31b)으로 하여, 원호의 축을 다르게 하여 진퇴 가이드(68)를 형성함에 의해, 전폐쇄 상태와 전개방 상태, 및 그 사이의 상태에서, 무리가 없는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와 본체부(7)의 개폐 각도가 일정한 각도로 된 때에 오목부(62)에 대한 연결체(20)의 진퇴를 결합 고정하는 결합 고정 오목부(23b, 25b) 및 가압 유닛(40b)을 마련하고, 코일 스프링(59b)의 가세력에 의해 가압 유닛(40b)의 롤러(44b)가 결합 고정 오목부(23b, 25b)에 끼워 넣어 결합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0° 및 180°라는 일정한 각도로 덮개부(3)와 본체부(7)를 안정시킬 수 있고, 이용자에 있어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결합 고정하는 개폐 각도는 이들로 한하지 않고, 다른 각도로 진퇴를 결합 고정하도록 결합 고정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진퇴를 결합 고정하는 각도를 3 이상 설정하여 결합 고정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가압 유닛(40)에 가세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59)(59a, 59b)을 채용함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덮개부(3)와 본체부(7)를 안정시키는 힘을 코일 스프링(59)의 가세력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적당한 클릭 느낌의 개폐기구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개방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까지(전폐쇄 상태의 바로 앞까지)는, 축이 닿는 홈(21a, 21b)에 빠짐방지 회동축(85a, 85b)이 맞닿아 있음으로써, 연결체(20)가 덮개측 유닛(5a) 및 본체측 유닛(5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폐쇄 상태에서는, 빠짐방지 돌기(22a, 22b)가 결합 고정변(64a, 64b)에 맞닿음으로써, 연결체(20)가 덮개측 유닛(5a) 및 본체측 유닛(5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위치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가압 유닛은 덮개측 가압 유닛(40a)과 본체측 가압 유닛(40b)의 2개를 구비하였지만, 어느 한쪽을 하나만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링크 유닛(100)에 의해 대칭으로 개폐하는 양호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면(66a)은, 연결체(20)를 원호형상으로 슬라이드하여 진퇴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면(面)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한하지 않고, 원호형상의 레일을 폭방향으로 복수 배열 설치하는 등,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2개의 벽면(67a)은, 연결체(20)가 슬라이드할 때에 덜커덕거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연직면으로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 및 결합 고정변(64a)과 연결체(20)의 빠짐방지 돌기(22a)는, 연결체(20)가 덮개측 유닛(5a)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 형상으로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 및 결합 고정변(64a)을 폭방향 측부에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원호면(66a)의 일부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것을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으로 하고, 해당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의 연결 단면(61a)측에 결합 고정변(64a)을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체(20)의 빠짐방지 돌기(22a)는, 연결체(20)의 폭방향 측부가 아니라 진퇴 방향의 측단에 마련하면 좋다.
또한, 결합 고정 오목부(23, 25)는, 슬라이드판(27)에 마련하지 않고, 측벽(28)의 내면에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롤러(44)를 예를 들면 구체(球體)로 형성하여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세하고, 측벽(28)의 내면에 마련한 결합 고정 오목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휴대전화기(1)를 소정의 개폐 각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적당한 클릭 느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롤러(44)는, 미끄러지기 쉬운 형상이나 소재로 비회전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개폐 동작을 스무스하게 행하고, 개폐 각도를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개방 상태에서는, 연결체(20)가 완전히 보이지 않도록 은폐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나 본체측 가이드 커버(80b)의 연결측에 구멍이나 홈을 마련하여, 전개방 상태에서도 연결체(20)가 일부 시인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보기흉한 힌지가 돌출하여 그대로 보이는 일은 없고, 스마트한 디자인의 휴대전화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와 덮개측 가이드체(60a)는 별체로 구성하였지만,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체부(7)와 본체측 가이드체(60b)는 별체로 구성하였지만,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실시예 2
다음에, 제 2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은, 제 2 실시예의 휴대전화기(12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제 2 실시예의 휴대전화기(121)를 일부 분해한 부분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 덮개부(3)에는 덮개측 유닛(125a)이 고정되고, 본체부(7)에는 본체측 유닛(125b)이 고정되고, 이들의 덮개측 유닛(125a)과 본체측 유닛(125b)으로 연결 유닛(125)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열린 상태에서 연결 유닛(125) 내에 수납되는 연결체(20)의 측벽(28)의 외측에 측벽 부재(131)가 좌우 대칭으로 마련된다. 이 측벽 부재(131)는, 내면측(도 16의 상방)에 축받이부(132)가 마련되어 있고, 이 축받이부(132)에 회동축(133a, 133b)이 평행하게 병설된다. 이 회동축(133a, 133b)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의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의 빠짐방지 회동축(85a) 및 본체측 가이드 커 버(80b)의 빠짐방지 회동축(85b)이 존재한 장소에 위치한다. 또한, 측벽 부재(131)에는, 제 1 실시예의 빠짐방지 돌기(22a, 22b)(도 4 참조)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빠짐방지 돌기(134a, 134b)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측 가이드 커버(180a) 및 본체측 가이드 커버(180b)는, 빠짐방지 회동축(85a)(제 1 실시예) 및 빠짐방지 회동축(85b)(제 1 실시예)이 존재한 장소에 홈구멍(152a, 152b)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해당 홈구멍(152a, 152b)의 측면에 상기 회동축(133a, 133b)을 축받이하는 축받이구멍(151a, 151b)이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의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 및 본체측 가이드 커버(80b)와 같은 구성이다.
또한, 휴대전화기(121)에는, 제 1 실시예의 덮개측 가이드체(60a) 및 본체측 가이드체(60b)와 같은 가이드체를 구비하고 있지만, 도 17에서는 도시 생략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참신한 구조로의 개폐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의 실시예의 가상축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안정된 회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체(20)가 덮개측 유닛(5a) 및 본체측 유닛(5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휴대전화기(121)의 개관을 본 때에는, 열린 상태에서 내측면에 약간의 축받이부(132)를 시인할 수 있지만, 다른 부분은 시인할 수 없고, 열린 상태일 때에 전 체가 하나의 직육면체와 같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제 3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8은, 제 3 실시예의 휴대전화기(20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9는,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연결 유닛(205)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0은,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연결 유닛(205)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1은 링크 유닛(210)의 분해 사시도에 의한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22는 연결체(22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휴대전화기(201)는, 제 1 실시예의 휴대전화기(1)와 동일한 덮개부(3) 및 본체부(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덮개부(3)에는, 제 1 실시예의 덮개측 유닛(5a)(도 2 참조)에 대응하는 덮개측 연결 유닛(205a)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7)에는, 제 1 실시예의 본체 측유닛(5b)(도 2 참조)에 대응하는 본체측 연결 유닛(205b)이 장착되어 있다.
열린 상태의 덮개측 연결 유닛(205a)과 본체측 연결 유닛(205b)의 연결부 내에는, 연결체(220)(도 19 참조) 및 링크 유닛(210)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크 유닛(210)과 연결체(220)와 덮개측 연결 유닛(205a)과 본체측 연결 유닛(205b)으로 연결 유닛(205)이 구성되어 있다.
덮개측 연결 유닛(205a)은, 덮개측 가이드 커버(280a)와 덮개측 가이드체(60a)로 구성되고, 본체측 연결 유닛(205b)은, 본체측 가이드 커버(280b)와 본체측 가이드체(60b)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측 가이드 커버(280a)는, 제 1 실시예의 가압 방향 규제 가이드(86a)(도 5 참조) 및 스프링 결합 고정 돌기(87a)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것과, 하방으로 돌출한 가이드판(277)(도 20 참조)을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덮개측 가이드 커버(80a)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277)에는, 휴대전화기(201)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피봇장착구멍(278)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측 가이드 커버(280b)는, 제 1 실시예의 가압 방향 규제 가이드(86b)(도 5 참조) 및 스프링 결합 고정 돌기(87b)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것과, 가이드판(98) 대신에 하방으로 돌출한 가이드판(298)(도 20 참조)을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본체측 가이드 커버(80b)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298)에는, 휴대전화기(201)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피봇장착구멍(299)이 마련되어 있다.
