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201A - 네트워크 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201A
KR20080033201A KR1020080020166A KR20080020166A KR20080033201A KR 20080033201 A KR20080033201 A KR 20080033201A KR 1020080020166 A KR1020080020166 A KR 1020080020166A KR 20080020166 A KR20080020166 A KR 20080020166A KR 20080033201 A KR20080033201 A KR 20080033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unit
cellular
detour
setting
w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752B1 (ko
Inventor
쇼이찌 사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우회 착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인터페이스의 선택에 대응하여, 급전 중의 인터페이스에 착신시키는 것이다. 복수의 네트워크(셀룰러 네트워크(6), WLAN 네트워크(8))와, 각 네트워크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셀룰러 교환기(10), SIP 서버(14))에 무선 접속되는 통신 장치(통신 단말 장치(4))를 구비한다.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함과 함께,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로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를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통지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우회처 정보를 받아 우회처의 인터페이스부로 착신을 우회시킨다.
인터페이스, WLAN, 셀룰러 네트워크, 우회 착신, 인터페이스

Description

네트워크 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NETWORK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특허 문헌 1: 일본 특표 2002-501353호 공보(단락 번호 0022 및 도 1)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5-33707호 공보(요약, 도 1)
특허 문헌 3: 일본 특표 2005-531984호 공보(단락 번호 0023, 0034, 도 1, 도 4, 도 7)
[기술분야]
본 발명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등의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통신 조건에 따른 통신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페이스를 선택함과 함께, 우회 착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네트워크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의 이동 통신에 관한 것으로, 셀룰러(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네트워크, WLAN 등의 규격이 있으며, 셀룰러 네트워크에는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이 있고, WLAN에는 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g,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존재한다. 각 네트워크에 대응하려면 회선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고, 쌍방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 장치에는, 2개의 회선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즉, 각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회선 인터페이스를 갖는 통신 단말 장치를 편의상 「DUAL 단말 장치」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러한 셀룰러 네트워크나 WLAN 등의 복수의 네트워크에 걸치는 이동 통신에 관해, 특허 문헌 1은, 근거리 전화는 육상 통신선에 의하고, 장거리 전화는 무선 액세스 통신 장치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통신 단말이 양호한 통신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지역 정보나, 복수의 접속 형태 중, 양호한 통신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통신 정보를 받아, 일정 구역에서만 통신이 가능한 고정 모드, 이동하면서 통신 가능한 이동 모드, 휴대 단말 통신망,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통신망, 유선 통신망 등의 접속 형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 통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유저 기기가 무선 전화 네트워크에 관해 아이들(idle)이며, WLAN에 대해 액티브인 경우에, 휴대 전화 네트워크가 WLAN과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데이터 신호 접속을 이용하여 WLAN의 무선 채널 경유로 유저 기기를 호출할 수 있는 것, 유저 기기가 무선 전화 네트워크 및 WLAN에 대해 아이들인 경우에, WLAN 및 휴대 전화 네트워크가 WLAN과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데이터 신호 접속을 이용하여 유저 기기를 호출할 수 있는 것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서는, 와이어리스 통신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교환기에 가입자 식별자의 등록을 해제하고 있지만, 전원이 떨어지면 센터에서의 등록도 말소되므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경유로 우회하여 구내 교환기가 착신하는 일은 없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단말 장치가 접속 형태{이동 모드나 고정 모드(WLAN이나 유선 등의 로컬 모드)}를 나타내는 선언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네트워크측이 네트워크 상태를 파악하여, 단말 장치에 통지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 WLAN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접속 설정된 측에 자동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그런데,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각 인터페이스에 통전하는 것은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일으키게 하여, 배터리로 구동하는 휴대 기기에서는 배터리의 수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휴지 중의 인터페이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은 전력 소비를 억제하고, 휴대 기기에 있어서는, 배터리의 수명 증대에 기여하게 되지만, 휴지 중의 인터페이스의 급전을 정지시키면, 그 인터페이스에서의 통신이 불능이 되어, 통신의 자유도가 방해받게 된다.
또한, 무선 통신에 있어서는, 전파 강도가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어, 전파 강도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통신 불능에 빠지게 된다. 셀룰러 네트워크나 WLAN 등의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에서는, 전파 강도에 따라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파 강도의 저하에 의한 통신 차단을 회피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나 WLAN 등의 복수의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이용 과금 등의 통신 조건이 상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하는 자유도가 유저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전원 차단이나 전파 강도나 통신 조건에 대응하여, 통신의 자유도를 해치지 않고, 편리성이 높은 통신 환경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에 대해, 특허 문헌 1, 2, 3에는 그 개시나 시사는 없고, 또한, 그 해결 수단에 대한 개시나 시사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우회 착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페이스의 선택에 대응하여, 급전 중의 인터페이스에 착신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되어, 각 네트워크와의 발착신을 행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그 인터페이스 부로부터 특정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즉,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 접속을 절환하여, 특정의 인터페이스부를 동작시킨다. 이 인터페이스부의 선택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측에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의 변경을 통지하고, 전원에 접속된 인터페이스부 측에 착신을 절환함에 따라, 착신을 가능하게 한다. 인터페이스부의 선택은, 네트워크 측의 과금이나, 인터페이스부 측의 전파 강도 등에 의해 행하고, 또한, 유저에 의해 설정되는 우선 순위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인터페이스부의 선택적인 급전에 의해, 전지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과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의 선택에 의해 네트워크가 선택되므로, 통신에 대한 경제성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복수의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되어, 각 네트워크와의 발착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의 착신을 우회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전파 강도에 따라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미리 또는 수시로 설정되는 우선 순위에 따라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파의 송수를 행하는 송수신부와, 이 송수신부에 대한 발착신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정보 처리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와 무선 접속되는 네트워크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의 통지를 받아, 우회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복수의 네트워크와, 각 네트워크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에 무선 접속되는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함과 함께, 상기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 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통지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우회처 정보를 받아,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우회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복수의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되어 각 네트워크와의 발착신을 행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하는 단계와,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의 착신을 우회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통신 장치의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와 무선 접속되어 발착신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의 통지를 받는 단계와, 우회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통신 프로그램이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하는 단계와,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의 착신을 우회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7 측면은,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통신 프로그램이 통신 장치에 있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에서의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에 대해,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의 통지를 받는 단계와, 우회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을 절환함으로써, 저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신처를 우회시켜 통신에 필요한 접속이 유지되므로, 인터페이스부의 선택에 의한 착신 불능을 방지할 수 있어, 통신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2)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네트워크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파 강도나, 과금 조건 등의 우선 선택 등의 선택 조건에 대응하여, 통신의 신뢰성 유지와 함께, 경제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3) 인터페이스부의 선택의 자동화가 가능하다.
<실시 형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및 각 실시 형태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통신 단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통신 단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셀룰러 교환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SIP 서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셀룰러 교환기의 접속 관리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SIP 서버의 접속 관리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통신 시스템(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로서 통신 단말 장치(4)를 이용하여 복수의 통신 회선(네트워크)으로서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6), 또는 인터넷, 즉, 와이어리스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8)(이하, 「WLAN 네트워크(8)」라고 함)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6)에는 셀룰러 교환기(10) 및 기지국(12)이 구비되고, WLAN 네트워크(8)에는 SIP 서버(14) 및 와이어리스 LAN 액세스 포인트(16)(이하, 「WLAN-AP(16)」라고 칭함)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4)는, 셀룰러용 전파(18)에 의해 기지국(12)을 통해 셀룰러 교환기(10)와 접속됨과 함께, WLAN용 전파(20)를 매개로 하여 중계국인 WLAN-AP(16)와 접속된다. 즉, 셀룰러 교환기(10)는, 통신 단말 장치(4)에 대한 셀룰러 네트워크(6) 측의 네트워크 장치를 구성하고, SIP 서버(14)는 통신 단말 장치(4)에 대한 WLAN 네트워크(8) 측의 네트워크 장치를 구성한다.
이 통신 시스템(2)에서, 통신 단말 장치(4)에는, 셀룰러 네트워크(6)에 대응하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네트워크(8)에 대응하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가 구비되고, 이들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는, 네트워크에 대한 통지부로서, 과금이나 전파 강도 등의 선택 조건에 따라 동작 선택을 행하여 절전을 도모함과 함께, 동작 정지 중의 착신(이른바, 착호(着呼))을 동작 유지 측에 우회시켜 통신을 가능하게 한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 경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는 셀룰러 전화번호로서 예를 들면, 「090-2222-0050」,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는 WLAN 전화번호로서 예를 들면, 「050-1111-0050」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통신 단말 장치(4)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2)에는, 이하의 구성, 제어 및 처리 등이 포함된다.
