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273A -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273A
KR20080028273A KR1020070084244A KR20070084244A KR20080028273A KR 20080028273 A KR20080028273 A KR 20080028273A KR 1020070084244 A KR1020070084244 A KR 1020070084244A KR 20070084244 A KR20070084244 A KR 20070084244A KR 20080028273 A KR20080028273 A KR 20080028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ransmission
case
engine
continuousl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781B1 (ko
Inventor
히데노리 나구라
신 나베야
사토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5Air cooling or ventilation; Heat exchangers; Thermal insulations
    • F16H57/0416Air cooling 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87Friction gearings
    • F16H57/0489Friction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e.g. belt CVTs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및 후륜 간에 설치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적어도 갖는 전동 장치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에, 무단 변속기를 수용하는 변속기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변속기실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변속기실로부터 외부로 냉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설치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충분한 레벨의 방수 성능을 얻는 동시에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으로서, 일단이 배출구(150)에 액밀하게 접속되는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전동 케이스(59)의 상방으로 개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COOLING STRUCTURE FOR CONTINOUS VARIABLE TRANSMISSION OF MOTORCYCLE}
본 발명은, 엔진 및 후륜간에 설치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적어도 갖는 전동 장치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에, 상기 무단 변속기를 수용하는 변속기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변속기실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상기 변속기실로부터 외부에 냉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설치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동 케이스의 상부에, 변속기실 내로 통하는 배출구가 설치되고, 변속기실에 도입되어 무단 변속기를 냉각한 후의 냉각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3-42270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냉각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 경우, 배출구로부터 변속기실 내 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벨은, 전동 케이스의 상부벽의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보다 높은 레벨의 방수 성능을 원하면, 변속기실의 상부벽을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차량의 중심 위치에 영향을 주거나, 레이아웃의 제약을 초래하는 등, 배치의 자유도가 낮아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충분한 레벨의 방수 성능을 얻음과 동시에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엔진 및 후륜간에 설치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적어도 갖는 전동 장치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에, 상기 무단 변속기를 수용하는 변속기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변속기실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상기 변속기실로부터 외부에 냉각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설치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액밀하게 접속되는 배출관로의 타단이, 상기 전동 케이스의 상방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배출구가, 차체의 폭방향 중심측을 향해 상기 전동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로의 타단이, 상기 차체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해 상기 배출구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엔진은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으로 엔진 본체를 냉각하는 강제 공냉 엔진, 또는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으로 라디에이터를 냉각하는 수냉식 엔진으로,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의 유통 방향에 따라 상기 냉각팬보다 상류측에서 엔진 슈라우드(shroud) 또는 라디에이터 슈라우드 내에, 상기 배출관로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엔진 슈라우드 또는 라디에이터 슈라우드에, 윗쪽으로 돌출한 돌출 통부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로가 상기 돌출 통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4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전동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후륜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배출관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동 케이스의 형상에 영향받지 않고, 변속기실로부터의 냉각 공기의 배출단을 차체의 적합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레벨의 방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배치 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비 등의 차량 측면으로부터의 물이 배출관로에 닿는 것을 막아, 전동 케이스 내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냉각팬에 의해 슈라우드 내에 생기는 부압을 이용하여 변속기실로부터의 냉각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슈라우드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한 돌출 통부에 배출관로를 연결함으로써, 배출관로 내로의 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좌우 한쌍의 후륜간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배출관로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l∼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살표 3에서 본 도면, 도 4는 펜더 및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3에 대응한 도면, 도 5는 펜더, 커버 및 에어 클리너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3에 대응한 도면, 도 6은 펜더, 커버 및 후륜을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3의 6-6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7-7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8-8선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7의 9-9선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10-l0선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3의 11-11선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3의 12-12선 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3의 13-13선 단면도, 도 14는 도 6의 화살표 14에서 본 확대도, 도 15는 도 14의 15-15선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16-16선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에 있어서, 소형 차량인 요동식 자동 삼륜차가 구비하는 차체(B)의 중앙부에는, 전면에 윈드스크린(21)을 배치한 루프 부착 캐빈(22)이, 저면을 저상식의 플로어(23)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빈(22)의 전방벽에 조향 핸들(24)이 지지되고, 차량 운전자를 앉히기 위한 승차용 시트(25)가 상기 캐빈(22) 내에서 조향 핸들(24)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차체(B)의 전방부에는, 상기 조 향 핸들(24)로 조향되는 단일 전륜(WF)이 조향 가능하게 현가되어 있고, 상기 승차용 시트(25)의 하방에서 차체(B)에는 파워 유닛(P)의 전방부가 요동 연결 기구(26)를 통해 연결되고, 좌우 한쌍의 후륜(WR …)이 파워 유닛(P)의 후방부에 축 지지되어 있다.
