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206A - 로커 암 - Google Patents

로커 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206A
KR20080033206A KR1020080022456A KR20080022456A KR20080033206A KR 20080033206 A KR20080033206 A KR 20080033206A KR 1020080022456 A KR1020080022456 A KR 1020080022456A KR 20080022456 A KR20080022456 A KR 20080022456A KR 20080033206 A KR20080033206 A KR 20080033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p
rocker arm
connecting plate
side wal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5295B1 (ko
Inventor
가쓰후미 아베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936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3287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93650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64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936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222005A/ja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1Centre pivot rock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0Cooling bags, e.g. ice-b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1Centre pivot rocking arms
    • F01L1/182Centre pivot rocking arms the rocking arm being pivoted about an individual fulcrum, i.e. not about a commo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5Overhead end-pivot rock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9Throat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29Arm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4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clay, mud, fango, sand, kaolin clay, volcanic or other inorganic granula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2Bags therefor
    • A61F2007/0223Bags therefor made of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1/00Using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3/00Manufacturing of components used in valv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 F01L2305/02Mounting of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229Prime mover or fluid pump making
    • Y10T29/49295Push rod or rocker arm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01Cams
    • Y10T74/2107Fol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로커 암(1)은 한쌍의 평행한 대향 측벽(5)과 연결판벽(6)으로 이루어지고,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된 암 본체(4)를 가진다. 양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요동 지점공(7)을 가진다. 양 대향 측벽(5)의 일단(1a)에 캠과의 맞물림용 롤러(10)의 지지축이 장착된다. 연결판벽(6)의 타단(1b)은 측 에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선단 오버랩편(12)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13)가 된다. 이 오버랩부(13)를 밸브 작용 부재(14)가 출입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15)이 관통하여 형성된 조정부(16)로 한다. 로커 암(1)은 엔드 피벗 타입의 것으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는 조정부(16)에 피벗 부재를 장착한다.
로커 암, 오버랩부, 암 본체, 조정부, 연결판벽

Description

로커 암{ROCKER ARM}
본 발명은, 내연 기관에 장비되고 캠에 의해 요동 구동되어 실린더헤드의 밸브의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하는 센터피벗타입, 엔드피벗타입의 로커 암(rocker arm)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판 등의 판금가공제의 로커 암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연 기관의 작동 밸브 기구에 조립되는 로커 암은, 주조(鑄造)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운 것, 가공공정수가 많은 것, 고비용 등의 개선할 여지가 많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적 얇은 판재로부터 판금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되는 판금제의 로커 암이, 경량인 것, 가공공정수가 적은 것, 저코스트인 것으로부터 넓게 채용되고 있다.
로커 암은, 암 본체의 중앙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피벗타입의 것과, 암 본체의 단부에 피벗부품을 장착하여 지지하는 엔드피벗타입의 것으로 대별되고 , 양 타입의 것에 있어서, 상기 판금제의 로커 암이 채용되고 있다.
센터피벗타입의 것은, 암 본체에 형성된 조정부(adjustment element)의 나사공에, 밸브작용부재를 출입 조정가능하게 장착하여, 캠과 밸브와 로커 암 간의 조정을 행한다. 엔드피벗타입의 것은, 암 본체에 형성한 조정부의 나사공에, 피벗부 재를 출입 조정가능하게 장착하여, 캠과 밸브와 로커 암 간의 조정을 행한다.
양 타입의 로커 암은, 장착되는 부품이 밸브작용부재인가, 피벗부품인가로 다르지만, 모두 조정부를 가지고 있고, 비교적 얇은 판금제로 한 경우에, 조정부의 장착공의 깊이 확보가 어렵고, 장착공 주변의 강도확보 상에서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도 30은, 종래의 센터피벗타입의 일례를 나타낸다(일본국 특개 2001-41011호 공보). 이 예의 로커 암(51)에서는,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된 암 본체(52)를, 한쌍의 평행한 대향 측벽(53)과 이들 대향 측벽(53)의 상측 에지를 잇는 연결판벽(54)으로 되는 역 U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하고 있다. 연결판벽(54)의 조정부로 되는 단부에는, 밸브작용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출입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암나사를 가지는 장착공(55)이 형성되고, 이 장착공(55)은 통형 팽출부(56)의 형성에 따라 밸브작용부재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보강되어 있다. 또, 로커 암(51)을, 조정부와 롤러지지부의 중심이 축방향으로 어긋난 오프셋 구조로 하는 경우, 그대로는 통형 팽출부(56)가 대향 측벽(53)에 간섭하므로,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개구창(57)을 오프셋 측 대향 측벽(53)에 형성하고 있다.
이 도면의 종래예는, 연결판벽(54)에서의 조정부의 장착공(55)에 통형 팽출부(56)를 형성하고, 장착공(55)의 깊이를 확보하고 있지만, 통형 팽출부(56)의 가공을 위해, 장착공(55)의 성형에 시간이 걸린다. 또, 오프셋 구조로 하는 경우에, 개구창(57)을 형성하여 통형 팽출부(56)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이 개구창(57)에 의한 도피로서는, 오프셋량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이 종래예에서는, 암 본체(52)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면 대향 측벽(53)의 요동 지점공(58) 주변의 강 도가 확보된다. 그러나, 역 U자형 단면으로 한 암 본체(52)의 전체의 판두께가 두껍게 되기 때문에, 비교적 강도가 필요하지 않은 연결판벽(54)의 부분도 두껍게 되어, 경량화가 방해가 된다. 재료사용량도 불필요하게 많아지게 된다.
도 31은, 엔드피벗타입의 종래예이며, 일본국 특개 2001-13241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예의 로커 암(81)은, 단면 역 U자형으로 한 암 본체(82)의 일단에, 암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오버랩편(83)을 형성하고, 이것을 되접어 꺽는 것에 의해 오버랩 구조의 조정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오버랩 구조의 조정부에 장착공(85)을 형성하고, 피벗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출입 조정 가능하게 장착한다.
이 예의 경우, 조정부를 오버랩 구조로 하였으므로, 장착공(85)의 주변의 강도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선단오버랩편(83)을 되접어 꺽는 것이 필요하며, 이 되접어 꺽는 공정은 암 본체(82)를 역 U자형으로 성형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공정수가 증가하여, 생산비용이 높아진다.
또, 선단오버랩편(83)을 되접어 꺽어 장착공(85)을 형성하는 데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85)으로부터 벤트부인 되접어 꺽은 에지까지의 거리 L을 어느 정도 길게 형성해야 한다. 즉, 선단오버랩편(83)을 되접어 꺽은 상태로 벤딩 가공하기 때문에, 반환 에지의 부근 부분에서 선단오버랩편(83)이나 연결판벽(84)에 재질열화 등이 생기고 있고, 장착공(85)의 형성개소로서 적합하지 않다. 특히, 장착공(85)을 나사공으로 하는 경우는, 문제가 우려된다. 이로 인해, 이 재질열화 등을 고려한 여유치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암 본체(82)의 선 단 부분이, 상기 여유치수에 의해 길어지기 때문에, 전체의 길이 치수가 길어져, 로커 암(81)의 컴팩트화가 방해가 된다. 이 선단오버랩편(83)에서의 오버랩 구조의 조정부를, 도 30의 센터피벗타입의 예에 적용한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길이 치수 상의 문제가 생긴다.
도 32는, 일본국 특개평 10(1998)-299430호 공보에 개시된 센터피벗타입의 제안예이다. 로커 암(61)은, 밴드형 길이판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지점으로 하여 절곡함으로써 2매의 대향 측벽(63, 64)이 일단에서 2번 절곡되어 있다. 이 벤트부(61b)가, 밸브작용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출입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정부로 되어 있다.
이 종래예의 경우, 조정부의 장착공(75)을 깊게 형성할 수 있지만, 암 본체가 한쌍의 대향 측벽(63, 64)만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한쌍의 대향 측벽(63, 64) 사이의 폭 치수를 규제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또, 한쌍의 대향 측벽(63, 64)은, 요동지점공(69)의 주위에 원통형 팽출부(70)를 형성함으로써 얇은 판금을 이용하더라도 강도확보를 할 수 있도록 보강이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원통형 팽출부(70)를 가공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또, 이 도면의 예는, 한쌍의 대향 측벽(63, 64)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그 규제수단이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각 종래예는, 모두 센터피벗타입의 예를 나타냈지만, 엔드피벗타입의 로커 암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가공으로, 조정부의 장착공 주변의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고, 또한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비용을 낮출 수 있고, 길이 방향의 컴팩트화도 가능한 로커 암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첨부한 모든 청구항의 로커 암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 본체의 폭을 변경시키는 일 없이, 조정부의 폭 치수만을 변경시켜 오프셋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향 측벽의 요동지점부의 주변의 강도확보를 간단한 가공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프셋 구조가 용이하게 얻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드피벗타입의 로커 암에 있어서, 대향 측벽의 강도확보가 도모되어,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1 구성으로부터 제6 구성의 로커 암은, 모두, 캠에 의해 요동 구동되어 내연 기관의 밸브를 동작시키는 로커 암으로서, 암 본체는, 한쌍의 대향 측벽과 이들 대향 측벽을 잇는 연결판벽으로 이루어지는,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된 것이다.
이 중, 제1 구성에 관한 로커 암은, 센터피벗타입에 적용한 것이며,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이 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요동지점부를 가지고, 일단에 상기 캠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타단이 다음의 구성의 조정부로 된다. 즉, 암 본체의 타단에서의 상기 연결판벽의 부분이, 이 연결판벽의 측 에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선단오버랩편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로 되고, 이 오버랩부는, 밸브작용부재가 출입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조정부로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정부는 연결판벽에 선단오버랩편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착공의 깊이를 확보할 수 있고, 조정부의 장착공 주변의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선단오버랩편을 형성하여 접어 겹치는 만큼이면 되기 때문에, 보강을 위한 가공이 용이하다. 또, 이 오버랩 구조의 조정부는, 선단오버랩편을 연결판벽의 측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벤딩 에지 부근의 변질부를 피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여유치수는, 암 본체의 폭방향에서 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오버랩 구조로 인해 암 본체의 전길이가 길어지는 일이 없고, 그 길이 방향의 컴팩트화도 가능하게 된다. 암 본체의 폭방향에 대해서는, 캠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는 롤러의 폭 치수의 확보 등 때문에, 장착공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여유가 있어, 암 본체의 폭을 특히 넓게 하지 않아도 된다. 또, 이 로커 암은, 1매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한 것이기 때문에,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은, 상기 연결판벽의 폭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치우치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치우치게 하여 오프셋 구조로 하는 경우에, 장착공의 주위에 종래의 원통형 팽출부 등의 부속부분이 없기 때문에, 오프셋량의 확보가 용이하다.
