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535A -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 Google Patents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535A
KR20080030535A KR1020070098384A KR20070098384A KR20080030535A KR 20080030535 A KR20080030535 A KR 20080030535A KR 1020070098384 A KR1020070098384 A KR 1020070098384A KR 20070098384 A KR20070098384 A KR 20070098384A KR 20080030535 A KR20080030535 A KR 20080030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mp body
lamp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1354B1 (ko
Inventor
토모유키 마루야마
준이치 나카타케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68760A external-priority patent/JP48362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68759A external-priority patent/JP4836254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3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62J6/022Headlight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B62J6/026Headlight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e.g.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좌우측에 상호 독립된 개별 하우징을 갖는 개별 램프 본체를 함께 결합 및 일체화한 헤드라이트 유닛의 경우, 헤드라이트 유닛을 차체 커버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각 하우징을 차체 프레임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면, 독립된 램프 본체의 상대 위치는 차체 커버에 헤드라이트 유닛의 부착 상태에 따라 서로로부터 오프셋 될 수 있다. 부품의 높은 성형 정밀도, 가공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비용상승과 조립공수의 증가가 초래된다. 지지 구조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를, 돌기 부재(60A, 60B; 61A, 61B; 62A, 62B)를 중첩시켜, 볼트(63a) 및 너트로 함께 결합한다. 또한 돌기 부재(60A, 60B)의 부착 구멍(64)을 볼트에 의해 차체 프레임에 함께 체결시킨다. 또한, 좌우의 핀(68)을 차체에 러버 마운트한다.
Figure P1020070098384
램프 본체 유닛, 헤드라이트, 차량

Description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SUPPORT STRUCTURE FOR LAMP BODY UNIT}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 등의 차량에 설치되는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램프 본체 유닛이란, 상호 분리가능한 독립된 하우징을 갖는 다수개의 개별 램프 본체를 일체로 접속한 유닛을 일컫는다. 또한 개별 램프 본체란 단일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램프 본체를 일컫는다. 그러나, 개별 램프 본체는, 하우징을 램프 본체로 가능한 한 분할하도록 하우징 내에 다수개의 램프 본체들을 결합 및 일체화한 유닛 구조일 수 있다.
램프 본체용 지지 구조는 하기처럼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우측 헤드라이트 유닛과 좌측 헤드라이트 유닛을 상호 독립적으로 좌우에 마련한다. 이들 헤드라이트 유닛을 상호 결합 및 일체화하여, 헤드라이트 유닛을 형성하고, 프론트 커버의 헤드라이트용 개구에 향하게 고정시킨다. 동시에, 부착 돌기부를 좌측 헤드라이트 유닛과 우측 헤드라이트 유닛 상에 설치하고, 해당 탄성 부재를 통하여 차체 프레임에 부착한다. 이에 따라, 좌측 헤드라이트 및 우측 헤드라이트가 차체 프레임에 독립적으로 탄성 고정된다.
[특허문헌1] 특허공개 제2003-205878호 공보
전체 헤드라이트가 공용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경우는, 헤드라이트 자체를 차체 프레임에 탄성 고정하는 동시에, 리지드 방식으로 차체 커버로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로써, 헤드라이트와 차체 프레임 및 차체 커버인 3개 부재의 어긋남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했다. 한편, 전술한 종래 실시예와 같이, 헤드라이트 유닛은 좌우측에 상호 독립된 각 하우징을 갖는 개별 램프 본체를 결합 및 일체화한다. 이러한 경우, 헤드라이트 유닛을 차체 커버에 리지드 방식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각 하우징을 차체 프레임에 탄성 고정하면, 헤드라이트 유닛과 차체 커버의 결합 상태에 따라서, 개별 램프 본체의 상대 위치가 서로로부터 오프셋(offset)될 수 있다. 그 때문에 구성 부품의 높은 성형 정밀도, 가공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가 요구되어, 비용 상승과 조립 공수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동 이륜차 등의 차량에 설치되는 램프 본체의 메인터넌스 구조가 종래에 알려져 있다. 프론트 커버에 헤드라이트의 부착 구멍을 설치하여, 이 부착 구멍에 헤드라이트를 향하게 함과 동시에, 헤드라이트의 상측에 있어서 헤드라이트 벌브를 교환하기 위한 메인터넌스용 개구를 설치한다. 이 메인터넌스용 개구를 메인터넌스 커버로 착탈가능하게 덮어 놓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2] 특허 제3594700호 공보
종래 전술한 구조로서는, 차량 전면의 프론트 커버의 소정 부분에 사람의 손이 삽입가능한 비교적 큰 치수의 메인터넌스용 개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부분은 유선형으로 전방으로 돌출하고, 한정된다. 따라서, 프론트 커버 및 메인터넌스 커버의 형상에 제약을 받는 우려가 있었다. 특히, 헤드라이트의 벌브를 복수개 설치하여, 헤드라이트 유닛을 좌우에 분할한 2등식 헤드라이트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는, 헤드라이트의 각 벌브에 대응한 개별 위치에 복수의 메인터넌스용 개구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메인터넌스용 개구를 설치하여, 메인터넌스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제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차량 내에 램프 본체 유닛을 용이하게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램프 본체 유닛용 지지 구조로 구성된 차량에 관한 청구항 1의 발명은, 램프 본체 유닛용 지지 구조에 있어서, 램프 본체 유닛은 적어도 차량의 전방부를 덮는 전방 차체 커버와 복수의 개별 램프 본체를 일체화하고 상기 차체 커버로부터 노출되도록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개별 램프 본체는 각각 독립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서로 결합 및 일체화하여 상기 램프 본체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결합부에서 상기 램프 본체 유닛을 차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램프 본체는, 중첩된 각 하우징의 단부와 함께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본체 유닛은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개별 램프 본체로 구성되며, 좌우의 개별 램프 본체에는 각각 상기 차체에 좌우 개별 램프 본체를 장착하는 걸림부(retaining portion)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 본체 유닛은 상기 걸림부의 대략 중앙 아래쪽에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본체 유닛은 상하로 길게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램프 본체 유닛의 하단 에지부가 차체 커버의 전면에 개구하는 에어 가이드 포트와 대향하는 하부 에지부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커버는 차체 전방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이며, 상기 프론트 커버의 상단이 상기 램프 본체 유닛에 고정되어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이 차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선행항 중 하나에 따른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차량의 전방을 덮는 전방 차체 커버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고 복수의 벌브를 포함하는 헤드라이트와, 상기 헤드라이트 후방에서 차체 상에 지지된 시트를 구비하는 램프 본체용 메인터넌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전방 차체 커버는 적어도 차량의 전면을 덮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면을 덮고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발의 전방에 위치하는 레그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쉴드에는 상기 헤드라이트 후방이 되는 부분에, 상기 복수의 벌브가 부착되는 각 위치에 대응하게 복수의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를 덮는 커버 부재는 상기 레그 쉴드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드라이트는 차폭방향으로 상호 좌우로 분리, 이격된 헤드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라이트는, 별도의 램프 본체를 상하방향으로 램프 본체에 일체화한 헤드라이트 유닛이며, 상기 개구는 상기 별도의 램프 본체를 유지하는 개구로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쉴드로부터 키 실린더가 노출되고, 상기 복수의 개고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키 실린더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레그 쉴드에는 물품 수납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 중 하나 이상이 차폭방향 중앙부에서 비개구부와 물품 수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개별 램프 본체의 결합부에서 램프 본체 유닛을 차체에 고정한다. 