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089A - 헤드폰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089A
KR20080033089A KR1020070101792A KR20070101792A KR20080033089A KR 20080033089 A KR20080033089 A KR 20080033089A KR 1020070101792 A KR1020070101792 A KR 1020070101792A KR 20070101792 A KR20070101792 A KR 20070101792A KR 20080033089 A KR20080033089 A KR 20080033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rd
headphone
winding
headphon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히로 이또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휴대성 및 조작성을 겸비한 종래보다 한층 더 우위성이 있는 헤드폰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폰(2)과 그 코드(2C)를 하우징(3)에 권취하도록 가압한 구조로 하우징(3) 내에 장착된 권취 기구(20)와, 사용자에게 장착하기 위한 소정 기구로 하우징(3)에 설치된 카라비너(5)와, 헤드폰(2)에 대해 음성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3) 또는 카라비너(5)에 부착된 솔잎끈(8)을 마련함으로써,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와 하우징(3)이 솔잎끈(8)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솔잎끈(8)을 통해 사용자에 장착되었을 때에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와 하우징(3)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장착시에 있어서의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적은만큼 번거로움을 경감하고, 또한 사용자가 소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에 대한 조작성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하우징, 카라비너, 솔잎끈, 헤드폰

Description

헤드폰 장치 {HEADPHONE DEVICE}
본 발명은 헤드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에 대해 이용되는 코드 권취 기구가 구비된 헤드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 전원이나 음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코드가 장착된 제품에 있어서, 그 코드를 권취하는 코드 권취 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일반적이지만, 헤드폰이나, 상기 헤드폰에 마이크로폰이 부착된 헤드셋에 있어서도, 수납시에 있어서의 코드의 얽힘 방지를 주목적으로 하여, 코드 권취 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한 중에, 휴대 전화기의 다기능화나, 수백 또는 수천의 악곡을 재생하는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등의 각종 휴대 기기의 진화에 의해, 한층 더 편리한 휴대성을 고려한 사용 방법이 헤드폰에 대해서도 요구되고 있다.
애당초 헤드폰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목으로부터 스트랩을 통해 가슴 부분에 매달린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에 접속하거나, 의복의 가슴 포켓이나 가방 내에 들어 있는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에 접속함으로써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311777 공보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헤드폰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목으로부터 스트랩을 통해 가슴 부분에 매달린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에 접속하여 이용되는 경우,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가 펜던트 등에 비해 비교적 무겁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발생시키거나, 계단 승강시 등에 가슴에의 압박감을 느끼게 하거나, 상의를 벗을 때에 방해가 되고, 구부린 상태로 손을 씻을 때에 물에 잠길 것 같아지는 등, 불편한 점이 많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헤드폰에 있어서는, 의복의 가슴 포켓에 들어 있는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 접속하여 이용되는 경우, 구부렸을 때에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가 낙하할 우려나, 무게나 크기 등의 제한에 의해 착용하는 양복의 제한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헤드폰에 있어서는, 가방 내에 들어 있는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에 접속하여 이용되는 경우,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를 넣기 위해 사용하는 가방의 모양에도 제약을 받고, 가방 내에 들어 있는 상태에서는 곡명 표시나, 음량·선곡 조작 등의 편리한 기능에 대한 조작을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성과 조작성을 겸비한 종래보다도 한층 더 우위성이 있는 헤드폰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헤드폰과, 상기 헤드폰의 헤드폰 코드를 하우징 내에 권취하도록 가압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된 권취 기구와, 사용자에 대해 장착하기 위한 소정 기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에 설치된 장착부와, 헤드폰에 대해 음성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전자 기기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 또는 장착부에 부착된 연결부를 설치함으로써, 전자 기기와 하우징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장착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에 전자 기기와 하우징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장착시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적은만큼 번거로움을 대폭 경감하고, 또한 사용자가 소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전자 기기에 대한 조작성이 손상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기기와 하우징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장착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에 전자 기기와 하우징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장착시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적은만큼 번거로움을 대폭 경감하고, 또한 사용자가 소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전자 기기에 대한 조작성이 손상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어, 이리하여 휴대성과 조작성을 겸비한 종래보다도 한층 더 우위성이 있는 헤드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1) 제1 실시 형태