상기 오버랩부의 상기 연결판벽 폭방향의 폭은, 상기 연결판벽보다도 넓게 할 수도 있다. 조정부로 되는 오버랩부의 폭은, 되접어 꺽기의 여유 상에 있어서는 특히 넓게 할 필요가 없지만, 이와 같이 폭을 넓힌 경우, 암 본체의 일반부분의 폭 치수를 변경하고, 조정부의 폭 치수만을 변경하여 조정부와 롤러지지부와의 오프셋량을 제한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로커 암의 대폭적인 중량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오프셋량을 크게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제2 구성의 로커 암은, 엔드피벗타입에 적용한 것이며,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이 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상기 캠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일단에 상기 밸브에 작용하는 밸브작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서의 상기 연결판벽의 부분이, 이 연결판벽의 측 에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선단오버랩편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가 되고, 이 오버랩부는, 피벗부품을 출입 조정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조정부로 된 것이다.
이 구성의 경우, 조정부에 장착되는 부재가 피벗부품인 것에 있어서, 제1 구성과 다르지만, 다음과 같이 제1 구성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조정부는 연결판벽에 선단오버랩편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착공의 깊이를 확보할 수 있고, 조정부의 장착공 주변의 강도 확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선단오버랩편을 형성하여 접어 겹치는 만큼이면 되기 때문에, 보강을 위한 가공이 용이하다. 또, 이 오버랩 구조의 조정부는, 선단오버랩편을 연결판벽의 측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벤딩 에지부근의 변질부를 피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여유치수는, 암 본체의 폭방향에서 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접어 겹치는 것 때문에 암 본체의 전길이가 길어지는 일이 없다. 암 본체의 폭방향에 관해서는, 캠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의 폭 치수의 확보 등 때문에, 장착공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여유가 있어, 암 본체의 폭을 특히 넓히지 않아도 된다. 또, 이 로커 암은, 1매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한 것이기 때문에,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저코스트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성에 관한 로커 암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선단오버랩편은, 복수매 형성하여 서로 겹쳐, 상기 오버랩부를 3중 이상의 오버랩 구조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오버랩부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할 수 있고, 조정부로 되는 오버랩부의 강도가 한층 향상된다.
또, 상기 선단오버랩편의 상기 연결판벽과의 오버랩면을 서로 접합하거나, 또는 상기 선단오버랩편의 선단을, 상기 대향 측벽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개구에 끼워 넣어도 된다. 이에 따라, 조정부로 되는 오버랩부의 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조정부에 형성되는 장착공은 나사공으로 할 수도 있다. 나사공으로 한 경우, 나사홈의 강도 확보를 위해, 주변강도가 보다 필요하게 되어, 상기 벤딩 에지로부터의 여유치수를 보다 많이 취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와 같이 선단오버랩편은 연결판벽의 측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암 본체의 길이 등의 치수증대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암 본체에서의 양쪽 또는 한쪽의 대향 측벽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판재의 일부가 접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향 측벽의 최소한 일부를 오버랩 구조로 한 경우, 강도가 필요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보강할 수 있고, 얇은 판재를 사용하더라도 강도 확보를 행할 수 있다. 특히, 제1 구성, 즉 센터피벗타입의 경우는, 대향 측벽에서의 최소한 상기 요동지점부의 부근을, 상기 판재의 일부가 접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함으로써, 강도가 요구되는 요동지점부의 부근에서의 강도를, 판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확보할 수 있다. 오버랩 구조로 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강도 향상을 위한 가공도 간단하다.
본 발명에서의 제3 구성에 관한 로커 암은, 센터피벗타입에 적용한 것이며,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이 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요동지점부를 가지고, 일단에 상기 캠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타단에 밸브작용부재가 수나사부에서 장착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조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연결판벽을 관통한 나사공과, 이 나사공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의 대향면에 형성된 부분나사부로 이루어진다.
밸브작용부재를 장착하는 암나사부는, 역 U자형 단면의 조정부에서의 천장부의 연결판벽에 형성된 나사공과, 이 나사공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의 대향면에 형성된 부분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대향 측벽에도 밸브작용부재의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밸브작용부재의 장착용 암나사부로서의 나사 결 합의 강도가 확보된다. 따라서, 나사공의 보강을 위해 오버랩부의 가공이나, 두께를 증가시키는 가공 등을 특히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공공정수를 삭감하면서, 조정부의 나사공 주변의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고, 또한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저코스트로 할 수 있다.
조정부는 역 U자형 단면 또는 U자형 단면의 협폭부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암 본체와 동일하게 역 U자형 단면 또는 U자형 단면이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다.
이 구성에 있어서, 양쪽 또는 한쪽의 상기 대향 측벽에서의 최소한 상기 요동지점부의 부근을, 상기 판재의 일부가 접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향 측벽에서의 요동지점부의 부근을 오버랩 구조로 한 경우는, 강도의 요구되는 요동지점부 주변에서의 강도를, 판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확보할 수 있다. 오버랩 구조로 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강도 향상을 위한 가공도 간단하다.
상기 오버랩 구조로 한 대향 측벽은, 연결판벽에 계속 상기 요동지점부의 부근 부분을 구성하는 제1 측벽구성판부와, 이 제1 측벽구성판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1 측벽구성판부에 접혀 겹쳐져 선단에 상기 롤러의 지지용 구멍을 가지는 제2 측벽구성판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이 오버랩 구조로 하는 대향 측벽은, 한쪽의 대향판벽만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경우, 한쪽의 대향 측벽을 오버랩 구조로 하고, 접혀 겹쳐지는 제 2 측벽구성판부에 롤러의 지지용 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정부의 중심과 롤러지지부의 중심이 요동축심방향으로 어긋난 오프셋 구조로 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서의 제4 구성의 로커 암은, 엔드피벗타입에 적용한 것이며,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이 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상기 캠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일단에 상기 밸브에 작용하는 밸브작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피벗부품이 수나사부에 의해 장착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조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연결판벽을 관통한 나사공과, 이 나사공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의 대향면에 형성된 부분나사부로 된다.
피벗부품을 장착하는 암나사부는, 역 U자형 단면의 조정부에서의 천장부의 연결판벽에 형성된 나사공과, 이 나사공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의 대향면에 형성된 부분나사부로 되고, 양측의 대향 측벽에도 피벗부품의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공의 보강을 위해 오버랩부의 가공이나, 두께를 증가시키는 가공 등을 특히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공공정수를 삭감하면서, 조정부의 나사공 주변의 강도가 확보된다.
이 구성의 경우도, 조정부는 역 U자형 단면 또는 U자형 단면의 협폭부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암 본체와 동일하게 역 U자형 단면 또는 U자형 단면이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의 제5 구성에 관한 로커 암은, 센터피벗타입에 적용한 것이며,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이 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요동지점부를 가지고, 일단에 상기 캠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타단에 밸브작용부재가 출입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정부가 형성된다. 양쪽 또는 한쪽의 상기 대향 측벽에서의 최소한 상기 요동지점부의 부근을, 상기 판재의 일부가 접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대향 측벽에서의 요동지점부의 부근을 오버랩 구조로 하였으므로, 강도가 요구되는 요동지점부의 부근에서의 강도를, 판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강도상의 요구가 비교적 낮은 연결판벽의 부분이 불필요하게 두껍게 되지 않고, 암 본체의 경량화, 재료의 절감을 도모하면서, 가공공정수가 적고, 저가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요동지점부 주변의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다. 또, 오버랩 구조로 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강도 향상을 위한 가공도 간단하다.
대향 측벽의 요동지점부의 부근을 오버랩 구조로 하는 경우, 대향 측벽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측부 오버랩편을 형성하고, 이 측부 오버랩편을 접어 겹침으로써 상기 대향 측벽을 상기 오버랩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측부 오버랩편을 형성하여 접어 겹치도록 하면, 보다 간단한 가공으로 오버랩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오버랩 구조의 대향 측벽은, 연결판벽에 계속 상기 요동지점부의 부근 부분을 구성하는 제1 측벽구성판부와, 이 제1 측벽구성판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1 측벽구성판부에 접혀 겹쳐지고 선단에 상기 롤러지지공을 가지는 제2 측벽구성판부로 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경우도 간단한 가공으로 오버랩 구 조로 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의 경우, 제2 측벽구성판부에 롤러가 장착되기 때문에, 오버랩 구조하는 대향 측벽을 한쪽만이라고 하면, 조정부의 중심과 롤러지지부의 중심이 요동축심방향으로 어긋난 오프셋 구조로 할 수 있다.
제1 측벽구성판부와 제2 측벽구성판부와는 조밀히 겹치지 않고, 요동축심방향으로 멀어져도 즉 분리되어도 된다. 그 경우, 멀어지는 거리의 설정에 따라 오프셋 구조로 하는 경우의 오프셋량을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제6 구성의 로커 암은, 엔드피벗타입에 적용한 것이며,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이 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상기 캠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일단에 상기 밸브에 작용하는 밸브작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밸브작용부재가 출입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암 본체의 양쪽 또는 한쪽의 상기 대향 측벽의 최소한 일부는, 상기 판재의 일부가 접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한다. 상기 대향 측벽의 오버랩 구조로 하는 개소는, 강도 상의 요구가 강한 개소, 예를 들면 롤러의 장착공의 형성개소나, 밸브작용부와 대응하는 길이 범위의 대향 측벽부분으로 한다.