각 개별 램프 본체를 상호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결합에 의해 차체에 동시에 고정된다. 종래와 같이 따로따로 헤드라이트를 차체에 고정하던 것에 비하여, 개별 램프 본체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가 어긋나기 어렵다. 이 위치정렬은 차체 커버에 의해 영향받는 일없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성형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고도, 램프 본체 유닛의 위치정렬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개별 램프 본체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 부재가 램프 본체에 개별 램프 본체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므로, 차체 프레임에 램프 본체를 부착하는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 체결에 의해 부품 개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좌우 한 쌍의 걸림부와 중앙의 체결 부재에 의해 대략 역 삼각형의 정점에서 램프 본체 유닛을 지지하므로, 램프 본체 유닛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램프 본체 유닛의 하단 에지부가 에어 가이드 포트와 대향하는 차체 커버의 하부 에지부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차체 커버의 하단 에지부에서 램프 본체 유닛과 차체 커버 사이의 위치정렬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부착 상태를 알기 쉽고, 조립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램프 본체 유닛을 통해 프론트 커버의 상부를 차체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프론트 커버는 차체에 대한 프론트 커버의 부착 개소를 적게 하면서, 차체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커버부 상 부로서는 램프 본체 유닛을 제외하여 차체에 대한 프론트 커버의 부착이 불필요해진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벌브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개구를 레그 쉴드에 설치하여, 레그 쉴드를 메인터넌스 커버로 덮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메인터넌스용 개구를 제약이 많은 프론트 커버에 설치한 경우에 비교해서, 메인터넌스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벌브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단일한 큰 개구 대신에, 각 벌브마다 대응하는 개구를 복수로 분할하여 설치한다. 이에 따라, 각 개구의 면적이 감소되어, 차량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차폭방향으로 좌우 양측으로 상호 분리, 이격된 헤드라이트의 경우에, 단일 개구는 치수에 있어서 커지는 경향이 있는데 반하여 이 개구는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계의 자유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르면, 단일 램프 본체용으로 준비된 개구를 별도의 램프 본체를 유지하는데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개구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따르면, 램프 본체의 메인터넌스에 이용되는 개구가 키 실린더의 근방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서, 개구를 사용함으로써 키 실린더의 메인터넌스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르면, 레그 쉴드가 개구에 설치되고, 이러한 개구가 물품 수납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레그 쉴드는 개구로 인한 강도 저하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용의 개구를 차폭방향 중앙부에서 비개구부와 물품 수납부의 사이에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메인터넌스용 개구를 차폭방향 중앙부에서 비개구부와 물품 수납부사이에 끼움으로써 보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도면을 기초로 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대형 스쿠터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스쿠터는 차체의 전후에 각각 전륜(1)과 후륜(2)을 포함한다. 전륜(1)은 프론트 포크(3)를 통해 핸들(4)에 의해 조향될 수 있으나, 후륜(2)은 요동식 파워 유닛(5)으로 구동된다. 파워 유닛(5)은 전방으로 경사진 실린더를 갖는 엔진(6a)과 트랜스미션 케이스(6b)가 일체화되어 있다. 트랜스미션 케이스(6b)의 후단부에 의해 후륜(2)이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파워 유닛(5)은 전방부가 차체 프레임(7)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부는 리어 쿠션 유닛(8)을 통해 차체 프레임(7)의 후방부에 접속되어 있다. 참조 번호 9는 에어클리너, 10은 기화기, 11은 라디에이터, 12는 연료탱크이다.
차체 프레임(7)은 전단부에 헤드 파이프(13)를 갖는다. 헤드 파이프(13)는 핸들(4)과 프론트 포크(3)를 상하로 접속하는 스티어링 축(14)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헤드 파이프(13)는 그 전방측에서 프론트 스테이(15)를 지지한다. 다운 튜브(16)는 차체 중심을 따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하고, 그 하부에서 왼쪽 방향과 오른쪽 방향으로 분기하는 하부 파이프(17)와 병합한다. 하부 파이프(17)는 좌우 한 쌍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각각은 굴곡하여 대략 수평으로 후방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측으로 굴곡하여, 엔진(6a)의 측부를 통과하는 상하부(17a)를 형성한다.
다운 튜브(16)의 상부로부터 헤드 파이프(13) 근방에서는 차체 중심을 따라 단일 상부 파이프(18)가 후방으로 연장하여, 그 후단에서 시트 레일(19)과 병합된다. 시트 레일(19) 좌우로 분기하고, 또한 후방으로 연장한다. 상부 파이프(18)의 후단부와 각 좌우의 하부 파이프(17) 사이에는 상하방향의 보강 파이프(18a)가 연결된다. 좌우의 상하부(17a) 각 상단부에는 좌우의 시트 레일(19)의 중간부가 접속된다. 시트 레일(19)에 의해 탠덤 시트(20)가 지지된다.
헤드 파이프(13)는 전후에서 프론트 커버(21)와 레그 쉴드(22)로 각각 둘러싸고, 상측은 미터 패널(23)로 덮는다. 미터 패널(23)보다 상측의 핸들(4) 주위는 핸들 커버(24)로 덮는다. 프론트 커버(21)의 전면에는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이 부착되어 있다. 참조 번호 26은 윈도우스크린, 27은 미터 바이저, 28은 측면 미러, 28a는 측면 미러의 부착 기초부를 덮는 미러 베이스 커버, 29는 프론트 펜더(front fender)이다.
레그 쉴드(22)는 헤드 파이프(13) 및 전륜(l)의 후방측을 덮는다. 그 차체 후방측이 되는 헤드 파이프(13)의 배면 상부에는 화장 패널(30)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레그 쉴드(22)의 하부는 플로어 패널(31)과 접속하고 있다. 플로어 패널(31)에는 탠덤 시트(20)에 걸터앉은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는 스텝 플로어가 설치된다.
참조 번호 32는 레그 쉴드(22)의 후방부로부터 탠덤 시트(20)의 하측을 덮는 센터 패널이다. 참조 번호 33은 플로어 패널(31)과, 플로어 패널(31) 위쪽의 레그 쉴드(22) 후방부와의 사이를 덮는 프로텍터 패널이다. 34는 프론트 커버(21)의 후단 하단과 플로어 패널(31)의 하부를 접속하는 프론트 측면 패널이다. 35는 탠덤 시트(20)의 하측에서 차체 후방부의 대부분을 덮는 리어 측면 패널이다. 또, 리어 측면 패널(35)의 후방부 측면에는, 테일 램프(tail lamp)와 다른 부품이 일체화한 리어 라이팅 유닛(36)이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된다.
도 2는 차체 전방부의 측단면도이다. 프론트 스테이(15)는 차체 프레임의 일부인 강성의 지지 구조체이다. 지지 구조체는 복수의 파이프 부재와 브래킷 등을 일체화하고, 프론트 라이팅 유닛(25), 미터(37) 등을 지지한다. 파이프 부재는 상하부로 연장한다. 파이프 부재는 측면으로부터 도시된 방향의 전후로 전방 파이프(40), 중앙 파이프(41), 후방 파이프(42)를 갖는다. 후방 파이프(42)는 중간부에서 굴곡하여 대략 급커브를 형성하도록, 전체적으로 후방에 비스듬하게 아래로 연장하게 설치된다. 또한, 후방 파이프(42)의 전방부는 완만한 경사부로 형성되어, 여기에 미터(37)가 고정된다.
후방 파이프(42)의 전단부에는 윈드스크린(26)과 대략 평행하게 기울어진 브래킷(43)이 접속되어 있다. 이 브래킷(43)에는 윈드스크린(26)의 측부 하부가 볼트 결합될 뿐만 아니라 측면 미러(28)의 스테이(28a)의 하단이 부착되어 있다. 후방 파이프(42)의 후단에는 헤드 파이프(13)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스테이(44)가 볼트 결합된다.
전방 파이프(40)는 상부가 상하방향으로 연장하고 상단부가 브래킷(43)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전방 파이프(40)의 상하부분 중간부 전면에는 스테이(45)가 설치된다. 스테이(45)에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이 볼트 결합된다. 전방 파이프(40)의 하부는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굽고, 브래킷(46)과 접속한다. 이 브래킷(46)은 헤드 파이프(13)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스테이(47)에 볼트 결합되어 있다. 브래킷(46)에는 중앙 파이프(41)의 하단부도 일체 접속되어 있다. 중앙 파이프(41)는 일직선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상단부는 후방 파이프(42)의 굴곡부보다 전방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프론트 스테이(15)의 정면도이다. 전방 파이프(40)가 차체 중앙에 단독으로 설치된다. 중앙 파이프(41)는 전방 파이프(40)의 좌우 양측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좌우 한 쌍이 설치되고, 각 상단부가 크로스 파이프(48a)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일체화한다. 후방 파이프(42)의 상부(42a)는 좌우로 연장하여 상측으로 확대 개방하고, 각각이 브래킷(43)의 대응하는 중간부에 용접되어 있다. 후방 파이프(42)의 하부(42b)는 전방 파이프(40)의 좌측쪽으로 오프셋되게 배치되어, 헤드 파이프(13)의 측방 측면 상에 설치되는 스테이(44)(도 2)에 접속되어 있다.