링크 유닛(210)(도 21 참조)은, 제 1 실시예의 링크 유닛(100)(도 6(C) 참조)에 대응하는 것이고, 덮개측 암(212), 코일 스프링(215), 결합 고정 볼록체(221), 샤프트(227),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 본체측 암(243), 및 슬라이드체(25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측 암(212)은, 제 1 실시예의 덮개측 암(107)(도 6(C) 참조)에 대응하는 것이고, 개략 L자형으로 굴곡 형성된 암의 일단에 축 삽입구멍(214)(도 21 참조)이 마련되고, 타단에 피봇장착 돌기(2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축 삽입구멍(214)은, 삽입하는 샤프트(227)와 함께 돌도록, 샤프트(227)의 노치면(226)과 걸 어 맞춤하는 걸어 맞춤편(21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215)은, 탄성체의 일종이고, 결합 고정 볼록체(221)에 마련된 오목부(225)(도 21(B) 참조)에 일부 또는 전부가 수납된다.
상기 결합 고정 볼록체(221)는, 중앙에 축 삽입구멍(223)이 마련되고, 해당 축 삽입구멍(223)의 측벽의 일부에 연직면(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 삽입구멍(223)의 한쪽의 단면(결합 고정 가이드체(234)와 맞닿는 측의 면)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결합 고정 돌기(22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축 삽입구멍(223)의 다른쪽의 단부에는, 오목부(225)가 마련되어 있다.
샤프트(227)는, 제 1 실시예의 축 부재(109)(도 6(C) 참조)에 대응하는 것이고, 전체가 개략 원통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쪽에 노치면(226)이 마련되고, 다른쪽에 삽입 돌기(228)가 마련되어 있다.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는, 중앙에 축 삽입구멍(233)이 마련되고, 이 축 삽입구멍(233)의 한쪽의 단면(결합 고정 볼록체(221)와 맞닿는 측의 면)에는, 원주(圓周) 부근에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결합 고정 가이드(231, 23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축 삽입구멍(233)의 다른쪽의 단부에는, 오목부(238)가 마련됨과 함께, 일측부에 노치부(239)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측 암(243)은, 제 1 실시예의 본체측 암(103)(도 6(C) 참조)에 대응하는 것이고, 개략 L자형의 암의 일단에 축 삽입구멍(241)이 마련되고, 타단에 피봇장착 돌기(242)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체(251)는, 제 1 실시예의 슬라이드체(105)(도 6(C) 참조)에 대응하 는 것이고, 전체 형상이 개략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하나의 면과 그 반대면의 각 중앙에 일직선의 가이드 홈(252, 252)이 평행하며 또한 대칭으로 마련되고, 해당 가이드 홈(252)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227)를 삽입하는 축 삽입구멍(253)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크 유닛(210)은, 개폐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각도 고정 기능을 갖고 있고, 이 각도 고정 기능은, 코일 스프링(215)과 결합 고정 볼록체(221)와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로 구성되는 각도 고정 유닛(240)으로 실현된다.
즉, 코일 스프링(215)의 가세력에 의해 결합 고정 볼록체(221)가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측으로 항상 가세되고, 결합 고정 볼록체(221)와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의 상대 회전에 의해, 결합 고정 돌기(224)가 결합 고정 가이드(231, 236)에 놓여 활주한 후에 낙하하고, 이 낙하 위치에서 각도 고정이 실현된다. 또한, 결합 고정 돌기(224)가 결합 고정 가이드(231)에 놓여 있는 동안은, 임의의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 정지하면, 이 각도를 코일 스프링(215)의 가세력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220)는, 제 1 실시예의 연결체(20)(도 4 참조)에 대응하는 것이고, 제 1 실시예의 가이드(30) 및 슬라이드 공간(32)에 대응하는 가이드(230) 및 슬라이드 공간(232)이 연결체(220)의 중앙 부근에 마련되는 것과, 제 1 실시예의 결합 고정 오목부(23b), 원호 내주면(24b), 및 결합 고정 오목부(25b)가 생략된 것 이외는, 제 1 실시예의 연결체(20)와 동일하다. 또한, 가이드(230)는, 제 1 실시예 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230, 230)의 내측변에 가이드 홈(252, 252)(도 21 참조)이 맞닿아서 슬라이드체(251)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덮개측 연결 유닛(205a) 및 본체측 연결 유닛(205b)에 대해 연결체(220)가 진퇴함으로써 실행되는 연결 유닛(205)의 개폐 동작, 및 휴대전화기(201)의 개폐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3은,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205)의 일부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24는,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20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5는, 닫힌 상태의 연결 유닛(20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이들 도 23부터 도 25는, 도 20에서의 우하 위치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6은,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205)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7은,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205)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8은, 닫힌 상태의 연결 유닛(205)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6부터 도 28은, 도 18에서의 B-B 화살표로 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9는, 휴대전화기(201)의 개폐 조작의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각도 고정 유닛(240)에 마련되는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휴대전화기(201)의 전체의 개폐 상태에 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도 15의 설명도와 대응하기 때문에, 도 15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열린 상태에서는, 도 23,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측 연결 유닛(205a)(도 26 참조)이 부착된 덮개부(3)와, 본체측 연결 유닛(205b)이 부착된 본체부(7)가 180도 열린 상태로 되고, 제 1 실시예의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로 하나의 직육면체와 같은 형상이 된다.
이때, 연결체(220)는, 덮개측 연결 유닛(205a)의 오목부(62a)(도 19 참조)와, 본체측 연결 유닛(205b)의 오목부(62b)(도 19에서는 부호 생략)중에 완전히 수납되고, 밖에서 시인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유닛(210)의 슬라이드체(251)는, 가이드(230)의 베이스부에 가장 근접한다.
또한 이때, 각도 고정 유닛(240)의 상태는, 결합 고정 볼록체(221)의 결합 고정 돌기(224)가,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의 포지션(P8)(도 29 참조)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는,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의 원주에 따라 약 4할 정도의 범위에 원호형상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하여 단부가 경사한 결합 고정 가이드(231)와, 해당 결합 고정 가이드(231)로부터 조금 간격을 두고 상기 결합 고정 가이드(231)와 같은 정도의 높이로 돌출한 산형상의 결합 고정 가이드(23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지션(P8)은, 상기 결합 고정 가이드(236)의 한쪽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여기서, 코일 스프링(215)(도 21 참조)의 가세력에 의해, 결합 고정 볼록 체(221)는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를 가압하도록 가세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결합 고정 돌기(224)가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에 놓여 포지션(P7) 경유로 포지션(P6)으로 이행하려고 하여도, 약간의 힘으로는 놓이지 않아, 덮개측 연결 유닛(205a)과 본체측 연결 유닛(205b)이 닫힌 상태로 이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열린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열린 상태로부터, 이용자에 의해 손으로 힘이 가하여져서 덮개부(3)와 본체부(7)가 닫힌 방향으로 접혀 조작되면, 그 힘이 코일 스프링(215)의 가세력을 초과한 시점에서, 결합 고정 돌기(224)가 포지션(P7)을 통과하면서 결합 고정 가이드(236)에 놓여서 포지션(P6) 경유로 포지션(P5)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도 24 및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측 연결 유닛(205a)(도 26 참조)이 부착된 덮개부(3)와, 본체측 연결 유닛(205b)이 부착된 본체부(7)가 약간 굴곡한 상태(예를 들면 170°나 160° 정도)로 이행한다.