(1)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대해, 접속의 우선 순위로서 예를 들면, 과금이나 전파 강도 등의 선택 조건에 따라 어느 한쪽의 동작을 선택하여, 그 동작 선택을 전원 절환에 의해 행한다.
(2) 전원 절환 시에,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6) 및/또는 WLAN 네트워크(8) 측에 통지하여, 우회 설정 처리를 지시한다.
(3) 셀룰러 네트워크(6) 및/또는 WLAN 네트워크(8)는 우회 설정 처리를 행하여,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대해, 전원 차단 측에 대한 착신을 전원 접속 측에 우회시켜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통신 단말 장치(4)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가 구비되고,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는, 셀룰러 교환기(10)와 접속하는 기지국(12)과 대응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안테나(22), 셀룰러 RF(Radio Frequency) 프론트엔드부(24) 및 셀룰러 베이스밴드부(26)를 포함하고 있다.
WLAN 인터페이스부(IF-2)는, SIP 서버(14) 측의 WLAN-AP(16)에 대응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안테나(28), WLAN-RF 프론트엔드부(30) 및 WLAN 베이스밴드부(32)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각 인터페이스부(IF-1, IF-2)에는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원 급전선(34, 36)과, 공통의 전원 제어부(38)를 통해 전지(40)가 접속되어, 전지(40)로부터의 급전이 전원 제어부(38)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제어부(38)가 급전 절환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급전이 필요에 따라 선택된다.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 및 전원 제어부(38)는, 통신 단말 장치(4)에 탑재되는 제어 수단, 즉, 컴퓨터에 의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62)(도 3)의 실행 등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이들 인터페이스부(IF-1, IF-2) 및 전원 제어부(38)에는, 급전 제어, 통신 제어, 전파 강도의 판정, 전파 강도 판정을 위한 제어, 그 외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부 또는 정보 처리부로서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42)가 제어선(44)에 의해 접속되고, CPU(42)에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46), 작업 메모리(48), 입력부(50), 표시부(52), 음성 제어부(54)가 제어선(44) 및 데이터 버스(5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46)는, ROM(Read-Only Memory) 등의 기록 매체로 구성되고, 이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46)에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저장 영역(58), 데이터 저장 영역(60)이 설정되어, 프로그램 저장 영역(58)에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62) 등의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데이터 저장 영역(60)에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작업 메모리(48)는, RAM(Random-Access Memory)으로 구성되고, 작업 에어리어로서 이용된다.
입력부(50)는, CPU(42)에 의해 제어되고, CPU(42)에 대한 각종 정보의 입력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키보드로 구성된다. 표시부(52)는, CPU(42)의 제어에 기초하여, 통신처, 선택된 인터페이스부(IF-1, IF-2)의 선택 정보, 메일 정보 등,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음성 제어부(54)는, CPU(42)의 제어에 기초하여, 통화 음성의 송수를 실행한다. 따라서, 음성 제어부(54)에는, 수화 신호를 음성으로서 재생하여 출력하는 스피커(64), 송화 음성을 입력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66)이 접속되어 있다.
이 통신 단말 장치(4)에 있어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 스부(IF-2)의 전파 수신 강도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통신 중의 수신 전파를 감시하여, 또는 휴지 중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정기적으로 전원을 접속하여 수신 전파를 감시한다. 그 경우, 수신한 전파 강도와 통신 가능한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기준 레벨을 전파 강도가 초과하고 있으면, 통신 가능이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처리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62)에 의해 실행된다.
그리고, 이 통신 단말 장치(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부(67, 69)를 힌지부(71)에서 접을 수 있게 구성하고, 케이싱부(67)에 커서 키나 문자 키를 포함하는 입력부(50), 마이크로폰(66)을 구비하며, 케이싱부(69)에 안테나(22, 28),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되는 표시부(52), 스피커(64) 등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52)에는, 통화 개시나 통화 중에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의 접속 상태 등이 표시된다. 이러한 전원 접속의 절환을 매뉴얼 조작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그 다이얼로그 표시나, 설정 지시의 내용이 표시부(52)에 표시된다.
또한, 셀룰러 교환기(10)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4) 외, 복수의 통신 단말에 대응하는 기지국(121, 122, 123, … 12N) 및 가입자선 인터페이스부(681, 682, 683, … 68N)가 구비되고, 이들 가입자선 인터페이스부(681, 682, 683, … 68N)는 교환 스위치부(70)에 접속되고, 이 교환 스위치부(70)에는 회선 인터페이스부(72)가 접속되어 있다. 교환 스위치부(70)는, 착신에 응답하여 회선 인터페이스부(72)를 선택하여, 통신처간의 접속을 행한다. 회선 인터페이스부(72)는, 회선으로부터의 착호 신호를 접수하여, 교환 스위치부(70)에 전송한다.
이들 가입자선 인터페이스부(681, 682, 683, … 68N), 교환 스위치부(70) 및 회선 인터페이스부(72)는, 제어선(74)을 통해 CPU(76),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78), 작업 메모리(80) 등을 구비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컴퓨터에 접속되고, CPU(76),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78), 작업 메모리(80)는, 데이터 버스(82)에 의해 접속된다. CPU(76)는, 제어부 및 정보 처리부로서,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78)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가입자선 인터페이스부(681, 682, 683, … 68N), 교환 스위치부(70) 및 회선 인터페이스부(72)를 제어하여, 착신 처리,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절환 지시 통지를 받아, 그 통지 내용을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78)에 저장하고, 착신을 계기로 절환 지시 통지 내용의 실행 등의 통신 제어를 실행한다.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78)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저장 영역(84), 데이터 저장 영역(86)을 구비하고, 프로그램 저장 영역(84)에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62)에 대응하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작업 메모리(80)는 RAM으로 구성되어, 작업 에어리어로 이용된다.
또한, SIP 서버(14)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WLAN 네트워크(8)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88)가 구비되고, 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88)에는, 제어부 또는 정보 처리부로서 컴퓨터로서, CPU(90),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92), 작업 메모리(94)가 제어선(96) 및 데이터 버스(98)에 의해 접속되어 있 다.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92)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저장 영역(100), 데이터 저장 영역(102)을 구비하고, 프로그램 저장 영역(100)에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62)에 대응하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작업 메모리(94)는 RAM으로 구성되어, 작업 에어리어로 이용된다.
다음으로, 셀룰러 네트워크(6)의 셀룰러 교환기(10), WLAN 네트워크(8)의 SIP 서버(14)의 설정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셀룰러 교환기의 접속 관리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SIP 서버의 접속 관리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셀룰러 교환기(10)의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78)의 데이터 저장 영역(86)(도 6)에는, 도 9에 도시하는 접속 관리표(104)가 설정되어 있다. 이 접속 관리표(104)는, 착신처인 전화번호에 대해, 그 전화번호의 우회 설정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의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이 접속 관리표(104)에는, 접속 대상인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란, 접속 대상에 대응하는 우회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우회 설정란이 설정되어 있다. 우회 설정의 유효에 대해, 우회 설정란에 전화번호가 저장되면, 우회 설정이 유효로 된다. 또한, 우회 설정의 무효에 대해, 우회 설정란에 무효를 저장함으로써 실행된다.
SIP 서버(14)의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92)의 데이터 저장 영역(102)(도 8)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접속 관리표(106)가 설정되어 있다. SIP 서버(14)에서도, 접속 관리표(106)는, 착신처인 전화번호에 대해, 그 전화번호의 우회 설정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의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이 접속 관리 표(106)에는, 대상인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란과,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란과,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우회 설정란이 설정되어 있다. 셀룰러 교환기(10) 측과 마찬가지로, 우회 설정의 유효에 대해, 우회 설정란에 전화번호가 저장되면, 우회 설정이 유효로 된다. 또한, 우회 설정의 무효에 대해, 우회 설정란에 무효를 저장함으로써 실행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통신 방법에 관하여, 통신 단말 장치측의 처리 순서에 대해, 도 11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1은, 통신 단말 장치(4)에서의 처리 순서의 개요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통신 방법은, 통신 단말 장치(4)에 탑재되어 있는 컴퓨터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62)에 의해 실행되고, 그 처리 순서에는, 인터페이스부의 선택 판단, 선택, 우회 설정 또는 설정 해제의 지시 등이 포함된다.
(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선택 판단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4)에서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어느 쪽을 동작시키고, 어느 쪽을 동작 정지로 할지, 구체적으로는, 어느 쪽의 전원을 차단하고, 어느 쪽에 전원을 접속할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 경우, 통신 단말 장치(4)의 동작 개시시, 어느 하나를 우선하고, 전파 강도나 과금 등의 조건에 따라 접속 순위를 변경하여도 된다.