(1-1)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외관 구성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부호 1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도시하지 않음)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 내의 권취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권취된 상태이며, 하우징(3)의 상단부에 설치된 가죽제의 홀더(4)를 통해 사용자 장착용의 훅으로서 이용되는 카라비너(carabiner)(5)가 부착된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도4의 (A) 및 도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라비너(5)는, 대략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 일부의 아암부(5A)가 지지점(5B)을 중심으로 삼각형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구조를 갖고, 통상은 지지점(5A)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가압력에 의해 아암부(5B)가 삼각형의 한 변을 형성하도록 위치하고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압박되었을 때에는, 그 가압력에 저항하여 아암부(5A)가 삼각형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예를 들어 바지의 벨트 고리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장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카라비너(5)는, 바지의 벨트 고리에 부착되고, 또한 하우징(3)을 보유 지지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반드시 그것 뿐만은 아니며, 헤드폰(2)에 대해 음악 신호 등을 공급하는 예를 들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도시)가 솔잎끈(8)(도1 내지 도3)을 통해 상기 카라비너(5)에 부착되거나, 상기 카라비너(5)에 열쇠 및 그 밖의 것이 부착되는 것까지도 상정한 강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에서는, 하우징(3)의 상단부에 설치된 직사각 형상의 개 구부(3A)를 통해 헤드폰(2)의 선단 부분인 귀 장착부(2A 및 2B)가 보유 지지되어 있고, 개구부(3A)보다도 귀 장착부(2A 및 2B)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권취 버튼9(도2 및 도3)에 대한 하방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서 하우징(3) 내부의 권취 기구가 동작함으로써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가 권취되었을 때, 상기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가 하우징(3)의 내부에 수납되어 버려, 취출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는, 하우징(3)의 표면에 고무제의 보호 커버(6)가 부착되어 있고, 이에 의해 카라비너(5)를 통해 하우징(3)과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도시하지 않음)가 배열된 상태로 부착되었을 때, 하우징(3)과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가 접촉하거나, 충돌하였을 때에, 쌍방에 흠집이 생기는 것, 그리고 쌍방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폰 장치(1)는, 보호 커버(6)가 피복되어 있지 않은 하우징(3)의 이면(3B)에 설치된 권취 버튼(9)의 근방으로부터, 예를 들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도시하지 않음) 등의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소정 코드 길이인 접속 코드(7)가 인출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3)을 피복하는 보호 커버(6)는 대략 중앙부에 권취 버튼(9)이 슬라이드 조작되었을 때의 이동 범위에 대응한 크기의 세로로 긴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조작 구멍(6A)이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하우징(3)의 개구부(3A)보다도 큰 사이즈의 개구부(6B)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하우징(3)의 접속 코드(7)와 대응한 위치에 코드 구멍(6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폰 장치(1)에서는, 하우징(3)에 보호 커버(6)가 피복된 상태에서 완성형이 되고, 하우징(3)의 접속 코드(7)가 보호 커버(6)의 코드 구멍(6C)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권취 버튼(9)이 슬라이드 조작 구멍(6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동시에, 홀더(4)가 보호 커버(6)의 개구부(6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보호 커버(6)는, 슬라이드 조작 구멍(6A)의 주위에 박판 형상이고 또한 도넛 형상인 접속 코드 권취부(6D)가 상기 보호 커버(6)의 표면(6E)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드 구멍(6C)으로부터 노출된 접속 코드(7)를 접속 코드 권취부(6D)와 표면(6E)과의 사이에 권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헤드폰 장치(1)는 보호 커버(6)의 코드 구멍(6C)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접속 코드(7)를 접속 코드 권취부(6D)와 표면(6E)과의 사이에 권취함으로써, 그 길이를 짧게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도2), 접속 코드(7)를 접속 코드 권취부(6D)와 표면(6E)과의 사이에 권취하지 않을 때에는, 그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한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도3).
이때 보호 커버(6)가 예를 들어 탄력성이 있는 고무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 코드(7)가 보호 커버(6)의 탄성력에 의해 접속 코드 권취부(6D)와 표면(6E)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권취량에 의해 길이 조정된 임의의 위치에서 보유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접속 코드 권취부(6D)는, 보호 커버(6)의 표면(6E)으로부터 약간 돌출 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조작 구멍(6A)의 내측에서 노출된 권취 버튼(9)이 접속 코드 권취부(6D)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이 없어, 부주의하게 권취 버튼(9)이 조작되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덧붙여, 권취 버튼(9)이 누름 조작식 버튼이 아닌, 슬라이드 조작식 버튼으로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주의하게 오조작되기 어렵고, 접속 코드 권취부(6D)의 표면으로부터 권취 버튼(9)이 돌출되지 않는 구조와 더불어, 이중의 오류 조작 방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실제상,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폰 장치(1)는 보호 커버(6)에 의해 피복된 하우징(3)이 홀더(4)를 통해 카라비너(5)에 부착되고, 또한 그 카라비너(5)에 대해 솔잎끈(8)을 통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폰 장치(1)에서는, 보호 커버(6)의 코드 구멍(6C)으로부터 노출된 접속 코드(7)의 플러그(7A)를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의 잭(PLJ)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헤드폰 장치(1)와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도 접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헤드폰 장치(1)는, 이 상태에서 카라비너(5)가 바지의 벨트 고리에 장착되면, 사용자가 헤드폰 장치(1) 및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휴대하면서, 상기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에 의해 재생된 음악 신호를 접속 코드(7)를 통해 헤드폰(2)에 공급하여, 상기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악을 청취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1-2)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권취 기구
계속해서, 헤드폰 장치(1)에 있어서의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 기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8 및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 기구(20)는 그 대략 중심에 배치된 릴(21)이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착판(22)을 통해 하우징(3)에 부착되고, 그 부착판(22)에 꽂힌 지지축(23)에 의해 상기 릴(21)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릴(21)(도9)의 중심측 하방에서 지지축(23)의 주위에 설치된 오목부(24) 내에는,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를 권취하기 위한 태엽 스프링(25)이 수납되어 있고, 그 태엽 스프링(25)이 수납된 오목부(24)가 덮개부(26)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릴(21)의 상면에는, 래칫(31)(도8)이 형성되어 있고, 그 래칫(31)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로크용 갈고리부(32)와 로크 레버(33)의 선단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로크 레버(33)가 배치되는 동시에, 그 로크 레버(33)가 부착판(22)에 지지점 핀(34)을 통해 축 지지된다.