이때의 조작감에 관해 설명하면, 포지션(P7)은 경사하여 있기 때문에, 해당 포지션(P7)에 결합 고정 돌기(224)가 위치하는 동안은 흡입되도록 닫힌 상태로 이행하고, 단단히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고정 돌기(224)가 포지션(P7) 경유로 결합 고정 가이드(236)에 놓인 때에, 양호한 조작감이 되는 클릭 느낌을 이용자에게 줄 수 있고, 그 후는 포지션(P6) 경유로 흡입되도록 포지션(P5)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닫힌 방향으로 이행할 때, 덮개측 연결 유닛(205a)은, 빠짐방지 회동축(85a)(도 24 참조)을 가상의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본체측 연결 유 닛(205b)은, 빠짐방지 회동축(85b)(도 24 참조)을 가상의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때, 본체측 암(243)의 피봇장착 돌기(242)와 덮개측 암(212)의 피봇장착 돌기(211)는, 샤프트(227)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연동하면서 회동한다.
그리고, 이 회동에 의해,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측 암(243)의 피봇장착 돌기(242)와 덮개측 암(212)의 피봇장착 돌기(211)의 간격(W)이 열린 상태인 경우보다도 넓어진다. 이 때문에, 링크 유닛(210)의 슬라이드체(251)가 가이드(230)의 슬라이드 공간(232) 내를 가이드(230)의 베이스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따라서, 덮개측 연결 유닛(205a)으로부터 연결체(220)가 진출한 진퇴 거리(La)(도 27 참조)와, 본체측 연결 유닛(205b)으로부터 연결체(220)가 진출한 진퇴 거리(Lb)(도 27 참조)의 비율은 1대1이 되고, 균등하게 진출한다. 이로써 안정된 스무스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 닫힌 방향으로 접혀 조작되면, 결합 고정 돌기(224)는 포지션(P4)을 통과하여 결합 고정 가이드(231)에 놓여 포지션(P3)으로 이행하고, 덮개부(3)와 본체부(7)가 더욱 굴곡한 상태로 이행한다. 이 이행의 도중에, 본체측 암(243)의 피봇장착 돌기(242)와 덮개측 암(212)의 피봇장착 돌기(211)를 잇는 직선상에, 덮개측 연결 유닛(205a)의 가상 회동축(31a)(도 27 참조) 및 본체측 연결 유닛(205b)의 가상 회동축(31b)이 위치한 때에 간격(W)이 최대로 되고, 이 이후는 간격(W)이 줄어들게 된다. 이 동안, 링크 유닛(210)의 슬라이드체(251)는, 가이드(230)의 슬라이드 공간(232)을 가이드(230)의 베이스부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계속 이동한다. 그리고, 덮개측 연결 유닛(205a)으로부터 연결체(220)가 진출한 양과, 본체측 연결 유 닛(205b)으로부터 연결체(220)가 진출한 양의 비율은, 1대1의 비율이 유지되고, 항상 균등하게 진출한다.
또한, 포지션(P3)은 코일 스프링(215)이 가세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있고, 또한 돌출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포지션(P3)에 결합 고정 돌기(224)가 위치하는 동안은, 코일 스프링(215)의 가세력이 강하게 걸리기 때문에 마찰력이 증대한다. 이 결과, 결합 고정 돌기(224)가 포지션(P3)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여도 덮개부(3)와 본체부(7)의 개폐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른바 프리 스톱이 실현된다.
더욱 닫힌 방향으로 접혀 조작되면, 결합 고정 돌기(224)는 포지션(P2) 경유로 포지션(P1)으로 이행하고, 도 25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전히 접힌 닫힌 상태로 이행한다. 이때,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유닛(210)의 슬라이드체(251)는, 가이드(230)의 선단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슬라이드 공간(232)에 위치한다.
그리고, 본체측 암(243)과 덮개측 암(212)은, 양자가 대향하는 측의 측면이 오목하게 되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측 암(243)과 덮개측 암(212)의 사이에는 간극(X)이 확보되고, 이 간극(X)에 덮개측 가이드 커버(280a)와 본체측 가이드 커버(280b)가 끼워지게 된다.
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할 때에는, 상술한 닫힌 방향으로의 이행과 완전히 역으로 동작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연결체(220)가 덮개측 연결 유닛(205a)과 본체측 연결 유닛(205b)에 대해 각각 원호를 그리며 진퇴한다. 이로써, 덮개부(3)와 본체부(7) 가 개폐한다는 참신한 구조의 휴대전화기(201)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개폐에 즈음하여서는, 링크 유닛(210)의 기능에 의해, 덮개측 연결 유닛(205a)과 본체측 연결 유닛(205b)에 대해 연결체(220)가 균등하게 진퇴하고, 접음 중심에서 대칭이 되는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체(220)는, 덮개측 가이드체(60a)(도 19 참조)의 원호면(66a)에 원호 외주면(29a)(도 20 참조)이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드 회동하여 진퇴하기 때문에, 걸리는 일 없이 진퇴할 수 있다. 특히, 덮개측 가이드 커버(280a)에 마련된 슬라이드 안정화 가이드(91a)(도 19 참조)와 연결체(220)에 마련된 안정화 홈(34a)(도 22 참조)이 걸어 맞춤으로써, 보다 안정된 슬라이드 회동을 실현할 수 있고, 스무스한 진퇴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의 연결부와 본체부(7)의 연결부에 오목부(62a, 62b)를 각각 마련하고, 이 오목부(62a) 내에, 연결체(220)의 일단측을 진퇴 가능하게 부착함과 함께, 상기 오목부(62b) 내에, 해당 연결체(220)의 타단측을 진퇴 가능하게 부착한다. 이로써, 전개방 상태에서는 연결체(220)를 오목부(62a, 62b) 내에 수납하여 은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휴대전화기(201)의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또한, 빠짐방지 회동축(85)(85a, 85b)을 가상의 축심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며 연결체(220)를 진퇴시키는 진퇴 가이드(68)(68a, 68b)를, 덮개측 연결 유닛(205a)과 본체측 연결 유닛(205b)에 마련하고, 연결체(220)에 측벽(28) 및 원호 외주면(29)(29a, 29b)을 마련함에 의해, 연결체(220)를 오목부(62)(62a, 62b)로부터 원호형상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열린 상태에서는 연결체(220)를 오 목부(62) 내에 수납하고, 이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의 이행에서는, 연결체(220)가 오목부(62)로부터 원호형상으로 진출하여 덮개부(3)와 본체부(7)가 닫힌 상태로 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측의 원호면(66a)의 축은 덮개 회동축(31a)(도 27 참조)으로 하고, 본체부(7)측의 원호면(66b)의 축은 본체 회동축(31b)으로 하여, 원호의 축을 다르게 하여 진퇴 가이드(68)를 형성함에 의해, 전폐쇄 상태와 전개방 상태, 및 그 사이의 상태에서, 무리가 없는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와 본체부(7)의 개폐 각도가 일정한 각도로 된 때에 오목부(62)에 대한 연결체(220)의 진퇴를 결합 고정하는 각도 고정 유닛(240)을 마련함에 의해, 0°, 170°(또는 160° 등) 및 180°라는 일정한 각도로 덮개부(3)와 본체부(7)를 안정시킬 수 있고, 이용자에 있어서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결합 고정하는 개폐 각도는 이들로 한하지 않고, 다른 각도로 진퇴를 결합 고정하도록 결합 고정 가이드(231, 236)를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진퇴를 결합 고정하는 각도를 2 또는 4 이상 설정하여 결합 고정 가이드(231, 236)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전개방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까지(전폐쇄 상태의 바로앞까지)는, 축이 닿는 홈(21a, 21b)에 빠짐방지 회동축(85a, 85b)이 맞닿아 있음으로써, 연결체(220)가 덮개측 연결 유닛(205a) 및 본체측 연결 유닛(205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폐쇄 상태에서는, 빠짐방지 돌기(22a, 22b)가 결합 고정변(64a, 64b)에 맞닿음으로써, 연결체(220)가 덮개측 연결 유닛(205a) 및 본체측 연결 유닛(205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도 고정 유닛(240)을 채용함에 의해, 제 1 실시예의 가압 유닛(40)을 채용한 경우에 비하여 연결체(220)의 내측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부(3) 내의 전자 기기와 본체부(7) 내의 전자 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을 수납하는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원호면(66a)은, 연결체(220)를 원호형상으로 슬라이드하여 진퇴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면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한하지 않고, 원호형상의 레일을 폭방향으로 복수 배열 설치하는 등,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2개의 벽면(67a)은, 연결체(220)가 슬라이드할 때에 덜커덕거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연직면으로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과 결합 고정변(64a)은, 연결체(220)가 덮개측 연결 유닛(205a)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 형상으로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나아가서는, 상기 원호면(66a)의 일부에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원호면(66a)의 일부를 진퇴 방향에 따라 연결 단면(61a)의 바로앞까지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이것을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으로 하고, 해당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의 연결 단면(61a)측에 결합 고정변(64a)을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체(220)의 빠짐방지 돌기(22a)는, 연결체(220)의 정면의 상측단에 마련하면 좋다.