(2)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선택
이 판단에 기초하여,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어느 한쪽이 선택된다(단계 S2). 이 경우, 전파 강도가 약하여, 셀룰러 인터페 이스부(IF-1) 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를 선택하여도,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 대신하여 WLAN 인터페이스부(IF-2), 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대신하여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를 선택한다.
(3)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회 설정 또는 설정 해제의 지시
전술한 선택 결과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 또는 SIP 서버(14)에 대해, 우회 설정 또는 설정 해제의 지시를 행한다(단계 S3).
우회 설정에 관하여, 전원을 끊는 대상이 WLAN 인터페이스부(IF-2)인 경우에는, 전원을 끊기 전에,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 SIP 서버(14)에 통지하여, 우회 설정의 지시를 행한다. SIP 서버(14)에 대한 우회 설정의 지시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대한 착신을 SIP 서버(14)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를 거쳐, 급전 중인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 우회시키는 설정의 지시로서, SIP 서버(14)의 접속 관리표(106)(도 10)에 있는 전화번호에 대해, 우회처인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우회처가 유효로 된다.
또한, 전원을 끊는 대상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인 경우에는, 전원을 끊기 전에,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에 통지하여, 우회 설정의 지시를 행한다.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한 우회 설정의 지시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 대한 착신을 셀룰러 교환기(10)로부터 SIP 서버(14)를 거쳐, 급전 중인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 우회시키는 설정의 지시로서, 셀룰러 교환 기(10)의 접속 관리표(104)(도 9)에 있는 전화번호에 대해, 우회처인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우회처가 유효로 된다.
또한, 우회 설정의 해제에 관하여, 우회 설정의 존재가 전제로 된다. 따라서, 현재의 우회 설정 상태를 이용하여,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 또는 SIP 서버(14)에 대해, 우회 설정의 해제 지시를 행한다.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SIP 서버(14)에 대한 우회 설정의 해제 지시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를 거쳐 실행되는 지시로서, 셀룰러 교환기(10)의 접속 관리표(104)(도 9)에 있는 전화번호에 대해, 우회처인 전화번호를 소거하거나, 또는 무효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우회 설정이 해제된다.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한 우회 설정의 해제 지시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 SIP 서버(14)를 거쳐 실행되는 지시로서, SIP 서버(14)의 접속 관리표(106)(도 10)에 있는 전화번호에 대해, 우회처인 전화번호를 소거하거나, 또는 무효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우회 설정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통신 방법에 대해, 셀룰러 교환기 또는 SIP 서버의 처리 순서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셀룰러 교환기(10) 또는 SIP 서버(14)의 처리 순서의 개요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통신 방법은, 셀룰러 교환기(10) 또는 SIP 서버(14)에 탑재되어 있는 컴 퓨터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62)에 의해 실행되고, 그 처리 순서에는, 우회 설정인지 설정 해제인지의 판단, 우회 설정 또는 설정 해제의 지시 등이 포함된다.
(1) 우회 설정 또는 설정 해제의 판단
통신 단말 장치(4)의 지시에 의해, 셀룰러 교환기(10) 또는 SIP 서버(14)에 대해, 우회 설정인지 설정 해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1).
(2) 우회 설정 또는 설정 해제의 처리
우회 설정의 경우에는, 우회 설정이 실행되고(단계 S12), 설정 해제의 경우에는 설정 해제가 실행된다(단계 S13).
이 경우, SIP 서버(14)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의 우회 설정의 지시에 대해,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대한 착신을 SIP 서버(14)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를 거쳐, 급전 중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 우회시키는 설정을 실행한다.
또한, 셀룰러 교환기(10)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부터의 우회 설정의 지시에 대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 대한 착신을 셀룰러 교환기(10)로부터 SIP 서버(14)를 거쳐, 급전 중의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 우회시키는 설정을 실행한다.
SIP 서버(14)에 대한 우회 설정의 해제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부터의 지시를 셀룰러 교환기(10)를 통해 SIP 서버(14)가 받아, 그것에 의해 SIP 서버(14) 측에서 실행된다.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한 우회 설정의 해제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 부터의 지시를 SIP 서버(14)를 통해 셀룰러 교환기(10)가 받아, 그것에 의해 셀룰러 교환기(10) 측에서 실행된다.
다음으로, 이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통신 방법의 처리 순서에 대해, 도 13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SIP 서버의 우회 설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SIP 서버의 우회 설정을 나타내는 접속 관리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SIP 서버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6 및 도 17은, 우회 설정시의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우회 설정시의 발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셀룰러 교환기의 우회 설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셀룰러 교환기의 우회 설정을 나타내는 접속 관리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셀룰러 교환기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2 및 도 23은, 우회 설정시의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우회 설정시의 발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통신 방법의 처리 순서는, 통신 단말 장치(4), 셀룰러 교환기(10) 또는 SIP 서버(14)에 탑재되어 있는 컴퓨터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62) 등에 의해 실행되며, 그 처리 순서에는, 전원의 절환, 우회 설정 또는 설정 해제의 지시 등이 포함된다.
A: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에는, 그 차단 전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 SIP 서버(14)에 전술한 우회 설정을 행한다.
이 우회 설정은,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을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측에 우회시키기 위한 설정을 SIP 서버(14)에 행한다. 예를 들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셀룰러 전화번호를 예를 들면, 「090-2222-0050」,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화번호를 예를 들면, 「050-1111-0050」, IP 어드레스를 예를 들면, 「10.18.42.50」라고 하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IP 서버(14)의 접속 관리표(106)에 있는, 전화번호 「050-1111-0050」, IP 어드레스 「10.18.42.50」에 대해, 우회 설정란에 셀룰러 전화번호 「090-2222-0050」를 기입함으로써, 우회 설정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전화번호 「050-1111-0050」의 우회처는 「090-2222-0050」이며, 회선이 상이한 전화번호가 관계지워져, 우회(전송) 설정이 완료한다.
이 우회 설정의 후,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이 차단되어, WLAN 인터페이스부(IF-2)와 SIP 서버(14)가 차단 상태로 된다. 즉, 통신 단말 장치(4)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만의 통신이 가능해짐과 함께,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급전 해제에 의해, 저전력화가 도모된다.
이러한 우회 설정이 행해지면, 다른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해 착신이 있으면, SIP 서버(14)에서는 접속 관리표(106)(도 14)를 참조하여, 접속처가 「050-1111-0050」이면, 이 전화번호에는 우회처로서 「090-2222-0050」가 기술되어 있으므로, 「090-2222-0050」으로 우회시킨다. 즉, SIP 서버(14)가 받은 착신에 의해, 셀룰러 교환기(10)를 거쳐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 우회하여 착신이 행해진다.
이 경우, 우회 설정이 무효이면, IP 어드레스 「10. 18. 42. 50」에 착신시 켜, 우회 착신은 없다.
이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에 있어서, SIP 서버(14) 측의 처리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의 SIP 서버(14)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SIP 서버(14)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지시 대기 상태에서, 다음의 지시를 받는다(단계 S21).
이 지시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지시(단계 S22),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접속 요구 지시(단계 S23),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단계 S24) 중 어느 하나이다.
우회 설정 지시(단계 S22)의 경우에는, 접속 관리표(106)의 우회 설정란에 우회처의 셀룰러 전화번호를 기입한다(단계 S25).
또한, 접속 요구 지시(단계 S23)의 경우에는, 접속 관리표(106)에서 접속 요구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그 전화번호의 우회 설정란을 참조한다(단계 S26). 우회 설정이 무효이면, 셀룰러 네트워크(6)로의 우회는 행하지 않고,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27). 또한, 우회 설정란에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으면, 셀룰러 전화번호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28).
또한, 우회 설정 해제 지시(단계 S24)의 경우에는, 접속 관리표(106)의 우회 설정란에 「무효」를 기입한다(단계 S29).
이 우회 설정이 행해진 후,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이 차단되어, WLAN 인터페이스부(IF-2)와 SIP 서버(14)가 차단 상태로 된다. 즉, 통신 단말 장 치(4)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만의 통신이 가능해짐과 함께,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급전 해제에 의해, 저전력화가 도모된다.