상기 요동 연결 기구(26)는, 차체(B)의 후방측 하부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는 링크(27)와, 파워 유닛(P)에 설치된 브래킷(29) 및 상기 링크(27)의 타단사이를 연결하는 죠인트(28)로 이루어지고, 죠인트(28)는, 상기 링크(27)의 타단에 전단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죠인트 케이스(30)와, 상기 죠인트 케이스(30)에 전방부가 회전 자유롭게 삽입되는 동시에 후방부가 상기 브래킷(29)에 부착되는 죠인트축(31)과, 죠인트 케이스(30) 및 죠인트축(31)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부(32)를 가진다.
이러한 요동 연결 기구(26)에 의해 파워 유닛(P)은 차체(B)에 대해 상하로 요동 자유롭고, 또한 좌우로 롤링 자유롭게 지지되게 되고, 상기 죠인트 케이스(30) 및 차체(B) 사이에는 쿠션 유닛(33)이 설치된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유닛(P)은 4사이클인 엔진(E)과, 상기 엔진(E)의 동력을 양 후륜(WR, WR)에 전달하는 전동 장치(T)로 구성된 것이며, 전동 장치(T)는 상기 엔진(E)의 출력을 무단계로 변속하여 전동축(36)에 전달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37)와, 무단 변속기(37) 및 전동축(36) 사이에 설치되는 원심 클러치(38)와, 전동축(36)의 회전 동력을 감속하는 기어열(39)과, 좌우의 후륜(WR, WR)에 개별로 대응한 좌, 우측 차축(41L, 41R) 및 상기 기어열(39) 사이에 설치되는 차동 기어(40)를 구비한다.
상기 엔진(E)은, 예를 들면 수냉식 단기통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엔진 본체(42)는, 크랭크 케이스(43)와, 실린더 축선(C1)을 차체(B)의 전후 방향을 따르게 한 대략 수평으로 크랭크 케이스(4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블록(44)과, 실린더 블록(44)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45)와, 실린더 헤드(45)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46)를 구비한다.
크랭크 케이스(43)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크랭크 샤프트(47)의 일단부는,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우측에서 크랭크 케이스(43)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크랭크 샤프트(47)의 일단부에는 AC 발전기(48)가 연결된다. 또한, AC 발전기(48)의 외측에 상기 크랭크 샤프트(47)에는 냉각팬(49)이 고정된다.
한편, 수냉식인 엔진(E)으로부터의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라디에이터(50)가,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해 엔진 본체(42)에 있어서의 실린더 블록(44) 및 실린더 헤드(45)의 우측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AC 발전기(48) 및 냉각팬(49)을 덮는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가 상기 클리너 케이스(43)에 결합되고, 이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는, 상기 라디에이터(50)에 후방에서 접속되 도록 하여 전방으로 뻗은 도풍부(51a)가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고, 라디에이터(50)는 도풍부(51a)의 전방부에 결합, 지지된다.
또한, 크랭크 샤프트(47)와 함께 냉각팬(49)이 회전하는데 따라, 전방에서부터 라디에이터(50)를 통과하도록 외부로부터의 냉각풍이 도 2의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 내에 흡인되고, 엔진 본체(42)의 실린더 헤 드(45)로부터 라디에이터(50)로 안내되는 냉각수가 상기 라디에이터(50)에서 냉각풍에 의해 냉각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45)에 설치되는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개폐 구동하는 동변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 헤드(45)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캠 샤프트(54)와, 상기 AC 발전기(48) 부근의 크랭크 샤프트(47) 사이에는, 조시(調時) 전동 장치(55)가 설치되고, 크랭크 샤프트(47)의 회전 동력은 상기 조시 전동 장치(55)에 의해 1/2로 감속되어 상기 캠 샤프트(54)에 전달된다.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에 따라 좌측에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43)에는, 상기 크랭크 케이스(43)로부터 후방으로 뻗은 케이스 주몸체(56)가 연결되어 있고, 이 케이스 주몸체(56)의 우측에 체결되는 우측 커버(57)와, 상기 케이스 주몸체(56)의 좌측에 체결되는 좌측 커버(58)와, 상기 케이스 주몸체(56)로 전동 케이스(59)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동 장치(T) 중, 벨트식 무단 변속기(37) 및 원심 클러치(38)는, 케이스 주몸체(56) 및 좌측 커버(58) 사이에 형성되는 변속기실(60)에 수용되고, 상기 전동 장치(T) 중, 기어열(39) 및 차동 기어(40)는, 상기 케이스 주몸체(56) 및 우측 커버(57) 사이에 형성되는 기어실(61)에 수용된다.
그런데 좌우 한 쌍의 후륜(WR, WR)은, 상기 전동 케이스(59)의 양측에 배치되고, 좌, 우측 차축(41L, 41R)은, 차동 기어(40)로부터 좌우로 연장 설치되는 것으로, 전동 케이스(59)로부터의 상기 좌, 우측 차축(41L, 41R)의 돌출 단부에 후 륜(WR, WR)이 각각 연결되고, 이들 후륜(WR, WR)에는 드럼 브레이크(BR, BR)가 각각 장착된다.