좌우의 중앙 파이프(41)의 대응하는 상부에는,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의 부착용 스테이(49)가 각각의 외측으로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부착용 스테이(49) 각각에는 쿠션 고무(49b)가 부착된 긴 구멍(49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을 방진적으로 긴 구멍에 결합한다(상세 후술). 좌우의 중앙 파이프(41)의 중간부 사이에는 크로스 파이프(48b)가 접속되어 상호 연결 되며, 크로스 파이프(48b) 더 아래쪽에 위치된 더 짧은 크로스 파이프(48c)(48d)가 부가적으로 접속되어, 프론트 스테이(15) 전체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브래킷(43)에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된 윈드스크린(26)의 부착 구멍(43a)이 설치된다. 또한, 브래킷(43)의 상단부에는 미러용 부착부(너트)(43b)가 설치된다. 참조 번호 43c는 후술하는 트리밍 플레이트의 부착부이다.
도 4는 차체 프레임(7)에 있어서의 헤드 파이프(13) 하측 부분의 정면도이다. 차체 중심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설된 단일 다운 튜브(16)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상부 파이프(l8)의 전단부가 용접되어 있다. 상부 파이프(18)는 좌우로 연장한 후, 후방으로 연장하여, 좌우의 상하부(17a)에 접속되어 있다. 다운 튜브(16)에 상부 파이프(18)가 결합되는 부분보다 약간 상측 위치 전면부에 브래킷(16b)이 용접된다. 이 브래킷(16c)에 너트(16a)와 포지셔닝 구멍(16b)이 일렬로 부착된다. 프론트 커버(21) 배면 상부가 이 너트(16a)에 부착된다. 또한, 다운 튜브(16)의 하부에도 너트(16c)가 용접되어 있다. 다운 튜브(16)의 하단을 크로스 파이프(16d)에 결합하며, 크로스 파이프(16d)는 좌우 양측에 연장하여 대응하는 좌우의 하부 파이프(17)와 접속한다.
도 5는 프론트 커버(21) 및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을 포함하는 차체 커버 전방부의 정면도이다. 프론트 커버(21)의 상부 절반부 중앙에는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이 부착된다.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의 상부는 정면에서 봤을 때 트리밍 플레이트(50)를 통해 윈드스크린(26)의 하부에 접속된다.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은 중앙에 덮여 있고 대략 Y 자형을 하는 트리밍 플레이트(50)에 의해 확실하게 좌 우로 분할되는 2등식 헤드라이트의 외관을 나타낸다. 단지 실제로는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은 좌우 부분을 미리 일체화한 램프 본체 유닛으로 형성된다. 좌우 부분은, 그 상부가 상측으로 확대 개방하도록 이격되는 방식으로 대칭적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좌우 부분을 우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및 좌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B)으로 언급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우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및 좌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B) 각각은, 램프 본체로서 상하방향으로 배설된, 헤드라이트 램프, 포지션 라이트 램프 및 턴 시그널 램프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헤드라이트의 벌브(51), 포지션 라이트의 벌브(52), 턴 시그널 램프의 벌브(53)의 순서로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우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및 좌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B)의 각 측방부는, 각 상하방향 3개의 위치에서 우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및 좌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B) 각각의 접합 에지부를 따르는 부분의 내측에 설치된 부착용 돌기부(59)에 부착된다.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의 하단 에지부(25a)는 프론트 커버(21)의 하부 절반부 중앙 상에 그리고 에어 가이드 리세스부(54)의 상부에 형성된 에어 가이드 포트(55)의 상부벽으로 제공된다. 에어 가이드 리세스부(54)에는, 프론트 커버(21) 내부로 주행풍(running air)를 받아들여 에어 가이드 리세스부(54)의 후방에 배치된 라디에이터(11)와 파워 유닛(5)(도 1 참조)으로 인도하도록 에어 가이드 포트(55)와 함께 제공되는 레버(56)가 설치된다. 에어 가이드 리세스부(54)의 상부의 좌측에는 혼(horn)용의 레버(57)가 설치되고, 이 혼용의 레버(57)는 혼용 레버 의 내부에 배치된 혼(58)의 경적음을 통과시키게 되어 있다.
이하,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에 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의 정면도, 도 7은 평면도, 도 8은 측면도, 도 9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있어서의 10-10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있어서의 11-11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 있어서의 12-12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6에 있어서의 13-13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6에 있어서의 14-14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6에 있어서의 15-15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화살표 방향 16의 도면이다.
우선,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의 유닛 구조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은 당초 좌우 분리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제작한 중앙 부분에서,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25B)를 접속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얻어지는 일시적으로 조립된 본체이다.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25B) 각각에는 결합 전에, 결합용의 돌기 부재(60A, 60B, 61A, 61B, 62A, 62B)가 상대방을 향해서 돌출하게 설치된다(도 6 참조). 각 돌기 부재의 각 대응부 60A와 60B, 61A와 61B, 62A와 62B를 상호 중첩시켜, 볼트(63a) 및 너트(63b)로 상호 접속한다(도 11 참조).
또, 다른 돌기 부재 상에 위치된 상측의 돌기 부재(60A, 60B)는 다른 돌기 부재보다 크게 형성된다. 후방 측면에 위치된 볼트(63a) 및 너트(63b)로 고정하고스테이(45)에 함께 체결함으로써, 돌기 부재(60A, 60B)가 부착된다. 두 개의 위치, 즉 돌기 부재(60A, 60B)의 상부 좌우에서 설치된 대응하는 부착 구멍(60a)(도 11 참조)으로 볼트(63a) 및 너트(63b)가 삽입된다. 스테이(45)에 대한 공동 체결은 부착 구멍(60a)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부착 구멍(64)에서 수행된다. 부착 구멍(64)은 이를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너트(45a)를 수용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이 너트(45a)는 프론트 스테이(15)의 스테이(45) 상에 설치된다. 도 12 및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63a) 및 너트(63b)가 3개 부재들을 함께 체결하기 위하여 너트(45a)로 삽입된다.
도 14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너트(45a)는 플랜지(45b)를 갖는다. 너트(45a)의 축부를 스테이(45)의 구멍(45c)에 관통시켜, 양 돌기(60A, 60B)를 중첩한 두께 치수와 같은 길이로 돌출시킨다. 플랜지(45b)를 스테이(45)의 이면에 용접한다. 부착시에, 너트(45a)의 축을 중첩된 돌기 부재(60A, 60B)의 각 부착 구멍(64)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양 돌기 부재(60A, 60B)를 임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에 의하여,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의 사이에는, 트리밍 플레이트(50)의 레그부를 수용하는 요홈부(65)가 형성된다(도 7 참조). 또한, 요홈부(65) 내에는, 우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및 좌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B)로부터 돌출하도록 결합부(66)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부(66)에는 결합 구멍(66a)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의 외연부에는 결합 돌기부(67)가 형성되어, 프론트 커버(21) 내측에서 볼트 결합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의 각 상부 중앙 배면에는 후방 으로 돌출하는 핀(68)이 형성된다(도 7 참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스테이(15)에 설치되는 브래킷(46)(도 3 참조)의 긴 구멍(46a)에 부착된 쿠션 고무(46b)의 구멍(46c)으로 탄성 부재를 통해 핀(68)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은 프론트 스테이(15)에 러버 마운트된다. 따라서, 좌우의 핀(68)에 있어서의 러버 마운트와, 중앙의 부착 구멍(64)에 있어서의 강성 접속을 이용하여, 프론트 스테이(15)에 대한 부착용 3 부분이 대략 역 삼각형(T)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도 6 참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돌기부(67)는 길게 후방으로 돌출하고, 선단이 횡방향에 굴곡하여 플랜지(67a)를 형성한다. 여기서 플랜지(67a)는 프론트 커버(21)에 형성된 돌기부(59)와 중첩되고, 플랜지(67a)와 부착용 돌기부(59)는 볼트(59a)와 너트(59b)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다음에,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은 렌즈(70)와 하우징(71)을 시일(72)을 통해 중공 챔버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 대하게 일체화된다. 중공 챔버는 내부를 칸막이 벽(73)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구획한다. 하부에는 헤드라이트의 벌브(51)가 내장되고, 상부에는 턴 시그널 램프의 벌브(53)가 내장된다. 중간부에는 칸막이 벽(73)을 설치하여(도 6 및 도 7 참조), 이 칸막이 벽(73)의 일부를 원형 공간 방식으로 확장하여 벌브 챔버(73a)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포지션 라이트의 벌브(52)를 내장한다.