이러한 우회 설정이 행해지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통신 단말 장치(220)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해 착신이 있으면, SIP 서버(14)에서는 접속 관리표(106)(도 14)를 참조하여, 접속처가 「050-1111-0050」이면, 이 전화번호에는 우회처로서 「090-2222-0050」이 기술되어 있으므로, 「090-2222-0050」으로 우회시킨다. 즉, SIP 서버(14)가 받은 착신에 의해, 셀룰러 교환기(10)를 거쳐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 우회하여 착신이 행해진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교환기(10)에 WLAN 네트워크(8) 경유의 접속 요구, 즉,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해 「050-1111-0050」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셀룰러 교환기(10)는 SIP 서버(14)에 대해 접속 요구를 발한다. 이 경우, SIP 서버(14)에는 전술한 우회 설정이 행해지고 있으므로, 그 우회 설정에 의해 셀룰러 교환기(10) 경유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 접속이 행해진다. 즉, 셀룰러 교환기(10)의 착신은 SIP 서버(14)로 전송되지만, 우회 설정이 있기 때문에, 셀룰러 교환기(10)로 되돌아와, 셀룰러 교환기(10)로부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 접속이 절환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통신 단말 장치(4)의 발신(이른바 발호)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부터 행해져,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교환기(10)로부터 SIP 서버(14)로 우회하여 WLAN 네트워크(8) 측과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B: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에는, 그 차단 전에,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로 전술한 우회 설정을 행한다.
이 우회 설정은,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을 WLAN 인터페이스부(IF-2) 측에 우회시키기 위한 설정을 셀룰러 교환기(10)에 행한다. 전화번호가 전술한 대로이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교환기(10)의 접속 관리표(104)에 있는, 전화번호 「090-2222-0050」에 대해, 우회 설정란에 전화번호 「050-1111-0050」를 기입함으로써, 우회 설정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전화번호 「090-2222-0050」의 우회처는 「050-1111-0050」이며, 마찬가지로 회선이 상이한 전화번호가 관계지워져 우회(전송) 설정이 완료한다.
다음으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의 셀룰러 교환기(10)의 처리 순서에 대해,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의 셀룰러 교환기(10)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셀룰러 교환기(10)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지시 대기 상태에서, 다음의 지시를 받는다(단계 S31).
이 지시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지시(단계 S32),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접속 요구 지시(단계 S33),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단계 S34) 중 어느 하나이다.
우회 설정 지시(단계 S32)의 경우에는, 접속 관리표(104)의 우회 설정란에 우회처의 WLAN 전화번호를 기입한다(단계 S35).
접속 요구 지시(단계 S33)의 경우에는, 접속 관리표(104)에서 접속 요구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그 전화번호의 우회 설정란을 참조한다(단계 S36). 우회 설정이 무효이면, WLAN 네트워크(8)로의 우회는 행하지 않고,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37). 또한, 우회 설정란에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으면, WLAN 전화번호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38).
또한, 우회 설정 해제 지시(단계 S34)의 경우에는, 접속 관리표(104)의 우회 설정란에 「무효」를 기입한다(단계 S39).
이 우회 설정의 후,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이 차단되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셀룰러 교환기(10)가 차단 상태로 된다. 즉, 통신 단말 장치(4)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만의 통신이 가능해짐과 함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급전 해제에 의해, 저전력화가 도모된다.
이러한 우회 설정이 행해지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통신 단말 장치(222)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해 착신이 있으면, 셀룰러 교환기(10)에서는 접속 관리표(104)(도 20)를 참조하여, 접속처가 「090-2222-0050」이면, 이 전화번호에는 우회처로서 「050-1111-0050」이 기술되어 있으므로, 「050-1111-0050」으로 우회시킨다. 즉, 셀룰러 교환기(10)가 받은 착신에 의해, SIP 서버(14)를 거쳐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우회하여 착신이 행해진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IP 서버(14)에 셀룰러 네트워크(6) 경 유의 접속 요구, 즉, SIP 서버(14)에 대해 「090-2222-0050」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SIP 서버(14)는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해 접속 요구를 발한다. 이 경우, 셀룰러 교환기(10)에는 전술한 우회 설정이 행해지고 있으므로, 그 우회 설정에 의해 SIP 서버(14) 경유로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접속이 행해진다. 즉, SIP 서버(14)의 착신은 셀룰러 교환기(10)로 전송되지만, 우회 설정이 있기 때문에, SIP 서버(14)로 되돌아와, SIP 서버(14)로부터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 접속이 절환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통신 단말 장치(4)의 발신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 행해져,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IP 서버(14)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로 우회하여 셀룰러 네트워크(6) 측과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가 동시에 전원에 접속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통신 단말 장치(4)의 저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계 강도에 따라 인터페이스부를 절환하므로, 과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의 절환에 의한 경제성의 향상이나 통신의 신뢰성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5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셀룰러 교환기의 바꿔 읽기 설정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SIP 서버의 바꿔 읽기 설정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셀룰러 교환기 및 SIP 서버의 설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셀룰러 교환기의 바꿔 읽기 설정표의 일례를 도시하 는 도면, 도 29는, 셀룰러 교환기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0은,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셀룰러 교환기 및 SIP 서버의 설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SIP 서버의 바꿔 읽기 설정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SIP 서버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4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2), 도 2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4), 도 3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46), 도 5에 도시하는 셀룰러 교환기(10), 도 6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78), 도 7에 도시하는 SIP 서버(14), 도 8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92)를 이용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 순서는, 통신 단말 장치(4), 셀룰러 교환기(10) 또는 SIP 서버(14)에 탑재되어 있는 컴퓨터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62) 등에 의해 실행되고, 그 처리 순서에는, 전원의 절환, 우회 설정 또는 설정 해제의 지시 등이 포함된다.
이 경우, 셀룰러 교환기(10)의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78)의 데이터 저장 영역(86)에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꿔 읽기 설정표(108)가 저장된다. 이 바꿔 읽기 설정표(108)는, 착신처인 전화번호의 바꿔 읽기 정보를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이 바꿔 읽기 설정표(108)에는, 전화번호란과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바꿔 읽기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바꿔 읽기 설정란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SIP 서버(14)의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92)의 데이터 저장 영 역(102)에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꿔 읽기 설정표(110)가 저장된다. 이 바꿔 읽기 설정표(110)는, 착신처인 전화번호의 바꿔 읽기 정보를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이 바꿔 읽기 설정표(110)에는, 전화번호란과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바꿔 읽기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바꿔 읽기 설정란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꿔 읽기 설정표(108, 110)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처리가 가능해진다.
A: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해 우회 설정(제1 실시 형태)을 실행함과 함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해 바꿔 읽기 설정을 행하면, 셀룰러 교환기(10)의 착신을 SIP 서버(14)로 우회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하는 셀룰러 교환기(10)와 SIP 서버(14) 사이의 왕복 처리의 회피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꿔 읽기 설정표(108)에 대해, 전화번호란의 전화번호 「050-1111-0050」에 대응하는 바꿔 읽기 설정란에 셀룰러 전화번호 「090-2222-0050」를 기입하는 설정을 행한다.
이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의 셀룰러 교환기(10)의 처리 순서에 대해,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의 셀룰러 교환기(10)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셀룰러 교환기(10)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지시 대기 상태에 있 어서, 다음의 지시를 받는다(단계 S41).
이 지시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지시(단계 S42),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접속 요구 지시(단계 S43),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단계 S44)이다.
우회 설정 지시(단계 S42)의 경우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08)의 바꿔 읽기 설정란에 셀룰러 전화번호를 기입한다(단계 S45).
접속 요구 지시(단계 S43)의 경우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08)에서 접속 요구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그 전화번호의 바꿔 읽기 설정란을 참조한다(단계 S46). 바꿔 읽기 설정이 무효이면, WLAN 전화번호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47). 또한, 바꿔 읽기 설정란에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으면, WLAN 네트워크(8)로의 우회는 행하지 않고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48).
또한, 우회 설정 해제 지시(단계 S44)의 경우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08)의 바꿔 읽기 설정란에 「무효」를 기입한다(단계 S49).
이러한 설정이 있으면,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꿔 읽기 설정된 셀룰러 전화번호 「090-2222-0050」에 대응하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서 착신을 받을 수 있다.
B: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해 우회 설정(제1 실시 형태)을 실행함과 함께, WLAN 인터페이스부(IF- 2)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해 전화번호의 바꿔 읽기의 설정을 행하면, SIP 서버(14)의 착신을 셀룰러 교환기(10)에 우회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3에 도시하는 셀룰러 교환기(10)와 SIP 서버(14) 사이의 왕복 처리를 회피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꿔 읽기 설정표(110)의 바꿔 읽기 설정란에, 셀룰러 전화번호 「090-2222-005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050-1111-0050」를 기입하는 설정을 행한다.
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의 SIP 서버(14)의 처리 순서에 대해,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의 SIP 서버(14)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SIP 서버(14)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지시 대기 상태에 있어서, 다음의 지시를 받는다(단계 S51).
이 지시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지시(단계 S52),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접속 요구 지시(단계 S53),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단계 S54)이다.