또한 로크 레버(33)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지점 핀(34)의 근방 부분과 부착판(22)의 일부가 스프링(35)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통상시 이 스프링(35)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로크 레버(33)의 선단부가 래칫(31)에 압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로크 레버(33)는, 하우징(3)의 대략 중심에 슬라이드 가능한 조작 버튼(33A)이 위치하고, 상기 조작 버튼(33A)이 하방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었을 때, 지지점 핀(34)을 중심으로 하여 로크 레버(33)가 시계 방향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로크 레버(33)의 선단부와, 래칫(31)의 로크용 갈고리부(32)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권취 기구(20)에서는 태엽 스프링(25)에 의해 회전된 릴(21)에 대해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를 권취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33)의 조작 버튼(33A)은 하우징(3)의 이면(3B)의 외측에 위치하는 권취 버튼(9)(도2, 도3, 도5 및 도6)과, 이면(3B)의 내측에 위치하는 조작 버튼(33A)이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고, 권취 버튼(9)에 대한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서 조작 버튼(33A)도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도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폰 장치(1)에서는 예를 들어 하우징(3)을 사용자의 오른손으로 잡게 하고,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를 사용자의 왼손으로 잡으면서 당겨 나오게 함으로써, 태엽 스프링(2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헤드폰 코드(2C)가 인출된다.
그 도중에서 사용자가,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를 하우징(3)으로부터 당겨 나오게 하는 것을 멈춘 경우, 그 시점에서 로크 레버(33)(도8)의 선단부와, 래칫(31)의 로크용 갈고리부(32)가 결합되어, 헤드폰 코드(2C)가 소정의 길이로 유지되게 된다.
그 후, 헤드폰 장치(1)에서는 도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의 이면측에 있는 권취 버튼(9)이 하방으로 슬라이드 조작된 경우, 로크 레버(33)의 선단부와, 래칫(31)의 로크용 갈고리부(32)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태엽 스프링(25)의 가압력에 의해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를 하우징(3) 내의 릴(21)에 권취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때에도, 하우징(3)의 개구부(3A)가 귀 장착부(2A 및 2B)의 사이즈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권취 버튼(9)에 대한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서 헤드폰 코드(2C)가 릴(21)에 권취되었을 때, 상기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가 하우징(3)의 개구부(3A)에서 보유 지지되어, 하우징(3)의 내부에 수납되어 버리는 일이 없도록 이루어져 있다.
덧붙여, 헤드폰 장치(1)(도8)에서는,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가 분기부(2H)로부터 귀 장착부(2A) 및 귀 장착부(2B)를 향하는 코드 부분(2AP 및 2BP)으로 분기된 2가닥 구조로 되어 있고, 그 2가닥의 코드 부분(2AP 및 2BP)이 헤드폰 코드(2C)의 권취 중에 얽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안이 실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폰 장치(1)는,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 기구(20)의 릴(21)의 폭 방향에 대한 내측 두께(d)보다도, 하우징(3)의 상단부에 설치된 개구부(3A)의 폭(D)이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헤드폰 장치(1)에서는 헤드폰 코드(2C)에 있어서의 귀 장착부(2A 및 2B)까지의 2가닥의 코드 부분(2AP 및 2BP)이 릴(21)에 권취될 때, 2가닥의 코드 부분(2AP 및 2BP)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커져, 서로 얽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1-3)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헤드폰 장치(1)에서는 카라비너(5)를 통해 예를 들어 바지의 벨트 고리에 하우징(3)을 장착시킬 수 있고, 그 상태에서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를 사용자에 의해 당겨 나오게 함으로써 헤드폰 코드(2C)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정시킬 수 있다.
그 상태에서 헤드폰 장치(1)는, 솔잎끈(8)에 의해 카라비너(5)에 연결된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을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로부터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헤드폰 장치(1)에서는, 사용시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사용자의 가슴 부분에 위치하는 일이 없으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목으로부터 스트랩을 통해 가슴 부분으로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매달리는 일이 없어, 그에 의해 가슴 부분에 압박감을 느끼거나, 위화감을 발생시키거나, 계단 승강시 등에 가슴에의 압박감을 느끼게 하거나, 상의를 벗을 때에 방해가 되거나, 구부린 상태에서 손을 씻을 때에 세면대의 물에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잠길 것 같아지는 등, 불편한 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는, 종래와 같이 의복의 가슴 포켓에 들어 있는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에 접속하여 이용되는 경우, 구부렸을 때에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낙하할 우려나,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의 무게나 크기 등의 제한에 의해 착용하는 양복이 제한되어 버린다고 하는 사태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는, 손의 위치에 가까운 사용자의 허리부에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소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대해 곡명 표시나, 음량·선곡 조작 등의 편리한 기능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는, 카라비너(5)를 통해 하우징(3)이 장착되는 것에 더하여,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에 대해서도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하우징(3) 및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카라비너(5)를 통해 병렬로 장착되게 되어, 바지의 벨트 고리에 카라비너(5)를 통해 장착되었을 때, 이른바 키 홀더와 같이 하우징(3) 및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배열되게 되어 사용시의 패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헤드폰 장치(1)는 사용자에 대해 하우징(3)의 권취 버튼(9)을 슬라이드 조작시키는 것만으로, 순식간에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를 하우징(3)의 내부에 권취할 수 있다.