헤드라이트의 벌브(51)에는 리플렉터(74)의 하부에 형성된 각각 후방으로 돌 출하는 핀이 형성된다. 헤드라이트의 벌브(51)의 전극부(51a)에는 커넥터(51b)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커넥터(51b)에 접속된 전선(51c)은 하우징(71)의 메인터넌스 구멍(71a)에 덮여 있는 캡(71b)의 측부에 형성된 배선 구멍(71c)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한다.
리플렉터(74)는 에이밍 조절을 위하여, 상방으로 요동할 수 있게 설계된다. 조절 스크류(77)(도 8 및 도 9 참조)를 돌리는 것에 의해, 리플렉터(74)를 상하로 요동시켜 광축을 변경한다. 이러한 매커니즘의 설명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생략한다.
리플렉터(74)에 대하여, 헤드라이트의 벌브(51)는 전극부(51a)와 일체로 착탈가능하게 접속된다. 캡(71b)이 제거된 다음 헤드라이트의 벌브(51)와 전극부(51a)를 리플렉터(74)로부터 후방으로 추출한다. 따라서 차체 후방측으로부터 헤드라이트의 벌브(51)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턴 시그널 램프의 벌브(53)의 소켓부(53a)는 하우징(71)에 형성된 메인터넌스 구멍(71c)의 개구부에 직접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춰져서, 차체 후방으로부터 교환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부(51a)는 스프링(75)에 의해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압박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75)은 스크류(76)에 의해 리플렉터(74)의 배면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보스(74a)에 고정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75)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스프링(75)의 중앙부에 전극부(51a)의 보스부가 끼워맞춤된다. 스프링(75)이 전극부(51a)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51b)를 가압한다. 헤드라이트의 벌브(51)를 교환하기 위해 서는, 스크류(76)를 풀지 않고, 스프링(75)을 제거한 다음, 헤드라이트의 벌브(51) 및 전극부(51a)를 후방으로 추출한다.
또한, 포지션 라이트의 벌브(52)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교환가능하다. 도 9에 있어서, 참조 번호 52a는 포지션 라이트의 벌브(52)의 커넥터이다. 또한 포지션 라이트의 벌브(52)도 커넥터(52a)를 제거하여 후방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10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라이트의 벌브(51), 포지션 라이트의 벌브(52) 및 턴 시그널 램프의 벌브(53)는, 벌브의 후방에 설치되는 레그 쉴드(22)의 메인터넌스 구멍(145)을 통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접근함으로써 메인터넌스 또는 교환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레그 쉴드(22)의 위치나 메인터넌스 구멍(145)의 치수 등은 설명의 편의상, 실제의 것으로부터 변경된다.
다음에, 트리밍 플레이트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17은 트리밍 플레이트(50)의 정면도, 도 18은 측면도, 도 19는 도 17의 19-19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트리밍 플레이트(50)에는 중앙부(50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하는 레그부(80)와, 좌우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아암부(81)가 일체로 구성된다. 레그부(80)에는, 시트 표면의 이면을 향하여 후방으로 돌출하는 삽입 돌기부(82)가 일체로 형성된다. 삽입 돌기부(82)는 상측방향으로 확장 개방하여 좌우로 상호 오프셋되게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돌기부(82)는 한 쌍의 리브(82b)로 형성된 기초부와, 리브(82b)로부터 길게 돌출하는 설 부재부(82a)로 형성된 상부를 포함한다. 삽입 돌기부(82)는 돌출 방향에서 도시하면 대략 H 자형이다(이후, 도면에서 H 자형 부품은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레그부(80)는, 상하부 결합부(66)의 대응하는 결합 구멍(66a)으로 상하부 삽입 돌기부(82)의 설 부재부(82a)를 삽입함으로써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에 결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레그부(80)를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에 부착하면, 레그부(80)는 요홈부(65)를 덮는다(도 14 참조). 또한 레그부(80)의 횡단면에 있어서 좌우 부분이 플랜지형의 측벽부(80a)로 형성된다. 부착시, 측벽부(80a)를 요홈부(65)내에 끼워 맞추는 경우, 레그부(80)의 표면이 프론트 라이팅 유닛(25)과 대략 동일면이 된다(도 12 참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그부(80)의 하단부에는 단차부(83)가 설치된다. 레그부(80)가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에 장착된 경우,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의 하단에 설치된 돌기부(69)(도 6 참조)가 단차부(83)의 단(step)에 끼워 맞춰져 일체화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아암부(81)의 선단부에는 보스(84)가 설치된다. 미터 바이저(27)의 하단부는 아암부(81)의 선단부 상에 중첩되고, 이들은 스크류(84a)에 의해 함께 일체로 결합된다(도 5참조). 보스(84)의 근방에서 아암부(81)의 선단 에지부에는, 돌기 부재(85)가 돌출 형성된다. 돌기 부재(85)는 미러 베이스 커버(28a)의 접합 에지와 결합된다.
다음에, 미터 바이저를 설명한다. 도 20은 미터 바이저(27)의 정면도이다. 미터 바이저(27)는 후방으로 한단 내려간 단차형으로 형성된 플랜지(90)로 제공된 하부 에지부를 갖는다. 트리밍 플레이트(50)의 상단 에지(86)가 플랜지(90) 상에 중첩되어, 플랜지(90)의 돌기부(91)는 상단 에지(86) 근방에 설치된 리세스부(87) 와 결합된다(도 17 참조).
플랜지(90)의 좌우 단부 근방에 각 돌기부(92)가 형성된다. 돌기부(92)는 아래쪽으로부터, 트리밍 플레이트(50)의 아암(81)의 선단에 형성된 대응하는 보스(84)의(도 18 참조)에 중첩되어, 스크류에 의해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된다. 플랜지(90)의 근방에는 차체 중심의 좌우에서 에어 가이드 포트(83)가 각각 설치되어, 미터 패널(23)의 내측으로 주행풍을 받아들이게 되어 있다.
미터 바이저(27)의 양 측부의 하측 부분에는 결합용 돌기부(94)가 형성되어, 측방으로 돌출한다. 결합용 돌기부(94)는 후방 파이프(42)에 중첩되고, 후방 파이프(42)의 부착부(42c)에 스크류 체결된다(도 3 참조). 미터 바이저(27)의 상부에는 에지부를 따라 연장하도록 레버(95)가 좌우에 분리되어 설치된다. 에어 가이드 포트(93)으로부터 받아 들여진 주행풍 중 일부를 윈드스크린(26)의 내측 표면에 분무하여 어두운 부분을 방지한다.
상부의 레버(95)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 중앙 및 좌우에는 보스(96)가 설치되어, 그 배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보스(96)는 미터 패널(23)과 결합된다. 미터 바이저(27)의 하나의 단계에 의해 후방으로 내려간 플랜지(97)와 형성된 상단 에지를 갖는다. 플랜지(97)는 미터 패널(23)의 전방 이중벽 부분 내측으로 삽입된다. 또한, 플랜지(97)에는 적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노치(98)가 설치된다. 노치(98)는 미터 패널(23)의 결합부에 설치된 결합 돌기부(102)와 결합된다 (도 21 참조).
도 21은 미터 패널(23)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측면도이다. 미터 패널(23) 은 중앙 전측에 미터 구멍(100)이 설치되고, 여기에 미터(37)(도 2)가 미터 구멍(100)으로 향하게 된다. 미터 구멍(100)의 전방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기립벽(101)이 형성되어, 과도한 외광이 미터 상으로 입사하는 것을 방지한다. 기립벽(101)은 상단이 외측으로 굴곡되어 돌려진 이중벽으로 형성되고, 이는 대략 역 J자형 부분을 형성한다. 미터 바이저(27)의 플랜지(97)가 이 역 J자형 부분 내부에 끼워 맞춰진다(도 22 참조).