우회 설정 지시(단계 S52)의 경우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10)의 바꿔 읽기 설정란에 WLAN 전화번호를 기입한다(단계 S55).
접속 요구 지시(단계 S53)의 경우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10)에서 접속 요구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그 전화번호의 바꿔 읽기 설정란을 참조한다(단계 S56). 바꿔 읽기 설정이 무효이면, 셀룰러 전화번호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57). 또한, 바꿔 읽기 설정란에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으면, 셀룰러 네트워크(6)로의 우회는 행하지 않고,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58).
또한, 우회 설정 해제 지시(단계 S54)의 경우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10)의 바꿔 읽기 설정란에 「무효」를 기입한다(단계 S59).
이러한 설정이 있으면,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꿔 읽기 설정된 전화번호 「050-1111-0050」에 대응하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서 착신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신 단말 장치(4)에서의 저전력화와 함께, 경제적인 통신이나 통신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 의한 SIP 서버(14)의 우회 설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의한 셀룰러 교환기(10)의 우회 설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2), 도 2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4), 도 3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46), 도 5에 도시하는 셀룰러 교환기(10), 도 6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78), 도 7에 도시하는 SIP 서버(14), 도 8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92)를 이용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을 끊는 측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서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한 우회 설정, 전원을 끊는 측의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서 SIP 서버(14)에 대한 우회 설정을 행하고 있지만, 우회 설정은,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어느 쪽을 이용해 행하여도 무방하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 중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를 갖고서 SIP 서버(14)에 대한 우회 설정, 급전 중의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의해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한 우회 설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A: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를 통해 SIP 서버(14)에 대한 우회 설정을 행한다. 설정 내용 및 그 처리 순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B: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 SIP 서버(14)를 통해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한 우회 설정을 행한다. 설정 내용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이러한 설정 방법을 택함으로써, 전파 상황 등의 불가피한 선택 조건에 따라 우회 설정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우회 설정 처리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통신 단말 장치(4)에서의 저전력화와 함께, 경제적인 통신이나 통신의 신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도 37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통신 단말 장치(4)와 셀룰러 교환기(10) 및 SIP 서버(14)의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39는, 통신 단말 장치의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7에서,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 대해,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와 전원 제어부(38) 사이에 전원 급전선(341), 셀룰러 베이스밴드부(26)와 전원 제어부(38) 사이에 전원 급전선(342)을 접속하여,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와 셀룰러 베이스밴드부(26)를 독립적으로 급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대해서도, WLAN-RF 프론트엔드부(30)와 전원 제어부(38) 사이에 전원 급전선(361), WLAN 베이스밴드부(32)와 전원 제어부(38) 사이에 전원 급전선(362)을 접속하여, WLAN-RF 프론트엔드부(30)와 WLAN 베이스밴드부(32)를 독립적으로 급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 및 WLAN-RF 프론트엔드부(30)를 상시 전원에 접속하고, 전파 강도 등의 선택 조건에 따라 셀룰러 베이스밴드부(26) 또는 WLAN 베이스밴드부(32)에 대한 전원의 접속을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이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2), 도 3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 도 5에 도시하는 셀룰러 교환기(10), 도 6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 도 7에 도시하는 SIP 서버(14), 도 8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를 이용한다.
다음으로, 통신 단말 장치(4)와 셀룰러 교환기(10) 및 SIP 서버(14)의 처리 시퀀스에서는,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파 강도에 따라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 절환, 셀룰러 교환기(10), SIP 서버(14)에 대한 우회 설정 및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 시퀀스 상의 처리는, 전술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
이 경우,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서 전파 강도가 충분하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단계 S61), 착신을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 우회시키는 우회 설정을 행한다(단계 S62).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전원을 접속하고,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다. 또한,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서 전파 강도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단계 S63),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고(단계 S64),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서 전파 강도가 충분하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단계 S65), 착신을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 우회시키는 우회 설정을 행한다(단계 S66). 이 경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 전원을 접속하고,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다.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서 전파 강도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단계 S67),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한다(단계 S68).
구체적으로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있어서, 전파 강도가 충분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해 절환 설정을 행한다(단 계 S71). 이 절환 설정은, WLAN 네트워크(8)로부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착신을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 전송하는 설정이다. 또한,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해 우회 설정을 행한다(단계 S72). 이 우회 설정은, 셀룰러 네트워크(6)로부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착신을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 전송하는 설정이다.
이 설정의 후,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있어서, 통신을 행하기에는 전파 강도가 불충분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부터 SIP 서버(14)의 설정 해제를 행하고(단계 S73),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해서도 우회 설정의 설정 해제를 행한다(단계 S74).
이 설정 해제의 후,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에 있어서, 전파 강도가 충분한 경우에는,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한 절환 설정을 행한다(단계 S75). 이 절환 설정은, 셀룰러 네트워크(6)로부터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착신을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 전송하는 설정이다. 또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해 우회 설정을 행한다(단계 S76). 이 우회 설정은, WLAN 네트워크(8)로부터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착신을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 전송하는 설정이다.
또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의 설정 해제를 행하고(단계 S77), SIP 서버(14)에 대해서도 우회 설정의 해제를 행한다(단계 S78).
다음으로, 도 38의 처리 시퀀스에 대응하는 전원 절환 및 그에 대응하는 우회 설정 및 설정 해제의 처리 순서에 대해,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9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 절환 및 그에 대응하는 우회 설정 및 설정 해제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순서는, 통신 단말 장치(4)에 탑재되어 있는 컴퓨터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62)에 의해 실행되고, 그 처리 순서에는, 전원의 절환, 수신 전파의 강도 판정, 우회 설정 또는 설정 해제의 지시 등이 포함된다.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WLAN-RF 프론트엔드부(30)에 전원을 접속한다(단계 S101). WLAN-RF 프론트엔드부(30)에 대한 전파 강도를 검출하여, 전파 강도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02). 전파 강도가 충분하면, WLAN 베이스밴드부(32)의 전원을 넣어(단계 S103),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행한다(단계 S104).
현상의 설정 상태를 유지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WLAN-RF 프론트엔드부(30)에 대한 전파 강도를 검출하여, 전파 강도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05). 전파 강도가 충분하면, 현상의 설정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전파 강도가 불충분하면,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여(단계 S106), WLAN 베이스밴드부(32)의 전원을 끊는다(단계 S107).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의 전원을 넣는다(단계 S108). 이 경우, 단계 S102에 있어서, 전파 강도가 불충분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의 전원을 넣는다. 그리고, WLAN-RF 프론트 엔드부(30)의 전원을 끊는다(단계 S109).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에 대한 전파 강도를 검출하여, 전파 강도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10). 전파 강도가 충분하면, 셀룰러 베이스밴드부(26)의 전원을 넣고(단계 S11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행한다(단계 S112).
또한, 현상의 설정 상태를 유지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에 대한 전파 강도를 검출하여, 전파 강도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13). 전파 강도가 충분하면,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WLAN-RF 프론트엔드부(30)의 전원을 넣는다(단계 S114). 또한, 현상의 설정 상태를 유지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WLAN-RF 프론트엔드부(30)에 대한 전파 강도를 검출하여, 전파 강도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15). 전파 강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WLAN-RF 프론트엔드부(30)의 전원을 끊고(단계 S116), 단계 S113으로 되돌아온다.
단계 S113에서,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의 전파 강도가 불충분하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여(단계 S117), 셀룰러 베이스밴드부(26)의 전원을 끊고(단계 S118), WLAN-RF 프론트엔드부(30)의 전원을 넣고(단계 S119),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의 전원을 끊어(단계 S120), 단계 S102로 이행한다. 또한, 단계 S115에 있어서, WLAN-RF 프론트엔드부(30)의 전파 강도가 충분하면, 단계 S120으로 이행한다.
이러한 처리 순서에 의해, 전파 강도에 따라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회 설정이 변경되어, 최적인 통신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 장치(4)의 저전력화와 함께,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고, 또한, 경제적인 통신에 기여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도 40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0 내지 도 43은, 통신 단말 장치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동작 선택에 우선 순위를 설정한 경우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 순서는, 전술한 대로, 통신 단말 장치(4)에 탑재된 통신 제어 프로그램(62) 또는 그 변형예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2), 도 2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4), 도 3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 도 5에 도시하는 셀룰러 교환기(10), 도 6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 도 7에 도시하는 SIP 서버(14), 도 8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40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서는, 과금 등의 유저에게 있어서 유리성을 선택 조건으로 하여 우선 순위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의 처리이다. 또한, 우선 순위는, 수시 변경 가능하다.