이때 헤드폰 장치(1)에서는,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를 하우징(3)의 개구부(3A)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헤드폰(2) 및 귀 장착부(2A 및 2B)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귀 장착부(2A 및 2B)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는, 미사용시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3C)를 하우징(3)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헤드폰(2) 및 헤드폰 코드(2C)가 허리부 부근에서 방해되는 일이 없어, 미사용시에 있어서도 휴대성 및 패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는, 사용자의 의복에 장착된 경우, 카라비너(5)의 솔잎끈(8)을 통해 연결된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와, 카라비너(5)에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3)이, 사용자의 보행시 등에 요동되어 서로 충돌하지만, 그러한 경우라도 하우징(3)에 보호 커버(6)가 피복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 및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헤드폰 장치(1)는 휴대성과 조작성을 동시에 겸비한 구조에 의해, 종래보다도 한층 더 우위성 및 사용자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4)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에게 장착하기 위한 카라비너(5)에 대해 부착된 솔잎끈(8)을 통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연결시키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3)의 하방에 솔잎끈(8)을 부착하고, 그 솔잎끈(8)을 통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연결시키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에 대해 솔잎끈(8)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40)를, 헤드폰 코드(2C)의 권취 기구(20)(도8 및 도9)와는 별도로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부착 기구(40)에서는, 하우징(3)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 빨래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홀더(41)가 2개의 아암부(41A 및 41B)를 갖고, 그 아암부(41A 및 41B)의 선단부(41AS 및 41BS)를, 지지점(41AT 및 41BT)을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부착 기구(40)에서는 통상시, 아암부(41A)의 선단부(41AS) 및 아암부(41B)의 선단부(41BS)가 스프링(41C)의 가압력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홀더(41)는 통상시, 그 선단부(41AS 및 41BS)의 내측에서 솔잎끈 보 유 지지부(43)를 홀드하고 있고, 그 솔잎끈 보유 지지부(43)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는 솔잎끈(8)이 하우징(3)의 하방으로부터 매달리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솔잎끈 보유 지지부(43)는,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가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바닥부에 솔잎끈(8)만을 통과시키는 작은 관통 구멍(43A)(도13)이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상부에는 홀더(41)의 선단부(41AS 및 (41BS)에서 보유 지지되기 위한 플랜지부(43B)(도14)가 형성되어 있다.
솔잎끈(8)은, 그 한쪽에 소정 사이즈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볼부(8A)가 마련되어 있고, 이것이 솔잎끈 보유 지지부(43)의 바닥부에서 누락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솔잎끈(8)을 솔잎끈 보유 지지부(43)로부터 취출하여 끈의 도중에 매듭을 만들면, 그것이 볼부(8A) 대신에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되어, 그에 의해 하우징(3)의 하방으로부터 매달리는 솔잎끈(8)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솔잎끈 보유 지지부(43)는, 하우징(3)의 하방으로부터 홀더(41)의 내부로 압입되었을 때, 플랜지부(43B)의 주위 측면에서 홀더(41)의 아암부(41A 및 41B)에 있어서의 선단부(41AS 및 41BS)를 눌러 확장하여, 그 선단부(41AS 및 41BS)에 있어서의 갈고리부(41AF 및 41BF)와 플랜지부(43B)가 결합된 결과, 홀더(41)에 보유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2개의 아암부(41A 및 41B)에서는,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 아암부(41A 및 41B)에 의해 끼워진 내측 공간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가 부여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역T자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더(44)의 해제 버튼(45)이 화살표 방향의 하방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었을 때, 스프링(41C)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아암부(41A 및 41B)의 간격이 눌려 확장되고, 그 결과 솔잎끈 보유 지지부(43)의 플랜지부(43B)와 홀더(41)의 갈고리부(41AF 및 41BF)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홀더(41)로부터 솔잎끈 보유 지지부(43)가 제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슬라이더(44)는, 통상시 슬라이더 스프링(46)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고 있어, 해제 버튼(45)이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지 않는 한, 홀더(41)에 있어서의 아암부(41A 및 41B)의 간격이 눌려 확장되는 일은 없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홀더(41)에 솔잎끈 보유 지지부(43)가 한번 부착된 후에는, 슬라이더(44)가 해제 버튼(45)을 통해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지 않는 한, 홀더(41)로부터 솔잎끈 보유 지지부(43)가 해제되는 일은 없다.
물론, 이 경우도 솔잎끈 보유 지지부(43)로부터 솔잎끈(8)을 떼어내어, 그 솔잎끈(8)을 카라비너(5)에 부착하면, 솔잎끈(8)을 통해 카라비너(5)에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헤드폰 장치(1)에서는, 하우징(3)의 하방에 매달린 솔잎끈(8)을 통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직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동시에, 솔잎끈(8)을 통해 카라비너(5)에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장착할 수도 있으므로, 하우징(3)에 대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장착할 때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우징(3)의 이면(3B)으로부터 인출된 접속 코드(7)를 보호 커버(6)의 접속 코드 권취부(6D)와 보호 커버(6)의 표면(6E)과의 사이에 권취함으로써, 그 길이를 조정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 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3)의 내부에 코드 수납 공간을 마련하여, 그곳에 불필요한 코드 부분을 수납함으로써 그 길이를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도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된 부착 기구(40)의 부근에 코드 수납 공간(50)이 형성된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3)의 하방으로부터 접속 코드(7)의 불필요한 코드 부분을 그 코드 수납 공간(50)에 압입함으로써,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에서는 코드 수납 공간(50)에 접속 코드(7)를 수납할 때의 개구부(51)가 예를 들어 표주박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 코드(7)에 있어서의 코드 부분의 직경보다도 큰 수납부(51A)를 통해 상기 코드 부분이 코드 수납 공간(50)에 압입된 후, 그 코드 부분의 직경보다도 작은 보유 지지부(51B)에 압입됨으로써, 코드 부분의 표면이 약간 눌려 찌부러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속 코드(7)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정한 후, 개구부(51)의 보유 지지부(51B)에서 보유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코드 부분의 나머지가 하우징(3)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 없이, 그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를 하우징(3) 내부의 릴(21)에 권취시킨 경우, 그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를 하우징(3)의 개구부에서 보유 지지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3)의 표면에 설치된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유 지지부를 통해 귀 장착부(2A 및 2B)를 부착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의 표면에 부착 고정용 볼록부(55A 및 55B)가 설치된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부(55A 및 55B)에 대해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가 하우징(3) 내부의 릴(21)에 권취된 상태에서 귀 장착부(2A 및 2B)가 하우징(3)의 표면에 부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이 이외에도 하우징(3)의 표면에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를 부착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 구조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2개의 오목부에 대해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가 하우징(3) 내부의 릴(21)에 권취된 상태에서 귀 장착부(2A 및 2B)가 하우징(3)의 표면에 부착 고정되게 된다.