이중벽으로 형성된 기립벽(101)의 내측 상단에는 결합용 돌기부(10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기립벽은 대응하는 노치(98)(도 20)와 결합된다. 또한 도 22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터 바이저(27)의 플랜지(97)가 이중벽 부분에 끼워맞춤되어, 기립벽(101) 및 그 접음부(102a) 사이에서 플랜지(97)를 협지한다. 미터 패널(23)의 좌우 에지부의 각 전방부가 미러 베이스(28 a)(도 5)상에 중첩되고, 각각 좌우로부터 돌출하는 부착 부재(103)에 의해 이와 스크류 체결된다. 유사하게, 좌우의 에지부의 각 중간부는 프론트 커버(21)의 상단 에지부 상에 중첩되고, 각 후방부는 레그 쉴드(22)의 상단 에지부에 중첩된다. 또한, 미터 패널의 좌우 양 측부 상에는 각각 레버(104)가 설치되어 탑승자를 향하여 주행풍을 분출하게 되어 있다.
미터 패널(23)의 이면 상부 표면에 그리고 개별 레버(104)의 근방에 보스(105) 및 부착 부재(106)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돌출한다. 다른 부착 부재(106)가 미터 패널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참조 번호 107은 스티어링 축(14)을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부이며, 핸들용의 미터 구멍(100) 후방의 중앙에 설치된다. 참조 번호 108은 레그 쉴드(22)의 상단 에지 상에 중첩되는 후단 에지(108)이다. 참조 번호 23a는 하측으로 연장하는 보스로서, 미터(37)에 도달한다. 유사하게, 미터 구멍(100)의 주위벽 하단도 마찬가지로 미터(37)에 도달한다.
도 22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미터 패널(23)의 후단 에지(108)는 하측으로 돌출하는 부착 부재(109)와 일체로 설치된다. 부착 부재(109)는 미터 패널(23)의 상단 에지로 삽입된다.
도 23은 프론트 커버(21)의 측면도이고, 도 24는 도 5의 24-24선 단면도이다. 프론트 커버(21)의 상단 에지(110)는 미터 패널(23)의 아래쪽으로부터 중첩되고, 프론트 커버(21)의 전단부는 아래쪽으로부터 미러 베이스(28a)(도 5 참조) 상에 중찹되어 그 상에 스크류 체결된다. 참조 번호 112는 미터 패널(23)의 부착 부재(106)(도 22 참조)와의 접합부이다.
후단 에지(113)의 상부는, 레그 쉴드(22)의 상부와 화장 패널(30)의 각 접합에지부 상에 중첩된다(도 2 참조). 참조 번호 114는 레그 쉴드(22)의 부착에 적합한 보스이며, 이는 차체 내측으로 돌출하며, 또한 측면에서 봤을 때 전방 하향으로 기울어진다. 후단 에지(114)의 상하방향 중간부가 가장 전방으로 만곡한 부분을 형성하며, 여기에 부착부(115)가 설치되고, 레그 쉴드(22)의 부착 돌기부(후술)와 결합된다. 후단 에지(113)의 하단부에는, 후방으로 그리고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돌출하고 전측 패널(34)의 전단부에 볼트 결합되는 부착 부재(116)가 설치된다.
도 24를 참조하여, 프론트 커버(21)의 하부, 그리고 에어 가이드 리세스부(54)의 벽면을 형성하는 부분 중, 중앙부 상단에서 보스(117)가 후방으로 돌출하 게 설치된다. 보스(117)는 관통 구멍(117a)(도 5)를 통하여 위치정렬 구멍(16b)(도 4)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너트(16a) 내부로 삽입되고 위치정렬 구멍(16b)에 위치되어 너트와 볼트와 결합된다. 위치정렬 구멍(16b)은 상하부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다운 튜브(16)의 전방 표면에 설치된다. 보스(117)의 하측 또는 프론트 커버(21)의 하단부 근방에도 부착부(118)가 설치된다. 부착부(118)는 너트(16a)의 아래쪽으로 설치된 별도의 너트(16a)와 중첩되고 견고하게 볼트 결합된다. 이들 부분을 최초에 차체 프레임(7) 측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이후의 조립 작업이 쉬워진다. 부착부(118)보다 아래쪽 프론트 커버(21)의 하단 또는 후단에는, 가압 리브(119)가 일체로 설치된다. 가압 리브(119)는 프론트 측면 패널(34)의 전단에 결합되어 일체화한다.
다음에 레그 쉴드(22) 및 화장 패널(30)에 관해서 상술한다. 도 25는 화장 패널(30)을 부착한 레그 쉴드(22)의 배면도이다. 도 26은 도 25로부터 화장 패널(30)을 제외한 레그 쉴드(22)를 도시한다. 도 27은 레그 쉴드(22)의 측면도이ㄷ다. 도 28은 화장 패널(30)을 도 27의 화살표 방향 28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화장 패널(30)을 도 28의 화살표 방향 29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5의 30-30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C는 차체 중심선이다.
레그 쉴드(22)는 상부에 종방향 벽부(120), 그 하부에는 중앙 플로어 상부(121), 및 좌우의 플로어 전방벽(122)을 포함한다. 종방향 벽부(120)에는 차폭방향 전체에서 연장되는 접합 단차부(123)가 설치된다. 이 접합 단차부(123)상에는 화장 패널(30)이 외측으로부터 중첩되어 있다. 화장 패널(30)은 메인터넌스 커 버로도 사용되는 부재이며, 종방향 벽부(120)의 전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고, 종방향 벽부(120)의 접합 단차부(123) 상측을 덮는, 차폭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부재이다. 화장 패널(30)로 덮인 종방향 벽부(120) 중 일부의 전방에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이 위치한다.
화장 패널(30)의 중앙으로부터 우측 위치에 키 패널(124)이 설치된다. 메인 스위치로서 제공된 키 실린더(125)의 헤드 부분이 키 패널(124)로 향하게 된다. 키 실린더(125)의 헤드에는 키 삽입구(125a)가 설치된다. 키 실린더(125)의 주위는 키 실린더(125)의 헤드를 향하여 전방으로 점점 내려간 리세스부(126)로 형성된다. 리세스부(126)의 하부에는 그 내부에 끼워맞춤되는 키 실린더(125)의 헤드 부분을 수용하는 헤드 구멍(126a)이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부(126)의 주위 형상은 키 실린더(125)를 둘러싸는 대형 타원형과 같다. 그 일부에서 차체 중앙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대략 직사각형의 돌기부(127)가 타원과 일체로 설치된다. 여기서 스크류(127a)에 의해 돌기부(127)와 훅(170)의 시트(170)는 함께 종방향 벽부(120)의 중앙부(128)에 착탈가능하게 모두 체결되어 있다. 훅(170)은 대략 사변형으로 형성되고, 슬릿(172)으로 상하 부분으로 분할된다. 상하 부분은 각각이 축(173)을 통해 시트(171)에 기복(rise and lie) 가능하게 부착된다. 훅(170)의 상하 부분은 따로따로 또는 함께 기복할 수 있다. 훅이 기립되는 경우, 시트(171)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가져서(도 30 참조), 백 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화장 패널(30)의 좌단부에는 리드(129)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화장 패 널(30)은 네 구석 중, 상부 2개의 위치와 하부 좌측 1개 위치인 총 3개의 위치를 스크류(130)에 의해 종방향 벽부(120)에 부착하고, 우측 하부 코너 1개 위치와 중간부 상하부 즉, 총 3개의 위치를 삽입 돌기부(131)에 의해 종방향 벽부(120)로 삽입 부착한다. 이에 따라, 종방향 벽부(120)에 화장 패널(30)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 벽부(120) 중, 접합 단차부(123) 상측부분에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순으로, 개구(134), 대략 오각형의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 대략 원형의 키 실린더 구멍(146), 대략 사각형태의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이 설치된다.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 및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은 각각 세로로 긴 형상을 한다. 좌측 분리 램프 본체(25B)에서 헤드라이트의 벌브(51), 포지션 라이트의 벌브(52) 및 턴 시그널 램프의 벌브(53)는 유지될 수 있으며, 즉 이들을 통하여 접근함으로써 그 전방에 위치된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에 대해 교환될 수 있다. 각 메인터넌스 구멍이, 상하방향 폭으로 헤드라이트의 벌브(51)로부터 턴 시그널 램프의 벌브(53)에 인접한 위치까지 개방된다(도면에서, 종방향 벽부(120) 등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각 벌브 위치와 개구 위치가 약간 틀어져 보인다). 좌우의 메인터넌스 구멍(145, 147)은 각각 벌브의 바로 뒤에서 중첩되는 위치에서 개구되지 않고, 좌우방향 등으로 약간 오프셋된 위치에서 개구한다. 그러나, 벌브와 개구 사이에 충분한 거리가 있기 때문에, 전방에서 개구에 도달하는 손의 방향을 변화시켜 각 벌브를 메인터넌스 할 수 있다. 또한, 개구의 치수나 형상은 각 벌브를 메인터넌스 가능한 범위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에 인접하여 설치된 개구(134)에 수납부(133)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비교적 큰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이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종방향 벽부(120)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은 우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에서의 헤드라이트의 벌브(51), 포지션 라이트의 벌브(52) 및 턴 시그널 램프의 벌브(53)를 메인터넌스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이 키 실린더(125)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이를 키 실린더(125)를 메인터넌스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과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 사이에 종방향 벽부(120)의 중앙부(128)가 충분한 폭으로 존재한다. 이에 따라, 역시 고강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키 실린더 구멍(146)의 주위는, 키 패널(124)의 리세스부(126)에 끼워맞춤하도록 대략 오목한 곡면을 갖는 리세스부(46a)로 형성된다. 따라서, 강성 저하를 방지하도록 키 실린더 구멍(146)의 개구의 치수를 필수적으로 최소화한다.