이 구성의 경우도, 대향 측벽에서의 강도의 요구되는 개소의 강도가, 판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강도상의 요구가 비교적 낮은 연결판벽의 부분이 불필요하게 두껍게 되지 않고, 암 본체의 경량화, 재료의 절감을 도모하면서,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다. 또, 암 본체의 대향 측벽의 일부가 접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하였으므로,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저가로 제조 할 수 있고, 또한 요동지점부 주변의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가공으로, 조정부의 장착공 주변의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고, 또한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비용을 낮출 수 있고, 길이 방향의 컴팩트화도 가능한 로커 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 본체의 폭을 변경시키는 일 없이, 조정부의 폭 치수만을 변경시켜 오프셋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대향 측벽의 요동지점부의 주변의 강도확보를 간단한 가공으로 행할 수 있고, 오프셋 구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엔드피벗타입의 로커 암에 있어서, 대향 측벽의 강도확보가 도모되어,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의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보다 명료히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이용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만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품번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구성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제1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와 함께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로커 암(1)은 엔진에 장비되어 일단(1a)에서 캠(2)에 의해 요동되어 타단(1b)에서 실린더헤드의 밸브(3)의 개폐를 행하는 센터피벗타입의 것이다. 이 로커 암(1)은, 한쌍의 평행한 대향 측벽(5) 과 이들 대향 측벽(5)의 상측 에지를 잇는 연결판벽(6)(도 3)으로 이루어지는 역 U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된 암 본체(4)를 가진다. 상기 판재는 강판 등의 판금이다. 암 본체(4)의 측면형상은, 직선형이라도, く자형의 굴곡형상이라도 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く자형의 굴곡형상으로 되어 있다. 양측의 대향 측벽(5)은, 타단(1b)의 부분을 제외하고, 서로 대칭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판벽(6)은 일단(1a)의 부근으로부터 타단(1b)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양 대향 측벽(5)은,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요동지점부로 되는 요동지점공(7)을 가지고 있고, 이 요동지점공(7)에 부싱(bushing)(8)을 통하여 요동지점축(9)이 끼워맞추어진다. 로커 암(1)은, 이 요동지점축(9)의 주위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부싱(8)은, 요동지점공(7)에 예를 들면 압입 상태로 장착된다. 양 대향 측벽(5)의 상기 일단(1a)에는, 캠(2)(도 1)과의 걸어맞춤용 롤러(10)의 지지축(10a)을 장착하는 롤러지지공(11)을 가지고, 이들 롤러지지공(11)에 양단이 끼워맞추어진 지지축(10a)에, 롤러(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지지축(10a)을 장착한 양 대향 측벽(5)의 일단(1a)에 의해, 롤러지지부(17)가 구성된다.
롤러(10)는, 예를 들면 도 2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롤러(10A)와 외측롤러(10B)와의 2중 구조로 되고, 내측롤러(10A)의 내부직경면과 지지축(10a)과의 접촉면, 및 내측롤러(10A)의 외경면과 외측롤러(10B)의 내부직경면과의 미끄럼 접촉면이, 각각 미끄럼 접촉하는 베어링면으로 된다. 롤러(10)는, 이밖에, 도 2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링 베어링의 외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된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롤러(10)의 내부직경면과 지지축(10a) 사이에 롤러로 이루어지는 전동체(10b)를 개재시킨 롤러 베어링으로 하고 있다. 롤러(10)에 대해, 도 2 (A)는 2중 구조, 도 2 (B)는 롤링 베어링이지만, 미끄럼 접촉의 경우, 도 2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싱글롤러타입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판벽(6)의 타단(1b)은, 이 타단(1b)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선단오버랩편(12)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13)가 된다. 이 오버랩부(13)는, 밸브작용부재(14)가 출입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15)이 관통하여 형성된 조정부(16)로 되어 있다. 밸브작용부재(14)는, 수나사부(14a)를 가지고 있으며, 조정부(16)의 장착공(15)은, 수나사부(14a)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오버랩편(12)은, 연결판벽(6)의 타단에서의 일측 에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측 에지를 벤딩 기단(12a)로 하여 절곡되어 있다. 선단오버랩편(12)의 선단은, 벤딩 기단(12a)과 반대측의 대향 측벽(5)의 내측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암 본체(4)의 재질예를 나타내면, 표피 경화강(case hardened steel)(예를 들면 SCM415) 등의 강재로서, 침탄 경화 후에 템퍼링한 것으로 된다. 유효경화층 깊이는, 예를 들면 0.4∼1.5mm이며, 바람직하게는 0.9∼1.5mm 이다. 또, 상기 재질예나 유효경화층 깊이의 수치한정은 이하에 설명하는 제2 내지 제6 구성의 발명에 대응하는 각 실시예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구성의 로커 암(1)에 의하면, 조정부(16)는 연결판벽(6)에 선단오버랩편(12)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13)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부(16)에 관통하 여 형성되는 장착공(15)의 깊이를 확보할 수 있고, 조정부(16)의 장착공(15) 주변의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선단오버랩편(12)으로 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접어 겹치는 것만으로 되므로, 보강을 위한 가공이 용이하다. 또, 이 오버랩 구조의 조정부(16)는, 선단오버랩편(12)을 연결판벽(6)의 측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벤딩 에지부근의 변질부를 피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여유치수는, 암 본체(4)의 폭방향에서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해, 접어 겹치는 것 때문에 암 본체(4)의 전길이가 길어지는 일이 없다. 암 본체(4)의 폭방향에 관해서는, 캠(2)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10)의 폭 치수의 확보 등 때문에, 장착공(15)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여유가 있어, 암 본체(4)의 폭을 특히 넓게 하지 않아도 된다.
장착공(15)은, 연결판벽(6)의 폭방향의 중심에 배치할 수도 있으며, 폭중심에 대하여 치우치게 해도 된다. 이 치우침에 의해, 조정부(16)의 중심과, 암 본체(4)의 롤러지지부(17)의 중심을, 로커 암(1)의 요동중심축의 방향으로 오프셋시킬 수 있다. 이 오프셋 구조로 하는 경우에, 장착공(15)의 주위에 종래의 원통형 팽출부(56)(도 30 참조) 등의 부속부분이 없기 때문에, 오프셋량의 확보가 용이하다. 또, 이 로커 암(1)은, 1매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한 것이기 때문에,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저코스트로 할 수 있다.
조정부(16)의 선단오버랩편(12)의 연결판벽(6)과의 오버랩면은, 용접 등으로 서로 접합할 수도 있다. 이 접합에 의해, 조정부(16)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선단오버랩편(12)은,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12b)을, 대향 측벽(5)에 형성된 맞물림용 개구(19)에 걸어맞추어도 된다. 걸어맞춤용 개구(19)는, 대향 측벽(5)의 타단(1b)에서의 하측 에지에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단오버랩편(12)을 끼워넣는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도, 조정부(16)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끼워넣는 구조와 상기 용접 등에 의한 접합은, 병용할 수도 있다.
또,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오버랩편(12)을 복수매 형성하여 서로 겹쳐, 오버랩부(13)를 3중의 오버랩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선단오버랩편(12)은, 연결판벽(6)의 양측 에지로부터 각각 일체로 연장되는 것으로 하여, 교대로 접혀 겹쳐져 있다.
이와 같이, 오버랩부(13)를 3중으로 하면, 조정부(16)의 두께가 한층 두껍게 되어, 장착공(15)을 보다 깊게 할 수 있고, 조정부(16)의 강도를 보다 강화할 수 있다. 선단오버랩편(12)은, 예를 들면 또 연결판벽(6)의 타단(1b)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이것을 접혀 겹쳐서 오버랩부(13)를 4중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버랩부(13)를 3중 이상으로 한 경우, 오버랩부(13)를 구성하는 각 층의 판부분을 오버랩면에서 용접 등으로 접합할 수도 있다.
오버랩부(13)를 3중으로 하는 경우, 도 4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의 선단오버랩편(12)의 선단(12b)을, 대향 측벽(5)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개구(19A)에 끼워넣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걸어맞춤용 개구(19A)는 구멍으로 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도 5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랩부(13)를 연결판벽(6)으로부터 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하고, 이 오버 랩부(13)의 연결판벽 폭방향의 폭 W를 연결판벽(6)보다도 넓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장착공(15)은 오버랩부(13)의 돌출측으로 치우치게한다.
이와 같이, 조정부(16)로 되는 오버랩부(13)의 폭 W를 넓히는 것에 의해, 암 본체(4)의 일반부분의 폭 치수를 변경하지 않고, 조정부(16)와 롤러지지부(17)와의 오프셋량을 제한없이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로커 암(1)의 대폭적인 중량증가를 수반하지 않고서 오프셋량을 크게 얻을 수 있다.
또, 도 1, 도 2에 나타낸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로커 암(1)의 연결판벽(6)은, 롤러(10)가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성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5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본체(4)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근으로부터 조정부(16)까지의 사이 만에 연결판벽(6)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판벽(6)의 형성범위를 적게 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단, 연결판벽(6)의 성형범위를 적게 하면, 강도가 저하되므로, 필요한 강도가 확보되는 범위에서 적게 한다.
도 6 (A)∼도 6 (D), 및 도 7 (A)∼도 7 (D)에 나타낸 각 예는, 모두,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대향 측벽(5)을 오버랩 구조로 한 것이다.
도 6 (A)의 예는, 대향 측벽(5)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측부 오버랩편(21)을 형성하고, 이 측부 오버랩편(21)을 대향 측벽(5)에 접어 겹침으로써, 대향 측벽(5)을 상기 오버랩 구조로 한 예이다. 측부 오버랩편(21)은, 대향 측벽(5)에서의 요동지점공(7)의 부근의 범위에 겹치는 넓이로 하고, 대향 측벽(5)으로부터 하 방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외면측으로 되접어 꺽여있다. 또, 양측의 대향 측벽(5)에 관하여, 측부 오버랩편(21)에 의한 오버랩 구조로 하고 있다.
한편, 도 6 (B)의 예는, 도 6 (A)의 예에 있어서, 측부 오버랩편(21)을 대향 측벽(5)의 외면측으로 되접어 꺽은 구성 대신에, 내면측으로 되접어 꺽은 것이다.
도 6 (C), 도 6 (D)의 각 예는, 각각 도 6 (A), 도 6 (B)의 각 예에 있어서, 양측의 대향 측벽(5)을 오버랩 구조로 한 구성한 대신, 편측의 대향 측벽(5) 만을 오버랩 구조로 한 예이다.
도 7 (A)의 예는, 도 5 (A)의 예의 것과 같이 조정부(16)의 오버랩부(13)를 연결판벽(6)으로부터 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하고, 오버랩부(13)의 연결판벽 폭방향의 폭을 연결판벽(6)보다도 넓게 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6 (A)의 예와 같이 측부 오버랩편(21)을 형성하여 대향 측벽(5)을 2중 구조로 한 예이다.
도 7 (B)의 예는, 도 5 (B)의 예의 것과 같이, 연결판벽(6)을 암 본체(4)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근으로부터 조정부(16)까지의 사이만으로 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6 (A)의 예와 같이 측부 오버랩편(21)을 형성하여 대향 측벽(5)을 2중 구조로 한 예이다.