(2) 제2 실시 형태
(2-1)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외관 구성
도1 내지 도3과의 대응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17 내지 도19에 있어서, 부호 100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도시하지 않음)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1) 내의 권취 기구(20)(도8 및 도9)에 의해 권취된 상태이며, 하우징(101)의 상단부에서 사용자 장착용의 카라비너(102)가 일체적으로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이 카라비너(102)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1)의 상단부에서 일체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1)와 같이 헤드폰(2)과 하우징(3)이 별개의 부재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헤드폰 장치(100) 전체를 바지의 벨트 고리에 장착 가능한 일체감을 만들어 내고 있다.
또한 카라비너(102)는, 그 일부인 아암부(104)가 지지점(103)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절곡 가능한 구조를 갖고, 통상은 지지점(103)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가압력에 의해 아암부(104)가 대략 역U자 형상의 한 변을 형성하고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눌렸을 때에는, 그 가압력에 저항하여 아암부(104)가 대략 역U자 형상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바지의 벨트 고리에 장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카라비너(102)에 있어서도, 바지의 벨트 고리에 장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반드시 그것만은 아니며, 헤드폰(2)에 대해 음악 신호 등을 공급하는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솔잎끈(8)을 통해 상기 카라비너(102)에 장착되거나, 상기 카라비너(102)에 열쇠, 그 밖의 것이 장착되는 것도 상정한 강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00)에서는, 하우징(101)의 상단부이며, 카라비너(102)의 내측에 설치된 개구부(105)를 통해 헤드폰(2)의 선단 부분에 있는 귀 장착부(2A 및 2B)가 보유 지지되어 있고, 개구부(3A)의 사이즈보다도 귀 장착부(2A 및 2B)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권취 버튼(9)(도18 및 도19)에 대한 하방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서 권취 기구가 동작함으로써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도시하지 않음)가 권취되었을 때, 상기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가 하우징(101)의 내 부에 수납되어 버려, 취출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동시에, 헤드폰 장치(100)에서는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도시하지 않음)가 하우징(101)의 내부에 권취되었을 때, 하우징(101)의 상단부와 카라비너(102)의 내측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에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가 위치하게 되므로, 그 귀 장착부(2A 및 2B)를 카라비너(102)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00)는, 하우징(101)의 표면에 고무제의 보호 커버(106)가 부착되어 있고, 이에 의해 카라비너(102)를 통해 하우징(101)과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도시하지 않음)가 배열된 상태로 부착되었을 때, 하우징(101)과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가 접촉하거나 충돌하였을 때에, 쌍방에 흠집이 생기는 것, 그리고 쌍방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헤드폰 장치(100)의 하우징(101)은, 그 이면의 권취 버튼(9)의 근방으로부터, 예를 들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도시하지 않음) 등의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코드(7)가 보호 커버(106)의 코드 구멍(106C)(도19)을 통해 인출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01)을 피복하는 보호 커버(106)는, 대략 중앙부에 권취 버튼(9)이 슬라이드 조작되었을 때의 이동 범위에 대응한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세로로 긴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조작 구멍(106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폰 장치(100)에서는, 하우징(101)에 보호 커버(106)가 피복된 상태에서 완성형이 되고, 하우징(101)의 접속 코드(7)가 보호 커버(106)의 코드 구 멍(106C)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권취 버튼(9)이 슬라이드 조작 구멍(106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보호 커버(106)는, 슬라이드 조작 구멍(106A)의 주위에 박판 형상이고 또한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코드 권취부(106D)가 상기 보호 커버(106)의 표면(106E)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 구멍(106C)으로부터 노출된 접속 코드(7)를 접속 코드 권취부(106D)와 표면(106E)과의 사이에 권취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헤드폰 장치(100)는 보호 커버(106)의 코드 구멍(106C)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접속 코드(7)를 접속 코드 권취부(106D)와 표면(106E)과의 사이에 권취함으로써, 그 길이를 짧게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 코드(7)를 접속 코드 권취부(106D)와 표면(106E)과의 사이에 권취하지 않을 때에는, 그 길이를 최대한 길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보호 커버(106)가 탄력성이 있는 고무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 코드(7)가 보호 커버(106)의 탄성력에 의해 접속 코드 권취부(106D)와 표면(106E)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임의로 길이 조정된 위치에서 보유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접속 코드 권취부(106D)는 보호 커버(106)의 표면(106E)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조작 구멍(106A)의 내측에서 노출된 권취 버튼(9)이 접속 코드 권취부(106D)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이 없어, 부주의하게 권취 버튼(9)이 조작되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덧붙여, 권취 버튼(9)이 압하 조작식 버튼이 아닌, 슬라이드 조작식 버튼으로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주의하게 조작되기 어렵고, 접속 코드 권취부(106D)의 면으로부터 권취 버튼(9)이 돌출되지 않는 구조와 더불어, 이중의 오류 조작 방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실제상, 도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폰 장치(100)는 보호 커버(106)에 의해 피복된 하우징(101)과 일체화된 카라비너(102)에 대해 솔잎끈(8)을 통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헤드폰 장치(100)에서는, 하우징(101)으로부터 보호 커버(106)의 코드 구멍(106C)을 통해 노출된 접속 코드(7)의 플러그(7A)를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의 잭(PLJ)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헤드폰 장치(100)와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도 접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헤드폰 장치(100)는, 이 상태에서 카라비너(102)가 바지의 벨트 고리에 부착되면, 사용자가 헤드폰 장치(100) 및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휴대하면서, 상기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에 의해 재생된 음악 신호를 접속 코드(7)를 통해 헤드폰(2)에 공급하여, 상기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를 통해 음악을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2-2)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권취 기구
헤드폰 장치(100)의 하우징(101) 내부에 설치된 권취 기구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1)의 권취 기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편의상 그 설명을 생략한다.