도 3∼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엔진 본체(42)에 있어서의 실린더 헤드(45)의 상부 측면에는, 후방측으로 만곡한 흡기관(62)의 하류단이 접속되어 있고, 이 흡기관(62)에는 연료 분사 밸브(63)가 부착된다. 또한, 흡기관(62)의 상류단은 스로틀 보디(64)에 접속되고, 스로틀 보디(64)는 전동 케이스(59)의 후방부 상방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66)에, 커넥팅 튜브(65)를 통해 접속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 헤드(45)의 하부 측면에는, 실린더 헤드(45)의 하방에서 헤드 커버(46)의 좌측 측방에 걸쳐 만곡된 배기관(67)의 상류단이 접속된다. 한편, 전동 케이스(59)의 전방부 상방에는 직렬로 접속되는 동시에 전동 케이스(59)에 지지된 제1 및 제2 촉매 컨버터(68, 69)가 배치되어 있고, 양 촉매 컨버터(68, 69) 중, 상류측의 제1 촉매 컨버터(68)에 상기 배기관(67)의 하류단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에어 클리너(66)의 후방에는, 좌, 우측 차축(41L, 41R)과 평행하게 뻗은 배기 머플러(71)가 전동 케이스(59)로 지지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고, 양 촉매 컨버터(68, 69) 중, 하류측의 제2 촉매 컨버터(69)가 배기관(70)을 통해 상기 배기 머플러(71)에 접속된다.
또한, 차체(B)의 좌우 방향에서 상기 엔진 본체(42) 및 상기 라디에이터(50)에 끼워지는 영역에, 상기 라디에이터(50)에 접속되는 리저버 탱크(72)가 배치되어 있고, 이 리저버 탱크(72)는,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양 후륜(WR, WR)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펜더(73)로 상방에서 덮어지는 것으로, 이 펜더(73)는, 양 후륜(WR, WR)을 개별로 상방에서부터 덮는 차륜 커버부(73a, 73b)와, 엔진 본체(42)의 상방에서 상기 양 차륜 커버부(73a, 73b)의 전방부간을 연결하는 전방측 연결부(73c)와, 상기 양 차륜 커버부(73a, 73b)의 후방부간을 연결하는 후방부 연결부(73d)로 이루어지고, 전방부 연결부(73c)는, 상기 엔진 본체(42)의 일부 및 상기 리저버 탱크(72)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양 차륜 커버부(73a, 73b) 중, 우측의 차륜 커버부(73b)는, 라디에이터(50)도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라디에이터(50)의 전방에서 상기 차륜 커버부(73b)에는, 전방으로부터의 주행풍을 라디에이터(50)를 향해 유통시키기 위한 루버(88)가 부착된다.
또한, 펜더(73)에는, 상기 양 차륜 커버부(73a, 73b), 전방측 연결부(73c) 및 후방부 연결부(73d)로 주 가장자리부가 규정되도록 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74)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74)는, 상기 흡기관(62), 연료 분사 밸브(63), 스로틀 보디(64), 에어 클리너(66), 제1 및 제2 촉매 컨버터(68, 69), 배기관(70) 및 배기 머플러(71)의 일부, 리저버 탱크(72)의 일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 개구부(74)는, 커버(80)로 개폐 가능하게 닫혀진다.
상기 펜더(73)에 있어서의 양 차륜 커버부(73a, 73b) 중, 좌측의 차륜 커버부(73a)의 전방부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59)에 있어서의 좌측 커버(58)에 지지된다.
즉, 상기 좌측 커버(58)에 돌출 설치된 한쌍의 지지 보스(81, 81)에 볼 트(83, 83)를 통해 스테이(82)가 체결되어 있고, 이 스테이(82)에 고정된 웰드 너트(84)에 조여지는 볼트(85)로 상기 차륜 커버부(73a)가 스테이(82)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펜더(73)에 있어서의 양 차륜 커버부(73a, 73b) 중, 우측의 차륜 커버부(73b)의 전방부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 있어서의 도풍부(51a)에 지지된다. 즉, 도풍부(51a)에 돌출 설치된 지지 보스(86)에 조여지는 볼트(87)로 상기 차륜 커버부(73b)가 지지 보스(86)에 체결된다.
상기 펜더(73)의 후방부, 즉 후방부 연결부(73d)와, 상기 커버(80)는, 상기 파워 유닛(P)에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75)으로 지지된다. 이 지지 프레임(75)은, 상기 리저버 탱크(72)의 일부 및 에어 클리너(66)를 둘러싸는 동시에 평면에서 봐서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좌측을 개방한 대략 C자 형상을 갖는 프레임 주몸체(76)와, 상기 프레임 주몸체(76) 및 파워 유닛(P) 사이에 설정되는 3개의 지주(77, 78, 79)로 이루어진다.