또한, 전개방 상태에서는, 연결체(220)가 완전히 보이지 않도록 은폐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덮개측 가이드 커버(280a)나 본체측 가이드 커 버(280b)의 연결측에 구멍이나 홈을 마련하고, 전개방 상태에서도 연결체(220)가 일부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보기흉한 힌지가 돌출하여 그대로 보인다는 일은 없고, 스마트한 디자인의 휴대전화기(20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제 4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30은, 제 4 실시예의 휴대전화기(30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1(A)는, 휴대전화기(301)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1(B)는, 연결 유닛(305)의 내부의 평면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2는,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연결 유닛(305)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3은,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연결 유닛(305)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4는 연결체(32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5는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305)의 일부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휴대전화기(301)는, 제 1 실시예의 휴대전화기(1)의 덮개부(3)와 같은 덮개부(303)와, 제 1 실시예의 휴대전화기(1)의 본체부(7)와 같은 본체부(30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덮개부(303)에는, 제 1 실시예의 덮개측 유닛(5a)(도 2 참조)에 대응하는 덮개측 유닛(305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307)에는, 제 1 실시예의 본체측 유닛(5b)(도 2 참조)에 대응하는 본체측 유닛(305b)이 마련되어 있다.
열린 상태의 덮개측 유닛(305a)과 본체 측유닛(305b)의 연결부 내에는, 연결체(320)(도 33 참조) 및 링크 유닛(310)(도 33 참조)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크 유닛(310)과 연결체(320)와 덮개측 유닛(305a)과 본체측 유닛(305b)으로 연결 유닛(305)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측 유닛(305a)은, 덮개측 가이드 커버(380a)와 덮개측 가이드체(360a)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측 유닛(305b)은, 본체측 가이드 커버(380b)와 본체측 가이드체(360b)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측 가이드 커버(380a)는, 제 1 실시예의 링크 피봇장착부(77)(도 5 참조) 대신에 링크 피봇장착부(398)를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덮개측 가이드 커버(380a)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본체측 가이드 커버(380b)는, 제 1 실시예의 가이드판(98) 대신에 가이드판(377)을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본체측 가이드 커버(380b)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 피봇장착부(398)에는, 휴대전화기(301)의 폭방향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피봇장착 돌기(399)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377)에는, 휴대전화기(301)의 폭방향에서 내측으로 돌출한 피봇장착 돌기(37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링크 유닛(310)은, 덮개측 유닛(305a)측의 덮개측 링크 유닛과, 본체측 유닛(305b)측의 본체측 링크 유닛으로 구성된다.
덮개측 링크 유닛은,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피봇장착부(398)의 피봇장착 돌기(399)에 일단이 축 지지되는 덮개측 암(312a)과, 해당 덮개측 암(312a)의 타단에 상기 피봇장착 돌기(399)의 피봇 축과 평행하게 축 지지되는 전동(轉動) 기어(317a)와, 해당 전동 기어(317a)와 맞물림과 함께 회전축이 평행한 중심 기어(322a)와, 해당 중심 기어(322a)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이빨이 나열되어 연결체(3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주면(周面) 기어(331a)(도 34 참조)로 구성된다.
본체측 링크 유닛은, 상기 덮개측 링크 유닛과는 대칭으로 구성되고, 가이드판(377)의 피봇장착 돌기(378)에 일단이 축 지지되는 본체측 암(312b)과, 해당 본체측 암(312b)의 타단에 상기 피봇장착 돌기(378)의 피봇 축과 평행하게 축 지지되는 전동 기어(317b)와, 해당 전동 기어(317b)와 맞물림과 함께 회전축이 평행한 중심 기어(322b)와, 해당 중심 기어(322b)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이빨이 나열되어 연결체(320)(도 34 참조)의 내면에 형성되는 주면 기어(331b)로 구성된다. 이로써, 덮개측 암(312a)과 본체측 암(312b)은, 전동 기어(317a)와 전동 기어(317b)가 주면 기어(331a)와 주면 기어(331b)에 각각 맞물리면서 전동 가능하게 전동 가동 지지된다.
상기 연결체(320)의 내면에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의 이빨을 원호형상으로 마련한 주면 기어(331a)와 주면 기어(331b)가, 중심축을 다르게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주면 기어(331a)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축구멍(332a)이 마련된 축받이부(333a)와, 주면 기어(331b)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축구멍(332b)이 마련된 축받이부(333b)가, 연결체(320)의 내측 저부에서 주면 기어(331a)와 주면 기어(331b) 사이에 직립 설치(立設)되어 있다. 이로써, 축받이부(333a)의 축구멍(332a)에 축체(軸體)(321a)(도 32 참조)를 삽입하여 중심 기어(322a)를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 할 수 있고, 축받이부(333b)의 축구멍(332b)에 축체(321b)를 삽입하여 중심 기어(322b)를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체(320)의 내측에는, 덮개측 가압 유닛(40a)의 롤러(44a)가 전동하는 가이드 레일로서, 결합 고정 오목부(341a, 342a), 전동 레일(343a), 및 결합 고정 오목부(344a)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것과 대칭으로, 본체측 가압 유닛(40b)의 롤러(44b)가 전동하는 가이드 레일로서, 결합 고정 오목부(341b, 342b), 전동 레일(343b), 및 결합 고정 오목부(344b)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덮개측 유닛(305a) 및 본체측 유닛(305b)에 대해 연결체(320)가 진퇴함으로써 실행되는 연결 유닛(305)의 개폐 동작, 및 휴대전화기(301)의 개폐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35는,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30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6은,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30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7은, 더욱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30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8은, 닫힌 상태의 연결 유닛(30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이들 도 35부터 도 38은, 도 33에서의 우하 위치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9는, 열린 상태의 링크 유닛(310)과 가압 유닛(40)(40a, 40b)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0은,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링크 유닛(310)과 가압 유닛(4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1은, 더욱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링크 유닛(310)과 가압 유닛(4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2는, 닫힌 상태의 링크 유닛(310)과 가압 유닛(4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43은,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305)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44는,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305)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45는, 더욱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305)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46은, 닫힌 상태의 연결 유닛(305)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43부터 도 46은, (C)가 도 30에서의 C-C 화살표로 본 단면도를 도시하고, (D)가 도 30에서의 D-D 화살표로 본 단면도를 도시하고, (E)가 도 30에서의 E-E 화살표로 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우선, 열린 상태에서는, 도 35 및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측 유닛(305a)(도 43 참조)이 마련된 덮개부(303)와, 본체측 유닛(305b)이 마련된 본체부(307)가 180도 열린 상태로 되고, 제 1 실시예에서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로 하나의 직육면체와 같은 형상이 된다. 또한, 도면의 (D), (E)는, (C)와 반대측에서 본 단면이 되기 때문에, (C)와는 좌우가 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연결체(320)는, 덮개측 유닛(305a)의 오목부(62a)(도 32 참조)와, 본체측 유닛(305b)의 오목부(62b)중에 완전히 수납되고, 밖에서 시인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4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유닛(305)의 덮개측 암(312a)은 가장 수평에 근접한 상태로 되고, 그 선단에 축지된 전동 기어(317a)는, 덮개측 암(312a)이 축 지지되는 피봇장착 돌기(399)에서 보아, 주면 기어(331a)의 축심보다 맞은편측에서 주면 기어(331a)의 본체측 유닛(305b)측의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도 4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측 암(312b)은 가장 수평에 근접한 상태로 되고, 그 선단에 축 지지되는 전동 기어(317b)는, 본체측 암(312b)이 축 지지되는 피봇장착 돌기(378)에서 보아, 주면 기어(331b)의 축심보다 맞은편 측에서 주면 기어(331b)의 덮개측 유닛(305a)측의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이때, 덮개측 암(312a)과 본체측 암(312b)은 측면으로 보아 교차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때, 도 43(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유닛(40)(40a, 40b)의 롤러(44)(44a, 44b)는, 연결체(320)의 결합 고정 오목부(341)(341a, 341b)(도 34 참조)에 맞닿아서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59)(59a, 59b)의 가세력에 의해, 약간의 힘으로는 덮개측 유닛(305a)과 본체측 유닛(305b)이 닫힌 상태로 이행하지 않고,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열린 상태로부터, 이용자에 의해 손으로 힘이 가하여져서 덮개부(303)와 본체부(307)가 닫힌 방향으로 접혀 조작되면, 그 힘이 코일 스프링(59)의 가세력을 초과한 시점에서, 롤러(44)가 결합 고정 오목부(341)로부터 탈출한다. 그리고, 도 36, 도 40, 및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측 유닛(305a)이 부착된 덮개부(303)와, 본체측 유닛(305b)이 부착된 본체부(307)가 조금 굴곡한 상태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롤러(44)가 결합 고정 오목부(341)로부터 탈출할 때에, 양호한 조작감이 되는 클릭 느낌을 이용자에게 줄 수 있다.