(2-3)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헤드폰 장치(100)는 카라비너(102)를 통해 예를 들어 바지의 벨트 고리에 하우징(101)을 장착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를 사용자에 의해 당겨 나오게 함으로써 헤드폰 코드(2C)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정시킬 수 있다.
그 상태에서 헤드폰 장치(100)는, 솔잎끈(8)에 의해 카라비너(102)에 연결된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을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로부터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헤드폰 장치(100)에서는 사용시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사용자의 가슴 부분에 위치하는 일이 없으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목으로부터 스트랩을 통해 가슴 부분에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매달리는 일이 없고, 그에 의해 가슴 부분에 압박감을 느끼거나, 위화감을 발생시키거나, 계단 승강시 등에 가슴으로의 압박감을 느끼게 하거나, 상의를 벗을 때에 방해가 되거나, 구부린 상태에서 손을 씻을 때에 세면대의 물에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잠길 것 같아지는 등, 불편한 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00)는, 종래와 같이 의복의 가슴 포켓에 넣어진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에 접속하여 이용되는 경우, 구부렸을 때에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낙하할 우려나,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의 무게나 크기 등의 제한에 의해 착용하는 양복이 제한되어 버린다고 하는 사태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00)는, 손의 위치에 가까운 사용자의 허리부에서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소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대해 곡명 표시나, 음량·선곡 조작 등의 편리한 기능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00)는, 카라비너(102)와 일체화된 하우징(101)을, 상기 카라비너(102)를 통해 직접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하는 것에 더하여,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에 대해서도 카라비너(102)를 통해 장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하우징(101) 및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카라비너(102)를 통해 병렬로 부착되게 되고, 바지의 벨트 고리에 카라비너(102)를 통해 장착되었을 때, 이른바 키 홀더와 같이 하우징(101) 및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가 배열되게 되어, 사용시의 패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헤드폰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해 하우징(101)의 권취 버튼(9)을 슬라이드 조작시키는 것만으로, 순식간에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를 하우징(101)의 내부에 권취할 수 있다.
이때 헤드폰 장치(100)에서는, 헤드폰(2)의 귀 장착부(2A 및 2B)를 하우징(101)의 개구부(105)의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하우징(101)과 카라비너(102)에 의해 만들어 내어지는 공간에 귀 장착부(2A 및 2B)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귀 장착부(2A 및 2B)를 카라비너(102)에 의해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귀 장착부(2A 및 2B)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00)는, 미사용시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를 하우징(101)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헤드폰(2) 및 헤드폰 코드(2C)가 허리부 부근에서 방해가 되는 일이 없어, 미사용시에 있어서도 휴대성 및 패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폰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복에 장착된 경우, 카라비너(102)의 솔잎끈(8)을 통해 연결된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와, 카라비너(102)와 일체화된 하우징(101)이, 사용자의 보행시 등에 요동되어 서로 충돌하지만, 그러한 경우라도 하우징(101)에 보호 커버(106)가 피복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01) 및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헤드폰 장치(100)는 휴대성과 조작성을 동시에 겸비한 구조에 의해, 종래보다도 한층 더 우위성 및 사용자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4) 제2 실시 형태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에게 장착하기 위한 카라비너(102)에 대해 부착된 솔잎끈(8)을 통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연결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1)의 하우징(3)과 마찬가지로 도13의 대응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하방에 부착 기구(40)를 통해 솔잎끈(8)을 부착하여, 그 솔잎끈(8)을 통해 하우징(101)과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연결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솔잎끈(8)의 부착 기구(40)로서는, 도12에서 나타낸 부착 기구(40)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편의상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우징(101)의 이면으로부터 인출된 접속 코드(7)를 보호 커버(106)의 코드 권취부(106D)와 보호 커버(106)의 표면(106E) 사이에 권취함으로써, 그 길이를 조정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15의 대응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내부에 코드 수납 공간(50)을 마련하여, 그곳에 불필요한 코드 부분을 수납함으로써, 그 길이를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도 코드 수납 공간(50)으로서는, 도15에서 나타낸 코드 수납 공간(50)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여기서는 편의상 그 설명을 생략한다.
(3)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라비너(5) 또는 카라비너(102)를 통해 헤드폰 장치(1) 또는 헤드폰 장치(100)가 바지의 벨트 고리에 부착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드시 사용자의 의류뿐만 아니라, 가방 등 사용자가 소지하는 물품 등에 부착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속 코드(7)를 접속 코드 권취부(6D, 106D)와 표면(6E, 106E)과의 사이에 권취함으로써, 그 길이를 조정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23 및 도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코드(7) 대신에 컬 코드(150)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속 코드(7)를 대략 원 형 상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코드 권취부(6D, 106D)와 표면(6E, 106E)과의 사이에 권취함으로써, 그 길이를 조정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속 코드(7)를 권취할 수 있는 구조이면, 원 형상 이외의 직사각 형상 등 그 밖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코드 권취부와 표면(6E, 106E)과의 사이에 권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래칫(31)의 로크용 갈고리부(32)와 로크 레버(33)의 선단부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에 헤드폰(2)의 헤드폰 코드(2C)를 릴(21)에 권취하는 권취 기구(20)를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른바 볼 베어링을 이용한 권취 기구를 이용하거나, 그 밖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권취 기구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착 수단 및 훅으로서의 카라비너(5)가 대략 삼각 형상의 폐쇄된 내측 공간에 바지의 벨트 고리를 거는 구조로 하고, 또한 장착 수단 및 훅으로서의 카라비너(102)에 대해서도 하우징(101)과 일체화된 것에 의해 형성된 대략 역U자 형상의 내측 공간에 바지의 벨트 고리를 거는 구조로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도중의 나사부(155A)에서 분리 가능한 와이어(155)를 장착 수단으로서 이용하거나, 혹은 폐쇄된 내측 공간을 갖지 않는 일반적인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훅이나 그 밖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장착 수단에 의해 사용자에게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부로서 솔잎끈(8)을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철사 형상의 끈, 사슬 등,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PL)를 연결할 수 있으면, 그 밖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는,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이외의 예를 들어 음악 재생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기나 소형 모바일 컴퓨터 등의 그 밖의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제1 개략 선적 사시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제2 개략 선적 사시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제3 개략 선적 사시도.