도 7 (C)의 예는, 도 7 (B)의 예와 같이, 연결판벽(6)을 암 본체(4)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근에서 조정부(16)까지의 사이만으로 한 실시예에 있어서, 오버랩 구조의 대향 측벽(5)을, 연결판벽(6)에 계속 요동지점공(7)의 부근 부분을 구성하는 제1 측벽구성판부(5A)와, 제2 측벽구성판부(5B)로 이루어지도록 한 예이다. 제2 측벽구성판부(5B)는, 제1 측벽구성판부(5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1 측벽구성판 부(5A)에 접혀 겹쳐지고, 선단에 롤러지지공(11)을 가진다.
도 7 (D)의 예는, 도 7 (C)의 예에 있어서, 제1 측벽구성판부(5A)와 제2 측벽구성판부(5B)를 요동축심방향으로 멀어짐으로써 즉 분리됨으로써, 조정부(16)의 중심과 롤러지지부(17)의 중심이 요동축심방향으로 어긋난 오프셋 구조로 한 예이다.
도 6 (A)∼ 도 6 (D), 도 7 (A)∼ 도 7 (D)에 나타낸 어느 구성의 경우도 대향 측벽(5)을 오버랩 구조로 했기 때문에, 대향 측벽(5)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구성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로커 암(1A)은 엔드피벗타입의 것이며, 내연 기관에 장비되어, 캠(2)에 의해 요동 구동되어 실린더헤드의 밸브(3)를 동작시킨다. 이 로커 암(1A)에서도, 암 본체(4A)는, 한쌍의 대향 측벽(5)과 이들 대향 측벽(5)의 상측 에지를 잇는 연결판벽(6)으로 이루어지는 역 U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되어 있다. 상기 판재는 강판 등의 판금이며,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와 동일 재질 및 열처리를 실시한 것으로 된다. 암 본체(4A)의 측면형상은, 직선형이라도, く자형의 굴곡형상이라도 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양측의 대향 측벽(5)은, 타단(1Ab)의 부분을 제외하고, 서로 대칭형상으로 되어 있다.
암 본체(4A)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상기 캠(2)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10)가 장착되고, 일단(1Aa)에 밸브(3)에 작용하는 밸브작용부(34)가 형성되고, 타단(1Ab)이 피벗부품(30)이 장착되는 조정부(16A)로 되어 있다. 밸브작용부(34)는, 연결판벽(6)의 일부으로 이루어지고, 암 본체(4A)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 밸브(3) 측으로 볼록부로되는 만곡판형으로 되어 있다. 암 본체(4A)의 연결판벽(6)은, 길이 방향의 대략 전길이 중, 중간부분을 제외한 남은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분은, 롤러(10)의 일부가 돌출되는 창(32)에 형성되어 있다. 이 창(32)보다도 일단(1Aa) 측 부분이, 상기 밸브작용부(34)로 된다. 롤러(10)는,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에서의 도 2 (A)에 나타낸 바와 마찬가지로, 내측롤러(10A)와 외측롤러(10B)와의 2중 구조로 되고, 내측롤러(10A)의 내부직경면과 지지축(10a)과의 접촉면, 및 내측롤러(10A)의 외경면과 외측롤러(10A)의 내부직경면과의 슬라이드 접촉면이, 각각 미끄럼 접촉하는 베어링면으로 된다. 롤러(10)는, 이밖에, 도 2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링 베어링의 외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된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롤러(10)의 내부직경면과 지지축(10a) 간에 롤링의 전동체(10b)를 개재시킨 롤러 베어링으로 하고 있다. 또, 롤러(10)는 싱글롤러타입이라도 된다. .
도 8, 도 9에 있어서, 조정부(16A)는, 암 본체(4A)의 타단(1Ab) 에서의 연결판벽(6)의 부분을, 이 연결판벽(6)의 측 에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선단오버랩편(12A)을 접어 겹친 오버랩부(13A)로 하고, 이 오버랩부(13A)에, 피벗부품(30)이 출입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15A)을 관통하여 형성한 것이다. 선단오버랩편(12A)의 선단은, 벤딩 기단과 반대측의 대향 측벽(5)의 내측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다. 장착공(15A)은 나사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벗부품(30)은, 수나사 부(31)와 그 선단에 형성된 구형(求刑)의 피벗부(30a)를 가지고, 수나사부(31)로 조정부(16A)의 나사공으로 이루어지는 장착공(15A)에 나사 결합한다. 피벗부품(30)은, 피벗부(30a)에서 피벗수용부재(33)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피벗부(30a)의 요동중심, 즉 구심(球心)이, 암 본체(4A)의 요동중심 O로 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기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구성의 경우, 조정부(16A)에 장착되는 부재가 피벗부품(30)인 것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상위하지만, 다음과 같이 제1 실시예과 동일한 각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로커 암(1A)에 의하면, 조정부(16A)가 연결판벽(6)에 선단오버랩편(12A)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13A)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부(16A)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착공(15A)의 깊이를 확보할 수 있고, 조정부(16A)의 장착공(15A) 주변의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선단오버랩편(12A)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형성하여 접어 겹치는 것만으로 되므로, 보강을 위한 가공이 용이하다. 또, 이 오버랩 구조의 조정부(16A)는, 선단오버랩편(12A)을 연결판벽(6)의 측에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벤딩 에지부근의 변질부를 피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여유치수는, 암 본체(4A)의 폭방향에서 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접어 겹치는 것 때문에 암 본체(4A)의 전길이가 길어지는 일이 없다. 암 본체(4A)의 폭방향에 관해서는, 캠(2)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10)의 폭 치수의 확보 등 때문에, 장착공(15A)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여유가 있어, 암 본체(4A)의 폭을 특별히 넓히지 않아도 된다. 오버랩부(13A)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여러 가지의 변형예(도 4 (A)∼도 4 (C), 도 5 (A), 도 5 (B))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구성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제3 실시예)를 도 10 내지 도 12 (A)∼도 12 (C)와 함께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로커 암(1B)은 엔진에 장비되어 일단(1Ba)에서 캠(2)에 의해 요동되어 타단(1Bb)에서 실린더헤드의 밸브(3)의 개폐를 행하는 센터피벗타입의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로커 암(1B)은, 한쌍의 평행한 대향 측벽(5)과 이들 대향 측벽(5)의 상측 에지를 잇는 연결판벽(6)으로 되는 역 U자형의 단면형상으로,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된 암 본체(4B)를 가진다. 상기 판재는 강판 등의 판금이다. 암 본체(4B)의 측면형상은, 직선형이라도, く자형의 굴곡형상이라도 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양측의 대향 측벽(5)은, 서로 대칭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판벽(6)은 길이 방향의 중앙부근으로부터 타단(1Bb)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연결판벽(6)의 암 본체길이 방향의 형성범위는, 롤러(10)가 간섭하지 않고, 타단(1Bb)에 계속되는 범위에서 임의로 성형할 수 있다.
암 본체(4B)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요동지점부로 되는 요동지점공(7)을 가지고, 일단(1Ba)에 상기 캠(2)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10)가 장착되고, 타단(1Bb)에 밸브작용부재(14)가 수나사부(14a)에 의해 장착되는 암나사부(15B)를 가지는 조정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지점공(7)은 양측의 대향 측벽(5)에 형성되어 있다. 이 요동지점공(7)에 부싱(8)을 통하여 요동지점축(9)이 끼워맞추어진다. 로커 암(1B)은, 이 요동지점축(9)의 주위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부싱(8)은, 요동지점공(7)에 예를 들면 압입 상태로 장착된다. 양 대향 측벽(5)의 상기 일단(1Ba)에는, 캠(2)(도 10)과의 걸어맞춤용 롤러(10)의 지지축(10a)이 장착 되는 롤러지지공(11)을 가지고, 이들 롤러지지공(11)에 양단이 끼워맞추어진 지지축(10a)에, 롤러(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지지축(10a)이 장착된 양 대향 측벽(5)의 일단(1Ba)에 의해, 롤러지지부(17)가 구성된다.
또, 상기 롤러(10)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도 2 (A)∼도 2 (C)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부(16B)는, 연결판벽(6)의 중간부분보다도 폭 W가 좁아져, 대향 측벽(5),(5) 간의 거리 L이 상기 암나사부(15B)의 내부직경보다도 좁아진 단면 역 U자형의 협폭부분(23)으로 한다. 도 12 (A)의 I-I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도 12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부(15B)는, 협폭부분(23)의 연결판벽(6)을 관통한 나사공(15Ba)과, 이 나사공(15Ba)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5)의 대향면에 형성된 부분나사부(15Bb)로 이루어진다. 또, 협폭부분(23)은, 이 실시예에서는 그 폭방향의 중심이 암 본체(4B)의 폭방향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하고 있지만, 협폭부분(23)의 폭방향의 중심을 암 본체(4B)의 폭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해도 된다. 또, 협폭부분(23)은, 거리 L(도 11)가 암나사부(15B)의 구멍직경보다도 좁아져 있으면 되고, 협폭부분(23)과 연결판벽(6)의 중간부분의 폭이 동일해도, 또한 연결판벽(6)의 중간부분쪽이 좁은 폭이 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로커 암(1B)에 의하면, 조정부(16B)를 역 U자형 단면의 협폭부분(23)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암 본체(4B)와 동일하게 역 U자형 단면이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다. 밸브작용부재(14)가 장착 되는 암나사부(15B)는, 역 U자형 단면의 조정부(16B)에서의 천장부의 연결판벽(6)에 형성된 나사공(15Ba)과, 이 나사공(15Ba)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5)의 대향면에 형성된 한쌍의 부분나사부(15Bb)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대향 측벽(5)에도 밸브작용부재(14)의 수나사부(14a)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밸브작용부재(14)의 장착용 암나사부(15B)로서의 나사 결합의 강도가 확보된다. 이로 인해, 나사공의 보강을 위해, 예를 들면 오버랩 구조로 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키는 가공을 행하는 것도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오버랩 구조로 하는 경우는, 벤딩 공정의 반복이 필요하여 공정이 증가하지만, 상기와 같이 협폭의 역 U자형으로 하는 경우는, 암 본체(4B)와 동시에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후에 드로잉 스텝을 행하는 경우도 간단한 가공이면 된다. 또, 협폭의 역 U자형으로 하는 경우는, 가공에 무리가 없고, 벤딩부에 크랙 등이 발생할 우려도 없다. 이와 같이, 대향 측벽(5)을 나사 결합에 이용함으로써, 강도 향상과 가공성의 향상의 양쪽이 얻어진다. 또, 이 로커 암(1B)은, 1매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한 것이기 때문에,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염가로 할 수 있다.