이 닫힌 방향으로의 이행일 때, 덮개측 유닛(305a)은, 빠짐방지 회동축(85a)(도 36 참조)을 가상의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본체측 유닛(305b)은, 빠짐방지 회동축(85b)(도 36 참조)을 가상의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때, 도 4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기어(317a)는, 주면 기어(331a)의 기어와 맞물리면서 해당 주면 기어(331a)의 위를 전동하고, 덮개측 유닛(305a)의 쪽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즈음하여, 전동 기어(317a)는, 중심 기어(322a)를 회전시킨다.
이것과 대칭으로, 도 4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기어(317b)는, 주면 기어(331b)의 기어와 맞물리면서 해당 주면 기어(331b)의 위를 전동하고, 본체측 유닛(305b)의 쪽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즈음하여, 전동 기어(317b)는, 중심 기어(322b)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중심 기어(322a)와 중심 기어(322b)는 서로 맞물려 있고, 동일 회전량만큼 역회전한다. 따라서, 덮개측 암(312a)과 본체측 암(312b)은 회전량이 항상 동일하고 대칭 회전으로 되고, 덮개측 유닛(305a)으로부터 연결체(320)가 진출한 진퇴 거리(La)(도 44 참조)와, 본체측 유닛(305b)으로부터 연결체(320)가 진출한 진퇴 거리(Lb)(도 44 참조)의 비율은 1대1이 되고, 균등하게 진출한다. 이로써 안정된 스무스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약간 닫힌 상태로 이동한 각도에서는, 도 44(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유닛(40)의 롤러(44)가 각각 결합 고정 오목부(342)에 맞닿아서 회전 결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170°나 160°라는 각도로 휴대전화기(301)의 개폐 각도가 일단 안정된다.
더욱 닫힌 방향으로 접혀 조작되면, 도 37, 도 41, 및 도 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한 상태로 이행한다. 이 이행의 동안도, 덮개측 유닛(305a)으로부터 연결체(320)가 진출한 양과, 본체측 유닛(305b)으로부터 연결체(320)가 진출한 양의 비율은, 1대1의 비율이 유지되고, 항상 균등하게 진출한다.
이때, 도 45(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유닛(40)의 롤러(44)는 전동 레일(343)상에 놓여 있기 때문에, 항상 코일 스프링(59)(59a, 59b)의 가세력을 강하게 받게 된다. 그리고, 이 전동 레일(343)은, 회전 중심이 되는 빠짐방지 회동축(85a, 85b)을 중심으로 하는 전동 레일(343)까지의 반경이, 연결체(320)의 중심부터 덮개부(303)측과 본체부(307)측의 각 단부를 향하여 각각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59)의 가세력에 의해 롤러(44)가 닫힌 방향으로 스무스하게 전동하고, 흡입되도록 닫힌 방향으로 자연히 이행한다.
그리고, 닫힌 방향으로의 자연인 이행에 맡겨지거나, 더욱 닫힌 방향으로 접혀 조작되면, 도 38, 도 42, 및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전히 접힌 닫힌 상태로 이행한다. 이때,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기어(317a)는, 열린 상태와는 역측, 즉 주면 기어(331a)에서의 덮개측 연결 유닛(305a)측의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또한, 전동 기어(317b)는, 열린 상태와는 역측, 즉 주면 기어(331b)에서의 본체측 연결 유닛(305b)측의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4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구멍(332a)의 축심(중심 기어(322a)의 축심)과 전동 기어(317a)의 축심과 피봇장착 돌기(399)의 축심을 연결하는 선이 개략 L자형이 된다. 또한, 도 4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구멍(332b)의 축심과 전동 기어(317b)의 축심과 피봇장착 돌기(378)의 축심을 연결하는 선은, 상기 개략 L자형과 대칭인 개략 L자형이 된다. 이때, 덮개측 암(312a)과 본체측 암(312b)은 측면으로 보아 교차하지 않고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 고정 오목부(344)에 가압 유닛(40)의 롤러(44)가 맞닿아서 결합 고정되고, 코일 스프링(59)의 가세력에 의해 전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덮개측 암(312a)과 본체측 암(312b) 사이에는 적당한 공간이 확보되고, 이 공간의 폭 내에 덮개측 가이드 커버(380a)의 두께와 본체측 가이드 커버(380b)의 두께가 수습되기 때문에, 전폐쇄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할 때에는, 상술한 닫힌 방향으로의 이행과 완전히 역으로 동작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연결체(320)가 덮개측 유닛(305a)과 본체측 유닛(305b)에 대해 각각 원호를 그리며 진퇴하고, 이것에 덮개부(303)와 본체부(307)가 개폐한다는 참신한 구조의 휴대전화기(301)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개폐에 즈음하여서는, 링크 유닛(310)의 기능에 의해, 덮개측 유닛(305a)과 본체측 유닛(305b)에 대해 연결체(320)가 균등하게 진퇴하고, 접음 중심에서 대칭이 되는 안정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체(320)는, 덮개측 가이드체(360a)(도 32 참조)의 원호면(66a)에 원호 외주면(29a)(도 33 참조)이 맞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회동하여 진퇴하기 때문에, 걸리는 일 없이 진퇴할 수 있다. 특히, 덮개측 가이드 커버(380a)에 마련된 슬라이드 안정화 가이드(91a)(도 32 참조)와 연결체(320)에 마련된 안정화 홈(34a)(도 34 참조)이 걸어 맞춤으로써, 보다 안정된 슬라이드 회동을 실현할 수 있고, 스무스한 진퇴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03)의 연결부와 본체부(307)의 연결부에 오목부(62a, 62b)를 각각 마련하고, 이 오목부(62a) 내에, 연결체(320)의 일단측을 진퇴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오목부(62b) 내에, 해당 연결체(320)의 타단측을 진퇴 가능하게 부착하였다. 이로써, 전개방 상태에서는 연결체(320)를 오목부(62a, 62b) 내에 수납하여 은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휴대전화기(301)의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또한, 빠짐방지 회동축(85)(85a, 85b)을 가상의 축심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며 연결체(320)를 진퇴시키는 진퇴 가이드(68)(68a, 68b)를, 덮개측 유닛(305a)과 본체측 유닛(305b)에 마련하고, 연결체(320)에 측벽(28) 및 원호 외주면(29)(29a, 29b)을 마련함에 의해, 연결체(320)를 오목부(62)(62a, 62b)로부터 원호형상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열린 상태에서는 연결체(320)를 오목부(62) 내에 수납하고, 이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의 이행에서는, 연결체(320)가 오목부(62)로부터 원호형상으로 진출하여 덮개부(303)와 본체부(307)가 닫힌 상태로 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덮개부(303)측의 원호면(66a)의 축은 덮개 회동축(31a)(실시예 1의 도 4 참조)으로 하고, 본체부(307)측의 원호면(66b)의 축은 본체 회동축(31b)(실시예 1의 도 4 참조)으로 하여, 원호의 축을 다르게 하여 진퇴 가이드(68)를 형성함으로써, 전폐쇄 상태와 전개방 상태, 및 그 사이의 상태에서, 무리가 없는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03)와 본체부(307)의 개폐 각도가 일정한 각도가 된 때에 오목부(62)에 대한 연결체(320)의 진퇴를 결합 고정하는 결합 고정 오목부(341(341a, 41b), 342(342a, 342b), 344(344a, 344b)) 및 가압 유닛(40)(40a, 40b)을 마련하였다. 