도4는 카라비너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
도5는 하우징의 이면 및 보호 커버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
도6은 접속 코드의 길이 조정 방법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
도7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
도8은 권취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9는 릴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 단면도.
도10은 권취 버튼과 조작 버튼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11은 헤드폰 코드의 권취 방법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
도12는 릴과 개구부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 단면도.
도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솔잎끈의 부착 기구를 도시하는 제1 개략 선도.
도14는 솔잎끈 보유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
도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코드의 수납 구조를 도시하는 제1 개략 선도.
도16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코드의 장착 고정 방법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 선도.
도1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제1 개략 선적 사시도.
도1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제2 개략 선적 사시도.
도1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제3 개략 선적 사시도.
도2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장치의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
도21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솔잎끈의 부착 기구를 도시하는 제2 개략 선도.
도22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코드의 수납 구조를 도시하는 제3 개략 선도.
도23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컬 코드를 도시하는 제1 개략 선도.
도24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컬 코드를 도시하는 제2 개략 선도.
도25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를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 헤드폰 장치
2 : 헤드폰
3, 101 : 하우징
4, 41 : 홀더
5, 102 : 카라비너
6, 106 : 보호 커버
7 : 접속 코드
8 : 솔잎끈
9 : 권취 버튼
21 : 릴
22 : 부착판
23 : 지지축
24 : 오목부
25 : 태엽 스프링
31 : 래칫
32 : 로크용 갈고리부
33 : 로크 레버
34, 103 : 지지점
35 : 스프링
40 : 길이 조정 기구
43 : 솔잎끈 보유 지지부
44 : 슬라이더
45 : 해제 버튼
46 : 슬라이더 스프링
50 : 코드 수납부
104 : 아암부
105 : 개구부

Claims (14)

  1. 전자 기기와 접속 코드를 통해 접속되는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헤드폰의 헤드폰 코드를 상기 하우징 내에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대해 장착시키는 장착부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장착부 중 어느 한쪽과, 상기 전자 기기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접속 코드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 코드의 길이를 조정 가능한 길이 조정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 코드의 길이를 조정 가능한 원 형상의 길이 조정부를 갖고,
    그 원 형상의 내측에, 상기 권취부를 동작시키는 권취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 코드로서 신축 가능한 컬 코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권취부에 의해 상기 헤드폰 코드가 권취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코드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귀 장착부의 대부분을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 가능하게 하는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권취부에 의해 상기 헤드폰 코드가 권취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코드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귀 장착부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표면에 보호하는 보호부가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부착된 끈 보유 지지부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끈이며, 상기 끈 보유 지지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제 거되었을 때 상기 끈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상기 끈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 코드의 길이를 조정 가능한 원 형상의 길이 조정부를 갖고,
    그 원 형상의 내측에, 상기 권취 기구를 동작시키는 권취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설치된 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설치된 대략 역U자 형상의 훅이며, 상기 훅의 내측에 상기 헤드폰 코드의 개구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0101792A 2006-10-11 2007-10-10 헤드폰 장치 KR200800330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77872 2006-10-11
JP2006277872A JP4899770B2 (ja) 2006-10-11 2006-10-11 ヘッドホ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089A true KR20080033089A (ko) 2008-04-16

Family

ID=3892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792A KR20080033089A (ko) 2006-10-11 2007-10-10 헤드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29154B2 (ko)
EP (1) EP1912467A3 (ko)
JP (1) JP4899770B2 (ko)
KR (1) KR20080033089A (ko)
CN (1) CN10116334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25B1 (ko) * 2010-04-19 2011-09-29 박철웅 단조성형방식으로 제작 가능한 클램프본체를 포함하는 전력선 클램프장치
WO2017171240A1 (ko) * 2016-03-29 2017-10-05 유영상 열쇠고리 형 케이블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2863B2 (ja) * 2007-05-18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吊下げ装置
US8249286B2 (en) * 2009-08-24 2012-08-21 Koss Corporation Interconnecting earphones