프레임 주몸체(76)는, 1개의 파이프를 굴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전동 케이스(59)의 전방부 좌측 상부에 체결되어 전방부가 올라가도록 경사지는 동시에 제1 촉매 컨버터(68)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사 지주부(76a)와, 상기 경사 지주부(76a)의 타단에 일단이 연달아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리저버 탱크(72)를 넘어 우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전방 지지부(76b)와, 전방 지지부(76)의 타단에 일단이 연달아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리저버 탱크(72) 및 에어 클리너(66)의 외방에서 후방이 내려가도록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뻗은 측방 지지부(76c)와, 상기 측방 지지부(76c)의 타단에 일단이 연달아 설치되는 동시에 에어 클리너(66)의 후방에서 좌 측으로 수평으로 뻗은 후방 지지부(76d)를 일체로 가진다. 또한, 상기 각 지주(77∼79)도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단부가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 체결된 지주(77)의 상단은 프레임 주몸체(76)에 있어서의 측방 지지부(76c)의 전방부 근처의 부분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전동 케이스(59)에 체결된 지주(78)의 상단은 상기 측방 지지부(76c)의 후방부 근처의 부분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전동 케이스(59)에 체결된 지주(79)의 상단은 프레임 주몸체(76)에 있어서의 후방 지지부(76d)의 타단 근처 부분에 결합된다.
도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75)의 프레임 주몸체(76)에 있어서의 후방 지지부(76d)에는, 한쌍의 브래킷(90…)이 상호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고, 후방 지지부(76d)에 일체로 설치되어 브래킷(90…)에 접촉되는 장착판부(92…)가, 상기 브래킷(90…)에 고정된 웰드 너트(91…)에 조여지는 볼트(93…)로 브래킷(90…)에 체결된다.
도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75)에 있어서의 프레임 주몸체(76)의 전방 지지부(76b)에는, 커버(80)의 전방부가 장착된다. 즉, 상기 전방 지지부(76b)를 양측에서 끼우는 숄더부(94a, 94b)를 갖는 지지 부재(94)가, 상기 커버(80)의 내면에 돌출 설치된 지지 보스(95)에 볼트(96)로 체결된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프레임 주몸체(76)를 중심으로 하여, 커버(80)를 개폐 자유롭게 지지할 수 있고, 커버(80)를 파워 유닛(P)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커버(80)를 열어 메인티넌스를 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75)에 있어서의 프레임 주몸체(76)의 후 방 지지부(76d)에는, 커버(80)의 후방부가 장착된다. 즉, 후방 지지부(76d)에 설치된 한쌍의 브래킷(90…)에 접촉하는 장착판부(100…)가 내방으로 움푹 패는 오목부(101…)를 형성하도록 하여 커버(80)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101…)에 확경 헤드부를 배치하는 볼트(99…)를 상기 브래킷(90…)에 고정된 웰드 너트(98…)에 나사 조임으로써, 후방 지지부(76d)에 커버(80)의 후방부가 장착된다.
그런데, 리저버 탱크(72)는, 펜더(73) 및 커버(80)의 적어도 한쪽, 이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더(73)의 전측 연결부(73c) 및 커버(80)의 전방부로 덮여지는 것으로, 이 리저버 탱크(72)는, 지지 프레임(75)에 있어서의 프레임 주몸체(76)의 전방 지지부(76b)에 설치된 브래킷(102)에 나사 부재(103)로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주몸체(76)의 측방 지지부(76c)에 나사 부재(104)로 체결된다.
즉, 리저버 탱크(72)는, 지지 프레임(75)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 지지 프레임(75)은 파워 유닛(P)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리저버 탱크(72)는 파워 유닛(P)측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리저버 탱크(72)는, 그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세워지는 급수 통부(72a)를 일체로 가지는 것으로, 이 급수통부(72a)의 상단을 향하는 개구부(107)가 커버(80)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급수 통부(72a)의 상단에는 캡(105)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런데, 리저버 탱크(72)는, 내부에 저장한 냉각수를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기 위해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 리저버 탱 크(72) 내의 저장액량을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창(106)이, 상기 펜더(73)에 있어서의 전측 연결부(73c)에 설치된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66)의 클리너 케이스(110)는, 하부 케이스 반체(111) 및 상부 케이스 반체(112)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 케이스 반체(111) 및 상부 케이스 반체(112) 사이에, 클리너 엘리먼트(113)의 지지틀(114)이 끼워 지지된다. 그리고 클리너 엘리먼트(113) 및 지지틀(114)과, 상부 케이스 반체(112) 사이에, 클리너 엘리먼트(113)의 일면을 향하는 미 정화실(115)이 형성되고, 클리너 엘리먼트(113) 및 지지틀(114)과, 하부 케이스 반체(111)와의 사이에, 클리너 엘리먼트(113)의 다른 면을 향하는 정화실(116)이 형성된다. 또한, 스로틀 보디(64)에 연속하는 커넥팅 튜브(65)는 정화실(116)에 상류 단부를 돌입하도록 하여 하부 케이스 반체(111)에 접속된다.