이로써, 0°, 170°(또는 160°), 및 180° 라는 일정한 각도로 덮개부(303)와 본체부(307)의 개폐 각도를 안정시킬 수 있고, 이용자에 있어서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결합 고정하는 개폐 각도는 이들로 한하지 않고, 다른 각도로 진퇴를 결합 고정하도록 결합 고정 오목부(341, 342, 344)를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진퇴를 결합 고정하는 각도를 2 또는 4 이상 설정하여 결합 고정 오목부(341, 342, 344)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가압 유닛(40)에 가세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59)(59a, 59b)을 채용함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덮개부(303)와 본체부(307)를 안정시키는 힘을 코일 스프링(59)의 가세력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적당한 클릭 느낌의 개폐기구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개방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까지(전폐쇄 상태의 바로앞까지)는, 축이 닿는 홈(21a, 21b)에 빠짐방지 회동축(85a, 85b)이 맞닿아 있기 때문에, 연결체(320)가 덮개측 유닛(305a) 및 본체측 유닛(305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폐쇄 상태에서는, 빠짐방지 돌기(22a, 22b)가 결합 고정 변(64a, 64b)에 맞닿음으로써, 연결체(320)가 덮개측 유닛(305a) 및 본체측 유닛(305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위치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가압 유닛은 덮개측 가압 유닛(40a)과 본체측 가압 유닛(40b)의 2개를 구비하였지만, 어느 한쪽을 하나만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링크 유닛(310)에 의해 대칭으로 개폐하는 양호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면(66a)은, 연결체(320)를 원호형상으로 슬라이드하여 진퇴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면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한하지 않고, 원호형상의 레일을 폭방향으로 복수 배열 설치하는 등,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2개의 벽면(67a)은, 연결체(320)가 슬라이드할 때에 덜커덕거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연직면으로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과 결합 고정변(64a)은, 연결체(320)가 덮개측 유닛(305a)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 형상으로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나아가서는, 상기 원호면(66a)의 일부에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원호면(66a)의 일부를 진퇴 방향에 따라 연결 단면(61a)의 바로앞까지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이것을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으로 하고, 해당 빠짐방지 돌기용 홈(65a)의 연결 단면(61a)측에 결합 고정변(64a)을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체(320)의 빠짐방지 돌기(22a)는, 연결체(320)의 정면의 상측 단에 마련하면 좋다.
또한, 결합 고정 오목부(341, 342, 344)는, 슬라이드판(27)에 마련하지 않고, 측벽(28)의 내면에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롤러(44)를 예를 들면 구체(球體)로 형성하여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세하여, 측벽(28)의 내면에 마련한 결합 고정 오목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휴대전화기(301)를 소정의 개폐 각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적당한 클릭 느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롤러(44)는, 미끄러지기 쉬운 형상이나 소재로 비회전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개폐 동작을 스무스하게 행하여, 개폐 각도를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개방 상태에서는, 연결체(320)가 완전히 보이지 않도록 은폐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덮개측 가이드 커버(380a)나 본체측 가이드 커버(380b)의 연결측에 구멍이나 홈을 마련하여, 전개방 상태에서도 연결체(320)가 일부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보기흉한 힌지가 돌출하여 그대로 보인다는 일은 없고, 스마트한 디자인의 휴대전화기(30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에, 제 5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47은, 제 5 실시예의 휴대전화기(40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48(A)는, 휴대전화기(401)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48(B)는, 연결 유닛(405)의 내부의 평면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9는,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연결 유닛(405)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0은,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연결 유닛(405)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1은 연결체(42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2는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405)의 일부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휴대전화기(401)는, 제 4 실시예의 휴대전화기(301)의 덮개부(303)와 같은 덮개부(403)와, 제 4 실시예의 휴대전화기(301)의 본체부(7)와 같은 본체부(40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덮개부(403)에는, 제 4 실시예의 덮개측 유닛(305a)(도 2 참조)에 대응하는 덮개측 유닛(405a)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407)에는, 제 4 실시예의 본체측 유닛(305b)(도 2 참조)에 대응하는 본체측 유닛(405b)이 마련되어 있다.
열린 상태의 덮개측 유닛(405a)과 본체측 유닛(405b)의 연결부 내에는, 연결체(420)(도 50 참조) 및 링크 유닛(410)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크 유닛(410)과 연결체(420)와 덮개측 유닛(405a)과 본체측 유닛(405b)으로 연결 유닛(405)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측 유닛(405a)은, 덮개측 가이드 커버(480a)와 덮개측 가이드체(460a)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측 유닛(405b)은, 본체측 가이드 커버(480b)와 본체측 가이드체(460b)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측 가이드 커버(480a)는, 제 4 실시예의 덮개측 가이드 커버(380a)와 같은 것이고, 링크 피봇장착부(398)와 같은 링크 피봇장착부(498)를 마련한 것이다. 또한, 본체측 가이드 커버(480b)는, 제 4 실시예의 가이드판(377)과 마찬가지로 위치를 다르게 한 가이드판(477)을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 제 4 실시예의 본체측 가 이드 커버(380b)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 피봇장착부(498)에는, 휴대전화기(401)의 폭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한 피봇장착 돌기(499)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477)에는, 휴대전화기(401)의 폭방향에서 내측으로 돌출한 피봇장착 돌기(47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링크 유닛(410)은, 덮개측 유닛(405a)측의 덮개측 링크 유닛과, 본체측 유닛(405b)측의 본체측 링크 유닛으로 구성된다.
덮개측 링크 유닛은,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피봇장착부(498)의 피봇장착 돌기(499)에 일단이 축 지지되는 덮개측 암(412a)과, 해당 덮개측 암(412a)의 타단에 상기 피봇장착 돌기(499)의 피봇 축과 평행하게 축 지지되는 전동 기어(417a)와, 해당 전동 기어(417a)와 맞물림과 함께 회전축이 평행한 중심 기어부(422a)와, 해당 중심 기어부(422a)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이빨이 나열되어 연결체(4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주면 기어(431a)(도 51 참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링크 피봇장착부(498)는 제 4 실시예의 링크 피봇장착부(398)와 같고, 덮개측 암(412a)은 제 4 실시예의 덮개측 암(312a)과 같고, 전동 기어(417a)는 제 4 실시예의 전동 기어(317a)와 같다. 또한, 중심 기어부(422a)는, 제 4 실시예의 중심 기어(322a)에 대응하는 것이고, 기어 사이즈가 동일한 기어(422c, 422c)를 샤프트(422d)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기어(422c, 422c)는 일체로 회전하고, 중심 기어부(422a)는 하나의 기어로서 기능한다.