또, 조정부(16B)로 되는 협폭부분(23)의 폭방향의 중심을 암 본체(4B) 의 중심에 대하여 치우치게 한 경우는, 조정부(16B)의 중심과 롤러(10)의 지지부의 중심이 요동축심방향으로 어긋난 오프셋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 (A)∼도 14 (D)는, 제3 구성에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도 10으로부터 도 12 (A)∼도 12 (C)와 함께 설명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편측의 대향 측벽(5)을 오버랩 구조로 한 것이다. 이 오버랩 구조의 대향 측벽(5)은, 연결판벽(6)에 이어져 요동지점공(7)의 부근 부분을 구성하는 제1 측벽구성판부(5A)와, 제2 측벽구성판부(5B)로 이루어진다. 제2 측벽구성판부(5B)는, 제1 측벽구성판부(5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1 측벽구성판부(5A)에 접혀 겹쳐지고, 선단에 롤러지지공(11)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의 기타 구성은, 상기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의 경우, 대향 측벽(5)을 오버랩 구조로 했기 때문에, 대향 측벽(5)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한쪽의 대향 측벽(5)에서의 제1 측벽구성판부(5A)의 외측에 겹쳐진 제2 측벽구성판부(5B)에 롤러지지공(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부(16B)의 중심과 롤러지지부(17)의 중심이 요동축심방향으로 어긋난 오프셋 구조로 된다.
또, 대향 측벽(5)에서의 제1 측벽구성판부(5A)와 제2 측벽구성판부(5B)와의 접혀 겹쳐짐은, 반드시 조밀히 겹쳐져 있지 않아도 되고, 서로 간에 간극을 가지는 U자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제1 측벽구성판부(5A)와 제2 측벽구성판부(5B) 사이의 간극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오프셋량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보강의 목적으로는, 양측의 대향 측벽(5)을 함께 오버랩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도 15 (A)∼도 15 (E)는, 제3 구성에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도 13, 도 14 (A)∼도 14 (D)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오버랩 구조로 한 대향 측벽(5)에서의 제2 측벽구성판부(5B)에, 요동지점공(7)과 롤러지지공(11)과의 사이에서, 상하에지에 노치부(41, 42)를 성형한 것이다. 노치부(41),(42)는, 제2 측벽구성판부(5B)의 필요강도가 얻어지는 범위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와 같이 노치부(41, 42)를 형성한 경우, 로커 암(1B)이 보다 경량화된다. 기타 구성, 효과는, 도 13, 도 14 (A)∼도 14 (D)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6으로부터 도 19 (A)∼ 도 19 (C)는, 본 발명의 제4 구성에 대응하는 일실시예(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로커 암(1C)은 엔드피벗타입의 것이며, 내연 기관에 장비되어, 캠(2)에 의해 요동 구동되어 실린더헤드의 밸브(3)를 동작시킨다. 이 로커 암(1C)에서도, 암 본체(4C)는, 한쌍의 대향 측벽(5)과 이들 대향 측벽(5)의 상측 에지를 잇는 연결판벽(6)으로 이루어지는 역 U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되어 있다. 상기 판재는 강판 등의 판금이며,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재질, 및 열처리가 채용된다. 암 본체(4C)의 측면형상은, 직선형이라도, く자형의 굴곡형상이라도 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양측의 대향 측벽(5)은 서로 대칭형상으로 되어 있다.
암 본체(4C)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상기 캠(2)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10)가 장착되고, 일단(1Ca)에 밸브(3)에 작용하는 밸브작용부(34)가 형성되고, 타단(1Cb)에, 피벗부품(30)이 그 수나사부(31)에 의해 장착되는 암나사부(15C)를 가지는 조정부(16C)로 되어 있다. 밸브작용부(34)는, 연결판벽(6)의 일부로 이루어지고, 암 본체(4C)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 밸브(3)측으로 볼록부로 되는 만곡판형으로 되어 있다. 암 본체(4C)의 연결판벽(6)은, 길이 방향의 대략 전길이 중, 중간부분을 제외한 남은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분은, 롤러(10)의 일부가 돌출되는 창(32)에 형성되어 있다. 이 창(32)보다도 일단(1Ca) 측 부분 이, 상기 밸브작용부(34)로 된다. 롤러(10)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19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롤러(10A)와 외측롤러(10B)와의 2중 구조로 되어, 내측롤러(10A)의 내부직경면과 지지축(10a)과의 접촉면, 및 내측롤러(10A)의 외경면과 외측롤러(10B)의 내부직경면과의 슬라이드 접촉면이, 각각 미끄럼 접촉하는 베어링면으로 된다. 또, 롤러(10)는, 이밖에에, 상기도 2 (B)의 예와 같이, 롤링 베어링의 외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되고, 도 2 (C)의 예와 같이 싱글롤러타입이라도 된다.
조정부(16C)는, 도 10으로부터 도 12 (A)∼ 도 12 (C)에 나타낸 제3 실시예와 같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판벽(6)의 중간부분보다도 폭 W가 좁아지고, 대향 측벽(5), (5)사이의 거리 L이 상기 암나사부(15C)의 내부직경보다도 좁아진 단면 역 U자형의 협폭부분(23C)으로 한다. 도 18의 C-C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도 19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부(15C)는, 협폭부분(23C)의 연결판벽(6)을 관통한 나사공(15Ca)과, 이 나사공(15Ca)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5)의 대향면에 형성된 부분나사(15Cb)로 이루어진다. 또 협폭부분(23C)은, 거리 L이 나사공(15Ca)의 구멍직경보다도 좁아져 있으면 되고, 협폭부분(23C)과 연결판벽(6)의 중간부분의 폭이 동일해도 된다.
이 구성의 경우, 조정부(16C)에 장착되는 부재가 피벗부품(30)인 것에 있어서, 제3 실시예와 상위하지만, 다음과 같이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각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로커 암(1C)에 의하면, 조정부(16C)를 역 U자형 단면의 협폭부분(23C)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암 본체(4C)와 동일하 게 역 U자형 단면이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다. 피벗부품(30)을 장착하는 암나사부(15C)는, 역 U자형 단면의 조정부(16C)에서의 천장부의 연결판벽(6)에 형성된 나사부(15Ca)와, 이 나사공(15Ca)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5)의 대향면에 형성된 한쌍의 부분나사부(15Cb)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대향 측벽(5)에도 피벗부품(30)의 수나사부(31)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공(15Ca)의 보강을 위해 오버랩부의 가공이나, 두께를 증가시키는 가공 등을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대향 측벽(5)을 나사 결합에 이용함으로써, 강도 향상과 가공성의 향상과의 양쪽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구성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제5 실시예)를 도 20 내지 도 22 (A)∼ 도 22 (D)와 함께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로커 암(1D)은 엔진에 장비되어 일단(1Da)에서 캠(2)에 의해 요동시켜져 타단(1Db)에서 실린더헤드의 밸브(3)의 개폐를 행하는 센터피벗타입의 것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로커 암(1D)은, 한쌍의 평행한 대향 측벽(5)과 이들 대향 측벽(5)의 상측 에지를 잇는 연결판벽(6)으로 이루어지는 역 U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된 암 본체(4D)를 가진다. 상기 판재는 강판 등의 판금이다. 암 본체(4D)의 측면형상은, 직선형이라도, く자형의 굴곡형상이라도 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연결판벽(6)은 길이 방향의 중앙부근으로부터 타단(1Db)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연결판벽(6)의 암 본체길이 방향의 형성범위는, 롤러(10)가 간섭하지 않고, 타단(1Db)에 계속되는 범위에서 임의로 성형할 수 있다.
암 본체(4D)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요동지점부로 되는 요동지점공(7)을 가지고, 일단(1Da)에 상기 캠(2)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10)가 장착되고, 타단(1Db)에 밸브작용부재(14)가 수나사부(14a)에 의해 장착되는 암나사부(15D)를 가지는 조정부(16D)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지점공(7)은 양측의 대향 측벽(5)에 형성되어 있다. 이 요동지점공(7)에 부싱(8)을 통하여 요동지점축(9)이 끼워맞추어진다. 로커 암(1D)은, 이 요동지점축(9)의 주위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부싱(8)은, 요동지점공(7)에 예를 들면 압입 상태로 장착된다. 양 대향 측벽(5)의 상기 일단(1Da)에는, 캠(2)(도 20)과의 맞물림용 롤러(10)의 지지축(10a)을 장착하는 롤러지지공(11)을 가지고, 이들 롤러지지공(11)에 양단이 결합한 지지축(10a)에, 롤러(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지지축(10a)이 장착된 양 대향 측벽(5)의 일단(1Da)에 의해, 롤러지지부(17)가 구성된다.
암 본체(4D)의 양측의 대향 측벽(5) 중, 편측의 대향 측벽(5)은 상기 판재의 일부가 접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하고 있다. 이 오버랩 구조의 대향 측벽(5)은, 연결판벽(6)에 이어져 요동지점공(7)의 부근 부분을 구성하는 제1 측벽구성판부(5A)와, 제2 측벽구성판부(5B)로 이루어진다. 제2 측벽구성판부(5B)는, 제1 측벽구성판부(5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1 측벽구성판부(5A)에 접혀 겹쳐지고, 선단에 롤러지지공(11)을 가진다. 요동지점공(7)은, 제1 측벽구성판부(5A)와 제2 측벽구성판부(5B)와의 양쪽에 정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동지점축(9)은, 부싱(8)을 통하여, 요동지점공(7)에서의 제2 측벽구성판부(5B)의 부분과도 끼워맞추어진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부(16D)는, 연결판벽(6)의 중간부분보다도 폭 W가 좁아지고, 대향 측벽(5, 5) 사이의 거리 L이 상기 암나사부(15D)의 내부직경보다도 좁아진 단면 역 U자형의 협폭부분(23D)으로 된다. 도 22 (A)의 H-H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도 22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부(15D)는, 협폭부분(23D)의 연결판벽(6)을 관통한 나사공(15Da)과, 이 나사공(15Da)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5)의 대향면에 형성된 부분나사(15Db)로 이루어진다. 또, 협폭부분(23D)은, 이 실시예에서는 그 폭방향의 중심이 암 본체(4D)의 폭방향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협폭부분(23D)의 폭방향의 중심을 암 본체(4D)의 폭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해도 된다. 또, 협폭부분(23D)은, 거리 L(도 21)이 나사공(15Da)의 구멍직경보다도 좁게 되어 있으면 되고, 협폭부분(23D)과 연결판벽(6)의 중간부분의 폭이 동일해도, 또한 연결판벽(6)의 중간부분쪽이 좁은 폭이라도 된다.