US8147270B1 (en) 2009-09-24 2012-04-03 Jeffrey Wescott Cord management method and sleeve for ends of Y-shaped cords
JP5418434B2 (ja) * 2010-07-22 2014-02-1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ヘッドホン
US20120314896A1 (en) * 2011-06-07 2012-12-13 Kevin Bryant Retractable Audio Cord Device
US9241209B2 (en) 2013-06-25 2016-01-19 Google Inc. Headphones with adaptable fit
USD719132S1 (en) * 2013-06-25 2014-12-09 Google Inc. Headphone assembly
USD719131S1 (en) * 2013-06-25 2014-12-09 Google Inc. Headphone assembly
US9820028B2 (en) 2014-03-21 2017-11-14 Robert J. Long Cord management device
JP6202279B2 (ja) * 2014-09-08 2017-09-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紐付入力ペン及び携帯電子機器
USD788079S1 (en) * 2016-01-08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9788097B2 (en) * 2016-01-29 2017-10-10 Big O LLC Multi-function bone conducting headphones
CN107334577B (zh) * 2016-10-31 2023-07-04 赵宁 用于核磁共振检查的消音耳机
USD857649S1 (en) * 2017-06-22 2019-08-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attery compartment locking mechanism
USD890696S1 (en) 2017-07-21 2020-07-21 Google Llc Earbud charging case
USD867326S1 (en) 2017-07-21 2019-11-19 Google Llc Wireless earbuds
USD896781S1 (en) 2017-08-04 2020-09-22 Google Llc Audio assembly
USD844586S1 (en) 2017-08-04 2019-04-02 Google Llc Audio assembly
USD879075S1 (en) 2018-07-11 2020-03-24 Google Llc Earbud stand assembly
CN109511046B (zh) * 2019-01-14 2020-12-18 安徽松之梦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
USD907597S1 (en) * 2019-03-06 2021-01-12 Skullcandy, Inc. Earbud headset
CN112788464B (zh) * 2021-01-22 2022-12-06 深圳市奥凯睿科技有限公司 一种带耳机线自动收纳装置的耳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892044A1 (en) 1989-06-23 1991-01-02 Loctite Ireland Ltd Photoresists formed by polymerisation of di-unsaturated¹monomers
JPH0342662U (ko) * 1989-09-01 1991-04-23
JPH06269073A (ja) * 1993-03-09 1994-09-22 Sony Corp イヤホンおよびイヤホンコードの巻取り装置
GB2280168A (en) * 1993-07-20 1995-01-25 Joyce Li Rewinder for earphone leads
JP3042662B2 (ja) 1993-10-18 2000-05-15 鹿島建設株式会社 アースオーガスクリューシャフトの自動接合・切離し装置
JPH08237349A (ja) * 1995-02-22 1996-09-13 Meiku Kogyo:Kk 携帯電話用イヤホンコード巻取装置
GB2322618B (en) * 1997-02-28 1999-08-04 John Quentin Phillipps Electronic data processing apparatus
KR20010103042A (ko) * 1999-03-09 2001-11-17 박규진 단말기 휴대장치 및 단말기와 이어폰의 휴대장치
JP2001127864A (ja) * 1999-10-29 2001-05-11 Suriibii Enterprises Japan:Kk 携帯電話機用イヤホンマイク及び携帯電話機
CN2445522Y (zh) * 2000-08-16 2001-08-29 张文箱 可自动卷收的手持电话耳机
CN2507194Y (zh) * 2001-08-24 2002-08-21 强竣股份有限公司 耳机收纳盒
US6912291B2 (en) * 2001-10-10 2005-06-28 Fang Tien Huang Structure of a receptacle for earphone wire
AU2002952124A0 (en) * 2002-01-24 2002-10-31 Phillip Lee Johnson Personal device fastening system
KR100500218B1 (ko) * 2003-09-15 2005-07-12 크레신 주식회사 휴대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JP3900168B2 (ja) 2004-04-22 2007-04-04 ソニー株式会社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JP2005051805A (ja) * 2004-08-17 2005-02-24 Yuichi Yamasaki コードリール
JP4278625B2 (ja) * 2005-03-09 2009-06-17 康利 松田 携帯電話用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25B1 (ko) * 2010-04-19 2011-09-29 박철웅 단조성형방식으로 제작 가능한 클램프본체를 포함하는 전력선 클램프장치
WO2017171240A1 (ko) * 2016-03-29 2017-10-05 유영상 열쇠고리 형 케이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2467A3 (en) 2012-01-04
CN101163349A (zh) 2008-04-16
JP2008098925A (ja) 2008-04-24
JP4899770B2 (ja) 2012-03-21
US8229154B2 (en) 2012-07-24
US20080089544A1 (en) 2008-04-17
CN101163349B (zh) 2013-11-13
EP1912467A2 (en)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3089A (ko) 헤드폰 장치
JP4231525B2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US20070235493A1 (en) Personal Electronic Device Carrier
JP2005318112A (ja)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US20110034134A1 (en) Hands-Free Cell Phone Jewelry
US20150139469A1 (en) Secure Storage Device for Wireless Headsets
JP2009253436A (ja) 電話機の送受話器、携帯電話機及び小型電子機器等保持具
KR101374008B1 (ko) 블루투스 이어폰
US20050148313A1 (en) Headset cord retainer
JP2006345310A (ja) 収納ケース付ヘッドホン装置及びヘッドホン装置
JP2009195580A (ja) ロック機構付き付勢巻取り装置
JP2001169382A (ja) イヤホン装置
KR200378096Y1 (ko) 손등 부착용 휴대폰 홀더
US20130152766A1 (en) Cord retainer device and method
KR101472566B1 (ko) 휴대용 이어폰 케이스
CN219962149U (zh) 防丢装置
KR101489095B1 (ko) 이어폰 수납 및 정리가 가능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JP4394731B1 (ja) 携帯品の携行具
KR200204783Y1 (ko) 목걸이형 휴대 오디오 플레이어
KR200427806Y1 (ko) 음향기기 케이스.
JP4453930B2 (ja) 携帯品の携行具
KR200388424Y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기기의 목걸이
JP3138473U (ja) 携帯型音楽画像再生装置用スタンド兼クリップ
JP2009010905A (ja) 携帯デバイス用固定具
KR200428253Y1 (ko) 이어폰줄 정리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