이 처리에서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 결정의 처리가 실행되고(단계 S201), 이 우선 순위 결정시, 셀룰러 인터페 이스부(IF-1)의 선택이 WLAN 인터페이스부(IF-2) 보다 유리한 경우(IF-1>IF-2)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투입하여(단계 S202),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를 동작시킨다. 이 경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실행하고(단계 S203), 이 상태에서 인터페이스부의 우선 순위를 확인한다(단계 S204). 이 우선 순위의 확인에 의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선택이 WLAN 인터페이스부(IF-2) 보다 유리한 경우(IF-1>IF-2)에는, 현상의 설정을 유지한다.
상황의 변화에 따라,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선택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보다 유리한 경우(IF-2>IF-1)에는, 현상 설정을 해제한다. 이 경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여(단계 S205),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206),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동작으로 절환된다(단계 S207).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단계 S201)에 있어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선택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보다 유리한 경우(IF-2>IF-1)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투입하여(단계 S207), WLAN 인터페이스부(IF-2)를 동작시킨다. 이 경우,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실행하고(단계 S208), 이 상태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를 확인한다(단계 S209). 이 우선 순위의 확인에 의해,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선택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보다 유리한 경우(IF-2>IF-1)에는, 최신의 설정을 유지한다.
또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선택이 WLAN 인터 페이스부(IF-2) 보다 유리한 경우(IF-1>IF-2)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여(단계 S210),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21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가 선택된다(단계 S202).
이상의 처리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과금 조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의 동작이 절환되어, 유저는 유리한 과금 조건의 적용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처리에 있어서, 우회 설정 또는 우회 설정 해제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 차단에 대응하여 셀룰러 교환기(10), SIP 서버(14) 중 어느 쪽의 루트로부터 설정하여도 되고, 우회 설정, 우회 설정 해제는,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된다.
도 41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서는, 처리 순서에 전파 강도에 따른 처리를 더한 것이다. 전파 강도에 따른 우회 설정, 우회 설정 해제에 의해,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전파 강도 및 우선 순위의 쌍방에 의해 우회 설정, 우회 설정 해제가 제어된다.
따라서, 이러한 처리에 있어서도,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 결정의 처리가 실행되고(단계 S301), 이 우선 순위 결정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선택이 WLAN 인터페이스부(IF-2) 보다 유리한 경우(IF-1>IF-2)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투입하여(단계 S302),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를 동작시킨다. 이 경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를 확인하여(단계 S303),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304), 또한,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셀룰 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실행하고(단계 S305), 이 상태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를 확인한다(단계 S306).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가 WLAN 인터페이스부(IF-2)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를 확인하여(단계 S307), 그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현상의 설정을 유지한다 (단계 S306, S307).
우선 순위의 확인에 있어서 (단계 S306), WLAN 인터페이스부(IF-2)가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또한, 전파 강도의 확인(단계 S307)에 있어서,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고(단계 S308),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차단하여(단계 S309), WLAN 인터페이스부(IF-2) 측이 선택된다.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 결정 처리(단계 S301)에 있어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IF-2>IF-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단계 S304, S309)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이 투입된다(단계 S310).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를 확인하여(단계 S311),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312), 단계 S302로 이행한다.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실행하고(단계 S313), 이 상태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를 확인한다(단계 S314). WLAN 인터페이스부(IF-2)가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를 확인하고(단계 S315), 그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현상의 설정을 유지한다(단계 S314, S315).
우선 순위의 확인에 있어서(단계 S314),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가 WLAN 인터페이스부(IF-2)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또한,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의 확인(단계 S315)에 있어서,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고(단계 S316),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차단하여(단계 S317),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측이 선택된다(단계 S302).
이상의 처리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과금 조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의 동작이 절환되어, 유저는 유리한 과금 조건의 적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42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서는, 네트워크의 설정 해제를 다른 쪽의 인터페이스부에서 행하는 경우의 처리로서, 우회 설정은 전파가 강한 쪽으로 우회한다. 즉, 우회 설정의 해제는 다른 쪽의 인터페이스부에서 행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 처리에 있어서도, 처리의 개시에 의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단계 S40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가 우선하는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투입하고(단계 S402),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를 확인한다(단계 S403).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404),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행하여,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이 있으면, 그 설정을 해제한다(단 계 S405).
여기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확인을 행하여(단계 S406),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의 확인을 행하여(단계 S407),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현상의 설정을 유지한다(단계 S406, S407).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확인(단계 S406)에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의 확인(단계 S407)에서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408), WLAN 인터페이스부(IF-2) 측으로 이행한다(단계 S409).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결정(단계 S401)에 있어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가 우선하는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투입하고(단계 S409),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를 확인한다(단계 S410).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411),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행하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이 있으면, 그 설정을 해제한다(단계 S412).
또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확인을 행하여(단계 S413), WLAN 인터페이스부(IF-2)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의 확인을 행하고(단계 S414),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현상의 설정을 유지한다(단계 S413, S414).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확인(단계 S413)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의 확인(단계 S414)에서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415),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측으로 이행한다(단계 S402).
도 43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서는, 네트워크의 설정 또는 설정 해제를 다른 쪽의 인터페이스부에서 행하는 경우의 처리로서, 우회 설정은 전파가 강한 쪽으로 우회한다. 즉, 우회 설정 및 그 해제가 다른 쪽의 인터페이스부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이 처리에 있어서도, 처리의 개시에 의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단계 S50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가 우선하는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투입하고(단계 S502),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를 확인한다(단계 S503).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504),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투입하고(단계 S505),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를 확인한다(단계 S506). 전파 강도가 강하면, WLAN 인터페이스부(IF-2)를 사용하여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행하고,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고(단계 S507), 또한, 전파 강도가 약하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를 사용하여 셀룰러 인터페이스 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행하여,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고(단계 S508),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차단한다(단계 S509).
여기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확인을 행하고(단계 S510),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의 확인을 행하고(단계 S511),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현상의 설정을 유지한다(단계 S510, S51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확인(단계 S510)에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의 확인(단계 S511)에서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512),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 이행한다(단계 S513).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결정(단계 S501)에 있어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가 우선하는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투입하고(단계 S513),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를 확인한다(단계 S514).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515),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투입하여(단계 S516),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를 확인한다(단계 S517). 전파 강도가 강하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를 사용하여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행하고,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 1)로의 우회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며(단계 S518), 또한, 전파 강도가 약하면, WLAN 인터페이스부(IF-2)를 사용하여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행하고,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고(단계 S519),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차단한다(단계 S520).
여기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확인을 행하여(단계 S52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의 확인을 행하고(단계 S522), 전파 강도가 강하면, 현상의 설정을 유지한다(단계 S521, S522).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확인(단계 S521)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의 확인(단계 S522)에서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523),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측으로 이행한다(단계 S502).
이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 장치(4)의 저전력화와 함께,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고 경제적인 통신에 기여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도 4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4는, 통 신 단말 장치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4 실시 형태(도 37)와 마찬가지로,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와 셀룰러 베이스밴드부(26)를 독립적으로 급전함과 함께, WLAN-RF 프론트엔드부(30)와 WLAN 베이스밴드부(32)를 독립적으로 급전하는 구성으로 하여, 그 절환 제어를 가미하면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동작 선택에 우선 순위를 설정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처리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62) 또는 그 변형예에 의해 실행된다.
이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2), 도 37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4)(제4 실시 형태), 도 3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 도 5에 도시하는 셀룰러 교환기(10), 도 6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 도 7에 도시하는 SIP 서버(14), 도 8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를 이용한다.
따라서, 이 처리에 있어서도, 이 처리가 개시되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에 대해, 유저의 지정이나 시스템 조건으로 사용하는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단계 S60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의 전원을 넣는다(단계 S602). 여기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를 확인하여(단계 S603),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604),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셀룰러 베이스밴드부(26)의 전원을 넣는다(단계 S605).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실행하고(단 계 S606), 이 상태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를 확인하여(단계 S607),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를 확인하고(단계 S608),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현상을 유지한다(단계 S607, S608).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확인(단계 S607)에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파 강도의 확인(단계 S608)에서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여(단계 S609), 셀룰러 베이스밴드부(26)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610),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24)의 전원을 차단하여(단계 S611), WLAN 인터페이스부(IF-2) 측으로 이행한다(단계 S612).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결정의 처리(단계 S601)에 있어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단계 S604, S611)에는 WLAN-RF 프론트엔드부(30)의 전원을 투입하고(단계 S612),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를 확인하여(단계 S613),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614), 단계 S602로 이행한다.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WLAN 베이스밴드부(32)의 전원을 넣고(단계 S615),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실행하여(단계 S616), 이 상태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를 확인한다(단계 S617). WLAN 인터페이스부(IF-2)가 셀룰러 인터 페이스부(IF-1)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를 확인하고(단계 S618), 그 전파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현상의 설정을 유지한다(단계 S617, S618).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우선 순위의 확인(단계 S617)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파 강도의 확인(단계 S618)에서 전파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을 해제하여(단계 S619), WLAN 베이스밴드부(32)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620), WLAN-RF 프론트엔드부(30)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62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측으로 이행한다(단계 S602).