또, 롤러(1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의 로커 암(1D)에 의하면, 대향 측벽(5)에서의 요동지점공(7)의 부근을 오버랩 구조로 하였으므로, 강도가 요구되는 요동지점공(7)의 부근에서의 강도를, 판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강도 상의 요구가 비교적 낮은 연결판벽(6)의 부분이 불필요하게 두껍게 되지 않고, 암 본체(4D)의 경량화, 재료의 절감을 도모하면서, 요동지점공(7)의 부근의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다. 오버랩 구조로 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강도 향상을 위한 가공도 간단하다.
또, 한쪽의 대향 측벽(5)에서의 제1 측벽구성판부(5A)의 외측에 겹쳐진 제2 측벽구성판부(5B)에 롤러지지공(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부(16D)의 중심과 롤러지지부(17)의 중심이 요동축심방향으로 어긋난 오프셋 구조가 된다. 또한, 암 본체(4D)의 일반부분의 폭 치수를 변경시키는 일 없이, 조정부(16D)와 롤러지지부(17)와의 오프셋량을 제한없이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로커 암(1D)의 대폭적인 중량증가를 수반하지 않고서 오프셋량을 크게 얻을 수 있다. 또, 대향 측벽(5)에서의 제1 측벽구성판부(5A)와 제2 측벽구성판부(5B)와의 겹쳐짐은, 반드시 조밀히 겹쳐 있지 않아도 되고, 서로 간에 간극을 가지는 U자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측벽구성판부(5A)와 제2 측벽구성판부(5B) 간의 간극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오프셋량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이 로커 암(1D)은 1매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한 것이기 때문에,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염가로 할 수 있다.
이 제5 실시예에서는, 조정부(16D)를, 역 U자형 단면의 협폭부분(23D)에 암나사부(15D)가 형성된 것으로 하고, 이 암나사부(15D)는, 조정부(16D)의 천장부의 연결판벽(6)에 형성된 나사공(15Da)과, 이 나사공(1Da)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5)의 대향면에 형성된 한쌍의 부분나사부(15D)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밸브작용부재(14)의 수나사부(14a)는, 상기 나사공(15Da) 뿐 아니라, 양측의 대향 측벽(5)의 부분나사(15Db)에도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밸브작용부재(14)의 장착용 암나사부(15D)로서의 나사 결합의 강도가 확보된다. 또, 조정부(16D)는, 암 본체(4D)와 동일하게 역 U자형 단면으로서, 이것을 협폭으로 한 협폭부분(23D)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한쪽의 대향 측벽(5)을 오버랩 구조로 한 것과 더불어, 각 부의 보강을 위한 가공을, 1매의 판재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3 (A)∼ 도 23 (E)는, 제5 구성에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도 20으로부터 도 22 (A)∼ 도 22 (D)에 나타낸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오버랩 구조의 대향 측벽(5)에서의 제2 측벽구성판부(5B)에, 요동지점공(7)과 롤러지지공(11) 사이에서, 상하 에지에 노치부(41, 42)를 성형한 것이다. 노치부(41, 42)는, 제2 측벽구성판부(5B)의 필요강도가 얻어지는 범위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노치부(41, 42)를 형성한 경우, 로커 암(1D)이 보다 경량화된다. 기타 구성, 효과는, 상기 제5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4 (A)는, 제5 구성에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도 20 내지 도 22 (A) ∼ 도 22 (D)에 나타낸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암 본체(4D)의 대향 측벽(5) 및 조정부(16D)를 다음의 구성으로 한 것이다. 한쌍의 대향 측벽(5)은, 이 대향 측벽(5)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측부 오버랩편(21)을 형성하고, 이 측부 오버랩편(21)을 접어 겹침으로써 상기 오버랩 구조로 하고 있다. 측부 오버랩편(21)은, 대향 측벽(5)에서의 요동지점공(7)의 부근의 범위에 겹쳐지는 넓이로 하고, 대향 측벽(5)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외면측으로 되접혀 있다. 또, 양측의 대향 측벽(5)에 관하여, 측부 오버랩편(21)에 의한 오버랩 구조로 하고 있다.
조정부(16D)는, 연결판벽(6)의 타단(1Db)을, 이 타단(1Db)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선단오버랩편(12)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13D)로 하고, 이 오버랩부 (13D)에, 밸브작용부재(14)(도 20)가 출입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암나사부(15D)를 관통하여 형성한 것이다. 선단오버랩편(12)은, 연결판벽(6)의 타단에서의 일측 에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측 에지를 벤딩 기단(12a)으로 하여 절곡되어 있다. 선단오버랩편(12)의 선단은, 벤딩 기단(12a)과 반대측의 대향 측벽(5)의 내측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다.
또, 암 본체(4D)의 연결판벽(6)은, 일단(1Da)의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기타 구성은, 제5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구성의 로커 암(1D)의 경우, 요동지점공(7)의 부근에 국부적으로 형성한 측부 오버랩편(21)을 접어 겹침으로써 요동지점공(7)의 부근을 오버랩 구조로 하고 있으며, 롤러지지공(11)은 대향 측벽(5)의 일반부분에 위치하므로, 오버랩 구조로 한 것 자체에 의해서는 오프셋 구조로 되지 않고, 대향 측벽(5)에서의 요동지점공(7)의 부근의 보강이 행해진다.
또, 조정부(16D)는, 연결판벽(6)에 선단오버랩편(12)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13D)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부(16D)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암나사부(15D)의 깊이를 확보할 수 있고, 조정부(16D)의 암나사부(15D)의 주변의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선단오버랩편(12)으로 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접어 겹치는 것만으로 되므로, 보강을 위한 가공이 용이하다.
조정부(16D)에 형성하는 암나사부(15D)는, 연결판벽(6)의 폭방향의 중심에 배치할 수도 있으며, 폭중심으로 대하여 치우치게 해도 된다. 이 치우침에 의해, 조정부(16D)의 중심과, 암 본체(4D)의 롤러지지부(17)의 중심을, 로커 암(1D)의 요동중심축의 방향으로 오프셋시킬 수 있다. 이 오프셋 구조로 하는 경우에, 암나사부(15D)의 주위에 종래의 원통형 팽출부(56)(도 30) 등의 부속부분이 없기 때문에, 오프셋량의 확보가 용이하다. 또, 이 실시예의 로커 암(1D)에서도, 1매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한 것이기 때문에, 경량이며, 가공공정수가 적고, 저코스트로 할 수 있다.
도 24 (B)∼도 24 (D), 및 도 25 (A)∼ 도 25 (D)에 나타낸 각 예는, 각각 도 24 (A)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하여, 각 부를 다음의 구성으로 한 것이다.
도 24 (B)의 예는, 도 24 (A)의 예에 있어서, 측부 오버랩편(21)을 대향 측벽(5)의 외면측으로 되접어 꺽은 구성 대신에, 내면측으로 되접어 꺽은 것이다.
도 24 (C), 도 24 (D)의 각 예는, 각각 도 24 (A), 도 24 (B)의 각 예에 있어서, 양측의 대향 측벽(5)을 오버랩 구조로 한 구성 대신에, 편측의 대향 측벽(5)만을 오버랩 구조로 한 예이다.
도 25 (A)의 예는, 조정부(16D)의 오버랩부(13D)를 연결판벽(6)으로부터 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하여, 오버랩부(13D)의 연결판벽 폭방향의 폭을 연결판벽(6)보다도 넓게 하고, 도 24 (A)의 예와 마찬가지로 측부 오버랩편(21)을 형성하여 대향 측벽(5)을 2중 구조로 한 예이다.
도 25 (B)의 예는, 도 24 (A)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판벽(6)을 암 본체(4D)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근으로부터 조정부(16D) 까지의 사이만으로 한 예이 다.
도 25 (C)의 예는, 도 20 내지 도 23에 나타낸 제5 구성에 대응하는 실시예, 즉 한쪽의 대향 측벽(5)을 제1 측벽구성판부(5A)와, 제2 측벽구성판부(5B)로 되는 것으로 한 예에 있어서, 조정부(16D)를, 도 24 (A)의 예와 동일 구조의 오버랩부(13)로 구성한 것이다.
도 25 (D)의 예는, 도 25 (C)의 예에 있어서, 제1 측벽구성판부(5A)와 제2 측벽구성판부(5B)를 요동축심방향으로 멀리 즉 분리함으로써, 조정부(16D)의 중심과 롤러지지부(17)의 중심이 요동축심방향으로 어긋난 오프셋 구조로 한 예이다.
또 도 26 내지 도 29 (A)∼ 도 29 (C)는, 본 발명의 제6 구성에 대응하는 일실시예(제6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로커 암(1E)은 엔드피벗타입의 것이며, 내연 기관에 장비되어, 캠(2)에 의해 요동 구동되어 실린더헤드의 밸브(3)를 동작시킨다. 이 로커 암(1E)에서도, 암 본체(4E)는, 한쌍의 대향 측벽(5)과 이들 대향 측벽(5)의 상측 에지를 잇는 연결판벽(6)으로 되는 역 U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되어 있다. 상기 판재는 강판 등의 판금이며,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재질이 사용되고, 또한 동일 열처리가 실시된다. 암 본체(4E)의 측면형상은, 직선형이라도, く자형의 굴곡형상이라도 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양측의 대향 측벽(5)은 서로 대칭형상으로 되어 있다.
암 본체(4E)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상기 캠(2)에 회전가능하게 접하는 롤러(10)가 장착되고, 일단(1Ea)에 밸브(3)에 작용하는 밸브작용부(34)가 형성되고, 타단(1Eb)에, 피벗부품(30)이 그 수나사부(31)로 장착되는 암나사부(15E)를 가지는 조정부(16E)로 되어 있다. 암 본체(4E)는, 양측의 대향 측벽(5)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판재의 일부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하고 있다. 이 오버랩 구조는, 대향 측벽(5)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측부 오버랩편(21A)을 형성하고, 이 측부 오버랩편(21A)를 접어 겹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대향 측벽(5)에서의 오버랩 구조로 하는 범위는, 이 실시예에서는, 롤러지지공(11A)의 주변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오버랩 구조는, 한쪽의 대향 측벽(5)에 대해서만 채용할 수도 있다.