본체측 링크 유닛은, 상기 덮개측 링크 유닛과는 대칭으로 구성되고, 가이드 판(477)의 피봇장착 돌기(478)에 일단이 축 지지되는 본체측 암(412b)과, 해당 본체측 암(412b)의 타단에 상기 피봇장착 돌기(478)의 피봇 축과 평행하게 축 지지되는 전동 기어(417b)와, 해당 전동 기어(417b)와 맞물림과 함께 회전축이 평행한 중심 기어(422b)와, 해당 중심 기어(422b)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이빨이 나열되어 연결체(4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주면 기어(431b)(도 51 참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판(477)은 제 4 실시예의 가이드판(377)과 같고, 덮개측 암(412b)은 제 4 실시예의 덮개측 암(312b)과 같고, 전동 기어(417b)는 제 4 실시예의 전동 기어(317b)와 같고, 중심 기어(422b)는, 제 4 실시예의 중심 기어(322b)와 같다.
또한, 중심 기어(422b)에는, 각도 고정 유닛(440)이 접속되어 있다.
이 각도 고정 유닛(440)은, 제 3 실시예의 각도 고정 유닛(240)에 대응하는 것이고, 제 3 실시예의 코일 스프링(215)과 같은 코일 스프링(463), 제 3 실시예의 결합 고정 볼록체(221)와 같은 결합 고정 볼록체(462), 및, 제 3 실시예의 결합 고정 가이드체(234)의 결합 고정 가이드(231, 236)와 같은 결합 고정 가이드(도시 생략)를 구비한 결합 고정 가이드체(461)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63), 결합 고정 볼록체(462), 및 결합 고정 가이드체(461)는, 이 순서로 배치되고, 이들에 축체(軸體)(421b)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연결체(420)의 내면에는,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주면 기어(331a)와 같은 주면 기어(431a)와, 제 3 실시예의 주면 기어(331b)와 같 은 주면 기어(431b)가, 중심축을 다르게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이간(離間) 간격은, 제 3 실시예보다 넓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의 축받이부(333a, 333b)와 같은 축받이부(433a, 433b)가, 연결체(420)의 내측 저부에서 주면 기어(431a)와 주면 기어(431b)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축받이부(433b)의 축구멍(432b)의 축심과 동축상의 축구멍(452)을 갖는 축받이부(451)가, 축받이부(433b)와 평행하게 직립 설치되어 있다. 이 축받이부(451)와 축받이부(433b) 사이에는, 도 49에 도시하는 축체(421b)가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해당 축체(421b)에 각도 고정 유닛(440)이 장착되어 있다. 이 각도 고정 유닛(440)은, 결합 고정 가이드체(461)가 축받이부(433b)에 회전하지 않도록 장착되고, 결합 고정 볼록체(462)가 축체(421b)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축체(421b)는, 중심 기어(422b)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결합 고정 볼록체(462)는 중심 기어(422b)와 일체로 회전하고, 결합 고정 가이드체(461)는 항상 비회전으로 되어, 실시예 3에서 설명한 각도 고정 기능이 실현된다.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덮개측 유닛(405a) 및 본체측 유닛(405b)에 대해 연결체(420)가 진퇴함으로써 실행되는 연결 유닛(405)의 개폐 동작, 및 휴대전화기(401)의 개폐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52는,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40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3 은,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40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4는, 더욱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40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5는, 닫힌 상태의 연결 유닛(405)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이들 도 52부터 도 55는, 도 50에서의 우하 위치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6은, 열린 상태의 링크 유닛(410)과 각도 고정 유닛(44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7은,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링크 유닛(410)과 각도 고정 유닛(44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8은, 더욱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링크 유닛(410)과 각도 고정 유닛(44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9는, 닫힌 상태의 링크 유닛(410)과 각도 고정 유닛(44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60은,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405)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61은, 열린 상태로부터 약간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405)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62는, 더욱 닫힌 방향으로 변화시킨 연결 유닛(405)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63은, 닫힌 상태의 연결 유닛(405) 부분의 확대 단면에 의한 설명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60부터 도 63은, (G)가 도 47에서의 G-G 화살표로 본 단면도를 도시하고, (H)가 도 47에서의 H-H 화살표로 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G)와 (H)는, 반대측에서 본 단면이기 때문에, 좌우가 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의 각 도면에 의해 설명하는 개폐 동작은, 링크 유닛(410)에 관해서는 제 4 실시예의 링크 유닛(310)의 개폐 동작과 동일하고, 각도 고정 유닛(340)에 관해서는 제 3 실시예의 각도 고정 유닛(240)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5 실시예의 휴대전화기(401)에 의해, 제 4 실시예의 링크 유닛(310)과 동일한 작용 효과와, 제 3 실시예의 각도 고정 유닛(240)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다음에, 제 6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제 6 실시예는, 상술한 제 4 실시예와 개략 동일하고, 제 4 실시예의 롤러(44)에 의한 가압 유닛(40) 대신에, 구체(552)(552a, 552b)에 의한 가압 유닛(550)(550a, 550b)을 이용한 것이다.
도 64는, 열린 상태의 연결 유닛(305)(제 4 실시예의 도 30 참조)의 일부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5는, 열린 상태의 링크 유닛(310)과 가압 유닛(55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덮개측 가압 유닛(550a)은, 도 6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의 덮개측 가이드 커버(380a)에 대응하는 덮개측 가이드 커버(580a)의 이면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통형상부(551a), 해당 통형상부(551a) 내에 수납된 코일 스프링(553a), 및 해당 코일 스프링에 의해 통형상부(551a)에서 하방의 개구부를 향하여 가세되는 구체(球體)(552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측 가압 유닛(550b)은, 제 4 실시예의 본체측 가이드 커버(380b)에 대응 하는 본체측 가이드 커버(580b)의 이면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통형상부(551b), 해당 통형상부(551b) 내에 수납된 코일 스프링(553b), 및, 해당 코일 스프링(553b)에 의해 통형상부(551b)에서 하방의 개구부를 향하여 가세되는 구체(55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체(520)의 내측에는, 도 6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측 가압 유닛(550a)의 구체(552a)가 전동하는 가이드 레일로서, 결합 고정 오목부(541a, 542a), 전동 레일(543a), 및 결합 고정 오목부(544a)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것과 대칭으로, 본체측 가압 유닛(550b)의 구체(552b)가 전동하는 가이드 레일로서, 결합 고정 오목부(541b, 542b), 전동 레일(543b), 및 결합 고정 오목부(544b)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은, 제 4 실시예에서의 결합 고정 오목부(341a(341b), 342a(342b)), 전동 레일(343a(343b)), 및 결합 고정 오목부(344a(344b))에 대응하는 것이고,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링크 유닛(310)은,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고,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압 유닛(550)의 구체(552)는, 결합 고정 오목부(541, 542), 전동 레일(543), 및 결합 고정 오목부(544)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전동하기 때문에, 제 4 실시예의 가압 유닛(40)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압 유닛(550)을 채용함에 의해, 제 4 실시예의 가압 유닛(40)을 채용한 경우에 비하여 연결체(520)의 내측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덮개부(303) 내의 전자 기기와 본체부(307) 내의 전자 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을 수납하는 자유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술한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실시 형태의 휴대전화기(1, 1a)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제 1 케이싱은, 덮개부(3, 303, 403)에 대응하고,
연결 기구는, 연결 유닛(5, 205, 305, 405)에 대응하고,
제 2 케이싱은, 본체부(7, 307, 407)에 대응하고,
연결 부재는, 연결체(20, 220, 320, 420, 520)에 대응하고,
개구부는, 오목부(62a, 62b)에 대응하고,
진퇴비율 안정화부는, 링크 유닛(100, 210, 310, 410)에 대응하고,
제 2 케이싱측 접속은, 피봇장착 돌기(102)와 가이드판(98)의 피봇장착에 대응하고,
제 2 케이싱측 암은, 본체측 암(103, 243, 312b, 412b)에 대응하고,
연결 부재측 접속은, 슬라이드체(105)(251)와 가이드(30)(230)의 걸어 맞춤에 대응하고,
제 1 케이싱측 접속은, 피봇장착 돌기(106)와 링크 피봇장착부(77)의 피봇장 착에 대응하고,
제 1 케이싱측 암은, 덮개측 암(107, 212, 312a, 412a)에 대응하고,
피봇장착부는, 축 부재(109) 및 샤프트(227)에 대응하고,
제 1 케이싱측의 회동축은, 회동축(133a)에 대응하고,
제 2 케이싱측의 회동축은, 회동축(133b)에 대응하고,
진퇴량은, 진퇴 거리(La, Lb)에 대응하고,