그런데,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는, 지지 프레임(75) 및 전동 케이스(59)에 지지된다. 즉, 지지 프레임(75)에 있어서의 프레임 주몸체(76)의 측방 지지부(76c)는 클리너 케이스(110)의 우측에서 전후로 뻗도록 배치되고, 이 측방 지지부(76c)에는,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하부 케이스 반체(111)에 있어서의 상부에 설치된 한쌍의 장착판부(111a…)에 대응하여 브래킷(11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양 장착판부(111a…)에는 그로밋(grommet)(118…)이 장착되고, 상기 그로밋(118…)을 관통하는 슬리브(119…)에 삽입 통과되는 볼트(120…)가, 상기 브래킷(117…)에 고정된 웰드 너트(121…)에 조여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 주몸체(76)의 측방 지지부(76c)는 반대측에서, 상기 클리 너 케이스(110)의 하부 케이스 반체(111)에 있어서의 상부에는 장착판부(111b)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장착판부(111b)에 하방에서 접하도록 하여 상하로 뻗은 지지 레그(122)의 하부가, 예를 들면 한쌍의 볼트(123…)로 전동 케이스(59)에 있어서의 좌측 커버(58)의 상부에 체결된다. 또한, 장착판부(111b)에는 그로밋(124)이 장착되고, 상기 그로밋(124)을 관통하는 슬리브(125)에 삽입 통과되는 볼트(126)가, 상기 지지 레그(122)에 고정된 웰드 너트(127)에 조여진다.
이렇게 하여, 지지 프레임(75) 및 전동 케이스(59)에 지지된 클리너 케이스(110)는, 상기 클리너 케이스(11O)의 상면, 즉 상부 케이스 반체(112)의 상면(112a)이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 위치가 되도록 경사진 자세가 된다.
그런데 상기 커버(80)에는, 상기 에어 클리너(66)에 대응한 부분에서 상방으로 융기된 융기부(80a)가 설치되고, 이 융기부(80a)의 후방을 향하는 측면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외기 도입구(128)가 형성된다. 그리고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은, 상기 외기 도입구(128)측을 향해 하방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되고, 상기 외기 도입구(128)는,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클리너 케이스(110)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좌측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서,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우측의 전방부에는 하방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2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29)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클리너 케이스(110)의 하부 및 상부 케이스 반체(111, 112) 사이에는 중계실(130)이 형성되며, 이 중계 실(130)은, 연결관(131)을 통해 상기 미 정화실(115)에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3)은 대략 C자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양단을 상기 중계실(130) 및 미 정화실(115)에 연통시키도록 하여 상부 케이스 반체(112)에 부착된다.
도 16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있어서의 오목부(129)의 바닥부에는, 흡기통부(133)가 상방으로 세워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기통부(133)의 상단이, 상기 중계실(130)로 통하는 흡기구(134)를 형성하도록 하여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구(134)는, 상기 외기 도입구(128)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일측(이 실시예에서는 우측)으로 오프 셋한 위치에서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설치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외기 도입구(128) 및 상기 흡기구(134) 사이에 걸쳐 상기 커버(80)의 융기부(80a) 및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 사이에는 도풍 통로(135)가 형성되고, 이 도풍 통로(135)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는, 상기 상면(112a)의 경사 방향으로 뻗은 복수, 예를 들면 제1∼제4 차폐벽(136, 137, 138, 139)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1개의 가이드벽(140)이 일체로 돌출 설치된다.
상기 제1∼제4 차폐벽(136∼139)은, 외기 도입구(128)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차폐벽(136)을 배치하는 동시에 흡기구(134)측에 제4 차폐벽(139)을 배치하여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순차 병렬 배치된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주 가장자리부에는 무단상으로 연속하는 연결벽(141)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경사 방향을 따라 제1∼제4 경사벽(136∼139) 중, 적어도 2개의 하부, 이 실시예에서는 제2 및 제4 차폐벽(137, 139)의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하부는 상기 연결벽(141)으로 연결되고,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제2 및 제4 경사벽(137, 139)의 상단은 연결벽(141)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경사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3 경사벽(136, 138)의 상부는 상기 연결벽(141)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1 차폐벽(136)의 상기 경사 방향에 따라 하단은 연결벽(141)에 근접 배치되고, 제3 경사벽(138)의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하단은 연결벽(141)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제4 차폐벽(136∼139)의 형상 및 배치를 정함으로써, 외기 도입구(128) 및 상기 흡기구(134) 사이에 걸쳐 각 차폐벽(136∼139) 및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의해 미로 통로(142)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각 차폐벽(136∼139)은,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경사 방향에 따라 하부측을 흡기구(134)측으로 굴곡시켜 대략 「く」자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좌측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클리너 케이스(110)의 하부 및 상부 케이스 반체(111, 112) 사이에는 냉각 공기 도입실(143)이 형성되고, 이 냉각 공기 도입실(143)로 통하는 냉각 공기 도입구(144)가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형성된다.