밸브작용부(34)는, 연결판벽(6)의 일부로 이루어지고, 암 본체(4E)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 밸브(3)측으로 볼록부로 되는 만곡판형으로 되어 있다. 암 본체(4E)의 연결판벽(6)은, 길이 방향의 대략 전길이 중, 중간부분을 제외한 남은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분은, 롤러(10)의 일부가 돌출되는 창(32)에 형성되어 있다. 이 창(32)보다도 일단(1Ea) 측 부분이, 상기 밸브작용부(34)로 된다. 롤러(10)는,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29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롤러(10A)와 외측롤러(10B)와의 2중 구조로 되고, 내측롤러(10A)의 내부직경면과 지지축(10a)과의 접촉면, 및 내측롤러(10A)의 외경면과 외측롤러(10B)의 내부직경면과의 슬라이드 접촉면이, 각각 미끄럼 접촉하는 베어링면으로 된다. 롤러(10)는, 이 외에, 도 2 (B)의 예와 마찬가지로, 롤러 베어링의 외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된다. 또, 싱글롤러타입이라도 된다.
조정부(16E)는, 도 20 내지 도 22 (A)∼ 도 22 (D)에 나타낸 제5 실시예와 같이, 연결판벽(6)의 중간부분보다도 폭 W가 좁아지고, 대향 측벽(5),(5) 간의 거 리 L이 상기 암나사부(15E)의 내부직경보다도 좁아진 단면 역 U자형의 협폭부분(23E)으로 한다. 도 28의 C-C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도 29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부(15E)는, 협폭부분(23E)의 연결판벽(6)을 관통한 나사공(15Ea)과, 이 나사공(15Ea)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5)의 대향면에 형성된 부분나사(15Eb)로 이루어진다. 또 협폭부분(23E)은, 거리 L이 암나사부(15E)의 내부직경보다도 좁게 되어 있으면 되며, 협폭부분(23E)과 연결판벽(6)의 중간부분의 폭이 동일해도 된다.
이 구성의 경우, 조정부(16E)에 장착되는 부재가 피벗부품(30)인 것에 있어서, 제5 실시예와 상위하지만, 다음과 같이 제5 실시예와 동일한 각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로커 암(1E)에 의하면, 대향 측벽(5)에서의 강도가 요구되는 개소인 롤러지지공(11A)의 주변의 강도를, 판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강도 상의 요구가 비교적 낮은 연결판벽(6)의 부분이 불필요하게 두껍게 되지 않고, 암 본체(4E)의 경량화, 재료의 절감을 도모하면서, 강도확보를 행할 수 있다. 또, 오버랩 구조로 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강도 향상을 위한 가공도 간단하다. 조정부(16E)에 관해서는, 역 U자형 단면의 협폭부분(23E)으로 구성하고, 암나사부(15E)를 연결판벽(6)의 나사공(15Ea)과 대향 측벽(5)의 부분나사부(15Eb)로 구성했기 때문에, 나사 결합부분의 강도확보를 간단한 가공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는, 모두 암 본체를 역 U자형으로 했지만, 암 본체는, U자형의 단면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당업자이면, 본원 명세서를 보아,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할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첨부의 청구의 범위로부터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으로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성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커 암을 엔진의 주변기구와 함께 나타낸 파단정면도이다.
도 2 (A)∼도 2 (C)는, 각각 동 로커 암에서의 롤러지지부의 예 및 그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동 로커 암 및 그 부속부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A)∼도 4 (C)는, 각각 제1 구성에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커 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A), 도 5 (B)는, 각각 제1 구성에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커 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A)∼도 6 (D)는, 각각 제1 구성에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로커 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A)∼도 7 (D)는, 각각 제1 구성에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커 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구성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커 암을 나타내는 파단정면도이다.
도 9 (A)는 동 로커 암의 평면도, 도 9 (B)는 그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구성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커 암을 엔진의 주변기구와 함께 나타내는 파단정면도이다.
도 11은, 동 로커 암 및 그 부속부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A)는 동 실시예에 의한 로커 암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 (B)는 그 정면도, 도 12 (C)는 그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구성에서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암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4 (A)는 동 실시예에서의 암 본체의 평면도, 도 14 (B)는 이 파단측면도, 도 14 (C)는 도 14 (A)의 II-II선 단면도, 도 14 (D)는 도 14 (A)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15 (A)는, 제3 구성에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암 본체의 정면도, 도 15 (B)는 그 우측면도, 도 15 (C)는 그 평면도, 도 15 (D)는 그 좌측단면도, 도 15 (E)는 그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구성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커 암을 나타내는 파단정면도이다.
도 17은, 이 로커 암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이 로커 암의 저면도이다.
도 19 (A)는 도 18의 A-A선 단면도, 도 19 (B)는 도 18의 B-B선 단면도, 도 19 (C)는 도 18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구성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에 의한 로커 암을 엔진의 주변기구와 함께 나타내는 파단정면도이다.
도 21은, 동 로커 암 및 그 부속부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 (A)는, 동 실시예에 의한 로커 암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2 (B)는 정면도, 도 22 (C)는 도 22 (A)의 II-II선 단면도, 도 22 (D)는 도 22 (A)의 III-III 선 단면도이다.
도 23 (A)는, 제5 구성에서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암 본체의 정면도, 도 23 (B)는 그 우측면도, 도 23 (C)는 그 평면도, 도 23 (D)는 그 좌측단면도, 도 23 (E)는 그 배면도이다.
도 24 (A)∼도 24 (D)는, 각각 제5 구성에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로커 암의 암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 (A)∼도 25 (D)는, 각각 제5 구성에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로커 암의 암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구성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에 관한 로커 암을 나타내는 파단정면도이다.
도 27은, 동 로커 암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동 로커 암의 저면도이다.
도 29 (A)는 도 28의 A-A선 단면도, 도 29 (B)는 도 28의 B-B선 단면도, 도 29 (C)는 도 28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30은, 종래예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다른 종래예의 파단정면도이다.
도 32는, 또 다른 종래예의 사시도이다.

Claims (22)

  1. 캠에 의해 요동 구동되어 내연 기관의 밸브를 동작시키는 로커 암(rocker arm)으로서,
    한쌍의 대향 측벽과 이들 대향 측벽을 잇는 연결판벽으로 이루어지고,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된 암 본체를 가지며, 이 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요동 지점부를 가지고, 일단에 상기 캠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타단에서의 상기 연결판벽의 부분은 상기 연결판벽의 측 에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선단 오버랩편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가 되고, 이 오버랩부는 밸브 작용 부재가 출입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조정부로 되어 있는 로커 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은 상기 연결판벽의 폭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치우쳐 있는 로커 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부의 상기 연결판벽 폭방향의 폭은 상기 연결판벽보다도 넓게 되어 있는 로커 암.
  4. 캠에 의해 요동 구동되어 내연 기관의 밸브를 동작시키는 로커 암으로서,
    한쌍의 대향 측벽과 이들 대향 측벽을 잇는 연결판벽으로 이루어지고,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된 암 본체를 가지며, 이 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상기 캠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일단에 상기 밸브에 작용하는 밸브 작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서의 상기 연결판벽의 부분은 상기 연결판벽의 측 에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선단 오버랩편이 접혀 겹쳐진 오버랩부가 되고, 이 오버랩부는 피벗 부품이 출입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조정부로 되어 있는 로커 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부는 상기 선단 오버랩편을 복수매 형성하여 서로 겹쳐 3중 이상의 오버랩 구조로 되어 있는 로커 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부는 상기 선단 오버랩편을 복수매 형성하여 서로 겹쳐 3중 이상의 오버랩 구조로 되어 있는 로커 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오버랩편의 상기 연결판벽과의 오버랩면은 서로 접합되어 있는 로커 암.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오버랩편의 상기 연결판벽과의 오버랩면은 서로 접합되어 있는 로커 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오버랩편의 선단은 상기 대향 측벽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개구에 끼워넣어져 있는 로커 암.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오버랩편의 선단은 상기 대향 측벽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개구에 끼워넣어져 있는 로커 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은 나사공인 로커 암.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은 나사공인 로커 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본체에서의 양쪽 또는 한쪽의 대향 측벽의 최소한 일부는 상기 판재의 일부가 접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되어 있는 로커 암.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 본체에서의 양쪽 또는 한쪽의 대향 측벽의 최소한 일부는 상기 판재의 일부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되어 있는 로커 암.
  15. 캠에 의해 요동 구동되어 내연 기관의 밸브를 동작시키는 로커 암으로서,
    한쌍의 대향 측벽과 이들 대향 측벽을 잇는 연결판벽으로 이루어지고,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된 암 본체를 가지며, 이 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요동 지점부를 가지고, 일단에 상기 캠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타단에 밸브 작용 부재가 수나사부에 의해 장착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연결판벽을 관통한 나사공과 이 나사공에 이어져 양 대향 측벽의 대향면에 형성된 부분나사부로 이루어지는 로커 암.
  16. 제15항에 있어서,
    양쪽 또는 한쪽의 상기 대향 측벽에서의 최소한 상기 요동 지점부의 부근은 상기 판재의 일부가 접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되어 있는 로커 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구조의 대향 측벽은 연결판벽에 이어져 상기 요동 지점부의 부근 부분을 구성하는 제1 측벽 구성 판부와, 이 제1 측벽 구성 판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1 측벽 구성 판부에 접혀 겹쳐지고, 선단에 상기 롤러의 지지용 구멍을 가지는 제2 측벽 구성 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버랩 구조의 대향 측벽은 한쪽의 대향 측벽만으로 되어 있는 로커 암.
  18. 캠에 의해 요동 구동되어 내연 기관의 밸브를 동작시키는 로커 암으로서,
    한쌍의 대향 측벽과 이들 대향 측벽을 잇는 연결판벽으로 이루어지고,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된 암 본체를 가지며, 이 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요동 지점부를 가지고, 일단에 상기 캠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타단에 밸브 작용 부재가 출입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정부가 형성되고, 양쪽 또는 한쪽의 상기 대향 측벽에서의 최소한 상기 요동 지점부의 부근은 상기 판재의 일부가 접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되어 있는 로커 암.