이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 장치(4)의 저전력화와 함께,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고 경제적인 통신에 기여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의 셀룰러 교환기(10)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6은,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의 SIP 서버(14)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셀룰러 교환기(10)에 있는 접속 관리표(104), SIP 서버(14)에 있는 접속 관리표(106)를 이용한 경우의 우회 설정 또는 설정 해제의 처리이다. 이러한 처리는, 셀룰러 교환기(10) 측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 행된다.
이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2), 도 2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4), 도 3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 도 4에 도시하는 셀룰러 교환기(10), 도 5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 도 6에 도시하는 SIP 서버(14), 도 7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를 이용한다.
A: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
도 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교환기(10)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지시 대기 상태에 있어서, 다음의 지시를 받는다(단계 S701). 즉, 지시 내용은, 단계 S702, S704, S708이다.
따라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 경유로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지시를 받거나, 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경유로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지시를 받는 경우(단계 S702)에는, 접속 관리표(104)의 우회 설정란에 WLAN 전화번호를 기입한다(단계 S703).
또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접속 요구를 받는 경우(단계 S704)에는, 접속 관리표(104)에서 접속 요구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그 전화번호의 우회 설정란을 참조한다(단계 S705). 우회 설정이 무효인 경우에는, WLAN 네트워크(8)로의 우회는 행하지 않고,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706). 또한, 우회 설정란에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으면, WLAN 전화번호에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707).
또한, WLAN 인터페이스부(IF-2) 경유로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를 받거나, 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경유로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를 받는 경우(단계 S708)에는, 접속 관리표(104)의 우회 설정란에 「무효」를 기입한다(단계 S709).
B: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IP 서버(14)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지시 대기 상태에 있어서, 다음의 지시를 받는다(단계 S801). 즉, 지시 내용은, 단계 S802, S804, S808이다.
따라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 경유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지시를 받거나, 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경유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지시를 받는 경우(단계 S802)에는, 접속 관리표(106)의 우회 설정란에 우회처의 셀룰러 전화번호를 기입한다(단계 S803).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접속 요구를 받는(단계 S804) 경우에는, 접속 관리표(106)에서 접속 요구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그 전화번호의 우회 설정란을 참조한다(단계 S805). 우회 설정이 무효이면, 셀룰러 네트워크(6)로의 우회는 행하지 않고,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806). 또한, 우회 설정란에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으면, 셀룰러 전화번호에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807).
또한, WLAN 인터페이스부(IF-2) 경유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를 받거나, 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경유로 셀룰러 인터페 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를 받는(단계 S808) 경우에는, 접속 관리표(106)의 우회 설정란에 「무효」를 기입한다(단계 S809).
[제8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7은,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의 SIP 서버(14)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8은,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의 셀룰러 교환기(10)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셀룰러 교환기(10)에 있는 바꿔 읽기 설정표(108), SIP 서버(14)에 있는 바꿔 읽기 설정표(110)를 이용한 경우의 우회 설정 또는 설정 해제의 처리이다. 이러한 처리는, SIP 서버(14) 측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
이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2), 도 2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4), 도 3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 도 4에 도시하는 셀룰러 교환기(10), 도 5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 도 6에 도시하는 SIP 서버(14), 도 7에 도시하는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를 이용한다.
A: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
도 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IP 서버(14)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지시 대기 상태에 있어서, 다음의 지시를 받는다(단계 S901). 즉, 지시 내용은, 단계 S902, S904, S908이다.
따라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 경유로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지시를 받거나, 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경유로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지시를 받는 경우(단계 S902)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10)의 바꿔 읽기 설정란에 WLAN 전화번호를 기입한다(단계 S903).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접속 요구를 받는 경우(단계 S904)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10)에서 접속 요구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그 전화번호의 바꿔 읽기 설정란을 참조한다(단계 S905). 바꿔 읽기 설정이 무효이면, 셀룰러 전화번호에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906). 또한, 바꿔 읽기 설정란에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으면, 셀룰러 네트워크(6)로의 우회는 행하지 않고, 바꿔 읽기 설정란에 기재되어 있는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907).
WLAN 인터페이스부(IF-2) 경유로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를 받거나, 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경유로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를 받는 경우(단계 S908)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10)의 바꿔 읽기 설정란에 「무효」를 기입한다(단계 S909).
B: WLAN 인터페이스부(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교환기(10)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지시 대기 상태에 있어서, 다음의 지시를 받는다(단계 S1001). 즉, 지시 내용은, 단계 S1002, S1004, S1008이다.
따라서, WLAN 인터페이스부(IF-2) 경유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지시를 받거나, 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경유로 셀룰러 인터페이 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지시를 받는 경우(단계 S1002)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08)의 바꿔 읽기 설정란에 셀룰러 전화번호를 기입한다(단계 S1003).
WLAN 인터페이스부(IF-2)로의 접속 요구를 받는 경우(단계 S1004)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08)에서 접속 요구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그 전화번호의 바꿔 읽기 설정란을 참조하여(단계 S1005), 바꿔 읽기 설정이 무효인 경우에는, WLAN 전화번호에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06). 또한, 바꿔 읽기 설정란에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으면, WLAN 네트워크(8)로의 우회는 행하지 않고,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07).
또한 WLAN 인터페이스부(IF-2) 경유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를 받거나, 또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 경유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로의 우회 설정 해제 지시를 받는 경우(단계 S1008)에는, 바꿔 읽기 설정표(108)의 바꿔 읽기 설정란에 「무효」를 기입한다(단계 S1009).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 장치(4)의 저전력화와 함께,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고 경제적인 통신에 기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로서 통신 단말 장치(4)를 예시하였지만,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를 구비하고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 통신 장치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어, 예를 들면,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를 탑재하고 통신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PC)(402)를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2)를 구성하여도 되며, 또한, 도 5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같은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404)를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2)을 구성하여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로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IF-1)와 WLAN 인터페이스부(IF-2)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4), PC(402), PDA(404) 등을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복합 통신 기능을 갖는 이른바 DUAL 단말 외에, 다른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면, WiMAX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부 등, 3 이상의 인터페이스부의 전원 절환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부터 추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청구항의 기재 형식에 준하여 부기로서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상위 개념으로부터 하위 개념까지, 여러 가지 레벨이나 바리에이션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의 부기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복수의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되어 각 네트워크와의 발착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의 착신을 우회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시키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부기 2) 부기 1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파 강도에 따라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부기 3) 부기 1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또는 수시로 설정되는 우선 순위에 따라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부기 4) 부기 1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파의 송수를 행하는 송수신부와, 이 송수신부에 대한 발착신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정보 처리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부기 5)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와 무선 접속되는 네트워크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의 통지를 받아, 우회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부기 6) 부기 5의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부기 7) 부기 5의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우회처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부기 8) 부기 5의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를 경유해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부기 9) 부기 5의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부기 10) 복수의 네트워크와, 각 네트워크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에 무선 접속되는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함과 함께, 상기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통지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우회처 정보를 받아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우회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11) 복수의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되어 각 네트워크와의 발착신을 행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하는 단계와,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의 착신을 우회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12) 부기 11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전파 강도에 따라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13) 부기 11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미리 또는 수시로 설정되는 우선 순위에 따라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14) 통신 장치의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와 무선 접속되어 발착신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의 통지를 받는 단계와,
우회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15) 부기 14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통신 방법.