그런데 제1∼제4 차폐벽(136∼139) 중, 제1 차폐벽(136)은, 외기 도입구(128)의 대략 중앙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제1∼제4 차폐벽(136∼139)의 일부인 제1 차폐벽(136)은, 외기 도입구(128)로부터 상기 도풍 통로(135)로 도입된 공기를, 상기 흡기구(134)를 향하는 공기와, 상기 냉각 공기 도입구(144)를 향하는 공기로 분리시키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벽(140)은, 제1 차폐벽(136) 및 냉각 공기 도입구(144) 사이에서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면(112a)의 경사 방향을 따라 가이드벽(140)의 하부는 연결벽(141)에 연결되고,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가이드벽(140)의 상단은 연결벽(141)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경사벽(136) 및 가이드벽(140)과,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서, 외기 도입구(128) 및 냉각 공기 도입구(144) 사이에 걸쳐 미로 통로(145)가 형성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냉각 공기 도입구(144)로부터 냉각 공기 도입실(143)로 도입된 공기는, 무단 변속기(37)를 수용하도록 하여 전동 케이스(59) 내에 형성된 변속기실(60)로 안내되는 것으로, 변속기실(60)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146)(도 2 참조)를 형성하도록 하여 전동 케이스(59)에 있어서의 좌측 커버(58)의 상면에 돌출 설치되는 접속 통부(147)(도 6 및 도 7 참조)와, 냉각 공기 도입실(143)을 통해 클리너 케이스(110)의 하부 케이스 반체(111)에 돌출 설치된 접속 통부(148)가 접속 호스(149)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전동 케이스(59)의 좌측 커버(58)에는, 변속기실(60)로부터 외부로 냉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0)(도 2 참조)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 배출구(150)는, 도 2에 있어서 쇄선 C2로 표시하는 차체(B)의 폭방향 중심측을 향해 전동 케이스(59)에 있어서의 좌측 커버(58)의 내방 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50)에는, 좌우 한쌍의 후륜(WR, WR) 사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배출관로(151)의 일단이 액밀하게 접속되는 것으로, 이 배출관로(151)의 타단은, 상기 차체(B)의 폭방향 중심(C2)에 대해 상기 배출구(150)와는 반대측에서 전동 케이스(59)보다 윗쪽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로(151)는, 냉각팬(49)에 의한 냉각풍의 유통 방향에 따라 냉각팬(49)보다 상류측에서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 내로 연통하는 것으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 설치된 돌출 통부(152)에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접속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차체(B)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파워 유닛(P) 측에, 상기 파워 유닛(P)에 공급되는 액체인 냉각수를 저장하는 액체 탱크인 리저버 탱크(72)가 고정되므로, 엔진 탱크(72)에 접속되는 접속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접속관의 배관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차체(B)측에 리저버 탱크(72)를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차체(B) 전체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증대한다.
또한, 상기 리저버 탱크(72)는, 파워 유닛(P)에 고정되는 라디에이터(50)에 접속되는 것으로, 라디에이터(50) 용의 리저버 탱크(72)는 비교적 작은 것이므로, 상기 리저버 탱크(72)를 배치하는 공간을 파워 유닛(P)측으로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라디에이터(50) 및 리저버 탱크(72)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관이 짧으므로, 냉각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리저버 탱크(72)가, 파워 유닛(P)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80) 및 후륜(WR…)을 덮는 펜더(73)의 적어도 한쪽 내부,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80) 및 펜 더(73)의 내부 양쪽에 걸쳐 배치되고, 펜더(73)에, 리저버 탱크(72)의 저장액량을 보기위한 창(106)이 설치되므로, 리저버 탱크(72)를 커버(80) 및 펜더(73)로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리저버 탱크(72)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킴에 의한 외관성의 저하를 회피하면서 용이하게 액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파워 유닛(P)의 일부를 구성하는 엔진(E)의 엔진 본체(42)는 실린더 축선(C1)이 차체(B)의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라디에이터(50)가 엔진 본체(42)의 측방에 배치되고, 차체(B)의 좌우 방향에서 엔진 본체(42) 및 라디에이터(50)에 끼워지는 영역에 리저버 탱크(72)가 배치되므로, 라디에이터(50) 및 엔진 본체(42)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리저버 탱크(72)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파워 유닛(P)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후륜(WR…)을 갖는 요동식 자동 삼륜차에서는, 그 선회 시의 뱅크가 없고, 또한 지면에 대한 파워 유닛(P)의 요동량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액면 변화량이 작아, 리저버 탱크(72)를 파워 유닛에 배치하는 차량으로서 보다 적합하다.