레그 쉴드 상단의 접합 에지부(148)에는, 미터 패널(23)의 후단 에지(108)가 중첩된다. 접합 에지부(148)를 따라 형성된 대응하는 부착부(149)에 후단 에지(108)로부터 돌출하는 부착 부재(109)가 중첩되고, 스크류 체결된다(도 22 참조). 또한, 접합 에지부(148)의 좌우 단부상에는 화장 패널(30)용의 부착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접합 단차부(123) 근방의 하부의 좌측 코너부에도 별도의 부착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레그 쉴드에는, 접합 에지부(148)의 중앙에 인접한 좌우측과 코너부의 우측 하부상의 위치에 각각, 화장 패널(30) 부착용 삽입 구멍(151)이 설치되어 있다. 삽입 구멍(151)은 그 내부에 삽입되는 대응하는 삽입 돌기부(131)(도 25)를 수용하게 되어 있다. 종방향 벽부의 중앙부(128)에는,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인 스크류 구멍(152)이 설치된다. 대략 직사각형 돌기부(127)(도 25)가 스크류(127a)에 의해 이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크류 구멍(152)보다 아래의 중앙부(128)의 하단부에는 삽입 구멍(151)이 설치되어, 삽입 돌기부(131)가 삽입되게 되어 있다.
플로어 상부(121)는 상부로부터 상부 파이프(18)를 덮도록 후방으로 연장하여, 그 전방부 우측면에 형성된 보스(140)에 의해, 상부 파이프(18)의 우측면에 볼트 결합된다. 플로어 상부(121)의 하부에도 프로텍터 패널(33)을 가진 부착 돌기부(14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별도의 부착 돌기부(142)가 플로어 상부(121)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돌출하고, 단차 플로어(32)(도 1)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부착 돌기부(143)는 플로어 상부(12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프로텍터 패널(33)의 내측에 형성된 대응하는 보스(33a)(도 2 및 도 27)에 스크류 체결된다.
플로어 전방벽(122)은 하단부에서 플로어 패널(31)(도 1)의 전단부에 결합되고, 탑승자의 레그부 전방을 덮는다. 플로어 전방벽(122)에는 플로어 매트(153)가 부착되어 있다. 플로어 전방벽(122)의 하단으로부터 부착 부재(154)가 돌출한다. 이 부착 부재(154)는 플로어 패널(31)의 전단부 상에 중첩되어 스크류 체결된다.
도 2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 벽부(120)는 헤드 파이프의 경사와 동일한 정도로 후방으로 기울어진다. 종방향 벽부(120)의 전방 에지 상부 부분에 위 치된 접합 에지부(132)가 프론트 커버(21)의 후단부 에지(113)의 내측 상부 상에 중첩되어, 부착부(132a)에서 보스(114)에 견고하게 스크류 체결되어,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한다(도 23 참조).
사각 실린더와 같이 형성된 수납부(133)가 종방향 벽부(120)의 좌측면 상에 위치되고 개구(132)가 설치된 일 부분에서 전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수납부(133)에서 종방향 벽부(120)에 설치된 개구(134)를 통해 물품이 출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구(134)의 아래쪽에도 소형 개구(135)가 설치된다. 레그 쉴드의 전방 에지의 상하방향 중간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삽입 돌기부(132b)가 형성되고, 프론트 커버(21)의 부착부(115)에 삽입 부착된다(도 23 참조).
전방벽(122)의 전단부에 위치되는 전단부 하부(136)는 후단부(113)의 하부에 결합되고, 부착부(136)에 후단 에지(113)가 형성된 보스(114)에 스크류 체결된다. 부착부(136) 근방에 레버(137)가 설치되어, 탑승자의 레그부에 대하는 통풍을 확보하고 있다. 전방벽(122)의 배면부에는 보스(139)가 설치되고, 프로텍터 패널(33)에 견고하게 스크류 체결된다.
플로어 상부(121)는 상부로부터 상부 파이프(18)를 덮도록 후방으로 연장하고, 플로어 상부(121)의 전방부 우측면에 형성된 보스(140)에 의해, 상부 파이프(18)의 우측면에 볼트 결합된다. 플로어 상부(121)의 하부에도 프로텍터 패널(33)과 접속된 부착 돌기부(1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상부(121)의 후단부에 부착 돌기부(142)가 형성되어, 후방으로 돌출하고, 단차 플로어(32)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부착 돌기부(143)는 하측으로 돌출하고, 프로텍터 패널(33)의 내부에 형성된 보스(33a)(도 1 및 도 26)에 견고하게 스크류 체결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30)에는 차폭방향으로 좌측단부에 개구부(160)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키 패널 구멍(161)이 형성된다. 개구부(160)는 레그 쉴드(22)의 종방향 벽부(120)의 개구(134)(도 26)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리드(129)(도 25)가 개구부(160)에 장착되어, 개구(134)를 개폐가능하게 한다. 키 패널 구멍(161)의 윤곽은 키 패널(124)의 윤곽과 일치한다. 키 패널 구멍(161)에는 키 패널(124)이 끼워 맞춰진다.
또한, 키 패널 구멍(161)의 개구(lip)는 키 패널(124)과의 끼워맞춤 위치정렬을 용이하게 하도록 테이퍼진다. 화장 패널(30)의 키 패널 구멍(161)의 우측 위치인 우측 에지부(169)에는 이 개구가 설치되지 않는다.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도 26)를 덮도록 화장 패널(30)을 장착한다.
상단 에지(162)는 미터 패널(23)의 후단 에지에 접합되고, 하단 에지(163)는 접합 단차부(123)에 결합된다(도 2 참조). 상단 에지(162)의 좌우 양단부와 하단 에지(163)의 좌측 코너부에 보스(164)가 설치되고, 종방향 벽부(120)의 대응하는 부착부(150)(도 26)에 중첩되고 그에 견고하게 스크류 체결된다. 또한, 상단 에지(162)의 중앙 2개의 위치와 하단 에지(163)의 우측 코너 및 중앙부에는, 삽입 돌기부(165)가 형성된다. 이 삽입 돌기부(165)를 종방향 벽부(120)의 대응하는 삽입 구멍(151)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종방향 벽부(120)의 외측을 덮도록 화장 패널(30)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26 참조).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30)은 중앙부(166)가 가장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여, 좌우 양단부는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한다. 좌우 양단부의 측단부 에지(167)는 각각 프론트 커버(21)의 후단 에지의 내부에 중첩된다. 각 삽입 돌기부(165)는 전방으로 돌출한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30)은 이로부터 이격된 종방향 벽부(120)를 덮고, 키 패널 구멍(161)은 중앙부(128) 및 리세스부(146a)의 상측을 개방하고, 그 내부로 끼워 맞춰지는 키 패널(124)을 수용하게 된다. 또한,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은 화장 패널(30)의 우측부(169)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화장 패널(30)에는 중앙부(166)의 좌측에 단일 개구부(160)만이 설치된다. 개구(160)는 개구(134)와 연통하고, 리드(129)에 의해 개폐된다. 좌측 비개구부(168)가 중앙부(166)와 개구(160) 사이에 형성되어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을 덮는다.