일정 비율은, 1대1로 대응하여도,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많은 실시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전술한 휴대전화기로 한하지 않고, 다른 휴대전화기나 PDA 등의 휴대 단말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서로 겹치는 닫힌 상태와 해당 닫힌 상태로부터 책을 펴는 식으로 열리는 열린 상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로서,
    상기 제 1 케이싱의 연결측과 상기 제 2 케이싱의 연결측에 각각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제 1 케이싱의 개구부 내와 상기 제 2 케이싱의 개구부 내에 양단이 각각 진퇴 가능하게 부착된 연결 부재와,
    상기 제 1 케이싱으로부터의 상기 연결 부재의 진퇴량과 상기 제 2 케이싱으로부터의 상기 연결 부재의 진퇴량이 일정 비율이 되도록 안정시키는 진퇴비율 안정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비율 안정화부를, 상기 제 1 케이싱에 접속되는 제 1 케이싱측 암과, 상기 제 2 케이싱에 접속되는 제 2 케이싱측 암과, 이들의 제 1 케이싱측 암과 제 2 케이싱측 암을 피봇동작 가능하게 피봇장착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접속되는 피봇장착부로 형성하고,
    제 1 케이싱측 암을 상기 제 1 케이싱에 접속하는 제 1 케이싱측 접속, 제 2 케이싱측 암을 상기 제 2 케이싱에 접속하는 제 2 케이싱측 접속, 및 상기 피봇장착부를 상기 연결 부재에 접속하는 연결 부재측 접속을 가지며,
    이들의 접속 방법은, 상기 각 케이싱측 접속과 상기 연결 부재측 접속의 한쪽이 피봇동작 허용하는 피봇장착이고, 다른쪽이 일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를,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가동 지지로 하고,
    상기 제 1 케이싱측 암과 상기 제 2 케이싱측 암은,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닫힌 상태일 때에 해당 기록 제 1 케이싱측 암과 제 2 케이싱측 암이 대향하는 측의 측면을 오목하게 만곡 또는 굴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에 한쪽이 피봇장착된 제 1 케이싱측 암과,
    상기 제 2 케이싱에 한쪽이 피봇장착된 제 2 케이싱측 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싱측 암의 다른쪽과 상기 제 2 케이싱측 암의 다른쪽을, 원호를 그리며 이동 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상기 연결 부재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원호형상의 내측에 이빨을 배열 설치한 주면 기어로 형성하고,
    해당 주면 기어 위를 전동하는 전동 기어를, 상기 제 1 케이싱측 암의 다른쪽과 상기 제 2 케이싱측 암의 다른쪽에 각각에 마련하고,
    상기 전동 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각 주면 기어의 중심축에서 회전 허용하는 중심 기어를 상기 각 주면 기어에 대응하여 마련하고,
    상기 제 1 케이싱측 암의 전동 기어와 맞물리는 중심 기어와, 상기 제 2 케이싱측 암의 전동 기어와 맞물리는 중심 기어를 서로 역회전이 되도록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기구.
  6.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서로 겹치는 닫힌 상태와 해당 닫힌 상태로부터 책을 펴는 식으로 열리는 열린 상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로서,
    상기 제 1 케이싱의 연결측과 상기 제 2 케이싱의 연결측에 각각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제 1 케이싱의 개구부 내와 상기 제 2 케이싱의 개구부 내에 양단이 각각 진퇴 가능하게 부착된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제 1 케이싱측의 회동축으로 제 1 케이싱에 축 지지하고, 상기 제 2 케이싱측의 회동축으로 제 2 케이싱에 축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기구.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결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087003493A 2005-10-12 2006-10-12 연결 기구 및 휴대 단말 KR200800334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8114A JP2007110346A (ja) 2005-10-12 2005-10-12 連結機構および携帯端末
JPJP-P-2005-00298114 2005-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402A true KR20080033402A (ko) 2008-04-16

Family

ID=3794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493A KR20080033402A (ko) 2005-10-12 2006-10-12 연결 기구 및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31786A1 (ko)
EP (1) EP1939470A1 (ko)
JP (1) JP2007110346A (ko)
KR (1) KR20080033402A (ko)
CN (1) CN101268290A (ko)
WO (1) WO20070436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241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4328B2 (ja) * 2008-08-08 2012-10-31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表示装置
US8248764B2 (en) * 2010-02-24 2012-08-21 Motorola Mobility Llc Hinge mechanism in electronic handset
US8792947B2 (en) 2010-08-20 2014-07-29 Blackberry Limited Mobile device
US8660621B2 (en) * 2010-08-20 2014-02-25 Blackberry Limited Mobile phone
JP5625709B2 (ja) * 2010-10-05 2014-11-1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機器
JP2012173878A (ja) * 2011-02-18 2012-09-10 Toshiba Corp 電子機器
TWI465884B (zh) * 2012-02-10 2014-12-21 Acer Inc 電子裝置
US8941979B2 (en) 2012-03-16 2015-01-27 Blackberry Limited Foldable keyboard
JP5978942B2 (ja) * 2012-11-16 2016-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20140168928A1 (en) * 2012-12-14 2014-06-19 Chung-Yu Lee Pivo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5979032B (zh) * 2016-04-28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及移动终端
CN108520701B (zh) * 2018-01-22 2020-03-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屏的支撑保护机构及移动终端
CN108769317B (zh) * 2018-05-31 2020-09-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转轴结构及移动终端
US11016541B2 (en) * 2018-12-04 2021-05-25 Compal Electronics, Inc.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955880B2 (en) 2019-06-28 2021-03-23 Apple Inc. Folding electronic devices with geared hinges
KR102638277B1 (ko) * 2019-07-23 202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10047139A (ko) 2019-10-21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97763A (ko) * 2021-12-24 2023-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54886U (en) * 2000-10-04 2001-09-11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Pivot structure
JP4090930B2 (ja) 2003-04-03 2008-05-28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機器ケースの開閉装置
KR100595640B1 (ko) * 2003-12-26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이중회전 개폐장치
JP2005207465A (ja) * 2004-01-21 2005-08-04 Sugatsune Ind Co Ltd ニ軸ヒンジ装置
JP2005275964A (ja) * 2004-03-25 2005-10-06 Toshiba Corp 電子機器
JP5170950B2 (ja) * 2005-01-25 2013-03-27 三洋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241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8290A (zh) 2008-09-17
EP1939470A1 (en) 2008-07-02
JP2007110346A (ja) 2007-04-26
WO2007043612A1 (ja) 2007-04-19
US20090231786A1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3402A (ko) 연결 기구 및 휴대 단말
US7877122B2 (en) F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925312B2 (en) Mobile terminal device
EP1973308B1 (en) Foldable mobile equipment having a rotatable display
JP5073563B2 (ja) 筐体相互の連結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KR101442665B1 (ko) 휴대형 전자기기
US20050073155A1 (en) Automatic homing apparatus of a rotatable module
EP1886475A2 (en) Display chang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957778B2 (en) Folding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EP1806909A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JP4754450B2 (ja) 電子機器
EP1798941A1 (en) Hinge device and mobile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324571A2 (en) Mobile terminal device
CN1602150A (zh) 具有台阶补偿机构的便携旋转式数字通信设备
US20080047102A1 (en) Free stop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4642008B2 (ja) 筐体開閉機構および電子機器
CN114667490A (zh) 信息终端装置
KR101056316B1 (ko) 휴대,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휴대폰 일체형의 화면 확대경
JP2010156363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2006279495A (ja) 携帯機器
JP2006080713A (ja) 携帯電話機
JP2006283836A (ja) 連結機構及び携帯端末
JP2009041729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KR100610373B1 (ko) 양 방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WO2021106251A1 (ja) 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