(부기 16) 부기 14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17) 부기 14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를 경유해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18) 부기 14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19)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통신 프로그램으로서,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하는 단계와,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의 착신을 우회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
(부기 20)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통신 프로그램으로서,
통신 장치에 있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에서의 착신처의 인터페이스부에 대해,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의 통지를 받는 단계와,
우회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
(부기 21) 부기 20의 통신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
(부기 22) 부기 20의 통신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
(부기 23)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로서,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을 행하는 단계와,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의 착신을 우회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시키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부기 24)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로서,
통신 장치의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의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의 통지를 받는 단계와,
우회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부기 25) 부기 24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부기 26) 부기 24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 등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되고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하여,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전원의 접속 절환에 의한 저전력화, 인터페이스부의 전원 절환에 대응하는 우회 착신, 전파 강도나, 과금 조건 등의 우선 선택 등의 선택 조건에 대응하여, 통신의 신뢰성 유지와 함께, 경제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페이스부의 선택의 자동화 등을 가능하게 하여, 유용하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통신 단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통신 단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셀룰러 교환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SIP 서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셀룰러 교환기의 접속 관리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SIP 서버의 접속 관리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통신 단말 장치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셀룰러 교환기 및 SIP 서버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SIP 서버의 우회 설정(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SIP 서버의 접속 관리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SIP 서버의 처리 순서(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통신 단말 장치의 IF-1의 우회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통신 단말 장치의 IF-1의 우회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통신 단말 장치의 IF-1의 발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셀룰러 교환기의 우회 설정(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셀룰러 교환기의 접속 관리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셀룰러 교환기의 처리 순서(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2는 통신 단말 장치의 IF-2의 우회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통신 단말 장치의 IF-2의 우회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통신 단말 장치의 IF-2의 발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셀룰러 교환기의 바꿔 읽기(replacement) 설정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SIP 서버의 바꿔 읽기 설정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우회 설정 및 바꿔 읽기 설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셀룰러 교환기의 바꿔 읽기 설정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셀룰러 교환기의 처리 순서(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0은 통신 단말 장치의 IF-1의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우회 설정 및 바꿔 읽기 설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SIP 서버의 바꿔 읽기 설정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SIP 서버의 처리 순서(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34는 통신 단말 장치의 IF-2의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SIP 서버의 우회 설정(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을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셀룰러 교환기의 우회 설정(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을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9는 통신 단말 장치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0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단말 장치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1은 통신 단말 장치의 다른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2는 통신 단말 장치의 다른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3은 통신 단말 장치의 다른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4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단말 장치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5는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룰러 교환기의 처리 순서(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6은 SIP 서버의 처리 순서(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47은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SIP 서버의 처리 순서(IF-1의 전원을 끊는 경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8은 셀룰러 교환기의 처리 순서(IF-2의 전원을 끊는 경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9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50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통신 시스템
4: 통신 단말 장치
6: 셀룰러 네트워크
8: WLAN 네트워크(인터넷)
10: 셀룰러 교환기
14: SIP 서버
IF-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IF-2: WLAN 인터페이스부
24: 셀룰러 RF 프론트엔드부
26: 셀룰러 베이스밴드부
30: WLAN-RF 프론트엔드부
32: WLAN 베이스밴드부
38: 전원 제어부
40: 전지
42, 76, 90: CPU
46, 78, 92: 프로그램·데이터 저장 메모리
62: 통신 제어 프로그램
104, 106: 접속 관리표
108, 110: 바꿔 읽기 설정표

Claims (12)

  1.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와 무선 접속되는 네트워크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의 통지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받아, 우회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를 경유해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 통신 장치의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와 무선 접속되어 발착신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의 통지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받는 단계와,
    우회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를 경유해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통신 장치의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의 착신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을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처 정보의 통지를 받는 단계와,
    우회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착신을 우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를 경유해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20166A 2006-07-31 2008-03-04 네트워크 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962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08997 2006-07-31
JP2006208997A JP5309430B2 (ja) 2006-07-31 2006-07-31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183A Division KR20080012105A (ko) 2006-07-31 2006-11-29 통신 장치, 네트워크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및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201A true KR20080033201A (ko) 2008-04-16
KR100962752B1 KR100962752B1 (ko) 2010-06-09

Family

ID=387547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183A KR20080012105A (ko) 2006-07-31 2006-11-29 통신 장치, 네트워크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및기록 매체
KR1020080020166A KR100962752B1 (ko) 2006-07-31 2008-03-04 네트워크 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183A KR20080012105A (ko) 2006-07-31 2006-11-29 통신 장치, 네트워크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및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81481B2 (ko)
EP (2) EP2271065A1 (ko)
JP (1) JP5309430B2 (ko)
KR (2) KR20080012105A (ko)
CN (1) CN1011195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9430B2 (ja) * 2006-07-31 2013-10-0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WO2008127162A1 (en) * 2007-04-17 2008-10-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of operating a radio access network with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JP5033598B2 (ja) 2007-11-28 2012-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および映像機器
KR200448004Y1 (ko) * 2008-02-22 2010-03-09 우원정보기술(주) 네트워크 절환 장치
JP5203745B2 (ja) * 2008-02-26 2013-06-0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8488500B2 (en) * 2008-05-02 2013-07-16 Dhaani Systems Power management of networked devices
JP2009296077A (ja) * 2008-06-03 2009-12-17 Ne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ノード装置および網間移行制御方法
US8488572B2 (en) 2008-09-17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mode signal quality reporting
US20100097956A1 (en) * 2008-10-20 2010-04-22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Multi-interface management configuration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nection manager
US20110039562A1 (en) * 2009-02-05 2011-02-17 Qualcomm Incorporated Session-specific signaling for multiple access networks over a single access network
EP2627127B1 (en) * 2011-04-27 2016-01-20 Rakuten, Inc. Terminal device, data reception method, data recep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516497B2 (ja) * 2011-04-28 2014-06-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US9160497B2 (en) * 2012-07-02 2015-10-13 Intel Corporation Application continuity with reroute and re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6383996B2 (ja) * 2014-07-23 2018-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
DE112016007007T5 (de) 2016-06-22 2019-03-07 Intel Corporation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vollduplex-dis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3551B2 (ja) * 1994-11-28 2002-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
EP0762669B1 (en) * 1995-08-18 2011-06-15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Communication mode switching method for mobile station
US5826191A (en) * 1996-07-03 1998-10-2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ual mode network call forwarding activation and deactivation
US6580906B2 (en) * 1997-12-10 2003-06-17 Intel Corporation Authentication and secu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0088C (zh) 1997-12-10 2003-12-03 西尔可穆无线公司 多能力无线中继线寻址的通信系统和方法
US6208627B1 (en) * 1997-12-10 2001-03-27 Xircom, Inc. Signaling and protocol for communication system with wireless trunk
US6097817A (en) * 1997-12-10 2000-08-01 Omnipoint Corporation Encryption and decryption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wireless trunk
US8165028B1 (en) * 1997-12-10 2012-04-24 Intel Corporation Monitoring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wireless trunk
US6526026B1 (en) * 1997-12-10 2003-02-25 Intel Corporation Digit transmission over wireless communication link
DE19915548C2 (de) * 1999-04-07 2001-02-15 Plus Mobilfunk Gmbh E Verfahren zum Kombinieren von Festnetz- und Mobilfunktelefonie
US7251488B2 (en) 2002-06-28 2007-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services in integrated WLAN-cellular systems
US7460891B2 (en) * 2002-10-21 2008-12-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shut down and control computer radios
JP2004297121A (ja) * 2003-03-25 2004-10-21 Kyocera Corp 携帯端末
KR100500114B1 (ko) 2003-06-05 2005-07-11 주식회사 우진넷 독립적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방법
JP4352220B2 (ja) 2003-07-11 2009-10-2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接続装置、通信接続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190982B2 (ja) * 2003-09-03 2008-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7577427B2 (en) * 2003-11-05 2009-08-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transitioning between cellular and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US20050233700A1 (en) * 2004-04-14 2005-10-20 Pecen Mark E System 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KR20060003296A (ko) * 2004-07-05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망과 무선랜 사이의 핸드 오프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6080706A (ja) * 2004-09-08 2006-03-23 Nec Corp デュアル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デュアル通信方法
JP4530869B2 (ja) * 2005-02-15 2010-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VoIPゲートウエイ装置
JP5309430B2 (ja) * 2006-07-31 2013-10-0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105A (ko) 2008-02-11
JP5309430B2 (ja) 2013-10-09
EP2271065A1 (en) 2011-01-05
KR100962752B1 (ko) 2010-06-09
CN101119587A (zh) 2008-02-06
US8781481B2 (en) 2014-07-15
JP2008035420A (ja) 2008-02-14
US20080025273A1 (en) 2008-01-31
EP1885145A1 (en)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752B1 (ko) 네트워크 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922033B1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JP5103837B2 (ja) 通信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4101213B2 (ja) 音声通話方法、音声通話プログラムおよび音声通話装置
JP4760490B2 (ja) ネットワーク切り替え方法および携帯無線端末
JP200626186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移動局及びプログラム
JP200009254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無線携帯機器
JP6443689B2 (ja) 端末装置、翻訳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35239B2 (ja) 無線端末装置、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およびハンドオーバー制御プログラム
JP2002050998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5354640B2 (ja) 構内phs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負荷分散方法、phs端末、その動作方法及び動作プログラム
JP2013009054A (ja) 無線端末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2009044218A (ja) 親子電話システムおよび親子電話システムの構築方法
JP2006173925A (ja) 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2014217022A (ja) 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