이와 같이, 화장 패널(30)이 종방향 벽부(120) 내에 형성된 개구를 덮도록 종방향 벽부(120) 상에 놓이기 때문에,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 패널(30)을 제거하면, 용이하게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이나 키 실린더(125)의 메인터넌스가 가능하게 된다. 더구나, 종방향 벽부(120)는, 복수의 메인터넌스 대상을 공용의 개구부에 겸용시킴으로써, 개구수를 삭감하여 종방향 벽부(120)의 강성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은 각각 복수의 램프 본체를 일체화한다.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 각각은 독립된 하우징(71)에 의해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개별 램프 본체에 해당한다. 프론트 라이팅 유닛(25) 내부로, 개별 램프 본체인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을 조립하기 위하여, 우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의 돌기 부재(60A, 61A, 62A)를 각각 좌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B)의 돌기 부재(60B, 61B, 62B) 상에 중첩시킨다. 이에 따라, 돌기 부재(60A, 60B)의 부착 구멍(60a)(도 11)중 대응하는 하나와 돌기 부재(61A, 61B, 및 62A, 62B)의 부착 구멍 중 대응하는 하나를 통해 볼트(63a)가 각각 관통하며, 대응하는 너트(63b)와 접속된다(도 6, 도 9 및 도 11). 이에 따라,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이 함께 접합되어 일체화되어, 조립된 일차 선조립체로 일시적으로 형성된다(도 6 및 도 9 참조). 또한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개별 램프 본체)는 함께 결합 및 일체화되고,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이 되어, 이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이 본 발명의 램프 본체 유닛이 된다.
계속해서 이 일차 선조립체는 프론트 커버(21)의 상부 내측으로 받아들여져,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의 각 외측방 에지부를 프론트 커버(21)의 상부 에지부에 결합한다. 결합 돌기부(67)는 프론트 커버(21)의 내측에 설치된 부착 돌기부(59)와 중첩하여, 볼트(59a) 및 너트(59b)에 의해 체결된다. 이에 따라, 프론트 커버(21)와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이 이차 선조립체가 된다(도 15 참조). 이 경우,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은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를 결합 및 일체화함으로써 조립된 일시적인 일차 선조립체이다. 이에 따라, 취급이 용이하고 또한 위치정렬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이차 선조립체를 차체 프레임 측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의 각 하우징(70)에 설치되는 핀(68)을, 프론트 스테 이(15)에 갖춰진 브래킷(46)의 긴 구멍(46a)에 부착된 쿠션 고무(46b)의 대응하는 하나의 구멍(46c)에 삽입한다. 따라서, 이차 선조립체는 탄성부재를 통해 프론트 스테이(15)에 장착되는 러버 마운트(rubber mount)이다(도 13 참조).
계속해서, 프론트 스테이(15)의 스테이(45)에 설치된 너트(45a)가 돌기 부재(60A, 60B)의 부착 구멍(64)으로 끼워 맞춤된 다음, 돌기 부재(60A, 60B)는 스테이(45)에 볼트(64a)에 의해 함께 체결된다(도 12 및 도 14). 이에 따라,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은 2개 위치의 핀(68)과 1개 위치의 볼트(64a)에 의한 총 3개의 위치에서 차체 프레임 측에 장착된다. 또한 프론트 커버(21)의 상부는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을 통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다. 이 경우도 이차 선조립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 램프 본체인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의 결합부에서, 볼트(64a)에 의해 램프 본체 유닛인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을 차체 프레임 측의 스테이(45)에 견고하게 모두 체결한다. 각 개별 램프 본체를 상호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결합으로써 차체에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따로따로 헤드라이트를 차체에 고정하던 것과 비교해서, 개별 램프 본체인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의 상대 위치 관계가 어긋나기 어렵게 된다. 프론트 커버(21)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일없이 위치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성형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고도, 프론트 라이팅 유닛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별 램프 본체인 좌우의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25B)의 결합 부재 인 볼트(64a)를 이용하여 차체 프레임 측에 분리 램프 본체 유닛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램프 본체를 부착하는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께 체결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게다가, 좌우 한 쌍의 핀(68)에 의한 차체 프레임과의 걸림부와 볼트(64a)의 중앙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역 삼각형을 하는 3점 부착부를 형성한다. 이 대략 역삼각형의 각 정점에서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이 지지되기 때문에,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이 강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의 하단 에지부가 에어 가이드부(55)와 대향하는 프론트 커버(21) 상부의 하부 에지부로서 제공된다. 이에 따라, 프론트 커버(21)상부의 하부 에지부에서 프론트 라이팅 유닛(25)과 프론트 커버(21) 사이의 위치정렬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부착 상태를 알기 쉽고, 부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을 통해 프론트 커버(21)의 상부를 차체 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프론트 커버(21)는 차체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반면, 부착부의 개수가 삭감된다. 이 때문에, 프론트 라이팅 유닛(25)과의 부착을 제외하여 프론트 커버(21) 상부의 차체 프레임에 대한 부착이 불필요해진다.
우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및 좌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B) 각각은, 헤드라이트의 벌브(51), 포지션 라이트의 벌브(52), 턴 시그널 램프의 벌브(53), 즉 총 3개의 벌브에 설치된다. 우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 및 좌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B)에 대응하는 개별 위치에서,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과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 즉, 총 2개의 구멍이 레그 쉴드의 종방향 벽부(120)내의 좌우 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메인터넌스 구멍은 메인터넌스 커버인 화장 커버(30)에 의해 덮여 있다. 따라서, 화장 커버(30)가 제거되면, 좌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B)의 벌브(51, 52, 53)는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을 통하여 접근되어져 메인터넌스될 수 있다. 유사하게, 우측 분리 램프 본체 유닛(25A)의 벌브(51, 52, 53)도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을 통하여 접근됨으로써 메인터넌스될 수 있다.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과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3개의 벌브 본체인 벌브(51, 52, 53)의 메인터넌스를 가능하게 하는 치수를 갖는다. 또한, 좌우 메인터넌스 구멍(145, 147)은 개구의 크기에 많은 제약이 없는 레그 쉴드의 종방향 벽부(120)에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메인터넌스용 개구를 제약이 많은 프론트 커버에 설치한 경우에 비교해서, 메인터넌스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우로 분리하여 설치된 2등식의 헤드라이트의 벌브를 통하여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형인 단일의 개구를 설치하는 대신에, 좌우의 헤드라이트의 벌브(51, 51)에 각각 대응하는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 및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을 분리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 및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의 각 개구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레그 쉴드(22) 측에 특별한 보강구조를 가지고 강제로 시키지 않아도, 차량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킨다.
프론트 라이팅 유닛(25)이 차폭방향으로 좌우 양측으로 상호 분리 이격된 우 측 및 좌측 램프 본체 유닛(25A, 25B)으로 구성되고, 단일 메인터넌스 개구는 우측 및 좌측 램프 본체 유닛(25A, 25B)에 의해 공유되도록 설치된다. 이 때문에, 메인터넌스 개구는 레그 쉴드(22)의 강도를 삭감시키는 치수로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이러한 우려를 없앨 수 있다.
게다가, 단일 램프 본체인 헤드라이트 벌브(51)를 위해 준비된 좌우의 메인터넌스 구멍(145, 147)을 각각, 별도의 램프 본체인 포지션 라이트의 벌브(52) 및 턴 시그널 벌브(53)를 유지하는 개구로도 사용한다. 이에 따라, 개구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 본체를 메인터넌스 하는데 이용하는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을 키 실린더(125)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으로, 키 실린더(12)의 메인터넌스를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키 실린더(125) 전용인 별도의 메인터넌스 구멍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147)에 의한 유용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레그 쉴드(22)의 종방향 벽부(120)에 개구(134)가 설치되더라도, 이 개구(134)에 물품의 수납부(133)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레그 쉴드(22)를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134)로 의한 강도 저하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게다가,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145)을 중앙부(128)와 수납부(133)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강도가 높은 부분 사이에 형성하기 때문에, 종방향 벽부(120)를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대형 스쿠터의 측면도.