또한, 전동 장치(T)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59)에는, 전동 장치(T)의 일부를 구성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37)를 수용하는 변속기실(60)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변속기실(60)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146)와, 변속기실(60)로부터 외부에 냉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0)가 형성되고, 일단이 배출구(150)에 액밀하게 접속되는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전동 케이스(59)의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케이스(59)의 형상에 영향받지 않고, 변속기실(60)로부터의 냉각 공기의 배출단을 차체(B)의 적합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레벨의 방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배치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50)가, 차체(B)의 폭방향 중심(C2)측을 향해 전동 케이스(59)에 설치되고,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차체(B)의 폭방향 중심(C2)에 대해 배출구(150)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므로, 비 등의 차량 측면으로부터의 물이 배출관로(151)에 닿는 것을 막아, 전동 케이스(59) 내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팬(49)에 의한 냉각풍의 유통 방향에 따라 냉각팬(49)보다 상류측에서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 내에, 배출관로(151)가 연통되므로, 냉각팬에 의해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 내에 생기는 부압을 이용하여 변속기실(60)로부터의 냉각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 상방으로 돌출한 돌출 통부(152)가 설치되고,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상기 돌출 통부(152)에 접속되므로, 배출관로(151) 내로의 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출관로(151)가 전동 케이스(59)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후륜(WR…) 사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므로, 좌우 한쌍의 후륜(WR…)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배출관로(151)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66)를 덮는 커버(80)의 융기부(80a)에,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128)가 후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클리너 케이 스(110)의 상면(112a)에는, 클리너 케이스(110) 내의 미 정화실(115)로 통하는 흡기구(134)가 형성되고, 외기 도입구(128) 및 흡기구(134) 사이에 걸쳐 커버(80)의 융기부(80a) 및 클리너 케이스(110) 사이에 형성되는 도풍 통로(135)에 개재하는 제1∼제4 차폐벽(136∼139)이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돌출 설치되는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은, 외기 도입구(128)에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외기 도입구(128)측을 향해 하방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흡기구(134)가 상기 외기 도입구(128)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일측으로 오프셋한 위치에서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설치된다.
따라서, 외기 도입구(128)로부터 도입된 공기에 수반된 이물이 흡입구(134)에 침입하는 것을 제1∼제4 차폐벽(136∼l39)으로 저지할 수 있고, 특히, 이물 중의 물은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을 타고 하방측으로 흐르므로, 흡기구(134)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외기 도입구(128) 및 흡기구(134) 사이에,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경사 방향으로 뻗은 제1∼제4 차폐벽(136∼139)이 배치되고, 이들 차폐벽(136∼139) 중 제2 및 제4 차폐벽(137, 139)의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하부간을 연결하는 연결벽(141)이 클리너 케이스(110)에 설치되므로,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하부측에 물 저장부를 형성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보다 확실히 흡기구(134)로의 물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외기 도입구(128) 및 흡기구(134) 사이에 걸쳐 미로 통로(142)가 제1∼제4 차폐벽(136∼139)과,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형성되므로, 흡기 구(134)로의 물을 포함하는 이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히 저지할 수 있고, 또한 제1∼제4 차폐벽(136∼139)이,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경사 방향에 따라 하부측을 흡기구(134)측으로 굴곡시켜 대략 「く」자형으로 형성되므로, 미로 통로(142)의 형상을 복잡화하는 동시에 통로 거리를 연장하여 기액 분리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흡기구(134) 외에, 전동 케이스(59)의 변속기실(60)에 냉각 공기를 인도하기 위한 냉각 공기 도입구(144)가 형성되고, 외기 도입구(128)로부터 도풍 통로(135)에 도입된 공기를, 흡기구(134)를 향하는 공기와, 냉각 공기 도입구(144)를 향하는 공기를 분리시키는 위치에, 제1∼제4 차폐벽(136∼139)의 일부인 제1 차폐벽(136)이 배치되므로, 제1∼제4 차폐벽(136∼139)의 일부를 이용하여 도풍 통로(135)를 분리할 수 있어,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설계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냉각팬(49)에 의한 냉각풍으로 라디에이터(50)를 냉각하는 수냉식 엔진(E)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으로 엔진 본체를 냉각시키는 강제 공냉 엔진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의 유통 방향에 따라 냉각팬보다 상류측에서 엔진 슈라우드 내에 배출관로(151)가 연통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요동식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3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펜더 및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3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5는 펜더, 커버 및 에어 클리너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3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6은 펜더, 커버 및 후륜을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3의 6-6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7-7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8-8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9-9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10-10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11-11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12-12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13-13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6의 화살표 14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15-15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16-16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7 : 무단 변속기 49 : 냉각팬