  19. 제18에 있어서,
    상기 대향 측벽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측부 오버랩편을 형성하고, 이 측부 오버랩편을 접어 겹침으로써 상기 대향 측벽을 상기 오버랩 구조로 한 로커 암.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구조의 대향 측벽은 연결판벽에 이어져 상기 요동 지점부의 부 근 부분을 구성하는 제1 측벽 구성 판부와, 이 제1 측벽 구성 판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1 측벽 구성 판부에 접혀 겹쳐지고, 선단에 상기 롤러 지지공을 가지는 제2 측벽 구성 판부로 이루어지는 로커 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구성 판부와 제2 측벽 구성 판부는 암 본체의 요동 축심의 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는 로커 암.
  22. 캠에 의해 요동 구동되어 내연 기관의 밸브를 동작시키는 로커 암으로서,
    한쌍의 대향 측벽과 이들 대향 측벽을 잇는 연결판벽으로 이루어지고, 1매의 판재로 프레스 가공된 암 본체를 가지며, 이 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상기 캠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고, 일단에 상기 밸브에 작용하는 밸브 작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밸브 작용 부재가 출입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정부가 형성되고, 양쪽 또는 한쪽의 상기 대향 측벽의 최소한 일부는 상기 판재의 일부가 겹쳐지는 오버랩 구조로 된 로커 암.
KR1020080022456A 2001-11-22 2008-03-11 로커 암 KR100855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57324 2001-11-22
JPJP-P-2001-00357324 2001-11-22
JPJP-P-2002-00064300 2002-03-08
JP2002064300 2002-03-08
JPJP-P-2002-00193650 2002-07-02
JP2002193651A JP2003328704A (ja) 2001-11-22 2002-07-02 ロッカーアーム
JP2002193650A JP3836407B2 (ja) 2001-11-22 2002-07-02 ロッカーアーム
JP2002193649A JP2003222005A (ja) 2001-11-22 2002-07-02 ロッカーアーム
JPJP-P-2002-00193649 2002-07-02
JPJP-P-2002-00193651 2002-07-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726A Division KR100831716B1 (ko) 2001-11-22 2002-11-21 로커 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756A Division KR100882253B1 (ko) 2001-11-22 2008-06-17 로커 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206A true KR20080033206A (ko) 2008-04-16
KR100855295B1 KR100855295B1 (ko) 2008-08-29

Family

ID=2753204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726A KR100831716B1 (ko) 2001-11-22 2002-11-21 로커 암
KR1020080022456A KR100855295B1 (ko) 2001-11-22 2008-03-11 로커 암
KR1020080056756A KR100882253B1 (ko) 2001-11-22 2008-06-17 로커 암
KR1020080094140A KR100910782B1 (ko) 2001-11-22 2008-09-25 로커 암
KR1020090013819A KR100911703B1 (ko) 2001-11-22 2009-02-19 로커 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726A KR100831716B1 (ko) 2001-11-22 2002-11-21 로커 암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756A KR100882253B1 (ko) 2001-11-22 2008-06-17 로커 암
KR1020080094140A KR100910782B1 (ko) 2001-11-22 2008-09-25 로커 암
KR1020090013819A KR100911703B1 (ko) 2001-11-22 2009-02-19 로커 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807932B2 (ko)
EP (2) EP1314860B1 (ko)
KR (5) KR100831716B1 (ko)
CN (1) CN1308572C (ko)
DE (2) DE6020293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7932B2 (en) * 2001-11-22 2004-10-26 Ntn Corporation Rocker arm
JP2005256656A (ja) * 2004-03-10 2005-09-2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ローラーロッカーアーム式動弁装置
US7089899B1 (en) * 2005-07-11 2006-08-15 Eaton Corporation Stamped two-step rocker arm component
JP4235196B2 (ja) * 2005-08-22 2009-03-11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ロッカーアームの製造方法
DE102005046897A1 (de) * 2005-09-30 2007-04-05 Schaeffler Kg Kipphebel eines Ventiltriebs einer Brennkraftmaschine
ITMI20070779A1 (it) * 2007-04-17 2008-10-18 Gnutti Carlo Spa Dispositivo di connessione tra il bilanciere e le valvole od il gruppo di iniezione in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DE102007021855A1 (de) 2007-05-10 2008-11-13 Schaeffler Kg Kipphebel einer Brennkraftmaschine
FR2928409B1 (fr) 2008-03-06 2015-06-19 Skf Ab Culbuteur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2011208631A (ja) * 2010-03-12 2011-10-20 Nsk Ltd タペットローラ軸受
DE102010033120A1 (de) * 2010-08-03 2012-02-0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Nockenfolger
JP5905665B2 (ja) * 2011-02-08 2016-04-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ロッカーアーム装置
CN102102552A (zh) * 2011-03-28 2011-06-22 南京金城机械有限公司 一种凸轮偏置式配气机构
DE102012207520A1 (de) * 2012-05-07 2013-11-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folger für den Ventil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3211280A1 (de) * 2013-06-17 2014-12-1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Kipphebel
DK179953B1 (en) * 2018-03-27 2019-10-25 Ceramicspeed Sport A/S Bicycle Drive System
US10894577B2 (en) * 2018-03-27 2021-01-19 Ceramicspeed Sport A/S Bicycle drive system
CN109882260A (zh) * 2018-12-18 2019-06-14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中间杠杆,中间杠杆壳体及其制造方法
JP7162733B2 (ja) * 2019-04-19 2022-10-28 株式会社日進製作所 ロッカアーム
DE102020122920A1 (de) 2020-09-02 2022-03-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chaltbarer Schlepphebel für einen Ventil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5429C1 (de) * 1982-04-24 1983-11-2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Schlepphebel aus Blech
JPS63272903A (ja) 1987-04-28 1988-11-10 Odai Tekko Kk ロツカ−ア−ム
EP0573674B1 (en) * 1992-01-07 1997-04-02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Roller rocker arm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306478B2 (ja) * 1993-11-29 2002-07-24 光洋精工株式会社 プレス製ロッカアーム
US5357916A (en) * 1993-12-27 1994-10-25 Chrysler Corporation Valve adjuster mechanis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799546A (en) 1995-07-19 1998-09-01 Henley Manufacturing Holding Company, Inc. Compact roller follower
US6062184A (en) 1995-11-23 2000-05-16 Ina Walzlager Schaeffler Ohg Rocker arm or finger lever formed by a chipless process
KR200161255Y1 (ko) * 1996-12-09 1999-12-01 정몽규 디젤엔진의 일체형 밸브 브릿지
DE19710867A1 (de) 1997-03-15 1998-09-17 Schaeffler Waelzlager Ohg Betätigungshebel für einen Ventil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US6041747A (en) * 1997-04-23 2000-03-28 Koyo Seiko Co., Ltd. Rocker arm
JP3438036B2 (ja) 1997-04-23 2003-08-18 光洋精工株式会社 ロッカアーム
US6199527B1 (en) * 1998-03-12 2001-03-13 Nsk Ltd. Sheet metal rocker ar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m follower with said rocker arm,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4186203B2 (ja) * 1999-05-31 2008-11-2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ロッカアームならびにロッカアーム胴体の製造方法
JP4003349B2 (ja) 1999-06-23 2007-11-0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ロッカアーム
JP2001041011A (ja) 1999-08-02 2001-02-13 Koyo Seiko Co Ltd ロッカアーム
DE60041688D1 (de) * 1999-08-18 2009-04-16 Jtekt Corp Kippheb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1065316A (ja) 1999-08-27 2001-03-13 Nsk Ltd ロッカーア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32414A (ja) 1999-10-29 2001-05-15 Nsk Ltd 板金製ロッカーアーム
US6807932B2 (en) * 2001-11-22 2004-10-26 Ntn Corporation Rocker arm
JP3836407B2 (ja) * 2001-11-22 2006-10-25 Ntn株式会社 ロッカーアーム
JP2004076656A (ja) * 2002-08-20 2004-03-11 Ntn Corp ロッカーア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071A (ko) 2008-10-09
KR100911703B1 (ko) 2009-08-10
US20050028775A1 (en) 2005-02-10
EP1314860A2 (en) 2003-05-28
KR100831716B1 (ko) 2008-05-22
KR100910782B1 (ko) 2009-08-04
KR20080068615A (ko) 2008-07-23
US20030094153A1 (en) 2003-05-22
US6981479B2 (en) 2006-01-03
KR20030042423A (ko) 2003-05-28
DE60202930D1 (de) 2005-03-17
EP1462619A1 (en) 2004-09-29
EP1462619B1 (en) 2006-08-23
DE60214239D1 (de) 2006-10-05
EP1314860B1 (en) 2005-02-09
DE60202930T2 (de) 2005-07-07
CN1421595A (zh) 2003-06-04
CN1308572C (zh) 2007-04-04
DE60214239T2 (de) 2006-12-14
KR20090028746A (ko) 2009-03-19
EP1314860A3 (en) 2003-07-02
US7021260B2 (en) 2006-04-04
KR100882253B1 (ko) 2009-02-06
KR100855295B1 (ko) 2008-08-29
US20050241604A1 (en) 2005-11-03
US6807932B2 (en) 2004-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253B1 (ko) 로커 암
JP3892373B2 (ja) ロッカーアーム
KR0178813B1 (ko) 프레스 성형 로커암
JP3535421B2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2805409B2 (ja) 板金ローラロッカアームとその製造方法
JP3836407B2 (ja) ロッカーアーム
JP2003222005A (ja) ロッカーアーム
JP2001041011A (ja) ロッカアーム
JP2005188362A (ja) 板金製ロッカア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23252B2 (ja) 板金製ロッカーアームの製造方法
JPH0771210A (ja) 軸受ピン
JP2000120411A (ja) 板金製ロッカ―ア―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990244B2 (ja) ロッカアーム
JP2001355413A (ja) ロッカアーム
JP2004176557A (ja) ロッカアーム
JPH05288015A (ja) ローラタペット
JP2003328704A (ja) ロッカーアーム
JP3805300B2 (ja) ロッカアームおよびロッカアーム胴体の製造方法
JP2000110522A (ja) 板金製ロッカ―ア―ム
JP2001003714A (ja) ロッカアーム
JP3320046B2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2003161122A (ja) ロッカアーム
JP2001280106A (ja) 板金製ロッカーアーム
JP2002327605A (ja) 板金製ロッカーア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