도 2는 차체 전방부의 측단면도.
도 3은 프론트 스테이의 정면도.
도 4는 차체 프레임 하부의 정면도.
도 5는 차체 커버 전방부의 정면도.
도 6은 프론트 라이팅 유닛의 정면도.
도 7은 프론트 라이팅 유닛의 평면도.
도 8은 프론트 라이팅 유닛의 측면도.
도 9은 프론트 라이팅 유닛의 배면도.
도 10은 도 6에 있어서의 10-10선 단면도.
도 11은 도 6에 있어서의 11-11선 단면도.
도 12는 도 6에 있어서의 12-12선 단면도.
도 13은 도 6에 있어서의 13-13선 단면도.
도 14는 도 6에 있어서의 14-14선 단면도.
도 15는 도 6에 있어서의 15-15선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화살표 방향 16으로부터의 도면.
도 17은 트리밍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18은 트리밍 플레이트의 측면도.
도 19는 도 17에 있어서의 19-19선 단면도.
도 20은 미터 바이저의 정면도.
도 21은 미터 패널의 평면도.
도 22는 미터 바이저의 측면도.
도 23은 프론트 커버의 측면도.
도 24는 도 5에 있어서의 24-24선 단면도.
도 25는 화장 패널을 부착한 레그 쉴드의 배면도.
도 26은 도 25로부터 화장 패널을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레그 쉴드의 측면도.
도 28은 화장 패널을 도 27의 화살표 방향 28에서 도시한 도면.
도 29는 화장 패널을 도 28의 화살표 방향 29에서 도시한 도면.
도 30은 도 25의 30-30선 단면도.
<도면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륜 2 : 후륜
5 : 파워 유닛 7 : 차체 프레임
21 : 프론트 커버 22 : 레그 쉴드
23 : 미터 패널 25 : 프론트 라이팅 유닛
25A : 우측 분리 램프 본체
25B: 좌측 분리 램프 본체
26 : 윈드스크린 27 : 미터 바이저
28 : 미러 베이스 커버 30 : 화장 패널
50 : 트리밍 플레이트 124 : 키 패널
125 : 키 실린더 133 : 수납부
134 : 개구 145 : 좌측 메인터넌스 구멍
146 : 키 실린더 구멍 147 : 우측 메인터넌스 구멍

Claims (10)

  1.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으로서,
    적어도 차량의 전방부를 덮는 전방 차체 커버와, 복수의 개별 램프 본체(25A, 25B)를 일체화하고 상기 차체 커버로부터 노출되도록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개별 램프 본체(25A, 25B)는 각각 독립된 하우징(71)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서로 결합 및 일체화하여 상기 램프 본체 유닛(25)을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71)의 결합부에서 상기 램프 본체 유닛(25)을 차체에 고정하는 것인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램프 본체(25A, 25B)는, 중첩된 각 하우징의 단부와 함께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는 것인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본체 유닛(25)은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개별 램프 본체(25A, 25B)로 구성되며, 좌우의 개별 램프 본체(25A, 25B)에는 각각 상기 차체에 좌우 개별 램프 본체(25A, 25B)를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걸림부(retaining portion)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 본체 유닛(25)은 상기 걸림부의 대략 중앙 아래쪽에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차체 프레임(7)에 고정되는 것인 램프 본체 유닛 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본체 유닛(25)은 상하로 길게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램프 본체 유닛(25)의 하단 에지부는 차체 커버의 전면에서 개구하는, 에어 가이드 포트(55)와 대향하는 하부 에지부로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커버는 차체 전방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21)이며, 상기 프론트 커버(21)의 상단은 상기 램프 본체 유닛(25)에 고정되어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그 하단은 차체 프레임(7)에 의해 지지되는 것인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을 덮는 전방 차체 커버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고 복수의 벌브(51, 52, 53)를 포함하는 헤드라이트와, 상기 헤드라이트 후방에서 차체 상에 지지된 시트(20)를 구비하는 램프 본체용 메인터넌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차체 커버는 적어도 차량의 전면을 덮는 프론트 커버(21)와, 상기프론트 커버(21)의 후면을 덮고 시트(20)에 착석한 탑승자의 발의 전방에 위치하는 레그 쉴드(22)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쉴드(22)에는 상기 헤드라이트 후방이 되는 부분에, 상기 복수의 벌브(51, 52, 53)가 부착되는 각 위치에 대응하게 복수의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를 덮는 커버 부재는 상기 레그 쉴드(2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라이트는 차폭방향으로 상호 좌우로 분리 이격된 헤드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라이트는, 별도의 램프 본체를 상하방향으로 상기 램프 본체에 일체화한 헤드라이트 유닛이며, 상기 개구는 상기 별도의 램프 본체를 유지하는 개구로도 사용되는 것인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쉴드(22)로부터 키 실린더(125)가 노출되며, 상기 복수의 개구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키 실린더(125) 근방에 배치되는 것인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쉴드(22)에는 물품 수납부(133)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 중 하나 이상이 차폭방향 중앙부에서 비개구부(168)와 물품 수납부(13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KR1020070098384A 2006-09-29 2007-09-28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KR100941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68760A JP4836255B2 (ja) 2006-09-29 2006-09-29 灯体のメンテナンス構造
JP2006268759A JP4836254B2 (ja) 2006-09-29 2006-09-29 灯体ユニットの支持構造
JPJP-P-2006-00268759 2006-09-29
JPJP-P-2006-00268760 2006-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535A true KR20080030535A (ko) 2008-04-04
KR100941354B1 KR100941354B1 (ko) 2010-02-11

Family

ID=3854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384A KR100941354B1 (ko) 2006-09-29 2007-09-28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905678B1 (ko)
KR (1) KR100941354B1 (ko)
DE (1) DE602007010564D1 (ko)
TW (1) TWI3449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372A (ko) * 2021-02-02 2022-08-09 배원경 깜빡이 등이 구비된 오토바이 핸들용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5179B1 (en) * 2007-12-27 2012-08-08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Motorcycle
BR112016001204B1 (pt) * 2014-06-11 2022-05-10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Veículo tipo motocicleta
JP6105658B2 (ja) * 2015-03-11 2017-03-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火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3887B2 (ja) * 1999-03-31 2009-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装置
JP3328611B2 (ja) * 1999-08-30 2002-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前照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372A (ko) * 2021-02-02 2022-08-09 배원경 깜빡이 등이 구비된 오토바이 핸들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17227A (en) 2008-04-16
KR100941354B1 (ko) 2010-02-11
TWI344917B (en) 2011-07-11
EP1905678A1 (en) 2008-04-02
EP1905678B1 (en) 2010-11-17
DE602007010564D1 (de)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6254B2 (ja) 灯体ユニットの支持構造
US7007998B2 (en) Motorcycle
EP2289738B1 (en) Motorcycle tail light device
JP5727874B2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構造
BR112012004504B1 (pt) Motocicleta
US9310043B2 (en) Vehicle turn signal light device structure having a light shielding plate
BR102017003924A2 (pt) Type vehicle air filter structure
KR100941354B1 (ko) 램프 본체 유닛의 지지 구조를 갖는 차량
JP5460526B2 (ja) 自動二輪車の前部構造
JP4092134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フロントウインカ取付け構造
US7073928B2 (en) Vehicle headlight
JP5538787B2 (ja) テールランプユニット
EP1939079B1 (en) Vehicle having a cover arrangement structure
JP5196238B2 (ja) 自動二輪車の配線保持構造
JP2007030526A (ja) 自動二輪車
JP4520382B2 (ja) 自動2輪車の車体カバー
JP4836255B2 (ja) 灯体のメンテナンス構造
CN103237721B (zh) 车把罩
JP2004224176A (ja) 自動二輪車の後部構造
JP2003237631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4330899B2 (ja) 鞍乗り型車両のフロントカバー構造
JP4030891B2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