51 : 라디에이터 슈라우드 59 : 전동 케이스
60 : 변속기실 146 : 도입구
150 : 배출구 151 : 배출관로
152 : 돌출 통부 B : 차체
E : 엔진 T : 전동 장치
WR : 후륜

Claims (5)

  1. 엔진(E) 및 후륜(WR) 간에 설치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37)를 적어도 가지는 전동 장치(T)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59)에, 상기 무단 변속기(37)를 수용하는 변속기실(60)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변속기실(60)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146)와, 상기 변속기실(60)로부터 외부에 냉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0)가 형성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배출구(150)에 액밀하게 접속되는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상기 전동 케이스(59)의 상방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50)가, 차체(B)의 폭방향 중심측을 향해 상기 전동 케이스(59)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상기 차체(B)의 폭방향 중심에 대해 상기 배출구(150)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엔진(E)은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으로 엔진 본체를 냉각하는 강제 공냉 엔진, 또는 상기 냉각팬(49)에 의한 냉각풍으로 라디에이터(50)를 냉각하는 수냉식 엔진이고, 상기 냉각팬(49)에 의한 냉각풍의 유통 방향에 따라 상기 냉각팬(49)보다 상류측에서 엔진 슈라우드(shroud) 또는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 내에, 상기 배출관로(151)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엔진 슈라우드 또는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 통부(152)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로(151)가 상기 돌출 통부(152)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동 케이스(59)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후륜(WR) 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배출관로(151)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KR1020070084244A 2006-09-26 2007-08-22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KR100891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60468 2006-09-26
JP2006260468A JP4801814B2 (ja) 2006-09-26 2006-09-26 車両用無段変速機の冷却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273A true KR20080028273A (ko) 2008-03-31
KR100891781B1 KR100891781B1 (ko) 2009-04-07

Family

ID=3925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244A KR100891781B1 (ko) 2006-09-26 2007-08-22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01814B2 (ko)
KR (1) KR100891781B1 (ko)
CN (1) CN10059545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5505A (zh) * 2014-03-25 2014-07-02 重庆隆鑫发动机有限公司 Cvt驱动系统及摩托车
JP6331815B2 (ja) * 2014-07-22 2018-05-30 スズキ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冷却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4203Y2 (ko) * 1984-10-26 1987-11-19
JPS61282667A (ja) * 1985-06-07 1986-12-12 Honda Motor Co Ltd ベルト伝動装置
JPS6275260U (ko) * 1985-10-30 1987-05-14
DE69611638T2 (de) * 1995-06-29 2001-06-21 Yamaha Motor Co Ltd Stufenloses Getriebe
JP3572262B2 (ja) * 2001-02-22 2004-09-2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Vベルト式無段変速機を有する騎乗型不整地四輪走行車
JP2003042270A (ja) * 2001-07-25 2003-02-13 Yamaha Motor Co Ltd ベルト変速機の冷却構造
JP4293796B2 (ja) * 2003-01-31 2009-07-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V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冷却構造
CN2663734Y (zh) * 2003-09-01 2004-12-15 姜永军 V型皮带无级变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95456C (zh) 2010-03-24
KR100891781B1 (ko) 2009-04-07
JP2008082374A (ja) 2008-04-10
CN101153653A (zh) 2008-04-02
JP4801814B2 (ja)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2961B2 (ja) 鞍乗型車両
JP6488372B2 (ja) 鞍乗り型車両のカウル構造
US8037958B2 (en) Layout of compact all terrain vehicle for fuel tank, intake duct, and exhaust duct positioning
EP1186771A2 (en) Motorcycle
JP2007076423A (ja) 自動二輪車のカウリング
JP5914317B2 (ja) 鞍乗型車両のエアクリーナケース構造
KR100455352B1 (ko) 스쿠터형 차량
JP4969969B2 (ja) 揺動式自動三輪車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の空気導入構造
JP4316390B2 (ja) 不整地走行用鞍乗り型四輪車
JP5002351B2 (ja) スクータ型車両
EP2289787B1 (en) Saddle-ride type vehicle
KR100891781B1 (ko)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JP4128503B2 (ja) 燃料タンク
JP4802727B2 (ja) 不整地走行車両
JP2007113565A (ja) 自動二輪車のブリーザ装置
JPH09242630A (ja) アンダーボーン型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吸気構造
US8210297B2 (en) Layout of compact all terrain vehicle for exhaust outlet duct and air inlet duct positioning
JP5702695B2 (ja) 鞍乗型車両のキャニスタ配置構造
JP4792359B2 (ja) 小型車両
JP6523027B2 (ja) 小型車両用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07324656A (ja)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
CN216102547U (zh) 鞍乘型车辆
JP6812472B2 (ja) 鞍乗り型車両の吸気装置構造
CN110461695B (zh) 跨骑型车辆
JP3168136U (ja) スクータ型車両の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1